KR101731515B1 -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 - Google Patents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515B1
KR101731515B1 KR1020150076014A KR20150076014A KR101731515B1 KR 101731515 B1 KR101731515 B1 KR 101731515B1 KR 1020150076014 A KR1020150076014 A KR 1020150076014A KR 20150076014 A KR20150076014 A KR 20150076014A KR 101731515 B1 KR101731515 B1 KR 101731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ing
grooved
sound
grooved portion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997A (ko
Inventor
박호성
Original Assignee
(주)다위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위월드 filed Critical (주)다위월드
Priority to KR102015007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515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는, 그루빙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홈과 돌출턱을 갖는 복수의 그루빙부가 구비된 소리 음원부; 및 그루빙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복수의 그루빙부를 긁어 발생 되는 음원을 울리는 소리 울림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그루빙부는 그루빙 플레이트의 횡방향에 다열로 마련되고, 횡방향에 각각의 열로 마련되는 복수의 그루빙부는 같은 음계를 가지고, 서로 다른 열에 마련되는 복수의 그루빙부는 서로 다른 음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RHYTHM MUSICAL INSTRUMENT USING GROOVING PHENOMENON}
본 발명은, 음악 반주 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루빙 현상을 이용하여 멜로디에 따라서 길게 긁거나 짧게 긁어서 음표에 따라서 음정과 박자가 이루어지는 새로운 개념의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에 관한 것이다.
노면 혹은 표면에 원형의 바퀴의 진행 방향을 따라가다 보면 횡방향으로 파여 진 홈에서 홈과 노면 혹은 표면의 바퀴의 마찰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그루빙(Grooving) 현상이라고 한다.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사례는 지방의 한적한 국도나 고속도로 등에 적용하여 차량을 운행하는 중에 운전자의 장시간 운전에 따른 피로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조는 경우라든지 또는 단조로운 도로상황으로 인하여 쉽게 조는 경우로 인하여 불의의 사고로 이어져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그간에 적용하여 왔다.
그렇지만 이는 일반적인 요철로 인해 진동을 주는 방법과 똑같을 뿐만 아니라 도리어 도로의 위험요소에 설치하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주장보다 오히려 운전자를 놀라게 하여 사고를 유발하게 하고, 주변에 소음 공해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악영향을 주고 있기도 하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의 경우는 미국 최초로 만들어진 <노래하는 도로(Singing Road)>가 개통 한지 18일 만에 주민들의 반대로 사라졌다. 반대의 이유는 너무도 명확하다. 그냥 일반도로는 조용한데, 그루빙으로 인해 소음의 멜로디가 생성하는 도로는 늦은 밤이든 새벽이든 가리지 않고 하루에도 수백 번 넘게 차 바퀴가 도로표면을 긁어대는 소리가 마치 괴물이 울부짖는 것 같다면서 잠을 잘 수가 없어서 지병인 천식이 악화가 됐다는 이유인 것이다.
따라서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기존 도로에의 적용은 덕보다 실이 훨씬 많은 골치덩이 애물단지의 기술 응용이라 말할 수 있겠다.
한편 종래의 일반 악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여음이 필요한 2분음표의 멜로디를 치거나, 여음이 전혀 필요가 없는 8분음표를 치거나, 두드려 소리를 내고자 할 때 종래의 악기들은 음의 길이와 리듬이 다를지라도 똑같은 길이와 리듬의 소리가 날 뿐이다. 대표적인 건반악기 피아노 반주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온음표든, 2분음표든, 4분음표든, 8분음표든지 서로 음의 길이와 리듬 등이 다른 멜로디를 반주하노라면, 분명 길이가 다르고 리듬도 다른 소리임에도 불구하고 본래의 악기 구조상 똑같은 길이의 소리만 낼 수밖에 없는 커다란 모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소리의 호흡(길이)을 좀 더 정확하게 표현하면서 음악 소리의 끊어짐과 단절 없이 완전한 소리의 빛깔(이음)을 실현할 수 있는 개선책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27599호(황정현) 2003. 04. 07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그루빙 현상을 이용하여 멜로디에 따라서 길게 긁거나 짧게 긁어서 음표에 따라서 음정과 박자가 이루어지며, 소리의 길이를 정확하게 표현하면서 끊어짐과 단절 없이 음악 소리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그루빙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홈과 돌출턱을 갖는 복수의 그루빙부가 구비된 소리 음원부; 및 상기 그루빙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그루빙부를 긁어 발생 되는 음원을 울리는 소리 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루빙부는 상기 그루빙 플레이트의 횡방향에 다열로 마련되고, 상기 횡방향에 각각의 열로 마련되는 상기 복수의 그루빙부는 같은 음계를 가지고, 서로 다른 열에 마련되는 상기 복수의 그루빙부는 서로 다른 음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홈과 상기 돌출턱은 상기 그루빙 플레이트의 상면부에 마련되고, 상기 소리 울림부는 상기 그루빙 플레이트의 하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소리 울림부는 각각의 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소리 울림부는 상기 복수의 그루빙부를 터치 스틱으로 긁을 시 발생 되는 음을 울리는 소리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횡방향에 각각의 열로 마련되는 상기 복수의 그루빙부를 다른 열의 복수의 그루빙부와 구획하는 음계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루빙 플레이트의 상기 횡방향의 단부에 마련되는 음계 분별표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그루빙부를 그루빙 플레이트의 횡방향에 다열로 마련하고, 횡방향에 각각의 열로 마련되는 복수의 그루빙부는 같은 음계를 가지고, 서로 다른 열에 마련되는 복수의 그루빙부는 서로 다른 음계를 갖도록 함으로서 멜로디에 따라서 길게 긁거나 짧게 긁어서 음표에 따라서 음정과 박자가 이루어지며, 소리의 길이를 정확하게 표현함과 음악 소리를 끊어짐과 단절 없이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서 터치 스틱을 이용하여 소리 음원부를 횡방향으로 긁늘 길이에 따른 음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서 음계에 따른 그루빙부 간격과 그루빙부 모양을 도시한 표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서 음표 및 쉼표에 따른 그루빙 간격의 반복 길이를 도시한 표이다.
도 7은 음계에 따른 그루빙부 간격과 음악 반주 악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음계에 따른 음의 길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서 터치 스틱을 이용하여 소리 음원부를 횡방향으로 긁늘 길이에 따른 음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에서 음계에 따른 그루빙부 간격과 그루빙부 모양을 도시한 표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에서 음표 및 쉼표에 따른 그루빙 간격의 반복 길이를 도시한 표이고, 도 7은 음계에 따른 그루빙부 간격과 음악 반주 악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1)는, 그루빙 플레이트(110)에 마련되는 홈(121)과 돌출턱(122)을 갖는 복수의 그루빙부(120)가 구비된 소리 음원부(100)와, 그루빙 플레이트(110)에 마련되며 복수의 그루빙부(120)를 긁어 발생 되는 음원을 울리는 소리 울림부(200)와, 그루빙 플레이트(110)에 마련되는 음계 파티션(300)과, 그루빙 플레이트(110)에 마련되는 음계 분별표식부(400)를 구비한다.
소리 음원부(100)는, 일반 악보에 사용되는 음계와 음표와 쉼표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빙 플레이트(110)의 표면에 홈(121)과 돌출턱(122)으로 이루어진 그루빙부(120)를 마련하고, 홈(121)과 돌출턱(122)의 너비를 다르게 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계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21)의 너비를 2.4mm로 하고 돌출턱(122)의 너비를 7.0mm로 하면 도 음계가 되고, 이때 그루빙부(120)의 간격은 9.4mm(=2.4+7.0)가 된다.
또한 그루빙부(120)의 간격을 반복해서 만든 그루빙간격 반복길이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표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4분음표의 그루빙간격 반복길이는 50mm 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그루빙부(120)는 그루빙 플레이트(110)의 횡방향과 종방향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그루빙부(120)는 그루빙 플레이트(110)의 횡방향에 다열로 마련되고, 횡방향에 각각의 열로 마련되는 각각의 복수의 그루빙부(120)는 같은 음계를 가지고, 서로 다른 열에 마련되는 복수의 그루빙부(120)는 서로 다른 음계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마련되는 각각의 홈(121)과 돌출턱(122)은 서로 같은 너비를 가지고 있어 같은 음계를 가진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터치 스틱(T)을 움직여 그루빙부(120)를 긁는 거리에 따라 음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종방향 즉 각각의 다른 열에 마련되는 그루빙부(120)는 서로 다른 음계를 가진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제일 위에 배치되는 열의 그루빙부(120)는 도 음계를 가질 수 있고, 바로 밑의 열의 그루빙부(120)는 레 음계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홈(121)과 돌출턱(122)으로 이루어진 그루빙부(120)에 의해 서로 다음 음계와 음표 등을 만들 수 있고, 터치 스틱(T)을 이용하여 그루빙부(120)를 긁어서 음을 만드므로 멜로디에 따라서 길게 긁거나 짧게 긁어서 음표에 따라서 음정과 박자가 이루어지며, 소리의 길이를 정확하게 표현함과 음악 소리를 끊어짐과 단절 없이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소리 울림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빙 플레이트(110)의 저면부에 결합 되어 터치 스틱(T)이 그루빙부(120)를 긁어서 발생 되는 음이 확산 되도록 울리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소리 울림부(200)는 소리통을 포함하고, 그루빙 플레이트(110)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소리 울림부(200)는 횡방향에 마련되며 서로 다른 음계를 갖는 각각의 그루빙부(120)에 대응되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빙 플레이트(110)의 저면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음계 파티션(3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빙 플레이트(110)에 마련되어 각각 다른 음계의 영역에 따라 음계의 구분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음계 파티션(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과 종방향에 각각 마련되되 종방향으로는 양단부에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음계 파티션(300)은 그루빙부(120) 및 음계 분별표식부(400)와 서로 다른 색으로 마련될 수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그루빙 플레이트(110)에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음계 분별표식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양단부의 그루빙 플레이트(110)에 마련되어 연주 시 음계에 따른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음계 분별표식부(400)는 8색 이상의 다양한 색깔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 예의 제작 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멜로디에 따른 음의 개별 진동주파수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개별 고유 진동주파수의 음에 대응하는 그루빙부(120) 간격을 설정한다. 설정된 그루빙부(120) 간격이 포함되는 전체음계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 음원을 계산한다.
다음으로 소리 음원의 계산 과정에 의해 계산된 음원에 대응하는 그루빙부(120) 간격을 적용하여 홈(121)과 돌출턱(122)이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그루빙 플레이트(110)의 표면에 그루빙부(120)를 제작한다.
그 다음으로 그루빙 플레이트(110)의 저면부에 소리 울림부(200)를 마련한 후 음계 파티션(300)과 음계 분별표시부를 선택적 순서로 마련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복수의 그루빙부를 그루빙 플레이트의 횡방향에 다열로 마련하고, 횡방향에 각각의 열로 마련되는 복수의 그루빙부는 같은 음계를 가지고, 서로 다른 열에 마련되는 복수의 그루빙부는 서로 다른 음계를 갖도록 함으로서 멜로디에 따라서 길게 긁거나 짧게 긁어서 음표에 따라서 음정과 박자가 이루어지며, 소리의 길이를 정확하게 표현함과 음악 소리를 끊어짐과 단절 없이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
100 : 소리 음원부 110 : 그루빙 플레이트
120 : 그루빙부 121 : 홈
122 : 돌출턱 200 : 소리 울림부
300 : 음계 파티션 400 : 음계 분별표식부
T : 터치 스틱

Claims (6)

  1. 그루빙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홈과 돌출턱을 갖는 복수의 그루빙부가 구비된 소리 음원부;
    상기 그루빙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그루빙부를 긁어 발생 되는 음원을 울리는 소리 울림부;
    상기 그루빙 플레이트의 횡방향에 각각의 열로 마련되는 상기 복수의 그루빙부를 다른 열의 복수의 그루빙부와 구획하는 음계 파티션; 및
    상기 그루빙 플레이트의 상기 횡방향의 단부에 마련되는 음계 분별표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루빙부는 상기 그루빙 플레이트의 횡방향에 다열로 마련되고, 상기 횡방향에 각각의 열로 마련되는 상기 복수의 그루빙부는 같은 음계를 가지고, 서로 다른 열에 마련되는 상기 복수의 그루빙부는 서로 다른 음계를 가지며,
    터치 스틱으로 상기 복수의 그루빙부를 긁어서 음을 만들고,
    상기 소리 울림부는 상기 복수의 그루빙부를 상기 터치 스틱으로 긁을 시 발생 되는 음을 울리는 소리통을 포함하고,
    상기 음계 파티션은 상기 복수의 그루빙부 및 상기 음계 분별표식부와 서로 다른 색으로 마련되고, 상기 음계 분별표식부는 8색 이상의 다양한 색깔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과 상기 돌출턱은 상기 그루빙 플레이트의 상면부에 마련되고,
    상기 소리 울림부는 상기 그루빙 플레이트의 하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리 울림부는 각각의 열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76014A 2015-05-29 2015-05-29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 KR101731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014A KR101731515B1 (ko) 2015-05-29 2015-05-29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014A KR101731515B1 (ko) 2015-05-29 2015-05-29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97A KR20160139997A (ko) 2016-12-07
KR101731515B1 true KR101731515B1 (ko) 2017-04-28

Family

ID=5757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014A KR101731515B1 (ko) 2015-05-29 2015-05-29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5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599A (ko) 2001-09-29 2003-04-07 황정현 음 발생 기능을 갖는 도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97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25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music
JP4708354B2 (ja) メロディーロードおよびメロディーロード設計プログラム
CN105857079B (zh) 具有一个光导的两个计量仪照明
CN208225477U (zh) 木枕双层琴键拇指琴
US2406946A (en) Music teaching device
KR101731515B1 (ko) 그루빙 현상을 활용한 음악 반주 악기
KR101945636B1 (ko)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RU2616096C2 (ru) Трехмерная вывес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Wennerstrom Parametric analysis of contemporary musical form
KR20090047612A (ko) 포장도로에서의 노면마찰을 이용한 음악적 요소 생성방법
Solomos The Complexity of Xenakis’s Notion of Space
Tenzer Theory and analysis of melody in Balinese Gamelan
Ammann 7 Fractals in Melanesian Music
JP3172988U (ja) リズム学習用教材
US2232264A (en) Diagram musical score
De Dobay The Evolution of Harmonic Style in the Lorca Works of Crumb
US2770160A (en) Music study device
US1708495A (en) Musical instrument
Vauclain Bartok: beyond bi-modality
Phillips Playing pictures: The wonder of graphic scores
KR20160086647A (ko) 도로 위의 음원 및 화음 발생장치
Thomas Nancarrow's" Temporal Dissonance": Issues of Tempo Proportions, Metric Synchrony, and Rhythmic Strategies
RIPA Tonal and Rhytmic Studies in The International Jazz Culture
Pepelea Typologies of Latent Polyphony illustrated in the Bachian Monody
JP2018136517A (ja) (簡単)ギター弾き語りロ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