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822B1 - 광학시트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광학시트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822B1
KR101730822B1 KR1020150088295A KR20150088295A KR101730822B1 KR 101730822 B1 KR101730822 B1 KR 101730822B1 KR 1020150088295 A KR1020150088295 A KR 1020150088295A KR 20150088295 A KR20150088295 A KR 20150088295A KR 101730822 B1 KR101730822 B1 KR 101730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lined surface
along
angle
optica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50388A (ko
Inventor
이정민
김혜룡
이기욱
민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에스
Priority to KR1020150088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822B1/ko
Priority to US15/739,316 priority patent/US10761258B2/en
Priority to JP2017566127A priority patent/JP2018522273A/ja
Priority to CN201680036315.9A priority patent/CN107810441B/zh
Priority to PCT/KR2016/006429 priority patent/WO2016208911A1/ko
Publication of KR2016015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 G02F2001/133607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부로 빛을 전달하는 광학시트모듈에 관한 것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시트형태의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투과되며 내부로 입사되는 입광면 및 상기 입광면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된 빛을 반사하여 상부로 전달하는 대광면을 포함하며,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단위집광체가 상기 광원에서 빛이 출사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배열되는 집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광부는 상기 대광면의 상하방향에 따른 단면궤적이 최하부에서 최상부에 이르는 가상의 직선궤적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광학시트 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광학시트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Optical Sheet Module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역프리즘 형태의 광학시트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복수 개로 구성된 다중각 형태의 단위집광체에 의해 집광되는 빛의 시야각을 증가시킬 수 있는 광학시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유닛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으로 액정표시장치가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액정표시장치(LCD)는 종래의 브라운관 방식(CRT)와는 달리 화면 전체에 균일한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하다.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은 선광원인 램프와 상기 램프의 빛을 반사시키는 램프 반사판이 램프로부터의 빛을 면광원으로 바꿔주기 위한 도광판의 한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도광판의 하부에는 빛의 누출을 막기 위한 반사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위에는 흩어진 빛을 집광시키기 위해 각각 상측으로 돌출된 삼각형 모양의 선형 프리즘을 다수 개 가지는 프리즘시트가 놓여 있다. 두 장의 프리즘시트는 선형 프리즘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각각 다른 방향의 빛을 집광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은 두 장의 프리즘시트가 필요하여, 제작단가가 상승함은 물론 공정수도 늘어나며, 백라이트 유닛의 두께를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의 산(12)이 종래와는 반대 방향인 하측, 즉, 도광판(3)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역 프리즘형태의 프리즘시트가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프리즘시트(10)에 형성된 산(12)은 삼각형태로 구성되어 프리즘시트(10)의 하면을 따라 반복하여 배치되며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역 프리즘 형태의 프리즘 시트(10)는 상기 도광판(3)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상기 산(12)의 내측면에서 전반사되어 상부를 향하여 출사되며, 두 장의 프리즘시트를 사용하는 것 보다 두께와 제작비용 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의 프리즘시트(10)는 입사된 광이 산(12)에서 반사되는 경우 하나의 방향으로 균일하게 집광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에서 백라이트유닛에 사용 시 휘도는 높으나 시야각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광원에서부터 출사된 빛을 상부방향으로 집광시키는 역프리즘 형태의 단위집광체를 포함하며, 단위집광체의 일부가 다중각 또는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빛을 집광시킴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을 증가시킬 수 있는 광학시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광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부로 빛을 전달하는 광학시트모듈에 관한 것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시트형태의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투과되며 내부로 입사되는 입광면 및 상기 입광면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된 빛을 반사하여 상부로 전달하는 대광면을 포함하며,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단위집광체가 상기 광원에서 빛이 출사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배열되는 집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광부는 상기 대광면의 상하방향에 따른 단면궤적이 최하부에서 최상부에 이르는 가상의 직선궤적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대광면의 상하방향에 따른 단면궤적은 서로 기울기가 다른 직선을 연속적으로 잇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광면은 최하부가 상기 입광면과 접하며 제1각도로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에서 연속하여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각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를 가지며 상향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2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된 빛은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의 상하방향에 따른 단면 궤적의 길이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광면의 횡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입광면의 횡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집광체는 상기 입광면과 상기 대광면의 상하방향에 따른 최하부가 서로 접하며, 상기 최하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며 상향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상술한 광학시트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베이스필름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빛을 집광하는 복수 개의 단위집광체제는 각각 빛이 입사되는 입광면과 입사된 빛을 상부로 반사시키는 대광면을 포함하며, 대광면은 서로 경사가 다른 다중각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하부에서 전달되는 빛을 집광시킴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학시트모듈이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광학시트모듈에서 빛이 굴절되어 상부로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이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학시트모듈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5의 광학시트모듈에 의해 빛이 굴절되어 상부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은 LCD나 LED 패널 등의 평판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허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학시트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것이 아닌 다른 기구에 적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일 수도 있으며, 또는 조명기구 등 빛의 특성 및 경로를 변화시키는 장치라면 어느 것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400)이 적용된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시트모듈(400)이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학시트모듈(4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광학시트모듈(400)에 의해 빛이 굴절되어 상부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액정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BLU: Back Light Unit)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은 크게 광원(100), 반사판(200), 도광판(300), 광학시트모듈(400) 및 반사편광시트(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100)은 일반적으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로 구성되며 상기 도광판(300)의 측부에서 빛을 발광하여 상기 도광판(300) 방향으로 빛을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300)은 상기 광원(100)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 및 산란하여 상기 광학시트모듈(400)방향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도광판(300)의 하부에는 상기 반사판(200)이 구비되며, 상기 광원(100)에서 출사된 빛 중 하부로 향하는 빛은 상기 반사판(200)에 의해 반사되어 상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광학시트모듈(400)은 도광판(3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달되는 빛을 집광하여 상부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광학시트모듈(400)은 역프리즘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전달되는 빛을 내부에서 전반사하여 상부로 굴절시킨다.
상기 광학시트모듈(4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크게 베이스필름(410) 및 집광부(420)를 포함하고, 베이스필름(410)은 빛을 투과시키는 평판형태의 필름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필름(410)은 하부에서부터 전달되는 빛이 용이하게 투과할 수 있는 광투과성 필름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베이스필름(410)의 하면에는 빛을 굴절시켜 집광시키는 상기 집광부(420)가 형성되어 베이스필름(410)과 일체화 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집광부(420)는 하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굴절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단위집광체(420a)에 의해 형성된 패턴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위집광체(420a)는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감소하며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상기 베이스필름(410)의 하면을 따라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집광부(420)는 상기 도광판(300)을 통해 전달되는 빛을 상부방향으로 집광하여 전달한다. 이때 베이스필름(410)은 단순히 빛을 투과시켜 상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광부(420)는 상기 베이스필름(410)의 하부에 복수 개가 연속하여 형성되는 상기 단위집광체(420a)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집광체(420a)는 상기 광원(100)방향으로 향하여 마주보는 입광면(422) 및 상기 입광면(422)에 대향하여 상기 입광면(422)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대광면(424)을 포함한다.
상기 입광면(422)은 상기 광원(100)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상기 단위집광체(420a) 내부로 입사하는 면이며, 상기 단위집광체(420a)에서 횡 방향을 따라 상기 광원(100)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위집광체(42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필름(410)상에서 하부로 돌출된 프리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광면(422)은 후술하는 상기 대광면(424)과 함께 하부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최하부가 접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집광부(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단위집광체(420a)가 상기 베이스필름(410)의 하부에 구비되며, 횡 방향을 따라 상기 광원(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이때, 상기 횡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필름(410)의 하면에 따른 방향을 의미하며, 상하방향은 상기 도광판(300)에 상기 집광부(420)가 적층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위집광체(420a)가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입광면(422)은 경사를 가지며 상기 광원(100)과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대광면(424)은, 상기 입광면(422)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입광면(422)을 통해 입사된 빛을 전반사시켜 상부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대광면(424)은, 상술한 상기 입광면(422)과 반대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최하부가 상기 입광면(422)과 만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광면(424)은 상하방향에 따른 단면궤적이 최하부에서 최상부에 이르는 가상의 직선 궤적(V)을 기준으로 내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광면(424)의 상하방향에 따른 단면궤적은 서로 기울기가 다른 직선을 연속적으로 잇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광면(422)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상부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대광면(424)의 상하방향에 따른 단면 궤적이 직선이 아니라 내부로 함몰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대광면(4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면(424a) 및 제2경사면(424b)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424a)은 최하부가 상기 입광면(422)과 접하며, 제2각도(β)로 상향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경사면(424a)은 상기 입광면(422)을 통해 입광된 빛을 상부방향으로 반사하여 제1방향(W1)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경사면(424b)은, 상기 제1경사면(424a)에서 연속하여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2각도(β)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β`)로 상향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경사면(424b)은 상기 제1경사면(424a)의 상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424a)과 함께 상기 대광면(424)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경사면(424a) 및 상기 제2경사면(424b)의 상하방향에 따른 단면 궤적은 직선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하방향에 따른 단면 궤적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제2경사면(424b)은 상기 대광면(424)을 통해 입광된 빛을 상부로 반사시키며 상기 제1방향(W1)과 다르게 제2방향(W2)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제2방향(W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방향(W1)보다 상대적으로 우측으로 확산되는 방향이며, 상기 제2경사면(424b)의 경사각도에 따라 상기 제1방향(W1)을 기준으로 상기 제2방향(W2)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위집광체(420a)는 상기 입광면(422) 및 상기 대광면(424)을 포함하여 상기 입광면(422)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상기 대광면(424)에서 반사하여 상부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대광면(424)은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는 제1경사면(424a) 및 제2경사면(424b)을 포함하여 상기 입광면(422)을 통해 입사된 빛을 제1방향(W1) 및 제2방향(W2)으로 각각 반사하여 상부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광부(420)는 상기 단위집광체(420a)에 형성된 상기 대광면(424)에 의해 상기 도광판(300)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상기 제1방향(W1) 빛 상기 제2방향(W2)으로 반사시켜 상부로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반사편광시트(500)은 상기 광학시트모듈(400)의 상부에 적층 형태로 배치되며, 하부에서 전달되는 빛 중에서 특정 방향으로 편광된 빛 만을 투과시켜 빛을 상부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반사편광시트(500) 다층의 레이어로 구성된 스택으로 특정 편광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성 편광판 또는 미러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가시광선은 반사하고 적외선은 통과시키는 '콜드 미러'나 가시광선은 통과시키고 적외선은 반사하는 '핫 미러'와 같은 파장 선택성 반사경으로서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원(100), 상기 반사판(200), 상기 도광판(300), 상기 광학시트모듈(400) 및 상기 반사편광시트(500)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100)에서 출사된 빛이 상기 광학시트모듈(400)에서 집광되어 상부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도광판(300)으로부터 상부로 전달되는 빛은 상기 집광부(420)에 형성된 상기 대광면(424)에서 제1방향(W1) 및 제2방향(W2)으로 각각 반사 및 집광되어 빛이 상부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집광부(420)에 의해 상부로 전달되는 빛이 상기 제1방향(W1) 및 상기 제2방향(W2)으로 나누어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의한 시야각이 증가하게 된다.
이어서,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집광부(42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집광부(4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단위집광체(420a)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집광체(420a) 각각은 상기 광원(100)과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입광면(422) 및 상기 입광면(422)과 반대방향에 위치한 대광면(424)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입광면(422) 및 상기 대광면(424)은 최하부가 접하며 각각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광면(422)은 상기 광원(100) 방향으로 제1각도(α)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대광면(424) 중 일부는 상기 입광면(422)과 반대방향으로 제2각도(β)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대광면(4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경사면(424a)과 상기 제2경사면(424b)이 연속하여 배치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경사면(424a)은 최하단부가 상기 입광면(422)과 접하며, 제2각도(β)로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경사면(424b)은 상기 제1경사면(424a)과 연속하여 제3각도(β`)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입광면(422)은 제1각도(α)로 균일한 각도를 가지며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대광면(424)은 제1경사면(424a)이 제2각도(β)를 가지며, 제2경사면(424b)이 제3각도(β`)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입광면(422)과 함께 상기 집광부(42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대광면(424)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424a)과 상기 제2경사면(424b)을 연속하여 잇는 상하방향에 따른 단면궤적은 상기 대광면(424)의 최하부와 최상부를 직선으로 잇는 가상의 단면궤적(V)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경사면(424a) 및 상기 제2경사면(424b)은 상하방향에 따른 단면 궤적의 길이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경사면(424a)과 상기 제2경사면(424b)의 단면 궤적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경사면(424a) 및 상기 제2경사면(424b)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제1경사면(424a) 및 상기 제2경사면(424b)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방향(W1)과 상기 제2방향(W2)으로 전달되는 빛의 양이 조절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사용 시 액정표시장치에서의 시야각 및 휘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광면(424)은 상기 광원(100)에서 빛이 출사되는 방향에 따른 횡 방향의 길이가 상기 입광면(42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광면(424)은 상기 입광면(422)과 달리 상기 제1경사면(424a) 및 상기 제2경사면(424b)이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며 연속하여 형성된 형태로써, 상기 제1경사면(424a) 및 상기 제2경사면(424b)의 횡 방향에 따른 길이 비율에 따라 상기 제1방향(W1) 및 상기 제2방향(W2)으로 전달되는 빛의 양이 달라진다.
여기서, 상기 단위집광체(420a)의 횡 방향에 따른 크기는 일정하게 조절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1경사면(424a) 및 상기 제2경사면(424b)의 횡 방향에 따른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입광면(422)의 횡 방향에 따른 길이가 변화한다.
이때, 도시된 도면과 같이 상기 입광면(422)의 횡 방향에 따른 길이가 la 이고, 상기 대광면(424)의 횡 방향에 따른 길이가 lb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경사면(424a)의 횡 방향에 따른 길이가 lc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la, lb, lc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1경사면(424a) 및 상기 제2경사면(424b)의 길이와 경사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제1방향(W1) 및 상기 제2방향(W2)으로 전달되는 빛의 휘도가 조절되거나, 상기 제1방향(W1)과 상기 제2방향(W2) 사이의 각도 차이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집광부(420)에서 상기 대광면(424)이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는 제1경사면(424a) 및 제2경사면(424b)을 포함하여 각각이 제1방향(W1) 및 제2방향(W2)으로 빛을 집광시킴으로써 액정표시장치에서 시야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광원 200: 반사판
300: 도광판 400: 광학시트모듈
410: 베이스필름 420: 집광부
422: 입광면 424: 대광면
500: 반사편광시트 W1: 제1방향
W2: 제2방향

Claims (7)

  1. 광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부로 빛을 전달하는 광학시트모듈에 관한 것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시트 형태의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투과되며 내부로 입사되는 입광면 및 상기 입광면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상하방향에 따른 단면궤적은 서로 기울기가 다른 직선을 연속적으로 잇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된 빛을 반사하여 상부로 전달하는 대광면을 포함하여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감소하는 단위집광체가 상기 광원에서 빛이 출사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배열되는 집광부; 를 포함하며,
    상기 대광면은,
    최하부가 상기 입광면과 접하며 제1각도로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에서 연속하여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각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를 가지며 상향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여 상하방향에 따른 단면궤적이 최하부에서 최상부에 이르는 가상의 직선궤적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된 빛은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반사되며,
    상기 대광면은 상기 광원에서 빛이 출사되는 방향에 따른 횡 방향의 길이(lb)가 상기 입광면의 횡 방향에 따른 길이(la)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의 횡 방향에 따른 길이(lc)에 의해 상기 제2경사면의 횡 방향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경사면의 횡 방향에 따른 길이(lc)에 따라 상기 제1경사면의 경사각도인 제2각도(β) 및 상기 제2경사면 사이의 경사각도인 제3각도(β`)가 조절되어 각각을 통해 전달되는 빛의 휘도가 조절되는 광학시트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의 상하방향에 따른 단면 궤적의 길이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 모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집광체는,
    상기 입광면과 상기 대광면의 상하방향에 따른 최하부가 서로 접하며, 상기 최하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며 상향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 모듈.
  7. 제1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시트 모듈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50088295A 2015-06-22 2015-06-22 광학시트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101730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295A KR101730822B1 (ko) 2015-06-22 2015-06-22 광학시트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US15/739,316 US10761258B2 (en) 2015-06-22 2016-06-17 Optical sheet module and backlight unit having same
JP2017566127A JP2018522273A (ja) 2015-06-22 2016-06-17 光学シート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N201680036315.9A CN107810441B (zh) 2015-06-22 2016-06-17 光学片模块及具备其的背光单元
PCT/KR2016/006429 WO2016208911A1 (ko) 2015-06-22 2016-06-17 광학시트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295A KR101730822B1 (ko) 2015-06-22 2015-06-22 광학시트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388A KR20160150388A (ko) 2016-12-30
KR101730822B1 true KR101730822B1 (ko) 2017-05-11

Family

ID=5758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295A KR101730822B1 (ko) 2015-06-22 2015-06-22 광학시트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61258B2 (ko)
JP (1) JP2018522273A (ko)
KR (1) KR101730822B1 (ko)
CN (1) CN107810441B (ko)
WO (1) WO20162089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699A (ko) *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 엘엠에스 핫스팟을 저감하는 광학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160B1 (ko) 2017-03-31 2022-04-0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반사편광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원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WO2019005840A1 (en) * 2017-06-26 2019-01-03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SKY OBSERVATION SYSTEM THROUGH THE CLOUDS
CN112147814A (zh) * 2019-06-28 2020-12-29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显示装置
CN113917584A (zh) * 2021-09-08 2022-01-11 东莞市光志光电有限公司 增光膜、背光模组及滚压轮与增光膜的加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7047A (ja) * 2009-01-29 2010-08-12 Hitachi Maxell Ltd バックライト装置、プリズムシート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5824A (ja) * 2000-12-13 2002-08-30 Mitsubishi Rayon Co Ltd 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光偏向素子
KR101048201B1 (ko) * 2003-07-15 2011-07-08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광원 장치 및 광편향 소자
KR100514821B1 (ko) * 2003-07-31 2005-09-13 주식회사 두산 오목 5각형 구조를 갖는 프리즘 시트
KR101191760B1 (ko) * 2005-10-29 2012-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협시야각모드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US7889289B2 (en) * 2005-11-04 2011-02-15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particular prism sheet
KR100862667B1 (ko) * 2006-10-31 2008-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출력 도광판,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JP2008177070A (ja) * 2007-01-19 2008-07-31 Sony Corp 光制御素子、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90010306A (ko) * 2007-07-23 2009-01-30 (주)대광반도체 면광원 유닛의 프리즘 시트
CN101825736B (zh) * 2009-03-03 2013-07-2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增强棱镜膜
JP5330457B2 (ja) * 2011-06-14 2013-10-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449951B1 (ko) * 2013-06-17 2014-10-14 희성전자 주식회사 시야각을 개선한 백라이트 장치
KR20150026044A (ko) * 2013-08-30 2015-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
KR102141559B1 (ko) * 2013-11-04 2020-08-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7047A (ja) * 2009-01-29 2010-08-12 Hitachi Maxell Ltd バックライト装置、プリズムシート及び液晶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699A (ko) *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 엘엠에스 핫스팟을 저감하는 광학필름
KR102343050B1 (ko) * 2020-03-31 2021-12-27 주식회사 엘엠에스 핫스팟을 저감하는 광학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8911A1 (ko) 2016-12-29
US10761258B2 (en) 2020-09-01
CN107810441A (zh) 2018-03-16
CN107810441B (zh) 2021-11-02
US20200041715A1 (en) 2020-02-06
KR20160150388A (ko) 2016-12-30
JP2018522273A (ja)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822B1 (ko) 광학시트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CN107667313B (zh) 具有扩散图案的反射型偏振模块及具备其的背光单元
JP6771054B2 (ja) 積層型光学シート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07636523B (zh) 具有颗粒的反射型偏振模块及具备其的背光单元
KR100813255B1 (ko) 고출력 도광판 및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1551843B1 (ko) 적층형 광학시트모듈
CN111108324B (zh) 一体型光学片模块以及具备该一体型光学片模块的背光单元
JP2008041295A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10690839B2 (en) Reflective polarizing module for enabling bending reduction and back light unit having same
KR101268085B1 (ko) 접합패턴이 형성된 광학시트를 가지는 광학시트 모듈
CN107820583B (zh) 能减小弯曲的聚光模块及具备其的背光单元
KR101472338B1 (ko) 백라이트 장치
KR101833246B1 (ko) 반사시트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20170136848A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광학시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US7871172B2 (en) Diffusion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same
KR101449951B1 (ko) 시야각을 개선한 백라이트 장치
JP5614634B2 (ja) 面光源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光学部材
KR100869335B1 (ko) 측면 조광형 백라이트 장치
KR101721943B1 (ko) 광 확산부를 가지는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101633007B1 (ko)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장치
JP2008047490A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TW200532312A (en) Backlight module and prism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