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168B1 -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함체 - Google Patents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168B1
KR101730168B1 KR1020160131983A KR20160131983A KR101730168B1 KR 101730168 B1 KR101730168 B1 KR 101730168B1 KR 1020160131983 A KR1020160131983 A KR 1020160131983A KR 20160131983 A KR20160131983 A KR 20160131983A KR 101730168 B1 KR101730168 B1 KR 101730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
cylind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고광만
Original Assignee
고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광만 filed Critical 고광만
Priority to KR1020160131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8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hielding layers; combining different shielding material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출력의 전자기파 에너지를 차단하여 군사용 무전기와 같은 군사용 장비를 보호할 수 있는 전자기 차폐용 함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는 외벽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제1 차폐부, 제1 차폐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제2 차폐부, 제2 차폐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내벽 차폐부를 포함하며, 제1 차폐부 또는 제2 차폐부는 다수의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실린더는 전자기파가 진입하는 진입개구부와 전자기파가 진출하는 진출개구부를 구비하고, 진입개구부와 진출개구부는 크기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함체{Panel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 and enclos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출력의 전자기펄스 (Electromagnetic pulse; EMP)를 포함하는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 에너지를 차단하여 일반적인 전자장치 또는 군사용 무전기와 같은 군사용 장비를 보호할 수 있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함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펄스(EMP; Electromagnetic Pulse)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넓은 의미의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의 한 형태로써 핵폭발에 의하여 생기는 전자기 충격파이다. 전자기파는 자연에 일반적으로 존재 하기도 하며 각종 전자 기기 또는 장치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핵폭발이 일어나면 전자기파와 중성자 파동이 생성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강력한 에너지를 지닌 전자기파의 일종인 감마선 광자가 대기 중으로 확산되면서 콤프턴효과(Compton effect)가 일어난다. 즉, 고에너지 상태의 감마선 광자가 에너지 단위가 낮은 공기의 원자핵과 충돌하면서 원자핵보다 질량이 작은 전자가 방출되는데, 감마선 광자로부터 에너지를 받은 전자의 이동으로 강력한 전기장과 자기장이 형성되고, 핵폭발 이전 단계의 전기장을 강력하게 변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방출된 고에너지 전자가 물결 형태의 진동 운동을 시행하면서 강력한 전자기펄스, 즉, 전자기펄스(EMP)가 발생된다. 전자기파(EMP)는 전자회로로 들어가 전류가 되는데, 전자기펄스(EMP)가 지닌 에너지가 엄청나게 크기 때문에 전자기펄스(EMP)에 놓여진 전자회로가 버틸 수 없는 정도의 과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과전류가 전자회로를 파괴시킴으로써 반도체로 작동하는 모든 전자기기, 즉 통신 장비, 컴퓨터, 이동 수단, 전산망, 군사용 장비 등이 마비된다.
전시상태에서 고출력 전자기펄스 폭탄으로 공격을 받는 경우 대부분의 군수 장비들은 무력화되는 상황에 처하게 될 수 있다. 고출력 전자기파 공격은 통신 네트워크와 전력 전송 시스템을 마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생활에 사용되는 전자 장치 및 디바이스뿐 만 아니라 군수 장비의 전자 디바이스에서 고출력 전자기펄스로 인한 오동작과 고장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보호장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펄스 또는 일반적인 전자기파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전자장비 특별히 군사용 장비의 전자 디바이스 등을 보호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및 함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기파로부터 다양한 범용 전자 디바이스 등을 보호함과 동시에 군사 작전을 위해 이동용으로 사용되는 전자 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넓은 의미의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및 함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벽부, 상기 외벽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제1 차폐부, 상기 제1 차폐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제2 차폐부, 상기 제2 차폐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내벽 차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폐부 또는 상기 제2 차폐부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는 전자기파가 진입하는 진입개구부와 전자기파가 진출하는 진출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입개구부와 상기 진출개구부는 크기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부를 구비한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되어 뚜껑의 역할을 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은 외벽부, 상기 외벽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제1 차폐부, 상기 제1 차폐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제2 차폐부, 상기 제2 차폐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내벽 차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폐부 또는 상기 제2 차폐부는 다수의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는 전자기파가 진입하는 진입개구부와 전자기파가 진출하는 진출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입개구부와 상기 진출개구부는 크기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진입개구부는 상기 외벽부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진출개구부는 상기 외벽부의 반대 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는 서로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전자기파 차폐층부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차폐부와 상기 제2 차폐부 사이에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중간 차폐층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벽부 또는 상기 내벽 차폐부는 필름 또는 층의 형태로 전자기파 흡수재로 이루어지는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 차폐층은 적어도 그의 일부가 절연체 또는 유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는 상기 진입개구부와 진출개구부 사이를 연결하는 실린더 측면의 형상이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는 그의 내부에 상기 실린더에 비해 크기가 작은 서브 실린더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 실린더는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브 실린더 사이의 간극의 적어도 일부에 유전체 또는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는 그의 내부에 유전체 또는 전도체가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차폐부의 진입개구부와 상기 제2 차폐부의 진입개구부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벽 차폐부는 적어도 그의 일부가 유연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차폐부의 진입개구부와 상기 제2 차폐부의 진입개구부는 차폐목표의 전자기파 파장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차폐부의 진입개구부와 제1 차폐부의 진출개구부 사이의 거리는 차폐목표 전자기파 파장보다 더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차폐부의 진입개구부와 제2 차폐부의 진출 개구부 사이의 거리 역시 차폐목표 전자가파 파장보다 더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출개구부에는 상기 진입개구부를 통해 모아져 약화된 전자기파를 외측으로 반사하는 반사체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는 축의 직각 방향으로 잘라져 적어도 다수로 분할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는 잠금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케이스에는 또 다른 수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에는 상기 수납부에 수용된 장비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충격완화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부는 유연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에 결합되며 서로 다른 내벽에 결합되는 복수의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타단에는 상기 수납부에 수용된 장비를 지지하는 홀더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진출개구부에는
상기 진입개구부를 통해 모아져 약화된 전자기파를 외측으로 반사하는 반사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는 진입개구부와 진출개부구를 연결하는 일 축에 대해 다른 각도로 잘라져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및 상기 패널로 이루어진 함체에 무전기와 같은 이동용 군사장비의 전자 기기 또는 디바이스 등을 수납하여 군사 작전시 전자기파의 공격으로부터 군사장비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을 이용하여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보호 시설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를 열어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Ⅲ-Ⅲ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응되는 다른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잠금부재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고정되는 고정 구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제1 케이스에 도어가 끼워지는 구조의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케이스와 도어를 고정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주요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에 수용된 이동용 전자기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전자기파 (Electromagnetic wave)란 전기장(electric field)과 자기장 (magnetic field)이 각각 또는 혼합되어 공간을 이동하는 파(wave)로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에 의하면 전자기 파는 감마선, 엑스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마이크로웨이브, 전파뿐 만 아니라 양전기 또는 음전기를 포함하는 대전 입자들이 공간을 비행하여 발생되거나 유도되는 전기장 및 자기장의 변화까지 포함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차폐"란 일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는 상기 전자기파의 경로상 놓여진 물체에 의해 가로막혀 상기 물체 위치 이전보다, 물체 위치 이후에 그의 세기가 감소되는 현상을 통칭하여 말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세기의 감소는 상기 물체에 의해 진입되는 전자기파를 흡수, 반사, 산란, 굴절, 가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작용에 의해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를 열어서 도시한 사시도로,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도 2의 Ⅲ-Ⅲ부를 잘라서 본 단면도로,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를 구성할 수 있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는 제1 케이스(1)와 제1 케이스(1)의 뚜껑의 역할을 하는 제2 케이스(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는 제1 케이스(1)와 제2 케이스(3)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예를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제2 케이스(3)는 단지 뚜껑의 역할을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실시할 수 도 있다.
제1 케이스(1)와 제2 케이스(3)는 내부에 무전기와 같은 이동용 전자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a, 3a)가 제공된다. 또한, 제1 케이스(1)와 제2 케이스(3)에는 서로 겹쳐져 끼워지는 결합부(5)와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재(7)가 제공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케이스(1) 또는 제2 케이스(3)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9)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에 탄성체로 이루어진 홈부(5a)가 제공되고, 제2 케이스(3)에는 홈부(5a)에 대응하는 돌기부(5b)가 제공될 수 있다. 결합부(5)는 제1 케이스(1)와 제2 케이스(3)를 서로 결합할 때 홈부(5a)에 돌기부(5b)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부(5)는 제1 케이스(1)와 제2 케이스(3)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합부(5)는 함체 전체를 패러데이 케이지(Faraday cage)가 되도록 전기적으로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9)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거꾸로 제1 케이스(1)에 돌기부(5b)가 그리고 제2 케이스(3)에 홈부(5a)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잠금부재(7)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에는 스프링(11)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잠금부재(13)가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케이스(3)에는 제1 잠금부재(13)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제2 잠금부재(15)가 결합된다. 제1 케이스(1)에 결합되는 제1 잠금부재(13)는 홈이 제공되고, 제2 잠금부재(15)는 제1 잠금부재(13)의 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제1 잠금부재(13)와 제2 잠금부재(15)는 서로 끼워져 제2 잠금부재(15)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잠금부재(13)에 고정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1), 제1 잠금부재(13) 그리고 제2 잠금부재(15)는 함체가 패러데이 케이지(Faraday cage)가 되도록 전기적으로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9)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9)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벽부(17), 제1 차폐부(19), 제2 차폐부(21), 그리고 내벽 차폐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벽부(17)는 제1 차폐부(19)를 보호할 수 있는 커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외벽부(17)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막 또는 층(Film 또는 Layer)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자기파 흡수제로 이루어지거나 전자기파 흡수제를 포함할 수 도 있다.
제1 차폐부(19)는 외벽부(17)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1 차폐부(19)는 다수의 실린더(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차폐부(19)에 배치되는 실린더(25)는 제1 실린더(27)로 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1 실린더(27)는 전자기파가 진입하는 진입개구부(27a)와 전자기파가 진출하는 진출개구부(27b)를 포함한다. 이러한 진입개구부(27a)와 진출개구부(27b)는 서로 크기가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차폐부(19)는 외부에서 함체의 내부로 진입하는 전자기파를 흡수, 산란, 반사, 굴절 등의 작용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린더(27)들은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벽의 형태를 이루어 전자기파 차폐층부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시로 제1 차폐부(19)의 제1 실린더(27)는 진입개구부(27a)가 외벽부(17) 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진입개구부(27a)의 크기가 진출개구부(27b)의 크기에 비해 더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진입개구부(27a)와 진출개구부(27b) 사이를 형성하는 실린더의 측면의 프로파일(profile)은 직선 또는 곡선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입개구부(27a)와 진출개구부(27b)가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포물선, 자유곡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계단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진입개구부(27a)와 진출개구부(27b) 및 그들 사이의 면들은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차폐부(21)는 제1 차폐부(19)와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차폐부(21)도 제1 차폐부(19)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실린더(25)가 병렬로 배치되어 벽을 이루어 전자기파 차폐층부를 이룬다. 제2 차폐부(21)에 배치되는 실린더(25)는 제2 실린더(29)라 칭하기로 한다.
제2 차폐부(21)의 제2 실린더(29)도 제1 실린더(27)와 마찬가지로, 전자기파가 진입하는 진입개구부(29a)와 전자기파가 진출하는 진출개구부(29b)를 포함한다. 이러한 진입개구부(29a)와 진출개구부(29b)는 서로 크기가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차폐부(21)는 외부에서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의 내부로 진입하는 여러 파장의 전자기파를 흡수, 산란, 반사, 굴절 등을 통해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실린더(29)는 진입개구부(29a)가 제1 차폐부(19)측을 향하여 배치되며, 진출개구부(29b)는 그의 반대측으로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린더(29)의 진입개구부(29a)는 그의 크기가 진출개구부(29b)의 크기에 비해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린더(29)의 형상은 제1 실린더(27)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제1 실린더(27)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2 차폐부(21)도 전자기파를 차폐하거나 또는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차폐부(19)와 제2 차폐부(21) 사이에는 중간 차폐층(31)을 이룰 수 있다. 중간 차폐층(31)은 적어도 그의 일부가 절연체 또는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벽 차폐부(23)는 제2 차폐부(21)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다. 내벽 차폐부(23)는 필름 또는 층의 형태로 전자기파 흡수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벽 차폐부(23)는 유연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벽 차폐부(23)가 유연재로 이루어질 경우,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린더(25)에는 그의 내부에 상술한 실린더(25)에 비해 크기가 작은 서브 실린더(25a, 25b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실린더(25a, 25b)는 실린더(25)에 수용되는 서브 실린더(25a)의 내부에 더 작은 크기의 서브 실린더(25b)가 적어도 한층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린더(25)와 서브 실린더(25a, 25b)들 사이의 간극의 적어도 일부에는 유전체 또는 전도체가 채워질 수 있다. 물론, 실린더(25)가 단독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그의 내부에 유전체 또는 전도체가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제1 케이스(1)의 수납부(1a)에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납한다. 그리고 뚜껑의 역할을 하는 제2 케이스(3)를 제1 케이스(1) 측으로 미닫이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덮는다. 그러면 결합부(5)의 홈부(5a)에 돌기부(5b)가 끼워지고 이와 동시에 잠금부재(7)의 제1 잠금부재(13)의 홈에 제2 잠금부재(15)의 돌출부가 끼워진다. 사용자가 제2 잠금부재(15)를 회전시키면 제2 잠금부재(15)의 돌출부가 함께 회전하면서 제1 잠금부재(13)의 홈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 케이스(1)와 제2 케이스(3)는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자기파가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에 작용하면 제1 차폐부(19)의 제1 실린더(25)와 서브 실린더(25a, 25b)에 의해 전자기파의 다양한 파장이 걸러지고 그 세기가 저감된다. 즉, 전자기파는 제1 실린더(25)와 서브 실린더(25a, 25b)의 내벽에 부딪히면서 흡수, 반사, 굴절, 산란되어 1차로 차폐되어 그의 세기가 약해지면서 전자기파의 차폐효과가 발생된다.
제1 실린더(25)가 포물선과 같은 만곡된 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전자기파가 진입하는 방향에서 볼 때 만곡된 면은 진입개구부(27a)의 크기가 달라지는 역할을 하여 다양한 파장의 전자기파가 차폐될 수 있다.
제1 차폐부(19)를 통과하면서 세기가 저감되어 남은 전자기파는 중간 차폐층(31)을 통과하면서 2차로 걸러지거나 더욱 약화된다.
이와 같은 제1 차폐부, 제2 차폐부, 중간 차폐부, 내벽차폐부 등은 각자 수납공간을 모든 방향에서 감쌓여지는 페러데이 캐이지(Faraday cage)로 구성될 수도 있다.
중간 차폐층(31)을 통과하면서 세기가 더욱 저감된 전자기파는 제2 차폐부(21)의 제2 실린더 및 서브 실린더들을 통과하면서 3차로 그의 세기가 저감된다.
제2 차폐부(21)을 통과하여 더욱 약해진 전자기파는 내벽 차폐부(23)의 흡수된다. 따라서 전자기파는 제1 케이스(1)와 제2 케이스(3)에 수용된 휴대용 전자기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완전하게 차폐가 된다. 그러므로 4중의 전자기파의 차폐의 결과 수납부(1a, 1b)에 수납된 휴대용 전자기기는 외부의 전자기파로부터 보다 더 안전하게 방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린더(27)의 진입개구부(27a)가 외벽부(17)를 향하여 배치되고, 진출개구부(27b)가 그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진입개구부(27a)의 크기가 진출개구부(27b)의 크기에 비해 작게 이루어지는 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린더(29)의 진입개구부(29a)는 제1 차폐부(19) 측으로 향하여 배치되며 진입개구부(29a)의 크기가 진출개구부(29b)의 크기에 비해 더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실린더 또는 제2 실린더 각각 진입 개구부와 진출 개구부 사이의 거리는 차폐목표 전자기파 파장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린더(27)와 제2 실린더(29)가 배치된 위치를 도시하여 예시로 설명하였으며, 이들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차폐부(19)의 제1 실린더(27)와 제2 차폐부(21)의 제2 실린더(29)는 각각의 진입개구부(27a, 29a)와 진출개구부(27b, 29b)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반대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으로, 제1 차폐부(19)의 제1 실린더(27)와 제2 차폐부(21)의 제2 실린더(29)의 진입개구부(27a, 29a)는 차폐목표의 전자기파 파장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제1 케이스(1)와 제2 케이스(3)에는 수납부(1a, 3a)에 수용된 장비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충격완화부(33)가 제공될 수 있다.
충격완화부(33)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33a)와 홀더(33b)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33a)는 제1 케이스(1)의 내벽인 저면과 각각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33a)의 선단부에는 홀더(33b)가 결합될 수 있다. 홀더(33b)는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케이스(3)에도 제1 케이스(1)에 설치되는 충격완화부(33)의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케이스(1)와 제2 케이스(3)에 설치되는 충격완화부(33)는 제1 케이스(1)와 제2 케이스(3)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6자유도(상, 하, 좌, 우, 전, 후 방향)를 가질 수 도 있으며, 다소간의 방위각과 고도 방향으로 각도의 2 자유도 이동 또한 가능하다. 홀더(33b)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홀더(33b)들 사이에 배치하면, 탄성체(33a)가 홀더(33b)에 탄성력을 가압하는 상태로 휴대용 전자기기가 홀더(33b)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군사용 또는 악조건에서 포터블로 사용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져도 내부에 수납된 휴대용 전자기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충격완화부(33)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벽 차폐부(23)에 배치되거나 그 자체로 전자기파 차폐가 가능한 재질 또는 이러한 재질을 포함하여 고무와 같은 플랙시블한 재질의 충격흡수부재(33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는 상술한 설명과 비교하여 다른 점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는 상술한 설명에서 제2 케이스 대신에 슬라이드 가능한 형태의 도어(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케이스(1)에는 3면에 도어(35)가 끼워지는 가이드홈부(1c)가 제공된다. 가이드홈부(1c)에는 가압부재(1d)와 가압부재(1d)를 지지하는 가압탄성부재(1e)가 배치된다. 가압부재(1d)는 가이드홈부(1c)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가압부재(1d)는 도어(35)에 밀착되어 도어(35)를 안내할 수 있다. 가압탄성부재(1e)는 제1 케이스(1) 또는 가이드홈부(1c)에 배치되어 가압부재(1d)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가압부재(1d)가 도어(35)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도어(35)는 가이드홈부(1c)에 끼워질 때 제1 케이스(1)와 이격 거리 없이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에는 잠금부(37)가 설치된다. 잠금부(37)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브(39), 기둥부(39a), 플랜지부(39b), 도어 고정부(39c), 그리고 리턴 스프링(41)을 포함한다.
노브(39)는 제1 케이스(1)의 위쪽으로 돌출되어 상, 하 방향(도 8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다. 노브(39)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제1 케이스(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길 수 있다.
기둥부(39a)는 노브(39)에서 연장되어 축 모양을 이루며 제1 케이스(1)를 관통하여 제1 케이스(1)의 가이드홈부(1c)까지 연장된다. 물론, 기둥부(39a)도 노브(39)의 이동에 따라 노브(39)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플랜지부(39b)는 기둥부(39a)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리턴스프링(41)이 제1 케이스(1)와 잠금부(37)의 플랜지부(39b) 사이에 배치되어 플랜지부(39b)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기둥부(39a)의 끝 부분을 도어 고정부(39c)라고 하기로 한다. 도어 고정부(39c)는 그의 끝 부분이 라운드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 고정부(39c)는 도어(35)에 제공된 도어 고정홈부(35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형태의 도어(35)를 제1 케이스(1)에 끼우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도어(35)를 가이드홈부(1c)에 삽입하여 끝까지 밀어 이동시킨다. 이때 가압탄성부재(1e)에 의해 가압부재(1d)가 도어(35)를 제1 케이스(1)의 가이드홈부(1c)의 저면에 완전히 밀착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노브(39)를 제1 케이스(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주면 리턴 스프링(4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기둥부(39a)가 이동한다. 이때 도어(35)는 도어(35)의 도어 고정홈부(35a)에 도어 고정부(39c)가 일치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잡고 있던 노브(39)를 놓으면 리턴 스프링(41)에 의해 도어 고정부(39c)가 원위치로 이동하면서 도어(35)의 도어 고정홈부(35a)에 삽입된다. 그러면 제1 케이스(1)에 도어(35)가 견고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어(35)를 제1 케이스(1)에서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단지 노브(39)를 당긴 상태에서 도어(35)를 오픈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간단하게 제1 케이스(1)에서 도어(35)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에서 도어(35)에도 상술한 구조의 전자기파 차폐구조가 적용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실린더(25)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진출개구부(27b)에 반사체(43)가 배치될 수 있다. 반사체(43)는 전자기파가 진입개구부(27a)로 진입하여 진입개구부(27a)와 진출개구부(27b)사이의 곡면의 벽면(도 12에서 예를 들면 a, b, c, d 로 표시함))에 부딪히면서 반사되어 약화된 상태로 모아져(도 12에서 점선 화살표로 표시 함) 다시 외측으로 반사(도 12에서 일점쇄선 화살표로 표시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실린더는 포물선 형태의 벽면이 임의의 지점(a, b, c, d)에서 서로 다른 파장의 전자기파가 진입하는 진입개구부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예시는 전자기파의 차폐를 더욱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의 실린더(41)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는 실린더(25)를 상술한 예시의 형태는 유지되도록 하면서 진출개구부와 진입개구부를 관통하는 축과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방향으로 잘라서 분할하여 배치한다. 이러한 분할된 실린더(25)는 전자기파가 진입하는 진입개구부의 크기가 다르게 배치(도 13에서 예시로 a, b, c, d로 표시함)되는 특징을 가지게 되어 다양한 파장의 전자기파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제1 케이스, 1a. 수납부, 1c. 가이드홈부, 1d. 가압부재, 1e. 가압탄성부재,
3. 제2 케이스, 5. 결합부,
7. 잠금부재, 9.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11. 스프링, 13. 제1 잠금부재,
15. 제2 잠금부재, 17. 외벽부,
19. 제1 차폐부, 21. 제2 차폐부,
23. 내벽 차폐부, 25, 41. 실린더,
27. 제1 실린더, 27a. 진입개구부, 27b. 진출개구부,
29. 제2 실린더, 29a. 진입개구부, 29b. 진출개구부,
31. 중간 차폐층,
33. 충격완화부, 33a. 탄성부재, 33b. 홀더, 33c. 충격흡수부재,
35. 도어, 37. 잠금부,
43. 반사체

Claims (37)

  1. 외벽부,
    상기 외벽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제1 차폐부,
    상기 제1 차폐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제2 차폐부,
    상기 제2 차폐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내벽 차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폐부 또는 상기 제2 차폐부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는
    전자기파가 진입하는 진입개구부와 전자기파가 진출하는 진출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입개구부와 상기 진출개구부는 크기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며,
    상기 진출개구부에는
    상기 진입개구부를 통해 모아져 약화된 전자기파를 외측으로 반사하는 반사체가 배치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입개구부는 상기 외벽부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진출개구부는 상기 외벽부의 반대 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서로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전자기파 차폐층부를 이루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와 상기 제2 차폐부 사이에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중간 차폐층이 배치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 또는 상기 내벽 차폐부는
    필름 또는 층의 형태로 전자기파 흡수재로 이루어지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간 차폐층은
    적어도 그의 일부가 절연체 또는 유전체를 포함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진입개구부와 진출개구부 사이를 연결하는 실린더 측면의 형상은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그의 내부에 상기 실린더에 비해 크기가 작은 서브 실린더가 배치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서브 실린더는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브 실린더 사이의 간극의 적어도 일부에 유전체 또는 전도체를 포함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그의 내부 공간 일부에 유전체 또는 전도체가 채워지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의 진입개구부와 상기 제2 차폐부의 진입개구부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벽 차폐부는
    적어도 그의 일부가 유연재로 이루어지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의 진입개구부와 상기 제2 차폐부의 진입개구부는
    차폐목표의 전자기파 파장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진입개구부와 진출 개구부사이의 거리는 차폐목표 전자기파 파장보다 긴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15. 삭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진입개구부와 진출개구부를 연결하는 일 축에 대해 다른 각도로 잘라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된 실린더들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17. 수납부를 구비한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에 결합되어 뚜껑의 역할을 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은
    외벽부,
    상기 외벽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제1 차폐부,
    상기 제1 차폐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제2 차폐부,
    상기 제2 차폐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내벽 차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폐부 또는 상기 제2 차폐부는
    다수의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는
    전자기파가 진입하는 진입개구부와 전자기파가 진출하는 진출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입개구부와 상기 진출개구부는 크기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며,
    상기 진출개구부에는
    상기 진입개구부를 통해 모아져 약화된 전자기파를 외측으로 반사하는 반사체가 배치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진입개구부는 상기 외벽부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진출개구부는 상기 외벽부의 반대 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서로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전자기파 차폐층부를 이루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와 상기 제2 차폐부 사이에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중간 차폐층이 배치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 또는 상기 내벽 차폐부는
    필름 또는 층의 형태로 전자기파 흡수재로 이루어지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중간 차폐층은 그의 일부에
    절연체 또는 유전체를 포함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23.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진입개구부와 진출개구부 사이를 연결하는 실린더 측면의 형상은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24.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그의 내부에 상기 실린더에 비해 크기가 작은 서브 실린더가 배치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서브 실린더는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브 실린더 사이의 간극의 적어도 일부에 유전체 또는 전도체를 포함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26.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그의 내부에 유전체 또는 전도체가 채워지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27.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의 진입개구부와 상기 제2 차폐부의 진입개구부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2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내벽 차폐부는
    적어도 그의 일부가 유연재로 이루어지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2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의 진입개구부와 상기 제2 차폐부의 진입개구부는
    차폐목표의 전자기파 파장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3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진입개구부와 진출 개구부사이의 거리는 차폐목표 전자기파 파장보다 긴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3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는
    잠금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3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에는
    또 다른 수납부가 제공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33.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에는
    상기 수납부에 수용된 장비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충격완화부가 제공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는
    유연재로 이루어지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35.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에 결합되며 서로 다른 내벽에 결합되는 복수의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타단에는 상기 수납부에 수용된 장비를 지지하는 홀더가 결합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36. 삭제
  37.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진입개구부와 진출개구부를 연결하는 축에 대해 다른 각도로 잘라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된 실린더들을 연결하여 배치되는 전자기파 차폐용 함체.
KR1020160131983A 2016-10-12 2016-10-12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함체 KR101730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83A KR101730168B1 (ko) 2016-10-12 2016-10-12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83A KR101730168B1 (ko) 2016-10-12 2016-10-12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168B1 true KR101730168B1 (ko) 2017-04-25

Family

ID=5870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983A KR101730168B1 (ko) 2016-10-12 2016-10-12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1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154B1 (ko) * 2019-07-03 2020-02-04 (주) 더베스트이앤씨 공동주택의 통신케이블 배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3512Y2 (ja) * 1992-07-24 1998-10-22 株式会社トーキン シールドパネルの連結構造
JP5148081B2 (ja) 2006-08-01 2013-02-20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電磁波遮蔽材
KR101547869B1 (ko) * 2015-02-24 2015-08-27 주식회사 씨엔씨알 Emp 방호용 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3512Y2 (ja) * 1992-07-24 1998-10-22 株式会社トーキン シールドパネルの連結構造
JP5148081B2 (ja) 2006-08-01 2013-02-20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電磁波遮蔽材
KR101547869B1 (ko) * 2015-02-24 2015-08-27 주식회사 씨엔씨알 Emp 방호용 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154B1 (ko) * 2019-07-03 2020-02-04 (주) 더베스트이앤씨 공동주택의 통신케이블 배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to et al. Hot universe, cosmic rays of ultrahigh energy and absolute reference system
Lechner CERN: Particle interactions with matter
US20140008119A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magnetic protection
US20210392797A1 (en) Portable Data Center and Server Rack System with Integrated Electromagnetic Pulse Protection
KR101730168B1 (ko) 전자기파 차폐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함체
Klein et al. Radio outbursts in HR 1099-Quantitative analysis of flux spectrum and intensity distribution
Mastichiadis et al. Very High Energy Gamma-Ray Emission from Active Galactic Nuclei
WO2016151254A9 (fr) Système d'irradiation comportant un support de cibleries dans une enceinte de radioprotection et un dispositif de déflection de faisceau d'irradiation
US9420733B2 (en) Electromagnetic pulse protected hard drive
KR20170080767A (ko) 전자기펄스 방호랙
US5818060A (en) Apparatus for shielding against charged particles
Coppi et al. High energy emission from ultrarelativistic jets
Bednarek et al. X-and gamma-ray emission from 3C 273
Ion et al. VHEGR/UHEGR produced by Cherenkov mechanisms in cosmic sources
French Solar flare radiation protection requirements for passive and activeshields
Dufour An introduction to the pico-chemistry working hypothesis
Fei Trapping low-energy antiprotons in an ion trap
JPH0277697A (ja) 放射線遮蔽扉
Diehl Gamma-ray production and absorption processes
Presura Radiation, optical, power flow, and electrical diagnostics at the Z Facility: layout and techniques utilized to operate in the harsh environment
Uryson Possible Spectra of Cosmic Rays Accelerated in Extragalactic Sources
PL236956B1 (pl) Pojemnik ochronny
Grigoryan et al. Quantum mechanical approach to planar electron channeling in a hypersonic field (II)–Resonant influence on the radiation
US9626516B1 (en) Controlling use of electronic devices
ES1284349U (es) Carcasa para equipo electrón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