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000B1 -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000B1
KR101730000B1 KR1020150134508A KR20150134508A KR101730000B1 KR 101730000 B1 KR101730000 B1 KR 101730000B1 KR 1020150134508 A KR1020150134508 A KR 1020150134508A KR 20150134508 A KR20150134508 A KR 20150134508A KR 101730000 B1 KR101730000 B1 KR 101730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drying
unit
pulveriz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541A (ko
Inventor
이정국
Original Assignee
이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국 filed Critical 이정국
Priority to KR102015013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0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F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9B3/008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호퍼를 통하여 투입되는 폐음식물을 절단하고 건조시켜 배출시키기 위한 분쇄건조장치에 있어서, 몸체는, 호퍼와 분쇄장치 및 건조교반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와 하측의 배출통을 연결시키는 중간칸막이와, 중간칸막이의 하측에 설치되어 절단 건조된 폐음식물이 충진되는 배출서랍을 수납 인출할 수 있도록 된 배출통을 포함하며, 본체의 배면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판 및 그 방열판에 설치되는 송풍팬; 본체의 내부에서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장치부; 본체의 내부에서 투입되는 분쇄된 폐음식물을 교반시키면서 밑면 양측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교반장치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교반장치부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켜 습기를 제거하는 냉각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각팬에 의해 냉각된 내부공기에서 냄새를 제거하여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건조교반장치부로 재차 공급하는 정화통; 방열판의 후면에서 설치되어, 방열판의 후면에 생성되는 수분을 획득하며, 획득한 수분을 하방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분 전달부; 수분 전달부와 연통되어, 수분을 저장하기 위한 수분 저장부와, 수분 저장부의 상부에서 설치되어, 수분 저장부에서 수분의 기화된 기체를 필터링(filtering)하기 위한 필터관을 포함하는 필터링부; 및 필터링부 상에 설치되어, 수분 저장부의 기체가 수분 전달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개폐밸브를 포함하되, 필터관은, 중공형으로서 내벽에 소정의 구획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 뚜껑부로 마감되는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분쇄 건조장치 내부에 발생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취수한 뒤, 이러한 수분을 다시 정화 및 배출시켜 분쇄건조장치 내부는 물론 분쇄건조장치 외부에서 폐음식물로 인한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 {A agitate dry apparatus for foodstuffs trash}
본 발명은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건조하여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건조장치 내부에 부수적으로 발생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취수하여 정화 및 배출이 용이한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와 유사한 장치로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216275호, 실용신안등록 제20-335059호, 실용신안등록 제20-345711호,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2-80139호, 특허등록 제10-319709호가 알려져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216275호 "폐음식물 처리장치"는, 직육면체로 형성된 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호퍼를 통하여 폐음식물을 투입하고, 투입된 폐음식물을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분쇄날 사이로 통과시켜 분쇄하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스크루로 이송시키되 이송 도중에 여과망을 통과하도록 하여 일부의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면서 선단의 배출구를 통하여 건조통으로 낙하하도록 하며, 건조통으로 낙하된 분쇄 폐음식물을 혼합스크루로 교반시키면서(저어주면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건조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된 폐음식물을 이송스크루에 의해 이송시키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작동이 번잡스럽고, 이송스크루에 의해 이송시키는 분쇄된 폐음식물을 여과망의 상측으로 통과시켜 수분(물기)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상태에서 건조통으로 배출시켜 단순히 송풍 되는 바람에 의해 건조시키므로 수분(물기)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장시간 건조하여야 하므로 건조시간이 너무 많이 소용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20-335059호는 "폐음식물 처리방치"는, 몸체의 상측에 설치된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을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가압구에 의해 가압하고, 가압된 폐음식물을 한 쌍의 리드스크루에 의해 이송시키되, 각 리드스크루의 중간에 설치된 커터의 홈으로 통과시켜 커팅시킨 후에 선단의 압착캡을 통하여 교반통으로 배출하며,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압착하우징에서 교반시키면서 히터의 열기에 의해 건조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폐음식물을 압착하고 분쇄하는 압착하우징과 분쇄된 음식물을 건조시키는 교반통(건조통)이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조와 공정이 복잡하게 되고, 폐음식물을 분쇄날에 의해 분쇄시킬 때에 원판으로 된 커터의 외주에 형성된 분쇄홈으로 통과시키므로 폐음식물이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여 분쇄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호퍼에 설치된 가압장치에 의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을 가압하여 압축시키므로 오수가 많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압착 및 분쇄할 때에 발생하는 오수를 단순하게 배출시키므로 하수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가압과 분쇄 및 교반을 각 별도로 설치된 모터에 의해 실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력소모가 많아지게 되어 작동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20-345711호 "폐음식물 건조장치"는, 호퍼를 통하여 건조통(압축분쇄통)의 내부로 투입되는 폐음식물을 이송스크루에 의해 반복적으로 상향(교반)시키되 이송스크루의 외측에 길게 장착된 커터에 의해 커팅시키고, 건조통의 상측과 저면에 장착된 면상발열체에 의해 가온시키면서 송풍기에 의해 바람을 송풍시켜 건조시키며, 건조통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교반과 커팅 및 건조를 실시하면서 발생하는 수분(오수)은 건조통의 저면(경사면) 하측에 설치된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시키고 건조가 완료되면 건조통의 저면 상측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건조통(압축분쇄통)의 내부에는 커터가 구비된 이송스크루가 경사지게 장착되어, 이송스크루에 의해서는 폐음식물을 단순하게 상승시키는 것에 불과하고, 이송스크루가 회전할 때에 그의 외면에 고정된 커터에 폐음식물을 커팅하도록 되어 있으나 스크루에 의해 상승하는 폐음식물 와 그 주변에 위치하는 폐음식물을 단순하게 분리시키는 것에 불과하여 폐음식물을 원활하게 커팅(절단)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건조능률이 떨어져 전력을 많이 소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2-80139호 "폐음식물 처리장치"는, 폐음식물을 교반기가 구비된 챔버에 충진시켜 발효시키고, 발효 중에 발생하는 가스로 버너를 작동시켜 얻어지는 열기를 발효에 활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폐음식물을 발효시키므로 발효시간이 많이 소용되어 능률이 떨어지고, 폐음식물 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버너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폐음식물을 많이 충진시켜 충분한 량의 가스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저장통(본체)을 크게 형성하여야 하므로 설치공간을 크게 차지하게 되며, 버너가 구비된 열교환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등록 제10-319709호 "폐음식물 처리장치"는, 싱크의 배출구에 이송통로를 설치하여 투입되는 폐음식물을 이송통로의 선단에 설치된 분쇄장치에 의해 분쇄하여 탈수스크린으로 공급하고, 탈수스크린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스크루에 의해 폐음식물을 수직으로 상승시켜 수분이 탈수되도록 하되 탈수된 오수는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도록 하며, 탈수스크린의 상측으로 이동한 폐음식물은 처리조로 낙하하여 교반기에 의해 교반되면서 처리조의 저면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건조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싱크대의 싱크와 직접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식기를 세척할 때에 발생하는 세척수가 모두 통과하게 되므로 배수조의 용량을 크게 하여야 하므로 싱크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고, 탈수조와 건조처리조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피가 커지게 되며, 수직으로 장착된 탈수스크린의 내부 이송스크루에 의해 폐음식물을 상측으로 이동하여 탈수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폐음식물을 단순하게 상승시키는 것에 불과하므로 수분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고안 또는 발명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등록특허 제10-0757401호의 경우에는 전술한 문제점들은 어느 정도 해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는데, 바로 분쇄 건조장치 내부에 설치된 건조교반장지부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냉각팬의 후면부에 습기로 인한 수분이 지속적으로 맺혀 다령 발생되는 것이다.
이렇게 발생되는 수분에는 폐음식물의 분쇄에 따른 음식의 각종 성분과 그에 따른 냄새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분쇄건조장치 내부는 물론 분쇄건조장치 외부로까지 음식물 냄새가 발생되어, 종국에는 악취가 발생되고 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위생적이고 청결한 이용 용이하지 못한 단점을 가진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57401호
본 발명은, 분쇄 건조장치 내부에 발생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취수한 뒤, 이러한 수분을 다시 정화 및 배출시켜 분쇄건조장치 내부는 물론 분쇄건조장치 외부에서 음식물로 인한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호퍼를 통하여 투입되는 폐음식물을 절단하고 건조시켜 배출시키기 위한 분쇄건조장치에 있어서, 몸체는, 호퍼와 분쇄장치 및 건조교반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와 하측의 배출통을 연결시키는 중간칸막이와, 중간칸막이의 하측에 설치되어 절단 건조된 폐음식물이 충진되는 배출서랍을 수납 인출할 수 있도록 된 배출통을 포함하며, 본체의 배면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판 및 그 방열판에 설치되어 송풍팬; 본체의 내부에서 호퍼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을 분쇄통의 내부에 역 삼각형상으로 설치된 한 쌍의 투입칼날과 그 하측 중앙에 설치된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하는 분쇄장치부; 본체의 내부에서 분쇄장치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분쇄된 폐음식물이 교반건조통으로 투입되면 그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교반날개에 의해 교반시키면서 밑면 양측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교반장치부; 본체의 내부 중간에 설치된 설치틀에 장착되어 분쇄장치부와 건조교반장치을 작동시키는 변속동력장치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교반장치부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켜 습기를 제거하는 냉각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각팬에 의해 냉각된 내부공기에서 냄새를 제거하여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건조교반장치부로 재차 공급하는 정화통; 방열판의 후면에서 설치되어, 방열판의 후면에 생성되는 수분을 획득하며, 획득한 수분을 하방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분 전달부; 수분 전달부와 연통되어, 수분을 저장하기 위한 수분 저장부와, 수분 저장부의 상부에서 설치되어, 수분 저장부에서 수분의 기화된 기체를 필터링(filtering)하기 위한 필터관을 포함하는 필터링부; 및 필터링부 상에 설치되어, 수분 저장부의 기체가 수분 전달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개폐밸브를 포함하되, 필터관은, 중공형으로서 내벽에 소정의 구획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 뚜껑부로 마감되는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는, 분쇄 건조장치 내부에 발생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취수한 뒤, 이러한 수분을 다시 정화 및 배출시켜 분쇄건조장치 내부는 물론 분쇄건조장치 외부에서 음식물로 인한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3은 본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내부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에 분쇄통을 형성하는 전면 및 후면 커버와 좌우 측면판을 보인 발췌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에서 건조교반통을 형성하는 전면 및 후면 커버와 수납통을 보인 발췌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분쇄통에 장착되는 투입칼날과 분쇄칼날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7는 도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건조교반통에 설치되는 교반날개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에서 분쇄장치부와 건조교반장치부의 동력전달 계통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구성들 중 필터관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분쇄건조장치(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3은 본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내부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에 분쇄통을 형성하는 전면 및 후면 커버와 좌우 측면판을 보인 발췌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에서 건조교반통을 형성하는 전면 및 후면 커버와 수납통을 보인 발췌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분쇄통에 장착되는 투입칼날과 분쇄칼날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7는 도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건조교반통에 설치되는 교반날개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에서 분쇄장치부와 건조교반장치부의 동력전달 계통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구성들 중 필터관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건조장치(1)는 몸체를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각종 장치가 장착되는 본체(2)와 중간칸막이(3) 및 배출서랍(9)을 수납 인출할 수 있도록 된 배출통(4)으로 분할 형성하였다.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 본체(2)의 전면에는 관망창(5)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하였고, 배면 하단에는 내면에 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정화통덮개(6-1)를 설치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정화통(6)에서 배출되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면에는 투입덮개커버(8)와 본체상단덮개(7)를 전후로 구비하여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투입덮개커버(8)의 하측에는 투입구덮개(8-1)를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체(2)의 저면과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배출통(4)과의 사이에는 중간칸막이(3)를 개입시켜 일체형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간칸막이(3)의 하측에 설치되는 배출통(4)은 상면과 전면을 개방형으로 형성하였고, 전면에는 배출서랍(9)을 수납/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배출서랍(9)의 전면에는 서랍전면커버(9-2)와 서랍손잡이(9-1)를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서랍전면커버(9-2)에 의해서는 배출서랍(9)의 전면을 폐쇄시키고 서랍손잡이(9-1)에 의해서는 용이하게 인출/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투입덮개커버(8)와 본체상단덮개(7)가 위치하는 이들의 사이에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설치틀(2-1)을 일체형으로 세워 내부를 투입덮개커버(8)측과 본체상단덮개(7)측으로 양분하였다.
투입덮개커버(8)의 하측에는 폐음식물을 투입시키도록 나팔모양으로 형성된 된 호퍼(10)와, 호퍼(10)를 통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을 분쇄시키는 분쇄장치부(11) 및 분쇄된 폐음식물을 교반시키면서 건조시키는 건조교반장치부(12)를 상하 순차적으로 설치하였고, 설치틀(2-1)에는 변속동력장치부(13)를 설치하여 상기 분쇄장치부(11)와 건조교반장치부(12)를 작동시키도록 하였다.
또, 본체상단덮개(7)의 하측에는 건조교반장치부(12)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켜 습기를 제거하는 냉각팬(14)과 그 냉각팬(14)에 의해 냉각된 내부공기에서 냄새를 제거하여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건조교반장치부(12)로 재차 공급하는 정화통(6)을 설치하였다.
상기 정화통(6)의 내부에는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참숯층과 한 쌍의 필터(활성탄 필터)를 나란하게 설치하여, 참숯층에 의해 수증기속에 함유되어 있는 냄새를 제거하고, 나란하게 설치된 필터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대기)로 배출시키도록 하였고, 특히 냉각팬과 참숯층에 의해 습기가 제거된 공기만을 통과하여 필터링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였다.
호퍼(10)의 하측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폐음식물을 분쇄시키는 분쇄장치부(11)는 도 3과 도 4a 내지 도 4d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분쇄통(20)과 그 내부에 설치(장착)되는 개폐브래킷(46) 및 한 쌍의 투입칼날(44)과 그 하측 중간에 설치되는 분쇄칼날(70)로 형성하였다.
분쇄통(20)은, 대칭형으로 형성된 도 4a에 예시된 전면커버(20-1)와 도 4b에 예시된 배면커버(20-2)와의 사이의 양측에는 대칭형으로 형성된 도 4c 및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은 좌측면커버(20-3)와 우측면커버(20-4)를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상면과 저면이 개방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대칭형으로 형성된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전면커버(20-1)와 배면커버(20-2)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커버판(21)(30)의 양측에는 만곡부(22)(31) 및 만곡부(23)(32)를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하였고, 커버판(21)(30)의 내측에는 투입칼설치공(24)(33)과 투입칼날설치장공(25)(34)을 상측부에 나란하게 형성하고 이들 사이(중앙)의 하측에는 분쇄칼날설치공(26)(35)을 형성하였으며, 커버판(21)(30)의 상단 양측에는 상단장착공(27-1)(27-2)/(36-1)(36-2)를 각각 형성하였고 하단 양측에는 하단장착공(28)(29)/(37)(38)을 각각 형성하되, 일측의 하단장착공(28)(37)을 타측의 하단 장착공(29)(38)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하였다.
분쇄통(20)을 형성하는 좌측면커버(20-3)와 우측면커버(20-4)는, 만곡면(40)(43)의 상단과 하단에 상단장착공(41)(44)과 하단장착공(42)(45)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통상의 장착볼트봉과 너트와 같은 장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전면커버(20-1)와 배면커버(20-2)와의 사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분쇄통(20)의 내부에서 전면커버(20-1)와 배면커버(20-2)와의 사이에서 투입칼날설치공(24)(33)과 투입칼날설치장공(25)(34)에는 한 쌍의 투입칼날(45)을 나란하게 설치하고 분쇄칼날설치공(26)(35)에는 분쇄칼날(70)을 설치하여 역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하되, 투입칼날설치장공(25)(34)과 분쇄칼날설치공(26)(35)에는 개폐브래킷(46)을 함께 설치하였다.
전면커버(20-1)와 배면커버(20-2)와의 사이에 개폐브래킷(46)를 투입하여 개폐판(47)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양측의 설치판(48)에 뚫어진 투입칼날설치공(48-1)과 분쇄칼날설치공(48-2)을 전면커버(20-1)와 배면커버(20-2)에 뚫어진 투입칼날설치장공(25)(34)과 분쇄칼날설치공(26)(35)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일치되는 전면커버(20-1)와 배면커버(20-2)에 뚫어진 투입칼날설치공(24)(33)과 투입칼날설치장공(25)(34)에는 부싱(47-1)(47-2) 및 결속지지부싱(49)을 개입시켜 원기둥봉(51)과 각기둥봉(52) 및 결속단봉(53)이 일직선으로 형성된 축봉(50)을 삽입하여 각각 결합시키되, 투입칼날설치장공(25)(34)의 사이에는 칼날브래킷(46)의 양측 설치판(48)에 뚫어진 투입칼날설치공(48-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축봉(50)을 삽입하여 결합시켰다.
각 축봉(50)의 각기둥봉(52)에는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은 여러 장(대체로 10장)의 투입칼날판(45)을 연접되게 장전시켰으며, 각 투입칼날판(45)은 중앙에 다각공(45-1)을 뚫어 축봉(50)의 각기둥봉(52)에 삽입(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외주에는 복수 개의 칼날편(46)을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각 축봉(50)의 결속단봉(53)에 끼워 결합되는 결속지지싱(49)은 내부에는 각공(49-1)과 원형공(49-2)을 연통되게 뚫어주어서 원형공(49-2)에는 결속단봉(53)이 삽입되도록 하였고 각공(49-1)에는 각기둥봉(52)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였다.
또한, 일치되는 전면커버(20-1)와 배면커버(20-2) 및 개페브래킷(46)의 설치판(48)에 뚫어진 분쇄칼날설치공(26)(35)(48-2)에는 부싱(74)(47)을 개입시켜 분쇄칼날(70)을 삽입하여 장전시키되, 커팅칼날(74)이 내측으로 삽입 장전되도록 장착하였다.
상기 분쇄칼날(70)은, 장착봉(71)의 외주 일단에 연동기어(72)를 일체로 형성하였고, 타단의 중앙에는 지름이 작은 칼날봉(73)을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칼날봉(73)의 외주에는 복수 개의 커팅칼날(74)을 나선형으로 동시에 형성하되 커팅칼날(74)의 외주가 장착봉(71)의 외주와 일치되도록 하였으며, 연동기어(72)가 형성된 일면의 중앙에는 키홈(71-1)을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변속장치부(13)의 축(87-1)에 결합하여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전면커버(20-1)의 투입칼날설치공(24)과 투입칼날설치장공(25)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돌출)되는 각 축봉(50)의 원기둥봉(51)에는 투입칼날기어(47)를 각각 장착하였고, 각 축봉(50)의 원기둥봉(51)에 장착된 각 투입칼날기어(47)와 분쇄칼날설치공(26)으로 노출(돌출)되는 분쇄칼날(70)의 연동기어(72)를 차후에 설명되는 체인으로 연결하여 일괄적으로 작동(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분쇄장치부(11)의 하측에 설치되는 건조교반장치부(12)는 도 3 및 도 5a 내지 도 5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도 5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전/후면이 개방형으로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 배출공간(61)가 형성된 수납통(50-3)의 전면과 배면에는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전면판(50-1)과 배면판(50-2)을 결합하여 건조교반통(50)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였고, 건조교반통(50)의 내부에서 전면커버(50-1)과 배면커버(50-2)에 뚫어진 교반날개장착공(52)(53) 및 교반날개장착공(51-1)(52-1)과의 사이에는 한 쌍의 교반날개(75)를 각각 장착하였으며, 각 교반날개(75)는 동력수단에 의해 내부 하향에서 외부 상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전면커버(50-1)와 배면커버(50-2)는, 장방형의 형상의 형성된 커버플레이트(51)(51-1)의 중앙 하측에는 한 쌍의 교반날개장착공(52)(53)(52-1)(53-1)을 나란하게 각각 뚫어주었고, 상단에는 상단장착공(54)(54-1)(54-2)(54-3)을 각각 형성하고 하단에는 하단장착공(56)을 각각 형성하였으며, 하단의 상측부 양측에는 중간장착공(57)(57-1)을 각각 형성하였으며, 하단 양측에는 히터 설치공(55)(55-1)을 형성하였다.
전면과 배면에 전면커버(50-1)와 배면커버(50-2)이 설치되는 수납통(50-3)은, 전면과 배면 및 상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의 수납통체(60)를 형성하되, 일 측면을 뚫어 배출공간부(61)를 형성하였고, 상단의 상측에는 상단장착공(62-1)(62-2)을 형성하였으며, 하단 밑면에는 하단 장착공(64-1)(64-2)(64-3)을 형성하였으며, 양측 하단 상측에는 중간장착공(57-1)(57-2)을 형성하였으며, 하단 양측에는 히터설치공(55-1)을 각각 형성하여 히터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전면커버(50-1)와 배면커버(50-2) 및 수납통(50-3)을 조립하여 교반건조통(50)을 형성한다.
수납통체(60)의 전면과 배면에 전면커버(50-1)와 배면커버(50-2)를 연접시킨 상태에서, 수납통(50-3)의 상단장착공(62-1)(62-2)과 일치하는 전면커버(50-1)와 배면커버(50-2)의 각 상단장착공(54-1)(54-4)에 장착볼트봉 및 너트와 같은 장착수단을 체결하여 일체형으로 장착시키고, 수납통(50-3)의 하단장착공(64-3)(64-4)(64-4) 및 중간장착공(64-1)(64-2)과 일치하는 전면커버(50-1)와 배면커버(50-2)의 각 하단장착공(56-1)(56-2)(56-3) 및 중간장착공(57-1)(57-2)에 장착수단을 체결하여 일체형으로 장착시키며, 서로 일치하는 히터설치공(63-1)(55-1) 및 히터설치공(63-2)(55-2)에 전기히터(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내장하여 설치하였다.
수납통(50-3)의 내부에서 대향하는 전면커버(50-1)와 배면커버(50-2)의 교반날개장착공(52)(52-1) 및 (53)(53-1)에는 도 3에 예시된 교반발개(75)를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 장착하였다.
상기 교반날개(75)는, 교반판(76)의 양단에는 지지대(77)를 점진적으로 확개되도록 나란하게 형성하였고, 각 지지대(77)의 단부에는 장착공(77-1)(77-2)을 각각 뚫어 주었다.
배면커버(50-2)의 각 교반날개장착공(52-1)(53-1)에는 서로 다른 교반날개(75)의 장착공(77-1) 또는 장착공(77-2)을 각각 일치시킨 상태에서 창착너트(65)와 와셔(65-2)를 개입시킨 장착볼트(65-1)를 이용하여 교반날개(75)가 자유스럽게 회전되도록 장착시켰다.
전면커버(50-1)의 각 교반날개장착공(52)(53)에는 서로 다른 교반날개(75)의 장착공(77-2) 또는 장착공(77-1)을 각각 일치시킨 상태에서 축봉(64)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전면커버(50-1)의 외측(외면)으로 돌출되는 축봉(64)에는 한 쌍의 부싱(67-1)(67-2)을 개입시켜 교반날개작동기어(66)들을 장착하였으며, 교반날개작동기어(66)의 외측에서 전면커버(50-1)의 외면에는 기어커버(69)를 장착하여 교반날개작동기어(66)들을 보호하도록 하였다.
상기 기어커버(69)는 중앙에 한 쌍의 설치공(69-1)(69-2)을 뚫어 축봉(78)의 단부에 결합되는 부싱(67-2)의 작은 지름의 단봉이 삽입되도록 하였고, 상단과 하단에는 상단고정편(69-3)과 하단고정편(69-4)을 일체로 형성하여 전면커버(50-1)의 외면에 고정하였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50-1)에는 교반날개작동기어(66)들의 중앙 상측에는 와셔(68-1)를 개입시켜 장력조절기어(68)를 장착볼트(68-2)에 의해 장착시키되, 원활하고 자유스럽게 회전되도록 장착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교반건조통(50)의 내부 상측에 분쇄통(20)을 일체형으로 장착시키고자 할 때에는 분쇄통(20)의 저면부에 형성된 하단장착공(28)(29) 및 하단장착공(37)(38)의 외측과 교반건조통(50)의 전면커버(50-1)와 배면커버(50-2)에 형성된 상단장착공(54)(54-2)과의 사이에 간격유지단봉(56)을 각각 개입시킨 상태에서 장착볼트 및 장착너트와 같은 장착수단으로 장착 고정하여, 분쇄통(20)을 형성하는 전면커버(20-1)과 배면커버(20-2)의 하단 외면과 교반건조통(50)을 형성하는 전면커버(50-1)와 배면커버(50-2)의 상단 내면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본체(2)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설치틀(2-1)에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변속동력장치부(13)를 장착하여 분쇄통(20)의 투입칼날(44) 및 분쇄칼날(45)과 교반건조통(50)의 교반날개(75)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변속동력장치부(13)는, 하우징플레이트(81)의 일면에 제1기어실(82-1)과 제2기어실(82-2) 및 제3기어실(82-3)을 일측의 측면부가 서로 연통게 일체로 형성하여 제1기어(85)와 제2기어(86) 및 제3기어(87)를 각각 치합되게 장전시켜 제1기어(85)로 입력되는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제3기어(87)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제1기어(85)의 중앙에 회전축(85-1)을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되 일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85-1)에는 베어링(85-2)을 끼워 제1기어실(82-1)에 장전시키고 타측의 회전축(85-1)에는 모터(15)의 회전축을 연결시켰으며, 제2기어(86-2)는 대기어(86-1)와 소기어(86-2)를 일체로 형성하여 소기어(86-2)를 제1기어(85)에 치합시켰으며, 제3기어(87)는 제2기어(86)의 대기어(86-1)와 치합시켰으며, 제3기어(87)에는 축봉(87-1)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되, 하우징플레이트(81)의 타면으로 돌출되는 제3기어(87)의 축봉(87-1)에는 전동기어(87-2)를 장착하였다.
상기 전동기어(87-2)의 회전력은 체인링(90)을 이용하여 8에 예시된 동력전달계통도에 의해 분쇄통(20)의 투입칼날(44) 및 분쇄칼날(45)과 교반건조통(50)의 교반날개(75)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전동기어(87-2)에 체인링(90)을 걸어 일측의 칼날투입기어(47)의 하측에서 타측 칼날투입기어(47)의 상측에서 외부 하측으로 걸어주어 장력조절기어(68)의 왼쪽으로 걸어 하부 오른쪽으로 통과시키며, 나란한 교반날개작동기어(66)의 하측으로 통과시켜 상단에 위치하는 전동기어(87-2)의 하부 왼쪽에서 상측으로 통과하도록 걸어주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건조장치(1)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2-1)의 내부에 냉각팬(14)과 정화통(6)을 상하로 설치하여 냉각팬(14)은 흡입관(18)을 통하여 건조교반장치부(12)와 연결하여 내부공기(열기)를 흡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정화통(6)에 의해 정화시킨 공기를 정화통덮개(6-1)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배출관(18-1)을 통해 건조교반장치부(12)들이 설치된 본체(2)의 내부로 배출(공급)시켜 분쇄장치부(11)와 건조교반장치부(12)를 가온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전술한 방열판(16)은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기 때문에, 방열판(16)의 후면에 습기가 맺히고, 종국적으로 수분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습기는 건조교반장치부(12)의 내부공기를 흡입에 기초하는 것이므로, 습기와 수분에 각종 폐음식물의 성분과 냄새가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좁게는 방열판(16)에서부터 넓게는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와 그 외부로까지 세균번식 등으로 인한 악취가 발생할 수 있어, 위생상으로 적절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분 전달부(120)는 방열판(16)의 후면에서 설치될 수 있다. 즉, 방열판(16)의 발생되는 수분을 취수하여, 취수한 수분을 하방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수분 전달부(120)는 상부 전달부(121)와 하부 전달부(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전달부(121)는 방열판(16)의 후면을 수용하도록, 방열판(16)의 면적 이상으로 형성된 채로 방열판(16)의 후면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전달부(122)는 상부 전달부(121)로부터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하부 전달부(122)는 상부 전달부(121)보다 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부 전달부(121)와 하부 전달부(122) 사이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이음부(C)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음부(C)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수직하는 형태가 아닌,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는 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 전달부(121)에서 하부 전달부(122)로 수분이 바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이음부(C)에 일정시간 체류하며 취수될 수 있다. 즉, 미세한 수분이 각기 수분 저장부(111)로 바로 취수되는 것이 아니라, 이음부(C)에서 미세 수분들이 지체하며 어느 정도의 점성을 가지도록 모여서 수분 저장부(111)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이음부(C)는 상부 전달부(121) 및 하부 전달부(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로서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링부(110)는 수분 저장부(111)와 필터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수분 저장부(111)는 수분 전달부(120)와 연통되어, 수분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수분 저장부(111)는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크기와 수용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필터관(112)은 수분 저장부(111)의 상부에서 설치되어, 수분 저장부(111)에서 수분의 기화된 기체를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관(112)과 수분 저장부(111) 사이 또는 후술하는 뚜껑부(112a)의 하방에 부직포 필터(121C)가 구비되어, 수분 저장부(111)로부터 이동되는 기체를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관(112)은, 중공형으로서 내벽에 소정의 구획부재(121b)가 길이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 뚜껑부(112a)로 마감될 수 있다.
여기서, 구획부재(121b)는, 활성탄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수분 저장부(111)로부터 이동되는 기체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기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 회 필터링할 수 있다.
활성탄 필터는 필터관(112)의 내부에서 횡단면이 원, 타원, 반원, 다각 등의 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필터관(112)의 내부에 구획부재(121b)를 보다 촘촘하게 다수로 구비할 경우 수분 저장부(111)로부터 이동되는 기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필터링도 가능하다.
제1개폐밸브(B1)는 필터링부(110) 상에 설치되어, 수분 저장부(111)의 기체가 수분 전달부(12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개폐밸브로(P1)는 솔레노이드 벨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H)는, 전술한 수분 전달부(120)의 후면으로는 장착되며, 하단부는 필터링부(110)의 상부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 내부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의 충격을 방지해줄 수 있으며. 필터링부(110)는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와 하우징 커버(H) 상에서 착탈식으로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는 석션모터(130')와, 초음파 진동부(140')와, 제2개폐밸브(B2')와, 에어필터(F')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석션모터(130')는, 수분 저장부(111')와 배관(P1’)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수분 전달부(120')를 통해 방열판의 후면에 생성되는 수분을 흡입하여, 수분이 수분 저장부(111')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석션모터(130')를 운전할 경우, 필터관(112')의 상부는 별도의 착탈이 가능한 밀폐수단을 통하여 밀폐시킨 후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필터관(112')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 전달부(120')의 흡입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초음파 진동부(140')는 수분 저장부(111')에 저장되는 수분에 대하여 초음파 진동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수분 저장부(111')에 저장되는 수분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기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분 저장부(111')에서 수분이 장시간 보관되어 세균이 번식하고 악취가 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S')는 수분 저장부(111')의 구비되어 수분 저장부(111')에 저장되는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위감지센서(S')는 전술한 석션모터(130')와 수분 저장부(111') 사이의 배관(P1’)의 위치까지 수위가 이르는 것을 사전에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수분 저장부(111') 내부에 수분이 가득 충진되어, 배관(P1’)을 통해 전술한 석션모터(130')로 유입되면 석션모터(130')의 고장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2개폐밸브(B2')는 배관(P1’)에 설치되어 수분 저장부(111')의 수분이 석션모터(130')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에어필터(F')는 마찬가지로 배관(P1’)에 설치되어 수분 저장부(111')의 수분이나 미세 이물질 필터링하여, 석션모터(130')로 수분, 미세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술한 각 구성들이 일정 조건에서 특정 제어동작을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제어동작으로는, 수위감지센서(S')를 통해 수분 저장부(111') 내에 수분이 일정 수위에 도달한 경우, 이를 감지한 뒤 제1개폐벨브, 제2개폐벨브를 선택적으로 잠그거나, 석션모터(13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필터관(112')은 상부에 전기 방식, 전자 방식, 유압 방식 등에 의해 개폐 가능한 개폐부재(112b’)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2제어동작으로서, 석션모터(130')의 가동하는 한편, 석션모터(130')의 수분 전달부(120')에 대한 흡입력 유지를 위하여 개폐부재(112b’)를 작동시켜 필터관(112')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건조장치(1)는 가정집 또는 일반 음식점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며,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폐음식물 분쇄건조장치(1)에 설치된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설치대(2-1)에 장착된 모터(15)가 작동하게 된다.
모터(15)가 작동하게 되면 모터(15)의 회전축과 직접 연결된 변속장치부(13)의 제1기어(85)와 함께 분쇄칼날(70)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변속장치부(13)의 제1기어(85)가 회전함으로써 제2기어(86)의 큰기어(86-1)와 작은기어(86-2)가 회전하게 되며, 제2기어(86)가 회전함으로써 제3기어(87)는 회전속도가 감속되어 회전(감속회전)하게 된다.
제3기어(87)가 감속회전하게 되면 제3기어(87)의 축봉(87-1)에 함께 장착된 전동기어(87-2)가 회전하게 된다. 전동기어(87-2)가 회전하게 되면 체인링(90)이 반 시계방향으로 공전하게 되고, 체인링(90)이 공전(회전)하게 되면 분쇄통(20)에 설치된 치합(결합)된 양측 투입칼날(44)의 투입칼날기어(47)들이 각각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장력조절기어(68)도 회전하게 되며, 이어 교반건조통(50)에 나란하게 설치된 교반날개작동기어(66)들도 회전하게 된다.
분쇄통(20)에 나란하게 투입칼날기어(47)들이 회전하게 되면 각 축봉(50)이 회전하면서 각기둥봉(52)에 장착된투입날판(45)이 회전하게 되는데, 특히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체인링(90)이 좌측에 위치하는 투입칼날기어(47)의 하측을 통과하고 우측에 위치하는 투입칼날기어(47)의 상측으로 통과하여 상반되게 통과하므로 이들 투입칼날(44)은 서로 상반되는 방향 즉, 중앙으로 모아지면서 하측으로 통과하게 되며, 반면에 분쇄칼날(70)은 시계방향으로 고속 회전하게 된다.
또 교반건조통(50)에 나란하게 설치된 교반날개작동기어(66)들이 회전하게 되고, 축봉(78)에 장착된 교반날개(75)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냉각팬(14)과 방열판에 장착된 송풍팬(17) 및 건조교반통(50)의 하단 양측에 장착된 히터(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장치들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정집 또는 음식점에서 발생한 음식물을 일단 손으로 짜서 일부 수분이 없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호퍼(10)를 통하여 투입시킨다.
투입되는 폐음식물은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투입칼날(45)에 의해 중앙으로 집결되면서 하측으로 투입되고, 한 쌍의 투입칼날(45)에 의해 중앙으로 집결되어 투입되는 폐음식물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분쇄칼날(70)에 의해 조밀하게(작게) 분쇄되며, 조밀하게(작게) 분쇄된 폐음식물 입자는 교반건조통(50)의 내부로 낙하한다.
교반건조통(50)의 내부로 낙하하는 분쇄된 폐음식물 입자는 반날개작동기어(66)들에 나란하게 장착되어 회전하는 교반날개(75)에 의해 저어지고(교반되고), 수납통체(60)의 하단 양측에 설치된 히터의 열기가 교반건조통(50)으로 전열되어 가열되며, 따라서 교반날개(75)에 의해 교반되는 분쇄된 폐음식물 입자는 히터의 열기를 전열 받은 교반건조통(50)의 열기에 의해 건조된다.
상기와 같이 투입칼날(45)를 통과하여 분쇄칼날(70)에 의해 조밀하게 분쇄되어 투입되는 분쇄된 폐음식물 입자가 교반날개(75)에 의해 교반되면서 히터의 열기를 전열 받은 교반건조통(50)의 열기에 의해 건조될 때에 일부의 열기는 간격유지단봉(56)에 의해 이격된 분쇄통(20)과 교반건조통(50)과의 사이로 방출된다.
또한 냉각팬(14)이 작동하게 되는데, 냉각팬(14)이 작동하게 되면 교반건조통(50)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키게 되고, 흡입되어 냉각되는 열기와 습기는 정화통(6)을 통과하면서 냄새가 제거되며, 냄새가 제거된 일부의 열기는 전화통덮개(6-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배출관(18-1)을 통해 분쇄장치부(11)측으로 분사되어 냄새를 희석시키거나 교반건조통(50)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지속적으로 실시되면서 교반건조통(50)에서 완전히 건조된 폐음식물 입자는 회전하는 교반날개(75)에 의해 상향 되면서 수납통체(60)의 일 측면에 뚫어진 배출공간(61)을 통해 배출되면서 배출통(4)의배출서랍(9)으로 낙하하여 충진된다.
상기와 같은 폐음식물을 투입하고 작은 입자로 절단하여 교반하면서 건조시키며, 완전히 건조된 폐음식물 입자가 배출서랍(9)에 낙하하여 모두 수집되면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역으로 조작(OFF)하여 전원을 차단시켜 줌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건조장치(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건조장치(1)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배출서랍(9)을 인출하여 건조되어 충진된 폐음식물 입자를 비워(제거하여)주고, 빈 배출서랍(9)을 배출통(4)에 다시 결합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폐음식물 분쇄건조장치(1)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면서 폐음식물을 투입하여 절단하고 교반 및 건조시킨 후에 배출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면서 가정 및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폐음식물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음식물쓰레기분쇄건조장치 2 : 본체
4 : 배출통 5 : 관망창
6 : 정화통 9 : 배출통서랍
10 : 호퍼 11 : 분쇄장치부
12 : 건조교반장치부 13 : 동력장치부
14 : 냉각팬 15 : 모터
16 : 방열판 17 : 송풍기
20 : 분쇄통 46 : 개폐브래킷
44 : 투입칼날 110, 110’: 필터링부
111, 111’ : 수분 저장부 112, 112’: 필터관
112a, 112a’: 뚜껑부 120, 120’: 수분 전달부
121, 121’: 상부 전달부 122, 122’: 하부 전달부
130’: 석션모터 140’: 초음파 진동부
H. H’: 하우징 커버 B1, B1’: 제1개폐밸브
B2’: 제2개폐밸브 P1’: 배관
F’: 에어필터 S’: 수위감지센서

Claims (7)

  1. 몸체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호퍼를 통하여 투입되는 폐음식물을 절단하고 건조시켜 배출시키되, 상기 몸체는, 호퍼와 분쇄장치 및 건조교반장치가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와, 본체와 하측의 배출통을 연결시키는 중간칸막이와, 상기 중간칸막이의 하측에 설치되어 절단 건조된 폐음식물이 충진되는 배출서랍을 수납 인출할 수 있도록 된 배출통과, 상기 본체의 배면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로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장치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투입되는 분쇄된 폐음식물을 교반시키면서 밑면 양측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교반장치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교반장치부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켜 습기를 제거하는 냉각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팬에 의해 냉각된 내부공기에서 냄새를 제거하여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건조교반장치부로 재차 공급하는 정화통; 상기 방열판의 후면에서 설치되어, 상기 방열판의 후면에 생성되는 수분을 획득하며, 획득한 상기 수분을 하방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방열판 후면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 전달부와, 상기 상부 전달부로부터 연통되어 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채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전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전달부와 상기 하부 전달부 사이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는 이음부가 형성되는 수분 전달부; 상기 수분 전달부와 연통되어, 상기 수분을 저장하기 위한 수분 저장부와, 상기 수분 저장부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분 저장부에서 상기 수분의 기화된 기체를 필터링(filtering)하기 위한 필터관을 포함하는 필터링부; 및 상기 필터링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분 저장부의 상기 기체가 상기 수분 전달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개폐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수분 저장부에 저장되는 수분에 대하여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상기 수분을 기화시키는 초음파 진동부와, 상기 수분 저장부와 배관으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분 전달부를 통해 상기 방열판의 후면에 생성되는 상기 수분을 흡입하여, 상기 수분을 상기 수분 저장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석션모터와, 상기 수분 저장부의 저장되는 상기 수분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수분 저장부의 상기 수분이 상기 석션모터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배관에 설치되는 제2개폐밸브와, 상기 수분 저장부의 상기 수분이나 미세 이물질 필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배관에 설치되는 에어필터와, 상기 폐음식물 처리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필터관의 상부에서 상기 필터관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부재와,
    전면이 상기 수분 전달부의 후면으로 장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필터링부 상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 상에서 착탈식으로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수분 저장부의 일부영역은 외부로 노출되고 있고,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수분 저장부의 노출된 상기 일부영역 상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관은,
    일측 내벽에 구획부재가 일정공간을 사이에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며, 타측 내벽에 다른 구획부재가 상기 일측 내벽의 구획부재와 대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되, 상기 일측 내벽의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타측 내벽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타측 내벽의 상기 다른 구획부재는 상기 일정공간을 향하여 상기 일측 내벽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부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 뚜껑부로 마감되되, 상기 구획부재는 횡단면 형상이 원, 타원 ,반원, 다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통해 수분 저장부 내에 수분이 일정 수위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면, 제1개폐벨브 및 제2개폐벨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잠그고, 상기 석션모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1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석션모터가 가동되면, 상기 석션모터에 의하여 상기 수분 전달부에 가해지는 흡입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필터관을 폐쇄하여, 상기 필터관이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하는 제2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필터관과 상기 수분 저장부 사이 및 상기 뚜껑부의 하방에는, 부직포 필터가 구비되어, 상기 수분 저장부로부터 이동되는 상기 기체를 필터링 하며, 상기 구획부재는, 활성탄 필터로서 상기 수분 저장부로부터 이동되는 상기 기체를 필터링하는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34508A 2015-09-23 2015-09-23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 KR10173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508A KR101730000B1 (ko) 2015-09-23 2015-09-23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508A KR101730000B1 (ko) 2015-09-23 2015-09-23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541A KR20170035541A (ko) 2017-03-31
KR101730000B1 true KR101730000B1 (ko) 2017-04-25

Family

ID=5850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508A KR101730000B1 (ko) 2015-09-23 2015-09-23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0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346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가이아 재활용폐기물을 이용한 파쇄건조 일체형 고형연료 제조장치
KR102181908B1 (ko) * 2020-08-12 2020-11-23 주식회사 에쓰큐씨 실리콘 슬러지를 폐열을 이용하여 건조한 후 분쇄하여 이산화규소 분체를 만드는 장치
WO2023120970A1 (ko) * 2021-12-22 2023-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9687A (zh) * 2017-07-13 2017-09-15 广州弗特瑞环保科技有限公司 餐厨垃圾处理机及其垃圾处理方法
CN109954746A (zh) * 2019-04-11 2019-07-02 孙元盛 一种医疗废弃物处理装置
KR102339255B1 (ko) * 2019-11-18 2021-12-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입자 연속 여과 채집장치
CN114733630B (zh) * 2022-03-28 2024-01-09 安徽春源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有机肥生产用粉碎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401B1 (ko) * 2006-04-04 2007-09-11 이정국 음식물쓰레기 분쇄 건조장치
KR100880786B1 (ko) 2008-06-27 2009-02-02 최병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401B1 (ko) * 2006-04-04 2007-09-11 이정국 음식물쓰레기 분쇄 건조장치
KR100880786B1 (ko) 2008-06-27 2009-02-02 최병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346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가이아 재활용폐기물을 이용한 파쇄건조 일체형 고형연료 제조장치
KR102123420B1 (ko) 2018-05-25 2020-06-16 주식회사 가이아 재활용폐기물을 이용한 파쇄건조 일체형 고형연료 제조장치
KR102181908B1 (ko) * 2020-08-12 2020-11-23 주식회사 에쓰큐씨 실리콘 슬러지를 폐열을 이용하여 건조한 후 분쇄하여 이산화규소 분체를 만드는 장치
WO2023120970A1 (ko) * 2021-12-22 2023-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541A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000B1 (ko) 폐음식물 분쇄 건조장치
KR101679021B1 (ko) 파쇄기가 장착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N101925419B (zh) 生活垃圾处理装置
KR101253844B1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 시스템
JP2010516454A (ja) 有機物質の乾燥設備
WO2023246637A1 (zh) 一种厨房垃圾和污水模块化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JP3687965B2 (ja) 食用植物料理品等の脱液乾燥装置及びその方法
JP3659397B2 (ja) 乾燥装置及びその乾燥方法
KR100757401B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건조장치
KR100421187B1 (ko) 음식물찌꺼기 자동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9516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5102390B2 (ja) バルブ排出装置
CN202377259U (zh) 小型餐厨垃圾回收装置
CN109665881A (zh) 厨余垃圾机械化和多生物动力处理设备
CN201260978Y (zh) 一种家庭用食物垃圾处理器
KR20110065948A (ko) 가열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35115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427170B1 (ko) 개수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35597B1 (ko) 분쇄 및 건조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JP4535635B2 (ja) 食品廃棄物等の乾燥装置
CN202427704U (zh) 用于食品废弃物的处理系统
KR10079092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979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7000926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216687940U (zh) 餐厨垃圾处理器用发酵单元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