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872B1 - 중량 조절형 아령 - Google Patents
중량 조절형 아령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8872B1 KR101728872B1 KR1020170001175A KR20170001175A KR101728872B1 KR 101728872 B1 KR101728872 B1 KR 101728872B1 KR 1020170001175 A KR1020170001175 A KR 1020170001175A KR 20170001175 A KR20170001175 A KR 20170001175A KR 101728872 B1 KR101728872 B1 KR 1017288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rotation
- weight
- bracket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5—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variable weights, e.g. weight systems with weight selecting means for bar-bells or dumb-bel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따라 아령에서 손잡이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아령에서 낱개의 중량물을 탈부착하거나, 둘 이상의 중량물을 묶음으로 모듈화하여 탈부착할 수 있고, 아령에서 중량물을 빠르고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량 조절형 아령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봉과, 결합봉을 축으로 결합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유닛과, 결합봉을 축으로 결합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유닛과 결합되는 회전조절유닛과, 회전조절유닛이 회전되도록 결합봉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유닛과, 회전조절유닛이 삽입되는 복수의 중량물과, 결합봉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축으로 고정브라켓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량물고정유닛을 포함한다. 회전조절유닛은 손잡이유닛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고, 중량물고정유닛은 회전조절유닛의 회전에 따라 고정브라켓유닛에서 피벗 운동되며, 피벗 운동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은 해당 중량물을 상기 회전조절유닛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중량 조절형 아령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봉과, 결합봉을 축으로 결합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유닛과, 결합봉을 축으로 결합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유닛과 결합되는 회전조절유닛과, 회전조절유닛이 회전되도록 결합봉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유닛과, 회전조절유닛이 삽입되는 복수의 중량물과, 결합봉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축으로 고정브라켓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량물고정유닛을 포함한다. 회전조절유닛은 손잡이유닛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고, 중량물고정유닛은 회전조절유닛의 회전에 따라 고정브라켓유닛에서 피벗 운동되며, 피벗 운동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은 해당 중량물을 상기 회전조절유닛에 고정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량 조절형 아령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따라 아령에서 손잡이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아령에서 낱개의 중량물을 탈부착하거나, 둘 이상의 중량물을 묶음으로 모듈화하여 탈부착할 수 있고, 아령에서 중량물을 빠르고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령은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잡고 들어올려서 신체의 신체의 이두근, 삼두근, 대흉근, 복근, 완근 등을 발달시키는 체력 단련 기구이다.
종래의 아령은 중심봉의 양단부에 동일한 무게의 중량물을 결합한 구성을 나타낸다. 아령은 중심봉에 중량물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 조건에 따라 중량물의 무게에 따라 다수의 아령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아령은 중심봉의 양단부에 나사 결합으로 중량물을 탈부착할 수 있었으나,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따라 중량물은 하나씩 밖에 탈부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따라 아령에서 손잡이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아령에서 낱개의 중량물을 탈부착하거나, 둘 이상의 중량물을 묶음으로 모듈화하여 탈부착할 수 있고, 아령에서 중량물을 빠르고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봉; 상기 결합봉을 축으로 상기 결합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유닛; 상기 결합봉을 축으로 상기 결합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유닛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조절유닛; 상기 회전조절유닛이 회전되도록 상기 결합봉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유닛; 상기 회전조절유닛이 삽입되는 복수의 중량물; 및 상기 결합봉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축으로 상기 고정브라켓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조절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유닛에서 피벗 운동되며, 상기 중량물과 1:1 대응되는 중량물고정유닛;을 포함한다.
그러면, 복수의 상기 중량물에 상기 회전조절유닛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조절유닛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조절유닛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피벗 운동시키고, 피벗 운동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은 대응되는 해당 중량물과 결합되어 해당 중량물을 상기 회전조절유닛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유닛은,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상기 결합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재; 상기 고정브라켓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파지부재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파지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상태로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중량조절부가 포함되는 조절볼판; 상기 파지부재와 상기 조절볼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파지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중량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중량조절볼; 및 상기 파지부재와 상기 중량조절볼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파지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중량조절볼을 상기 조절볼판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조절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조절유닛은, 상기 결합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유닛과 결합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중량물과 1:1 대응되는 조절단계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단계판의 회전 방향에 따른 가장자리에는,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의 자율 회전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되는 가압홈부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부가 교대로 배열된다.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중량물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단계판이 회전되면, 상기 가압돌부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을 피벗 운동시키고, 피벗 운동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은 대응되는 해당 중량물에 결합되어 해당 중량물을 상기 회전조절유닛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중량물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장착홈부; 및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이 삽입되도록 상기 장착홈부와 연통된 상태에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중량물에는, 상기 회전조절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이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홈부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와, 상기 장착홈부에 상기 회전부재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조절단계판이 삽입되도록 상기 장착홈부와 연통된 상태에서 함몰 형성되는 판지지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유닛은, 상기 결합봉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이격브라켓; 상기 이격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유닛과 결합되는 제1브라켓; 상기 이격브라켓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이격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브라켓;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은, 상기 고정브라켓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봉부재; 상기 회전조절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봉부재를 피벗 운동시키도록 상기 회전봉부재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피벗헤드부재; 및 상기 회전봉부재의 회전에 따라 해당 중량물과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회전봉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유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상기 중량물의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손잡이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저지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상기 고정브라켓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을 상기 회전조절유닛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지지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상기 회전조절유닛에 대응하여 복수의 상기 중량물이 배열 지지되는 중량물안착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따라 아령에서 손잡이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아령에서 낱개의 중량물을 탈부착하거나, 둘 이상의 중량물을 묶음으로 모듈화하여 탈부착할 수 있고, 아령에서 중량물을 빠르고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유닛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손잡이유닛의 회전량에 따라 아령에서 탈부착되는 중량물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유닛의 회전에 따라 아령에서 탈부착되는 중량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조절유닛에 중량물이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회전조절유닛에 삽입되는 중량물과 중량물고정유닛의 결합력 및 중량물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합봉의 길이 방향에서 중량물이 회전조절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유닛에서 중량물고정유닛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고정브라켓유닛이 중량물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브라켓유닛에서 중량물고정유닛의 피벗 운동을 안정화시키고, 중량물고정유닛과 중량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물을 회전조절유닛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손잡이유닛의 회전을 방지하고, 손잡이유닛의 회전에 따라 중량물이 회전조절유닛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물고정유닛의 피벗 운동을 원활하게 하고, 중량물고정유닛의 피벗 운동에서 중량물고정유닛의 유동을 방지하며, 회전조절유닛의 회전에 따라 가압돌부에 배치된 피벗헤드부재를 가압홈부로 안내할 수 있고, 회전조절유닛에서 중량물의 고정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조절유닛에 대응하여 중량물을 안정되게 배치하고 중량물에 회전조절유닛이 간편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봉에서 유닛들 사이의 결합을 안정화시키고, 손잡이유닛의 회전에 따라 유닛들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손잡이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조절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조절유닛의 제1단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조절유닛의 제2단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조절유닛의 제3단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조절유닛의 제4단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각각의 중량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저지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손잡이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조절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조절유닛의 제1단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조절유닛의 제2단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조절유닛의 제3단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조절유닛의 제4단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각각의 중량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저지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을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손잡이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조절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조절유닛의 제1단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조절유닛의 제2단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조절유닛의 제3단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조절유닛의 제4단계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각각의 중량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회전저지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결합봉(10)과, 손잡이유닛(20)과, 회전조절유닛(30)과, 고정브라켓유닛(50)과, 중량물(40)과, 중량물고정유닛(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상기 중량물(40)에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유닛(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은 복수의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피벗 운동시키고, 피벗 운동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은 해당 중량물(40)과 결합되어 해당 중량물(40)을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이 복수의 상기 중량물(40)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고정시킴으로써, 아령에서 빠르고 신속하게 상기 중량물(40)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결합봉(1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봉(10)의 양단부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과의 결합 고정을 위한 고정키홈(1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유닛(20)은 상기 결합봉(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유닛(20)은 상기 결합봉(10)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유닛(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상기 결합봉(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재(21)와,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에 결합되는 조절볼판(22)과, 상기 파지부재(21)와 상기 조절볼판(22) 사이에 구비되는 중량조절볼(23)과, 상기 파지부재(21)와 상기 중량조절볼(23) 사이에 구비되는 조절탄성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21)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211)와, 상기 파지부(2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중량표시부(212)와, 상기 파지부(21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저지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21)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요철은 상기 파지부(211)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21)에는 상기 회전조절유닛(30)과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돌부(2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돌부(214)는 상기 파지부재(21)(상기 중량표시부(212)와 상기 저지부(213))에서 상기 결합봉(1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21)에는 상기 조절탄성부재(24)의 안착 지지를 위한 탄성조절홈부(215)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조절홈부(215)는 상기 파지부재(21)(상기 중량표시부(212))에서 상기 결합봉(10)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중량표시부(212)에는 상기 조절볼판(22)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지부(213)에도 상기 탄성조절홈부(215)가 상기 결합봉(10)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지부(213)에도 상기 조절볼판(22)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량표시부(212)에는 회전 방향에 따른 외주면에 중량의 조절 단계에 따른 중량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중량표시부(212)에 표시되는 중량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아령의 중량 조절 단계에 따라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중량표시부(212)에 의해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고정되는 해당 중량물(40)의 중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중량표시부(212)에서 상기 조절볼판(22)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1결합돌부(214)와 상기 탄성조절홈부(2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지부(213)에는 회전 방향에 따른 외주면에 중량의 조절 단계에 따라 후술하는 회전저지유닛(70)의 제2회전걸림부(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볼판(22)에는 상기 파지부재(21)와 마주보는 면에 중량조절부(221)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다. 상기 중량조절부(221)는 상기 파지부재(2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다. 상기 중량조절부(2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아령의 중량 조절 단계에 따라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절볼판(22)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과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돌부(2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돌부(222)는 상기 조절볼판(22)에서 상기 결합봉(1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볼판(22)은 중공의 링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의 회전부재(31)가 삽입 지지되고, 상기 제1결합돌부(214)와 상기 제1결합홈부(311)의 끼움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중량조절볼(23)은 상기 파지부재(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중량조절부(2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중량조절볼(23)은 상기 조절탄성부재(24)에 의해 탄성 지지됨에 따라 상기 결합봉(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중량조절볼(23)은 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탄성부재(24)는 상기 파지부재(21)를 기준으로 상기 중량조절볼(23)을 상기 조절볼판(22) 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상기 조절탄성부재(24)는 일측이 상기 탄성조절홈부(215)에 삽입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중량조절볼(23)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은 상기 결합봉(10)을 축으로 상기 결합봉(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은 상기 손잡이유닛(20)과 결합된다.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은 상기 손잡이유닛(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결합봉(10)에서 회전된다.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봉(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유닛(20)과 결합되는 회전부재(31)와, 상기 회전부재(31)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조절단계판(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는 상기 회전부재(31)가 상기 중량물(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31)의 회전을 부드럽게 하는 결합링부재(3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링부재(36)는 상기 회전부재(3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1결합돌부(214)와 상기 제1결합홈부(311)의 끼움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는 상기 손잡이유닛(20)과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홈부(311)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부(311)는 상기 회전조절유닛(30)(상기 회전부재(31))에서 상기 결합봉(10)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결합돌부(214)는 상기 제1결합홈부(311)에 끼움 결합되므로,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은 상기 손잡이유닛(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결합봉(10)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1결합돌부(214)와 상기 제2결합홈부(521)의 위치는 상호 반대가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조절단계판(32)에서 회전 방향에 따른 가장자리에는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자율 회전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되는 가압홈부(34)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부(35)가 교대로 배열된다.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피벗헤드부재(62)가 상기 가압홈부(34)에 배치되면,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회전봉부재(61)가 자율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피벗헤드부재(62)가 상기 가압돌부(35)에 배치되면,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회전봉부재(61)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1)가 상기 중량물(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단계판(32)이 회전되면, 상기 가압돌부(35)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을 피벗 운동시키고, 피벗 운동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은 대응되는 해당 중량물(40)에 결합되어 해당 중량물(40)을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단계판(32)은 상기 중량물(40)과 1:1 대응된다. 상기 조절단계판(32)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과 1:1 대응된다.
상기 조절단계판(32)은 n(n은 2 이상인 자연수)개가 상기 회전부재(31)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단계판(32)은 상기 회전부재(31)를 중심으로 상기 조절단계판(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2n 개의 단위구획영역(S)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홈부(34) 또는 상기 가압돌부(35)는 개별의 상기 단위구획영역(S) 하나에 형성되거나, 둘 이상의 상기 단위구획영역(S)이 합쳐져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은 일렬로 배열된 n 개의 중량물에 삽입되고, n 개의 상기 중량물(40)로 2n 만큼의 중량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일예로, 상기 조절단계판(32)이 2개 구비되는 경우, 2개의 중량물에 삽입되고, 상기 중량물(40)로 4번의 중량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조절단계판(32)이 3개 구비되는 경우, 3개의 중량물에 삽입되고, 상기 중량물(40)로 8번의 중량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조절단계판(32)이 4개 구비되는 경우, 4개의 중량물에 삽입되고, 상기 중량물(40)로 16번의 중량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단계판(32)은 4개가 상기 회전부재(31)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조절단계판(32)은 상기 회전부재(31)에 구비되는 제1단계판(321)과, 상기 제1단계판(321)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부재(31)에 구비되는 제2단계판(322)과, 상기 제2단계판(322)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부재(31)에 구비되는 제3단계판(323)과, 상기 제3단계판(323)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부재(31)에 구비되는 제4단계판(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판(321)과, 상기 제2단계판(322)과, 상기 제3단계판(323)과, 상기 제4단계판(324)은 상기 회전부재(31)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면 충분하고, 각 단계판의 배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단계판(321)과, 상기 제2단계판(322)과, 상기 제3단계판(323)과, 상기 제4단계판(324)은 상기 회전부재(31) 또는 상기 결합봉(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판(321)의 가장자리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홈부(34)와 상기 가압돌부(35)가 교대로 배열된다. 좀더 자세하게, 상기 제1단계판(321)의 가장자리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구획영역(S)이 표시된 부분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제1-1가압홈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1-2가압돌부와, 3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함몰 형성되는 제1-3가압홈부와, 3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돌출 형성되는 제1-4가압돌부와, 3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함몰 형성되는 제1-5가압홈부와, 3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돌출 형성되는 제1-6가압돌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제1-7가압홈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1-8가압돌부가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제1-8가압돌부와 상기 제1-1가압홈부가 연결된다.
상기 제2단계판(322)의 가장자리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홈부(34)와 상기 가압돌부(35)가 교대로 배열된다. 좀더 자세하게, 상기 제2단계판(322)의 가장자리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구획영역(S)이 표시된 부분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 2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함몰 형성되는 제2-1가압홈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2-2가압돌부와, 2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함몰 형성되는 제2-3가압홈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2-4가압돌부와, 2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함몰 형성되는 제2-5가압홈부와, 2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돌출 형성되는 제2-6가압돌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제2-7가압홈부와, 2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돌출 형성되는 제2-8가압돌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제2-9가압홈부와, 2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돌출 형성되는 제2-10가압돌부가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제2-10가압돌부와 상기 제2-1가압홈부가 연결된다.
상기 제3단계판(323)의 가장자리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홈부(34)와 상기 가압돌부(35)가 교대로 배열된다. 좀더 자세하게, 상기 제3단계판(323)의 가장자리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구획영역(S)이 표시된 부분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 3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함몰 형성되는 제3-1가압홈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3-2가압돌부와, 2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함몰 형성되는 제3-3가압홈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3-4가압돌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제3-5가압홈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3-6가압돌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제3-7가압홈부와, 2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돌출 형성되는 제3-8가압돌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제3-9가압홈부와, 3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돌출 형성되는 제3-10가압돌부가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제3-10가압돌부와 상기 제3-1가압홈부가 연결된다.
상기 제4단계판(324)의 가장자리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홈부(34)와 상기 가압돌부(35)가 교대로 배열된다. 좀더 자세하게, 상기 제4단계판(324)의 가장자리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구획영역(S)이 표시된 부분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 4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함몰 형성되는 제4-1가압홈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4-2가압돌부와, 2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함몰 형성되는 제4-3가압홈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제4-4가압돌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제4-5가압홈부와, 2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돌출 형성되는 제4-6가압돌부와, 하나의 단위구획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제4-7가압홈부와, 4개의 단위구획영역이 합쳐져 돌출 형성되는 제4-8가압돌부가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제4-8가압돌부와 상기 제4-1가압홈부가 연결된다.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은 상기 조절단계판(32)에 구비되는 조절가이드판(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가이드판(33)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피벗헤드부재가 상기 가압홈부(34)에 삽입될 때,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피벗헤드부재(62)와 상기 중량물(40)이 구획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가이드판(33)은 상기 중량물(40)과의 밀착 지지를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조절가이드판은 상기 조절단계판(3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물(40)은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이 삽입된다. 상기 중량물(40)은 상기 조절단계판(32)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량물(40)은 4개의 상기 조절단계판(32)에 대응하여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량물(4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계판(3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고정되는 제1중량물(40a)과, 상기 제2단계판(3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고정되는 제2중량물(40b)과, 상기 제3단계판(32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고정되는 제3중량물(40c)과, 상기 제4단계판(324)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고정되는 제4중량물(40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물(40)에는 상기 회전부재(31)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장착홈부(41)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후술하는 피벗헤드부재(62))이 삽입되도록 상기 장착홈부(41)와 연통된 상태에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부(4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물(40)에는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이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홈부(42)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43)와, 상기 장착홈부(41)에 상기 회전부재(31)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조절단계판(32)이 삽입되도록 상기 장착홈부(41)와 연통된 상태에서 함몰 형성되는 판지지홈부(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물(40)에는 인접한 중량물과의 중첩을 위해 결합턱부(4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물(40)에는 후술하는 중량물안착유닛(90)의 구획리브(93)와 결합되는 지지홈부(46)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턱부(45)는 인접한 중량물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홈부(46)에 삽입되고, 인접한 중량물에 형성되는 상기 판지지홈부(44)와 마주보도록 한다.
상기 지지홈부(46)는 상기 중량물(40)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되고, 인접한 중량물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턱부(45)가 삽입되도록 한다.
일예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중량물(40a)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턱부(45)는 상기 제2중량물(40b)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홈부(46)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지지홈부(46)는 상기 중량물(40)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중량물(40a)과 상기 제2중량물(40b)이 탈부착될 때, 상기 제1중량물(40a)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턱부(45)는 상기 제2중량물(40b)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중량물(40b)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턱부(45)는 상기 제3중량물(40c)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홈부(46)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은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이 회전되도록 상기 결합봉(10)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은 상기 결합봉(10)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봉(10)에서 상기 손잡이유닛(20)과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이 상호 결합된 상태로 회전이 가능도록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봉(1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이격브라켓(51)과, 상기 이격브라켓(5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유닛(20)과 결합되는 제1브라켓(52)과, 상기 이격브라켓(5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봉(10)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53)과, 상기 이격브라켓(51)에 구비되어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브라켓(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브라켓(51)과 상기 제1브라켓(52)과 상기 제2브라켓(53)은 "ㄷ" 형태의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피벗브라켓(54)은 "ㄷ" 형태의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에는 상기 손잡이유닛(20)과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홈부(521)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홈부(521)는 상기 제1브라켓(52)에서 상기 결합봉(1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돌부(222)와 상기 제2결합홈부(521)는 상호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브라켓(52)에 상기 조절볼판(2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돌부(222)와 상기 제2결합홈부(521)의 위치는 상호 반대가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브라켓(52)에는 상기 결합봉(10)이 통과되는 제1회전지지부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53)에는 상기 결합봉(10)이 통과되는 제2회전지지부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브라켓(53)에는 상기 고정키홈(11)과의 결합을 위한 키홈결합부(5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홈결합부(531)는 상기 제2회전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키홈(11)과 결합되므로, 상기 결합봉(10)에서 상기 제2브라켓(53)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피벗브라켓(54)은 상기 이격브라켓(51)에 중첩 지지되는 결합브라켓(541)과, 상기 결합브라켓(541)읠 양측에서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브라켓(5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체결볼트(B)가 상기 이격브라켓(51)과 상기 결합브라켓(541)을 통과한 상태에서 체결너트(N)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격브라켓(51)에 상기 피벗브라켓(54)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장브라켓(542)에는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지지홀(54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홀(543)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이격브라켓(51)의 길이 방향 또는 상기 결합봉(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기 연장브라켓(542)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은 상기 결합봉(1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축으로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은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에서 피벗 운동된다.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은 상기 중량물(40)과 1:1 대응된다.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은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의 조절단계판(32) 개수에 1:1 대응된다.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은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봉부재(61)와,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봉부재(61)를 피벗 운동시키도록 상기 회전봉부재(61)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피벗헤드부재(62)와, 상기 회전봉부재(61)의 회전에 따라 해당 중량물(40)과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회전봉부재(61)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유지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봉부재(61)는 회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원기둥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피벗헤드부재(62)는 상기 가압홈부(34)에 안착되고,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돌부(35)로 이동하면, 상기 회전봉부재(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피벗헤드부재(62)는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회전봉부재(6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유지부재(63)는 상기 회전봉부재(61)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봉부재(61)에서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회전봉부재(61)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봉부재(61)에서 편심되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은 상기 회전봉부재(6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링부재(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링부재(64)는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과 상기 회전봉부재(61)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고, 상기 회전봉부재(61)의 회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봉부재(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봉부재(61)가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은 상기 제1단계판(321)의 회전에 따라 피벗 운동되는 제1고정유닛과, 상기 제2단계판(322)의 회전에 따라 피벗 운동되는 제2고정유닛과, 상기 제3단계판(323)의 회전에 따라 피벗 운동되는 제3고정유닛과, 상기 제4단계판(324)의 회전에 따라 피벗 운동되는 제4고정유닛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회전저지유닛(70)과, 지지탄성부재(80)와, 중량물안착유닛(90)과, 마감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저지유닛(70)은 상기 중량물(40)의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손잡이유닛(20)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저지유닛(7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유닛(20)의 상기 파지부재(21)와 상기 조절볼판(22)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걸림부(71)와, 상기 파지부재(21)와 상기 조절볼판(22) 중 다른 하나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2회전걸림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걸림부(71)와 상기 제2회전걸림부(72)가 걸림 결합되면, 상기 결합봉(10)을 기준으로 상기 파지부재(21)의 회전이 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걸림부(7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회전걸림부(71)와 상기 제2회전걸림부(72)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결합봉(10)을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유닛(20)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상기 제1회전걸림부(71)와 상기 제2회전걸림부(72)의 걸림 결합되면, 상기 결합봉(10)을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유닛(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파지부재(21)와 상기 조절볼판(22) 중 어느 하나에는 설치홈부(73)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부(73)에 상기 제1회전걸림부(7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21)와 상기 조절볼판(22)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회전걸림부(7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회전걸림부(71)가 걸림 지지되는 고정돌부(7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부(74)는 상기 설치홈부(73)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걸림부(72)는 상기 손잡이유닛(20)의 회전 방향 가장자리인 외주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걸림부(7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아령의 중량 조절 단계에 따라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회전걸림부(71)는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상기 제1브라켓(52))에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걸림부(72)는 상기 손잡이유닛(20)(상기 파지부재(2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걸림부(71)와 상기 제2회전걸림부(72)의 위치는 상호 반대가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탄성부재(80)는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탄성부재(80)는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을 기준으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을 상기 회전조절유닛(30) 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지지탄성부재(80)는 상기 피벗헤드부재(62)가 상기 가압홈부(3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피벗헤드부재(62)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탄성부재(80)는 상기 피벗헤드부재(62)가 상기 가압돌부(35)에 위치할 때, 상기 피벗헤드부재(62)를 탄성 가압하여 상기 피벗헤드부재(62)가 상기 가압돌부(35)에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가압돌부(35)에는 상기 피벗헤드부재(62)의 일부가 삽입 안착되는 지지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압돌부(35)에서 상기 피벗헤드부재(62)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탄성부재(80)는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에 결합되는 지지판부(81)와, 상기 피벗헤드부재(62)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판부(81)에서 절곡 형성되는 탄성날개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날개부(82)는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상기 피벗헤드부재(62)와 1:1 대응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탄성부재(80)(상기 지지판부(81))는 체결볼트(B)가 상기 이격브라켓(51)과 상기 결합브라켓(541)을 통과한 상태에서 체결너트(N)와 나사 결합될 때, 체결볼트(B)가 통과하여 체결너트(N)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탄성부재(80)(상기 지지판부(81))는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중량물안착유닛(90)은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대응하여 복수의 상기 중량물(40)이 배열 지지된다.
상기 중량물안착유닛(90)에는 상기 중량물(40)이 안착되는 안착공간(9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량물안착유닛(90)에는 아령의 양측으로 상기 중량물(40)을 분리시키는 구분블럭(9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분블럭(92)은 상기 안착공간(91)에서 상기 손잡이유닛(20)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물안착유닛(90)에는 배열된 복수의 상기 중량물(40)을 구획하는 구획리브(9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리브(93)는 상기 안착공간(91)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리브(93)는 상기 중량물(40)에 구비되는 지지홈부(46)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구획리브(93)에 의해 상기 안착공간(91)이 구획됨에 따라 복수의 중량물(40)에 대한 개별 위치를 명확하게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결합봉(10)에 상기 손잡이유닛(20)과 상기 회전조절유닛(30)과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이 결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준다.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결합봉(10)과 상기 손잡이유닛(20)과 상기 회전조절유닛(30)과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결합봉(10)과 결합된다.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결합봉(10)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마감볼트(M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볼트(M2)는 머리가 상기 결합봉(10)의 단부 및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상기 제2브라켓(53))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봉(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결합봉(10)과 상기 마감볼트(M2) 사이에 구비되는 마감플레이트(M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마감볼트(M2)는 머리가 상기 마감플레이트(M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마감플레이트(M1)를 통과하여 상기 결합봉(10)의 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플레이트(M1)는 상기 결합봉(10)의 단부 및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상기 제2브라켓(53))에 지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중량 조절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중량물(40)은 상기 중량물안착유닛(90)에 안착 배열된다. 상기 손잡이유닛(20)의 일측에 결합된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의 회전부재(31)를 상기 중량물(40)의 장착홈부(41)에 삽입한다.
최초에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피벗헤드부재(62)가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구비된 가압홈부(34)에 안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른 표현으로, 상기 손잡이유닛(20)을 회전시켜 상기 제1고정유닛의 피벗헤드부재(62)가 제1-1가압홈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2고정유닛의 피벗헤드부재(62)가 제2-1가압홈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3고정유닛의 피벗헤드부재(62)가 제3-1가압홈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4고정유닛의 피벗헤드부재(62)가 제4-1가압홈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상기 중량물(40)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유닛(20)을 회전시켜 상기 제1단계판(321)의 제1-2가압돌부가 상기 제1고정유닛의 피벗헤드부재(62)를 지지하도록 하면, 상기 제1고정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고정유닛은 상기 제1중량물(40a)만을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유지부재(63)는 해당 중량물(40)의 걸림홈부(43)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탄성부재(80)는 해당 피벗헤드부재(62)를 탄성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유닛(2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중량물안착유닛(90)으로부터 상기 손잡이유닛(20)을 들어 올리면,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는 상기 제1중량물(40a)만이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손잡이유닛(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단계판(322)의 제2-2가압돌부가 상기 제2고정유닛의 피벗헤드부재(62)를 지지하면, 상기 제2중량물(40b)만을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유닛(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부(35)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피벗헤드부재(62)를 회전 지지함에 따라 상기 중량물(40)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일예로,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의 조절단계판(32)에 구비되는 가압홈부(34)를 "0"이라 하고,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의 조절단계판(32)에 구비되는 가압돌부(35)를 "1"로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손잡이유닛(20)의 회전에 따라 "0"과 "1"은 16개의 조합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16개의 조합은 각각 "0000", "100", "0100", "0010", "0001", "1100", "1010", "1001", "0110", "0101", "0011", "1110", "1101", "1011", "0111", "1111"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단계판(32)에서 "1"에 대응되는 상기 가압돌부(35)가 해당 피벗헤드부재(62)를 회전 지지하므로, 여기에 대응하여 "1"에 대응되는 해당 중량물(40)을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이 해당 중량물(40)과 결합된다는 것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결합유지부재(63)가 해당 중량물(40)의 고정홈부(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부(43)와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이 해당 중량물(40)과 결합된다는 것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결합유지부재(63)가 해당 중량물(40)의 고정홈부(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유지부재(63)가 해당 중량물(40)을 가압 지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이 해당 중량물(40)을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고정시킨다는 것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이 해당 중량물(40)과 결합됨에 따라 해당 중량물(40)이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서 분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이 해당 중량물(40)을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고정시킨다는 것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이 해당 중량물(40)과 결합됨에 따라 해당 중량물(40)이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가압 지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중량 조절형 아령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따라 아령에서 상기 손잡이유닛(20)을 회전시킴으로써, 아령에서 낱개의 상기 중량물(40)을 탈부착하거나, 둘 이상의 상기 중량물(40)을 묶음으로 모듈화하여 탈부착할 수 있고, 아령에서 상기 중량물(40)을 빠르고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유닛(20)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손잡이유닛(20)의 회전량에 따라 아령에서 탈부착되는 상기 중량물(40)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유닛(20)의 회전에 따라 아령에서 탈부착되는 상기 중량물(4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상기 중량물(40)이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삽입되는 상기 중량물(40)과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결합력 및 상기 중량물(4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결합봉(10)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중량물(40)이 상기 회전조절유닛(3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에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이 상기 중량물(4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유닛(50)에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피벗 운동을 안정화시키고,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과 상기 중량물(4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물(40)을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유닛(20)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손잡이유닛(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중량물(40)이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피벗 운동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피벗 운동에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60)의 유동을 방지하며,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돌부(35)에 배치된 상기 피벗헤드부재(62)를 상기 가압홈부(34)로 안내할 수 있고,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서 상기 중량물(40)의 고정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조절유닛(30)에 대응하여 상기 중량물(40)을 안정되게 배치하고 상기 중량물(40)에 상기 회전조절유닛(30)이 간편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봉(10)에서 유닛들 사이의 결합을 안정화시키고, 상기 손잡이유닛(20)의 회전에 따라 유닛들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결합봉 11: 고정키홈 20: 손잡이유닛
21: 파지부재 211: 파지부 212: 중량표시부
213: 저지부 214: 제1결합돌부 215: 탄성조절홈부
22: 조절볼판 221: 중량조절부 222: 제2결합돌부
23: 중량조절볼 24: 조절탄성부재 30: 회전조절유닛
31: 회전부재 311: 제1결합홈부 32: 조절단계판
321: 제1단계판 322: 제2단계판 323: 제3단계판
324: 제4단계판 33: 조절가이드판 34: 가압홈부
35: 가압돌부 36: 결합링부재 40: 중량물
40a: 제1중량물 40b: 제2중량물 40c: 제3중량물
40d: 제4중량물 41: 장착홈부 42: 고정홈부
43: 걸림홈부 44: 판지지홈부 45: 결합턱부
46: 지지홈부 50: 고정브라켓유닛 51: 이격브라켓
52: 제1브라켓 521: 제2결합홈부 53: 제2브라켓
531: 키홈결합부 54: 피벗브라켓 541: 결합브라켓
542: 연장브라켓 543: 회전지지홀 60: 중량물고정유닛
61: 회전봉부재 62: 피벗헤드부재 63: 결합유지부재
64: 지지링부재 70: 회전저지부재 71: 제1회전걸림부
72: 제2회전걸림부 73: 설치홈부 74: 고정돌부
80: 지지탄성부재 81: 지지판부 82: 탄성날개부
90: 중량물안착유닛 91: 안착공간 92: 구분블럭
93: 구획리브 B: 체결볼트 N: 체결너트
M1: 마감플레이트 M2: 마감볼트 S: 단위구획영역
21: 파지부재 211: 파지부 212: 중량표시부
213: 저지부 214: 제1결합돌부 215: 탄성조절홈부
22: 조절볼판 221: 중량조절부 222: 제2결합돌부
23: 중량조절볼 24: 조절탄성부재 30: 회전조절유닛
31: 회전부재 311: 제1결합홈부 32: 조절단계판
321: 제1단계판 322: 제2단계판 323: 제3단계판
324: 제4단계판 33: 조절가이드판 34: 가압홈부
35: 가압돌부 36: 결합링부재 40: 중량물
40a: 제1중량물 40b: 제2중량물 40c: 제3중량물
40d: 제4중량물 41: 장착홈부 42: 고정홈부
43: 걸림홈부 44: 판지지홈부 45: 결합턱부
46: 지지홈부 50: 고정브라켓유닛 51: 이격브라켓
52: 제1브라켓 521: 제2결합홈부 53: 제2브라켓
531: 키홈결합부 54: 피벗브라켓 541: 결합브라켓
542: 연장브라켓 543: 회전지지홀 60: 중량물고정유닛
61: 회전봉부재 62: 피벗헤드부재 63: 결합유지부재
64: 지지링부재 70: 회전저지부재 71: 제1회전걸림부
72: 제2회전걸림부 73: 설치홈부 74: 고정돌부
80: 지지탄성부재 81: 지지판부 82: 탄성날개부
90: 중량물안착유닛 91: 안착공간 92: 구분블럭
93: 구획리브 B: 체결볼트 N: 체결너트
M1: 마감플레이트 M2: 마감볼트 S: 단위구획영역
Claims (10)
-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합봉;
상기 결합봉을 축으로 상기 결합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유닛;
상기 결합봉을 축으로 상기 결합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유닛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조절유닛;
상기 회전조절유닛이 회전되도록 상기 결합봉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유닛;
상기 회전조절유닛이 삽입되는 복수의 중량물; 및
상기 결합봉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축으로 상기 고정브라켓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조절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유닛에서 피벗 운동되며, 상기 중량물과 1:1 대응되는 중량물고정유닛;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중량물에 상기 회전조절유닛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조절유닛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조절유닛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피벗 운동시키고, 피벗 운동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은 대응되는 해당 중량물과 결합되어 해당 중량물을 상기 회전조절유닛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유닛은,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상기 결합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재;
상기 고정브라켓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파지부재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파지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상태로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중량조절부가 포함되는 조절볼판;
상기 파지부재와 상기 조절볼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파지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중량조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중량조절볼; 및
상기 파지부재와 상기 중량조절볼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파지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중량조절볼을 상기 조절볼판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조절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유닛은,
상기 결합봉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유닛과 결합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중량물과 1:1 대응되는 조절단계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단계판의 회전 방향에 따른 가장자리에는,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의 자율 회전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되는 가압홈부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부가 교대로 배열되며,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중량물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단계판이 회전되면, 상기 가압돌부가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을 피벗 운동시키고, 피벗 운동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은 대응되는 해당 중량물에 결합되어 해당 중량물을 상기 회전조절유닛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장착홈부; 및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이 삽입되도록 상기 장착홈부와 연통된 상태에서 함몰 형성되는 고정홈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에는,
상기 회전조절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이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홈부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와, 상기 장착홈부에 상기 회전부재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조절단계판이 삽입되도록 상기 장착홈부와 연통된 상태에서 함몰 형성되는 판지지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유닛은,
상기 결합봉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이격브라켓;
상기 이격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유닛과 결합되는 제1브라켓;
상기 이격브라켓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이격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은,
상기 고정브라켓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봉부재;
상기 회전조절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봉부재를 피벗 운동시키도록 상기 회전봉부재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피벗헤드부재; 및
상기 회전봉부재의 회전에 따라 해당 중량물과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회전봉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의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손잡이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중량물고정유닛을 상기 회전조절유닛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지지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유닛에 대응하여 복수의 상기 중량물이 배열 지지되는 중량물안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1175A KR101728872B1 (ko) | 2017-01-04 | 2017-01-04 | 중량 조절형 아령 |
PCT/KR2017/014937 WO2018128300A1 (ko) | 2017-01-04 | 2017-12-18 | 중량 조절형 아령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1175A KR101728872B1 (ko) | 2017-01-04 | 2017-01-04 | 중량 조절형 아령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8872B1 true KR101728872B1 (ko) | 2017-04-20 |
Family
ID=5870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1175A KR101728872B1 (ko) | 2017-01-04 | 2017-01-04 | 중량 조절형 아령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8872B1 (ko) |
WO (1) | WO2018128300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73144A (zh) * | 2017-11-07 | 2019-01-11 | 深圳市心版图科技有限公司 | 一种共享杠铃 |
CN114011011A (zh) * | 2021-12-01 | 2022-02-08 | 江苏万喜至工业设计有限公司 | 一种快捷配重式哑铃 |
KR20230123321A (ko) | 2022-02-16 | 2023-08-23 | 신영하 | 탈착식 중량판을 가지는 운동기구의 중량판 탈부착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이 적용된 운동기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69356B (zh) * | 2020-05-29 | 2024-09-17 | 永康市原野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 便于调节重量的哑铃 |
CN212347551U (zh) * | 2020-09-24 | 2021-01-15 | 翁高望 | 一种重量可调节式哑铃 |
CN217091919U (zh) * | 2022-02-21 | 2022-08-02 | 浙江康王工贸有限公司 | 一种便于调节负重的哑铃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92808A (ja) | 2004-01-07 | 2005-07-21 | Yasue Chin | 亜鈴 |
JP2005528960A (ja) | 2002-06-07 | 2005-09-29 | ノーティラ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調整可能なダンベル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4727B1 (ko) * | 2011-11-11 | 2013-08-08 | 김태화 | 무게조절용 조립식 아령 |
KR101318546B1 (ko) * | 2012-10-15 | 2013-10-16 | 안태진 | 중량 조절형 아령 |
KR101677845B1 (ko) * | 2015-06-11 | 2016-11-30 | 한동진 | 스마트 덤벨 기구 |
-
2017
- 2017-01-04 KR KR1020170001175A patent/KR10172887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2-18 WO PCT/KR2017/014937 patent/WO201812830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528960A (ja) | 2002-06-07 | 2005-09-29 | ノーティラ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調整可能なダンベル装置 |
JP2005192808A (ja) | 2004-01-07 | 2005-07-21 | Yasue Chin | 亜鈴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73144A (zh) * | 2017-11-07 | 2019-01-11 | 深圳市心版图科技有限公司 | 一种共享杠铃 |
CN109173144B (zh) * | 2017-11-07 | 2021-07-30 | 深圳市心版图科技有限公司 | 一种共享杠铃 |
CN114011011A (zh) * | 2021-12-01 | 2022-02-08 | 江苏万喜至工业设计有限公司 | 一种快捷配重式哑铃 |
KR20230123321A (ko) | 2022-02-16 | 2023-08-23 | 신영하 | 탈착식 중량판을 가지는 운동기구의 중량판 탈부착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이 적용된 운동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28300A1 (ko) | 2018-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8872B1 (ko) | 중량 조절형 아령 | |
US11452900B2 (en) | Resistance band assembly | |
US9675832B2 (en) | Interchangeable resistance tube assembly | |
US9155930B2 (en) | Kinetic dumbbell | |
US9555278B2 (en) | Strength training and stretching system and resistance band assembly for use therewith | |
US9555280B2 (en) | Attachment assembly for an exercise device and an exercise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 |
US9682267B2 (en) | Insert for use with a resistance band assembly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 |
US8021286B2 (en) | Exercise apparatus with adjustable resistance | |
US10252099B2 (en) | Portable opposably mounted pull up device | |
US20070219074A1 (en) | Wearable resistanc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 |
US20140162852A1 (en) | Mini wave exercise machine | |
US10737133B2 (en) | Muscle exercising apparatus | |
US20150126345A1 (en) | Variable resistance band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US20130260969A1 (en) | Resistance adjustable rotational exerciser | |
US20100093506A1 (en) | Exercise device | |
JP6820638B1 (ja) | マルチハンドアングルケーブルアタッチメント | |
US20090286660A1 (en) |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 |
US9713736B2 (en) | Dumbbell with detachable weights | |
US20170203145A1 (en) | Conditioning Rope with Exchange Handle | |
KR102573355B1 (ko) | 허리 베개 지지력 조절 구조 및 시트 | |
CA2941379C (en) | Exercise aid | |
EP3171948B1 (en) | An adjustment device for exercise apparatuses | |
EP3102295B1 (en) | Strength training and stretching system and resistance band assembly for use therewith | |
KR101778879B1 (ko) | 시소형태의 밸런스 운동기구 | |
KR200429278Y1 (ko) | 완력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