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817B1 - 배전반용 내진 외함의 벽들을 결합시키는 브래킷 - Google Patents

배전반용 내진 외함의 벽들을 결합시키는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817B1
KR101728817B1 KR1020160157305A KR20160157305A KR101728817B1 KR 101728817 B1 KR101728817 B1 KR 101728817B1 KR 1020160157305 A KR1020160157305 A KR 1020160157305A KR 20160157305 A KR20160157305 A KR 20160157305A KR 101728817 B1 KR101728817 B1 KR 101728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ing
contact portion
rising
rectangular plates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복성
양대석
한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명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명전기
Priority to KR1020160157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4Corner connections for frame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방형 확장 밀착부와 Z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확장 밀착부 사이에 개재된 부가의 쇄기형 버팀쇠가 X축과 Z축 방향에서의 외력에 견디게 하고, 2개의 절곡부에 마련된 2개의 쇄기형 버팀쇠들 중 하나의 쇄기형 버팀쇠가 X축과 Y축 방향에서의 외력에 견디게 하고,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쇄기형 버팀쇄가 Y축과 Z축 방향에서의 외력에 견디게 하여, 브래킷이 동일한 갯수(2개)의 3축(X축, Y축 및 Z축) 방향에서 균형을 잡고서 보강된 구조를 갖게 되어,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에서 지진파가 발생하여도 브래킷이 상기 절곡부에서 절곡되거나 벌어지게 변형이 방지되어 배전반의 외함이 지진에 견딜 수 있게 하는 배전반의 외함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반용 내진 외함의 벽들을 결합시키는 브래킷{bracket for combine walls of seismic case for switchgear}
본 발명은 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및 분전반 등을 의미하는 배전반용 내진 외함에 구비되는 벽들을 결합시키는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일련의 장치를 통해 각 부하에 배분해 주고,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단기나 보호계전기 등과 같은 각종 단위 기기와, 이들 단위 기기를 부착 지지하는 구조물과, 상기 단위 기기를 접속 및 연결하는 도체(Bus bar, Cable)의 집합체이다.
이러한 배전반은 분류하는 관점에 따라서 구조에 의한 분류, 차폐에 의한 분류, 제어대상·기능·용도에 의한 분류, 전압계급에 의한 분류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그리고, 배전반은 각종 차단기 및 계전기 등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점검, 보수를 용이하도록 개폐식 도어를 구비한 외함을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용 외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용 외함은 외관 틀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바아(10)와, 상기 바아(10)를 상호 연결하는 브래킷(20)과, 상기 바아(10)의 외면에 부착되는 외관패널(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용 외함은 상기 바아(10)를 이용한 배전반의 외관틀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바아(10)는 별도의 금형을 통해 개별적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그에 따른 금형 제작비용 및 자제부품 비용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바아(10)를 이용하여 외관틀을 완성시킨 후 다시 외관패널(30)을 바아(10)에 고정하는 공정 등의 복잡한 조립공정이 증가하게 되므로 그에 따른 작업시간 및 작업능률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전반용 외함 내부의 공간이 상기 바아(10)에 의해 줄어드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배전반용 외함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등록된 제10-152423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배전반용 외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가이, 배전반 외형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패널(30); 및 상기 복수개의 패널들을 상호 결속 상태로 연결하는 브래킷(20)을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20)은 상기 패널의 일측 단부에서 X축 방향으로 절곡되어 Y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절곡부의 내면에 대하여 직접 외면이 밀착되도록 Y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메인 밀착부(21)와, 상기 메인 밀착부의 일측 상단과 하단이 Y축 방향으로 절곡되어 X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상태에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2개의 패널의 내표면에 대하여 직접 면 밀착이 이루어지는 2개의 확장 밀착부(22, 22)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전반용 외함의 브래킷에서는 2개의 확장 밀착부가 메인 밀착부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만 절곡되어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에서 지진파가 발생하게 되면, 브래킷이 상기 절곡부에서 용이하게 더 절곡되거나 더 벌어지게 되어, 결국, 배전반의 외함이 비틀어져서 파손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브래킷의 외형을 변경시킴 없이 쇄기형 버팀쇠를 이용하여 구조적 취약 부위를 보강시켜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브래킷에 마련된 2개의 절곡부 각각에 쇄기형 버팀쇠를 개재하여 이들과 이웃하는 확장 밀착부와 메인 밀착부에 암수결합방식으로 끼워서 이들을 용접하고, Z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확장 밀착부와 X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확장 밀착부 사이에 X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장방형 확장 밀착부를 개재하여 상기 Z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확장 밀착부의 변들중 상기 X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확장 밀착부와 마주하는 변과 상기 장방형 확장 밀착부의 하부 가로변를 용접에 의해 결합시키고, 상기 장방형 확장 밀착부의 일측 세로변과 메인 밀착부의 하부 일측 변을 용접에 의해 결합시키고, 상기 장방형 확장 밀착부의 타측 세로변과 상기 Z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확장 밀착부의 변들 중 상기 메인 밀착부에 등을 진 변 사이에 부가의 쇄기형 버팀쇠를 개재하여 장방형 확장 밀착부와 상기 Z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확장 밀착부에 암수결합방식으로 끼워서 이들을 용접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방형 확장 밀착부와 Z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는 확장 밀착부 사이에 개재된 부가의 쇄기형 버팀쇠가 X축과 Z축 방향에서의 외력에 견디게 하고, 2개의 절곡부에 마련된 2개의 쇄기형 버팀쇠들 중 하나의 쇄기형 버팀쇠가 X축과 Y축 방향에서의 외력에 견디게 하고,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쇄기형 버팀쇄가 Y축과 Z축 방향에서의 외력에 견디게 하여, 브래킷이 동일한 갯수(2개)의 3축(X축, Y축 및 Z축) 방향에서 균형을 잡고서 보강된 구조를 갖게 되어,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에서 지진파가 발생하여도 브래킷이 상기 절곡부에서 절곡되거나 벌어지게 변형이 방지되어 배전반의 외함이 지진에 견딜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 외함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배전반 외함의 브래킷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브래킷을 이용하여 외함의 패널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브래킷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실시예의 브래킷이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100)은, 복수개의 볼트구멍(11)들이 형성된 L자형의 기립 메인 밀착부(10),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하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Y축 방향으로 뻗어서 Z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고 볼트구멍(21)이 형성된 수평 밀착부(20),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수평 방향 일측 상부 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Y축 방향으로 뻗어서 X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고 복수개의 볼트구멍(31)이 형성된 기립 분기 밀착부(30)를 동일한 두께를 갖고서 종래와 같이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L자형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상변과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상변 사이에는 수평자세로 된 직삼각형 형상의 쇄기형 수평 버팀쇠(40)가 개재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L자형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수평방향 타측 하부 변과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들 중에서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등을 진 변에는 수직자세로 된 직삼각형 형상의 쇄기형 수직 버팀쇠(50)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쇄기형 수평 버팀쇠(40)의 세로변과 가로변에는 숫형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L자형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상변과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상변에는 상기 숫형부(41)에 압수결합될 수 있는 암형부(42)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L자형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상변,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상변, 상기 쇄기형 수평 버팀쇠(40)의 세로변과 가로변 및 상기 숫형부(41)와 상기 암형부(42)에 의해 서로 맞닿는 부위들이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쇄기형 수직 버팀쇠(50)의 세로변과 가로변에는 숫형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L자형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수평방향 타측 하부 변과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들 중에서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등을 진 변에는 상기 숫형부(51)에 압수결합될 수 있는 암형부(52)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L자형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수평방향 타측 하부 변,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들 중에서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등을 진 변, 상기 쇄기형 수직 버팀쇠(50)의 세로변과 가로변 및 상기 숫형부(51)와 상기 암형부(52)에 의해 서로 맞닿는 부위들이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와 마주하는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과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하변 사이에는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서 복수개의 볼트구멍(61)이 형성된 장방형의 제3의 기립 밀착부(60)가 개재된 상태에서, 제3의 기립 밀착부(60)의 하변이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와 마주하는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메인 밀착부(10)에 인접한 제3의 기립 밀착부(60)의 측변이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에 인접한 상기 메인 밀착부(10)의 측변 하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등을 진 상기 제3의 기립 밀착부(60)의 측변과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들 중에서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등을 진 변에는 수직자세로 된 직삼각형 형상의 제2의 쇄기형 수직 버팀쇠(70)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쇄기형 수직 버팀쇠(70)의 세로변과 가로변에는 숫형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등을 진 상기 제3의 기립 밀착부(60)의 측변과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들 중에서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등을 진 변에는 상기 숫형부(71)에 압수결합될 수 있는 암형부(72)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등을 진 상기 제3의 기립 밀착부(60)의 측변,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들 중에서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등을 진 변, 상기 쇄기형 수직 버팀쇠(70)의 세로변과 가로변 및 상기 숫형부(71)와 상기 암형부(72)에 의해 서로 맞닿는 부위들이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브래킷(100)은, 바닥이 없는 육면체 형상의 천장패널(1)의 4개의 측벽(1a)의 외면에 일 측변이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벽부(3a)를 구비한 4개의 장방형 판(3)의 상단 내면이 맞닿음되어 있고, 천장이 없는 육면체 형상의 바닥패널(2)의 4개의 측벽(2a)의 상기 외면에 상기 4개의 장방형 판(3)의 하단 내면이 맞닿음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4개의 장방형 판(3)들의 절곡벽부(3a)들의 외면에 인접한 상기 4개의 장방형 판(3)들의 타 측변 내면이 맞닿음되어서, 조립된 함체(5)의 8개의 내부 모서리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게 된다.
즉, 상기 8개의 내부 모서리 중 상부에 위치된 4개의 모서리 각각에 배치된 브래킷(100)에서는,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상부가 상기 천장패널(1)의 4개의 측벽(1a) 중 하나의 측벽에 상부에서 맞닿음하고,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하부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절곡벽부(3a)에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볼트가 상기 하나의 장방형 판의 절곡벽부(3a)의 외면에 맞닿음하는 다른 하나의 장방형 판의 타 측변, 상기 하나의 장방형 판의 절곡벽부(3a) 및 상기 천장패널(1)의 하나의 측벽(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구멍(11)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수평 밀착부(20)가 상기 천장패널(1)의 4개의 모서리 중 하나의 모서리 부위에 있는 내면에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볼트가 상기 천장패널(1)과 상기 수평 밀착부(20)에 형성된 상기 볼트구멍(21)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3의 기립 밀착부(60)가 상기 천장패널(1)의 4개의 측벽(1a) 중 하나의 측벽에 상부에서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볼트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상변 및 상기 천장패널(1)의 하나의 측벽(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3의 기립 밀착부(6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구멍(61)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그리고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상부 내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페이서 등을 개재하여 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와 마주하는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상부 내면 부위가 절곡처리되어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볼트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상부와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3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방식으로 4개의 장방형 판(3)과 상기 천장패널(1)이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8개의 내부 모서리 중 하부에 위치된 4개의 모서리 각각에 배치된 브래킷(100)에서는,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하부가 상기 바닥패널(2)의 4개의 측벽(2a) 중 하나의 측벽에 상부에서 맞닿음하고,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상부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절곡벽부(3a)에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볼트가 상기 하나의 장방형 판의 절곡벽부(3a)의 외면에 맞닿음하는 다른 하나의 장방형 판의 타 측변, 상기 하나의 장방형 판의 절곡벽부(3a) 및 상기 바닥패널(2)의 하나의 측벽(2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구멍(11)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수평 밀착부(20)가 상기 바닥패널(2)의 4개의 모서리 중 하나의 모서리 부위에 있는 내면에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볼트가 상기 바닥패널(2)과 상기 수평 밀착부(20)에 형성된 상기 볼트구멍(21)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3의 기립 밀착부(60)가 상기 바닥패널(2)의 4개의 측벽(2a) 중 하나의 측벽에 상부에서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볼트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하변 및 상기 바닥패널(2)의 하나의 측벽(2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3의 기립 밀착부(6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구멍(61)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그리고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하부 내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페이서 등을 개재하여 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와 마주하는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하부 내면 부위가 절곡처리되어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볼트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하부와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3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방식으로 4개의 장방형 판(3)과 상기 바닥패널(2)이 고정되게 된다.
상기 함체(5)의 내부의 8개의 모서리 각각에 상기 브래킷(100)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쇄기형 수평 버팀쇠(40)가 X축과 Y축 방향에서의 외력에 견디게 하고 상기 쇄기형 수직 버팀쇠(50)가 Y축과 Z축 방향에서의 외력에 견디게 하고 그리고 제2의 쇄기형 수직 버팀쇠(70)가 X축과 Z축 방향에서의 외력에 견디게 하여, 브래킷이 동일한 갯수(2개)의 3축(X축, Y축 및 Z축) 방향에서 균형을 잡고서 보강된 구조를 갖게 되어,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에서 지진파가 발생하여도 브래킷이 상기 절곡부에서 절곡되거나 벌어지게 변형이 방지되어 배전반의 함체(5)가 지진에 견딜 수 있게 된다.
10; 기립 메인 밀착부, 20; 수평 밀착부, 30; 기립 분기 밀착부, 40; 쇄기형 수평 버팀쇠, 50; 쇄기형 수직 버팀쇠, 60; 제3의 기립 밀착부, 70; 제2의 쇄기형 수직 버팀쇠

Claims (4)

  1. 바닥이 없는 육면체 형상의 천장패널(1)의 4개의 측벽(1a)의 외면에 일 측변이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벽부(3a)를 구비한 4개의 장방형 판(3)의 상단 내면이 맞닿음되어 있고, 천장이 없는 육면체 형상의 바닥패널(2)의 4개의 측벽(2a)의 상기 외면에 상기 4개의 장방형 판(3)의 하단 내면이 맞닿음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4개의 장방형 판(3)들의 절곡벽부(3a)들의 외면에 인접한 상기 4개의 장방형 판(3)들의 타 측변 내면이 맞닿음되어서, 조립된 함체(5)의 8개의 내부 모서리에, 장착되는 브래킷(100)에 있어서,
    복수개의 볼트구멍(11)들이 형성된 L자형의 기립 메인 밀착부(10),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하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Y축 방향으로 뻗어서 Z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고 볼트구멍(21)이 형성된 수평 밀착부(20),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수평 방향 일측 상부 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Y축 방향으로 뻗어서 X축 방향으로 면하고 있고 복수개의 볼트구멍(31)이 형성된 기립 분기 밀착부(30)를 동일한 두께를 갖고서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L자형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상변과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상변 사이에는 수평자세로 된 직삼각형 형상의 쇄기형 수평 버팀쇠(40)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L자형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수평방향 타측 하부 변과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들 중에서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등을 진 변에는 수직자세로 된 직삼각형 형상의 쇄기형 수직 버팀쇠(50)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와 마주하는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과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하변 사이에는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서 복수개의 볼트구멍(61)이 형성된 장방형의 제3의 기립 밀착부(60)가 개재된 상태에서, 제3의 기립 밀착부(60)의 하변이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와 마주하는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메인 밀착부(10)에 인접한 제3의 기립 밀착부(60)의 측변이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에 인접한 상기 메인 밀착부(10)의 측변 하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등을 진 상기 제3의 기립 밀착부(60)의 측변과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들 중에서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등을 진 변에는 수직자세로 된 직삼각형 형상의 제2의 쇄기형 수직 버팀쇠(70)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함체(5)의 상기 8개의 내부 모서리 중 상부에 위치된 4개의 모서리 각각에 배치된 브래킷(100)에서는,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상부가 상기 천장패널(1)의 4개의 측벽(1a) 중 하나의 측벽에 상부에서 맞닿음하고,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하부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절곡벽부(3a)에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볼트가 상기 하나의 장방형 판의 절곡벽부(3a)의 외면에 맞닿음하는 다른 하나의 장방형 판의 타 측변, 상기 하나의 장방형 판의 절곡벽부(3a) 및 상기 천장패널(1)의 하나의 측벽(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구멍(11)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수평 밀착부(20)가 상기 천장패널(1)의 4개의 모서리 중 하나의 모서리 부위에 있는 내면에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볼트가 상기 천장패널(1)과 상기 수평 밀착부(20)에 형성된 상기 볼트구멍(21)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3의 기립 밀착부(60)가 상기 천장패널(1)의 4개의 측벽(1a) 중 하나의 측벽에 상부에서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볼트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상변 및 상기 천장패널(1)의 하나의 측벽(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3의 기립 밀착부(6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구멍(61)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그리고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상부 내면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또는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와 마주하는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상부 내면 부위가 절곡처리되어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볼트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상부와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3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방식으로 4개의 장방형 판(3)과 상기 천장패널(1)이 고정되고,
    상기 8개의 내부 모서리 중 하부에 위치된 4개의 모서리 각각에 배치된 브래킷(100)에서는,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하부가 상기 바닥패널(2)의 4개의 측벽(2a) 중 하나의 측벽에 상부에서 맞닿음하고,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상부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절곡벽부(3a)에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볼트가 상기 하나의 장방형 판의 절곡벽부(3a)의 외면에 맞닿음하는 다른 하나의 장방형 판의 타 측변, 상기 하나의 장방형 판의 절곡벽부(3a) 및 상기 바닥패널(2)의 하나의 측벽(2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구멍(11)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수평 밀착부(20)가 상기 바닥패널(2)의 4개의 모서리 중 하나의 모서리 부위에 있는 내면에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볼트가 상기 바닥패널(2)과 상기 수평 밀착부(20)에 형성된 상기 볼트구멍(21)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3의 기립 밀착부(60)가 상기 바닥패널(2)의 4개의 측벽(2a) 중 하나의 측벽에 상부에서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볼트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하변 및 상기 바닥패널(2)의 하나의 측벽(2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3의 기립 밀착부(6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구멍(61)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그리고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하부 내면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또는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와 마주하는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하부 내면 부위가 절곡처리되어 맞닿음하는 상태에서 볼트가 4개의 장방형 판(3) 중 하나의 장방형 판의 하부와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3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방식으로 4개의 장방형 판(3)과 상기 바닥패널(2)이 고정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내진 외함의 벽들을 결합시키는 브래킷.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쇄기형 수평 버팀쇠(40)의 세로변과 가로변에는 숫형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L자형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상변과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상변에는 상기 숫형부(41)에 압수결합될 수 있는 암형부(42)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L자형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상변,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상변, 상기 쇄기형 수평 버팀쇠(40)의 세로변과 가로변 및 상기 숫형부(41)와 상기 암형부(42)에 의해 서로 맞닿는 부위들이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쇄기형 수직 버팀쇠(50)의 세로변과 가로변에는 숫형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L자형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수평방향 타측 하부 변과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들 중에서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등을 진 변에는 상기 숫형부(51)에 압수결합될 수 있는 암형부(52)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L자형 기립 메인 밀착부(10)의 수평방향 타측 하부 변,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들 중에서 상기 기립 분기 밀착부(30)의 등을 진 변, 상기 쇄기형 수직 버팀쇠(50)의 세로변과 가로변 및 상기 숫형부(51)와 상기 암형부(52)에 의해 서로 맞닿는 부위들이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쇄기형 수직 버팀쇠(70)의 세로변과 가로변에는 숫형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등을 진 상기 제3의 기립 밀착부( 60 )의 측변과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들 중에서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등을 진 변에는 상기 숫형부(71)에 압수결합될 수 있는 암형부(72)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등을 진 상기 제3의 기립 밀착부(60)의 측변, 상기 수평 밀착부(20)의 변들 중에서 상기 기립 메인 밀착부(10)에 등을 진 변, 상기 쇄기형 수직 버팀쇠(70)의 세로변과 가로변 및 상기 숫형부(71)와 상기 암형부(72)에 의해 서로 맞닿는 부위들이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내진 외함의 벽들을 결합시키는 브래킷.
  3. 삭제
  4. 삭제
KR1020160157305A 2016-11-24 2016-11-24 배전반용 내진 외함의 벽들을 결합시키는 브래킷 KR101728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305A KR101728817B1 (ko) 2016-11-24 2016-11-24 배전반용 내진 외함의 벽들을 결합시키는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305A KR101728817B1 (ko) 2016-11-24 2016-11-24 배전반용 내진 외함의 벽들을 결합시키는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817B1 true KR101728817B1 (ko) 2017-04-20

Family

ID=5870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305A KR101728817B1 (ko) 2016-11-24 2016-11-24 배전반용 내진 외함의 벽들을 결합시키는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342B1 (ko) * 2023-04-25 2023-11-02 태일전기(주) 내진 구조가 적용된 수배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464Y1 (ko) 1999-04-09 2001-11-16 한상준 배전반 프레임용 코너연결구 설치구조
JP2002314274A (ja) * 2001-04-09 2002-10-25 Mitsubishi Electric Corp 制御盤筐体
KR101524233B1 (ko) 2014-08-28 2015-06-02 주식회사 광명전기 배전반용 외함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464Y1 (ko) 1999-04-09 2001-11-16 한상준 배전반 프레임용 코너연결구 설치구조
JP2002314274A (ja) * 2001-04-09 2002-10-25 Mitsubishi Electric Corp 制御盤筐体
KR101524233B1 (ko) 2014-08-28 2015-06-02 주식회사 광명전기 배전반용 외함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342B1 (ko) * 2023-04-25 2023-11-02 태일전기(주) 내진 구조가 적용된 수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5294B2 (en) Enclosed switchboard
KR101757664B1 (ko) 내진 프레임 구조를 갖는 배전반 및 그 제작방법
KR10168111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1524233B1 (ko) 배전반용 외함 조립체
CA2961591C (en) Variou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low profile integrated power distribution platform
KR20090117086A (ko) 내진형 폐쇄 수배전반
KR102146064B1 (ko) 분전반용 연결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KR101270556B1 (ko) 다중 절곡 방식에 의하여 형상화된 외함구조 보강형 배전반
KR101728817B1 (ko) 배전반용 내진 외함의 벽들을 결합시키는 브래킷
CN203813374U (zh) 组合式防涡流高压共箱封闭母线系统装置
KR101089092B1 (ko) 컨트롤 캐비닛용 프레임
KR101751651B1 (ko) 이중 및 대칭구조 3축 코너편을 적용한 볼팅구조 내진 배전반
CN102709821A (zh) 一种船用低压配电柜柜体
KR101617876B1 (ko) 조립식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수배전반
KR101681108B1 (ko) 내진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2562267B1 (ko) 3축 내진 기능을 갖는 배전반
JP3056164B2 (ja) 機器収納用筐体
KR101771977B1 (ko) 대칭형 k-형 프레임을 적용한 내진 배전반
KR101716246B1 (ko) 배전반용 내진 외함의 구조
KR20120045704A (ko) 조립식 분전반
US4361369A (en) Switchgear with enclosure
CN202651648U (zh) 一种船用低压配电柜柜体
WO2012124296A1 (ja) 制御盤用組立式筐体及びその組立方法
KR102624029B1 (ko) 내진 어셈블리를 이용한 내진성능이 강화된 배전반
JP2860861B2 (ja) 組立式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