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098B1 -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098B1
KR101728098B1 KR1020160026255A KR20160026255A KR101728098B1 KR 101728098 B1 KR101728098 B1 KR 101728098B1 KR 1020160026255 A KR1020160026255 A KR 1020160026255A KR 20160026255 A KR20160026255 A KR 20160026255A KR 101728098 B1 KR101728098 B1 KR 101728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let
powder
pore
primary
po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환
이성민
Original Assignee
네오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오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6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018Mixed oxides or hydroxides
    • C01G49/0036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one alkaline earth metal, magnesium or l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14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C01P2004/34Spheres hol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atalyst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a) 공기정화제 분말과 성형용 솔벤트를 제조하는 단계; (b) 각각 제조된 상기 공기정화제 분말과 상기 솔벤트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을 압착시켜 1차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1차 성형물을 하소 과정과 폴리싱 과정을 거쳐 1차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1차 기공이 형성된 성형물을 진공과정을 거쳐 2차 기공을 형성하여 최종 성형물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기공이 형성된 펠렛형태의 공기정화제는 종래의 공기정화제보다 우수한 정화기능을 가지면서도 취급 및 응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종래의 공기정화제 분말형태가 미분진 과다 발생으로 인해 필터의 내구성 감소, 공기정화제 분말과 오염된 공기의 접촉율 감소 등에 따른 반응시간 소모가 많고, 단시간내에 효율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Process method for the making micropore in the pellet}
본 발명은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성이 없는 분말로 된 공기정화제의 취급성과 응용성을 확보하도록 점성이 없는 분말로부터 기공이 형성된 성형물인 펠렛을 제작하기 위한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되어 오던 공기정화제는 분말형태로 제공되어 공기중의 습도 및 수용성 철화합물을 분해 촉매제로 하여 포름알데히드,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등과 같은 휘발성 유해물질, 유해가스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산소를 발생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말형태의 공기정화제는 취급성 및 작업성이 좋지 못해 생산성 저하 및 응용면에 한계가 있어왔다.
더욱이, 요즘은 실내외의 공기에 함유된 유해가스(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벤젠 및 톨루엔 등)가 아토피 피부염 및 기관지염과 중추신경 장애 및 각종 암을 유발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유해화학물질 노출로 인한 건강영향이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추세이고, 이에 맞추어 산소발생기나 공기청정기 등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바, 여기에 사용되는 공기정화제는 손쉽게 취급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될 수 있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9557호에는 알칼리토금속인 과산화칼슘과 과산화칼슘의 분해촉매로서 구연산 제2철, 염화 제1철, 염화 제2철, 초산 제1철, 개미산 제2철, 글루콘산 제1철, 페릭글리코포스페이트, 질산 제2철, 옥살산 제2철, 페릭올쏘포스페이트, 요오드화 제1철, 젖산 제1철, 황산 제1철, 황산 제2철, 카토센과 같은 15 종의 수용성 철 화합물 중 한 개 혹은 두 개를 선택하고, 과산화칼슘 1g 에 대하여 분해촉매(수용성 철 화합물) 0.001~0.05g 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공기 중의 산성가스와 포름알데히드의 제거 및 공기 살균과 동시에 산소를 발생시키는 공기 정화제 조성물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는 분말형태로 구비되어 공기중의 습도에 의해 수용성 철화합물이 분해촉매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선행자료 역시 분말형태로 구비되어 그 효용성에도 불구하고 취급이 용이하지 않고 생산성 및 응용면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공기정화제 분말형태는 공기청정기에 적용하는 경우 미분진 과다 발생으로 인해 필터의 내구성 감소, 공기정화제 분말과 오염된 공기의 접촉율 감소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켜 성능을 나타내기에는 반응시간 소모가 많으며, 단시간내에 효율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955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점성이 없는 분말로 된 공기정화제의 취급성과 응용성을 확보하도록 기공이 형성된 성형물인 펠렛을 제작하기 위한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은,
(a) 공기정화제 분말과 성형용 솔벤트를 제조하는 단계;
(b) 각각 제조된 상기 공기정화제 분말과 상기 솔벤트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을 압착시켜 1차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1차 성형물을 하소 과정과 폴리싱 과정을 거쳐 1차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1차 기공이 형성된 성형물을 진공과정을 거쳐 2차 기공을 형성하여 최종 성형물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에서,
상기 (a)단계의 공기정화제 분말은 알카리 토금속과 수용성 철화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알칼리토금속은 과산화칼슘 또는 과산화 마그네슘이고,
상기 수용성 철화합물은 구연산 제2철, 염화 제1철, 염화 제2철, 초산 제1철, 개미산 제2철, 글루콘산 제1철, 페릭글리코포스페이트, 질산 제2철, 옥살산 제2철, 페릭올쏘포스페이트, 요오드화 제1철, 젖산 제1철, 황산 제1철, 황산 제2철, 카토센으로 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에서,
상기 (a)단계의 성형용 솔벤트는 분산제 10~30중량부, 기공형성제 70~90중량부에 결합제 1.5~4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에서,
상기 분산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노르말부탄올, 이소부탄올, 헥산올, 벤질 알콜, 디아세톤 알콜을 포함하는 알콜계 용매로 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에서,
상기 기공형성제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탄, 디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를 포함하는 지방족 염화탄화수소계 용매로 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에서,
상기 결합제는 셀룰로오즈 유도체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로 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에서,
상기 (b)단계의 공기정화제 분말과 솔벤트의 혼합함량은,
공기정화제 분말 70~80중량%와 성형용 솔벤트 20~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에서,
상기 (c)단계의 1차 성형물 제조단계는,
각각의 외측 표면에 무수히 많은 반구형태나 원반형태, 원주형태 또는 각주형태의 요철이 형성된 2개의 원형롤을 구비한 구형 펠렛 성형장치의 양쪽의 원형롤 사이에 상기 혼합물을 투입하여, 양쪽의 롤이 서로 대응되어 미는 압력으로 각 원형롤의 외측표면의 반구나 원반, 원주 또는 각주안에 있는 혼합물이 서로 압착되어 무수히 많은 1차 성형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에서,
상기 (d)단계의 1차 기공형성단계는,
상기 제조된 1차 성형물을 건조기내에서 1~2시간 60~70℃온도로 열풍가열하여 상기 솔벤트를 휘발시키는 하소과정과 폴리싱과정을 거쳐 형성되며, 상기 형성된 1차 기공에 의해 성형물의 표면적은 분말대비 증가율이 30~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에서,
상기 (e) 2차 기공형성 및 최종 성형물 완성단계는,
상기 1차 기공이 형성된 1차 성형물을 진공상태로 12~16 시간 방치하여 2차 기공을 형성하며, 상기 2차 기공형성과정에 의해 상기 1차 성형물은 표면적이 10~20%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에 의해 제조된 공기정화제 펠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은 점성이 없는 분말로 된 공기정화제의 취급성과 응용성을 확보하도록 기공이 형성된 펠렛형태를 제작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기공이 형성된 펠렛형태의 공기정화제는 종래의 공기정화제보다 우수한 정화기능을 가지면서도 취급 및 응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기공이 형성된 펠렛형태의 공기정화제는 종래의 공기정화제 분말형태가 미분진 과다 발생으로 인해 필터의 내구성 감소, 공기정화제 분말과 오염된 공기의 접촉율 감소 등에 따른 반응시간 소모가 많고, 단시간내에 효율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의 간략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의 간략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의 공정순서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공기정화제 분말과 성형용 솔벤트 제조단계
우선, 점성이 없는 공기정화제 분말을 성형물로 제조하기 위하여 분말과 혼합할 성형용 솔벤트를 제조한다.
여기서, 공기정화제 분말은 알카리 토금속과 수용성 철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알칼리토금속으로는 과산화칼슘이 바람직하며, 수용성 철화합물로는 구연산 제2철, 염화 제1철, 염화 제2철, 초산 제1철, 개미산 제2철, 글루콘산 제1철, 페릭글리코포스페이트, 질산 제2철, 옥살산 제2철, 페릭올쏘포스페이트, 요오드화 제1철, 젖산 제1철, 황산 제1철, 황산 제2철, 카토센으로 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용성 철 화합물은 과산화칼슘의 분해촉매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성형용 솔벤트는 분산제 10~30중량부, 기공형성제 70~90중량부에 결합제 1.5~4중량부, 바람직하게는 분산제 20중량부, 기공형성제 80중량부에 결합제 2.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분산제는 솔벤트내에서 공기정화분말의 균형있는 분포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함으로, 메탄올, 에탄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노르말부탄올, 이소부탄올, 헥산올, 벤질 알콜, 디아세톤 알콜을 포함하는 알콜계 용매로 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기공형성제는 결합된 분말과 분말내부의 미세기공형성을 위한 것으로 휘발성이 크며,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탄, 디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를 포함하는 지방족 염화탄화수소계 용매로 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제는 셀룰로오즈 유도체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로 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솔벤트는 제조과정에서 각 구성요소가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된 혼합용기내에서 교반속도 300~700rpm, 바람직하게는 500rpm으로 혼합한다. 이때, 외기온도는 대략 20~25℃가 바람직하며, 외기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상기 각 구성요소를 밀폐용기에 넣고 대략 20~25℃로 중탕가열하여 솔벤트를 제조한다.
솔벤트의 각 구성성분의 상기 혼합함량 범위는 점성이 없는 공기정화제 분말을 성형하기 위한 바인더 역할 및 기공형성을 하도록 하기 위한 수치범위로,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난 경우 점성이 없는 공기정화제 분말을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할 수 없는 상태가 도리 뿐만 아니라, 원할한 기공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원하는 효과를 가져오지 못하게 된다.
(b) 공기정화제 분말과 솔벤트를 혼합하는 단계
공기정화제 분말 70~80중량%와 성형용 솔벤트 20~30중량%를 혼합한다.
여기서, 공기정화제 분말과 성형용 솔벤트가 상기 혼합비율을 벗어나게 되면, 즉 솔벤트 함량이 많아지게 되면 반죽상태가 질고 결합제 비율이 커짐에 따라 기공발생율이 감소하고 궁극적으로 성형물에 내포된 기공의 수가 적고 표면적이 감소하여 추후 공기정화제로 사용하는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솔벤트 함량이 적게 되면 성형을 하기 어렵고 성형물이 쉽게 부서질 뿐만아니라 결과적으로 원하는 모양을 제작하기 어렵게 된다.
(c) 1차 성형물 제조단계
혼합물을 원형 펠렛 성형장치에 투입한다.
원형 펠렛 성형장치는 2개의 원형롤을 구비한 장치로, 양쪽의 원형롤은 외측 표면에 무수히 많은 반구 형태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양쪽의 원형롤 사이에 투입된 혼합물은 양쪽의 롤이 서로 대응되어 미는 압력으로 각 롤의 외측표면의 반구안에 있는 무수히 많은 각각의 혼합물이 서로 대응압착되어 무수히 많은 구형의 1차 성형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는 반구형태의 요철과 이로인하여 성형되는 구형 성형물만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두께의 원반형태의 요철과 원반형 성형물, 원주형 또는 각주형 요철과 원주형이나 각주형 성형물, 통공이 형성된 원주형 성형물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d) 1차 기공형성단계
구형으로 제조된 1차 성형물은 건조기내에서 1~2시간 정도 60~70℃온도에서 열풍가열하여 솔벤트를 휘발시키는 하소과정과 폴리싱과정을 거쳐 1차 기공을 형성한다. 형성된 기공에 의해 원형의 1차 성형물, 즉 펠렛의 표면적은 증대된다.
하소과정을 거침으로써 성형물의 결정구조가 이완되어 활성을 갖게 되며, 고온안정상을 갖게 하고 소결시킴으로써 고상반응을 촉진하게 된다.
여기서, 표면적 증가율은 분말의 경우 10%인데 비해 펠렛은 51%로, 분말대비 펠렛의 표면적 증가율은 30~40%이다. 이와 같은 표면적 증가율은 이완된 결정구조의 활성화에 의해 추후 공기정화과정에서 정화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서의 펠렛의 성형물 형태는 표면적을 증가시켜 공기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최대 표면적을 갖도록 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e) 2차 기공형성 및 최종 성형물 완성단계
1~2시간 하소과정과 폴리싱 과정을 거쳐 1차 기공이 형성된 1차 성형물을 진공상태로 12~16 시간 정도 방치하여 2차 기공을 형성하고, 최종 성형물로 펠렛을 완성한다.
여기서, 1차 성형물이 방치되는 진공챔버의 진공압력은 300~800mmHg, 바람직하게는 700mmHg 상태를 유지한다.
2차 기공형성과정에 의해 1차 성형물은 표면적이 10~20% 증가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펠렛은 공기정화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해가스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기타 무수히 많은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제조예1>
먼저, 에탄올 400mL와 디클로르메탄 1.6L, 메틸 셀룰로오즈 50g을 밀폐된 혼합용기내에서 교반속도 500rpm으로 혼합하였다. 이때, 외기온도는 대략 20~25℃가 바람직하다. 외기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상기 각 구성요소를 밀폐용기에 넣고 대략 20~25℃로 중탕가열하여 솔벤트를 제조한다.
또한, 과산화칼슘 990g과 황산제2철 10g을 혼합하여 공기정화분말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공기정화분말 790g과 솔벤트 200mL를 혼합시켜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 혼합물을 펠렛성형장치에 투입하여 원형의 펠렛을 제조한다.
제조된 펠렛은 대략 60℃의 건조기에 넣고 하소와 폴리싱을 대략 1시간 동안 진행하여 1차 기공이 형성된 1차 공기정화제용 펠렛을 제조한다.
하소와 폴리싱 과정을 거친 1차 공기정화제 펠렛을 700mmHg 진공챔버에서 12시간 방치하여 2차 기공이 형성된 최종 공기정화제 펠렛을 제조한다.
<비교예1>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공기정화분말형태를 갖고, 온도 24±5℃, 습도 35±0.5%인 크기 1.1m x 1.1m x 1.8 m의 챔버에서 풍량 10L/min으로 가동하여, 공기정화분말 240g으로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이산화탄소에 대한 제거율 시험을 한 결과,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산성가스인 이산화황, 이산화질소는 최대 6시간만에 79%의 제거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산화탄소의 경우, 반응시간 7시간내에 60%의 제거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기청정기에 적용하기에 분말형태는 미분진 과다 발생으로 인한 후단 필터의 내구성 감소, 공기정화제 분말과 오염된 공기의 접촉율 감소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켜 성능을 나타내기에는 반응시간 소모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6021192556-pat00001
<실시예1>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하소과정과 폴리싱과정을 거쳐 1차 기공이 형성된 1차 공기정화제 펠렛과 진공과정을 거쳐 2차 기공이 형성된 최종 공기정화제 펠렛을 각각 240g 준비하여 가로 277mm 세로 360mm 두께 10mm를 갖는 공기정화용 필터를 제작한 다음 공기청정기에 장착하여, 온도 20±1℃, 습도 45±5%인 크기 1.28m x 1.28m x 2.5 m의 챔버에서 풍량 4~5L/min으로 가동하여, 30분 동안 공기청정기 협회 실내공기청정기 시험방법(SPC-KACA002-132)으로 아래와 같이 시험을 한 결과,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암모니아, 아세트산, 이산화질소에 대해 하소과정과 폴리싱과정을 거쳐 1차 기공이 형성된 1차 공기정화제 펠렛에 비하여 진공과정을 거쳐 2차 기공이 형성된 최종 공기정화제 펠렛의 성능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실시결과로부터 2차 기공이 형성된 최종 제품에 비해 1차 기공만 형성된 경우에는 기공의 불완전성으로 인하여 흡착성능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물론, 측정시간인 30분내에서는 비교예1의 분말형태보다는 훨씬 우수한 제거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6021192556-pat00002
<실시예2>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하소과정과 폴리싱과정을 거쳐 1차 기공이 형성된 1차 공기정화제 펠렛과 진공과정을 거쳐 2차 기공이 형성된 최종 공기정화제 펠렛을 각각 240g 준비하여 가로 277mm 세로 360mm 두께 10mm를 갖는 공기정화용 필터를 제작한 다음 공기청정기에 장착하여, 온도 25±5℃, 습도 51±10%인 크기 1m x 1m x 1 m의 챔버에서 풍량 4~5L/min으로 가동하여, 1시간 동안 이산화탄소 제거율 시험을 한 결과,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소과정과 폴리싱과정을 거쳐 1차 기공이 형성된 1차 공기정화제 펠렛에 비하여 진공과정을 거쳐 2차 기공이 형성된 최종 공기정화제 펠렛의 성능이 20%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실시결과로부터 2차 기공이 형성된 최종 제품에 비해 1차 기공만 형성된 경우에는 기공의 불완전성으로 인하여 이산화탄소 흡착성능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물론, 측정시간인 시간내에서는 비교예1의 분말형태보다는 훨씬 우수한 제거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6021192556-pat00003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Claims (11)

  1. (a) 공기정화제 분말과 성형용 솔벤트를 제조하는 단계;
    (b) 각각 제조된 상기 공기정화제 분말과 상기 솔벤트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혼합물을 압착시켜 1차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1차 성형물을 하소 과정과 폴리싱 과정을 거쳐 1차 기공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1차 기공이 형성된 성형물을 진공과정을 거쳐 2차 기공을 형성하여 최종 성형물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d)단계의 1차 기공형성단계는,
    상기 제조된 1차 성형물을 1~2시간 60~70℃온도로 열풍가열하여 상기 솔벤트를 휘발시키는 하소과정과 폴리싱과정을 거쳐 형성되며, 상기 형성된 1차 기공에 의해 성형물의 표면적은 분말대비 증가율이 3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공기정화제 분말은 알카리 토금속과 수용성 철화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알칼리토금속은 과산화칼슘 또는 과산화 마그네슘이고,
    상기 수용성 철화합물은 구연산 제2철, 염화 제1철, 염화 제2철, 초산 제1철, 개미산 제2철, 글루콘산 제1철, 페릭글리코포스페이트, 질산 제2철, 옥살산 제2철, 페릭올쏘포스페이트, 요오드화 제1철, 젖산 제1철, 황산 제1철, 황산 제2철, 카토센으로 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성형용 솔벤트는 분산제 10~30중량부, 기공형성제 70~90중량부에 결합제 1.5~4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노르말부탄올, 이소부탄올, 헥산올, 벤질 알콜, 디아세톤 알콜을 포함하는 알콜계 용매로 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형성제는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탄, 디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를 포함하는 지방족 염화탄화수소계 용매로 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셀룰로오즈 유도체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로 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공기정화제 분말과 솔벤트의 혼합함량은,
    공기정화제 분말 70~80중량%와 성형용 솔벤트 20~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1차 성형물 제조단계는,
    각각의 외측 표면에 무수히 많은 반구형태나 원반형태, 원주형태 또는 각주형태의 요철이 형성된 2개의 원형롤을 구비한 구형 펠렛 성형장치의 양쪽의 원형롤 사이에 상기 혼합물을 투입하여, 양쪽의 롤이 서로 대응되어 미는 압력으로 각 원형롤의 외측표면의 반구나 원반, 원주 또는 각주안에 있는 혼합물이 서로 압착되어 무수히 많은 1차 성형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 2차 기공형성 및 최종 성형물 완성단계는,
    상기 1차 기공이 형성된 1차 성형물을 진공상태로 12~16 시간 방치하여 2차 기공을 형성하며, 상기 2차 기공형성과정에 의해 상기 1차 성형물은 표면적이 10~20%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8항, 또는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에 의해 제조된 공기정화제 펠렛.
KR1020160026255A 2016-03-04 2016-03-04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KR101728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255A KR101728098B1 (ko) 2016-03-04 2016-03-04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255A KR101728098B1 (ko) 2016-03-04 2016-03-04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098B1 true KR101728098B1 (ko) 2017-04-18

Family

ID=5870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255A KR101728098B1 (ko) 2016-03-04 2016-03-04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0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0385A (zh) * 2018-11-30 2019-04-02 广东美沃布朗科技有限公司 一种增氧且可释放负氧离子的新型功能滤料及其制备方法
WO2020111341A1 (ko) * 2018-11-30 2020-06-04 주식회사 감성 공기정화제 펠릿 제조방법
KR20210149504A (ko) 2020-06-02 2021-12-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산성가스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0385A (zh) * 2018-11-30 2019-04-02 广东美沃布朗科技有限公司 一种增氧且可释放负氧离子的新型功能滤料及其制备方法
WO2020111341A1 (ko) * 2018-11-30 2020-06-04 주식회사 감성 공기정화제 펠릿 제조방법
KR20200065494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감성 공기정화제 펠릿 제조방법
KR102172815B1 (ko) * 2018-11-30 2020-11-02 주식회사 엘스텍 공기정화제 펠릿 제조방법
KR20210149504A (ko) 2020-06-02 2021-12-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산성가스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26408B (zh) 用於催化甲醛氧化的催化劑及其製備與用途
US10046264B2 (en) Non-extruded activated carbon honeycomb structures
WO2018068729A1 (zh) 一种空气净化复合催化剂及其制备方法
KR101728098B1 (ko) 점성이 없는 분말을 이용한 펠렛 기공형성방법
Lim et al. Extrusion of honeycomb monoliths employed with activated carbon-LDPE hybrid materials
CN107694564B (zh) 一种分解甲醛的催化剂及其制备方法
CN103480267A (zh) 空气净化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DE102013105471A1 (de) Aktivkohle mit spezieller Ausrüstung sowi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CN101987294A (zh) 一种利用凹凸棒石粘土制备蜂窝陶瓷吸附材料的方法
Youssef et al. Adsorption of cationic dye (MB) and anionic dye (AG 25) by physically and chemically activated carbons developed from rice husk
CN113750978B (zh) 一种多孔复合材料及其制备和应用
CN112705167A (zh) Mof改性活性炭砖的制备方法及其在大风量空气过滤中的应用
CN102671626B (zh) 净化空气用炭陶的制备工艺
JP5053249B2 (ja) 室内置き用の吸着材及び吸着材の製造方法
CN112980268A (zh) 一种空气净化功能水性漆涂料及其制备方法
CN102618057A (zh) 一种Ag/离子交换树脂复合物材料
KR101573373B1 (ko) 나노 입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2892A (ko)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제거를 위한 난연성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WO2020157320A1 (en) Adsorbent media
JP5366277B2 (ja) 吸着剤含有成形体
CN105457635A (zh) 用于降解混合气体的光催化过滤器及其制造方法
KR102438589B1 (ko) 포름알데히드 제거용 흡착 촉매,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포름알데히드 제거용 흡착제 및 부직포 필터
JP4314097B2 (ja) 竹炭を用いた化学物質吸着材
JPH11130415A (ja) 板状活性炭の製造方法
JP2005161238A (ja) ナノ粒子あるいはナノ構造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