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000B1 -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000B1
KR101728000B1 KR1020100118407A KR20100118407A KR101728000B1 KR 101728000 B1 KR101728000 B1 KR 101728000B1 KR 1020100118407 A KR1020100118407 A KR 1020100118407A KR 20100118407 A KR20100118407 A KR 20100118407A KR 101728000 B1 KR101728000 B1 KR 101728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scalable
data
enhancem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730A (ko
Inventor
김주헌
강충구
김진우
정진수
최용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18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000B1/ko
Priority to US13/304,520 priority patent/US8611425B2/en
Publication of KR2012005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2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layers, e.g. base layer and one or more enhancement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1Multimode Transmission, e.g. transmitting basic layers and enhancement layers of the content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or transmitting with different error corrections, different keys or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5Multi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에 대한 방송 서비스(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의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 영역 내 위치하는 다수의 단말을 각 단말의 채널 특성 또는 단말 성능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말 그룹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을 상기 구성된 단말 그룹의 채널 상태 또는 단말 성능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변조 및 채널 코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은 상기 SFN Zone 영역에 멀티캐스트 전송되는 베이스 레이어 및 상기 단말 그룹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using scalable video coding}
본 발명은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케스트 서비스의 성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싱글 주파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스케일러블 영상 코딩을 수행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무선으로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음성 서비스 위주의 기본 통신 시스템은 점차 영상 데이터 서비스 및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도 가능한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음성 위주의 통신 시스템은 전송 대역폭이 비교적 작고, 사용료가 비싸 급증하는 사용자들의 서비스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더욱이 통신 사업의 발달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 증가로 인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급증됨에 따라,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인터넷, VoIP(Voice over IP), 비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등의 주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근래 시간 및 장소의 제한 없이 실시간으로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MBS(Multicast Broadcast Service) 기법을 활용한 방송 서비스가 급증되고 있다.
MBS는 뉴스, 드라마, 스포트 중계 등과 같은 영상 서비스, 라디오 음악 방송 및 실시간 교통 정보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MBS는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기법을 활용한 높은 전송률로 다양한 채널들을 통시에 전송할 수 있다.
그 중, MBS 기법을 활용한 방송 서비스의 일 예로, 고화질 비디오 및 고음질 오디오 등을 제공하는 모바일 IPTV 서비스가 제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주요 서비스로 등장하고 있다. IPTV는 IP망, 즉 초고속 인터넷을 통해 정보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TV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양방향 시스템 운용기능이 추가되어 TV를 통해 네트워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바일 IPTV 방송망 구성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MBS 기법을 적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망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100)은 STB-IPTV(110)와 연동하여 사용자들의 단말기(120)로 무선 통신망(예, WiBro, 3GPP, LTE 등)을 이용하여 모바일 IPTV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무선 엑세스망의 성능 향상을 위해 다양한 기술들과 IPTV 방송 서비스 제어를 위한 IPTV 방송망 구성 및 제어 기술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무선 엑세스 망의 성능 향상을 위해, 싱글 주파수 네트워크(Single Frequency Network: SFN), 부분 주파수 재사용(Fractional Frequency Reuse: FF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IPTV 방송 서비스 제어 기술의 일 예로, 적응적 모듈 및 코딩(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기법을 이용한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 SVC) 기법, 멀티 TV 채널을 보장하기 위한 다중반송파 기술, MBS 환경에서 무선 링크 제어 기술 등이 요구된다.
이중, SFN 기법은 OFDM 디지털 전송 방식에서 인근 지역에 동일주파수로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지상파 DMB 방송에서 주로 이용된다. SFN 기법을 적용하게 되면 동일 주파수 사용에 따라 셀 간 간섭효과를 줄이고, 핸드오버의 빈도수를 줄일 수 있어 고품질의 모바일 IP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MBS Zone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아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매크로 다이버시티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 내 위치하는 7개의 기지국들로 하나의 MBS Zone을 구성한다. MBS Zone 이란 MBS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정 영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각 기지국별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을 셀 또는 섹터라 하면 MBS Zone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이 MBS를 서비스하는 하나 이상의 셀 또는 섹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MBS Zone 에서 IPTV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무선 통신망으로는 IMT-Advanced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3GPP, LTE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IMT-Advanced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개인휴대단말을 통해 60km/h 이상의 고속 이동시 100Mbps, 정지 및 저속시 1Gbps의 데이터 전송속도와 사용자의 요구에 특화된 유/무선 및 방통 융합형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IMT-Advanced 기술에 대한 표준으로 IEEE 802.16 기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는 미국 [0002] 중심의 국제 표준화 단체로서 소위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라고 불리우는 표준인 802.16 패밀리(family)를 제정하고 있다. 802.16 작업그룹은 원래 점대점(point-to-point) 마이크로파 전송에 관한 표준을 제정하다가, NLOS(non Line-Of-Sight) 환경에서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을 도입하였고, 2004년에는 소위 "Air Interface for Fixed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표준인 IEEE 802.16-2004를 제정하였다. 여기에 이동성까지 추가된 소위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표준인 IEEE 802.16e-2005(이하 '16e'로 표기)를 제정하였다. 소위 "와이브로(Wibro)" 시스템은 16e 시스템과 호환된다. 와이브로 시스템은 8.75MHz의 대역폭을 갖는 한편, 16e는 3MHz, 5MHz, 7MHz, 8.75MHz, 10MHz의 대역폭을 지원한다. 아울러, IEEE는 소위 "Advanced Air Interface with data rates of 100 Mbit/s mobile & 1 Gbit/s fixed" 표준인 IEEE 802.16m(이하 '16m'으로 표기)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IEEE 802.16m에서는 방송서비스를 지원할 목적으로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MBS기법을 도입하여 보다 진화된 E-MBS 규격을 개발중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IEEE 802.16에 따른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IEEE 802.16에서 하나의 수퍼프레임(superframe)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 4개의 프레임(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프레임은 8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전송 중 어느 하나에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7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다.
각 프레임은 E-MBS 서브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8개로 구성되는 서브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에 E-MBS 부 서브프레임을 할당하여 고정된 패턴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S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여러가지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상술한 SFN 기법을 이용하여 MB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SFN 기법을 이용하여 MBS를 제공하게 되면, SFN Zone에 위치하는 사용자들의 SINR값이 증가하여 보다 높은 전송률의 AMC 모드를 선택할 수 있어 주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반면, SFN Zone 내의 기지국들은 일정 주파수 대역을 SFN을 위해서 고정 사용해야 하므로 주파수대역을 유동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어, SFN 기법을 이용하게 되면 SFN Zone 내 방송을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항상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SVC에 따라 인코딩된 데이터를 SFN Zone 내 위치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의 성능에 따라 사용되지 못하는 데이터가 존재하게 되므로, 오버헤드가 증가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MBS 서비스 제공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 유동적으로 사용하면서 동시에 사용자들에게 최적화된 QoS(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MBS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SVC를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 자원을 다수의 레이어(base layer, enhancement layer)로 나누어 기지국별로 유동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운용하여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 및 효율적인 주파수 대역 사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을 적용한 데이터를 방송 서비스(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하는 방법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기지국이 셀 영역 내 위치하는 다수의 단말을 각 단말의 채널 특성 또는 단말 성능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말 그룹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이 적용된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을 상기 구성된 단말 그룹의 채널 상태 또는 단말 성능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변조 및 채널 코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은 상기 셀 영역에 멀티캐스트 전송되는 베이스 레이어(base layer) 및 상기 단말 그룹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enhancement 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시스템의 제어 서버가 상기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베이스 레이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상기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베이스 레이어를 동일한 자원, 동일한 시간 및 동일한 채널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SFN Zone 영역 내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인헨스먼트 레이어 전송시, 상기 단말 그룹의 채널 특성 및 단말 성능을 고려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다른 기지국과 할당 자원영역의 심볼 동기화 및 변조 방식의 일치 없이 독립적으로 셀 영역 내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을 적용한 데이터를 방송 서비스(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하는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베이스 레이어 및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로 분리 인코딩하여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적용한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으로 재패킷화하는 제어 서버; 및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을 셀 영역 내 위치하는 다수의 단말들에게 적응적으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전송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되, 상기 기지국은 상기 베이스 레이어를 상기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SFN Zone 영역 내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의 채널 특성 또는 단말 성능을 고려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다른 기지국과 할당 자원영역의 심볼 동기화 및 변조 방식의 일치 없이 독립적으로 셀 영역 내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 그룹의 채널 특성이 좋을수록 상기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다른 기지국과 할당 자원영역의 심볼 동기화 및 변조 방식의 일치 없이 독립적으로 셀 영역 내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scalable 에 대한 방송 서비스(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를 제공하는 기지국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듈;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및 상기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 영역 내 위치하는 다수의 단말을 각 단말의 채널 특성 또는 단말 성능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말 그룹으로 구성하고, 상기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을 상기 구성된 단말 그룹의 채널 상태 또는 단말 성능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변조 및 채널 코딩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은 상기 셀 영역에 멀티캐스트 전송되는 베이스 레이어 및 상기 단말 그룹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모듈을 통해 상기 베이스 레이어를 동일한 자원, 동일한 시간 및 동일한 채널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SFN Zone 영역 내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하도록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 그룹의 채널 특성이 좋을수록 상기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다른 기지국과 할당 자원영역의 심볼 동기화 및 변조 방식의 일치 없이 독립적으로 셀 영역 내로 상기 송신모듈을 통해 전송하도록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MBS 서비스 제공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 유동적으로 사용하면서 동시에 사용자들에게 최적화된 QoS(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BS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SVC를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 자원을 다수의 레이어(base layer, enhancement layer)로 나누어 기지국별로 유동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운용함으로써,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 및 효율적인 주파수 대역 사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바일 IPTV 방송망 구성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MBS Zone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IEEE 802.16에 따른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SVC 기법이 적용된 비디오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SVC 기법이 적용된 비디오 데이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S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구현되는 무선 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S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블럭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FN 기법을 이용하여 MBS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VC를 적용한 데이터가 MBS 서비스되는 SFN Zone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수행될 수 있는 기지국 및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최근 방송통신융합 환경에서 지능형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안이 대두됨에 따라,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과 다양한 단말기에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에 연구되고 있다.
이중, 구현 가능한 방법으로 이용되는 SVC 기법은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다양한 공간적 해상도(Spatial resolution), 화질(Quality) 및 다양한 프래임율(Frame-rate)을 갖도록 하는 하나의 비트스트림(즉 공간적, 화질적, 시간적 스케일러빌리티를 모두 제공하는)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수신한 다수의 단말이 각각의 성능에 따라 비트스트림을 받아 복원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SVC 기법이 적용된 비디오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비디오 데이터는 다수의 레이어로 양자화될 수 있다. 전송 대상의 비디오 데이터(400)는 베이스 레이어(Base Layer, 410)와 다수의 인헨스먼트 레이어(enhancement layer, 411 내지 413)로 구분되어 인코되된 비트 스크림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레이어는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영역에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는 데이터이다. 인헨스먼트 레이어는 베이스 데이터에 추가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로서, 비디오 데이터의 Quality에 따라 Layer 1, Layer 2, Layer 3 등으로 구분된다.
표 1은 비디오 데이터가 하나 이상의 레이어로 인코딩되어 구성된 비트 스트림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SVC 적용한 데이터 비트 스트림
1 Base Layer
2 Base Layer+enhancement Layer 1
3 Base Layer+enhancement Layer 1+enhancement Layer 2
4 Base Layer+enhancement Layer 1+enhancement Layer 2+enhancement Layer 3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도 4를 살펴보면, 베이스 레이어에 해당하는 데이터(410)에 인헨스먼트 레이어(411 내지 413)가 더해질수록 비디오 데이터의 화질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하나의 베이스 레이어와 3개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로 구분하여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인코딩한 경우, 단말기 성능에 따라 베이스 레이어 또는 베이스 레이어 및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인헨스먼트 레이어 3개를 모두 수신한 단말기는 하나의 비트스트림의 데이터를 100% 복원하게 되어 복원된 비디오 데이터(420)는 전송 전의 비디오 데이터(100)와 화질이 거의 동일하게 된다. 그러나, 일부 단말기는 그 성능에 따라 비트스트림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것은 오버헤드를 초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SVC 기법이 적용된 비디오 데이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품질에 따라 다수의 레이어(Layer 0, Layer 1, Layer 2)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Layer 0은 베이스 레이어에 해당하고, Layer 1 및 Layer 2는 인헨스먼트 레이어에 해당한다.
도 5를 참조하면, Layer 0만을 복원하는 경우 복원된 데이터(500)보다 Layer 0및 Layer 1을 합하여 복원한 데이터(501)의 품질이 더 향상되고, Layer 0, Layer 1 및 Layer 2를 모두 합하여 복원한 데이터(502)의 품질은 더욱더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SVC 기법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MBS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S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구현되는 무선 네트워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MBS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데이터 패킷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들로 구성되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와 MBS Zone에서 다수의 단말들에게 데이터 패킷을 제공하는 다수의 기지국과 다수의 단말로 구성되는 메트로폴리탄 네트워크(metropolitan network)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버(600) 및 멀티비디어 서버(60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패킷을 다수의 레이어로 분리하여 재 패킷화하는 다수의 중간 제어 서버(Intermediate Control Server, 601)를 포함한다.
중간 제어 서버(601)는 멀티미디어 서버(6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SVC 기법을 이용하여 베이스 레이어 및 다수 레벨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로 구분하고 각 레이어에 레이어 넘버를 부가하여 다수의 기지국(620)에서 레이어 넘버를 구분할 수 있도록 재 패킷화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제어 서버(601)는 사용자의 채널 상태 또는 단말의 성능에 따라 레이어를 할당할 수 있다.
중간 제어 서버(601)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각 기지국(620)은 자신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 영역 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630)에 대해 단말의 성능 또는 채널 상태에 따라 셀 영역별로 전송하는 레이어를 다르게 구성하여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620)은 중간 제어 서버(601)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패킷을 그대로 각각의 셀 영역으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이 아닌, 각각의 셀 영역 내 위치하는 단말들의 대해 채널 상태 또는 단말 성능에 따라 그룹핑을 수행하여 각 그룹별로 비디오 데이터의 레이어를 다르게 구성하여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620)은 SFN 기법을 적용하여 다수의 단말들에게 레이어드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SFN 기법은 상술한 것처럼 OFDM 디지털 전송 방식에서 인근 지역에 동일주파수로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동일 주파수 사용에 따라 셀 간 간섭효과를 줄이고, 핸드오버 빈도 수를 줄일 수 있다. SFN 방식에 따라 다수의 기지국들이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역을 SFN Zone이라 정의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SFN 기법을 적용하여 MBS 서비스를 제공하는 MBS Zone을 SFN Zone으로 지칭한다.
SFN Zone에 속한 기지국들은 동일한 전송 방식(예, 심볼 단위의 동기화, 동일 부채널 또는 동일 변조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채널 간섭 영향이 없이 데이터 전송시 높은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의 채널 변조 방식을 이용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률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S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블럭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은 상기 도 6의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 간의 데이터 전송 흐름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멀티비디어 제공 서버(700)는 중간 제어 서버(701)로 SVC 기법을 적용하여 인코딩을 수행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중간 제어 서버(701)는 전달받은 데이터 패킷을 데이터 화질에 따라 베이스 레이어와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로 구성되는 재-패킷화된 데이터 패킷을 SFN Zone에 속한 다수의 기지국(702)으로 전송한다.
SFN Zone에 속한 다수의 기지국(702)들은 일괄적으로 전달받은 데이터 패킷에서 베이스 레이어를 SFN Zone에 속한 모든 사용자들에게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전송한다. SFN Zone에 위치하는 모든 단말기 사용자들의 채널 상태가 좋기 때문에 높은 AMC level을 적용할 수 있고, 베이스 레이어를 수신한 단말은 베이스 레이어를 통해 최소 영상화질을 보장받을 수 있다. 그리고, 각 기지국(702)들은 각 셀 또는 섹터 내에서 SFN Zone에 속한 사용자들 중 채널 상태 또는 단말 성능에 따라 적응적으로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전송한다. 도 7에서는 모든 기지국(702)이 단말(703)에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 단말의 채널 환경이나 단말 성능에 따라 인헨스먼트 레이어의 전송 여부 및 전송되는 인헨스먼트 레이어의 레벨은 달라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FN 기법을 이용하여 MBS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8에서 제어 서버(Control Server)는 하나 이상의 중간 제어 서버를 포함하고, 기지국(BS)은 SFN Zone에 속한 다수의 기지국들 중 임의의 기지국을 의미한다. 또한, 제1 MS 그룹 및 제2 MS 그룹은 상기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 또는 섹터에서 SFN Zone에 속한 하나 이상의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 그룹을 의미한다.
도 8을 참조하면, IP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비디오 데이터 패킷을 MBS 서비스 제공하려는 SFN Zone에 속한 기지국은 중간 제어 서버로부터 베이스 레이어 및 다수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로 구성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S800).
기지국은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구성하는 베이스 레이어를 SFN Zone 영역 전체에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한다(S801). 이에 따라 SFN Zone에 속한 모든 사용자들은 최소 영상화질을 보장받을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셀 영역 내 위치하는 단말들에 대해 채널 상태 및/또는 단말 성능에 따라 적응적으로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그룹핑을 수행한다(S802).
예를 들어, 채널 상태를 기준으로 그룹핑을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은 하나의 셀 영역 중 SFN Zone에 속한 다수의 단말 중 채널 상태가 일정 범위 내 속하는 단말들을 선택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 범위의 채널 상태에 해당하는 단말들을 선택하여 제1 단말 그룹으로 구성하고, 제1 단말 그룹보다 더 좋은 채널 상태를 만족하는 단말들을 제2 단말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채널 상태뿐만 아니라 각 단말의 사양(또는, 성능)을 고려하여 단말 그룹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이 베이스 레이어와 인헨스먼트 레이어 1만을 복원할 수 있다면 해당 사용자의 채널 상태가 인헨스먼트 레이어 2를 수신할 수 있을 정도로 좋더라도 기지국이 전송하는 인헨스먼트 레이어 2는 불필요한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말은 제2 단말 그룹에 속할 채널 상태에 놓이더라도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룹핑 과정에서 단말 그룹의 수는 기지국에서 임의적으로 결정하거나 수신한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인헨스먼트 레이어의 개수를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상태에 따라 단말그룹을 구성하므로 제 2 단말 그룹은 제1 단말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그룹핑을 수행한 기지국은 제1 단말 그룹으로 멀티캐스트 방식에 따라 인헨스먼트 레이어 1을 할당한다(S803). 제 단말 그룹은 채널 상태가 좋은 단말들로 구성된 그룹이므로, 기지국은 높은 AMC 레벨을 적용하여 인헨스먼트 레이어 1을 전송할 수 있다.
셀 내 제2 단말 그룹에 대해서는 인헨스먼트 레이어 2를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할당한다(S804). 제2 단말 그룹은 제1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말들 중에서 채널 상태가 더 좋은 단말들을 포함하므로, 기지국은 제1 단말그룹에 대해 인헨스먼트 레이어 1을 전송할 때 적용한 AMC 레벨보다 더 높은 AMC 레벨을 적용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 영역내 위치하는 제1 단말그룹 및 제2 단말그룹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헨스먼트 레이어 개수에 따라 또는 별개로 더 많은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도 8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VC를 적용한 데이터가 MBS 서비스되는 SFN Zone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SFN Zone은 7개의 셀로 구성되며, 각 셀은 싱글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각 기지국은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간 제어 서버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버로부터 레이어드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베이스 레이어(Layer 0)를 SFN Zone으로 멀티캐스트 전송한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도 9에 도시된 SFN Zone 내에 위치하는 모든 단말들은 베이스 레이어를 수신하게 되어 최소 영상화질을 보장받게 된다.
그리고, 각 기지국은 상기 도 8에서 설명한 그룹핑 과정 수행 후 제1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말로 인헨스먼트 레이어 1(Layer 1)을 전송하고, 제1 단말 그룹에서 선택된 제2 단말 그룹을 구성하는 단말로는 인헨스먼트 레이어 2(Layer 2)를 전송한다.
한편, SFN Zone의 경계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들에 대해서는 SINR 값이 매우 낮은 경우 IEEE 16m에서 정의되는 멀티-기지국 MIMO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유니케스트로 할당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레이어와 인헨스먼트 레이어로 분리되어 인코딩된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서 각 셀 영역내 베이스 레이어는 SFN 방식으로 전송하고, 사용자들의 채널 상태 및 단말 성능을 고려하여 인헨스먼트 레이어는 적응적으로 전송하는 MBS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주파수 대역의 유동성과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수행될 수 있는 기지국 및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기지국 및 단말은 SFN Zone에 속하며, SVC 기법을 적용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말은 상향링크에서는 송신장치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수신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상향링크에서는 수신장치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송신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단말 및 기지국은 정보 또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서, 모듈, 부분 및/또는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는 메시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모듈(수단), 암호화된 메시지를 해석하기 위한 모듈,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좌측은 송신장치의 구조로 기지국을 나타내고, 우측은 수신장치의 구조로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셀 내에 진입한 단말을 나타낸다.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는 각각 안테나(1001, 1002), 수신 모듈(1010, 1020), 프로세서(1030, 1040), 송신 모듈(1050, 1060) 및 메모리(1070, 108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001, 1002)는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모듈(1010, 10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신 안테나 및 송신 모듈(1050, 1060)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 안테나로 구성된다. 안테나(1001, 1002)는 다중 안테나(MIMO)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수신 모듈(1010, 1020)은 외부에서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복호(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을 수행하여 원본 데이터의 형태로 복원하여 프로세서(1030, 1040)로 전달할 수 있다. 수신 모듈과 안테나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하지 않고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로 나타낼 수도 있다.
프로세서(1030, 1040)는 통상적으로 송신장치 또는 수신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콘트롤러 기능, 서비스 특성 및 전파 환경에 따른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 가변 제어 기능, 핸드오버(Hand Over) 기능, 인증 및 암호화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송신 모듈(1050, 1060)은 프로세서(1030, 1040)로부터 스케줄링되어 외부로 전송될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부호화(coding) 및 변조(modulation)를 수행한 후 안테나에 전달할 수 있다. 송신 모듈과 안테나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하지 않고 무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로 나타낼 수 있다.
메모리(1070, 1080)는 프로세서(1030, 10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이동 단말의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 시스템 정보, 기지국 식별자(station identifier: STID), 플로우 식별자(flow identifier: FID), 동작시간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070, 108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장치의 프로세서(1030)는 기지국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도 8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송신장치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 내 위치한 각 단말들을 채널 상태 및/또는 단말 사양에 따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할당하는 단말 그룹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송신장치의 프로세서(1030)는 단말 그룹별 또는 셀 영역별로 데이터 패킷의 레이어를 적응적으로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7 내지 도 9에서 상술한 것처럼 셀 영역내로 SFN 방식에 따라 베이스 레이어를 전송하고, 단말 그룹별로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멀티캐스트할 수 있다.
송신장치의 프로세서(1030)에서 구성된 단말 또는 단말 그룹별 레이어드된 데이터 패킷은 송신장치의 송신모듈(1050)을 통해 수신장치로 전송된다.
수신장치의 프로세서(1040)는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수신모듈(1020)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복원하여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수행한다. 수신장치가 처한 채널 환경 및 수신장치의 영상데이터 출력 사양에 따라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은 변동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콘트롤러 기능,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패킷 스케줄링, 시분할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패킷 스케줄링 및 채널 다중화 기능, 서비스 특성 및 전파 환경에 따른 MAC 프레임 가변 제어 기능, 고속 트래픽 실시간 제어 기능, 핸드오버(Handover) 기능, 인증 및 암호화 기능,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패킷 변복조 기능, 고속 패킷 채널 코딩 기능 및 실시간 모뎀 제어 기능 등이 상술한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행하거나,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 모듈 또는 부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Claims (11)

  1.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을 적용한 데이터를 방송 서비스(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하는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기지국이 셀 영역 내 위치하는 다수의 단말을 각 단말의 채널 특성 및 단말 성능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말 그룹으로 구성하는 단계 - 상기 단말 그룹의 수는 인헨스먼트 레이어 레벨의 수에 따라 결정됨; 및
    상기 기지국이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이 적용된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을 상기 구성된 단말 그룹의 채널 상태 및 단말 성능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변조 및 채널 코딩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에 포함된 베이스 레이어(base layer)는 싱글 주파수 네트워크(Single Frequency Network; SFN) 방식에 따라 동일한 자원, 동일한 시간 및 동일한 채널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SFN Zone 내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전송하고,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enhancement layer)는 상기 단말 그룹에 따라 선택적으로 멀티캐스트 전송되는,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을 방송 서비스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제어 서버가 상기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베이스 레이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포함하는 상기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을 방송 서비스 제공하는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인헨스먼트 레이어 전송시, 상기 단말 그룹의 채널 특성 및 단말 성능을 고려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다른 기지국과 할당 자원영역의 심볼 동기화 및 변조 방식의 일치 없이 독립적으로 전송하는,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을 방송 서비스 제공하는 방법.
  5.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을 적용한 데이터를 방송 서비스(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베이스 레이어(base layer) 및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enhancement layer)로 분리 인코딩하여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으로 재패킷화하는 제어 서버; 및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을 셀 영역 내 위치하는 다수의 단말을 각 단말의 채널 특성 및 단말 성능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말 그룹으로 구성하고, 구성된 단말 그룹의 채널 상태 및 단말 성능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변조 및 코딩하여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전송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며 - 상기 단말 그룹의 수는 인헨스먼트 레이어 레벨의 수에 따라 결정됨,
    상기 기지국은,
    상기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에 포함된 베이스 레이어는 싱글 주파수 네트워크(Single Frequency Network; SFN) 방식에 따라 동일한 자원, 동일한 시간 및 동일한 채널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SFN Zone 내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enhancement layer)는 상기 단말 그룹에 따라 선택적으로 멀티캐스트 전송하는,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에 대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인헨스먼트 레이어 전송시, 상기 단말 그룹의 채널 특성 및 단말 성능을 고려하여 상기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다른 기지국과 할당 자원영역의 심볼 동기화 및 변조 방식의 일치 없이 독립적으로 전송하는,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에 대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8. 삭제
  9.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calable Video Coding)을 적용한 데이터를 방송 서비스(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듈;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이 적용된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및
    상기 기지국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 영역 내 위치하는 다수의 단말을 각 단말의 채널 특성 및 단말 성능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말 그룹으로 구성하고, 상기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을 상기 구성된 단말 그룹의 채널 상태 및 단말 성능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변조 및 채널 코딩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 상기 단말 그룹의 수는 인헨스먼트 레이어 레벨의 수에 따라 결정됨,
    상기 스케일러블 비트 스트림에 포함된 베이스 레이어(base layer)는 싱글 주파수 네트워크(Single Frequency Network; SFN) 방식에 따라 동일한 자원, 동일한 시간 및 동일한 채널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SFN Zone 내로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전송하고, 인헨스먼트 레이어(enhancement layer)는 상기 단말 그룹에 따라 선택적으로 멀티캐스트 전송되는, 기지국.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헨스먼트 레이어 전송시, 상기 단말 그룹의 채널 특성 및 단말 성능을 고려하여 상기 채널 특성이 좋을수록 상기 하나 이상의 인헨스먼트 레이어를 다른 기지국과 할당 자원영역의 심볼 동기화 및 변조 방식의 일치 없이 독립적으로 상기 송신모듈을 통해 전송하도록 수행하는, 기지국.
KR1020100118407A 2010-11-25 2010-11-25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728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407A KR101728000B1 (ko) 2010-11-25 2010-11-25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3/304,520 US8611425B2 (en) 2010-11-25 2011-11-25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using scalable video co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407A KR101728000B1 (ko) 2010-11-25 2010-11-25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730A KR20120056730A (ko) 2012-06-04
KR101728000B1 true KR101728000B1 (ko) 2017-05-02

Family

ID=4631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407A KR101728000B1 (ko) 2010-11-25 2010-11-25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11425B2 (ko)
KR (1) KR101728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59618A1 (en) * 2012-08-23 2014-02-27 Acer Incorporated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s and systems
JP6625318B2 (ja) 2013-08-29 2019-12-2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KR101682627B1 (ko) * 2014-09-05 2016-12-0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영상 스트림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중계 장치
US9967860B2 (en) * 2015-03-11 2018-05-08 Nec Corporation Efficient network-wide broadcasting over LTE networks
KR102346747B1 (ko) * 2015-05-07 2022-01-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리사이즈 기반의 멀티뷰 화면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894458B2 (en) * 2016-04-25 2018-02-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Optimizing MTC updates using MBMS
KR101958069B1 (ko) * 2016-12-30 2019-03-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환경에서 svc 비디오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8251A1 (en) * 2005-05-06 2008-01-16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performance for a video broadcast and/or multicast
JP4934139B2 (ja) * 2005-08-30 2012-05-16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Ieee802.11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上でのスケーラブル・ビデオ・マルチキャストのためのクロス・レイヤ最適化
KR100842544B1 (ko) 2006-09-11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케일러블 영상 코딩을 이용한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 시스템
KR20100006421A (ko) 2008-07-09 2010-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영역 운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11425B2 (en) 2013-12-17
US20120163268A1 (en) 2012-06-28
KR20120056730A (ko) 201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000B1 (ko)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Zhang et al. Using non-orthogonal multiplexing in 5G-MBMS to achieve broadband-broadcast convergence with high spectral efficiency
Wang et al. System architecture and cross-layer optimization of video broadcast over WiMAX
JP5280986B2 (ja) データ送信のための方法及び対応する受信のための方法
TW201831001A (zh) 高效下行鏈路控制資訊傳輸方法及其使用者設備
CN108604976A (zh) 具有缩短的传输时间间隔的下行链路操作
US8374616B2 (en) Hierarchical broadcast service with blind retransmission
US1103283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 scheduling in UE and base station
KR20090066180A (ko) 멀티 캐스트 방송 서비스에서 피드백 수행 방법
Kaliski et al. Further enhanced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in LTE-advanced pro
JP5957143B2 (ja) 放送サービスのリソース割当方法、リソース管理センター及びmme
US201202401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service using scalable video coding
De La Fuente et al. Radio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cast services based on multiple video layers
Garro et al. LDM integration into 5G NR: Use cases and PHY performance analysis
Chinnathampy et al. Capacity Behaviour Using WSDV Scheme Over WIMAX
JP5593171B2 (ja) 階層符号化データ伝送方法、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リソース割り当て装置
Chau et al. Efficient scalable video multicast based on network-coded communication
Zhang et al. Joint transmission scheme for two multicast groups based on NOMA
CN115396822B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TWI809753B (zh) 多播廣播服務並行傳輸方法和使用者設備
Henarejos et al. NOMA assisted joint broadcast and multicast transmission in 5G networks
KR101385385B1 (ko) E-mbms를 위한 채널 인식 다운링크 주파수 영역 패킷 스케쥴링 방법
US20230188271A1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es, methods for data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using shared data
Brouet et al. LTE and future evolutions for the benefits of security wireless networks
US20230262684A1 (en) Method and device in nodes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