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996B1 - 환부 냉각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부 냉각 방법 - Google Patents

환부 냉각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부 냉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996B1
KR101727996B1 KR1020160120461A KR20160120461A KR101727996B1 KR 101727996 B1 KR101727996 B1 KR 101727996B1 KR 1020160120461 A KR1020160120461 A KR 1020160120461A KR 20160120461 A KR20160120461 A KR 20160120461A KR 101727996 B1 KR101727996 B1 KR 101727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bandage
cooling
affected par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필
김세훈
장기철
정호규
박경형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써지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써지랩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0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996B1/ko
Priority to PCT/KR2017/008897 priority patent/WO20180565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1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d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8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ays of manufacturing heating or cooling devices for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6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out external heat source, i.e. using one's own body 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9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using latent heat produced or absorbed during phase change of materials, e.g. of super-cooled 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환부 냉각용 장치가 개시된다. 환부 냉각용 장치는 환부를 압박할 수 있는 패드; 상기 패드 상에서 상기 환부를 압박하는 붕대; 및 상기 붕대에 함침되고, 상기 환부를 냉각하는 냉각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부 냉각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부 냉각 방법{APPARATUS FOR COOLING AFFECTED PART AND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환부 냉각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부 냉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제를 붕대에 함침시켜 환부를 냉각시키면서도 냉각제에 의한 축축함을 감소시켜 산뜻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는 환부 냉각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부 냉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냉요법은 한냉을 국소(局所)에 적용하여 통증경감, 열 감소, 출혈 조절의 효과를 나타내는 오래된 치료법이며 최근에는 외상에 기인한 부종과 염증을 예방하거나 축소시키기 위해 적용되고 있다. 한냉요법은 급성 및 만성 통증의 완화에 도움을 주며, 피부의 국소적 진통효과가 있고, 신경 전도 속도와 대사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킨다.
한냉요법으로는 얼음타올법, 아이스팩법, 빙수에 담그는 법, 얼음조각에 의한 마사지, 저온가스 노출 등의 방법이 있다. 환부 치료를 위하여 얼음을 사용하는 기존의 한냉요법들은 온도 조절이 어려워 동상 또는 신경 손상을 일으키는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한냉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일 예로 정형외과용 부목을 시술할 때는 관상붕대와 솜붕대를 감은 후 합성수지형 부목을 물에 적셔 환부에 감아 경화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관상붕대와 솜붕대는 땀을 흡수하기 위하여 흡습성 면을 소재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통풍이 잘되지 않고 수분이 닿으면 건조가 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정형외과 시술 후 부목을 오랜 기간 사용하였을 경우 수분에 의하여 세균이 증식되고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부에 압박(Compression)을 가함과 동시에 환부의 즉각적인 냉각(Instant Cooling)이 가능하도록 하여 통증, 부종,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한냉요법(Cryotherapy)을 위한 환부 냉각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부 냉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용 장치는 환부를 압박할 수 있는 패드; 상기 패드 상에서 상기 환부를 압박하는 붕대; 및 상기 붕대에 함침되고, 상기 환부를 냉각하는 냉각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패드는 토시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패드는 발수성(撥水性), 통풍(通風)성 및 항균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패드는 환편(丸編, circular knitting)으로 직조된 환편직물(circular knitted fabric)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붕대는 탄력붕대(Elastic Bandage)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냉각제가 기화함으로써 상기 환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냉각제는, 물 및 에탄올(Ethanol)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냉각제는, 글리세린(Glycerine), 멘솔(Menthol),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에틸 파라벤(Ethyl Paraben) 및 프로필 파라벤(Propyl Parabe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냉각제는 라벤더 오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냉각제의 에탄올의 농도는 15 내지 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은 패드를 이용하여 환부를 1차 압박하는 단계; 및 상기 패드 상에 냉각제가 함침된 붕대를 감싸주어 상기 환부를 2차 압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제가 기화함으로써 상기 환부를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은 패드를 이용하여 환부를 1차 압박하는 단계; 상기 패드 상에 붕대를 감싸주어 상기 환부를 2차 압박하는 단계; 및 상기 붕대에 냉각제가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제가 기화함으로써 상기 환부를 냉각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환부 냉각 방법은 상기 냉각제를 상기 붕대에 추가로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패드는 발수성(撥水性), 통풍(通風)성 및 항균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냉각제는, 물 및 에탄올(Ethanol)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냉각제는, 글리세린(Glycerine), 멘솔(Menthol),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에틸 파라벤(Ethyl Paraben) 및 프로필 파라벤(Propyl Parabe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냉각제는 라벤더 오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냉각제의 에탄올의 농도는 15 내지 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은 패드를 이용하여 환부를 1차 압박하는 단계; 상기 패드 상에 부목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패드 및 상기 부목 상에 냉각제가 함침된 붕대를 감싸주어 상기 환부를 2차 압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제가 기화함으로써 상기 환부를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은 패드를 이용하여 환부를 1차 압박하는 단계; 상기 패드 상에 부목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패드 및 상기 부목 상에 붕대를 감싸주어 상기 환부를 2차 압박하는 단계; 및 상기 붕대에 냉각제가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제가 기화함으로써 상기 환부를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은 상기 냉각제를 상기 붕대에 추가로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냉각제의 기화(Evaporation)를 통하여 환부를 냉각할 수 있어 기존 얼음을 사용하는 방법들에 비해 한층 안전한 한냉요법의 치료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부에 압박효과와 함께 한냉요법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환부의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환부 피부 바로 위에 발수 및 항균 효과를 가진 패드를 착용함으로써 냉각제에 젖은 붕대에서 오는 축축함을 감소시켜 산뜻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고 피부 위생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편직물 구조를 갖고 있어 환부 착용시 착용의 편안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패드는 발수성을 가지고 있어 붕대에 함침되는 냉각제 등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수분을 막을 수 있고, 환부의 땀 배출이 쉽고 통풍이 잘 되며, 항균성을 가지고 있어 세균증식을 억제시키고 세균증식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부를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제를 붕대에 지속적으로 함침시킬 수 있고 냉각 효과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냉각제가 에탄올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순간적인 냉각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포츠나 사고 등으로 인한 염좌나 골절 등 환부에 냉각효과를 주어 통증, 부종, 염증 등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골절 및 염좌 발생 시, 인공관절 등 수술 후, 관절염 등 재활 치료 시, 운동으로 인한 근육 피로 발생 시 등 다양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용 장치(1000)는 패드(100), 붕대(200) 및 냉각제(30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100)는 환부를 압박할 수 있다. 일 예로 패드는 토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환부(예를 들면 팔이나 다리 부위)의 착용 편의성 향상 및 압박력 증가를 위하여 패드(100)는 토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100)는 발수성(撥水性), 통풍(通風)성 및 항균성을 가지며, 패드(100)는 환편(丸編, circular knitting)으로 직조된 환편직물(circular knitted fabric)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패드(100)는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수분을 막을 수 있도록 발수성을 가지며, 환부에서 발생하는 땀을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외부로 신속히 배출할 수 있는 섬유소재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나일론 섬유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나일론 섬유의 단면을 이형 단면화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한 건조성을 약 50% 이상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발수성에 의한 냉감효과를 가지는 나일론 섬유에 스판덱스를 커버링하여 환편 직조하는 경우에는 패드(100)의 탄력을 높임과 동시에 통풍성을 가지며 착용시에도 편안함을 줄 수 있는 패드(1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섬유소재를 스판덱스에 커버링하고 환편 직조를 수행하면, 탄력을 높이면서도 통풍성이 발휘되면서도 착용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패드(100)의 제작이 가능하며, 패드(100)의 탄력성 증가는 환부를 압박할 수 있는 압박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패드(100)는 항균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항균소취성 금속이온함유 무기입자를 항균제를 약 0.1 내지 1.0중량% 함유시킴으로써 패드(100)에 항균성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패드(100)는 항균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세균증식이 억제되기 때문에 세균증식에 의한 악취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붕대(200)는 패드 상(100)에서 상기 환부를 압박할 수 있다. 일 예로 붕대(200)는 환부의 착용 편의성 향상 및 압박력 증가를 위하여 탄력붕대(Elastic Bandage)인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제(300)는 붕대(200)에 함침되고, 환부를 냉각할 수 있다. 환부는 냉각제(300)가 기화함으로써 환부 주위의 열을 흡수되는 과정을 통하여 냉각될 수 있다. 냉각제(300)는 물 및 에탄올(Ethanol)이 주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고, 냉각제(300)는 글리세린(Glycerine), 멘솔(Menthol),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에틸 파라벤(Ethyl Paraben) 및 프로필 파라벤(Propyl Parabe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글리세린(Glycerine)은 환부 피부의 습윤 및 보습제로 사용되고, 멘솔(Menthol)은 환부의 냉각수용체(cold receptor)를 활성화시키고 추가적인 시원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환부의 진통을 완화 시켜주기 위하여 사용되며,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에틸 파라벤(Ethyl Paraben) 및 프로필 파라벤(Propyl Paraben)은 항진균제 및 방부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제(300)는 항균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환부에 대한 순간적인 냉각 효과를 증대시키고, 지속적인 냉각 효과를 낼 수 있다.
냉각제의 에탄올의 농도는 1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며, 냉각효과의 증대를 위하여는 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탄올의 농도가 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냉각효과의 증대가 미미한 반면 에탄올 냄새로 인한 사용의 불편함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냉각제(300)에 에탄올 및 멘솔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냉각제(300)는 라벤더 오일이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100% 농도의 라벤더 오일이 사용될 수 있으나 농도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라벤더 오일은 에탄올 및 멘솔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자극적인 냄새를 제거 또는 완화시킬 수 있어 에탄올 및 멘솔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극적인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은 패드를 이용하여 환부를 1차 압박하는 단계(S110) 및 상기 패드 상에 냉각제가 함침된 붕대를 감싸주어 상기 환부를 2차 압박하는 단계(S120)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 붕대 및 냉각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환부를 냉각하기 위하여, 패드를 이용하여 환부를 1차 압박한다(S110). 일 예로 환부 예를 들면, 패드가 팔 또는 다리를 감싸도록 착용하여 환부를 1차 압박할 수 있다.
패드 상에 냉각제가 함침된 붕대를 감싸주어 환부를 2차 압박한다(S120). 일 예로 붕대를 냉각제가 수용된 용기 속에 침지시켜 냉각제가 붕대에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냉각제가 함침된 붕대를 용기로부터 꺼낸 후 여분의 냉각제를 제거한 후 패드가 착용되어 있는 팔 또는 다리에 감아줌으로써 환부를 2차 압박할 수 있다. 냉각제가 기화되는 경우에는 환부 주위의 열을 흡수하게 되므로 환부가 냉각될 수 있다. 일 예로 붕대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부목(Splint)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부목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는 아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은 냉각제가 기화되어 냉각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제를 붕대에 추가로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냉각제가 함침된 붕대를 착용한 후 약 2시간이 경과하면 냉각제를 추가로 붕대에 함침시킬 수 있으며, 스프레이 용기에 수용된 냉각제를 붕대에 분무하는 방식을 통하여 추가로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냉각제를 추가로 함침하는 시간, 함침되는 냉각제의 양 등은 환부의 냉각 상태, 환부의 특성(과도하게 냉각되는 경우 피부 손상이 쉽게 발생하는 신체 부분인지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은 패드를 이용하여 환부를 1차 압박하는 단계(S110), 상기 패드 상에 부목을 적용하는 단계(S115), 상기 패드 및 상기 부목 상에 냉각제가 함침된 붕대를 감싸주어 상기 환부를 2차 압박하는 단계(S120) 및 상기 냉각제를 상기 붕대에 추가로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S130)을 포함할 수 있다.
S110 단계 이후, 패드 상에 부목을 적용한다(S115). 부목을 적용함으로써 환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어 환부의 회복이 더욱 빠르게 진행될 수 있고, 환부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환부가 팔(arm)인 경우 팔과 평행하도록 부목을 팔에 접촉시키는 방식 등을 통하여 팔에 부목을 적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패드 및 부목 상에 냉각제가 함침된 붕대를 감싸주어 환부를 2차 압박한다(S12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은 냉각제가 기화되어 냉각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제를 붕대에 추가로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20 및 S130 단계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은 패드를 이용하여 환부를 1차 압박하는 단계(S210), 상기 패드 상에 붕대를 감싸주어 상기 환부를 2차 압박하는 단계(S220) 및 상기 붕대에 냉각제가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S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환부 냉각 방법과는 달리 냉각제가 미리 붕대에 함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패드 상에 붕대를 감싸준 후 냉각제를 붕대에 함침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환부를 냉각하기 위하여, 패드를 이용하여 환부를 1차 압박한다(S210). 일 예로 환부 예를 들면, 패드가 팔 또는 다리를 감싸도록 착용하여 환부를 1차 압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패드 상에 붕대를 감싸주어 환부를 2차 압박한다(S220). 일 예로 붕대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부목(Splint)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부목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는 아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붕대에 냉각제가 함침되도록 한다(S230). 일 예로 스프레이 용기에 수용된 냉각제를 붕대에 분무하는 방식을 통하여 냉각제가 붕대에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붕대에 함침된 냉각제가 기화함으로써 환부가 냉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은 냉각제가 기화되어 냉각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제를 붕대에 추가로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냉각제가 함침된 붕대를 착용한 후 약 2시간이 경과하면 냉각제를 추가로 붕대에 함침시킬 수 있으며, 스프레이 용기에 수용된 냉각제를 붕대에 분무하는 방식을 통하여 추가로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냉각제를 추가로 함침하는 시간, 함침되는 냉각제의 양 등은 환부의 냉각 상태, 환부의 특성(과도하게 냉각되는 경우 피부 손상이 쉽게 발생하는 신체 부분인지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은 패드를 이용하여 환부를 1차 압박하는 단계(S210), 상기 패드 상에 부목을 적용하는 단계(S215), 상기 패드 및 상기 부목 상에 냉각제가 함침된 붕대를 감싸주어 상기 환부를 2차 압박하는 단계(S220), 상기 붕대에 냉각제가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S230) 및 상기 냉각제를 상기 붕대에 추가로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S240)을 포함할 수 있다.
S210 단계 이후, 패드 상에 부목을 적용한다(S215). 부목을 적용함으로써 환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어 환부의 회복이 더욱 빠르게 진행될 수 있고, 환부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환부가 팔(arm)인 경우 팔과 평행하도록 부목을 팔에 접촉시키는 방식 등을 통하여 팔에 부목을 적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패드 및 부목 상에 냉각제가 함침된 붕대를 감싸주어 환부를 2차 압박한다(S220). 다음으로, 붕대에 냉각제가 함침되도록 한다(S23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 방법은 냉각제가 기화되어 냉각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제를 붕대에 추가로 함침되도록 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230 및 S240 단계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성능평가 시험: 항균성 , 불쾌감, 냉각성능
실시예 1은 냉각제의 에탄올의 농도가 30%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부 냉각용 장치를 사용한 경우이고, 비교예 1은 기존의 관상붕대 및 솜을 이용하고 에탄올농도가 30%인 냉각제를 사용한 경우이며, 비교예 2는 기존의 관상붕대 및 솜을 이용하고 에탄올농도가 10%인 냉각제를 사용한 경우이다. 이에 대한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은 항균도시험(KS K 0693:2011) 결과에 대한 데이터이고, 항균성 검증을 위한 균주로는 폐렴간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을 사용하였다.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Pad사용 발수성, 항균성 Pad 사용 기존의 관상붕대 및 솜 기존의 관상붕대 및 솜
냉각액 중 에탄올 성분 에탄올 30% 에탄올 30% 에탄올 10%
항균성 99.9%
피부에 불쾌감
냉각성능
비교에 1은 냉각성능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패드를 사용하지 않아서 항균성이 없으며, 패드가 없으므로 환부 피부에 수분이 많이 스며들어서 불쾌감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2는 에탄올 농도가 15% 이하이기 때문에 냉각효과가 약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달리, 폐렴간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하여 정균간소율이 공히 99.9%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환부 냉각용 장치
100: 패드 200: 붕대
300: 냉각제

Claims (21)

  1. 환부를 1차 압박할 수 있는 토시;
    상기 토시 상에서 상기 환부를 2차 압박하는 붕대; 및
    상기 붕대에 함침되고, 상기 환부를 냉각하는 냉각제를 포함하고,
    상기 토시는 나일론 섬유소재 및 상기 나일론 섬유소재를 커버링하는 스판덱스를 포함하며, 상기 토시는 환편(丸編, circular knitting)으로 직조된 환편직물(circular knitted fabric) 구조를 갖고, 상기 나일론 섬유의 단면은 이형 단면화되어 있는, 환부 냉각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시는 발수성(撥水性), 통풍(通風)성 및 항균성을 가지는, 환부 냉각용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붕대는 탄력붕대(Elastic Bandage)인, 환부 냉각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가 기화함으로써 상기 환부를 냉각시키는, 환부 냉각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는,
    물 및 에탄올(Ethanol)을 포함하는, 환부 냉각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는,
    글리세린(Glycerine), 멘솔(Menthol), 메틸 파라벤(Methyl Paraben), 에틸 파라벤(Ethyl Paraben) 및 프로필 파라벤(Propyl Parabe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환부 냉각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는,
    라벤더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환부 냉각용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의 에탄올의 농도는 15 내지 30%인, 환부 냉각용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60120461A 2016-09-21 2016-09-21 환부 냉각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부 냉각 방법 KR101727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461A KR101727996B1 (ko) 2016-09-21 2016-09-21 환부 냉각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부 냉각 방법
PCT/KR2017/008897 WO2018056579A1 (ko) 2016-09-21 2017-08-16 환부 냉각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부 냉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461A KR101727996B1 (ko) 2016-09-21 2016-09-21 환부 냉각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부 냉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996B1 true KR101727996B1 (ko) 2017-05-02

Family

ID=5874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461A KR101727996B1 (ko) 2016-09-21 2016-09-21 환부 냉각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부 냉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7996B1 (ko)
WO (1) WO20180565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579A1 (ko) * 2016-09-21 2018-03-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부 냉각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부 냉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9142B2 (en) 2017-11-02 2020-12-08 Stephen Douglas Williams Slip-modulated proprioceptive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and robotic power distribution system
ES1282175Y (es) * 2021-02-11 2022-02-09 Lidermed S A Composición líquida para conjunto aplicador de frí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3481A1 (en) * 2000-12-20 2002-06-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oling garment
JP2013501577A (ja) 2009-08-10 2013-01-17 スメトリア、エルエルシー 冷却製品および方法
JP2014094025A (ja) * 2012-11-07 2014-05-22 Iso Medical Systems:Kk 冷却液、冷却液を含浸させた包帯またはサポーター、および、冷却キ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214B1 (ko) * 2007-09-10 2008-08-29 비엘테크 주식회사 정형외과용 발수 관상붕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091193B1 (ko) * 2008-10-28 2011-12-09 스마텍 주식회사 의료용 피부보호대
KR101727996B1 (ko) * 2016-09-21 2017-05-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부 냉각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부 냉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3481A1 (en) * 2000-12-20 2002-06-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oling garment
JP2013501577A (ja) 2009-08-10 2013-01-17 スメトリア、エルエルシー 冷却製品および方法
JP2014094025A (ja) * 2012-11-07 2014-05-22 Iso Medical Systems:Kk 冷却液、冷却液を含浸させた包帯またはサポーター、および、冷却キ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579A1 (ko) * 2016-09-21 2018-03-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부 냉각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부 냉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579A1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63045B1 (de) Mittel zur Speicherung und Verteilung von Wärme
KR101727996B1 (ko) 환부 냉각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부 냉각 방법
US20090198160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eration, Cooling, Heating and Treatment to Body Region Covered by an Orthopedic Cast
US20080209932A1 (en) Cooling Device
US20130158635A1 (en) Pain management system
US6162960A (en) Compression sponge for wound care
US20160088879A1 (en) Health care sock
JP2016196435A (ja) スキンケア用組成物
US11484445B1 (en) Temperature variant stockings
US20130296986A1 (en) Therapeutic Cold Compress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O2009129781A2 (de) Funktions- oder wirkelement
US8399032B2 (en) Bruise amelio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CN210988353U (zh) 一种自发热ok布防扭伤护腕
US20110245746A1 (en) Medical cast and skin protector
US20230047698A1 (en) Expansion sock
JP2003252753A (ja) 外用貼付剤
KR20190141353A (ko) 발 보호 속옷
CN220713046U (zh) 一种带储物功能的石墨烯发热棉鞋
CN216534069U (zh) 一种能用于脚底穴位按摩的保健鞋垫
JP3018319U (ja) ヒールソックス
JP3169213U (ja) 弾性靴下
WO2007132203A2 (en) Support device for a persons anatomy
US11484444B1 (en) Cool compression stockings
KR200321925Y1 (ko) 통풍성 및 습도조절이 우수한 여성용팬티
WO2024086440A1 (en) Compression garment with enhanced cooling and massaging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