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140B1 - 운항자의 의도파악을 통한 운항 관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운항자의 의도파악을 통한 운항 관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140B1
KR101727140B1 KR1020130071139A KR20130071139A KR101727140B1 KR 101727140 B1 KR101727140 B1 KR 101727140B1 KR 1020130071139 A KR1020130071139 A KR 1020130071139A KR 20130071139 A KR20130071139 A KR 20130071139A KR 101727140 B1 KR101727140 B1 KR 101727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perational
operating
route information
a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584A (ko
Inventor
이병길
김병두
나중찬
조현숙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71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140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1Auxiliary means for detecting or identifying radar signals or the like, e.g. radar jamming signals
    • G01S7/022Road traffic radar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운항 중인 제1 운항체로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 및 제2 운항체로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1 운항체로부터 제1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ASM: Application Specific Messages)를 포함하는 제1 AIS 메시지 및 상기 제2 운항체로부터 제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제2 AIS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에서 수신한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2 운항체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운항체로 제1 우회운항정보 및 상기 제2 운항체로 제2 우회운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2 운항체로 전송되게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운항 관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운항자의 의도파악을 통한 운항 관제 장치 및 그 동작방법{Fight control apparatus and the operating method}
실시 예는 운항 관제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운항체들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을 판단하기 용이한 운항자의 의도파악을 통한 운항 관제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육상의 내비게이션 분야와 달리, 해상분야에서는 2005년부터 “e-Navigation”의 개념이 도입되었고, IALA(International Association of Lighthouse Authorities)를 중심으로 최신정보기술의 접목을 통한 e-Navigation 표준화 및 이행전략이 추진되고 있다. IMO에서 추진중인 e-Navigation은 선박운항에 있어서 전자적 방법 또는 지능화된 차세대 기술에 의해 선박간 및 선박과 육상간 해상정보의 조화로운 수집, 통합, 교환, 표현 및 분석을 제공하여 해상에서의 안전과 보안, 그리고 해양환경보호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해상교통관제 시스템의 항행지원기능은 관제사의 음성에 의존하여 활용되고 있으며, 충돌위험이나 피항등 대부분이 관제사의 경험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지능화된 관제 시스템을 위하여는 시스템이 지원하는 추적 및 융합 알고리즘에 의해 성능이 판별되어 진다.
즉, 선박의 위치에 대한 추적 알고리즘 및 충돌 위험도 산출알고리즘에 의해 관제의 정확성이 정해지고 있으나, 다양한 이동체(선박 등)의 운항자의 의중 또는 의도에 대한 특성은 고려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최근 들어, 선박 및 항공기 등과 같은 운항체들 각각의 운항자의 의중 또는 의도를 고려하여, 운항체들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서로 다른 운항체들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을 판단하기 용이한 운항자의 의중 또는 의도에 대한 특성을 고려한 운항 관제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는, 운항 중인 제1 운항체로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 및 제2 운항체로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1 운항체로부터 제1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ASM: Application Specific Messages)를 포함하는 제1 AIS 메시지 및 상기 제2 운항체로부터 제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제2 AIS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에서 수신한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2 운항체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운항체로 제1 우회운항정보 및 상기 제2 운항체로 제2 우회운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2 운항체로 전송되게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는,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2 운항체 각각의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시모듈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의 통신모듈은, 상기 제1, 2 운항체 각각에 포함된 자동식별장치(AIS)로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요청한다.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의 통신모듈은, 상기 제1, 2 운항체의 위치를 GPS 위성으로부터 산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받는다. 또한, 가까운 거리는 상기 제1, 2 운항체 및 상기 제1, 2 운항체가 운항되는 환경을 CCTV 로부터 전송받는다.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의 제어모듈은,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2 운항체가 교차하는 임의의 영역에서 상기 제1, 2 운항체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상황이면 상기 제1, 2 우회운항정보를 생성한다.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의 제어모듈은, 상기 제1, 2 운항체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이 아니면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와 대응되게 상기 제1, 2 운항체가 운항되도록 운항유지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1, 2 운항체로 전송되게 제어한다.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의 동작방법은, 운항 중인 제1 운항체로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 및 제2 운항체로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운항체로부터 제1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ASM: Application Specific Messages)를 포함하는 제1 AIS 메시지 및 상기 제2 운항체로부터 제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제2 AI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2 운항체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운항체로 제1 우회운항정보 및 상기 제2 운항체로 제2 우회운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1, 2 AIS 메시지 수신단계 이후, 상기 제1, 2 운항체 각각의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의 상기 제1, 2 AIS 메시지 수신 단계 전후에, 상기 제1, 2 운항체의 상대적 위치를 레이더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받는다. 또한 상기 제1, 2 운항체 및 상기 제1, 2 운항체가 운항되는 환경을 CCTV 로부터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의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2 운항체가 교차하는 임의의 영역에서 상기 제1, 2 운항체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상황이면 상기 제1, 2 우회운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2 운항체로 전송한다.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의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제1, 2 운항체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이 아니면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와 대응되게 상기 제1, 2 운항체가 운항되도록 운항유지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1, 2 운항체로 전송한다.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선박 또는 항공기 등과 같은 운항체들 각각으로부터 예상운항경로정보를 포함하는 AIS 메시지를 수신하여, 운항체들 각각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운항체들 사이의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면 운항체들 각각으로 우회운항경로정보를 전송하여, 운항체들 사이의 충돌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를 포함하는 관제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운항 관제 장치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를 포함하는 관제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운항 관제 장치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관제 시스템은 제1, 2 운항체(12, 14), AIS 기지국(20), CCTV(30), 레이더(40) 및 운항 관제 장치(50)를 포함한다.
제1, 2 운항체(12, 14)는 선박 및 항공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선박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제1 운항체(12)는 AIS 기지국(20)을 통하여 운항 관제 장치(50)로 제1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ASM: Application Specific Messages)를 포함하는 제1 AIS 메시지(AIS_1)를 전송하는 자동식별장치(AIS)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운항체(14)는 AIS 기지국(20)을 통하여 운항 관제 장치(50)로 제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ASM: Application Specific Messages)를 포함하는 제1 AIS 메시지(AIS_2)를 전송하는 자동식별장치(AIS)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2 AIS 메시지(AIS_1, AIS_2) 각각은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의 속도, 위치, 출발위치 및 도착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제1 운항체(12)를 운항하는 운항자의 의도가 반영된 상기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와 제2 운항체(14)를 운항하는 운항자의 의도가 반영된 상기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IS 기지국(20)은 제1 운항체(12)에서 전송된 상기 제1 AIS 메시지 및 제2 운항체(14)에서 전송된 상기 제2 AIS 메시지를 운항 관제 장치(50)로 전송할 수 있다.
CCTV(30)는 제1, 2 운항체(12, 14)가 운항되는 해상에 관련된 해상 정보를 운항 관제 장치(50)로 전송하며, 레이더(40)는 제1, 2 운항체(12, 14)의 위치를 운항 관제 장치(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운항 관제 장치(50)는 통신모듈(110), 전시모듈(120) 및 제어모듈(130)을 포함한다.
통신모듈(110)은 제1 운항체(12)에 포함된 자동식별장치로 제1 운항체(12)에 대한 상기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 및 제2 운항체(14)에 포함된 자동식별장치로 제2 운항체(14)에 대한 상기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요청한다.
이후, 통신모듈(110)은 제1 운항체(12)로부터 제1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제1 AIS 메시지(AIS_1) 및 제2 운항체(14)로부터 제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제2 AIS 메시지(AIS_2)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10)은 CCTV(30)에서 전송된 해상정보 및 레이더(40)에서 전송된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모듈(130)은 통신모듈(110)로부터 제1, 2 AIS 메시지(AIS_1, AIS_2), 상기 해상정보 및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전달되면 제1, 2 운항체(12, 14) 사이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32), 판단부(13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운항체(12)에 대한 제1 우회운항결로정보 및 제1 운항체(14)에 대한 제2 우회운항경로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이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에 따라 운항되게 운항유지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모듈(110)을 통해 제1, 2 운항체(12, 14)로 전송되게 제어한다.
판단부(132)는 제1, 2 AIS 메시지(AIS_1, AIS_2)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 및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제1, 2 운항체(12, 14)가 교차하는 임의의 영역에서 제1, 2 운항체(12, 14)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부(132)는 제1, 2 운항체(12, 14)가 교차하는 상기 임의의 영역에서 예상 산출된 제1, 2 운항체(12, 14)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기준에 대하여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판단부(132)는 상기 해상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상 상태 및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이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따라 운항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상기 위험상황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4)는 제1, 2 AIS 메시지(AIS_1, AIS_2)가 통신모듈(132)로 전송되기 이전에,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으로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통신모듈(132)을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34)는 판단부(132)에서 제1, 2 운항체(12, 14)가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의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제1, 2 운항체(12, 14)의 우회경로, 속도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제1, 2 우회운항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제1, 2 운항체(12, 14)에 전송되도록 통신모듈(11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4)는 판단부(132)에서 제1, 2 운항체(12, 14)가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이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에 따라 운항되게 상기 운항유지정보를 생성하여, 제1, 2 운항체(12, 14)에 전송되도록 통신모듈(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1, 2 우회운항경로정보 및 상기 운항유지정보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모듈(130)은 통신모듈(110)로부터 전송된 제1, 2 AIS 메시지(AIS_1, AIS_2), 상기 해상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시모듈(1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2 우회운항경로정보 생성시 상기 제1, 2 우회운항경로정보를 전시모듈(1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즉, 전시모듈(120)은 제어모듈(130)의 제어에 따라 제1, 2 AIS 메시지(AIS_1, AIS_2)에 포함된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의 제1, 2 예상우회경로정보 및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관제사가 제1, 2 운항체(12, 14)의 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시모듈(120)은 제어모듈(130)에서 임의의 영역에서 제1, 2 운항체(12, 14)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판단시 생성되는 상기 제1, 2 우회운항경로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운항 관제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구성 및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운항 관제 장치는 운항 중인 제1 운항체(12)로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 및 제2 운항체(14)로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요청하고(S110), 제1 운항체(12)로부터 제1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ASM: Application Specific Messages)를 포함하는 제1 AIS 메시지(AIS_1) 및 제2 운항체(14)로부터 제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제2 AIS 메시지(AIS_2)를 수신하고(S120),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의 위치정보를 레이더(40)로부터 전송 받는다. 또한, 제1, 2 운항체(12, 14) 및 제1, 2 운항체(12, 14)가 운항되는 해상에 대한 해상정보를 CCTV(30)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다(S130).
그리고, 운항 관제 장치는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제1, 2 운항체(12, 14)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하고(S140), 상기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면 제1 운항체(12)로 제1 우회운항경로정보 및 제2 운항체(14)로 제2 우회운항경로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위험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1, 2 운항체(12, 14)로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유지하는 운항유지정보를 전송하며(S150),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의 제1, 2 AIS 메시지(AIS_1, AIS_2) 및 제1, 2 우회운항경로정보를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60).
즉, 통신모듈(110)은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으로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요청하고, 제1, 2 운항체(12, 14)로부터 제1, 2 AIS 메시지(AIS_1, AIS_2)를 수신하여, 제어모듈(130)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모듈(110)은 CCTV(30)로부터 해상정보 및 레이더(40)로부터 제1, 2 운항체(12, 14)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모듈(130)로 전달한다.
제어모듈(130)은 통신모듈(110)로부터 제1, 2 AIS 메시지(AIS_1, AIS_2), 상기 해상정보 및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전달되면 제1, 2 운항체(12, 14) 사이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32), 판단부(13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운항체(12)에 대한 제1 우회운항결로정보 및 제1 운항체(14)에 대한 제2 우회운항경로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이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에 따라 운항되게 운항유지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모듈(110)을 통해 제1, 2 운항체(12, 14)로 전송되게 제어한다.
즉, 판단부(132)는 제1, 2 AIS 메시지(AIS_1, AIS_2)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 및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제1, 2 운항체(12, 14)가 교차하는 임의의 영역에서 제1, 2 운항체(12, 14)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4)는 판단부(132)에서 제1, 2 운항체(12, 14)가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의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제1, 2 운항체(12, 14)의 우회경로, 속도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제1, 2 우회운항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제1, 2 운항체(12, 14)에 전송되도록 통신모듈(110)을 제어한다.
제어모듈(130)은 통신모듈(110)로부터 전송된 제1, 2 AIS 메시지(AIS_1, AIS_2), 상기 해상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시모듈(1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2 우회운항경로정보 생성시 상기 제1, 2 우회운항경로정보를 전시모듈(1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즉, 전시모듈(120)은 제어모듈(130)의 제어에 따라 제1, 2 AIS 메시지(AIS_1, AIS_2)에 포함된 제1, 2 운항체(12, 14) 각각의 제1, 2 예상우회경로정보 및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관제사가 제1, 2 운항체(12, 14)의 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시모듈(120)은 제어모듈(130)에서 임의의 영역에서 제1, 2 운항체(12, 14)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판단시 생성되는 상기 제1, 2 우회운항경로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2, 14: 운항체 20: AIS 기지국
30: CCTV 40: 레이더
50: 운항 관제 장치

Claims (10)

  1. 운항 중인 제1 운항체로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 및 제2 운항체로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1 운항체로부터 제1 운항체 식별 정보 및 해당 운항자의 의중 내지 의도를 반영한 상기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ASM: Application Specific Messages)를 포함하는 제1 AIS 메시지 및 상기 제2 운항체로부터 제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제2 AIS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에서 수신한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2 운항체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운항체로 제1 우회운항정보 및 상기 제2 운항체로 제2 우회운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2 운항체로 전송되게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 및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2 운항체가 교차하는 교차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교차 영역에서 상기 제1, 2 운항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항 관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2 운항체 각각의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시모듈을 더 포함하는 운항 관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 2 운항체 각각에 포함된 자동식별장치(AIS)에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요청하는 운항 관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1, 2 운항체의 위치 정보를 GPS 위성으로부터 또한 수신하는 운항 관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2 운항체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한 결과 위험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와 대응되게 상기 제1, 2 운항체가 운항되도록 운항유지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제1, 2 운항체로 전송되게 제어하는 운항 관제 장치.
  6. 운항 중인 제1 운항체로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 및 제2 운항체로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1 운항체로부터 제1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예상운항경로정보(ASM: Application Specific Messages)를 포함하는 제1 AIS 메시지 및 상기 제2 운항체로부터 제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포함하는 제2 AI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2 운항체의 충돌에 대한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운항체로 제1 우회운항정보 및 상기 제2 운항체로 제2 우회운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 및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2 운항체가 교차하는 교차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교차 영역에서 상기 제1, 2 운항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항 관제 장치 동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AIS 메시지 수신 단계 이후, 상기 제1, 2 운항체 각각의 상기 제1, 2 운항체 식별 정보 및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항 관제 장치 동작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AIS 메시지 수신 단계 전후에 상기 제1, 2 운항체의 상대적 위치를 레이더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항 관제 장치 동작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AIS 메시지 수신 단계 전후에 상기 제1, 2 운항체 및 상기 제1, 2 운항체가 운항되는 환경을 CCTV 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항 관제 장치 동작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위험상황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상기 제1, 2 예상운항경로정보와 대응되게 상기 제1, 2 운항체가 운항되도록 운항유지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항 관제 장치 동작방법.

KR1020130071139A 2013-06-20 2013-06-20 운항자의 의도파악을 통한 운항 관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2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139A KR101727140B1 (ko) 2013-06-20 2013-06-20 운항자의 의도파악을 통한 운항 관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139A KR101727140B1 (ko) 2013-06-20 2013-06-20 운항자의 의도파악을 통한 운항 관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584A KR20140147584A (ko) 2014-12-30
KR101727140B1 true KR101727140B1 (ko) 2017-05-02

Family

ID=5267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139A KR101727140B1 (ko) 2013-06-20 2013-06-20 운항자의 의도파악을 통한 운항 관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1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584A (ko)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0635B2 (en) Moving object movement system and movement path selection method
US93340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ffic considering GPS jamming
US20220371705A1 (en)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specific machine learning model
JP7042469B2 (ja) 船舶の衝突リスク低減方法、船舶の衝突リスク低減システム、及び計画航路情報提供センター
WO2015156279A1 (ja) 歩行者と運転者間の情報共用システム
JP7111022B2 (ja) 管制装置
JP2009081696A (ja) 航空機通信システムとそのアンテナ指向制御方法
KR20210143696A (ko) 차량의 위치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60111567A (ko) 선박의 충돌 방지 방법
KR101104964B1 (ko) 충돌 방지 장치 및 충돌 방지 방법
KR102283968B1 (ko) 이미지 학습 기반 시정 관측 정보 생성 및 공유 시스템과 그 방법
JP2007207134A (ja) 海上構造物付近の海上移動体監視システム、及び海上構造物付近の海上移動体監視方法
JP2015164006A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US11520353B2 (en) Station and in-vehicle device
KR101380462B1 (ko) 선박운항정보 추정 기반 타선인식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727140B1 (ko) 운항자의 의도파악을 통한 운항 관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304910B1 (ko) 선박 감시를 위한 네트워크 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7102986A (ja) 端末装置、警報方法
KR20080038564A (ko) Ais와 gps가 내장된 trs를 이용한 선박위치관제방법
Lamm et al. Shore based Control Center Architecture for Teleoperation of Highly Automated Inland Waterway Vessels in Urban Environments.
Kazimierski et al. Implementation of Voyage Assistant Module in Mobile Navigation System for Inland Waters.
US20220256347A1 (en) Context Dependent V2X Misbehavior Detection
JP2006337262A (ja) 測位装置及び測位方法
JP2008226259A (ja) 船舶運航管理システム
Aichhorn et al. Maritime volumetric navig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