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059B1 - 복수개의 서버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서버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059B1
KR101727059B1 KR1020160104049A KR20160104049A KR101727059B1 KR 101727059 B1 KR101727059 B1 KR 101727059B1 KR 1020160104049 A KR1020160104049 A KR 1020160104049A KR 20160104049 A KR20160104049 A KR 20160104049A KR 101727059 B1 KR101727059 B1 KR 101727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servers
user terminal
provid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상영
Original Assignee
맹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상영 filed Critical 맹상영
Priority to KR102016010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61/1511
    • H04L67/10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0Public key, i.e. encryption algorithm being computationally infeasible to invert or user's encryption keys not requiring secre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복수개의 서버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콘솔 시스템 및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서버를 동시에 생성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리전별 클라우드 지연 속도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 계정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용현황 및 이용 요금에 대한 사항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개의 서버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CONSOLE SELECTIVELY USING A PLURALITY OF SERVER}
다양한 실시예들은 복수개의 서버를 한번에 생성, 시작, 정지 및 삭제 등의 제어가 가능하며, 계정별 서비스 이용현황을 확인하고, 여러 개의 서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콘솔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업의 IT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구축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하나의 슈퍼 컴퓨터 또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하나의 컴퓨터처럼 작동하도록 연결된 동일한 하드웨어 플랫폼 상에서 다수의 사용자에게 독립적인 가상머신(Virtual Machine : VM)을 제공하는 분산 컴퓨팅 시스템이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모바일 온라인 게임, 웹서비스, 온라인 마케팅, 이러닝 등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여러 개의 서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여러 개의 서버를 동시에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의 계정에 연결된 서버 및 서비스의 이용현황을 모니터링하기가 어려워 서버의 관리가 소홀해 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는 바, 여러 개의 서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선행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32728호(2013년 04월 02일 공개) (선행문헌 2) 일본 특허등록공보 제 2014-235484호(2016년 03월 11일 등록) (선행문헌 3) 일본 특허등록공보 제 1014-078080호(2014년 12월 12일 등록)
실시예들은 여러 개의 서버가 연결된 클라우딩 컴퓨터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서버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콘솔 및 클라우드 콘솔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서버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방법은 클라우드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계정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버를 생성하는 단계, DNS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메인 네임의 IP 주소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DNS 서버가 도메인 네임의 IP 주소에 대한 DNS 질의(Query)를 수행하는 단계, DNS 질의에 응답하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서버의 위치, 잔여용량, 활성화 상태, 서비스 가용 여부, 부하상태 등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서버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복수개의 서버 중에서 DNS 질의 응답에 상응하는 서버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버의 도메인 네임에 대한 권한을 위임받아, 선택된 서버에 대응되는 GSLB(Global Server Load Balancing) 서버의 IP 주소를 DN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NS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GSLB 서버의 IP 주소를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GSLB 서버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버 중 선택된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및 클라우드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의 단말에게 복수개의 서버의 식별 정보, 복수개의 서버의 상태 정보,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한 서버의 상태 정보, 복수개의 서버의 IP 주소 및 복수개의 서버 각각의 응답 상태를 보여주는 메뉴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백업하는 제 1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활성화된 제 2 서버를 포함하되, 제1 서버 및 제 2 서버는 이중화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1 서버에서 제 2 서버의 동작에 따른 서버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하여 제 2 서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제 1 서버에서, 제 2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동기화 데이터를 백업하고, 제 2 서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단계, 제 1 서버에서, 제 2 서버의 장애가 복구되는 경우, 백업된 동기화 데이터를 제 2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제 2 서버의 모니터링 현황, 동기화 데이터의 백업 상태 및 데이터 동기화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NS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활성화 명령 메시지에서 공개 키(public key)를 수신하고, 그리고 대칭 키를 생성하여 대칭 키를 공개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함으로써, 활성화 명령 메시지의 수신과 동시에 암호화된 대칭 키를 획득하는 단계,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암호화된 대칭 키를 이용하여 데이터 파일을 암호화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암호화된 대칭 키를 제 1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데이터 파일들이 암호화된 후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로부터 암호화된 대칭 키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새로운 서버를 생성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서버를 관리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복수개의 서버에 대한 지연 속도를 실시간 체크하고, 복수개의 서버에 대한 지연 속도를 그래프화하여,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의 계정에 제공되는 서비스 현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 계정에 생성된 복수개의 서버의 이용 요금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서버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콘솔 시스템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클라우드 콘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서버를 생성하는 클라우드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메인 네임의 IP 주소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도메인 네임의 IP 주소에 대한 DNS 질의(Query)를 수행하는 DNS 서버, 및 DNS 질의에 응답하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서버의 위치, 잔여용량, 활성화 상태, 서비스 가용 여부, 부하상태 등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서버의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복수개의 서버 중에서 DNS 질의 응답에 상응하는 서버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버의 도메인 네임에 대한 권한을 위임받은 GSLB(Global Server Load Balancing) 서버의 IP 주소를 DNS 서버로 전송하는 GSLB 서버,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은 GSLB 서버의 IP 주소를 수신하고, GSLB 서버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로 접속하고, 클라우드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에게 복수개의 서버의 식별 정보, 복수개의 서버의 상태 정보,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한 서버의 상태 정보, 복수개의 서버의 IP 주소 및 복수개의 서버 각각의 응답 상태를 보여주는 메뉴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서버의 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서버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최상의 상태의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서버를 한번에 생성하고 제어할 수 있는 멀티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개의 서버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 개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클라우드의 지연 속도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의 계정에 연결된 서비스의 이용현황 및 사용자의 클라우드 이용에 따른 청구 요금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물리적인 4중화를 통해 구축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복수의 서버 중 가장 안정된 서버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클라우드 특징에 적합한 아키텍처를 통해 부하의 효율적인 분산을 실현함으로써 네트워크 가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서버의 이중화 구성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서버 구조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은, 이중화 된 서버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하고, 각각의 서버에서 수행한 결과에 따른 동기화 데이터를 에이전트를 통해 공유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고, 어느 한쪽 서버가 장애를 일으켰을 때 활성화된 서버에서 발생하는 동기화 데이터를 상대방 서버의 장애복구가 될 때까지 백업해 놓고 장애 복구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빠른 시간 안에 두개의 서버가 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계정에 제공되는 서비스 이용 현황을 보여주기 위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 계정의 클라우드 사용 요금을 도표화하여 보여주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복수개의 서버를 멀티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리전별, 서비스별 클라우드 지연 속도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한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은 GSLB(Global Server Load Balancin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GSLB 서비스란 서버의 상태에 상관없이 등록된 IP를 배포하던 통상적인 DNS 서비스를 개선한 것으로서, 서버의 상태 정보를 호가인한 후 IP 정보를 배포함으로써 최적의 서버로 연결 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서버의 부하분산, DR(Disaster Recovery) 구축, 클라우드 서비스를 기존의 Legacy system 의 백업 센터로의 이용 등 다양한 편의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예시로 들면, 먼저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계정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DNS 서버로 도메인 네임의 IP 주소 요청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www.abc.com의 도메인 네임의 IP주소를 요청할 수 있다.
DNS 서버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도메인 네임의 IP 주소에 대한 DNS 질의(Query)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순환 질의(Recursive Query)는 DNS의 동작 모드 중 하나로서, DNS 서버는 순환 질의에 대해서 다른 DNS 서버를 참조하라는 응답을 해서는 안되며, 순환 질의에 대해 끝까지 정보를 찾아서 응답을 해주어야 하고, 존재하지 않는 정보에 대해서는 에러 메시지를 전달한다.
DNS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어 설정된 DNS 서버일 수 있다. DNS 서버는 자신의 영역(Zone) 파일 즉, 특정 도메인에 속하는 호스트 이름과 그에 해당하는 IP 주소가 저장된 파일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도메인에 대한 영역 파일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DNS 서버는 자신의 영역 파일에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도메인에 대한 영역 파일이 없는 경우, 상기 순환 질의에 대해 상위 DNS 서버들에게 반복 질의(Iterative Query)를 보낸다.
여기서, 반복 질의(Iterative Query)는 DNS의 또 다른 동작 모드로서, DNS 서버는 상기 반복 질의에 대해 자신에게 해당하는 정보가 없는 경우, 해당 정보를 관장하는 또 다른 DNS 서버의 정보를 알려준다. 즉, DNS 질의(Query)에는 순환 질의와 반복 질의가 있는데, DNS 서버가 수행하는 DNS 질의는 반복 질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예 의하여 본 발명은 루트 DNS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루트 DNS 서버는 루트 도메인에 대한 관장(Authoritative) DNS 서버이며, 탑 레벨 도메인(예를 들면, biz, com, net, org, info, pro 등)에 대한 관장 DNS 서버의 정보를 가진다.
따라서, 루트 DNS 서버는 로컬 DNS 서버의 반복 질의에 대해, 탑 레벨(Top-Level) 도메인의 관장 DNS 서버의 IP 주소를 전송해준다.
탑 레벨 DNS 서버는 세컨드 레벨(Second-Level) 도메인에 대한 관장 DNS 서버의 정보를 가지며, 로컬 DNS 서버의 반복 질의에 대해 세컨드 레벨 도메인의 관장 DNS 서버의 IP 주소를 전송해준다.
세컨드 레벨 DNS 서버는 상기 로컬 DNS 서버의 반복 질의에 대해, 도메인 위임을 통해 자신의 서브 도메인 영역을 관장하는 GSLB 서버의 IP 주소를 전송한다. GSLB 서버는 CDN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관리하는 서버이다.
즉, 세컨드 레벨 DNS 서버는 자신의 서브 도메인에 대한 권한을 상기 GSLB 서버로 서브 도메인 위임을 한 후, 상기 로컬 DNS 서버로부터 반복 질의가 있는 경우, 서브 도메인 영역을 관장하는 GSLB 서버의 IP 주소를 전송해준다.
여기서, 서브 도메인 위임은 도메인 영역의 분할을 통해 관리 포인트를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위 영역의 DNS 서버(예: .example.com)에서 서브 도메인(예: sub1.example.com, sub2.example.com, ... 등)을 맡아 처리하는 DNS 서버를 지정하여 위임한 후, 위임받은 DNS 서버에 상기 서브 도메인 영역을 관장하는 권한을 넘겨주는 것을 말한다.
GSLB 서버는 CDN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DNS 서버의 반복 질의에 대해, 로컬 DNS 서버의 IP 주소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복제 서버의 IP 주소를 전송해줄 수 있다.
즉, GSLB 서버는 DNS 서버가 요청하는 반복 질의(DNS 클라이언트가 접속하고자 하는 도메인의 IP 주소를 묻는)에 대해, 부하 분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로컬 DNS 서버의 IP 주소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복제 서버의 IP 주소를 전송해줄 수 있다.
이때, GSLB 서버는 해시(Hash), 라운드 로빈(Round Robin), 가중치 라운드 로빈(Weighted Round Robin) 및 정적 근접(Static Proximity) 알고리즘 등의 부하 분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복제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브 도메인 위임을 통해 로컬 DNS 서버의 반복 질의에 대해 CDN 서비스를 제공하는 GSLB 서버로 바로 포워딩해줌으로써, CDN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수행되는 반복 질의의 횟수를 줄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질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은 서버의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서버가 비정상인지 정상인지 판단하고, 그에 기초하여 GLSB 서버를 선택하고, 그에 대응되는 IP주소를 DNS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DNS 서버는 수신한 IP주소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IP주소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S201에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 계정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버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요구에 기초하여, 지역별, 용량별, 용도별 및 가격별 등등의 조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서버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개의 서버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02에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10)은 DNS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메인 네임의 IP 주소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03에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DNS 서버가 도메인 네임의 IP 주소에 대한 DNS 질의(Query)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04에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10)은 DNS 질의에 응답하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서버의 위치, 잔여용량, 활성화 상태, 서비스 가용 여부, 부하상태 등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서버의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205에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10)은 복수개의 서버 중에서 DNS 질의 응답에 상응하는 서버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버의 도메인 네임에 대한 권한을 위임받아, 선택된 서버에 대응되는 GSLB(Global Server Load Balancing) 서버의 IP 주소를 DNS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06에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10)은 DNS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GSLB 서버의 IP 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07에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에서 GSLB 서버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버 중 선택된 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단계 S208에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10)은 클라우드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의 단말에게 복수개의 서버의 식별 정보, 복수개의 서버의 상태 정보,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한 서버의 상태 정보, 복수개의 서버의 IP 주소 및 복수개의 서버 각각의 응답 상태를 보여주는 메뉴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백업하는 제 1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활성화된 제 2 서버를 포함하되, 제1 서버 및 제 2 서버는 이중화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1 서버에서 제 2 서버의 동작에 따른 서버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하여 제 2 서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제 1 서버에서, 제 2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동기화 데이터를 백업하고, 제 2 서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단계, 제 1 서버에서, 제 2 서버의 장애가 복구되는 경우, 백업된 동기화 데이터를 제 2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제 2 서버의 모니터링 현황, 동기화 데이터의 백업 상태 및 데이터 동기화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NS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활성화 명령 메시지에서 공개 키(public key)를 수신하고, 그리고 대칭 키를 생성하여 대칭 키를 공개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함으로써, 활성화 명령 메시지의 수신과 동시에 암호화된 대칭 키를 획득하는 단계,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암호화된 대칭 키를 이용하여 데이터 파일을 암호화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암호화된 대칭 키를 제 1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데이터 파일들이 암호화된 후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로부터 암호화된 대칭 키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새로운 서버를 생성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서버를 관리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복수개의 서버에 대한 지연 속도를 실시간 체크하고, 복수개의 서버에 대한 지연 속도를 그래프화하여,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의 계정에 제공되는 서비스 현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 계정에 생성된 복수개의 서버의 이용 요금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은 모바일 단말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노트북, 랩탑, 데스크탑, 패드형 단말, TV, 스마트 TV, 웨어러블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210), 디스플레이 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제어부(25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사용자 단말(2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210), 디스플레이 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제어부(250) 및 메모리(240)외에, 전원 공급부(280), 감지부(260), 통신부(210), 메모리(240), 입/출력부(170), 비디오 처리부(290), 오디오 처리부(292) 및 오디오 출력부(294)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5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2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이미지, 영상, 필기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는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2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실행되는 앱 또는 웹페이지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어부(250)는 컨텐츠를 기능에 따라 분류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작된 컨텐츠를 등록할지에 대하여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컨텐츠가 서버에 등록되는 경우 공개되는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에서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기 위한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된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사용자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220) 및 감지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감지부(260)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사용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60)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사용자의 정보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60)는 사용자의 제스처, 음성, 위치 등을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의하여, 감지부(260)는 카메라 부(2261) 및 광 수신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부(261)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부(261)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부(261)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 부(261)에서부터 사용자까지 0.1 ~ 5 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부(261)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5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어부(250)가 사용자 단말(200)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눈동자를 식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카메라 부(261)는 사용자의 눈동자가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 등을 촬영하고, 촬영된 얼굴 이미지를 제어부(25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부(261)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형태에 기초하여 카메라 부(261)에 포함된 복수의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250)는 수신된 사용자의 눈동자가 포함된 영상 또는 제스처가 포함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되는 정보로부터 결정된 입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 부(261)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부(131)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 부(261)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 부(261)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 부(261)는 사용자 단말(2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 부(261)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210) 또는 입/출력부(27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8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 내부의 구성 요소들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8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광 수신부(262)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통신부(21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영상을 송/수신, 외부 장치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211), 블루투스(21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21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무선랜(211), 블루투스(21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21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도시되지 아니함), BLE(bluetooth low energy,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도시되지 아니한 영상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변형 감지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영상 수신의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입/출력부(27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부(2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2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272), PC 포트(PC port, 273), 및 USB 포트(USB port, 2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70)는 HDMI 포트(271), 컴포넌트 잭(272), PC 포트(273), 및 USB 포트(2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7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비디오 처리부(290)는, 사용자 단말(200)가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29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92)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92)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292)는 복수의 영상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94)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렌더링 된 영상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94)는 통신부(210) 또는 입/출력부(2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294)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24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94)는 스피커(295), 헤드폰 출력 단자(296)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29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94)는 스피커(295), 헤드폰 출력 단자(296) 및 S/PDIF 출력 단자(297)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계정에 제공되는 서비스 이용 현황을 보여주기 위한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원발명은 사용자 단말에게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콘솔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기 편하도록 메뉴를 UI 형태로 제공할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콘솔은 복수개의 서버를 관리할 수 있는 멀티 기능, 리전별 클라우드 지연 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드, 계정별 이용현황, 각종 통계 또는 실시간 요금 확인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로 사용자의 계정에 연결된 서비스 이용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콘솔 시스템은 서비스별 이용 현황을 퍼센테이지 원형 그래프(401)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이용 현황의 프린트/엑셀 저장기능(402)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 계정의 클라우드 사용 요금을 도표화하여 보여주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계정별 청구 요금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은 시간별, 일별, 월별 또는 년별 청구 요금 현황 메뉴(501)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계정에 할당된 청구요금은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만들어진 그래프(502)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구 요금의 합계, 일별 평균, 서비스 별 최고 청구 금액 등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여 표 또는 그래프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클라우드 콘솔을 이용하여 사용기간별, 계정별, 서비스 별 요금을 다양한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 계정별 요금 관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복수개의 서버를 멀티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은 복수개의 서버를 모니터링하여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모니터링 메뉴(601)를 클릭함으로써,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복수개의 서버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계정에 할당된 서버의 모니터링 현황을 보여줄 수 있다.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은 CPU, Diskreadbytes, DistWritebBytes, NetworkIn, NetworkOut 등으로 설정된 단위별로 서버의 상태 그래프(602)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은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603)를 설정하여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3시간 단위로 설정되는 경우,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은 3시간 단위로 모니터링 된 서버의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하여, 리전별, 서비스별 클라우드 지연 속도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은 클라우드의 지연 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은 클라우드의 지연 속도를 리전별, 서비스별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은 클라우드 지연 속도를 나라별, 도시별로 설정하고 클라우드 일기도를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클라우드의 지연 속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자신이 이용하기에 최적화된 속도를 가지고 있는 클라우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클라우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서버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콘솔 시스템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클라우드 콘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계정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서버를 생성하는 클라우드 제공 서버,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메인 네임의 IP 주소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도메인 네임의 IP 주소에 대한 DNS 질의(Query)를 수행하는 DNS 서버, 및 DNS 질의에 응답하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서버의 위치, 잔여용량, 활성화 상태, 서비스 가용 여부, 부하상태 등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서버의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복수개의 서버 중에서 DNS 질의 응답에 상응하는 서버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버의 도메인 네임에 대한 권한을 위임받은 GSLB(Global Server Load Balancing) 서버의 IP 주소를 DNS 서버로 전송하는 GSLB 서버,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은 GSLB 서버의 IP 주소를 수신하고, GSLB 서버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서버로 접속하고, 클라우드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에게 복수개의 서버의 식별 정보, 복수개의 서버의 상태 정보,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한 서버의 상태 정보, 복수개의 서버의 IP 주소 및 복수개의 서버 각각의 응답 상태를 보여주는 메뉴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이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이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어 "제어부" 또는 "...부"의 명시적 이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묵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식을 포괄하고, 이러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요소들의 조합,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회로와 결합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 예와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 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 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 예시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 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A와 B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서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첫 번째 옵션 (A)의 선택만, 또는 두 번째 열거된 옵션 (B)의 선택만, 또는 양쪽 옵션들 (A와 B)의 선택을 포괄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적인 예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는, 첫 번째 열거된 옵션 (A)의 선택만, 또는 두 번째 열거된 옵션 (B)의 선택만, 또는 세 번째 열거된 옵션 (C)의 선택만, 또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열거된 옵션들 (A와 B)의 선택만, 또는 두 번째와 세 번째 열거된 옵션 (B와 C)의 선택만, 또는 모든 3개의 옵션들의 선택(A와 B와 C)이 포괄할 수 있다. 더 많은 항목들이 열거되는 경우에도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확장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 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실시 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실시 예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 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실시 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복수개의 서버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우드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계정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버를 생성하는 단계;
    DNS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메인 네임의 IP 주소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DNS 서버가 상기 도메인 네임의 IP 주소에 대한 DNS 질의(Query)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DNS 질의에 응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서버의 위치, 잔여용량, 활성화 상태, 서비스 가용 여부, 부하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개의 서버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서버 중에서 상기 DNS 질의 응답에 상응하는 서버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버의 상기 도메인 네임에 대한 권한을 위임받아, 상기 선택된 서버에 대응되는 GSLB(Global Server Load Balancing) 서버의 IP 주소를 상기 DN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DNS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GSLB 서버의 IP 주소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GSLB 서버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서버 중 선택된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제공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게 상기 복수개의 서버의 식별 정보, 상기 복수개의 서버의 상태 정보,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한 서버의 상태 정보, 상기 복수개의 서버의 IP 주소 및 상기 복수개의 서버 각각의 응답 상태를 보여주는 메뉴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백업하는 제 1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활성화된 제 2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서버 및 상기 제 2 서버는 이중화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클라우드 콘솔 제공 방법은,
    상기 제 1 서버에서 상기 제 2 서버의 동작에 따른 서버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하여 제 2 서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버에서, 상기 제 2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동기화 데이터를 백업하고, 상기 제 2 서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버에서, 상기 제 2 서버의 장애가 복구되는 경우, 상기 백업된 동기화 데이터를 제 2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및
    상기 제 2 서버의 모니터링 현황, 상기 동기화 데이터의 백업 상태 및 상기 데이터 동기화의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NS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명령 메시지에서 공개 키(public key)를 수신하고, 그리고 대칭 키를 생성하여 상기 대칭 키를 상기 공개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함으로써, 상기 활성화 명령 메시지의 수신과 동시에 암호화된 대칭 키를 획득하는 단계;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암호화된 대칭 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파일을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대칭 키를 제 1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및
    데이터 파일들이 암호화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대칭 키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개의 서버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새로운 서버를 생성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서버를 관리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서버에 대한 지연 속도를 실시간 체크하고, 상기 복수개의 서버에 대한 지연 속도를 그래프화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제공되는 서비스 현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 계정에 생성된 복수개의 서버의 이용 요금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서버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콘솔을 제공하는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4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삭제
KR1020160104049A 2016-08-17 2016-08-17 복수개의 서버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727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049A KR101727059B1 (ko) 2016-08-17 2016-08-17 복수개의 서버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049A KR101727059B1 (ko) 2016-08-17 2016-08-17 복수개의 서버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059B1 true KR101727059B1 (ko) 2017-04-14

Family

ID=5857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049A KR101727059B1 (ko) 2016-08-17 2016-08-17 복수개의 서버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0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131B1 (ko) 2021-03-05 2021-12-15 강민석 사용자 별로 센싱 데이터를 관리 및 분석하는 클라우드 서버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11240156B2 (en) * 2019-09-06 2022-02-01 Netflix, Inc. Techniques for steering network traffic to regions of a cloud computing system
KR102574464B1 (ko) * 2022-12-21 2023-09-12 알파카네트웍스 주식회사 리버스 연결 방식 기반 확장 가능한 서버 관리 프레임 워크 및 이의 접속에 관한 운용 방법
KR102609186B1 (ko) * 2022-12-21 2023-12-04 알파카네트웍스 주식회사 리버스 연결 방식 기반 확장 가능한 서버 관리 프레임 워크 및 이의 운용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14B2 (ko) 1985-02-20 1991-01-09 Uni Charm Corp
KR20130032728A (ko) 2011-09-23 2013-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에서 클라우드 서버와의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40055451A (ko) * 2012-10-31 2014-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하이퍼바이저 기반 서버 이중화 시스템, 그 방법 및 서버 이중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4235484A (ja) 2013-05-31 2014-12-15 弥生株式会社 クラウドコンピューティングによる仕訳解析サービスを提供する仕訳解析センターシステム
KR20160046667A (ko) * 2014-10-21 2016-04-2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글로벌 서버 로드 밸런서 장치 및 상기 장치에서의 동적 캐쉬 유효 기간 제어 방법
KR101632366B1 (ko) * 2015-08-27 2016-06-22 주식회사 디지캡 홀로그래픽 콘텐츠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병렬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14B2 (ko) 1985-02-20 1991-01-09 Uni Charm Corp
KR20130032728A (ko) 2011-09-23 2013-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에서 클라우드 서버와의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40055451A (ko) * 2012-10-31 2014-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하이퍼바이저 기반 서버 이중화 시스템, 그 방법 및 서버 이중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4235484A (ja) 2013-05-31 2014-12-15 弥生株式会社 クラウドコンピューティングによる仕訳解析サービスを提供する仕訳解析センターシステム
KR20160046667A (ko) * 2014-10-21 2016-04-2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글로벌 서버 로드 밸런서 장치 및 상기 장치에서의 동적 캐쉬 유효 기간 제어 방법
KR101632366B1 (ko) * 2015-08-27 2016-06-22 주식회사 디지캡 홀로그래픽 콘텐츠 처리를 위한 클라우드 병렬처리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0156B2 (en) * 2019-09-06 2022-02-01 Netflix, Inc. Techniques for steering network traffic to regions of a cloud computing system
US11743190B2 (en) 2019-09-06 2023-08-29 Netflix, Inc. Techniques for steering network traffic to regions of a cloud computing system
KR102339131B1 (ko) 2021-03-05 2021-12-15 강민석 사용자 별로 센싱 데이터를 관리 및 분석하는 클라우드 서버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574464B1 (ko) * 2022-12-21 2023-09-12 알파카네트웍스 주식회사 리버스 연결 방식 기반 확장 가능한 서버 관리 프레임 워크 및 이의 접속에 관한 운용 방법
KR102609186B1 (ko) * 2022-12-21 2023-12-04 알파카네트웍스 주식회사 리버스 연결 방식 기반 확장 가능한 서버 관리 프레임 워크 및 이의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0249B2 (en) Redundant storage gateways
US10097649B2 (en) Facilitating location of and interaction with a convenient communication device
KR101727059B1 (ko) 복수개의 서버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콘솔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2266879B1 (ko) 대화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CN107750466B (zh) 使用经同步的提示信号配对附近设备
US8769131B2 (en) Cloud connector key
US8683043B1 (en) Systems and methods to uniquely identify assets in a federation
US11126981B2 (en) Resource transferr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8177333A1 (zh) 镜像分发方法、镜像获取方法及装置
CN108337210B (zh) 设备配置方法及装置、系统
EP3812899B1 (en) Operation request alloca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WO2014067080A1 (zh) 发送云服务器地址的方法、设备
US9736262B2 (en) Using groups of user accounts to deliver content to electronic devices using local caching servers
US20150373016A1 (en) Sharing content using a dongle device
US201501632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remote disk images using a vmedia client and through a remote access appliance
CN111064804B (zh) 网络访问方法和装置
JP5255035B2 (ja) フェイルオーバシステム、記憶処理装置及びフェイルオーバ制御方法
US95910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ssions of different websites
US10122828B1 (en) Geographic-aware virtual desktops
WO2017176924A1 (en) Mobile application accelerator
EP3042500B1 (en) Metadata-based file-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4618445B (zh) 一种基于云存储空间的文件整理方法和装置
CN110636063B (zh) 设备的安全交互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795278A (zh) 用于提供文件级恢复的系统和方法
CN108293047B (zh) 由用户访问跨多个分布式计算网络的资源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