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011B1 -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 Google Patents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011B1
KR101727011B1 KR1020170026240A KR20170026240A KR101727011B1 KR 101727011 B1 KR101727011 B1 KR 101727011B1 KR 1020170026240 A KR1020170026240 A KR 1020170026240A KR 20170026240 A KR20170026240 A KR 20170026240A KR 101727011 B1 KR101727011 B1 KR 101727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t body
retaining wall
concrete retaining
mooring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2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Priority to KR1020170026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0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0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type marine facility assembly coping with a change in a water level enabling a marine structure installed on the inland waters, riverside or seaside to be stably positioned at a right position even though the water level is changed. The floating type marine facility assembly includes a concrete retaining wall with an internal receiving space; a buoyant body where a marine facility (H) is loaded and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and a lifting unit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buoyant body and maintaining a floated stat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The floating type marine facility assembly includes a support installed on a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thereby maintaining the buoyant body. A penetration passag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The lifting unit is composed of an external pile fixated and installed by being buried in the ground through the concrete retaining wall; a mooring pile lift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external pile; and a cleaning pipe installed inside the mooring pile. An upper guide for guiding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mooring pile and lower guides mounted in a lower front end of the mooring pile at intervals ar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The buoyant body and an upper front end of the mooring pile are maintained to be integrated by a coupling member coupled by a bolt.

Description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0001]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0002]

본 발명은 부유식 수상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수면, 수변(水邊) 또는 해상(海上) 등에 설치되는 수상 시설물이 수위의 변동에 따라 안정적으로 제 위치에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loating water faciliti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ating water facility having water level changes to allow water facilities installed on the water surface, waterfront, or sea to stably respond to changes in water level To a floating water facility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floating water facility assembly.

일반적으로, 부력(浮力)을 이용한 수상 시설물은 내수면, 수변 또는 해상에 설치되어 선상 레스토랑, 수상호텔, 선착장, 계류장(繫留場), 접안 시설물, 부교(浮橋), 부잔교(浮棧橋)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이용된다.Generally, buoyancy facilities using buoyancy are installed on the inland waterfront, waterside or on the sea, and can be used as waterfront restaurants, waterfront hotels, marinas, mooring areas, It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이러한 수상 시설물은 대개 앙카, 체인 또는 복수의 강관파일을 통해 수면에 설치되는데 폭우나 상류지역의 댐에서 방출되는 수량에 의해 수위가 올라가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상 시설물에 별도의 진입도교(갱웨이,Gangway)를 설치해야만 선박에 승선을 할 수 있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These water facilities are usually installed on the water surface through anchor, chain or multiple steel pipe files because the water level is often increased by the amount of water emitted from the dam in the heavy rain or the upstream area.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o install a gangway in the water facility to board the vessel.

즉, 수상 시설물의 진입도교를 낮은 위치에 설치하면 장마철에 수위가 조금만 높아지더라도 물에 잠겨 사용할 수 없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높은 위치에 설치하면 평상시에 급격한 경사로 인해 승선이 불편하다. 따라서 진입도교의 경사를 완만히 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할 뿐더러 수상 시설물은 육지와 도교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수면에 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안전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특히 강우에 의한 홍수나 파도 또는 조수간만의 차이로 인한 수면의 높이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In other words, if the entrance to the water facility is installed at a low position, even if the water level increases slightly in the rainy season, it can not be used by being immersed in water. Because of this problem, when installed at a high pos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eparate structure to smooth the slope of the entering Tao Bridge,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safety because the water facility must float on the water surface while being connected with the land and the Taoist. Especially, the flood, It is not possible to appropriately cope with the change in the height of the water surface caused by the water surface.

이러한 수상 시설물의 각종 설비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0619738호 공보에 개시된 부유 조립체는 연결수단에 의해 어느 한 방향만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을 뿐 실질적으로 여러 몸체와 연결수단의 상호 결합력이 볼트에 의해 유지되므로 그 조립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결합상태가 견고하지 못해 높은 너울이나 파도 등에 의해 구조물이 심하게 유동될 경우 여러 개로 연결된 몸체가 따로 분리되어 자칫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With respect to various facilities of such water facilities, the floating assembly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0619738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 only one direction by the connecting means, The assembling process is very troublesome and the jointed state is not robust. Therefore, when the structure is severely flowed due to a high swell or wave, a plurality of connected bodies may be separated to cause a serious accident.

그 뿐만 아니라, 금속제 볼트의 경우에는 수분이나 염분과 접촉시에 부식되는 특성상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해체 및 재 조립이 불가능하고, 위치 고정을 위해 몸체의 측면에 별도의 브라켓을 장착한 상태에서 지주를 수중 바닥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조정작업이 상당히 까다롭고 브라켓이나 지주가 노출되어 미관상으로도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metal bolts, it is impossible to disassemble and reassembl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due to the nature of corrosion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moisture or salt. In order to fix the position, a bracket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ody, Because it needs to be installed on the underwater floor,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adjustments, and the brackets and struts are exposed, which is not good for cosmetics.

또한, 공개특허 제2010-0037034호에 나타나 있는 기술의 경우, 부유식 구조물을 해제 가능하도록 서로 강성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부유 가능한 모듈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형 부재의 각각은 상부면, 바닥면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측벽을 가지며, 상기 모듈형 부재 각각은 하나 이상의 인접한 모듈형 부재들로 측벽의 일 부분을 따라 실질적으로 갭 없는 인접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patent publication No. 2010-0037034, it comprises a plurality of floatable modular members fixed to each other rigidly to releasable the floating structure, each of the modular members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side wall interconnecting them, each of the modular members being a floating marine structure that is adapted to be secured in a substantially gapless, adjacent position along a portion of the side wall with one or more adjacent modular members.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은 단위 부재 간의 결합강도가 낮고 조립과 분해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선박 등의 접안시 받게 되는 측면 충격에 의해 부잔교 및 선체가 파손되어 버리며, 부잔교의 형태를 T자형과 같이 분기하는 등의 제작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Such a floating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unit members is low and it is difficult to assemble and disassemble. In addition, there is a considerable difficulty in making such a structure that the floating bridge and the hull are damaged by the side impact which is received when the boat is straddling the ship, and the shape of the floating bridge is branched like a T-shape.

또, 등록특허 제1026541호의 경우에는 연결유닛을 통해 수상 시설물이 정 위치에서 승하강 하지만 너울이나 파도가 많은 지역에서는 연결유닛의 고정부위가 빈번하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즉 너울이나 파도가 심한 경우 수상 시설물이 흔들리면서 연결유닛의 고정부위에 상당한 응력이 집중 발생됨에 따라 연결유닛이 결합된 수상 시설물의 가장자리 부위가 쉽게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Japanese Patent No. 1026541, the water facility is raised and lowered from the fixed position through the connecting unit, but the fixing part of the connecting unit is frequently damaged in a region where there is much swell or waves. That is, when the water or the waves are severe, the water facility is shaken and a considerable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fixing part of the connecting unit, so that the edge parts of the water facilities combined with the connecting unit are easily damaged.

또, 등록특허 제1194783호에 개시된 수상 구조물은 물속의 깊이가 낮고 강폭이 좁은 경우에는 적용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플로팅 플레이트가 대형 구조물인 경우라면 현실적으로 실현이 불가능하다. 즉 길이가 긴 포스트 부재를 강이나 호수의 바닥에 수직 설치한다고 할 때 지지력에 한계가 있는 것이며, 강폭이 넓을 경우에 길이가 긴 케이블을 횡단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상의 어려움은 물론 설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ugmented structur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1194783 can be applied when the depth of water is low and the width of the water is narrow. However, if the floating plate is a large structure, for example, realization is impossible. That is, when the long post member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a river or a lake, there is a limit in the supporting force. In case of a wide width, a cable having a long length is required to be installed transversely. There arises a problem that it is required to be consumed.

등록특허 제0619738호(2006.09.07 등록) 발명의 명칭: 수상 정박장치.Registered Patent No. 0619738 (Registered on September 7, 2006) Title of invention: Water docking device. 등록특허 제1003190호(2010.12.15 등록) 발명의 명칭: 부력에 의해 높낮이가 자동 조절되는 수상 시설물용 포스트 장치.Registered Patent No. 1003190 (Registered on Dec. 15, 2010) Name of invention: Post device for water facility where elevation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buoyancy. 등록특허 제1009264호(2011.01.12 등록) 발명의 명칭: 수상 구조물용 부유 조립체.Registered Patent No. 1009264 (Registered on January 12, 2011) Title of invention: Float assembly for aquatic structures. 등록특허 제1270949호(2013.05.29 등록) 발명의 명칭: 조립식 수상 부유 구조물 연결체 및 그 연결체 어셈블리.Registered Patent No. 1270949 (Registered on May 31, 2013) Title of the invention: Prefabricated floating floating structure connector and its connector assembly. 등록특허 제1277117호(2013.06.14 등록) 발명의 명칭: 조립식 수상 부유 구조물.Registered Patent No. 1277117 (Registered on Mar. 14, 2013) Name of invention: Prefabricated floating suspended structure. 등록특허 제1474381호(2014.12.12 등록) 발명의 명칭: 부유식 수상 구조물 시스템.Registered Patent No. 1474381 (Registered Dec. 12, 201) Title of invention: Floating a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내수면이 아닌 수변(둔치) 지반 상의 콘크리트 옹벽 내에 설치되는 부력체를 통해 수상 시설물을 구축함에 따라 수위 변화시에도 안정적으로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항상 제 위치에서 부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retaining structure for a water retaining structure that is installed in a concrete retaining wall on a watersid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oating water facility assembly that can cope with a change in water level that can secure stability by allowing facilities to be floated at all times while being floated at the same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기존 계류파일의 취약부분을 크게 보강하여 강력 태풍이나 홍수시에도 파손되거나 부유물에 의한 사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계류파일의 규격, 두께 사용에 제한없이 부력체 자체만으로 계류파일을 상승시킬 수 있는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greatly enhances the fragile portion of the existing mooring file, so that the mooring file itself is not limited to the size and the thickness of the mooring file so a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caused by the flooding or the strong typhoon or floo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floating water facility assembly corresponding to a water level change that can be rais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상 시설물을 부력에 의해 부양하여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로서,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콘크리트 옹벽과, 수상 시설물이 탑재됨과 동시에 수용공간 내에 배설되는 부력체와, 이 부력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수위 변화에 따른 부양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승하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옹벽의 수용공간을 이루는 바닥에는 받침대가 설치되어 부력체를 유지함과 동시에 바닥 일측으로 관통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승하강 유닛은 콘크리트 옹벽을 통해 지반에 매립되어 고정 설치되는 외부파일과, 이 외부파일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하는 계류파일과, 이 계류파일의 내에 매립되는 청소용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크리트 옹벽의 바닥에는 계류파일의 승하강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 및 상기 계류파일의 하측 선단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된 하부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부력체와 계류파일의 상측 선단부는 볼트로 체결되는 결속부재에 의해 일체형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ating water facility assembly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water level for floating and holding water facility by buoyancy, the water retaining structure including a concrete retaining wall having a receiving space inside, And a lifting unit installed at an edge of the buoyant body to maintain a lifted state according to a change in water level, wherein a floor is formed in a receiving space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And the elevating and lowering unit includes an outer file fixedly installed in the ground through the concrete retaining wall, a mooring file rising and fall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outer file, And a cleaning pipe embedded in the mooring file, wherein the bar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And a lower guid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mooring file with an interval, the upper end of the mooring member and the mooring file being fastened to a binding member fastened with a bolt And is held integrally by the guide member.

또, 본 발명은 콘크리트 옹벽의 관통로가 지반에 형성된 유통로를 통해 외부로 연이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 가이드의 원주면 외측에 외부파일을 사이에 두고 보강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a through-passage of a concrete retaining wall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a flow path formed in the ground, and a reinforcing ring is mounted on an out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guide with an external file therebetwee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구성에 의하여, 내수면이 아닌 수변(둔치) 지반 상의 콘크리트 옹벽 내에 부력체를 배설하여 수상 시설물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여름철 홍수 등의 수위 변화시에 수상 시설물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항상 제 위치에서 부양됨에 따라 안정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어떠한 구조물에도 대응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oyant body can be constructed by disposing a buoyant body in the concrete retaining wall on the water surface (notched surface) ground instead of the inland water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maintain the water facility An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ny structure as well as a large stability can be ensured by being always lifted in place.

또한, 기존 계류파일의 취약부분을 크게 보강하여 강력 태풍이나 홍수시에도 파손되거나 부유물에 의한 사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계류파일의 규격, 두께 사용에 제한없이 부력체 자체만으로 계류파일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뻘이나 부유물 등의 청소작업도 손쉽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can greatly enhance vulnerable parts of existing mooring file, so that the mooring file can be elevated only by the buoyant body itself without restriction on the specification and thickness of the mooring file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even in the event of a strong typhoon or flood,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cleaning work such as mud or float.

도 1은 등록특허 제1003190호에 개시된 수상 시설물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 - Ⅲ선에 따른 승하강 포스트의 발췌 단면도,
도 4는 포스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포스트 장치의 내부 청소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의 설치 구성도,
도 7은 수위 변화에 따라 수상 시설물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수상 시설물 조립체의 개략 평면 구성도,
도 9a 내지 9c는 도 6에 도시된 "A","B","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0a는 계류파일의 상측 가이드 및 보강링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b는 결속부재를 평면쪽에서 본 사시도,
도 10c는 계류파일에 하측 가이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 facility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1003190,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st device shown in Fig. 1,
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scending / descending post according to the III-III line of Fig. 2,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ost device,
5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internal cleaning process of the post device,
FIG. 6 is an installation view of a floating water facilit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facility is elevated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water level,
8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water facility assembly,
9A to 9C are enlarged views of the "A", "B", and "C" portions shown in FIG. 6,
10A is a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upper guide and the reinforcing ring of the mooring file,
Fig. 10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inding member as seen from a plane side,
10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guide is attached to the mooring fil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pecific structures and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one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우선, 본 발명자가 제시하고자 하는 기술내용과 관련하여 가장 근접한 문헌이라고 판단되는 등록특허 제1003190호에 개시된 내용을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고 해당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First, the content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3190,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closest reference to the technical contents to be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or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상 시설물(1)은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떠오를 수 있도록 하부가 부양체(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부양체(2)의 가장자리는 클램프(3)를 통해 높낮이가 자동 조절되는 복수개의 수상 시설물용 포스트 장치(P)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1 to 5, the water facility 1 is composed of a lower float body 2 so as to float to the water surface by buoyancy, and the edge of the float body 2 is connected to the clamp 3, Through a plurality of post facilities P for water facilities, the elevation of which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hrough a plurality of water facilities.

상기 부양체(2)는 부력을 가지면서 그 상부에 승선을 위한 플렛폼 등과 같은 수상 시설물(1)이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다수의 밀폐된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하여 누수가 부분적으로 발생되더라도 부력이 생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양체(2)의 침수가 방지된다. 또한 부양체(2)는 우수한 부력을 발휘할 수 있는 다공성 발포 스티로폼(EPS)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 floating body (2) has buoyancy and is provided with a water facility (1) such as a platform for boarding on the upper part thereof. The floating body (2) is formed to have a large number of closed space parts inside thereof so that buoyancy Whereby flooding of the floating body 2 is prevented. The float body 2 can also be made of porous foamed styrofoam (EPS) capable of exhibiting excellent buoyancy.

그리고, 상기 수상 시설물용 포스트 장치(P)는, 지반에 매립되어 세워져 설치되는 고정포스트(10)와, 이 고정포스트(10)에서 자체 부력에 의해서도 승하강하며 상부에는 부양체(2)가 고정되는 승하강 포스트(20)와, 이 승하강 포스트(20)의 하단부 외벽에 설치되어 승하강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슬라이딩 가이드(40)를 갖추고 있다.The post facility P for the water facility includes a fixed post 10 which is installed in a standing position so as to be installed upright on the ground and a floating post 10 on which the float body 2 is fixed And a plurality of sliding guides (40)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t (20) for guid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posts (20) so that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ovements can be facilitated.

고정포스트(10)는 하부가 물속 지반에 매립되어 세워져 설치되며 내부가 텅 빈 구조용 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고정포스트(10)의 외경은 60㎝ 정도, 길이는 15m 정도로 구성하였는데, 어느 정도 이상의 크기로 제작되어 장마철에 급작스럽게 수위가 올라가더라도 승하강 포스트(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fixing post (10) is constructed with a lower portion embedded in the ground of the water, and is constructed of a hollow structural steel pipe. The fixing post 10 has an outer diameter of about 60 cm and a length of about 15 m so as to prevent the lifting post 20 from being separated even if the water level suddenly increases in the rainy season.

또한, 상기 고정포스트(10)의 최상단 내측에는 승하강 포스트(20)의 승하강을 안내하기 위한 합성수지 재질(HDPE; High-Density Polyethylene)로 구성된 슬립링(50)이 배치되는데, 이 슬립링(50)은 복수개의 등분으로 분할 구성되어 있다.A slip ring 50 made of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and lowering post 20 is disposed on the uppermost end of the fixing post 10, 50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equal parts.

이와 같이, 슬립링(50)을 분할하여 조립 구성한 것은 슬라이딩 가이드(40)가 장착된 승하강 포스트(20)의 하단을 고정포스트(10)의 상단을 통해 조립한 후 이들을 용이하게 끼워 설치하기 위함이다. 미설명 부호 GL은 지반 라인을 표시한다.In this way, the slip ring 50 is divided and assembled by assembling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post 20 on which the sliding guide 40 is mount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ost 10, to be. The unexplained code GL indicates the ground line.

상기 승하강 포스트(20)는 내부가 텅 빈 구조용 강관으로 제작되며, 하부가 고정포스트(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용 배치되고 수면으로 노출되는 상부에는 수상 시설물(1)의 부양체(2)가 고정된다. 승하강 포스트(20)의 상단부위 내측과 하단부위 내측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자체 부력에 의해서도 떠오를 수 있도록 각각 덮개 플레이트(21,22)를 통해 폐쇄되어 있다.The upward / downward post 20 is made of a hollow structural steel pipe.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post 20 is accommod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ost 10 and exposed to the water surface. Is fixed. The inside of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insid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t 20 are closed through the cover plates 21 and 22,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float even by self buoyancy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승하강 포스트(20)는 수위가 변화하면 수상 시설물(1)의 부양체(2)와 함께 자체 부력에 의해서도 고정포스트(10)에서 승하강 한다. 이러한 승하강 포스트(20)의 하단부는 고정포스트(10)의 저부에 약간의 여유 공간(S)을 갖도록 배치되는데, 이것은 고정포스트(10)의 저부로 유입된 모래와 같은 오물이 퇴적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승하강 포스트(20)를 이루는 강관은 급격한 수위 변화에도 수상 시설물(1)이 유실되지 않도록 직경 50㎝, 벽 두께 12mm 정도의 것을 채택하여 구성한다.Therefore, when the water level changes,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t 20 ascends and descends in the fixed post 10 by its buoyant force together with the floating body 2 of the water facility 1. The lower end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t 20 is disposed to have a slight clearance S at the bottom of the fixing post 10, which can deposit dirt such as sand that has flowed into the bottom of the fixing post 10 To secure space. The steel pipe constitut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post 20 has a diameter of 50 cm and a wall thickness of 12 mm so as not to be lost even if the water level is suddenly changed.

또, 승하강 포스트(20)의 상부에는 클램프(3)를 통해 수상 시설물(1)의 부양체(2)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상 시설물(1)의 부양체(2)와 함께 수위에 따라 일체로 승하강 이동하게 된다.Since the float body 2 of the water facility 1 is firm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post 20 through the clamp 3, the float body 2 of the water facility 1, together with the float body 2, And then moves up and down integrally.

그리고, 승하강 포스트(20)의 내부 중앙에는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청소용 강관(30)이 배치되어 있다. 즉 청소용 강관(30)은 상단과 하단이 각각 승하강 포스트(20)의 덮개 플레이트(21,22)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용접 고정되며, 승하강 포스트(20)의 내부 중앙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청소용 강관(30)은 직경 10㎝, 벽 두께 5mm 정도의 것을 채택하여 구성하는데, 이것은 오물제거용 호스(110)를 승하강 포스트(20)를 통해 고정포스트(10)의 저부까지 삽입하여 퇴적된 오물을 흡입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A cleaning steel pipe 30 penetrat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is dispos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t 20.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leaning steel pipe 30 are welded and fix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lid plates 21 and 22 of the lifting and lowering post 20 and are disposed axially in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lifting and lowering post 20 . This cleaning steel pipe 30 has a diameter of about 10 cm and a wall thickness of about 5 mm and is constructed by inserting the dirt removing hose 110 to the bottom of the fixing post 10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post 20, And to suck and remove the dirt.

승하강 포스트(20)의 상단부위 외곽에는 외향 플랜지 형태의 스톱퍼(60)가 용접을 통해 접합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승하강 포스트(20)의 하강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승하강 포스트(20)의 최상단에서 2.5m 정도 아래쪽에 구성한다. 이에 따라 수위가 상당하게 내려가는 경우에 외향 플랜지 형태의 스톱퍼(60)가 고정포스트(10)의 상단에 닿게 되면 승하강 포스트(20)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아 수상 시설물(1)이 수면에서 어느 정도의 높이에 유지될 수 있다.A stopper 60 in the form of an outward flange is weld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post 20 to limit the descent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post 20, It is constructed 2.5m below the top. Accordingly, when the water level drops considerably, if the outboard flange-shaped stopper 60 touches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ost 10, the lifting and lowering post 20 does not descend any more, / RTI >

한편,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가이드(40)는 승하강 포스트(20)의 하단 외벽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슬라이딩 가이드(40)들은 슬립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며, 또 마운팅 볼트(42)를 통해 승하강 포스트(20) 최하단 부위의 외곽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견고하게 배치된다.2 and 3, the sliding guide 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r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ich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tervals along the lower outer wall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post 20 have. The sliding guides 40 are made of high-density polyethylene having excellent slipperiness and are firmly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uter edge of the lowermost end portion of the lifting post 20 through the mounting bolts 42.

이에 따라, 구조용 강관으로 제작된 승하강 포스트(20)가 승하강 이동하면서 고정포스트(10)와의 직접적인 접촉은 이루어지지 않아 소음과 손상을 방지하면서 승하강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 가이드(40)들의 외측면과 고정포트스(10)의 내벽과는 약간의 틈새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틈새를 통해 고정포스트(10)의 저부까지 물이 채워지며 이를 통해 승하강 포스트(20) 역시 부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pward / downward post 20 made of the structural steel pipe moves up and down to prevent direct contact with the stationary post 10, thereby smoothly moving up and down while preventing noise and damage. In addition, a slight gap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liding guides 40 and the inner wall of the fixed port 10. Through this gap, water is filled up to the bottom of the fixing post 10, ) Will also be able to exert buoyancy.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상 시설물용 포스트 장치(P)는, 강이 범람하거나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에도 부양체(2)는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며, 이와 함께 부양체(2)의 가장자리가 고정된 승하강 포스트(20)도 수위가 높아지는 만큼 함께 떠오르게 된다.As shown in FIG. 4, in the post facility P for a water facilit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iver floats or the water level rises, the floating body 2 floats above the water surface by buoyancy, The lifting post 20 to which the edge of the body 2 is fixed floats together as the water level increases.

따라서, 상기 부양체(2)는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도 고정포스트(10)에서 길이방향으로만 신축되는 승하강 포스트(20)에 의해 유실됨이 없이 정 위치에서만 더 높이 떠오를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float body 2 can float in the fixed post 10 on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being lost by the lifting post 20, which is expanded and contracted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ven when the water level becomes high.

이 때, 상기 승하강 포스트(20)는 고정포스트(10)의 내부에서 부력 발생과 함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가이드(40)들에 의해 고정포스트(10)에서의 승하강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시 수위가 낮아지면 부양체(2)는 승하강 포스트(20)와 함께 내려와 유실되는 일 없이 항상 수면에 떠오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and-down post 20 smoothly moves up and down in the fixing post 10 by the sliding guides 40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ogether with buoyancy in the fixing post 10. When the water level is lowered again, the float body 2 may come down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post 20 and be always held on the surface without being lost.

결국, 장마철에 강이나 하천 등의 수위가 변하더라도 승하강 포스트(20)가 부력에 의해 고정포스트(10)에서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수상 시설물(1)은 부력에 의해 항상 제 위치에서 부양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로 인해 별도의 보조다리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상 시설물(1)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even if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or river changes in the rainy season, the elevation post 20 is automatically adjusted in height by the buoyant force in the fixing post 10, so that the water facility 1 is always floated So that the water facility 1 can be used as it is without using a separate auxiliary leg or the like.

또한, 수상 시설물용 포스트장치(P)가 설치된 후 장시간이 지나면, 고정포스트(10)의 저부 공간에 물과 함께 유입된 모래와 같은 퇴적물이 쌓여 승하강 포스트(20)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포스트(20)의 중심부에 배치된 청소용 강관(30)을 통해 오물 흡입펌프(100)와 연계된 오물 제거용 호스(110)를 고정포스트(10)의 저부까지 삽입한 후 오물 흡입펌프(100)를 가동시킴에 따라 모래와 같은 퇴적물을 제거하여 고정포스트(1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Further, after a long time has elapsed after the post device P for water facilities has been installed, sediments such as sand that has flowed along with water are piled up in the bottom space of the fixing post 10, which may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post 20 have. 5, the dirt removing hose 110 connected to the dirt suction pump 100 is connected to the fixing post 10 (see FIG. 5) through the cleaning steel pipe 30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lifting post 20, And then the dirt suction pump 100 is operated to remove sediments such as sand, so that the inside of the fixing post 10 can be cleaned.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예에 있어서는, 포스트 장치(P)를 구성하는 승하강 포스트(20)가 고정포스트(10) 내에서 마치 낚시대의 찌처럼 자체 부력에 의해 상하운동을 행하게 되므로 부잔교와 같은 비교적 소형 시설물에만 적용할 수 있을 뿐 큰 계류장 등지에서의 계류 파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since the up-and-down post 20 constituting the post device P is vertically moved in the stationary post 10 by the buoyant force of the fishing rod itself, It can only be applied to small facilities, but it can not be used as a mooring file in a large mooring area.

또한, 포스트 장치(P)의 전반적인 구조가 취약하여 겨울철 결빙시에나 태풍 발생시에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고, 더구나 부력이 약하기 때문에 여름철 홍수시에는 부유물이 걸려 사고 발생을 유발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ost device P is weak, it frequently breaks during the freezing of winter or in the event of a typhoon, and buoyancy is weak.

한편, 도 6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크게 지반(G) 상의 표층에 타설되는 콘트리트 옹벽(120) 및 수상 시설물(H)이 탑재되는 부력체(130)를 포함하여 이 부력체(13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수위(WL)의 변화에 따라 대응하는 승하강 유닛(140)을 구비한다.6 to 10C are views for explaining a floating water facilit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concrete retaining wall 120 and a water facility H, which are placed on a surface layer on a ground G, And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buoyant body 130 including the buoyant body 130 and has a corresponding up / down unit 140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WL.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옹벽(120)은 내측의 소정 위치에 수용공간(121)을 가짐과 동시에 이 수용공간(121)을 이루는 바닥에는 받침대(122)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부력체(130)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며, 바닥 일측으로는 관통로(123)가 형성되어 있다.6 to 8, the concrete retaining wall 120 has a receiving space 12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reof and a pedestal 122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121 So as to stably maintain the buoyant body 130, and a through passage 12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상기 받침대(122)의 경우, 콘크리트 옹벽(120)의 바닥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H-빔 등의 구조물을 고정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로(123)는 지반(G)에 형성된 유통로(U)를 통해 외부로 연이어지도록 함으로써 홍수시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콘크리트 옹벽(120) 내에 쌓인 뻘, 부유물 등을 청소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pedestal 122 may be integrally protruded from the bottom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120 or may be fixedly installed with a structure such as an H-beam. G so as to allow water to flow in during floods or to clean muds, floats, etc. accumulated in the concrete retaining wall 120.

상기 부력체(130)는 콘크리트 옹벽(120)의 수용공간(121) 내에 배설되어 수상 시설물(H)을 유지하게 된다. 또 부력체(13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부력체(13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 계산에 의해 적용되는 보강 플레이트(131)가 장착되어 있고, 부력체(130)와 콘크리트 옹벽(120) 사이에는 덮개(132)가 씌워져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oyant body 130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21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120 to hold the water facility H therein. A reinforcing plate 131 applied by structural calculation is mounted on the bottom edge of the buoyant body 130 to prevent breakage of the buoyant body 130. Between the buoyant body 130 and the concrete retaining wall 120, It is preferable to cover the cover 132 to ensure safety.

상기 승하강 유닛(140)은 부력체(13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수위(WL)의 변화에 따른 부양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옹벽(120)의 바닥을 통해 지반(G)에 고정 설치되는 외부파일(141)을 포함하여 이 외부파일(141)의 내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작동하는 계류파일(142) 및 이 계류파일(142) 내에 장착된 청소용 파이프(143)로 이루어져 있다.The up / down unit 140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buoyant body 130 to maintain the buoyancy stat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WL and is fixed to the ground G through the floor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120 And a cleaning pipe 143 mounted in the mooring file 142. The mooring file 142 includes an external file 141 including an external file 141 that is moved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9a 내지 도 10c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파일(141)의 상단부는 콘크리트 옹벽(120)의 바닥에 매립되어 있는 보강링(144)의 내벽에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계류파일(142)은 보강링(144)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가이드(145a)의 내경부를 통과하여 부력체(130) 측으로 연이어짐과 동시에 계류파일(142)의 하단부에 하부 가이드(145b)가 장착되어 있다.9A to 10C, the upper end of the external file 141 is held on the inner wall of the reinforcing ring 144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120, The lower guide 145b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mooring pile 142 while passing through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upper guide 145a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le 144 and continuing to the buoyant body 130 side.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145a,145b)는 계류파일(142)의 상하강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나일론(nylon) 등과 같은 수지 성형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and lower guides 145a and 145b are preferably made of a resin molding such as nylon so tha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oring pile 142 can be smoothly performed.

또, 상기 계류파일(142)의 상단부는 부력체(130)의 가장자리를 관통하여 선단부가 결속부재(146)에 의해 볼트로 체결되며, 이 결속부재(146)와 부력체(130) 사이에는 보강편(147)을 용접 처리하여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위(WL)의 변화에 따라 부력체(130)가 유동하는 경우 계류파일(142)이 외부파일(141) 내에서 승하강 작동을 행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mooring pile 142 penetrates the edge of the buoyant body 130 and is fastened with a bolt by a binding member 146. The reinforcing member 146 is reinforced between the binding member 146 and the buoyant body 130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rigidity by welding the piece 147.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buoyant body 130 flow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WL, the mooring file 142 can move up and down in the external file 141.

상기 계류파일(142) 내에 장착되어 있는 청소용 파이프(143)의 상측 선단부는 결속부재(146)의 중앙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파일(141)의 하단에 뻘이나 이물질이 쌓이는 경우에 외부 펌프(도시생략)를 통해 손쉽게 청소를 행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cleaning pipe 143 mounted in the mooring file 142 is exposed from the center of the binding member 146 so that when the muddy or foreign matter accumulates on the lower end of the outer pile 141, Can be easily cleaned through the cleaning proces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장마철 홍수로 인하여 강이나 하천의 수위(WL)가 상승함에 따라 물이 지반(G)으로 범람하거나 혹은 지반(G)에 형성된 유통로(U) 및 관통로(123)를 통해 콘크리트 옹벽(120)의 수용공간(121) 내로 유입됨으로써 수상 시설물(H)이 탑재된 부력체(130)가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다.As the water level WL of a river or a river rises due to rainy season floods,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prevent water from overflowing into the ground G, The float body 130 on which the water facility H is mounted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by flowing into the receiving space 121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120 through the path 123.

이에 따라, 부력체(13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계류파일(142)도 함께 떠오르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부력체(130)는 수위(WL)가 높아지는 경우에도 외부파일(141) 내에 설치된 계류파일(142)에 의해 정 위치에서 승강 동작을 행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buoyant body 1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even when the water level WL becomes high. In this case, even when the water level WL becomes high, the buoyant body 130, which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buoyant body 130, The elevat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fixed position by the elevating mechanism 142.

여기서, 상기 계류파일(20)의 경우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상부 및 하부 가이드(145a,145b)에 의해 외부파일(141) 내에서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다시 수위(WL)가 낮아지면 부력체(130)는 계류파일(142)과 함께 하강하여 수상 시설물(H)은 항상 수면에 떠오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the mooring pile 20, the operation in the external pile 141 is smoothly per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guides 145a and 145b made of the resin molding, and when the water level WL is lowered again, The body 130 descends along with the mooring file 142, so that the water facility H can always stay in a state of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즉, 홍수시에 수위(WL)가 변하더라도 부력체(130) 및 계류파일(142)이 부력에 의해 높낮이가 자동으로 조절됨에 따라 수상 시설물(H)은 항상 제 위치에서 부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even if the water level WL changes during the flood, the height of the buoyant body 130 and the mooring file 142 are automatically adjusted by the buoyant force, so that the water facility H is always maintained in the floating position .

한편, 콘크리트 옹벽(120)의 수용공간(121) 내에 물과 함께 유입된 뻘과 같은 퇴적물이나 부유물이 쌓이게 되면 계류파일(142)의 승하강 작동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세차기나 펌프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지반(G)에 형성된 유통로(U)를 통해 외부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외부파일(141)의 하단에 쌓이는 경우에도 계류파일(142) 내에 장착되어 있는 청소용 파이프(143)를 이용하여 손쉽게 청소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accumulation of sediments such as mud that have flow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21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120 together with water may affect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s of the mooring pile 142. In this case, Which is installed in the mooring pile 142, can be removed through the flow path U formed in the ground G by using the equipment of the pile 142. When the pile is piled on the lower end of the external pile 141, 143 can be easily clean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는, 지반 상의 콘크리트 옹벽 내에 부력체를 배설하여 수상 시설물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여름철 홍수 등의 수위 변화시에 수상 시설물이 항상 제 위치에서 부양됨에 따라 안정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어떠한 구조물에도 대응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loating water facilit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struct the water facility by providing the buoyant body in the concrete retaining wall on the ground, when the water level changes such as summer flood, the water facility always floats As a result, stability can be secured, and any structure can be handled.

또한, 지반 상의 콘크리트 옹벽을 매개로 조립체를 시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존 포스트의 취약부분을 크게 보강하여 강력 태풍에도 파손되거나 부유물에 의한 사고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뻘이나 부유물 등의 청소작업도 손쉽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assembly can be constructed through the concrete retaining wall on the ground, the work can be performed promptly, and the fragile portion of the existing post can be greatly reinforced to prevent damage caused by a strong typhoon or an accident caused by floats.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cleaning work such as floating.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fully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수상 시설물 2: 부양체
3: 클램프 10: 고정포스트
20: 승하강 포스트 21,22: 덮개 플레이트
30: 청소용 강관 40: 슬라이딩 가이드
42: 마운팅 볼트 50: 슬립링
60: 스톱퍼 100: 오물 흡입펌프
110: 오물 제거용 호스 120: 콘크리트 옹벽
121: 수용공간 122: 받침대
123: 관통로 130: 부력체
131: 보강 플레이트 132: 덮개
140: 승하강 유닛 141: 외부파일
142: 계류파일 143: 청소용 파이프
144: 보강링 145a: 상부 가이드
145b: 하부 가이드 146: 결속부재
147: 보강편
1: Water facility 2: Floating facility
3: Clamp 10: Fixed post
20: lifting post 21, 22: cover plate
30: Steel pipe for cleaning 40: Sliding guide
42: mounting bolt 50: slip ring
60: Stopper 100: Dirt suction pump
110: Dirt removal hose 120: Concrete retaining wall
121: accommodating space 122: pedestal
123: penetrating passage 130: buoyant body
131: reinforcing plate 132: cover
140: Up / down unit 141: External file
142: Mooring file 143: Cleaning pipe
144: reinforcing ring 145a: upper guide
145b: Lower guide 146:
147:

Claims (3)

수상 시설물을 부력에 의해 부양하여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로서,
내측에 수용공간(121)을 갖는 콘크리트 옹벽(120)과, 수상 시설물(H)이 탑재됨과 동시에 수용공간 내에 배설되는 부력체(130)와, 이 부력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수위 변화에 따른 부양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승하강 유닛(140)을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옹벽(120)의 수용공간을 이루는 바닥에는 받침대(122)가 설치되어 부력체를 유지함과 동시에 바닥 일측으로 관통로(123)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 옹벽(120)의 관통로(123)가 지반(G)에 형성된 유통로(U)를 통해 외부로 연이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력체(130)와 콘크리트 옹벽(120) 사이를 덮도록 상기 부력체(130)의 가장자리에 덮개(132)가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 유닛(140)은 콘크리트 옹벽을 통해 지반(G)에 매립되어 고정 설치되는 외부파일(141)과, 이 외부파일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하는 계류파일(142)과, 이 계류파일의 내에 매립되는 청소용 파이프(143)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크리트 옹벽(120)의 바닥에는 계류파일(142)의 승하강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145a) 및 상기 계류파일(142)의 하측 선단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된 하부 가이드(145b)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145a) 및 하부 가이드(145b)는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력체(130)와 계류파일(142)의 상측 선단부는 상기 부력체(130)의 가장자리를 관통하여 볼트로 체결되는 결속부재(146)에 의해 일체형으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청소용 파이프(143)의 상측 선단부는 상기 결속부재(146)의 중앙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속부재(146)와 부력체(130) 사이에는 보강편(147)이 고정되고,
상기 계류파일(142)이 관통하는 부력체(13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부력체(13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플레이트(131)가 장착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145a)의 원주면 외측에 외부파일(141)을 사이에 두고 외측이 상기 콘크리트 옹벽(120)의 바닥에 매립되는 보강링(144)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
A floating water facility assembly that responds to a change in water level to maintain and maintain the water facility by buoyancy,
A concrete retaining wall 120 having a receiving space 121 on the inner side thereof and a buoyant body 130 on which the water facility H is mounted and which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a buoyant body 130 mounted on the edge of the buoyant body, And an up / down unit 140 for maintaining the state,
A pedestal 122 is installed on the floor forming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120 to hold the buoyant body and have a through passage 123 at one side of the floor,
A through passage 123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12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via a flow path U formed in the ground G,
A lid 132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buoyant body 130 so as to cover between the buoyant body 130 and the concrete retaining wall 120,
The elevating and lowering unit 140 includes an external file 141 fixedly installed in the ground G through a concrete retaining wall, a mooring file 142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in the external file, And a cleaning pipe 143 that is embedded in the file,
An upper guide 145a for guiding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mooring file 142 and a lower guide 145b mounted at a lower end of the mooring pile 142 at a lower end thereof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120 In addition,
The upper guide 145a and the lower guide 145b are made of a resin molding,
The upper end of the buoyant body 130 and the mooring pile 142 are integrally held by a binding member 146 that is bolted through the edge of the buoyant body 130,
The upper end of the cleaning pipe 143 is exposed from the center of the binding member 146,
A reinforcing piece 147 is fixed between the binding member 146 and the buoyant member 130,
A reinforcing plate 131 for preventing breakage of the buoyant body 130 is mounted on the bottom edge of the buoyant body 130 through which the mooring file 142 passes,
Wherein a reinforcing ring (144) is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guide (145a) with an outer pile (14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outer side thereof is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120) A floating water facility assembl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26240A 2017-02-28 2017-02-28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KR1017270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240A KR101727011B1 (en) 2017-02-28 2017-02-28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240A KR101727011B1 (en) 2017-02-28 2017-02-28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011B1 true KR101727011B1 (en) 2017-04-26

Family

ID=5870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240A KR101727011B1 (en) 2017-02-28 2017-02-28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01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536B1 (en) 2022-02-23 2022-05-19 주식회사 아이랜드건설 Flotation equipment for floating type facilities
CN114901548A (en) * 2019-08-26 2022-08-12 以色列港口发展与资产有限公司 Marine build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7822509A (en) * 2024-03-01 2024-04-05 四川省水利科学研究院 Construction equipment of retaining wall for hydraulic engineering and application method of construction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190B1 (en) * 2010-07-14 2010-12-22 (주)신화마린 A telescoping pier for facilities with buoyancy function
KR101580996B1 (en) * 2015-08-11 2015-12-29 주식회사 아이랜드 Floating type facilit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190B1 (en) * 2010-07-14 2010-12-22 (주)신화마린 A telescoping pier for facilities with buoyancy function
KR101580996B1 (en) * 2015-08-11 2015-12-29 주식회사 아이랜드 Floating type faciliti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1548A (en) * 2019-08-26 2022-08-12 以色列港口发展与资产有限公司 Marine build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399536B1 (en) 2022-02-23 2022-05-19 주식회사 아이랜드건설 Flotation equipment for floating type facilities
CN117822509A (en) * 2024-03-01 2024-04-05 四川省水利科学研究院 Construction equipment of retaining wall for hydraulic engineering and application method of construction equipment
CN117822509B (en) * 2024-03-01 2024-05-07 四川省水利科学研究院 Construction equipment of retaining wall for hydraulic engineering and application method of construction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011B1 (en)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US20070231079A1 (en) Telescoping pil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605092B1 (en) Floating body with vacuum preventing movement device
US20170233966A1 (en) Integrated marine barrier
US53854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ment of oil and other pollutants
KR101006982B1 (en) pendulum type cultivation of fish cage
US8220406B2 (e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KR102248621B1 (en) Floating transfer ocea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10016671A (en) Floating breakwater
US8303212B2 (en) Boom mooring system
KR101003190B1 (en) A telescoping pier for facilities with buoyancy function
KR200429685Y1 (en) Prefabricated floating bridge
US4290381A (en) Floating marina
KR101954345B1 (en) Berth facility using floating platform
KR101126326B1 (en) A telescoping pier for facilities with buoyancy function
KR20190081533A (en) Multiple-layered floating silt protector
KR102253127B1 (en) multi-function pontoon
KR101642763B1 (en) Floating post structure
KR102200448B1 (en) Floating structure for aquaculture.
US20100275832A1 (en) Raft parking for boat
US5590979A (en) Flexible pipe diffus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05313813A (en) Simple marina device, and vessel managing method
RU2794664C1 (en) Floating barrier (embodiments)
KR102399536B1 (en) Flotation equipment for floating type facilities
CN211773298U (en) Positioning pile floating yacht whar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