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536B1 - Flotation equipment for floating type facilities - Google Patents

Flotation equipment for floating type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536B1
KR102399536B1 KR1020220023310A KR20220023310A KR102399536B1 KR 102399536 B1 KR102399536 B1 KR 102399536B1 KR 1020220023310 A KR1020220023310 A KR 1020220023310A KR 20220023310 A KR20220023310 A KR 20220023310A KR 102399536 B1 KR102399536 B1 KR 102399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ody
buoyancy
guide
water
guide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3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랜드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랜드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랜드건설
Priority to KR102022002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5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5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inclination or duration of ro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surface floating type facility, which is provided to stably elevate a facility or a water floating structure without tilting by dealing with changes of the water level and external forces caused by the flooding of rivers and the like. To this end,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water surface floating type facility,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guide piles which are erected at four sid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ground surface to guide such that a buoyancy body may ascend and descend; the buoyancy body which floats on the water by buoyancy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in up and down directions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piles, and in which a hollow sleeve is mounted in four side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guide piles, wherein a facility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out pipes which are erected at four sides on the buoyancy body such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iles may be inserted thereinto in order to prevent the exposure of the guide piles and to elevate the buoyancy body in a parallel manner without tilting; a plurality of gliding rollers which are vertically and freely rotated to be moved in a sliding manner along the guide piles when the buoyancy body is elevated by buoyancy, and which are attached at four sides to the upper portion on the inside of the sleeves; and a guide bush which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n the inside of the sleeves to elevate the buoyancy body in a parallel manner without tilting.

Description

수면 부상형 시설물{FLOTATION EQUIPMENT FOR FLOATING TYPE FACILITIES}FLOTATION EQUIPMENT FOR FLOATING TYPE FACILITIES

본 발명은 화장실이나 매점 등의 각종 시설물 또는 수상 자전거 도로나 수상 산책로, 수상 보행로 등의 수상구조물을 하천이나 강, 호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부력을 이용해 수면 위로 부양시켜 침수를 방지하는 수면 부상형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이나 호수의 범람 등으로 인한 수위 변화 및 외력에 대응하여 시설물 또는 수상구조물을 기울어짐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수면 부상형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ace-floating facility that prevents flooding by levitating various facilities such as toilets and shops or water structures such as water bike paths, water trails, and water walking paths over the water surface using buoyanc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water level of rivers, rivers, and lakes It relates to a water-floating type facility for stably elevating a facility or water structure without inclination in response to water level changes and external forces caused by flooding of rivers or lakes, etc., in more detail.

오늘날 공중의 편의와 안전을 위한 샤워실, 매점, 화장실, 탈의실, 선착장, 공공건물(수난구조대) 등과 같이 강변이나 수변, 호소변 등의 저지대 또는 둔치에 설치되는 다양한 시설물은 하천이나 호수의 범람과 강물의 수위 상승으로 인한 침수나 유실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 장소가 물에 잠길 경우 부력에 의해서 저절로 부상하도록 주로 부력을 갖는 강재 폰툰 위에 설치되고 있다.Today, for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public, various facilities installed in the lowlands or shores of rivers, waterfronts, lakes, etc. In order to prevent flooding, loss, or damage due to the rise in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it is mainly installed on a steel pontoon having buoyancy so that it floats spontaneously by buoyancy when the installation site is submerged in water.

예컨대, 본 발명자가 개발한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에 의해 승강하는 부양본체(300)와, 부양본체(300)를 지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를 형성한 기초구조물(100)과, 부양본체(300)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기초구조물(100)에 세워진 가이드 포스트(200) 및 부양본체(300)가 가이드 포스트(200)를 따라 원활하게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장치(400)로 구성된 '부력기능을 갖는 시설물'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developed by the present inventors, as shown in FIG. 1 , the floating body 300 elevating by buoyancy and the foundation structure 100 in which a space is formed so that the floating body 300 can be located underground. ), and the guide post 200 and the floating body 300 erected on the base structure 100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loating body 300 guide roller device 400 for guiding to smoothly ascend and descend along the guide post 200 ) composed of 'facilities with buoyancy function' are disclosed.

그러나 이는 수위 변화에 따라 부양본체(300)가 원활하게 승강하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포스트(200)와 가이드 롤러장치(400) 간에 약간의 유격을 두고 설치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특성상 부양본체(300)가 수면에 뜬 상태에서 파랑이나 너울, 바람 등의 영향으로 인해 쉽게 흔들리고, 이렇게 되면 부양본체(300)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자칫 기초구조물(100)의 내벽면과 부딪히는 충격으로 인해 파손 우려가 있는 데다 하강 시 부양본체(300)의 하면 부분이 기초구조물(100)의 상단 테두리에 걸리면서 제대로 하강하지 않고 기초구조물(100)의 상측에 불안하게 얹히거나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is due to the structural nature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there is no choice but to install with a small gap between the guide post 200 and the guide roller device 400 in order for the floating body 300 to smoothly ascend and descen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hange. In the state, it easily shakes due to the influence of waves, swells, wind, etc., and in this case, there is a risk of damage due to the impact that the floating body 300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ase structure 100 in the process of ascending and descending, and when descending, the floating bod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base structure 100 does not descend properly while being caught on the upper edge of the base structure 100 and rests uneasy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structure 100 or tilts.

또한, 부양본체(300)의 위치를 잡아주고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포스트(200)는 평상시 수면 위로 길게 노출되기 때문에 그 도장면이 가이드 롤러장치(400)와 잦은 접촉 및 마찰로 인해 손상될 경우 시설물의 외관미를 현저히 떨어뜨리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uide post 200 that holds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body 300 and guides the lifting and lowering is normally exposed for a long time above the water surface, the painted surface of the guide roller device 400 is damaged due to frequent contact and friction with the facility. There is a limit that significantly reduces the appearance of the

한편, 일반적으로 강변이나 수변, 호소변의 물 위로 수상 자전거 도로나 수상 산책로, 생태관람용 수상 보행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수상구조물이 많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는 강이나 호소의 바닥에 파일(pile)을 박아 넣고, 이를 기초로 하여 바닥과 난간을 설치하는 이른바 목재 데크 시스템으로 시공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a lot of various types of water structures such as water bike paths, water trails, and water walking paths for ecology viewing are installed on the water of riverside, waterside, and lakeside, which are piles on the bottom of rivers or lakes. It is built into a so-called wooden deck system, which is driven in and installed on the basis of the floor and railing.

최근에는 수면의 변동이나 수심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도록 부력에 의해 가이드 파일을 따라 승강하는 상자형 폰툰(Pontoon/부력체)을 물 위에 띄워서 만드는 부유식 목재 데크 시스템이 각광 받고 있다.Recently, a floating wooden deck system made by floating a box-type pontoon (buoyant body) that ascends and descends along a guide pile by buoyancy so as not to be directly affected by changes in the water surface or water depth, is in the spotlight.

즉, 부유식 목재 데크 시스템(수상구조물)은 수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부유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위 상승으로 인한 침수나 유실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floating wooden deck system (aquatic structure) has a structure that automatically floats according to a change in water level, thereby preventing flooding, loss, or damage due to a rise in water level.

그런데 종래의 부유식 목재 데크 시스템은 수위 변화에 안정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loating wooden deck system has a limitation in not being able to respond stably to changes in water level.

이를테면, 수위 상승 시 물 위에 부유하는 나뭇조각이나 플라스틱 따위의 각종 쓰레기가 떠내려가지 못하고 구조물에 걸려서 적체될 경우 원활하게 부상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위 하강 시 쓰레기의 간섭으로 인해 안정적으로 하강하지 못하고 고정위치가 불안정한 상태로 변동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when the water level rises, various wastes such as wood chips and plastics floating on the water cannot float away, and if they are caught on structures, they cannot be floated smoothly. There is a problem with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fluctuating in an unstable state.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The background or prior art described herein is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only intended to help in understanding the technical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ology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t is revealed that it does not mean a technique widely known in the field, and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ior art are not mutually exclusive with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esent invention.

KRKR 10-2009-008535510-2009-0085355 A(2009.08.07)A (2009.08.07) KRKR 10-172701110-1727011 B1(2017.04.10)B1 (2017.04.10) KRKR 10-146994910-1469949 B1(2014.12.01)B1 (2014.12.01) KRKR 10-160852210-1608522 B1(2016.03.28)B1 (2016.03.28)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수면 부상형 시설물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평상시 가이드 파일의 노출에 따른 시설물의 외관미 저하를 방지함과 더불어 하천이나 호수의 범람 등으로 인한 수위 변화 및 외력에 대응하여 균형을 유지하면서 유연하게 움직여 시설물 또는 수상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부력체의 누수 및 기울어짐으로 인한 단전이나 정전 시 평형 유지용 배수펌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 발전기를 정상 작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수면 부상형 시설물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at the same time, from the idea of solving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floating-type facility technology, in addition to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appearance of the facility due to the exposure of the guide file in ordinary times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stably raising and lowering facilities or water structures by moving flexibly while maintaining balance in response to water level changes and external forces caused by flooding of rivers or lakes.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as a result of continuous research to develop a water-floating facility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operating an emergency generator for supplying power to a drain pump for balance maintenance.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가이드 파일의 노출을 방지하면서 부력체에 유속으로 인한 외력이 전달되더라도 기울어짐 없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수면 부상형 시설물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rface-floating type facility that enables smooth and stable elevating without inclination even when an external force due to flow velocity is transmitted to a buoyant body while preventing exposure of the guide pile. will b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부력체의 누수 및 기울어짐으로 인한 단전이나 정전 시에 비상 발전기와 배수펌프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시설물의 침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면 부상형 시설물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operate an emergency generator and a drain pump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or power outage due to leakage and tilting of the buoyant body, thereby minimizing the inundation of the facility. is to provide.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ive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not mentioned above are based on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ose who have it will be able to understand clearly.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지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사방으로 세워져 부력체가 오르내리도록 안내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 파일,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뜨면서 상기 가이드 파일의 안내에 따라 상하로 오르내리며, 상기 가이드 파일의 위치와 대응되는 사방에 중공형 슬리브가 내장된 부력체, 상기 가이드 파일의 상부가 내부에 삽입되게 상기 부력체 위의 사방에 세워져 상기 가이드 파일의 노출을 방지하고 상기 부력체를 기울어짐 없이 평행하게 승강시키는 다수 개의 아우트 파이프, 상기 부력체가 부력에 의해 승강 시 상기 가이드 파일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도록 상하로 자유롭게 회전하고, 상기 슬리브들의 안쪽 상부에 사방으로 부착된 다수 개의 활주롤러 및 상기 슬리브들의 안쪽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부력체를 기울어짐 없이 평행하게 승강시키는 가이드 부시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상형 시설물을 제시한다.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ffectively achieving a specific technical purpose while embodying a new idea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erected in all direction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ground A plurality of guide files for guiding the buoyancy body up and down, the buoyancy body with a hollow sleeve built-in in all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guide file, which floats on the water by buoyancy and go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file, the A plurality of out pipes that are erected on all sides of the buoyancy body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guide pile is inserted inside to prevent exposure of the guide pile and elevate the buoyancy body in parallel without inclination, when the buoyancy body is lifted by buoyancy. A guide bush that freely rotates up and down to slide along the guide pile, and is attached to a plurality of sliding rollers attached to the inner upper part of the sleeves in all directions and the inner lower part of the sleeves to raise and lower the buoyancy body in parallel without inclination It provides a surface floating type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mployed, including.

이로써 본 발명은 평상시 가이드 파일의 노출에 따른 외관미 저하를 방지함과 더불어 하천이나 호수의 범람 등으로 인한 수위 변화 및 외력에 대응하여 부력체가 평형을 유지하면서 유연하게 움직여 시설물 또는 수상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eterioration of appearance due to exposure of guide piles in normal times and responds to water level changes and external forces caused by flooding of rivers or lakes, etc. can elevat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가이드 파일의 외주면(바깥쪽 곡면)에 방사상으로 레일이 부착되며, 상기 레일과 맞닿는 상기 활주롤러의 외주면(바깥쪽 곡면)에 레일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파일과 상기 활주롤러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부력체가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il is radial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of the guide pile, and a rail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of the sliding roller in contact with the rail. By minimizing the contact between the guide pile and the sliding roller, the buoyancy body can be lifted more smoothly and stabl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상기 부력체의 기울어짐이 발생하면 평형 유지용 배수펌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 발전기를 스위칭하는 기울기 센서가 상기 부력체의 내부에 장치됨으로써 부력체의 누수 및 기울어짐으로 인한 단전 시에도 평형 유지용 배수펌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 발전기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clination of the buoyancy body occurs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inclination sensor for switching the emergency generator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ain pump for maintaining the equilibrium is the buoyancy body Since it is installed insid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emergency generator normal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ain pump for balance maintenance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due to water leakage or inclination of the buoyant bod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기울기 센서는, 상기 부력체의 평면에 고정되는 원반, 상기 원반의 상면에 장착 및 상기 비상 발전기의 전기회로와 연결되고, 중앙 부분에 홀딩구멍이 형성된 음극판, 상기 원반의 테두리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운두, 상기 운두의 안쪽 면에 장착 및 상기 비상 발전기의 전기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음극판과의 접촉이 단절된 양극판 및 상기 음극판의 홀딩구멍 속에 아래쪽 일부분이 삽입 및 접촉된 채로 놓여 있다가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상기 부력체의 기울어짐이 발생하면 자중에 의해 미끄러지거나 굴러서 상기 양극판에도 접촉되어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에 전류를 통하게 하는 구형 도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상기 부력체의 기울어짐이 발생하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비상 발전기를 스위칭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sensor, a disk fixed to the plane of the buoyancy bod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and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of the emergency generator, a holding hole in the central part The formed negative electrode plate, the head form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edge of the disk, the positive plat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sh and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of the emergency generator, and cut off contact with the negative plate, and the lower part in the holding hole of the negative plate When the buoyancy body is tilted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while being inserted and placed in contact, it slides or rolls by its own weight and comes in contact with the positive plate as well, including a spherical conductor that allows current to pass through the negative plate and the positive plate Thus, when the inclination of the buoyancy body occurs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switch the emergency generator.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부력체가 하천이나 호수의 범람 시 등에 유속으로 인한 외력을 받더라도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흔들림 없이 평형을 유지하면서 유연하게 움직여 시설물 또는 수상구조물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and embodime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based on a unique solu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even if the buoyant body receives an external force due to the flow rate when a river or lake overflows, it is tilted or shaken to one side It is possible to smoothly and stably elevate a facility or water structure by moving it flexibly while maintaining the equilibrium without it.

즉, 부력체가 수평 방향으로는 움직임이 구속된 상태로 수위 변화에 따라 연직 방향으로 유연하게 승강하기 때문에 그 위에 설치되는 시설물 또는 수상구조물의 침수방지는 물론 바람의 영향 및 파랑, 파압, 파고, 조류 등과 같은 물의 흐름 변화에 의한 기울어짐이 없이 평행하게 부상하여 안전성 및 내구성 향상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buoyant body is flexibly ascending and desc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water level with the movement of the buoyant body constra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prevents flooding of facilities or water structures installed on it, as well as the influence of wind and waves, wave pressure, wave height, and curr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safety and durability by floating in parallel without inclination due to changes in the flow of water such as etc.

아울러 가이드 파일이 아우트 파이프 내에 숨겨져 있어 평상시 가이드 파일의 노출에 따른 외관미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력체가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되므로 시설물 또는 수상구조물의 수평하고 균형 잡힌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uide pile is hidden in the outer pip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in appearance due to the exposure of the guide pile in normal times, and the buoyancy body can be raised and lowered more stably, so that the horizontal and balanced installation state of the facility or water structure can be stably maintained. .

또한, 부력체의 누수 및 기울어짐으로 인한 단전이나 정전 시에도 기울기 센서의 작동 및 작용으로 평형 유지용 배수펌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 발전기를 자동적으로 정상 작동시킬 수 있어 부력체가 손상된 경우에 침수를 최소한으로 하여 시설물 또는 수상구조물의 침몰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or power failure due to water leakage or tilting of the buoyant body, the emergency generator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ain pump for balance maintenance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normally due to the operation and action of the inclina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prevent sinking of facilities or water structures by minimizing the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면 부상형 시설물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형 시설물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형 시설물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일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형 시설물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형 시설물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형 시설물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형 시설물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기울기 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형 시설물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기울기 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형 시설물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기울기 센서의 작동 이해를 돕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형 시설물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 중 기울기 센서와 비상 발전기 및 배수펌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urface floating ty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of the main elements constituting the surface float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ome of the main elements constituting the surface float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5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main elements constituting the surface floating typ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urface floating typ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urface floating typ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lt sensor among the main elements constituting a surface float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lt sensor among the main elements constituting the surface float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o help understand the operation of the inclination sensor among the main elements constituting the float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ilt sensor, an emergency generator, and a drain pump among major elements constituting a float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dicate that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anings commonly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될 수 있고, 그 도면상의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illustrated by exaggerating or simplifying a part for the explan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it is important that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 exactly matches the actual size and shape reveal that it is not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s meant to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and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is a description that is specifically opposite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other components can be further included.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That i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have' a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And terms such as upper, lower, upper, lower, upper, lower, upper, lower,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re used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upper side in the drawing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s the lower 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left/right direc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at is, terms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한편,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용어 중 시설물은 샤워실, 매점, 화장실, 탈의실, 선착장, 공공건물(수난구조대) 등과 같이 공중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강변이나 수변, 호소변 등의 저지대 또는 둔치에 설치하는 건축물 및 수상 자전거 도로나 수상 산책로, 생태관람용 수상 보행로 등과 같이 인공적으로 지반에 고정시키고 강변이나 수변, 호소변의 물 위로 조립, 설치하는 모든 공작물을 통칭한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term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in low-lying areas such as riverside, waterfront, lakeside, etc. It refers to all structures that are artificially fixed to the ground and assembled and installed on the water of rivers, waterfronts, and lakes, such as water bike paths, water walkways, and water walkways for ecological viewing.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형 시설물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가이드 파일(10), 부력체(20), 아우트 파이프(30), 활주롤러(40), 가이드 부시(50) 및 기울기 센서(60)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2 to 7 , the main elements constituting the surface floating type faci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guide pile 10 , a buoyancy body 20 , an out pipe 30 , and a sliding roller 40 . , and a guide bush 50 and a tilt sensor 60 .

가이드 파일(10)은 부력체(20)가 오르내리도록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해 다수 개가 지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사방으로 세워져 있다.A plurality of guide piles 10 are erected in all direction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ground to guide and support the buoyancy body 20 up and down.

즉, 가이드 파일(10)은 부력체(20)를 바람이나 물의 흐름, 파랑 등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횡파 및 종파에 의한 부력체(20)의 롤링(rolling) 및 피칭(pitching)을 방지하며, 하천이나 호수의 수위 변화 시 부력체(20)의 부유 위치를 고정하여 물에 휩쓸러 떠내려가는 것을 막도록 상하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그 아래쪽 부분이 콘크리트 기초(1) 또는 땅속의 암반층(지반)에 견고하게 박혀 있다.That is, the guide pile 10 not only stably supports the buoyancy body 20 against wind, water flow, waves, etc., but also prevents rolling and pitching of the buoyancy body 20 due to transverse and longitudinal waves. When the water level of a river or lake changes, it has a predetermined length up and down to fix the floating position of the buoyant body 20 to prevent being swept away by the water, and the lower part is the concrete foundation (1) or the rock layer in the ground It is firmly embedded in the (ground).

여기서 콘크리트 기초(1)는 지반을 굴착하고 속이 빈 거푸집을 짜 넣은 다음 그 속에 콘크리트를 채워 넣어 만든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그 상면에는 평상시 부력체(20)를 일정 높이로 떠받치는 받침대(2)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어 있다.Here, the concrete foundation (1) consists of a structure made by excavating the ground, squeezing a hollow formwork, and then filling it with concrete, and on its upper surface there is a pedestal (2) that normally supports the buoyancy body 20 at a certain height. Many are placed at regular intervals.

즉, 받침대(2)는 H빔(H-Beam) 등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기초(1)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부력체(2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지지함으로써 홍수 시 강물이나 우수와 함께 떠내려와서 콘크리트 기초(1)의 상면에 쌓이는 각종 쓰레기나 오니 등으로 인해 부력체(20)가 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로 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pedestal 2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n H-beam a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concrete foundation 1 to support the buoyancy body 20 to be stably seated, so that it is accompanied by river water or rainwater in the event of a floo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oyancy body 20 from being set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due to various kinds of garbage or sludge that are floating down and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foundation 1 .

그리고 가이드 파일(10)의 외주면(바깥쪽 곡면)에는 상하로 긴 레일(1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다수 부착되어 있다.A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of the guide pile 10, a number of vertical and long rails 11 are radially attached at regular intervals.

즉, 레일(11)은 활주롤러(40)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부력체(20)가 승강 시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도록 안내함으로써 부력체(20)가 더욱 원활하게 승강됨은 물론 상호 간의 접촉 면적 및 간섭을 최소화하여 마찰에 따른 소음 및 손상을 줄일 수 있다.That is, the rail 11 minimizes contact with the sliding roller 40 and guides the buoyancy body 20 to slide naturally when ascending and descending, so that the buoyancy body 20 is raised and lowered more smoothly, as well as the mutual contact area and interference It is possible to reduce noise and damage due to friction by minimizing the

여기서 가이드 파일(10)은 암반에 직접 지지되도록 강관파일(steel pipe pile)이나 강관의 중공부에 (철근)콘크리트를 충전한 강관 콘크리트 말뚝(steel pipe reinforced concrete pile)을 암반(지지층)까지 근입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guide pile 10 is a steel pipe pile or a steel pipe reinforced concrete pile filled with (reinforced) concrete in the hollow part of the steel pipe so as to be directly supported on the bedrock. It is preferable to install

아울러 가이드 파일(10)은 그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링형으로 형성된 것을 채용하고, 그 하부를 땅속에 매립한 콘크리트 기초(1)에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uide pile 10 adopts a circular or ring-shaped cross-sectional shap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 is preferable to be fixedly installed with an anchor bolt or the like to the concrete foundation 1 whose lower part is buried in the ground. .

또한, 레일(11)은 슬립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볼팅이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가이드 파일(1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 11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high-density polyethylene having excellent slip properties and can be radial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pile 10 by a method such as bolting or welding.

부력체(20)는 수면의 높이 변화 시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뜨면서 가이드 파일(10)의 안내에 따라 위아래로 자유롭게 오르내리도록 부력을 발생시키는 중공체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The buoyancy body 20 is formed in a hollow body structure that generates buoyancy so as to freely go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pile 10 while floating on the water by buoyancy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surface changes.

또한, 부력체(20)는 위치 에너지와 부력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충분한 위치 에너지를 갖도록 하기 위해 적절한 크기의 질량과 함께 일정 하중 이상을 부상시키는 적절한 부력을 발생시키도록 설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oyancy body 20 may be designed to generate an appropriate buoyancy force to levitate more than a certain load together with a mass of an appropriate size in order to have sufficient potential energy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tential energy and buoyancy force.

예를 들면, 부력체(20)는 내부가 빈 육면체 형상으로 강판 등을 용접하고, 그 밀폐된 공간을 격벽으로 분할 및 구획하여 여러 개의 격실을 형성함으로써 부분적인 파손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부력과 위치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oyancy body 20 welds a steel plate in a hexahedr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divides and partitions the closed space with partition walls to form several compartments, so that even if water leakage occurs due to partial damage, buoyancy and Potential energy can be stably maintained.

아울러 부력체(20)는 각종 형강(shape steel)이나 스티프너(stiffener)로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한 형태의 강재 구조물로 형성함으로써 수상에서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oyancy body 20 can be stably floated on the water by forming a steel structure in the form of reinforced strength and rigidity with various shape steels or stiffeners.

그리고 부력체(20) 중 가이드 파일(10)의 위치와 대응되는 사방에는 가이드 파일(10)이 통과하는 중공형 슬리브(21)가 내장되어 있다.And a hollow sleeve 21 through which the guide pile 10 passes is built in all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guide pile 10 of the buoyancy body 20 .

즉, 슬리브(21)는 부력체(20)가 가이드 파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안정적으로 승강하도록 부력체(20)의 사방 코너 부분에 사각으로 배열 및 배치되어 있다.That is, the sleeve 21 is arranged and arranged in a square at all four corners of the buoyancy body 20 so that the buoyancy body 20 stably elevates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ile 10 .

한편, 부력체(20)의 위쪽을 이루는 겉면에는 부상 및 하강하는 과정에서 기울어짐 등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쏠리거나 이탈되지 않게 시설물(C) 또는 수상구조물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outer surface forming the upper side of the buoyancy body 20, the facility (C) or the water structure may be firmly fixed so as not to be tilted or separated to either side due to inclination in the process of levitation and descending.

여기서 부력체(20) 위에 설치되는 시설물(C)로는 세면 및 용변 시설과 설비를 갖춘 공중화장실이나 편의점 등일 수 있고, 또 수상구조물로는 데크형 수상 자전거 도로나 수상 산책로 등과 같은 목재 데크 시스템 등일 수 있다.Here, the facility (C) installed on the buoyancy body 20 may be a public toilet or convenience store equipped with washing and toilet facilities and facilities, and the water structure may be a wooden deck system such as a deck-type water bike path or a water trail. there is.

또한, 부력체(20)의 상면은 미끄럼 방지 및 물 빠짐이 원활하도록 요철 또는 목재 데크를 형성(설치)하거나 그 중앙부를 향해 갈수록 상향으로 약간 볼록하게 나오도록 형성함으로써 물이 쉽게 고이거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20 is formed (installed) with irregularities or wooden decks to prevent slipping and drain water smoothly, or to be slightly convex upward toward the center thereof, so that water easily accumulates or foreign substances are accumulated. it can be prevented

아우트 파이프(30)는 가이드 파일(10)의 노출을 방지하고 부력체(20)를 기울어짐 없이 평행하게 승강시키기 위해 가이드 파일(10)의 상부를 내부에 삽입하여 보호하는 상태로 부력체(20) 위의 사방에 세워져 있다.The out pipe 30 prevents the exposure of the guide pile 10 and inserts the upper part of the guide pile 10 inside to protect the buoyancy body 20 in order to elevate the buoyancy body 20 in parallel without inclination. ) is erected on all sides of the above.

즉, 아우트 파이프(30)는 가이드 파일(10)의 바깥지름보다 그 안지름이 큰 강관(steel pipe)으로 하여 슬리브(21)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다.That is, the outer pipe 30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leeve 21 as a steel pipe whose inner diameter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pile 10 .

여기서 아우트 파이프(30)는 그 하단에 붙어 있는 플랜지를 부력체(20)와 볼트로 체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Here, the out pipe 30 may be installed by fastening the flange attached to the lower end with the buoyancy body 20 and bolts.

그리고 아우트 파이프(30)는 그 플랜지로 슬리브(21)를 덮으면서 부력체(20)에 설치할 수 있다.And the outer pipe 30 can be installed on the buoyancy body 20 while covering the sleeve 21 with its flange.

또한, 아우트 파이프(30)는 가이드 파일(10)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면서 부력체(20)의 미끄럼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가이드 파일(10)과 약 5cm 정도로 유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pipe 30 is preferably installed with a gap of about 5 cm from the guide pile 10 in order to smoothly slide the buoyancy body 20 while not in contact with the guide pile 10 .

한편, 아우트 파이프(30)의 상단에는 화장실이나 매점 등과 같은 시설물(C) 또는 수상 자전거 도로나 수상 산책로, 수상 보행로 등과 같은 수상구조물을 이루는 루프 패널(R)이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of panel (R) constituting a water structure such as a facility (C), such as a toilet or a kiosk, or a water bicycle path, a water promenade, a water walking path, etc. may be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pipe 30 .

즉, 루프 패널(R)은 평평한 모양으로 이루어져 사방의 아우트 파이프(30)를 구조적으로 연결 및 지지하고, 각종 시설물(C) 또는 수상구조물을 구성하는 요소로 구비되어 있다.That is, the roof panel R is formed in a flat shape to structurally connect and support the outer pipes 30 in all directions, and is provided as an element constituting various facilities C or water structures.

활주롤러(40)는 부력체(20)가 부력에 의해 승강 시 가이드 파일(10)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도록 상하로 자유롭게 회전하며, 슬리브(21)들의 안쪽 상부에 사방으로 다수 개가 부착되어 있다.The sliding roller 40 freely rotates up and down so that the buoyancy body 20 slides along the guide pile 10 when ascending and descending by buoyancy, and a plurality of pieces are attached to the inner upper part of the sleeves 21 in all directions.

즉, 활주롤러(40)는 부력체(20)가 부력에 의해 승강 시 마찰저항으로 최소화하여 가이드 파일(10)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원활하게 구름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sliding roller 40 serves to guide the buoyancy body 20 to smoothly roll as if sliding along the guide pile 10 by minimizing frictional resistance when ascending and descending by buoyancy.

그리고 활주롤러(40) 중 가이드 파일(10)의 레일(11)과 맞닿는 외주면(바깥쪽 곡면)에는 부력체(20)의 한층 더 원활한 부상 및 하강 작동을 위해 가이드 파일(10)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레일홈(41)이 형성되어 있다.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ail 11 of the guide pile 10 of the slide roller 40, contact with the guide pile 10 for a smoother floa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buoyancy body 20 A rail groove 41 to minimize is formed.

즉, 가이드 파일(10)의 레일(11)과 접촉되는 활주롤러(40)의 외주면에는 그 레일(11)을 따라 오르내리도록 가운데 부분이 오목하게 패인 형상의 레일홈(41)이 형성되어 있다.That i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ing roller 40 in contact with the rail 11 of the guide pile 10, a rail groove 41 having a concave shape in the center is formed so as to go up and down along the rail 11. .

여기서 활주롤러(40)는 슬리브(21)의 안쪽 면 사방에 그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된 브래킷에 의해 상하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sliding roller 40 may be installed rotatably in both up and down directions by brackets fixed to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21 in all directions.

또한, 가이드 파일(10)과 개개의 활주롤러(40) 사이는 부력체(20)의 미끄럼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약 5cm 정도의 유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leave a gap of about 5 cm between the guide pile 10 and the individual sliding rollers 40 in order to facilitate the sliding of the buoyancy body 20 .

가이드 부시(50)는 부력체(20)를 기울어짐 없이 평행하게 승강시키고 부력체(20) 위의 시설물 또는 수상구조물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21)들의 안쪽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The guide bush 50 is attached 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sleeves 21 in order to elevate the buoyancy body 20 in parallel without inclination and prevent the facilities or water structures on the buoyancy body 20 from being twisted.

즉, 가이드 부시(50)는 부력체(20)의 슬리브(21)와 가이드 파일(10) 간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감소시키면서 부력체(20)의 승강 과정에서 가이드 파일(10)과 아우트 파이프(30)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아우트 파이프(30)와 구조적으로 연결되는 루프 패널(R)이나 부력체(20) 위의 시설물(C) 또는 수상구조물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뒤틀리는 것을 억제하여 막을 수 있다.That is, the guide bush 50 reduces the frictional force caus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sleeve 21 and the guide pile 10 of the buoyancy body 20, while the guide pile 10 and the out pipe ( 30) do not contact each other to prevent the roof panel (R) structurally connected to the out pipe 30 or the facility (C) on the buoyancy body 20 or the water structure from inclining or twisting to either side. there is.

여기서 가이드 부시(50)는 평상시 가이드 파일(10)과의 접촉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이드 파일(10)의 중심선에서 레일(11)의 최외측 가장자리까지의 반지름보다 약 3~5cm 정도 큰 반지름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guide bush 50 has a radius about 3 to 5 cm larger than the radius from the center line of the guide pile 10 to the outermost edge of the rail 11 in order to minimize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guide pile 10 in normal times.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the form.

한편,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60)는 부력체(20)가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평형 유지용 배수펌프(8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 발전기(70)를 스위칭하도록 부력체(20)의 내부에 장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8 to 11, the inclination sensor 60 is an emergency generator 70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ain pump 80 for maintaining equilibrium when the buoyancy body 20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It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buoyancy body 20 to switch.

이러한 기울기 센서(60)는 원반(61), 음극판(62), 운두(64), 양극판(65) 및 도체(66)를 포함하고 있다.The inclination sensor 60 includes a disk 61 , a negative plate 62 , a head 64 , a positive plate 65 , and a conductor 66 .

원반(61)은 일정한 넓이를 가지며, 부력체(20)의 평면에 고정되어 있다.The disk 61 has a certain area and is fixed to the plane of the buoyancy body 20 .

음극판(62)은 원반(61)보다 좁은 수평적 넓이를 가지며, 비상 발전기(70)의 전기회로와 연결된 채로 원반(61)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plate 62 has a narrower horizontal width than the disk 61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61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of the emergency generator 70 .

그리고 음극판(62)의 중앙 부분에는 도체(66)의 하부를 받쳐주어 움직임을 방해하는 홀딩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holding hole 63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62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uctor 66 to prevent movement.

즉, 홀딩구멍(63)은 음극판(62)의 중앙에 도체(66)의 지름 중 호 일부분과 대응하는 크기로 오목하게 패여 있다.That is, the holding hole 63 is recessed in the center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62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arc of the diameter of the conductor 66 .

운두(64)는 도체(66)가 음극판(62)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원반(61)의 테두리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The head 64 is formed at a constant height on the edge of the disk 61 so that the conductor 66 does not deviate from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62 .

양극판(65)은 음극판(62)과의 접촉이 단절된 상태로 운두(64)의 안쪽 면에 링형으로 부착되어 있다.The positive plate 65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64 in a ring shape in a state in which contact with the negative plate 62 is cut off.

그리고 양극판(65)은 비상 발전기(70)의 전기회로와 연결되어 있다.And the positive plate 65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of the emergency generator (70).

또한, 양극판(65)의 안쪽 면에는 구형 도체(66)와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단면이 호형의 홈 모양으로 되어 있는 내측면(67)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65 has an inner surface 67 having an arc-shaped groove in cross section so that contact with the spherical conductor 66 can be made stably.

도체(66)는 음극판(62)의 홀딩구멍(63) 속에 아래쪽 일부분이 삽입 및 접촉된 채로 놓여 있다가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부력체(20)의 기울어짐이 발생하면 자중에 의해 미끄러지거나 굴러서 양극판(65)에도 접촉되어 음극판(62)과 양극판(65)에 전류를 통하게 하도록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conductor 66 is placed with its lower part inserted and in contact with the holding hole 63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62, and when the inclination of the buoyancy body 20 occurs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it slides or rolls by its own weight. It is also in contact with 65 and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so as to allow current to pass through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62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65 .

여기서 음극판(62)과 양극판(65) 및 도체(66)는 전기에 대한 저항이 매우 작아 전기를 잘 전달하는 은, 구리,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62 ,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65 , and the conductor 66 may be made of any one of silver, copper, and aluminum, which transmits electricity well because resistance to electricity is very small.

그리고 배수펌프(80)는 부력체(20)의 격실 내부로 들어오는 물과 각 탱크로 구성된 격실 내에 고인 물을 밖으로 배출하여 부력체(20)의 평형을 유지시키기 위해 부력체(20)의 격실 속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And the drain pump 80 discharges the water coming into the compartment of the buoyancy body 20 and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compartment composed of each tank to the outside to maintain the equilibrium of the buoyancy body 20 in the compartment of the buoyancy body 20. each is installed.

또한, 비상 발전기(70)는 상용전원의 공급중단 시에 대체 전력으로 공급하는 비상전원(예비전원)을 발전하는 것으로, 부력체(20)가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배수펌프(8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부력체(20)에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generator 70 generates emergency power (reserve power) supplied as an alternative power when the supply of commercial power is interrupted. It is installed in the buoyancy body 20 to supply power.

즉, 부력체(20)가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조건에 부합하면 자동으로 상용전원의 공급을 차단하여 단전이 되므로, 이때의 안전 확보를 위해서 기울기 센서(60)는 비상 발전기(70)로부터 배수펌프(80)에 공급하는 비상전원을 제어한다.That is, when the buoyancy body 20 meets the condition for inclin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power is automatically cut off by cutting off the supply of commercial power. The emergency power supplied to the drain pump 80 is controll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면 부상형 시설물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홍수 등으로 인한 설치 장소의 수위 변화나 하천이나 호수의 범람 시 부력체(20)가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뜨면서 가이드 파일(10)의 안내에 따라 상하로 자연스럽게 오르내리기 때문에 부력체(20) 위에 설치된 시설물(C)이나 수상구조물을 평형하게 부상 및 하강시키고, 수면 위에 부유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water-floating typ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loating on the water by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body 2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installation site changes due to flooding or flooding of a river or lake. Since it naturally ascends and descends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pile 10, the facility (C) or the water structure installed on the buoyancy body 20 can be levitated and descended in a balanced manner, and the floating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on the water surface.

아울러 부력체(20)가 물의 흐름 변화로 인한 하중을 받더라도 가이드 파일(10)의 바깥지름보다 큰 안지름을 갖는 아우트 파이프(30)와 가이드 부시(50)의 지지에 의해 승강 과정에서 흔들리거나 원래의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결파와의 충돌간섭이나 시설물(C) 또는 수상구조물의 하중으로 인한 흔들림 및 한쪽으로 치우치는 기울어짐을 최소화하여 수평하고 균형 잡힌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buoyant body 20 receives a load due to a change in the flow of water, it is shaken in the elevating process by the support of the outer pipe 30 and the guide bush 50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pile 10 or Not only can it prevent movement out of a fixed position, but also it can maintain a stable, horizontal and balanced installation state by minimizing shaking and inclination biased to one side due to collision interference with wave waves or the load of the facility (C) or water structure. there is.

즉, 부력체(20)가 가이드 파일(10)과 아우트 파이프(30) 및 가이드 부시(50)의 작용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는 움직임이 구속된 상태로 수위 변화에 따라 연직 방향으로 승강 운동하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 및 파랑, 파압, 파고, 조류 등과 같은 물의 흐름 변화에 의한 기울어짐이 없이 평행하게 부상하여 수면 위에 수직으로 놓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at is, because the buoyancy body 20 moves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hange in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is restri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action of the guide pile 10, the out pipe 30, and the guide bush 50 It floats in parallel without inclination due to the influence of wind and changes in the flow of water such as waves, wave pressure, wave height, and current, and can stably maintain a state of being vertically placed on the water surface.

아울러 가이드 파일(10)이 아우트 파이프(30)의 중공 내부에 숨겨져 있는 데다 부력체(20)의 승강 시 활주롤러(40)의 일부분이 레일(11)과 접촉되는 구조여서 평상시 가이드 파일(10)의 노출에 따른 외관미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부력체(20)의 승강 과정에서 가이드 파일(10)의 도장이 벗겨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ile 10 is hidden inside the hollow of the outer pipe 30, and a part of the sliding roller 40 is in contact with the rail 11 when the buoyancy body 20 is lif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in appearance due to the exposure of the buoyancy body 20, and to prevent the coating of the guide pile 10 from peeling off or being damaged in the elevating process of the buoyancy body 20.

더구나 부력체(20)의 누수로 인한 기울어짐 발생과 그에 따른 상용전원의 단전 시에는 기울기 센서(60)가 자동으로 감지하여 부력체(2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고인 물을 빼내는 작용을 하는 배수펌프(8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 발전기(70)를 정상 작동시키므로 부력체(20)가 손상된 경우에 침수를 최소한으로 하여 시설물(C) 또는 수상구조물의 침몰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clination occurs due to leakage of the buoyancy body 20 and the commercial power is cut off, the inclination sensor 60 automatically detects it and drains the water flowing into the buoyancy body 20 or draining the stagnant water. Since the emergency generator 7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ump 80 is normally operated, when the buoyancy body 20 is damaged, the submergence can be minimized to prevent the sinking of the facility C or the water structure.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each It is clea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it can be widely applied by changing the component substitution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가이드 파일 11: 레일
20: 부력체 21: 슬리브
30: 아우트 파이프 40: 활주롤러
41: 레일홈 50: 가이드 부시
60: 기울기 센서 61: 원반
62: 음극판 63: 홀딩구멍
64: 운두 65: 양극판
66: 도체
10: guide file 11: rail
20: buoyancy body 21: sleeve
30: out pipe 40: slide roller
41: rail groove 50: guide bush
60: tilt sensor 61: disk
62: negative plate 63: holding hole
64: head 65: positive plate
66: conductor

Claims (4)

지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사방으로 세워져 부력체(20)가 오르내리도록 안내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 파일(10);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뜨면서 상기 가이드 파일(10)의 안내에 따라 상하로 오르내리며, 상기 가이드 파일(10)의 위치와 대응되는 사방에 중공형 슬리브(21)가 내장되고 상면에 시설물(C)이 설치된 부력체(20);
내부에 상기 가이드 파일(10)의 상부가 삽입되게 상기 부력체(20) 위의 사방에 세워져 상기 가이드 파일(10)의 노출을 방지하고 상기 부력체(20)를 기울어짐 없이 평행하게 승강시키는 다수 개의 아우트 파이프(30);
상기 부력체(20)가 부력에 의해 승강 시 상기 가이드 파일(10)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도록 상하로 자유롭게 회전하고, 상기 슬리브(21)들의 안쪽 상부에 사방으로 부착된 다수 개의 활주롤러(40);
상기 슬리브(21)들의 안쪽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부력체(20)를 기울어짐 없이 평행하게 승강시키는 가이드 부시(50);
상기 부력체(20)에 탑재된 평형 유지용 배수펌프(80);
상기 배수펌프(80)에 단전 시 운전을 시작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 발전기(70);
상기 부력체(20)의 내부에 장치되어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상기 부력체(20)의 기울어짐이 발생하면 상기 비상 발전기(70)가 운전을 시작하도록 스위칭하는 기울기 센서(60);
상기 가이드 파일(10)과 상기 활주롤러(40)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파일(10)의 외주면(바깥쪽 곡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부착된 레일(11); 및
상기 레일(11)과 맞닿는 상기 활주롤러(40)의 외주면(바깥쪽 곡면)에 형성된 레일홈(41);
을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 센서(60)는,
상기 부력체(20)의 평면에 고정되는 원반(61);
상기 원반(61)의 상면에 장착 및 상기 비상 발전기(70)의 전기회로와 연결되고, 중앙 부분에 홀딩구멍(63)이 형성된 음극판(62);
상기 원반(61)의 테두리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운두(64);
상기 운두(64)의 안쪽 면에 장착 및 상기 비상 발전기(70)의 전기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음극판(62)과의 접촉이 단절된 양극판(65);
상기 음극판(62)의 홀딩구멍(63) 속에 아래쪽 일부분이 삽입 및 접촉된 채로 놓여 있다가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상기 부력체(20)의 기울어짐이 발생하면 자중에 의해 미끄러지거나 굴러서 상기 양극판(65)에도 접촉되어 상기 음극판(62)과 상기 양극판(65)에 전류를 통하게 하는 구형 도체(66); 및
상기 양극판(65)의 안쪽 면에 형성되고, 상기 구형 도체(66)와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단면이 호형의 홈 모양으로 되어 있는 내측면(67);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상형 시설물.
A plurality of guide files (10) for guiding the buoyancy body (20) up and down by standing in all direction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ground;
It floats on the water by buoyancy and go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pile 10, and the hollow sleeve 21 is built-in in all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guide pile 10, and the facility (C) is on the upper surface. installed buoyancy body 20;
A plurality of erecting in all directions on the buoyancy body 20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guide pile 10 is inserted therein to prevent exposure of the guide pile 10 and elevate the buoyancy body 20 in parallel without inclination dog's out pipe 30;
The buoyancy body 20 freely rotates up and down to slide along the guide pile 10 when ascending and descending by buoyancy, and a plurality of sliding rollers 40 attached to the inner upper part of the sleeves 21 in all directions. ;
a guide bush 50 attached to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sleeves 21 to elevate the buoyancy body 20 in parallel without inclination;
a drain pump 80 for maintaining equilibrium mounted on the buoyancy body 20;
an emergency generator 70 for supplying power by starting operation when the drain pump 80 is cut off;
a tilt sensor 60 installed inside the buoyancy body 20 to switch the emergency generator 70 to start operation when the inclination of the buoyancy body 20 occurs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a plurality of rails 11 radially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of the guide pile 10 in order to minimize contact between the guide pile 10 and the sliding roller 40; and
a rail groove 41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urved surface) of the sliding roller 40 in contact with the rail 11;
includes,
The inclination sensor 60,
a disk 61 fixed to the plane of the buoyancy body 20;
a negative electrode plate 62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61 and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of the emergency generator 70, and having a holding hole 63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 head (64) formed at a constant height on the edge of the disk (61);
a positive plate (65)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64) and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of the emergency generator (70), and disconnected from contact with the negative plate (62);
When the lower part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62 is inserted and placed in contact with the holding hole 63, and the inclination of the buoyancy body 20 occurs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it slides or rolls under its own weight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65 a spherical conductor 66 that is also in contact with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62 and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65 to conduct an electric current; and
an inner surface (67)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65) and having an arc-shaped groove in cross section so that contact with the spherical conductor (66) is stably made;
Surface-float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23310A 2022-02-23 2022-02-23 Flotation equipment for floating type facilities KR1023995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310A KR102399536B1 (en) 2022-02-23 2022-02-23 Flotation equipment for floating type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310A KR102399536B1 (en) 2022-02-23 2022-02-23 Flotation equipment for floating type fac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536B1 true KR102399536B1 (en) 2022-05-19

Family

ID=8180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310A KR102399536B1 (en) 2022-02-23 2022-02-23 Flotation equipment for floating type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536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737A (en) * 1998-11-13 2000-05-30 Tachikawa Musen Keiki Seisakusho:Kk Motion sensor
KR20090085355A (en) 2008-02-04 2009-08-07 김용재 Facilities with buoyancy function
KR20110054659A (en) * 2009-11-18 2011-05-25 (주)신화마린 A telescoping pier for facilities with buoyancy function
KR101469949B1 (en) 2014-08-22 2014-12-08 주식회사 아이랜드 Floating type facilities
KR101608522B1 (en) 2014-05-15 2016-04-01 주식회사 아이랜드 Floating type public toilet
KR101727011B1 (en) 2017-02-28 2017-04-26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CN206871318U (en) * 2017-05-02 2018-01-12 天津开发区世创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offshore platform lowering or hoisting gear
KR102255985B1 (en) * 2020-02-07 2021-05-2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Balancing device of offshore wind power equipment of floating typ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737A (en) * 1998-11-13 2000-05-30 Tachikawa Musen Keiki Seisakusho:Kk Motion sensor
KR20090085355A (en) 2008-02-04 2009-08-07 김용재 Facilities with buoyancy function
KR20110054659A (en) * 2009-11-18 2011-05-25 (주)신화마린 A telescoping pier for facilities with buoyancy function
KR101608522B1 (en) 2014-05-15 2016-04-01 주식회사 아이랜드 Floating type public toilet
KR101469949B1 (en) 2014-08-22 2014-12-08 주식회사 아이랜드 Floating type facilities
KR101727011B1 (en) 2017-02-28 2017-04-26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CN206871318U (en) * 2017-05-02 2018-01-12 天津开发区世创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offshore platform lowering or hoisting gear
KR102255985B1 (en) * 2020-02-07 2021-05-2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Balancing device of offshore wind power equipment of floating ty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7949A (en) Landlocked floating house
US6347487B1 (en) Flood resistant building structure
US7793466B2 (en) Arrangement of a building mobile between two positions, on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the other floating
KR101709274B1 (en) Waterproof wall structure having buoyancy reinforce plate
US7354223B2 (en) Mechanical ship lift
CN112173025A (en) Offshore floating platform anticollision device
GB1599631A (en) Self elevating offshore platform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CA1042220A (en) Offshore foundation structure
KR102399536B1 (en) Flotation equipment for floating type facilities
KR101727011B1 (en) Floating type structure on water surface
US20090304452A1 (en) Metal Piles or Dolphins with Ballastable Skirts
GB2357094A (en) Buoyant building for flood protection
US2873581A (en) Marine platform
GB2543172B (en) Building
RU2477351C1 (en) Ice-resistant monopod self-rising floating drilling rig
US6539887B1 (en) Bus to boat passenger transfer facility
KR20110031403A (en) Power generation apparatus from inertial force of the wave by water pumping
KR102422961B1 (en) Lifted or lowered guiding apparatus for floating type structure
KR102257051B1 (en) Floating type connecting bridge
CN212375795U (en) Structure of underwater ground anchor type yacht wharf
GB2456878A (en) Automatic flood barrier system
KR101262292B1 (en) Flood gate for storing sea water
GB2241011A (en) Offshore platform system
KR101802299B1 (en) Floating type swimming pool
GB2196675A (en) Offshore platfor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