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542B1 -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 Google Patents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542B1
KR101726542B1 KR1020160019206A KR20160019206A KR101726542B1 KR 101726542 B1 KR101726542 B1 KR 101726542B1 KR 1020160019206 A KR1020160019206 A KR 1020160019206A KR 20160019206 A KR20160019206 A KR 20160019206A KR 101726542 B1 KR101726542 B1 KR 101726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body protecting
wearer
layer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일섭
Original Assignee
배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일섭 filed Critical 배일섭
Priority to KR1020160019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4Aprons; Fastening devices for apr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착용자의 가슴의 전면에서 허리의 전면 및 양 측면까지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 및 양 측단에 목끈 및 허리끈이 각각 구비된 상체 보호부; 상기 상체 보호부의 하단과 연결된 것으로서,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하체 보호부; 상기 하체 보호부의 하단 일 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하체 보호부를 제 1 하체 보호부 및 제 2 하체 보호부로 분할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에 따르면, 상체 보호부와 하체 보호부로 구성된 산업용 의류에서 상기 하체 보호부를 제 1 하체 보호부와 제 2 하체 보호부로 분할 구성하고, 개폐수단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앞치마 형태 및 바지 형태로 그 형태를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Industrial Protection Clothes With Separated Lower Body Protection Part}
본 발명은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앞치마형 작업복의 하반신 보호부의 중앙을 상하 방향으로 절개하고, 지퍼 등의 개폐도구를 통해 분리 및 체결 가능하게 하여, 필요에 따라 앞치마 또는 바지 형태로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산업용 보호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보호의류, 다시 말해 작업복은 여러 산업 현장에서 물이나 분진, 기타 오염물 등으로 인한 의복의 오염을 방지하고 신체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 현장에 쓰이는 작업복에 있어서, 앞치마형 작업복은 탈착의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앞치마형 작업복은 통상의 앞치마와 다를 바 없으며, 다만 작업복을 입는 착용자의 보호 면적을 높이기 위해 그 길이가 일반 가정용 앞치마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발목 부근까지 보호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앞치마형 작업복의 하반신부는 단순한 넓은 천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보행에 지장을 초래하며, 쪼그리고 앉거나 무릎을 굽혀야 할 경우 착용자가 더욱 심한 불편감을 느끼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96983에 ‘활동이 용이한 앞치마형 작업복’이 게시되어있다. 상기 발명은 앞치마형 작업복으로서, 하체 보호부는 허벅지에 인접한 부분에서 양측이 대칭되게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각각 제 1 및 제 2 하반신 보호부로 나누어지되, 상기 제 1 및 제 2 하반신 보호부가 마주보고 있는 부분은 일정 길이 겹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앞치마 형 작업복의 활동성을 증가시켜 작업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앞치마의 하체 보호부 중앙에 절개선을 형성한 것에 불과하며, 착용자가 쪼그려 앉을 경우의 불편감은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으나 보행의 용이성을 크게 높였다고는 볼 수 없다. 또한 절개부위로 오염 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한계점 역시 가지고 있다.
그에 따라 다른 해결 방안으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04293에 ‘작업복’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작업복으로서, 목개폐밴드가 포함되고 상체의 전면부와 측면부를 둘러싸는 상체보호피와 각 다리의 전면부와 측면부를 둘러싸는 하체보호피가 마련되며 상기 상체보호피와 하체보호피에는 착탈수단이 포함된 개폐밴드가 장착되는 한편, 하체보호피의 각 관절부위인 골반과 무릎부위에는 동작보조수단으로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활동과 탈착의를 편리하게 하였다.
상기 발명의 경우 착탈수단을 구비하여 절개된 앞치마형 작업복을 고정함으로써 활동성을 높였다는 장점이 있으나, 바지 형태의 작업복으로만 이용 가능하며, 착탈 수단을 해제할 경우 상기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96983에 게시된 ‘활동이 용이한 앞치마형 작업복’과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탈착의의 편의성을 높인 산업용 보호의류로서, 앞치마 또는 바지 형태로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신체 상부의 보호와 함께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산업용 보호의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앞치마 형상을 기반으로 하여 탈착의의 편의성을 높이되, 필요에 따라 앞치마 형태 및 바지 형태로 그 형태를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산업용 보호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측으로 분할되는 산업용 보호의류를 각 다리에 고정하는 추가적인 고정구를 구성하여 착용자의 활동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하반신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산업용 보호의류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탈착의의 편의성을 유지하면서도 앞치마 형태의 산업용 보호의류에서는 보호할 수 없었던 착용자의 목과 머리 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액체 오염물이 많은 작업 환경에서 산업용 보호의류를 타고 흐른 액체 오염물에 의해 착용자의 바지 밑단이나 신발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분진에 노출되는 작업 환경에서 착용자가 분진을 보다 쉽게 털어낼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는, 착용자의 가슴의 전면에서 허리의 전면 및 양 측면까지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 및 양 측단에 목끈 및 허리끈이 각각 구비된 상체 보호부; 상기 상체 보호부의 하단과 연결된 것으로서,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하체 보호부; 상기 하체 보호부의 하단 일 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하체 보호부를 제 1 하체 보호부 및 제 2 하체 보호부로 분할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하체 보호부가 마주 보는 부분에는, 일정 길이 겹쳐진 겹침부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상체 보호부는, 하단이 상기 상체 보호부의 일 측과 부착된 것으로서 일정 높이 연장 형성된 헤드넥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넥 커버는, 착용자의 목에 인접한 부분의 양 측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넥 커버와, 상기 넥 커버의 상단 중앙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착용자의 머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 헤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하체 보호부는, 하단부가 접혀서 형성된 물받이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물받이부의 내부에는 표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튜브가 구비되되, 상기 물받이부의 양 측단에는 일 방향으로 재봉선이 형성되고, 상기 재봉선을 따라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튜브의 외주 면에서 내주 면으로 연장되면서 그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관통공은, 내부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하체 보호부는, 표면 일 측에서 하단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입 형성된 배수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상체 보호부 및 하체 보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면에서 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러플 재봉선 및, 상기 러플 재봉선을 따라 재봉되는 러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러플은, 일정 높이를 갖고 형성된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 높이의 적어도 1배 이상으로 형성된 제 2 층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은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는,
1) 상체 보호부와 하체 보호부로 구성된 산업용 의류에서 상기 하체 보호부를 제 1 하체 보호부와 제 2 하체 보호부로 분할 구성하고, 개폐수단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앞치마 형태 및 바지 형태로 그 형태를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고,
2) 상기 제 1 하체 보호부 및 제 2 하체 보호부 각각에 하체 고정부를 추가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활동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3) 상기 하체 보호부의 분할 구성시 상기 제 1 하체 보호부와 제 2 하체 보호부를 일부 겹치게 형성함으로써 하반신 측면의 보호 면적을 높여 착용자의 하반신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4) 상기 상체 보호부 일 측에 장착된 헤드넥 커버를 통해 앞치마 형태의 산업용 보호의류에서는 보호할 수 없었던 착용자의 목과 머리 부분을 보호할 수 있으며,
5) 상기 제 1 하체 보호부 및 제 2 하체 보호부 각각의 하단에 물받이부와 튜브를 추가 구비하여 액체 오염물이 많은 작업 환경에서 상기 액체 오염물에 의해 착용자의 바지 밑단이나 신발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6) 상기 상체 보호부 또는 하체 보호부에 러플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러플이 흩날리게 함으로써 분진에 노출되는 작업 환경에서 착용자가 분진을 보다 쉽게 털어낼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보호의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보호의류의 착용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체 보호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헤드넥 커버 착용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보호의류의 물받이부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보호의류의 러플을 나타낸 설명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보호의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보호의류의 착용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는, 착용자의 가슴의 전면에서 허리의 전면 및 양 측면까지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 및 양 측단에 목끈(110) 및 허리끈(120)이 각각 구비된 상체 보호부(100)와, 상기 상체 보호부(100)의 하단과 연결된 것으로서,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하체 보호부(20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하체 보호부(200)가 연장되는 길이에 대해서는 그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산업 현장의 특성 등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업용 보호의류의 재질에 대해서는 그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의복으로 이용되는 다양한 섬유재를 상기 산업용 보호의류에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세차장이나 식품 회사 등과 같이 작업 환경에 액체 오염물에 의해 의복이 오염될 가능성이 높은 작업 환경에서는 방수 처리된 섬유재를 적용하고, 석재가공 등 분진에 의한 노출이 심한 작업 환경에 있어서는 방진 처리된 섬유재를 적용하며, 유리 가공이나 용접과 같이 높은 온도의 작업 환경에 있어서는 내열 기능이 있는 섬유재를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하체 보호부(200)는 하단의 일 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201)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201)에 의해서 상기 하체 보호부(200)는 제 1 하체 보호부(210) 및 제 2 하체 보호부(220)로 분할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 1 하체 보호부(210) 및 제 2 하체 보호부(220)는 인체 다리 각각을 개별로 담당하여 전면부와 측면부를 감싸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1, 2 하체 보호부(210, 220)는 지퍼나 벨크로, 단추 등의 개폐수단(250)을 통해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개폐수단(250)을 체결할 경우 앞치마 형태로서 이용될 수 있고, 개폐수단(250)을 해제할 경우 활동에 용이한 바지와 같은 형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개폐수단(250)으로서 지퍼가 이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덧붙여 상기 개폐수단(250)을 해제하여 바지 형태로 상기 산업용 보호의류를 이용할 때, 상기 제 1, 2 하체 보호부(210, 220) 각각을 고정하여 착용자의 활동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제 1 하체 보호부(210)와 제 2 하체 보호부(220) 각각에는, 양 측단에 지퍼, 벨크로, 단추 등의 하체 고정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2 하체 보호부(210, 220) 각각의 폭 방향 일 단에는 벨크로 테이프가, 타 단에는 상기 벨크로 테이프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개폐용 고리가 부착되어 있는 형태로 도시하였다. 즉, 상기 제 1, 2 하체 보호부(210, 220)를 다리 양 쪽에 각각 감싸고, 상기 벨크로 테이프 및 개폐용 고리와 같은 상기 하체 고정부(260)를 통해 고정함으로서 상기 제 1, 2 하체 보호부(210, 220)가 착용자의 활동에 있어 불편을 주지 않게끔 하여 활동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체 고정부(260)가 부착되는 위치 및 그 개수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착용자의 편의와 작업 환경, 상기 산업용 보호의류의 구성 재질 및 두께에 따라서 상기 하체 고정부(260)가 부착되는 위치 및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착용자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더욱 편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체 고정부(260)는 인체의 다리에 형성된 무릎 관절 부위를 제외한 부위에 부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산업용 보호의류는, 종래의 앞치마 형상을 기반으로 하여 탈착의의 편의성을 높이되, 상기 하체 보호부(200)가 절개되어 형성된 제 1, 2 하체 보호부(210, 220)가 상기 개폐수단(250)을 통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앞치마 또는 바지의 형태로써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체 보호부(200)가 상하로 절개되어 다리 각각에 감싸지고 상기 하체 고정부(260)를 통해 고정됨으로써, 착용자의 활동성 및 편의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산업용 보호의류 착용자에 있어, 제 1, 2 하체 보호부(210, 220)가 착용자의 다리를 더욱 넓은 면적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201)를 일정 길이 겹치게 형성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실시예를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체 보호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하체 보호부(200)는 하단 일 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201)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201)로 인해 상기 하체 보호부(200)는 제 1 하체 보호부(210) 및 제 2 하체 보호부(220)로 분할 구성되며,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 하체 보호부가 마주 보는 부분에는 일정 길이 겹쳐진 겹침부(27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겹침부(270)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250)으로서는 도 1에 도시된 지퍼 보다는 벨크로 테이프나 단추, 똑딱이 버튼 등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수단(250)으로서 단추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2 하체 보호부(210, 220)를 개폐한 예를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겹침부(270)를 통해, 상기 산업용 보호의류를 착용자의 양 다리 각각에 감싸 이용할 때 착용자의 다리 측부의 보호 면적을 높여 착용자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거기에 덧붙여, 상기 앞치마 형태의 산업용 보호의류 형태로서 탈착의를 용이하게 하되, 착용자의 목 및 머리 역시 보호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하기에서 서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헤드넥 커버 착용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체 보호부(100)는 하단이 상기 상체 보호부(100)의 일 측과 부착된 것으로서 일정 높이 연장 형성된 헤드넥 커버(30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헤드넥 커버(300)는 착용자의 목에 인접한 부분의 양 측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넥 커버(310)와, 상기 넥 커버(310)의 상단 중앙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착용자의 머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 헤드 커버(320)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 커버(320)의 경우, 착용자의 눈에 인접한 부분으로서 투명 재질인 투명부(321)와, 착용자의 코와 입에 인접한 부분으로서 메쉬 재질인 메쉬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산업용 보호의류의 착용 시 상기 투명부(321)를 통해 착용자의 눈 보호와 동시에 시야를 방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상기 메쉬부(322)를 통해 호흡에는 불편함을 끼치지 않으면서 착용자의 눈과 입을 보호하는 보호 기능 역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헤드 커버(320)를 구비한 산업용 보호의류의 착용 시, 마스크를 선착용 한 뒤에 상기 헤드 커버(320)를 착용함으로써 코와 입 부분의 보호와 함께 호흡에도 무리가 하지 않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며, 이를 통해 착용자의 얼굴의 노출 면적을 줄여 보다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 커버(320)와 넥 커버(310)를 포함한 상기 헤드넥 커버(300)를 구비한 산업용 보호의류의 경우, 앞치마형 산업용 보호의류의 탈착의 편의성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헤드넥 커버(300)를 통해 착용자의 목과 머리를 보호할 수 있어, 착용자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산업용 보호의류를 착용하는 작업 환경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추가하여 착용자를 위한 편의성과 함께 방수나 방진과 같은 보호의류로서의 기능을 더욱 높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성은 하기에서 서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보호의류의 물받이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를 통해 액체 오염물이 많은 작업 환경에서 방수 재질로 된 산업용 보호 의류를 이용할 경우, 상기 산업용 보호의류를 타고 흘러내린 액체 오염물에 의해 착용자가 입은 바지 밑단이나 신발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하체 보호부(210, 220)는, 상기 제 1, 2 하체 보호부(210, 220) 각각의 하단부가 접혀서 형성된 물받이부(400)를 구비하고, 상기 물받이부(400)의 내부에는 표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공(501)이 형성된 튜브(50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산업용 보호의류에 액체 오염물이 튈 경우, 상기 산업용 보호의류를 타고 흘러내린 액체 오염물이 상기 물받이부(400)에 고이게 되며, 상기 물받이부(400) 내부에 구비된 상기 튜브(500)의 관통공(501)을 통해 액체 오염물이 상기 튜브(500)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물받이부(400)의 양 측단에는 상기 튜브(500)의 폭 만큼의 길이를 제외하고 일 방향으로 재봉선이 형성되고, 상기 재봉선을 따라 상기 물받이부(400)를 재봉함으로써 상기 튜브(500)를 통해서만 액체 오염물이 물받이부(400) 밖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물받이부(400)를 구비한 산업용 보호의류의 경우 상기 물받이부(400)에 액체 오염물이 고이게 되고, 상기 물받이부(400) 내부에 구비된 상기 튜브(500)를 통해서만 액체 오염물이 빠져나갈 수 있게 되므로 착용자가 입은 바지 밑단이나 신발이 오염되지 않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관통공(501)으로의 액체 오염물 유입을 더욱 원활히 하기 위해, 상기 하체 보호부(200)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하체 보호부 (210, 220) 각각에 추가적인 배수 유도부(22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유도부(221)는 표면 일 측에서 하단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입 형성된 것으로서, 방수 처리된 산업용 보호의류에서 상기 물받이부(400)로의 배수를 유도하여 상기 물받이부(400) 내부에 형성된 상기 튜브(500)의 관통공(501)을 통해 액체 오염물이 더욱 용이하게 배수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배수 유도부(221)가 형성된 산업용 보호의류는 상기 물받이부(400) 외의 부분으로 액체 오염물이 흘러 착용자에게 오염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 유도부(221)의 배수 방향과 상기 관통공(501)의 위치를 함께 조절하여 적은 수의 관통공(501) 만으로도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튜브(5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하체 보호부(210, 220)의 적어도 일 측단에서 돌출 형성된 배수부(5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튜브(500)에 상기 배수부(510)가 포함될 경우 보다 원활하게 액체 오염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배수부(510)의 종결 부위에는 커버(511)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액체 오염물의 방출 여부를 조절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물받이부(400) 내부에 어느 수준 이상 액체 오염물이 채워질 경우 상기 커버(511)를 개방하여 액체 오염물이 상기 튜브(500) 밖으로 빠져나오게 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관통공(501)을 통해 상기 튜브(500)로 액체 오염물이 유입될 때, 상기 관통공(501)에서의 오염물의 역류를 막기 위해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그를 위해 상기 관통공(501)을 상기 튜브(500)의 외주 면에서 내주 면으로 연장될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다시 말해 외광내협(外廣內狹)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관통공(501)의 형상은 종래의 깔대기와 유사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501)을 통해 상기 물받이부(400)에 고인 액체 오염물이 상기 관통공(501) 내부로 원활히 유입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501)을 통해 액체 오염물이 역류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오염물의 역류 방지를 위한 또 다른 추가 구성으로서, 관통공(501) 내부에 판막(505)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판막(505)은 인체의 심장동맥이나 정맥 등에 형성된 판막과 유사한 형태로서,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이를 이용해 액체 오염물이 상기 튜브(500) 외부로 역류하려 할 시, 상기 관통공(501) 내부에 형성된 상기 판막(505)이 액체 오염물의 역류를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액체 오염물이 많은 세차장이나 식품 공장과 같은 작업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는 구성 외에도, 석재가공공정과 같이 분진에 의해 노출되는 환경에서 분진을 보다 쉽게 털어낼 수 있게 하는 구성 역시 가능한데, 이에 대한 실시예를 하기에서 서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보호의류의 러플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는 분진이 많은 환경에서 이용되는 산업용 보호의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산업용 보호의류의 착용자가 보다 쉽게 분진을 털어낼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방진 처리가 된 섬유재로 제작된 산업용 보호의류에 본 실시예를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상체 보호부(100) 및 하체 보호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면에서 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러플 재봉선 및, 상기 러플 재봉선을 따라 재봉되는 러플(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러플(600)은 종래의 의류에 형성된 러플이나 프릴과 유사한 형태로서, 종래에는 의복의 장식 목적으로서 이용되던 러플(600)에 분진을 털어내는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
상기 러플(600)은 그 고유의 구조에 의해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쉽게 흔들리거나 나풀거리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분진이 많은 작업 환경에서 상기 산업용 보호의류에 분진이 쌓이더라도 상기 러플(600)의 움직임에 의해 분진이 보다 쉽게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러플(600)이 재봉되는 방향이나, 상기 러플(600)의 형태에 대해서는 그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다양한 방향 및 형태의 러플(600)이 이용될 수 있되, 분진을 털어내기 위해서는 상기 상체 보호부(100) 및 하체 보호부(200)에 여러 개의 러플 재봉선을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한 뒤, 상기 재봉선을 따라 상기 러플(600)을 재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러플(600)을 통해 장식성을 보다 높이면서도 분진을 더욱 쉽게 털어낼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러플(600)을 일정 높이를 갖고 형성된 제 1 층(610) 및 상기 제 1 층(610) 높이의 적어도 1배 이상으로 형성된 제 2 층(620)으로 구성하여, 상기 제 1 층(610) 및 제 2 층(620)을 상기 상체 보호부(100) 및 하체 보호부(200)에서 교대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층(610)과 제 2 층(620)의 순서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그 순서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어 상기 제 2 층(620)이 제 1 층(610)보다 먼저 구성된 형태 역시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층(610)이 제 2 층(620)에 비해 먼저 구성된 형태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층(610) 및 제 2 층(620)이 교대 배치된 형태의 러플(600)을 통해, 상기 산업용 보호의류의 외관을 더욱 아름답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높이가 다른 상기 제 1 층(610) 및 제 2 층(620)의 경우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러플(600)이 흩날리는 형태 역시 그 높이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분진을 털어내기에 보다 적합한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는, 종래의 앞치마 형상을 기반으로 하여 탈착의의 편의성을 높이되, 상기 하체 보호부(200)가 절개되어 형성된 제 1, 2 하체 보호부(210, 220)가 상기 개폐수단(250)을 통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앞치마 또는 바지의 형태로써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체 고정부(260)를 통해 상기 제 1, 2 하체 보호부(210, 220)를 고정함으로써 착용자의 활동성 및 편의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1, 2 하체 보호부(210, 220)를 일정 길이 겹치게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다리 측부의 보호 면적을 높일 수도 있다.
덧붙여 상기 헤드넥 커버(300), 물받이부(400), 러플(600)의 추가 구비를 통해 종래의 앞치마형 산업용 보호의류에서는 보호할 수 없었던 머리나 목과 같은 부위 역시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액체 오염물이 많은 환경이나, 분진이 많은 작업 환경에서도 능히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상체 보호부 110 : 목끈
120 : 허리끈 200 : 하체 보호부
201 : 절개부 210 : 제 1 하체 보호부
220 : 제 2 하체 보호부 221 : 배수 유도부
250 : 개폐수단 260 : 하체 고정부
270 : 겹침부 300 : 헤드넥
310 : 넥 커버 320 : 헤드 커버
321 : 투명부 322 : 메쉬부
400 : 물받이부 500 : 튜브
501 : 관통공 505 : 판막
510 : 배수부 511 : 커버
600 : 러플 610 : 제 1 층
620 : 제 2 층

Claims (10)

  1.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로서,
    착용자의 가슴의 전면에서 허리의 전면 및 양 측면까지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에는 목끈이, 양 측단에는 허리끈이 각각 구비된 상체 보호부;
    상기 상체 보호부의 하단과 연결된 것으로서,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하체 보호부;
    상기 하체 보호부의 하단 일 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하체 보호부를 제 1 하체 보호부 및 제 2 하체 보호부로 분할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하체 보호부는, 하단부가 접혀서 형성된 물받이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물받이부의 내부에는 표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튜브가 구비되되, 상기 물받이부의 양 측단에는 일 방향으로 재봉선이 형성되어 상기 재봉선을 따라 재봉되며,
    상기 튜브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하체 보호부의 적어도 일 측단에서 개방 형성된 배수부 및 상기 배수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체 보호부가 마주 보는 부분에는,
    일정 길이 겹쳐진 겹침부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보호부는,
    하단이 상기 상체 보호부의 일 측과 부착된 것으로서 일정 높이 연장 형성된 헤드넥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넥 커버는,
    착용자의 목에 인접한 부분의 양 측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넥 커버와,
    상기 넥 커버의 상단 중앙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착용자의 머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 헤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튜브의 외주 면에서 내주 면으로 연장되면서 그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내부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 보호부는,
    표면 일 측에서 하단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입 형성된 배수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보호부 및 하체 보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면에서 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러플 재봉선 및,
    상기 러플 재봉선을 따라 재봉되는 러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러플은,
    일정 높이를 갖고 형성된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 높이의 적어도 1배 이상으로 형성된 제 2 층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은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KR1020160019206A 2016-02-18 2016-02-18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KR101726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206A KR101726542B1 (ko) 2016-02-18 2016-02-18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206A KR101726542B1 (ko) 2016-02-18 2016-02-18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542B1 true KR101726542B1 (ko) 2017-04-13

Family

ID=5857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206A KR101726542B1 (ko) 2016-02-18 2016-02-18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5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817B1 (ko) 2017-08-16 2018-10-01 라영태 앞치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312U (ja) * 1991-08-20 1993-03-09 三喜知 斎藤 水滴溜り付防水布製前掛け
KR200173117Y1 (ko) * 1999-05-04 2000-03-15 주식회사보원산업 기계톱 작업용 안전보호복
KR200373455Y1 (ko) * 2004-11-02 2005-01-17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작업용 두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312U (ja) * 1991-08-20 1993-03-09 三喜知 斎藤 水滴溜り付防水布製前掛け
KR200173117Y1 (ko) * 1999-05-04 2000-03-15 주식회사보원산업 기계톱 작업용 안전보호복
KR200373455Y1 (ko) * 2004-11-02 2005-01-17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작업용 두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817B1 (ko) 2017-08-16 2018-10-01 라영태 앞치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9598B2 (en) Infant pants having knee pockets and replaceable knee pads
KR200438968Y1 (ko) 활동이 용이한 상하 일체형 작업복
US4509213A (en) Rain cover for motorcyclist's legs
JP2011117121A (ja) 通気性作業用ウェア
US20190075854A1 (en) Child jumpsuit
ES2260481T3 (es) Prenda con inserciones deformables protegidas.
US20100313326A1 (en) Outer garment
JP2018016895A (ja) 衣類
KR101726542B1 (ko) 하체 보호부가 절개된 산업용 보호의류
CA2948366A1 (en) Accessible fashion wear
CN104770909A (zh) 一种连体式防辐射服
CN212306936U (zh) 一种兽医用防护服
KR101898275B1 (ko) 유니폼
JP5394889B2 (ja) 袖付エプロン
JP3135243U (ja) つなぎ服
RU166148U1 (ru) Комбинезон специ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с улучшенными эргоном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JP2010163723A (ja) 釣用ウェア
CN204499541U (zh) 一种连体式防辐射服
KR200455486Y1 (ko) 방제복
JP2015063770A (ja) 介護用衣服
EP0765128B1 (en) Working garments, quickly fastened and doubly proctective
CN214677732U (zh) 一种医用防水套服
KR101472953B1 (ko) 부분교체가 가능한 용접복
KR101519103B1 (ko) 통기성 우의 하의
JP3105048U (ja) 看護用エプ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