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367B1 -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367B1
KR101726367B1 KR1020160162116A KR20160162116A KR101726367B1 KR 101726367 B1 KR101726367 B1 KR 101726367B1 KR 1020160162116 A KR1020160162116 A KR 1020160162116A KR 20160162116 A KR20160162116 A KR 20160162116A KR 101726367 B1 KR101726367 B1 KR 10172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pin
fastening member
inle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곤
Original Assignee
(주)협우지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협우지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협우지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62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의 전기적인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은 인입버스바, 연결버스바, 상기 인입버스바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인입관통핀, 상기 연결버스바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연결관통핀, 상기 인입관통핀와 상기 연결관통핀를 서로 연결하는 밀착이격대, 상기 밀착이격대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인입관통핀과 상기 연결관통핀에 각각 끼워지며 열가소성 소재로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 상기 밀착이격대에 의해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를 밀착고정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판을 포함하는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를 설치하는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으로서,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를 상호 겹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밀착이격대를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연결관통핀 및 상기 인입관통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탄성스프링을 상기 밀착이격대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어느 한 측단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밀착이격대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다른 한 측단에 위치된 상기 연결관통핀 또는 상기 인입관통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열전달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밀착이격대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다른 한 측단에 상기 연결관통핀 또는 상기 인입관통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를 결합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체결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를 고정볼트로 나사체결하여 상기 밀착이격대에 의해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를 밀착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열의 발생 시 강제적으로 단선시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a installation method of bus bar for switch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의 전기적인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압반, 고압반 및 특고압반(이하, 배전반이라 함)은 케이스 내에 주배선 차단기와 보조배선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 변압기 등의 각종 유니트를 설치되고 유니트들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각 유니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버스바가 설치되는데, 종래의 버스바 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배전반용 버스바 연결클램프"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58725호(2010.5.18.공고)에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배전반용 버스바 연결클램프는 배전반에 공급된 전력을 상기 배전반 내부로 구비되는 각 장치로 분배하기 위하여 버스바를 연결하는 버스바 연결클램프에 있어서,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의 단부로 각각의 버스바가 삽입되도록 하고, 전기의 흐름이 차단되는 절연체로 구비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주면에 내접하여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된 버스바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도체부재와; 상기 삽입된 버스바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측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삽입된 버스바를 상기 도체부재에 밀착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배전반용 버스바 연결클램프는 외부케이스에 버스바를 끼워 연결하고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버스바를 고정시킴으로써, 버스바를 견고히 연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배전반용 버스바 연결클램프는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연결되는 부분에서 고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케이스에 버스바를 고정할 때 다수의 체결부재를 채워야 하기 때문에 연결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설치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과부하의 발생 시 고열로 인한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과 제작이 용이한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은 인입선에 연결되는 인입버스바, 상기 인입버스바를 변압기로 전달하기 위해 연결되는 연결버스바, 상기 인입버스바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한 쌍이 상기 인입버스바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인입관통핀, 상기 연결버스바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한 쌍이 상기 연결버스바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연결관통핀,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대각선에 위치된 상기 인입관통핀과 연결관통핀을 각각 교차하여 연결하고 중앙에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를 밀착시키거나 상호 이격시키는 밀착이격대, 상기 밀착이격대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어느 한 측단에 위치되는 인입관통핀과 상기 연결관통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관통핀과 상기 연결관통핀의 사이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밀착이격대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다른 한 측단에 위치되는 인입관통핀과 상기 연결관통핀에 각각 끼워지며 열가소성 소재로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 중 어느 하나는 관통하고 다른 하나에는 나사체결되어 상기 밀착이격대에 의해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를 밀착고정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밀착 설치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 또는 상기 제2 체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에서 발생하는 열을 연결된 상기 제1 체결부재 또는 상기 제2 체결부재로 전달하는 열전달판을 포함하는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를 설치하는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으로서,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를 상호 겹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밀착이격대를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연결관통핀 및 상기 인입관통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탄성스프링을 상기 밀착이격대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어느 한 측단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밀착이격대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다른 한 측단에 위치된 상기 연결관통핀 또는 상기 인입관통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열전달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밀착이격대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다른 한 측단에 상기 연결관통핀 또는 상기 인입관통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를 결합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체결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를 고정볼트로 나사체결하여 상기 밀착이격대에 의해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를 밀착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이격대를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연결관통핀 및 상기 인입관통핀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밀착이격대는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를 상호 겹쳐 위치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의 양측면으로 상기 인입관통핀과 상기 연결관통핀이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볼트를 체결하면 밀착이격대의 작용에 의해 인입버스바와 연결버스바가 밀착고정되어 버스바의 연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과부하로 인한 고열의 발생 시 열전달판이 고정볼트가 체결된 체결부재를 용융시켜 탄성부재에 의해 밀착이격대에 의해 인입버스바와 연결버스바의 사이를 강제적으로 이격시켜 전기적인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과부하로 인한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를 평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100)는 인입선으로 인입되는 전원을 배전반의 변압기로 전달하기 위해 인입선에 연결된 인입버스바(210)와 배전반의 변압기와 연결되는 연결버스바(22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는 직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 각각에는 양측면으로 관통되는 관통공(1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공(153)은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의 각각에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100)는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인입관통핀(110)은 인입버스바(210)의 관통공(153)을 통해 삽입되어 인입버스바(21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관통핀(120)은 연결버스바(220)의 관통공(153)을 통해 삽입되어 연결버스바(22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은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공(153)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은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를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의 각 관통공(153)에 간극의 발생되지 않도록 강제적으로 압입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100)는 밀착이격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밀착이격대(130)는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서로 겹친상태에서 대각선에 위치되는 대각선에 위치되는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밀착이격대(130)는 중앙에 힌지핀(131)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X"자 형태로 한 쌍이 교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밀착이격대(130)는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에 끼워지는 형태로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밀착이격대(130)는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가 밀착이격대(130)에 의해 통전되지 않도록 절연성과 난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는 밀착이격대(130)는 각 힌지핀(131)이 연결대에 의해 연결되어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밀착이격대(130)는 힌지핀(13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가 서로 밀착시키거나,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밀착이격대(130)에 인입관통핀(110) 또는 연결관통핀(120)이 끼워지는 구멍은 밀착이격대(130)의 회전 시 이동되는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장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100)는 탄성스프링(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탄성스프링(140)은 밀착이격대(130)의 힌지핀(131)을 중심으로 어느 한 측단에 위치되는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의 사이 간격이 이격되도록 밀착이격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스프링(140)이 설치되는 밀착이격대(130)의 양측 또는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에는 탄성스프링(140)이 고정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14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145)는 탄성스프링(140)에 의해 전기가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성과 난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탄성스프링(140)은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의 양측에 설치되는 밀착이격대(13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100)는 제1 체결부재(151)와 제2 체결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체결부재(151)와 제2 체결부재(155)는 밀착이격대(130)의 힌지핀(131)을 중심으로 탄성스프링(140)이 설치된 반대방향의 다른 한 측단에 위치되는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1 체결부재(151)를 인입관통핀(110)에 설치하고, 제2 체결부재(155)는 연결관통핀(120)에 설치하였다.
한편, 제1 체결부재(151)와 제2 체결부재(155)는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에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체결부재(151)와 제2 체결부재(155)에는 측면으로 돌출되어 하기에 설명될 고정볼트(150)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부재(151)의 돌출부(152)에는 고정볼트(150)가 관통하여 고정볼트(150)의 머리가 지지되는 관통공(1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체결부재(155)의 돌출부(156)에는 제1 체결부재(151)에 걸쳐진 고정볼트(150)의 나사산이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공(15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나사체결공(157)에는 고정볼트(150)가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고정볼트(150)의 나사산이 강제적으로 삽입되면서, 나사산을 형성하며 견고히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체결부재(151)와 제2 체결부재(155)는 열가소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1 체결부재(151)와 제2 체결부재(155)를 형성하기 위한 열가소성수지는 융점이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최대허용온도와 유사한 온도를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100)는 고정볼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볼트(150)는 제1 체결부재(151)와 제2 체결부재(155)에 결합되어 제1 체결부재(151)와 제2 체결부재(155)를 나사체결에 의해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밀착이격대(130)에 의해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가 서로 겹쳐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를 상호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고정볼트(150)는 제1 체결부재(151)의 관통공(153)을 관통하여 머리부가 제1 체결부재(151)에 걸쳐지며, 고정볼트(150)의 몸체는 제2 체결부재(155)의 나사체결공(157)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볼트(150)의 조일 경우, 제1 체결부재(151)와 제2 체결부재(155)가 서로 가까워져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가 밀착되고, 고정볼트(150)를 풀 경우, 인접한 제1 체결부재(151)와 제2 체결부재(155)가 상호 사이가 벌어지며 멀어져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의 사이 간격을 벌릴 수 있다.
한편, 고정볼트(150)는 고정볼트(150)에 형성된 나사산이 나사체결공(157)에 강제적으로 파고들면서 상호 체결되는 나사산을 형성하며 나사체결공(157)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100)는 열전달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열전달판(160)은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접촉되어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에서 전달되는 열을 제1 체결부재(151) 또는 제2 체결부재(155)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열전달판(160)이 제2 체결부재(155)로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열전달판(160)은 열을 쉽게 전달할 수 있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전달판(160)은 양단에 제2 체결부재(155)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제2 체결부재(155)와 면접촉되는 체결부재접촉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접촉부(161)는 제2 체결부재(155)에 나사체결공(157)이 형성된 돌출부(152,156)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거나, 제2 체결부재(155)가 연결관통핀(120) 또는 인입관통핀(110)에 끼워지는 부분에 면접촉되도록 설치되거나, 나사체결공(157)과 인접한 부분에 면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열전달판(160)은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2 체결부재(155)로 전달하고,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에서 최대허용온도 이상의 열이 발생할 경우, 제2 체결부재(155)를 용융시켜 제2 체결부재(155)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열전달판(160)의 체결부재접촉부(161)는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양측에 설치되는 제2 체결부재(155)로 전달하기 위해 모두 전달하기 위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100) 설치방법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100) 설치방법은 먼저, 인입버스바(210)에 인입관통핀(110)을 설치하고, 연결버스바(220)에 연결관통핀(120)을 설치한다.
이때,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에는 측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153)을 형성하고,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을 냉각시켜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관통공(153)과의 공차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제작하여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이 상온에서 확장된 부피에 의해 관통공(153)에 공차 없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에 설치되는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은 각 관통공(153)을 관통하여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에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이 설치되면,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가 서로 연결되도록 겹친 상태에서 중앙에 힌지핀(131)에 의해 "X"자 형태로 연결된 밀착이격대(130)를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에 끼워 결합한다.
이때, 밀착이격대(130)는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에 모두 설치한다.
그리고, 각 밀착이격대(130)에는 밀착이격대(130)의 힌지핀(131)을 중심으로 어느 한 측단에 탄성스프링(140)을 고정포스트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한편, 밀착이격대(130)에 탄성스프링(140)이 설치되면, 밀착이격대(130)의 힌지핀(131)을 중심으로 탄성스프링(140)이 설치되는 반대방향인 다른 한 측단에 열전달판(160)의 체결부재접촉부(161)를 제2 체결부재(155)가 설치될 인입관통핀(110)에 끼우는 형태로 설치한다.
이때, 열전달판(160)은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방열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도 있다.
한편, 열전달판(160)이 설치되면, 밀착이격대(130)의 힌지핀(131)을 중심으로 탄성스프링(140)이 설치된 반대방향의 다른 한 측단에 인입관통핀(110)에 제1 체결부재(151)를 끼우고, 연결관통핀(120)에 제2 체결부재(155)를 끼운다.
물론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에 양측에 설치된 밀착이격대(130)에 각각 제1 체결부재(151)와 제2 체결부재(155)를 설치한다.
그리고, 제1 체결부재(151)와 제2 체결부재(155)가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에 설치되면, 고정볼트(150)를 제1 체결부재(151)의 관통공(153)에 고정볼트(150)를 삽입하고 삽입된 고정볼트(150)의 끝단이 제2 체결부재(155)의 나사체결공(157)에 나사체결되도록 고정볼트(15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고정볼트(150)를 설치하면, 고정볼트(150)가 제1 체결부재(151)와 제2 체결부재(155)가 나사체결력에 의해 상호 인접하도록 밀착이격대(130)를 힌지핀(13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밀착이격대(130)에는 인입관통핀(110) 및 연결관통핀(120)이 끼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가 밀착이격대(130)에 의해 상호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고정볼트(150)는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밀착이격대(130)에 각각 설치됨은 물론이다.
이렇게 고정볼트(150)에 의해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가 밀착된 고정된 상태에서는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에서 최대허용온도의 이내로 열이 발생할 경우, 열전달판(160)에 의해 제2 체결부재(155)로 열이 전달되지만, 제2 체결부재(155)는 최대허용온도를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용융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에서 최대허용온도보다 높은 온도 즉, 제2 체결부재(155)를 형성한 열가소성수지의 융점까지 온도가 도달되면 열전달판(160)을 통해 전달되는 열에 의해 제2 체결부재(155)가 용융되면서, 제2 체결부재(155)의 고정이 해제된다.
그리고, 제2 체결부재(155)의 고정이 해제되면 밀착이격대(130)는 탄성스프링(140)에 의해 상호 간의 인접하게 위치되던 인입관통핀(110)과 연결관통핀(120)을 서로 이격되도록 밀어내도록 밀착이격대(130)를 회전시키고, 밀착이격대(130)가 회전하면 밀착이격대(130)에 고정된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의 사이 간격이 멀어지며 전기적으로 단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100) 설치방법에 의해 설치된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100)는 과부하로 인해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에 최대허용온도 이상으로 열이 발생할 경우, 열전달판(160)에 의해 제2 체결부재(155)가 용융되어 고정볼트(150)의 고정을 해제하고 탄성부재가 밀착이격대(130)를 회전시켜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를 강제적으로 이격시킴으로써, 과열로 인한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볼트(150)에 의해 밀착이격대(130)가 인입버스바(210)와 연결버스바(220)가 밀착 고정시키기 때문에 상호 간의 견고히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110: 인입관통핀
120: 연결관통핀 130: 밀착이격대
131: 힌지핀 140: 탄성스프링
145: 지지부재 150: 고정볼트
151: 제1 체결부재 152,156: 돌출부
153: 관통공 155: 제2 체결부재
157: 나사체결공 160: 열전달판
161: 체결부재접촉부 210: 인입버스바
220: 연결버스바

Claims (3)

  1. 인입선에 연결되는 인입버스바,
    상기 인입버스바를 변압기로 전달하기 위해 연결되는 연결버스바,
    상기 인입버스바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한 쌍이 상기 인입버스바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인입관통핀,
    상기 연결버스바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한 쌍이 상기 연결버스바의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연결관통핀,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대각선에 위치된 상기 인입관통핀과 연결관통핀을 각각 교차하여 연결하고 중앙에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를 밀착시키거나 상호 이격시키는 밀착이격대,
    상기 밀착이격대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어느 한 측단에 위치되는 인입관통핀과 상기 연결관통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관통핀과 상기 연결관통핀의 사이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밀착이격대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다른 한 측단에 위치되는 인입관통핀과 상기 연결관통핀에 각각 끼워지며 열가소성 소재로 형성되는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 중 어느 하나는 관통하고 다른 하나에는 나사체결되어 상기 밀착이격대에 의해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를 밀착고정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밀착 설치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 또는 상기 제2 체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에서 발생하는 열을 연결된 상기 제1 체결부재 또는 상기 제2 체결부재로 전달하는 열전달판을 포함하는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를 설치하는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으로서,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를 상호 겹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밀착이격대를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연결관통핀 및 상기 인입관통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탄성스프링을 상기 밀착이격대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어느 한 측단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밀착이격대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다른 한 측단에 위치된 상기 연결관통핀 또는 상기 인입관통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열전달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밀착이격대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다른 한 측단에 상기 연결관통핀 또는 상기 인입관통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를 결합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체결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를 고정볼트로 나사체결하여 상기 밀착이격대에 의해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를 밀착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이격대를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연결관통핀 및 상기 인입관통핀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밀착이격대는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를 상호 겹쳐 위치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인입버스바와 상기 연결버스바의 양측면으로 상기 인입관통핀과 상기 연결관통핀이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
KR1020160162116A 2016-11-30 2016-11-30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 KR101726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116A KR101726367B1 (ko) 2016-11-30 2016-11-30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116A KR101726367B1 (ko) 2016-11-30 2016-11-30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367B1 true KR101726367B1 (ko) 2017-04-12

Family

ID=5858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116A KR101726367B1 (ko) 2016-11-30 2016-11-30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3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1222A (zh) * 2019-10-29 2020-01-07 威腾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插接箱安装联锁结构
US20210328396A1 (en) * 2018-08-27 2021-10-21 Molex, Llc Hinged busbar assembly
KR102643606B1 (ko) * 2023-10-26 2024-03-05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135A (ko) * 2010-11-30 2012-06-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용 버스바 및 그 용단부 제조방법
KR20160056347A (ko) * 2014-11-10 2016-05-20 보명테크 주식회사 분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135A (ko) * 2010-11-30 2012-06-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용 버스바 및 그 용단부 제조방법
KR20160056347A (ko) * 2014-11-10 2016-05-20 보명테크 주식회사 분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의 설치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28396A1 (en) * 2018-08-27 2021-10-21 Molex, Llc Hinged busbar assembly
US11837830B2 (en) * 2018-08-27 2023-12-05 Molex, Llc Hinged busbar assembly
CN110661222A (zh) * 2019-10-29 2020-01-07 威腾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插接箱安装联锁结构
CN110661222B (zh) * 2019-10-29 2021-10-22 威腾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插接箱安装联锁结构
KR102643606B1 (ko) * 2023-10-26 2024-03-05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367B1 (ko) 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 설치방법
KR100543965B1 (ko)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 고정장치
CN101673884B (zh) 电汇流通道法兰端插头
JP5334818B2 (ja) 接続構造
KR101874644B1 (ko) 전기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열 전달 장치
TW201303600A (zh) 供電裝置及具有供電裝置之機櫃供電系統
CN104025229B (zh) 断路器、断路器端子接线片盖、及保护端子接线片的方法
KR100834499B1 (ko) 분배전반의 모선 및 자선버스바용 접속장치
JP2011113947A (ja) 接続構造
US20130207769A1 (en) Fuse Arrangement
CN103107487B (zh) 包括受保护的配电条的配电板
KR20140089653A (ko) 배전반용 방열형 버스바 연결유닛
KR100958725B1 (ko) 배전반용 부스바 연결클램프
KR101625153B1 (ko) 멀티 부스바 시스템을 적용한 전동기 제어반
US20170098928A1 (en) System for Isolating Power Conductors Using Cover Assemblies
JP6623392B2 (ja) バスバー接続構造
KR20110005943A (ko) 직류 전원 분배반
KR102343807B1 (ko)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공동주택 전기의 접지장치
KR20190041660A (ko) 분전반용 자선부스바
KR200431611Y1 (ko) 수냉식 버스바 구조 및 수냉식 버스바가 장착된 정션박스
CN106594851B (zh) 一种电暖器
KR101643882B1 (ko) 분배전반의 변압기 연결용 버스바의 설치구조
CN111081661B (zh) 基于功率半导体器件的散热结构及安装方法
KR101756730B1 (ko) 케이블 단자대용 풀림방지너트
KR102469436B1 (ko) 수배전반 Busbar 절곡지점 고밀도 자기장을 이용한 온도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