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066B1 - 힘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타입 센서 - Google Patents

힘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타입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066B1
KR101726066B1 KR1020150114260A KR20150114260A KR101726066B1 KR 101726066 B1 KR101726066 B1 KR 101726066B1 KR 1020150114260 A KR1020150114260 A KR 1020150114260A KR 20150114260 A KR20150114260 A KR 20150114260A KR 101726066 B1 KR101726066 B1 KR 101726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s
bumper
lower electrode
upper electrod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0621A (ko
Inventor
김성기
정병진
안 투안 루엉
구자춘
최혁렬
문형필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4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0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20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05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distributed 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타입 센서에 관한 것으로, 스페이서에 형성된 홀과 이에 대응하는 범퍼의 상대적인 너비비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센서에 작용된 외력의 크기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힘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타입 센서{Digital Type Sensor For Force Measurement}
본 발명은 디지털 타입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힘 크기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타입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타입 센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이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OFF 상태)로서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작용할 경우 외력이 작용한 영역의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이 서로 접촉하여(ON 상태)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되며, 데이터 스캐닝 방법으로 각 홀에서의 접촉여부를 측정하여 어느 위치에 외력이 작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타입 센서는 어느 영역의 홀이 ON 상태인지 OFF 상태인지만 확인할 수 있을 뿐 ON 상태인 영역에 어느 정도의 힘이 가해졌는지에 대한 힘 크기 측정은 불가능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29091호에서는 강하게 누를수록 ON되는 홀의 개수가 많아진다는 가정 아래 ON되는 홀의 개수가 많을수록 접촉력이 더 강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가중치에 따라 접촉력의 세기를 판단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약한 힘으로 넓은 영역이 접촉될 수도 있고 강한 힘으로 좁은 영역이 접촉될 수도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가정에 따른 힘 크기 측정은 정확한 측정이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간단한 디지털 타입 센서의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힘 크기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타입 센서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29091호 "촉각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이를 이용한 입력감지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힘 크기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타입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페이서의 홀과 이에 대응하는 범퍼의 상대적인 크기가 상이한 복수 개의 센싱 셀을 인접하게 형성하여 단계적 힘 크기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타입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항체를 통해 쉐도잉 효과를 제거할 수 있는 힘 크기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타입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는 복수 개의 하부 전극이 병렬 배치된 하부 전극부; 상기 하부 전극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상부 전극이 병렬 배치된 상부 전극부; 상기 하부 전극부와 상부 전극부 사이를 이격시키되 상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이 교차하는 영역마다 개구가 형성된 스페이서; 및 상기 상부 전극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이 교차하는 영역마다 상기 상부 전극을 향해 돌출된 범퍼가 형성된 범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복수 개의 상기 개구 중 일부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범퍼의 너비비가 복수 개의 상기 개구 중 다른 일부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범퍼의 너비비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페이서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개구는 그 너비가 동일하고, 상기 범퍼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범퍼는 서로 너비가 다른 적어도 2그룹의 범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범퍼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범퍼는 그 너비가 동일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개구는 서로 너비가 다른 적어도 2그룹의 개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체 영역은 가상의 단위 센싱 영역으로 균등 분할되어 있으며, 각 단위 센싱 영역에 포함된 복수 개의 개구는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범퍼와의 너비비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전극 또는 하부 전극을 통해 출력되는 출력신호로 외력이 작용한 단위 센싱 영역을 판별하는 판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정부는 단위 센싱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개구 중 하나 이상의 개구에서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의 전기적 접촉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해당 단위 센싱 영역에 외력이 작용한 것으로 판별하며, 상기 해당 단위 센싱 영역에서 전기적 접촉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된 개구 중 대응하는 범퍼에 비해 상대적 너비가 가장 작은 제1 개구가 갖는 제1 임계값 이상의 외력이 상기 해당 단위 센싱 영역에 작용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판정부는 상기 해당 단위 센싱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개구 중 전기접 접촉이 발생하지 않은 개구 중 대응하는 범퍼에 비해 상대적 너비가 가장 큰 제2 개구가 상기 제1 개구보다 상대적 너비가 작은 경우 상기 제2 개구가 갖는 제2 임계값 미만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외력이 상기 해당 단위 센싱 영역에 작용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개구 내부에는 개구를 통과하는 전류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항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항체는 입력 신호가 상기 저항체를 한 번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저항체는 저항체를 3번 이상 통과한 후 출력된 출력 신호가 판정부에 의해 감지되지 않도록 하는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저항체는 카본 블랙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촉 여부뿐만 아니라 힘 크기 측정이 가능하며 쉐도잉 효과 없이 ON된 센싱 셀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타입 센서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디지털 타입 센서의 일부 단면도로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디지털 타입 센서의 일부 단면도로서 외력이 작용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홀과 범퍼의 크기에 따른 센서의 민감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3의 S1-S2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위 센싱 영역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S3-S4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3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는 일반적인 디지털 타입 센서와 동일하게 하부 전극부(10), 상부 전극부(20), 스페이서(30), 및 범퍼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스페이서에 형성된 홀과 범퍼부에 형성된 범퍼의 너비비가 상이한 2그룹 이상의 센싱 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부 전극부(10)는 복수 개의 하부 전극(1)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하부 전극들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부 전극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전극부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 개의 상부 전극(2)이 하부 전극(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상부 전극들 사이의 간격 역시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하부 전극과의 교차각은 90도를 이루도록 바람직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전극부(10)와 상부 전극부(2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하부 전극부와 상부 전극부 사이에 스페이서(30)가 배치된다.
스페이서(3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이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간격을 유지시켜야 하나 외력이 작용할 때에는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이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스페이서(30)에는 하부 전극(1)과 상부 전극(2)이 교차하는 영역마다 홀(H)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 전극에서 하부 전극을 향하는 외력이 작용할 경우 상부 전극이 홀(H)을 통해 하강하면서 하부 전극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외력에 의해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이 서로 잘 접촉할 수 있도록 상부 전극부(20) 상부에 범퍼부(40)가 배치된다.
범퍼부(40)는 하부 전극(1)과 상부 전극(2)이 교차하는 영역마다 상부 전극을 향해 돌출된 범퍼(B)가 형성되어 있어 외력이 작용할 경우 돌출된 범퍼가 상부 전극(2)을 눌러 상부 전극(2)이 하부 전극(1)에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30)에 형성된 홀(H)의 너비를 r, 그 상부에 위치한 범퍼(B)의 너비를 w라고 할 때 홀과 범퍼의 상대적인 크기, 즉 너비비(R=홀의 너비(r)/범퍼의 너비(w))에 따라 디지털 타입 센서의 민감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범퍼에 비해 홀의 너비가 클수록(즉, 너비비(R)가 클수록) 작은 외력에도 하부 전극(1)과 상부 전극(2)이 잘 접촉하여 외력이 쉽게 센싱되며, 범퍼에 비해 홀의 너비가 작을수록(즉, 너비비(R)가 작을수록)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하부 전극(1)과 상부 전극(2)이 서로 접촉하기 어려워 외력을 쉽게 센싱할 수 없다.
이러한 너비비 변화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의 민감도를 측정한 결과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그래프를 보면, 범퍼의 너비와 홀의 너비가 동일한 경우(R=1) 약 0.5N의 외력이 작용하면 외력을 감지할 수 있지만 범퍼의 너비가 홀 너비의 2배인 경우(R=0.5) 약 1.5N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력을 감지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는 이러한 너비비(R)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의 민감도를 이용하여 디지털 타입 센서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는 서로 너비비가 상이한 복수 개의 센싱 셀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디지털 타입 센서에서 하부 전극(1)과 상부 전극(2)이 교차하는 영역에서 외력의 작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교차 영역을 센싱 셀(C)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는 디지털 타입 센서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센싱 셀 중 일부 센싱 셀의 너비비(R1)가 나머지 센싱 셀 중 적어도 일부의 센싱 셀(C2)의 너비비(R2)와 상이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범퍼(B)의 너비(w)는 동일하게 구성하되 홀(H)의 너비(r)를 상이하게 구성하여 너비비(R)가 상이한 센싱 셀을 형성할 수 있다(w1=w2=w3=w4, r1>r2>r3>r4, R1>R2>R3>R4).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홀(H)의 너비(r)는 동일하게 구성하되 범퍼(B)의 너비(w)를 상이하게 구성하여 너비비(R)가 상이한 센싱 셀을 형성할 수 있다(r1=r2=r3=r4, w1<w2<w3<w4, R1>R2>R3>R4).
물론 홀(H)과 범퍼(B)의 너비를 모두 조절하여 너비비(R)가 상이한 센싱 셀을 포함하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만약 R=1인 센싱 셀은 ON 상태이나 이에 인접한 R=0.5인 센싱 셀이 OFF 상태라면 해당 영역에 0.5N이상 1.5N이하의 외력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100)는 외력의 작용뿐만 아니라 외력의 크기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는 다양한 너비비를 갖는 센싱 셀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력의 크기를 더 미세하게 감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는 모든 영역에서 고르게 외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서로 다른 너비비를 갖는 센싱 셀이 전체 영역에 고르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가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너비비를 갖는 4개 그룹의 센싱 셀(C1, C2, C3, C4)을 포함하고 있다고 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영역에 4개 그룹의 센싱 셀이 고르게 배치되어 가상의 단위 센싱 영역(A)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센싱 셀 C1의 너비비가 R1, 센싱 셀 C2의 너비비가 R2, 센싱 셀 C3의 너비비가 R3, 센싱 셀 C4의 너비비가 R4이고 R1>R2>R3>R4이라고 하면, 센싱 셀 C1, C2, C3, C4이 갖는 각각의 임계값 F1, F2, F3, F4 은 F1< F2< F3< F4 의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F1 보다 크고 F2 보다 작은 외력(F)이 작용하면 센싱 셀 C1은 ON 상태가 되고 C2, C3, C4는 OFF 상태가 유지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의 판정부(미도시)는 저장된 각 센싱 셀의 임계값 정보를 이용하여 F1 보다 크고 F2 보다 작은 외력(F)이 작용하였음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F2 보다 크고 F3 보다 작은 외력(F)이 작용하면, 센싱 셀 C1과 C2는 ON 상태가 되고 C3와 C4는 OFF 상태가 유지되며, 판정부는 저장된 각 센싱 셀의 임계값 정보를 이용하여 F2 보다 크고 F3 보다 작은 외력(F)이 해당 센싱 영역에 작용하였음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F3 보다 크고 F4 보다 작은 외력(F)이 작용하면 센싱 셀 C1, C2, C3는 ON 상태가 되고 C4는 OFF 상태가 유지되며, 판정부는 저장된 각 센싱 셀의 임계값 정보를 이용하여 F3 보다 크고 F4 보다 작은 외력(F)이 작용하였음을 판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쉐도잉 효과가 발생할 경우 판정부는 C4가 OFF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ON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고 F4 보다 큰 외력이 작용한 것으로 잘못 판정할 수 있다.
쉐도잉 효과란 실제로 센싱 셀에 접촉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어레이 방식의 센싱 셀 구조로 인해 전류에 새로운 길이 생겨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접촉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부에서 인식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센싱 셀 C1, C2, C3가 ON 상태이고 C4가 OFF 상태일 때 상부 전극 2-1로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ON 상태인 센싱 셀 C1, C2에서 입력 신호는 상부 전극 2-1과 접촉된 하부 전극 1-1, 1-2를 통해 출력되고 판정부는 이를 감지하여 센싱 셀 C1과 C2가 ON 상태임을 판정한다.
그 다음 타이밍에 상부 전극 2-2로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센싱 셀 C4는 OFF 상태이므로 상부 전극 2-2로 입력된 입력 신호는 하부 전극 1-1을 통해 출력되지 않는 반면 ON 상태인 센싱 셀 C3에서는 입력신호가 하부 전극 1-2로 흘러 하부 전극 1-2를 통해 출력되며 판정부는 이를 감지하여 센싱 셀 C4가 ON 상태임을 판정한다.
이때 센싱 셀 C3에서 하부 전극 1-2로 이동한 입력 전류는 출력방향(도 9의 아래쪽 방향)으로 출력되기도 하지만 그 반대 방향인 센싱 셀 C2 영역으로도 이동하게 되고, 쉐도잉 효과에 따른 전류 흐름을 나타내고 있는 도 9의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ON 상태인 센싱 셀 C2 영역에서 상부 전극 2-1로 이동하고 ON 상태인 센싱 셀 C1 영역에서 다시 하부 전극 1-1로 이동하여 최종 출력될 수 있으며, 이를 감지한 판정부는 상부 전극 2-2로 입력된 입력 전류가 하부 전극 1-1을 통해 출력되므로 그 교차 영역인 센싱 셀 C4가 ON 상태인 것으로 잘못 판정하게 된다.
도 9의 S3-S4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 10을 참고로 다시 한번 설명하면, 상부 전극 2-2로 입력된 입력 신호는 ON 상태인 센싱 셀 C3에서 하부 전극 1-2로 이동하여 센싱 셀 C2로 이동한다. 입력 신호는 입력 라인인 상부 전극에서 출력 라인인 하부 전극으로만 흘러야 한다(정방향 이동). 하지만 상부 전극(2)과 하부 전극(1) 사이에 저항차가 없기 때문에 하부 전극 1-2를 따라 센싱 셀 C3 영역으로 이동한 입력 신호는 ON 상태인 센싱 셀 C3에서 하부 전극 1-2에 접촉된 상부 전극 2-1로 역방향 이동을 하게 되며, 상부 전극 2-1을 따라 센싱 셀 C1으로 이동한 입력 신호는 ON 상태인 센싱 셀 C1에서 상부 전극 2-1에 접촉된 하부 전극 1-1로 이동한 후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부 전극 2-2와 하부 전극 1-1의 교차점인 센싱 셀 C4가 OFF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하부 전극 1-1을 통해 입력 신호가 출력되는 것은 센싱 셀 C2 영역에서 입력 신호가 역방향 이동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H) 내부에 저항체(50)를 형성한다.
쉐도잉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저항체(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전극(2)으로 입력된 입력 신호가 하부 전극(1)으로 정방향 이동을 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하부 전극(1)으로부터 상부 전극(2)으로 역방향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을 정도의 저항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역방향 이동이 발생되기 위해서는 정방향 이동이 반드시 한번 발생해야 하기 때문에 입력신호의 세기를 고려하여 입력신호가 저항체를 2번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저항을 갖도록 저항체를 형성하면 된다.
또한 쉐도잉 효과가 나타나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번의 정방향 이동 및 1번의 역방향 이동이 발생하며, 저항체(50)가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에서 쉐도잉 신호 흐름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입력신호가 적어도 3번 저항체를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에서는 역방향 이동이 가능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법 대신에 쉐도잉 신호 흐름이 나타나더라도 판정부에 의해 이것이 감지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입력신호가 저항체를 2번이상 통과할 수 있더라도 3번 이상 통과한 후 출력된 출력신호가 판정부에 의해 감지되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신호가 되도록 하여 쉐도잉 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에서는 저항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입력신호의 세기와 판정부의 출력신호 감지 능력을 고려하여 입력신호가 저항체를 3번 이상 통과한 경우 판정부에 의해 감지되지 않을 정도의 저항을 갖도록 형성하면 된다.
이러한 저항체는 낮은 전기 전도도를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예시로 카본 블랙을 들 수 있다. 저항체를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는 쉐도잉 효과가 제거되어 ON된 센싱 셀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작용한 힘의 크기 역시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타입 센서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한정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발명의 사상 및 그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하부 전극 2: 상부 전극
10: 하부 전극부 20: 상부 전극부
30: 스페이서 40: 범퍼부
50: 저항체 H: 홀
B: 범퍼

Claims (10)

  1. 복수 개의 하부 전극이 병렬 배치된 하부 전극부;
    상기 하부 전극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전극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상부 전극이 병렬 배치된 상부 전극부;
    상기 하부 전극부와 상부 전극부 사이를 이격시키되 상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이 교차하는 영역마다 개구가 형성된 스페이서;
    상기 상부 전극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이 교차하는 영역마다 상기 상부 전극을 향해 돌출된 범퍼가 형성된 범퍼부; 및
    상기 스페이서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개구 내부에 개구를 통과하는 전류에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항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저항체는 입력 신호가 저항체를 1번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저항을 제공하거나 저항체를 3번 이상 통과한 후 출력된 출력 신호가 판정부에 의해 감지되지 않도록 하는 저항을 제공하는 디지털 타입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개구 중 일부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범퍼의 너비비가 복수 개의 상기 개구 중 다른 일부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범퍼의 너비비와 상이한 디지털 타입 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개구는 그 너비가 동일하고, 상기 범퍼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범퍼는 서로 너비가 다른 적어도 2그룹의 범퍼로 이루어진 디지털 타입 센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범퍼는 그 너비가 동일하고, 상기 스페이서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개구는 서로 너비가 다른 적어도 2그룹의 개구로 이루어진 디지털 타입 센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 영역은 가상의 단위 센싱 영역으로 균등 분할되어 있으며, 각 단위 센싱 영역에 포함된 복수 개의 개구는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범퍼와의 너비비가 서로 상이한 디지털 타입 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전극 또는 하부 전극을 통해 출력되는 출력신호로 외력이 작용한 단위 센싱 영역을 판별하는 판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정부는 단위 센싱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개구 중 하나 이상의 개구에서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의 전기적 접촉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해당 단위 센싱 영역에 외력이 작용한 것으로 판별하며,
    상기 해당 단위 센싱 영역에서 전기적 접촉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된 개구 중 대응하는 범퍼에 비해 상대적 너비가 가장 작은 제1 개구가 갖는 제1 임계값 이상의 외력이 상기 해당 단위 센싱 영역에 작용한 것으로 판정하는 디지털 타입 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해당 단위 센싱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개구 중 전기접 접촉이 발생하지 않은 개구 중 대응하는 범퍼에 비해 상대적 너비가 가장 큰 제2 개구가 상기 제1 개구보다 상대적 너비가 작은 경우 상기 제2 개구가 갖는 제2 임계값 미만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외력이 상기 해당 단위 센싱 영역에 작용한 것으로 판정하는 디지털 타입 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는 카본 블랙으로 형성된 디지털 타입 센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14260A 2015-08-13 2015-08-13 힘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타입 센서 KR101726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260A KR101726066B1 (ko) 2015-08-13 2015-08-13 힘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타입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260A KR101726066B1 (ko) 2015-08-13 2015-08-13 힘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타입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621A KR20170020621A (ko) 2017-02-23
KR101726066B1 true KR101726066B1 (ko) 2017-04-12

Family

ID=5831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260A KR101726066B1 (ko) 2015-08-13 2015-08-13 힘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타입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0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850B1 (ko) 2017-06-30 2022-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GB2565564B (en) * 2017-08-16 2020-04-08 Peratech Holdco Ltd Detecting force
KR102090684B1 (ko) 2018-04-30 2020-04-23 한국기계연구원 다단계 촉각감지 센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5133A (ja) 2013-06-04 2014-12-15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圧電センサおよび圧力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768B1 (ko) 2007-09-17 2009-11-05 주식회사 센플러스 촉각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이를 이용한입력감지방법
KR20100022748A (ko) * 2008-08-20 2010-03-03 주식회사 센플러스 터치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접촉력 감지 방법
KR101124227B1 (ko) * 2009-09-29 2012-04-1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접촉힘 및 접촉위치 측정이 가능한 접촉저항형 터치입력기기, 그 터치입력기기의 제조방법 및 이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5133A (ja) 2013-06-04 2014-12-15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圧電センサおよび圧力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621A (ko)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066B1 (ko) 힘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타입 센서
KR102308009B1 (ko) 유효 감지 면적이 확장된 압력감지재
US9372588B2 (en) Pressure-sensitive multi-touch device
JP2955149B2 (ja) タッチパネルの座標検出装置
EP1614023B1 (fr) Dispositif de d tection de position
US20150177298A1 (en) Capacitive sensor electrode
CN106249960B (zh) 触控显示面板和触控显示装置
KR940020268A (ko) 시트판별장치
US11716082B2 (en) Capacitive touch sensor and method
KR101146098B1 (ko) 채널분할형 센서패턴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
KR101112780B1 (ko) 터치 위치의 검출 정확도가 향상된 터치 패널 센서 장치
US9886143B2 (en) Multi-function sensing apparatus
JP6124301B2 (ja) 静電容量式入力装置
US20190258350A1 (en) Oled touch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ouch operation zone
JP2012518217A (ja) マルチポイントセンサ
KR102090684B1 (ko) 다단계 촉각감지 센서
US9519388B2 (en) Touch sensor having multiple code matrice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575603B2 (en) Touch device, touch pan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44697B1 (ko) 힘 검출 센서
JP2009500596A (ja) 特に衝突検出装置に用いられるフォイル型スイッチング素子
KR101715628B1 (ko) 기생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키는 터치패널
KR960042095A (ko) 자기 검출 장치
KR102589753B1 (ko) 도전층간 전류의 독립적 흐름이 보장되는 압력감지재
US20150053556A1 (en) Biochip micro-porous sensor
JP6908353B2 (ja) 静電容量結合方式スイッチ用電極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