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756B1 - 골격 유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이용한, 올레핀 및 파라핀의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골격 유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이용한, 올레핀 및 파라핀의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756B1
KR101725756B1 KR1020150164256A KR20150164256A KR101725756B1 KR 101725756 B1 KR101725756 B1 KR 101725756B1 KR 1020150164256 A KR1020150164256 A KR 1020150164256A KR 20150164256 A KR20150164256 A KR 20150164256A KR 101725756 B1 KR101725756 B1 KR 101725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araffin
adsorption
olefin
inflectio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웅
장종산
황영규
이우황
홍도영
이수경
조경호
박용기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4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with solid 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54Controll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72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53/48 - B01D53/70, e.g.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51/47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solid-liquid treatment; by chemi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10G31/09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대상인 올레핀 및 파라핀에 관한 흡탈착 등온선이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를 나타내는 골격 유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나노세공체가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흡착압력을 선정한 후, 이를 적용하여 동일한 탄소 수를 갖는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선정된 골격 유동을 나타내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및 선정된 흡착압력을 이용하면, 동일한 탄소 수를 갖는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이한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를 서로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골격 유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이용한, 올레핀 및 파라핀의 분리 방법{Separation method of olefin and paraffin using organic-inorganic hybrid nanoporous materials having breathing behavior}
본 발명은 분리대상인 올레핀 및 파라핀에 관한 흡탈착 등온선이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를 나타내는 골격 유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나노세공체가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흡착압력을 선정한 후, 이를 적용하여 동일한 탄소 수를 갖는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유 및 석유화학 산업에서 탄화수소의 탄소수별 분리는 대부분 증류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올레핀/파라핀 혼합물에서 올레핀과 파라핀의 분리도 대부분 증류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올레핀과 파라핀은 끓는점이 매우 유사해서 증류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고 증류탑의 단수가 커서 장치비가 많이 들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흡착분리공정이 연구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28137호에서, 알루미노실리카겔, 실리카겔,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펠렛 형태의 지지체에 질산은(AgNO3)이 담지된 흡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며, 미국 등록특허 제6,315,816호 및 제6,468,329호에서는, 이러한 흡착분리공정에 사용되는 흡착제로서 올레핀과 π 결합을 하여 올레핀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금속이온 (Ag+, Cu+ 등)을 비표면적이 넓은 지지체 (실리카겔, 알루미나, 알루미노실리카겔, 중형다공성 물질 등)에 담지시켜서 제조한 흡착제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금속이온 담지는 질산은(AgNO3)이나 염화구리(CuCl) 용액을 지지체에 함침시킨 후에 건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87210호에서는 올레핀/파라핀 분리에 적합한 흡착제로서 알루미노실리카겔에 질산은을 담지시킨 흡착제의 제조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알루미노실리카겔의 작은 세공 중에서도 그 크기가 아주 작은 기공에 담지된 질산은은 올레핀과 접촉이 어렵거나 물질전달속도가 매우 느려서 실제 흡착에 작용하지 못하므로 고가의 질산은이 낭비되어 고가의 흡착제 가격 경쟁력을 크게 개선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금속이온 (Ag+, Cu+ 등)을 포함한 지지체의 경우 담지된 금속이온이 탄화수소에 의해서 쉽게 환원되어 분리성능이 현격하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 밖의 종래 기술에서 올레핀/파라핀 분리를 위하여 실리카겔, 알루미나, 알루미노실리카겔, 중형다공성 물질 등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분리효율이 낮고 높은 탈착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귀금속이 포함되지 않고 올레핀/파라핀을 더 높은 효율로 분리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올레핀과 파라핀의 효율적인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화수소의 탄소수에 따른 효율적인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양태는 동일한 탄소 수를 갖는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C2 이상의 탄화수소 가스에 관한 흡탈착 등온선이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를 나타내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에 상기 각각의 올레핀과 파라핀을 접촉시켜 각각의 흡착 등온선의 변곡점(inflection point)이 나타나는 압력으로서 올레핀의 변곡점 압력(P1) 및 파라핀의 변곡점 압력(P2)을 선정하는 제1단계(여기에서, P1≠P2 임); 및
P1 내지 P2 범위의 압력에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에 상기 올레핀과 파라핀을 함유하는 혼합가스를 접촉시켜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동일한 탄소 수를 갖는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C2 이상의 탄화수소 가스에 관한 흡탈착 등온선이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를 나타내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에 상기 각각의 올레핀과 파라핀을 접촉시켜 각각의 흡착 등온선의 변곡점(inflection point)이 나타나는 압력으로서 올레핀의 변곡점 압력(P1) 및 파라핀의 변곡점 압력(P2)을 선정하는 제1단계(여기에서, P1≠P2 임)를 포함하는 올레핀/파라핀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양태는 동일한 탄소 수를 갖는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C2 이상의 탄화수소 가스에 관한 흡탈착 등온선이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를 나타내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에 올레핀과 파라핀을 함유하는 혼합가스를 올레핀의 변곡점 압력(P1) 내지 파라핀의 변곡점 압력(P2) 범위의 압력에서 접촉시켜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올레핀의 변곡점 압력(P1)은 상기 유무기 나노세공체에 올레핀을 접촉시켜 흡착 등온선의 변곡점(inflection point)이 나타나는 압력이며, 상기 파라핀의 변곡점 압력(P2)은 상기 유무기 나노세공체에 파라핀을 접촉시켜 흡착 등온선의 변곡점(inflection point)이 나타나는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여기에서, P1≠P2 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양태는 상이한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를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C2 이상의 탄화수소 가스에 관한 흡탈착 등온선이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를 나타내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에 상기 각각의 상이한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를 접촉시켜 각각의 흡착 등온선의 변곡점(inflection point)이 나타나는 압력으로서 n개의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의 변곡점 압력(Pn) 및 m개의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의 변곡점 압력(Pm)을 선정하는 제1단계(여기에서, n≠m이고 Pm≠Pn 임); 및
Pm 내지 Pn 범위의 압력에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에 상기 상이한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혼합가스를 접촉시켜 상이한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를 서로 분리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기체분리 시, 크게 두 가지 특성인 흡착제와 흡착질 사이의 열역적 흡착성질과 흡착속도 차이를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흡착제-흡착질의 열역학적 흡착평형 특성 차이를 이용하여 올레핀과 파라핀을 분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분리대상인 올레핀 및 파라핀에 관한 흡탈착 등온선이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를 나타내는 골격 유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나노세공체를 이용하여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효율적으로 분리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상기 선정된 나노세공체가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흡착압력을 먼저 선정한 후, 이를 적용하여 동일한 탄소 수를 갖는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분리대상인 상이한 탄소수의 탄화수소들에 관한 흡탈착 등온선이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를 나타내는 골격 유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나노세공체가 상이한 탄소수의 탄화수소들을 서로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흡착압력을 선정한 후, 이를 적용하여 상이한 탄소수의 탄화수소들을 서로 분리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본 명세서에서, “흡탈착 등온선이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를 나타내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는 흡·탈착 전후에 흡착제의 부피 변화가 생기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흡·탈착 전후에 흡착제의 부피 변화가 생기는 특성은 호흡동작 (breathing behavior)를 가진다거나, 골격 유연형으로 혼용하여 사용된다.
통상, 흡착제인 제올라이트, 메조세공체, CMS (Carbon molecular sieve), 일반적인 MOF에서는 기체 또는 분자의 흡·탈착 전후에 흡착제의 부피 변화가 거의 없다. 하지만 세공체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골격구조에 유기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MOF물질 중 일부에서는 골격구조를 형성하는 유기 리간드의 유연성(flexibility) 때문에 물, 용매, 기체 또는 분자의 흡·탈착 전후에 흡착제의 부피가 변화가 생기는 호흡동작 (breathing behavior)를 띄는 MOF가 있다. 이러한 breathing 특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MOF물질로는 MIL-53, MIL-88, ZIF-7, DUT-8, SNU-9 등이 있다 [Materials 2014, 7, 3198-3250].
예를 들어, 호흡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MOF물질인, MIL-53(Fe)가 기체 흡착시 나타내는 기공 구조 변화를 도 1에 도식적으로 나타내었다. 골격유연형 특성을 갖는 MIL-53 물질의 일반적인 구조식은 아래와 같다.
[M(bdc)(OH)] (bdc = 1,4-benzenedicarboxylate; M = Al, Fe, Cr, Sc, Ga, In)
또한, 골격유연성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인 MIL-88 구조는 M3O(L)3(H2O)2(X), (이때, M = Fe, Cr, L =linear dicarboxylate, X = anion) 이다(J. Am. Chem. Soc. 2011, 133, 17839-17847).
한편, 다공성 소재는 흡착 매질의 흡착 등온성 모양에 따라 하기 도 1과 같이 6가지로 분류된다. 통상 골격 유연형 MOF는 압력변화에 따라 가스 흡착량 변화 패턴이 4번째 모양(type-4)과 유사성을 갖는다 (도 2).
골격 유연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기체가 MOF의 표면에 흡착할 때의 흡착에너지가 흡착제의 좁은 세공을 뚫고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값을 가질 때 발현되게 된다. 예를 들면 MIL-53(Fe)의 경우 기체의 흡착에너지가 20kJ/mol 이상인 경우 흡착제의 좁은 입구를 넓히고 흡착제의 세공내로 들어가 호흡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3개 이상의 탄소수를 갖는 경우, 파라핀보다 올레핀 흡착 시 골격 유연 특성이 나타나는 압력이 감소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면, 2개의 탄소수를 갖는 경우, 올레핀보다 파라핀 흡착시 골격 가변 특성이 나타나는 압력이 감소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50℃의 흡착 온도에서 프로필렌의 골격 유연 특성이 나타나는 압력은 약 1.0 bar이나, 프로판의 경우 2.5bar이었다. 반면, 30℃의 흡착 온도에서 에탄의 호흡 특성이 나타나는 압력은 약 2.5 bar이나, 에틸렌의 경우 5bar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대상인 올레핀 및 파라핀에 적절한 골격 유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나노세공체가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즉 분리대상의 선택적 흡착이 가능한, 흡착압력을 선정하면, 파라핀/올레핀 분리가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상기 흡착압력은 분리하고자 하는 탄화수소 각각에 대한 흡착 등온선의 변곡점(inflection point)이 나타나는 압력(P) 값들의 사이에서 도출할 수 있다(도 5).
이러한 분리 원리는 분리대상이 상이한 탄소수의 탄화수소들 사이에서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탄화수소의 탄소수별 호흡 특성(breathing effect)이 나타나는 압력이 다름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탄소 수가 감소할수록 골격 유연 특성이 나타나는 압력이 증가하였다. 즉, C4(butane/butylene), C3(propane/propylene), C2(ethane/ethylene), C1(methane) 순으로 골격 유연 특성이 나타나는 압력이 증가한다.
본 발명에서, 분리가능한 올레핀과 파라핀은 탄소 수가 2 내지 4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C2 탄화수소인 에탄/에틸렌의 분리, C3 탄화수소인 프로판/프로필렌의 분리, C4 탄화수소인 부탄/부틸렌의 분리가 가능하다.
특정 탄화수소에 대한 흡착 등온선의 변곡점(inflection point)이 나타나는 압력(P)은 흡착시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변곡점이 나타나는 압력은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할 때, 또는 상이한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를 서로 분리시킬 때 동일한 온도에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 온도는 납사 분해반응 및 프로판 탈 수소 반응 등의 올레핀 생성 반응의 생성물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에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할 때, C2 인 경우 통상 P1>P2, C3 이상 인 경우 통상 P1<P2 이다(올레핀의 변곡점 압력은 P1로 표시하고, 파라핀의 변곡점 압력은 P2로 표시함).
상이한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를 서로 분리시킬 때는, 통상 n<m이면, Pm<Pn 이다(n개의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의 변곡점 압력은 Pn 로 표시하고, m개의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의 변곡점 압력은 Pm로 표시함).
이러한 경향은 흡착제로 MIL-53Al 또는 MIL-53Ga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는 골격 유연 특성이 0.1 내지 20 bar 압력 범위 내에서 발현될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르면, 상기 올레핀이 프로필렌이고 상기 파라핀이 프로판인 경우, 50℃ 흡착온도에서 상기 P1 내지 P2 범위의 압력은 1 내지 2.5 bar일 수 있다(도 3). 상기 압력은 온도에 따른 유동성이 있기 때문에 분압으로 표시하면, 상기 P1/P0 내지 P2/P0 범위의 압력은 0.02 내지 0.30 일 수 있다(여기서 P0 = 각각 흡착 온도에서의 프로판 또는 프로필렌의 증기압(vapor pressure), P1 = 프로판의 흡착 등온선의 변곡점 압력, P2=프로필렌의 흡착 등온선의 변곡점 압력). 상기 압력 범위가 가장 바람직한 압력 범위이고, 상기 압력 범위를 벗어나면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는 가스 흡·탈착시 부피 팽창율이 5%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는 NH2, Cl, Br, NO, CH3 또는 이의 조합의 작용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1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
[M(bdc)(OH)] (bdc = 1,4-benzenedicarboxylate; M = Al, Fe, Cr, Sc, Ga 및 In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화학식 2]
VIVO{O2C-C6H4-CO2}2
[화학식 3]
M3O(L)3(H2O)2(X), (이때, M = Fe, Cr, L =linear dicarboxylate, X = anion)
[화학식 4]
M2(2,6-ndc)2(dabco) (M = Ni, Co, Cu, Zn; 2,6-ndc = 2,6-naphthalenedicarboxylate, dabco = 1,4-diazabicyclo[2.2.2]octane)
[화학식 5]
Zn4O(BenzTB)3/2 (BenzTB = N,N,N',N'-benzidinetetrabenzoate)
[화학식 6]
Zn(PhIM)2·(H2O)3 (PhIM = phenylimidazole)
[화학식 7]
Zn(MeIM)2·(DMF)·(H2O)3 (MeIM = methylimidazole)
[화학식 8]
Zn2(BPnDC)2(bpy) (BPnDC = benzophenone 4,4'-dicarboxylate, bpy = 4,4'-bipyridine)
[화학식 9]
Zn2(ip)2(bpy)2 (ip=isophthalic acid, bpy=4,4'-bipyridine)
[화학식 10]
{[Zn(ndc)(bpy)]} (ndc = 2,7-naphthalenedicarboxylate, bpy = 4,4'-bipyridine)
[화학식 11]
[Cu(BF4)2(bpy)2] (bpy = 4,4'-bipyridine)
[화학식 12]
[Cu2(bdc)2(dipy)] (bdc = 1,4-benzenedicarboxylate, dipy = dipyridyl)
본 발명에 따라, 분리대상인 탄화수소들 각각에 관한 흡탈착 등온선이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를 나타내는 골격 유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나노세공체가 분리대상인 탄화수소들을 서로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흡착압력을 선정하면, 동일한 탄소 수를 갖는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이한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를 서로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골격 유연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MOF물질인 MIL-53(Fe)가 기체 흡착시 나타내는 기공 구조 변화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다공성 소재의 흡착 등온성 모양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MIL-53(Al) 및 MIL-53(Ga) 흡착제를 이용한 프로판/프로필렌에 대한 흡탈착 등온선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a)는 MIL-53(Al) 흡착제의 결과이고, (b)는 MIL-53(Ga) 흡착제의 결과이다.
도 4는 MIL-53(Ga) 흡착제를 이용한 에탄/에틸렌에 대한 흡탈착 등온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MIL-53(Al) 흡착제를 이용한 프로판/프로필렌에 대한 파과곡선을 타나낸다. 여기에서, (a)는 흡착 압력이 1bar에서의 결과이고, (b)는 흡착 압력이 2bar에서의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결정성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함유한 복합체의 제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3877호 및 국제특허 제WO2013025046호에 기재된 결정성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분말을 포함하는 복합체 제조방법을 통하여 0.5 내지 1mm 의 직경을 가지는 MIL-53계열의 구형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MIL-53(Al) 분말을 30g 준비하였다. 그리고, 결정성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분말의 중량을 기준으로 3~10중량%의 고분자 결합제를, 결정성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분말의 중량을 기준으로 90중량%의 에탄올에 녹인 후, 준비된 나노세공체 분말과 섞고 교반하면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혼합물을 기계적 분쇄 과정을 통해 균일한 크기를 가진 Al계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분말 덩어리로 제조하였다. 이때, 불균일한 크기의 분말 덩어리는 분리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조된 분말 덩어리를 실린더에 넣고 120 내지 150rpm으로 약 6시간 동안 회전시켜 분말 덩어리를 0.5 내지 1mm 직경의 구형으로 성형시켰다.
상기 단계에서 구형으로 성형된 분말 덩어리를 진공 조건에서 120℃에서 10시간 동안 진공 건조 오븐에서 건조시켜 구형의 복합체를 완성하였다. 이때 얻은 평균 직경 0.8mm 크기 복합체의 BET 표면적은 분말의 표면적의 대비 90%의 높은 표면적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 MIL-53(Al) 및 MIL-53(Ga)의 프로판/프로필렌 가스의 흡탈착 등온선 측정
MIL-53(Al) 및 MIL-53(Ga) 흡착제를 이용하여 프로판/프로필렌에 대한 흡·탈착 등온선을 측정하였다.
프로판/프로필렌을 흡착하기 위해 Hiden사의 IGA 중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흡착을 실시하였다. 프로판/프로필렌 각각의 가스의 흡착 조건은 50℃(측정 온도: 30~70℃)에서 7bar까지 실시하였다. 흡착 실험을 위해 흡착제는 MIL-53(Al) 및 MIL-53(Ga) 분말을 각각 30mg을 사용하였다. 흡착제의 전처리를 위해 30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50℃로 냉각시킨 후 흡착을 시작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MIL-53(Al) 및 MIL-53(Ga) 흡착제를 이용한 프로판/프로필렌에 대한 흡탈착 등온선을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a)는 MIL-53(Al) 흡착제의 결과이고, (b)는 MIL-53(Ga) 흡착제의 결과이다.
도 3의 흡착 등온선을 보면, 흡착 압력 1bar에서 2.5bar 사이에서 프로판과 프로필렌을 분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흡착제 MIL-53(Al) 경우, 흡착 압력 1bar에서 프로필렌의 흡착량이 3mmol/g에서 4mmol/g으로 급격히 흡착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MIL-53(Al) 흡착제에서 프로판의 흡착을 보면 2.5~3.0bar 사이에서 프로판의 흡착량이 3.2mmol/g에서 4.2 mmol/g으로 급격히 흡착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MIL-53(Ga) 흡착제의 경우, 흡착 압력 2bar에서 프로필렌의 흡착량이 2mmol/g에서 4mmol/g으로 급격히 흡착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MIL-53(Ga) 흡착제에서 프로판의 흡착을 보면 2.5~3.0bar 사이에서 프로판의 흡착량이 2.2mmol/g에서 3.8 mmol/g으로 급격히 흡착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호흡형 흡착제에서 파라핀/올레핀의 흡착 압력에 따라 흡착제의 구조 변화가 일어나는 압력의 차이로 파라핀/올레핀의 흡착 분리에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MIL-53(Ga)의 에탄/에틸렌 가스의 흡탈착 등온선 측정
MIL-53(Ga) 흡착제를 이용하여 에탄/에틸렌 대한 흡탈착 등온선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상기 흡착을 위한 흡착제로 MIL-53(Ga)를 사용하였고, 에탄/에틸렌 각각의 가스의 흡착 조건은 30℃(측정 온도: 30~70℃)에서 14bar까지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MIL-53(Ga) 흡착제를 이용한 에탄/에틸렌에 대한 흡탈착 등온선을 나타내었다.
도 4의 흡착 등온선을 보면, 흡착 압력 3bar에서 5bar 사이에서 에탄과 에틸렌을 분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흡착제 MIL-53(Ga) 경우, 흡착 압력 3bar에서 에탄의 흡착량이 2.2mmol/g에서 4mmol/g으로 급격히 흡착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MIL-53(Ga) 흡착제에서 에틸렌의 흡착을 보면 5~6bar 사이에서 에틸렌의 흡착량이 2.2mmol/g에서 4.0 mmol/g으로 급격히 흡착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호흡형 흡착제에서 파라핀/올레핀의 흡착 압력에 따라 흡착제의 구조 변화가 일어나는 압력의 차이로 파라핀/올레핀의 흡착 분리에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MIL-53(Al)의 프로판/프로필렌 가스의 파과 곡선 측정
MIL-53(Al) 흡착제를 이용하여 프로판/프로필렌에 대한 파과곡선을 측정하였다.
프로판/프로필렌의 파과곡선을 측정하기 위한 튜브형 반응기를 제작하여 흡착을 실시하였다. 파과곡선을 측정하기 위한 흡착조건은 프로판/프로필렌 각각 50 mol%의 조성가스, 50℃ 측정 온도, 1~2bar 측정압력에서 실시하였다. 파과실험을 위해 흡착제 MIL-53(Al)의 성형체를 약 1g을 사용하였다. 흡착제의 전처리를 위해 30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50℃로 냉각시킨 후 흡착을 시작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MIL-53(Al) 흡착제를 이용한 프로판/프로필렌에 대한 파과곡선을 나타내었다.
도 5의 파과곡선을 보면, 흡착 압력 1bar에서 프로필렌의 파과곡선이 프로판의 파과곡선보다 빠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흡착 압력 2bar에서는 프로판의 파과곡선이 프로필렌의 파과곡선보다 빠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의 파과곡선을 보면 중간에 변곡점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도 3(a)의 프로필렌의 흡착 등온선에서 보여진 0.5~1bar 사이의 변곡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호흡형 흡착제에서 파라핀/올레핀의 흡착 압력에 따라 흡착제의 구조 변화가 일어나는 압력의 차이로 파라핀/올레핀의 흡착 분리에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동일한 탄소 수를 갖는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C2 이상의 탄화수소 가스에 관한 흡탈착 등온선이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를 나타내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에 상기 각각의 올레핀과 파라핀을 접촉시켜 각각의 흡착 등온선의 변곡점(inflection point)이 나타나는 압력으로서 올레핀의 변곡점 압력(P1) 및 파라핀의 변곡점 압력(P2)을 선정하는 제1단계(여기에서, P1≠P2 임); 및
    P1 내지 P2 범위의 압력에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에 상기 올레핀과 파라핀을 함유하는 혼합가스를 접촉시켜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이 프로필렌이고 상기 파라핀이 프로판인 경우, P1/P0 내지 P2/P0 범위의 압력은 0.02 내지 0.30 인 것이 특징인 방법(여기서 P0 = 각각 흡착 온도에서의 프로판 또는 프로필렌의 증기압(vapor pressure), P1 = 프로판의 흡착 등온선의 변곡점 압력, P2=프로필렌의 흡착 등온선의 변곡점 압력).
  3. 제1항에 있어서, 올레핀과 파라핀은 탄소 수가 2 내지 4 범위인 것이 특징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는 가스 흡탈착시 부피 팽창율이 5% 이상인 것이 특징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는 NH2, Cl, Br, NO, CH3 또는 이의 조합의 작용기를 갖는 것이 특징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12로 표시되는 것인 방법:
    [화학식 1]
    [M(bdc)(OH)] (bdc = 1,4-benzenedicarboxylate; M = Al, Fe, Cr, Sc, Ga 및 In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화학식 2]
    VIVO{O2C-C6H4-CO2}2
    [화학식 3]
    M3O(L)3(H2O)2(X), (이때, M = Fe, Cr, L =linear dicarboxylate, X = anion)
    [화학식 4]
    M2(2,6-ndc)2(dabco) (M = Ni, Co, Cu, Zn; 2,6-ndc = 2,6-naphthalenedicarboxylate, dabco = 1,4-diazabicyclo[2.2.2]octane)
    [화학식 5]
    Zn4O(BenzTB)3/2 (BenzTB = N,N,N',N'-benzidinetetrabenzoate)
    [화학식 6]
    Zn(PhIM)2·(H2O)3 (PhIM = phenylimidazole)
    [화학식 7]
    Zn(MeIM)2·(DMF)·(H2O)3 (MeIM = methylimidazole)
    [화학식 8]
    Zn2(BPnDC)2(bpy) (BPnDC = benzophenone 4,4'-dicarboxylate, bpy = 4,4'-bipyridine)
    [화학식 9]
    Zn2(ip)2(bpy)2 (ip=isophthalic acid, bpy=4,4'-bipyridine)
    [화학식 10]
    {[Zn(ndc)(bpy)]} (ndc = 2,7-naphthalenedicarboxylate, bpy = 4,4'-bipyridine)
    [화학식 11]
    [Cu(BF4)2(bpy)2] (bpy = 4,4'-bipyridine)
    [화학식 12]
    [Cu2(bdc)2(dipy)] (bdc = 1,4-benzenedicarboxylate, dipy = dipyridyl)
  7. 삭제
  8. 동일한 탄소 수를 갖는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C2 이상의 탄화수소 가스에 관한 흡탈착 등온선이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를 나타내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에 올레핀과 파라핀을 함유하는 혼합가스를 올레핀의 변곡점 압력(P1) 내지 파라핀의 변곡점 압력(P2) 범위의 압력에서 접촉시켜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올레핀의 변곡점 압력(P1)은 상기 유무기 나노세공체에 올레핀을 접촉시켜 흡착 등온선의 변곡점(inflection point)이 나타나는 압력이며, 상기 파라핀의 변곡점 압력(P2)은 상기 유무기 나노세공체에 파라핀을 접촉시켜 흡착 등온선의 변곡점(inflection point)이 나타나는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레핀과 파라핀을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여기에서, P1≠P2 임).
  9. 상이한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를 서로 분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C2 이상의 탄화수소 가스에 관한 흡탈착 등온선이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를 나타내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에 상기 각각의 상이한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를 접촉시켜 각각의 흡착 등온선의 변곡점(inflection point)이 나타나는 압력으로서 n개의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의 변곡점 압력(Pn) 및 m개의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의 변곡점 압력(Pm)을 선정하는 제1단계(여기에서, n≠m이고 Pm≠Pn 임); 및
    Pm 내지 Pn 범위의 압력에서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에 상기 상이한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혼합가스를 접촉시켜 상이한 탄소 수를 갖는 탄화수소를 서로 분리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KR1020150164256A 2015-11-23 2015-11-23 골격 유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이용한, 올레핀 및 파라핀의 분리 방법 KR101725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256A KR101725756B1 (ko) 2015-11-23 2015-11-23 골격 유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이용한, 올레핀 및 파라핀의 분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256A KR101725756B1 (ko) 2015-11-23 2015-11-23 골격 유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이용한, 올레핀 및 파라핀의 분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756B1 true KR101725756B1 (ko) 2017-04-14

Family

ID=5857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256A KR101725756B1 (ko) 2015-11-23 2015-11-23 골격 유연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를 이용한, 올레핀 및 파라핀의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7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594A1 (ko) * 2017-05-16 2018-11-22 한국화학연구원 담체의 메조 기공내 금속-유기 클러스터가 분산되어 있는 다공성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프로판-프로필렌 기체 혼합물의 분리방법
WO2021187945A1 (ko) * 2020-03-19 2021-09-23 한국화학연구원 알루미늄 기반 올레핀/파라핀 분리를 위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파라핀 분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144A (ko) * 2008-07-31 2010-02-10 한국화학연구원 다공성 니켈포스페이트를 이용한 올레핀/파라핀 분리 방법 및 다공성 니켈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식품 포장재
KR101269837B1 (ko) * 2012-09-25 2013-05-29 한국화학연구원 외부 전기장을 이용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의 흡탈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144A (ko) * 2008-07-31 2010-02-10 한국화학연구원 다공성 니켈포스페이트를 이용한 올레핀/파라핀 분리 방법 및 다공성 니켈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식품 포장재
KR101269837B1 (ko) * 2012-09-25 2013-05-29 한국화학연구원 외부 전기장을 이용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의 흡탈착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594A1 (ko) * 2017-05-16 2018-11-22 한국화학연구원 담체의 메조 기공내 금속-유기 클러스터가 분산되어 있는 다공성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프로판-프로필렌 기체 혼합물의 분리방법
KR20180125813A (ko) * 2017-05-16 2018-11-26 한국화학연구원 담체의 메조 기공내 금속-유기 클러스터가 분산되어 있는 다공성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프로판-프로필렌 기체 혼합물의 분리방법
KR101958997B1 (ko) * 2017-05-16 2019-03-15 한국화학연구원 담체의 메조 기공내 금속-유기 클러스터가 분산되어 있는 다공성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프로판-프로필렌 기체 혼합물의 분리방법
WO2021187945A1 (ko) * 2020-03-19 2021-09-23 한국화학연구원 알루미늄 기반 올레핀/파라핀 분리를 위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파라핀 분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Applications of metal–organic frameworks for green energy and environment: New advances in adsorptive gas separation, storage and removal
Yang et al. Energy-efficient separation alternatives: metal–organic frameworks and membranes for hydrocarbon separation
Liang et al. Ethane selective adsorbent Ni (bdc)(ted) 0.5 with high uptake and its significance in adsorption separation of ethane and ethylene
Wang et al. Pore environment engineering in metal–organic frameworks for efficient ethane/ethylene separation
Wang et al. Tailor‐made microporous metal–organic frameworks for the full separation of propane from propylene through selective size exclusion
Chen et al. An ethane-trapping MOF PCN-250 for highly selective adsorption of ethane over ethylene
Wang et al. Separation of alkane and alkene mixtures by metal–organic frameworks
JP5756748B2 (ja) 異なる不飽和度および/または不飽和数を有している複数の分子の混合物を分離するための、還元可能な多孔質の結晶の固体の混成物
US9687772B2 (en) Inorganic-organic hybrid nanoporous material with nitrogen selective adsorptivity and method for separating nitrogen-containing gas mixture using the same
Gao et al. Crystal engineering of porous coordination networks for C3 hydrocarbon separation
Chen et al. A pillar-layer metal-organic framework for efficient adsorption separation of propylene over propane
Wang et al. A ligand conformation preorganization approach to construct a copper–hexacarboxylate framework with a novel topology for selective gas adsorption
US11285455B2 (en) Organic-inorganic hybrid nanoporous material containing intramolecular acid anhydride functional group, composition for adsorption comprising the same, and use thereof for separation of hydrocarbon gas mixture
Cui et al. A microporous metal-organic framework of sql topology for C2H2/CO2 separation
Jiang et al. An N-oxide-functionalized nanocage-based copper-tricarboxylate framework for the selective capture of C 2 H 2
Hosseini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gas adsorption performance of an efficient hierarchical ZIF-11@ ZIF-8 core–shell metal–organic framework (MOF)
KR20180054030A (ko) 산화-환원 활성을 갖는 다공체를 이용한 올레핀 선택성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 분리 방법
Pal et al. Highly scalable acid-base resistant Cu-Prussian blue metal-organic framework for C2H2/C2H4, biogas, and flue gas separations
Liu et al. Highly Robust Microporous Metal‐Organic Frameworks for Efficient Ethylene Purification under Dry and Humid Conditions
Wang et al. Separation of hexane isomers by introducing “triangular-like and quadrilateral-like channels” in a bcu-type metal-organic framework
Guo et al. A pillared-layer metal–organic framework for efficient separation of C3H8/C2H6/CH4 in natural gas
Zhang et al. Efficient splitting of trans-/cis-olefins using an anion-pillared ultramicroporous metal–organic framework with guest-adaptive pore channels
Luo et al. Improving ethane/ethylene separation performance under humid conditions by spatially modified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s
Xiong et al. Understanding trade-offs in adsorption capacity, selectivity and kinetics for propylene/propane separation using composites of activated carbon and hypercrosslinked polymer
KR20160045223A (ko) 결정성 하이브리드 나노세공체 흡착제의 올레핀 및 아세틸렌 함유 혼합기체의 분리 정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