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737B1 - 에어펄스를 이용한 연속역세형 비점오염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에어펄스를 이용한 연속역세형 비점오염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737B1
KR101725737B1 KR1020160103474A KR20160103474A KR101725737B1 KR 101725737 B1 KR101725737 B1 KR 101725737B1 KR 1020160103474 A KR1020160103474 A KR 1020160103474A KR 20160103474 A KR20160103474 A KR 20160103474A KR 101725737 B1 KR101725737 B1 KR 101725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loth
tank
filter
water
ventur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594A (ko
Inventor
고준일
오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
한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 한울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
Priority to KR1020160103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737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9/002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7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wa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펄스를 이용한 연속역세형 비점오염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비점오염원으로 유입되는 입자성 물질을 여과포의 물리적 충돌, 차폐, 확산, 중력 등의 작용을 통해 제거함과 동시에 폐색된 여과포는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에어펄스에 의해 부착물질을 탈리시키고, 탈리된 오염물질은 침전조로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그 기능이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우가 종료 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내부의 정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방류수조 하단에 퇴적된 침전물질도 동시에 제거함으로써 비점오염저감장치의 기능을 유지시켜줄 수 있으며, 여과포는 나사식 구조를 갖는 벤튜리관에 의해 쉽게 조립되고, 쉽게 제거되어 교체가 수월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벤튜리관에서 발생된 고압의 에어펄스는 여과포의 폐색물질을 쉽게 탈리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에어펄스를 이용한 연속역세형 비점오염저감장치{Continuous backwashing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using an air pulse}
본 발명은 에어펄스를 이용한 연속역세형 비점오염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우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성 오염물질을 여과포의 여과기능에 의해 제거하고 폐색된 여과포는 연속적인 에어펄스 역세를 통해 여과기능을 회복시킴으로써 운전단락 없이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의한 비점오염원이라 함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으로서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비점오염원에서 배출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하는 시설을 비점오염저감시설로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자연형 시설과 장치형 시설로 구분되며, 장치형 시설은 다시 여과형시설, 와류형 시설, 스크린형 시설, 응집·침전 처리형 시설,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로 나뉜다.
이 중 여과형 시설은 다공성 매체나 다공성의 물질에 오염물질이 혼합된 유체를 통과시켜 공극보다 큰 입자성 물질을 물리적 충돌, 차폐, 확산, 중력 등의 작용을 통해 제거하는 기술을 응용하는 시설로써, 초기강우가 통과하면서 여재층의 공극이나 표면에 포획된 입자성 물질이 공극을 폐색시켜 여과능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환경부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 및 관리·운영 메뉴얼"(2014, 환경부, 145쪽)을 통해 여과형 시설의 경우 역세척 등을 통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강우유출수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여재층의 역세척을 위해 유체의 흐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청정한 유체를 통과시켜 공극을 폐색시키고 있는 입자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지만 역세척시 운전이 정지되는 문제와 낮은 압력에서 입자성 폐색 물질이 쉽게 탈리되지 않는 문제점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일 예로써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80859호 "우·오수 및 빗물 재이용 여과형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와 역세 방법"에 개시된 여과형 처리장치와 역세방법이 존재한다.
상기 종래 기술에 개시된 여과형 처리장치는 여재 폐색 시 공기와 처리수를 이용한 역세를 통해 여과성능을 회복할 수 있지만 역세척 중에는 여과를 지속할 수 없어 강우량이 많고 강우시간이 길게 지속되는 강우사상에서는 역세척 중에 여과기능이 정지될 수 밖에 없고, 역세에 사용된 공기는 공기블로워를 통해 공급하므로 역세척 차압을 높이는 데 한계를 가지므로 공극을 폐색하고 있는 입자성 물질을 충분히 탈리시키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환경부는 비점오염저감장치의 유입특성 상 비강우 시 여재층의 기능회복을 위해 강우종료 후 여과조 내 정체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수설비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나(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 및 관리·운영 메뉴얼, 2014, 환경부, 153쪽) 상기 종래 기술에 개시된 여과형 처리장치는 정체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수설비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강우지속시간이 길고 강한 강도의 강우사상에도 여과운전의 단락 없이 연속적인 운전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압축공기에 의한 강한 충격파를 이용하여 여재층을 폐색하고 있는 입자성 물질을 쉽게 탈리시킬 수 있는 연속역세형 비점오염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강한 충격파에 의해 탈리된 입자성 물질이 여과층의 하단에 퇴적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비점오염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강우가 종료 된 후 48시간 이내에 추가적으로 강우사상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여과조의 정체수와 침전조에 퇴적된 슬러지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비점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과조의 전단에 침전조를 갖는 구조와; 침전조 하부에는 정체수 및 퇴적물을 배출하기 위한 수중펌프가 설치되고;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된 복수의 여과포를 가지는 여과조와; 여과포 내부는 여과포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설치되고; 여과포 지지구조물의 하단에는 벤츄리 관이 설치되고; 벤츄리관의 입구에는 압축공기 공급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이다.
또한 상기 수중펌프는 침전조 유입관의 유수흐름 감지장치와 타이머가 연결되어 있어, 유수흐름이 정지되고 나면 그로부터 48시간 뒤 자동으로 지정시간 동안 가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여과조의 여과포 고정판은 전단의 침전조를 향하여 구배를 가지는 경사구조를 가지고; 충격파에 의해 탈리된 입자성 물질이 경사구조를 따라 침전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침전조와 여과조의 벽면에 홈을 갖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벤츄리관의 입구에 장착된 압축공기 공급노즐에는 90~100PSI의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헤더가 연결되고; 공기헤더와 압축공기 공기노즐 사이에는 다이아프램 전자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다이어프램 전자밸브는 여과포를 1열씩 묶어서 설치되며; 다이어프램 전자밸브는 경사구조의 여과포 고정판의 상단으로부터 하단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동안에는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강우가 종료된 후 48시간 이내에 추가 강우사상이 없을 경우 여과조내 정체수를 배출하기 위해 여과조의 하단에서 침전조의 하단방향으로 구배를 가지는 연결관이 설치되고; 연결관의 끝단에는 침전조 미처리 우수의 여과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지밸브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여과와 동시에 역세척이 이루어지므로 별도로 역세척을 위한 여과중단 시간이 필요 없게 되어 강우지속시간이 길거나 초기 강우강도가 큰 강우사상에서도 연속적인 운전이 가능해지며, 강력한 충격파의 발생으로 여과포를 폐색시키는 오염물질이 쉽게 탈리되어 여과효율이 높아지고, 강우가 중단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고 나면 내부 정체수가 배출되어 여재층의 기능이 회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장치 여과포 역세순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포 부착방법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장치(1)는, 일면 상부 우수유입관(2)을 통해 침전조(10)로 비점오염물질을 유입시켜 타면 하부 슬릿(17)을 통해 여과조(20)로 유입된 후 여과포(21)을 통해 오염물질이 여과된 처리수는 하향류 흐름을 통해 방류수조(30)에 일시 저류된 후 방류구(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장치(1)는, 유수흐름을 감지할 수 있는 유수흐름 감지센서(12)가 설치된 유입관(2), 정체수와 침전슬러지를 배출할수 있는 정체수 배출펌프(16) 및 역세수 배출관(11), 침전조 수위를 감지하여 정체수 배출펌프를 제어하는 전자식 컨트롤러(15),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여과포(21), 상기 여과포를 지지하는 여과포 지지대(22), 입자성 오염물질로 인하여 폐색된 여과포로부터 입자성 물질을 탈리시키기 위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23),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벤츄리관(24), 압축공기를 확보하고 저장하는 에어헷더(31) 및 순차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전자식 다이아프램밸브(32), 방류수조(30)의 정체수를 배출하는 정체수 배출관(37), 각 조의 기능을 유지시키고 소모품을 교체하기 위한 유지관리 맨홀(3)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장치의 침전조(10)는 측벽 상부로부터 비점오염물질이 유입관(2)을 통해 유입된 후 타측 측면 하부에 구성된 슬릿(17)을 통해 여과조(20)로 유입되며, 여과조로 유입된 비점오염물질은 여과포(21)을 통해 하부로 유출되어 방류수조(30)에 일시 저류된다.
이 후 비점오염물질 유입이 지속되어 수위가 상승하여 침전조의 고수위 설정점(13)에 도달하게 되면 전자식 컨트롤러(15)의 신호를 받아 공기압축기(5)가 가동되기 시작하고, 공기압이 설정압력 90~100psi 에 이르게 되면 전자식 다이아프램밸브(32)가 순차적으로 작동한다.
상기 전자식 다이아프램밸브(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구조를 갖는 여과조의 가장 높은 지점에 설치된 여과포 열(25)과 연결된 밸브가 약 0.1초 동안 열리게 되며, 다음으로 30초~60초 뒤 그 아랫열의 여과포(26)와 연결된 전자식 다이아프램밸브(32)가 마찬가지로 0.1초동안 열리게 되며, 다시 30~60초 뒤 그 다음열 여과포(27)과 연결된 전자식 다이아프램밸브(32)가 0.1 초동안 열리게 되는 순차적 동작을 반복하여 여과조의 가장 아래 열에 설치된 여과포(28)와 연결된 전자식 다이아프램밸브(32)가 0.1초간 작동된 뒤 다시 30~60초 뒤 가장 높은 지점에 설치된 여과포(25)와 연결된 전자식 다이아프램밸브(32)가 작동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에서, 전자식 다이아프램밸브(32)를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구비하게 되면, 여과포 하단의 벤츄리관(24)에서 발생된 에어펄스는 부력에 의해 여과포의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때 충격파에 의해 여과포(25)로부터 탈리된 입자성 물질은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충격파에 의해 여과포(26), 여과포(27) 방향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는 가장 낮은 지점의 여과포(28) 방향으로 이동한 후 중력에 의해 침전조(10)와 여과조(20) 사이에 설치된 슬릿(17)을 통해 침전조(10) 하부로 퇴적된 후 정체수 배출펌프(1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여과가 지속되는 동안 1개 열씩 차례대로 역세척이 진행되어 운전의 단락없이 역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 보여지듯이, 여과포(21)는 여과포 지지판(43)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여과포(21)의 고정을 위해서 벤츄리관(24)은 여과포 지지판(43)의 하단에서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벤튜리 고정판(41)이 여과포 지지판의 홈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다시 벤츄리관(24)의 상부는 여과포 케이스(22)가 나사식으로 벤츄리관(24)에 고정되며, 여과포 케이스(22) 상부 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여과포(21)를 씌운 후 벤츄리 고정나사(42)를 여과포(21) 하단까지 내린 후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여과포(21)가 벤츄리관(24)에 단단히 고정되게 되도록 구성되며, 여과포(21) 교체시 상기 여과포 조립과정을 역순으로 실시함으로써 여과포를 쉽게 제거하고 다시 새로운 여과포를 상기 조립과정을 거쳐 재설치 함으로써 여과포의 교체를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여과포(21)는 물리적 강도가 충분하고 내약품성이 있으며, 제거하고자 입자의 입경이하 범위의 것이라면 재질과 규격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과포를 지지하는 여과포 케이스(22) 역시 마찬가지로 충분한 강도와 내부식성, 내약품성이 있는 재질이라면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여과작용이 지속되게 됨에 따라 입자성 물질에 의해 점차적으로 여재층은 폐색되게 되므로, 여재층의 폐색된 입자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여과포(21)의 하단에 충격파를 발생시킬수 있는 벤츄리관(24)과 벤츄리관(24)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23)이 구비된다.
상기 벤츄리관(24)은 입구가 넓고 목부분이 좁으며, 다시 출구쪽이 확장되는 오리피스 구조를 가지고 있어 90~100psi의 고압공기가 0.1초 동안 순간 공급되면 압축공기가 벤츄리관(24)의 좁은 부분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증가하게 된 후 다시 출구부분에서 순간적으로 팽창하면서 에어펄스 충격파가 발생되어 진동과 함께 여과조 하부에서 거대한 기포가 형성되면서 여과포(21) 측면을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강하게 가격하면서 여재층에 포획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탈리시킴과 동시에 경사면 구배를 따라 오염물질을 침전조(1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에서 에어공급관(23)은 압축공기를 저장하고 있는 에어헷더(31)에 연결되고 그 사이엔 전자식 다이아프램밸브(32)가 구비되며, 에어헷더(31)는 공기압축기(5)가 연결되며, 공기압축기(5)는 비 강우시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유입관(2)에 설치된 유수흐름 감지센서(12)가 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작동이 시작되고, 저수위 설정점(14)에서 신호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비점오염물질이 저감된 여과수는 일시적으로 방류수조(30)에 저류되지만,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오염물질은 방류수조(30) 하부에 퇴적되므로, 정체수 배출관(37)을 통해 침전조(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정체수 배출관(37)은 도 1이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조(10)측이 낮고, 반대측이 높게 구비되는데, 그 이유는 입자성 물질이 정체수 배출관(37) 내부에 퇴적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정체수 배출관(37)의 정체수 흡입구(36)는 방류수조(30)의 바닥부분에서 흡입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정체수 배출시 하부 퇴적물을 우선 배출하도록 구비되며, 방류수조 면적이 넓을 경우 복수의 흡입관이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전조(10) 방향 말단에는 역지밸브(35)가 설치되어 정체수 배출펌프(16) 미 가동시 처리되지 않은 오염물질이 방류수조(30)로 유입될 수 없도록 구비된다.
또한, 강우가 종료되어 비점오염물질 유입이 정지되면 유입관(2) 내부에 설치된 유수흐름 감지센서(12)에서 신호를 받아 전자식 컨트롤러(15)에 설치된 타이머가 작동하게 되고, 비점오염저감장치 설치 규정에 따라 강우 종료 후 48시간 동안 추가적인 유수흐름이 감지되지 아니하면 정체수 배출펌프(16)가 작동되며, 정체수 배출펌프는 수위가 저수위 설정점(14)에 도달할 때 까지 작동하게 되고, 동시에 공기압축기(5)도 정지하게 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정체수 배출펌프(16)에서 배출된 정체수 및 침전조 퇴적슬러지는 역세수 배출관(11)을 따라 비점오염장치의 외부로 배출되어 지정된 하수처리장 등으로 이송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비점오염저감장치 10 : 침전조
20 : 여과조 30 : 방류수조
2: 유입관 3 : 점검맨홀
4 : 방류관 5 : 공기압축기
11 : 역세수 배출관 12 : 유수흐름 감지센서
13 : 고수위 설정점 14 : 저수위 설정점
15 : 전자식 컨트롤러 16 : 정체수 배출펌프
17 : 슬릿 21 : 여과포
22 : 여과포 케이스 23 : 에어공급관
24 : 벤츄리관 25, 26, 27, 28 : 여과포 열
31 : 에어헷더 32 : 전자식 다이아프램밸브
35: 역지밸브 36 : 정체수 흡입구
37 : 정체수 배출관 41 : 벤츄리 고정판
42 : 벤츄리 고정나사 43 : 여과포 지지판

Claims (12)

  1. 에어펄스를 이용한 연속역세형 비점오염저감장치에 있어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역세장치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수흐름 감지센서(12) 및 전자식 컨트롤러(15)와;
    강우가 종료 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내부의 정체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정체수 배출펌프(16)가 장착된 침전조(10)(와);
    상기 침전조(10)로부터 하부 슬릿(17)을 통해 유입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조(20)와;
    폐색된 여과포(21)는 순차적으로 위쪽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시간차를 두고 에어펄스를 발생시켜 상기 여과포(21) 폐색입자를 탈리시킴으로써 운전단락 없이 역세척이 이루어져 여과기능이 회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탈리된 입자들은 경사구조로 설치된 여과포 지지판(43)의 표면을 따라 상기 여과조(20)와 상기 침전조(10) 사이에 설치된 상기 슬릿(17)을 통해 상기 침전조(10)로 유입되어 강우 종료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정체수 배출펌프(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여과포(21)에 의해 정화처리된 강우를 일시적으로 저류한 후 방류하는 방류수조(30)를 구비하며;
    상기 여과포(21)는 상기 침전조(10) 방향으로 구배를 가지는 상기 여과포 지지판(43)에, 경사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여 고정되는 복수의 여과포 열(25, 26, 27, 28)로 구성되며, 상기 여과포 지지판(43)의 가장 높은 지점에 마련된 여과포 열(25)에서 상기 여과포 지지판(43)의 가장 낮은 지점에 마련된 여과포 열(28)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에어펄스가 발생됨에 따라 순차적인 역세척이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포(21)에서 탈리 된 입자성 물질이 상기 여과포 지지판(43)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침전조(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강우가 시작되어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면 유입관(2) 내부에 설치된 유수흐름 감지센서(12)가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전자식 컨트롤러(15)에 전달되면 역세척용 에어펄스를 발생시키는 압축공기를 생산하기 위해 공기압축기(5)가 가동되기 시작하고, 강우가 종료된 후 48시간이 지나도록 상기 유수흐름 감지센서(12)가 더 이상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으면 자동으로 상기 공기압축기(5) 작동을 차단하여 비 강우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예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강우가 시작되어 상기 여과조(20)에 강우가 유입되면 여과가 시작되며, 수위가 상기 침전조(10)에 설정된 고수위 설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경사진 여과포 지지판(43)의 가장 높은 열에 위치한 여과포 열(25)과 연결된 전자식 다이아프램밸브(32)가 0.1초간 작동되어 상기 여과포 열(25)의 벤츄리관(24)을 통해 에어펄스를 발생시키고,
    30초 내지 60초 후, 두번째로 높은 열에 위치한 여과포 열(26)과 연결된 전자식 다이아프램밸브(32)가 0.1초간 작동되어 상기 여과포 열(26)의 벤츄리관(24)을 통해 에어펄스를 발생시키며,
    이후, 동일한 방식으로 경사진 상기 여과포 지지판(43)의 더 낮은 열에 위치한 여과포 열(27, 28)에, 1 열씩 순차적으로 에어펄스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된 비점오염저감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류수조(30) 하단에 퇴적된 입자성 오염물질을 정체수와 함께 상기 침전조(10)로 이송할 수 있는 정체수 배출관(37)을 더욱 구비하며;

    강우가 종료되고 상기 유수흐름 감지센서(12)에서 유수흐름이 감지되지 않아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전자식 컨트롤러(15)에 내장된 타이머가 작동되어 자동으로 상기 정체수 배출펌프(16)를 작동시켜 정체수를 배출하고,
    정체수가 배출됨에 따라 상기 침전조(10) 하단에 설정된 저수위 설정점에(14) 수위가 도달하면 상기 저수위 설정점(14)에 설치된 수위감지 센서가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전자식 컨트롤러(15)에 보내 자동으로 상기 정체수 배출펌프(16)를 정지시키도록 구비되며;

    강우가 종료된 후 상기 정체수 배출펌프(16)가 작동되면 상기 침전조(10)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기 침전조(10)와 연결된 상기 정체수 배출관(37)을 통해 상기 방류수조(30)에 저류된 정체수도 동시에 배출되며,
    이 때, 상기 정체수 배출관(37)의 하부에 연결된 정체수 흡입구(36)를 통해 상기 방류수조(30) 하부에 퇴적된 입자성 오염물질이 먼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체수 배출관(37)은 상기 침전조(10) 방향이 낮고 상기 방류수조(30) 방향이 높은 구배를 가지고 있어 상기 침전조(10)의 입자들이 상기 정체수 배출관(37) 내부에 쉽게 퇴적되지 않고, 상기 방류수조(30)의 수위가 상기 침전조(10)보다 낮을 때 비점오염물질이 처리되지 않은 미처리 강우가 상기 침전조(10)로부터 상기 방류수조(30)로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정체수 배출관(37)의 중도에 역지밸브(35)를 구비한 비점오염저감장치.
  9. 에어펄스를 이용한 연속역세형 비점오염저감장치에 있어서,
    강우에 혼입된 입자성 물질을 물리적 충돌, 차폐, 확산, 중력 등의 작용을 통해 제거하는 여과포(21)가 설치된 여과조(20)와;
    상기 여과포(21)를 지지하는 여과포 케이스(22)와;
    상기 여과포(21) 하단에서 에어펄스를 발생시키는 벤츄리관(24)과;
    상기 벤츄리관(24)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23)을 구비하며;
    상기 여과포(21)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밀폐되어 상기 여과포(21) 상부의 상기 여과조(20)로 유입된 강우가 상기 여과포(21)를 통과하여 하부의 방류수조(30)에 저류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벤츄리관(24)은 여과포 지지판(43)의 하부에서 나사식으로 상부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벤츄리관(24)의 하부 입구에 설치된 벤츄리 고정판(41)이 상기 여과포 지지판(43)에 접촉되어 고정되며,
    상기 벤츄리관(24)의 상부 출구에는 상기 여과포 케이스(22) 하단과 맞물리는 숫나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여과포 케이스(22) 하단에는 상기 벤츄리관(24)의 상부 숫나사와 맞물리는 암나사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벤츄리관(24)과 상기 여과포 지지판(43), 상기 여과포 케이스(22)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벤츄리관(24)의 하부에는 벤츄리 고정나사(42)와 맞물리는 숫나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벤츄리 고정나사(42) 내면에는 상기 벤츄리관(24) 하부 숫나사와 맞물리는 암나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벤츄리 고정나사(42)를 상기 여과포(2l) 외부로 부터 끼워넣어 상기 벤츄리관(24) 하부의 숫나사와 맞물리도록 나사를 조여 상기 여과포(21)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비점오염저감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103474A 2016-08-16 2016-08-16 에어펄스를 이용한 연속역세형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1725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474A KR101725737B1 (ko) 2016-08-16 2016-08-16 에어펄스를 이용한 연속역세형 비점오염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474A KR101725737B1 (ko) 2016-08-16 2016-08-16 에어펄스를 이용한 연속역세형 비점오염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594A KR20160104594A (ko) 2016-09-05
KR101725737B1 true KR101725737B1 (ko) 2017-04-10

Family

ID=56938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474A KR101725737B1 (ko) 2016-08-16 2016-08-16 에어펄스를 이용한 연속역세형 비점오염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268B1 (ko) * 2018-11-01 2019-03-15 최용삼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3227A (zh) * 2019-09-30 2019-12-13 杭州太赫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水零排放处理装置
CN116272018B (zh) * 2023-04-24 2023-07-25 济南黄河路桥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景观园林池塘水处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257B1 (ko) * 2015-01-27 2015-09-24 주식회사 에코너지 부상성 입상여재를 이용한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078B1 (ko) * 2014-06-23 2016-07-06 김광채 초기우수의 수 처리시스템
KR101743712B1 (ko) * 2015-08-10 2017-06-07 주식회사 유니에코 역세척 기능이 구비된 비점오염 저감시설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257B1 (ko) * 2015-01-27 2015-09-24 주식회사 에코너지 부상성 입상여재를 이용한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268B1 (ko) * 2018-11-01 2019-03-15 최용삼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594A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931B1 (ko)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A2624643C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 light fluid from a heavy one and/or removing sediment from a fluid stream
KR101601488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831961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US20120267295A1 (en) Horizontal rod-supported, pore-controllable fiber media filter, and horizontal rod-supported fiber filter system
KR101725737B1 (ko) 에어펄스를 이용한 연속역세형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200431389Y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1692678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여과 및 역세척 장치
KR101874063B1 (ko) 스크린과 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872911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412689B1 (ko) 여재의 세척 및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101527005B1 (ko) 오염수 정화장치
KR100784496B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1637562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147946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2222106B1 (ko) 역세척 장치를 포함한 오염원처리장치
KR20140145305A (ko)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1745687B1 (ko) 상·하향류식 비점 오염 저감 장치
KR101159474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0618412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역세방법
JP2003190713A (ja)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および夾雑物分離除塵システム
KR20100047032A (ko) 월류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