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305A -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305A
KR20140145305A KR1020130067543A KR20130067543A KR20140145305A KR 20140145305 A KR20140145305 A KR 20140145305A KR 1020130067543 A KR1020130067543 A KR 1020130067543A KR 20130067543 A KR20130067543 A KR 20130067543A KR 20140145305 A KR20140145305 A KR 20140145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water
raw water
pip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승개발
주식회사 티엠이테크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승개발, 주식회사 티엠이테크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승개발
Priority to KR102013006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5305A/ko
Publication of KR20140145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태양광 전지 또는 전기 설비가 설치 가능한 교량에 적용되는 동력을 사용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제거장치는 교량의 일측에 설치되는 맨홀과 상기 맨홀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관을 통하여 교량의 하부로 배출하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의 하부가 삽입 고정되어 배출되는 원수가 담수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침전박스; 상기 침전박스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며, 여재층을 포함하면서 하단부에 다공성 판재를 갖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 상부에 정수관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역세수조; 및 상기 여과부 하단부의 다공성 판재를 세정하는 세정 브러쉬를 스트로크 이동하게 하는 세정용 전동실린더로 구성되는 막힘 방지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 실린더로 수압 발생시 일정 스트로크로 세정 브러쉬를 이동시키므로 여과부 하단부의 폐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내에 있는 타이머로 송풍기를 가동시켜 여재층 내에 있는 슬러지를 제거함으로써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여재층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점오염원 제거장치{Removal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동력을 대체하기 위해 태양광 전지 또는 전기 설비가 설치 가능한 교량에 적용되는 동력을 사용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도로를 건설함에 있어서 하천이나 통행에 불편을 주는 기타 구조물들의 상공으로 자동차 등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일정 간격으로 교각이 수직으로 설치되면, 상기 교각의 상부에 다수의 상판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교량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교량에는 빗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맨홀과 맨홀의 하부에 유입관이 설치되어 맨홀과 유입관을 통해 교량의 하부로 빗물을 배출시켜 교량의 상판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맨홀은 단순히 부피가 큰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과만 있을 뿐이지, 자동차 또는 자연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인 BOD와 인 등이 빗물과 혼합된 상태의 초기 강우 오염수(이하. '원수'람 함)가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천의 수질을 오염시키고, 이로 인해 하천 생태계가 교란되고, 더 나아가 해양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맨홀의 구성을 보완하고자 하나, 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교량에 설치된 맨홀로부터 유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의 단부와 연결되어 일정량의 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의 내부 일측에 여과부를 형성하여, 상기 여과부에서 BOD와 인을 제거하고, 상기 여과부의 하부에는 막힘 방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여과부로 원수의 유입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여과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수요를 확대할 수 있고, 하천 및 해양 등의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교량용 여과장치를 개시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무동력식 비점오염원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물의 수압만으로 무동력으로 여과부의 하부에서 막힘 방지부를 형성하는데, 그 효율성이 낮아서 폐색 시간이 빨라진다.
둘째, 여재층의 고정 장치에 이물질 등이 있는 경우 오염물질의 완전 접착이 어려워 여과되지 않는 원수 유입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역세척 효과를 발생시키기 어려워 여재 교체 주기가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10-0834352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태양광 전지 또는 전기 설비가 설치 가능한 교량에 적용되는 동력을 사용하여 막힘 방지부를 형성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풍기를 사용하여 여재층의 슬러지 등의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여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제거장치는 교량의 일측에 설치되는 맨홀과 상기 맨홀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관을 통하여 교량의 하부로 배출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의 하부가 삽입 고정되어 배출되는 원수가 담수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침전박스; 상기 침전박스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며, 여재층을 포함하면서 하단부에 다공성 판재를 갖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 하단부의 다공성 판재를 세정하는 세정 브러쉬를 스트로크 이동하게 하는 세정용 전동실린더로 구성되는 막힘 방지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그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플랜지를 맞대어 나사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여과박스로 구성되며, 상기 여과박스를 분리하여 그 내부에 있는 여재층을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침전박스 내의 수위가 상기 세정용 전동실린더의 동작수위인지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다른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제거장치는 교량의 일측에 설치되는 맨홀과 상기 맨홀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관을 통하여 교량의 하부로 배출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의 하부가 삽입 고정되어 배출되는 원수가 담수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침전박스; 상기 침전박스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며, 여재층을 포함하면서 하단부에 다공성 판재를 갖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 상부에 정수관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역세수조; 및 상기 여과부의 여재층에 역세 배관과 노즐을 통해 공기압을 제공하는 역세 송풍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역세 배관 상부로 45°각도로 뚫려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침전박스 내로 우수의 유입이 줄어들거나 멈추어서 수위가 낮아지게되면서, 수위가 역세 송풍 장치의 동작수위인지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 실린더로 수압 발생시 일정 스트로크로 세정 브러쉬를 이동시키므로 여과부 하단부의 폐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내에 있는 타이머로 송풍기를 가동시켜 여재층 내에 있는 슬러지를 제거함으로써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여재층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여과부를 플랜지가 형성된 여과박스로 적층 형성하여, 플랜지 결합을 해제하여 여과부의 여재층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식 비점오염원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힘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힘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힘 방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힘 방지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 송풍장치의 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 송풍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제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무동력식 비점오염원 제거장치를 태양광 전지 등의 전기를 사용하여 비점오염원을 제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식 비점오염원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교량용 여과장치는 도로변에 설치하는 노면배수로에 연결설치하여, 노면의 우수를 배수처리하는 유입관(10)과, 상단을 상기 유입관의 상부 측면에 연결 설치하는 방류관(20)과, 상면 일측에 상기 유입관의 하단을 결합설치하여 낙하유입되는 원수를 수용하는 침전박스(100)와, 상기 침전박스에서 부유물이 침전제거된 원수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혼입되어 있는 비점오염물질을 걸러주는 여과부(200)와, 상기 여과부(200)와 방류관(20)을 연결하여 여과부(200)를 통과한 처리수가 방류관(20)으로 배출되게 하는 정수관(50)을 포함한다.
유입관(10)의 상부 측면 상단에 연결설치하는 방류관(20)의 입구에는 상기 유입관의 중심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제어판(11)을 부설하여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상기 방류관(20)으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또한, 유입관(10)의 하부에는 투시창(12)과 밸브(13)를 부설하여 관의 내부상태를 외부에서 수시로 점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필요시에는 언제나 유입된 원수의 샘플을 간단히 채취할 수 한다.
침전박스(100)는 상면의 유입관(10)의 하단이 관통하는 부분과 여과부(200)의 개방된 하면과 연통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침전박스(100)는 상부로 여과부(200)와 볼트 너트 연결되어서, 볼트와 너트를 풀면 침전박스(100)는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설치된 상태에서는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수용하게 되며, 그 수위가 높아지면 원수는 여과부(200)를 통과한 후 정수관(50)을 통해 방류관(20)의 하부로 배출된다.
침전박스(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유입공(310)이 형성된 복수의 다공성 정류판을 종횡으로 교차하게 결속형성되는 정류부재(300)를 장착한다.
여과부(200)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면은 메쉬망 또는 타공판의 다공성 판재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여과박스로 구성된다. 여과박스 내부에는 여재층이 충전되어 상기 침전박스(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BOD 및 인을 동시에 제거한다. 여과부(200)는 여재층이 충전된 제1 여과박스(210) 및 제2 여과박스(220)와 같이 다수의 여과박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박스(210, 220)는 그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플랜지를 맞대어 나사결합되어, 필요에 따라서 여과박스를 분리하여 그 내부에 있는 여재층을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제1 여과박스(210)의 하부에는 침전박스(100)의 내부 일측에 원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다공성 판재(M1)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다공성 판재(M1)의 상부에 다수의 발포성 여재를 투입하여 일정 두께의 여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여과박스(220)의 하부에는 제2 다공성 판재(M2)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다공성 판재(M2)의 상부에는 일정 두께의 활성탄층을 형성하여 또 다른 여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여과박스(220)의 상부에는 제3 다공성 판재(M3)를 설치하여, 각각의 여과박스(210, 220)는 다공성 판재(M1, M2, M3)에 의해 층간을 구획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여과박스(220)의 상부 공간은 역세수조(230)로 활용된다.
역세수조(230)는 상기 제2 여과박스(220)의 상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여과된 처리수가 일정량 담수될 수 있도록 하여, 우수가 멈춰 원수가 침전박스(100) 내부로 더 이상 유입되지 않고 여과 및 드레인이 계속되어 원수의 수위가 정수관(50)보다 낮아진 경우에, 상기 역세수조(230)에 담수된 처리수가 상기 여과박스(210, 220)로 흘러내리면서 여재층에 점착된 슬러지를 이탈시켜 상기 침전박스(100) 저면에 연결된 배수관(110)을 통해 배수되도록 한다.
덮개(60)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의 상부를 덮으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잠금장치(미도시)를 설치하여 덮은 후에 잠그게 하므로, 임의로 열리거나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침전박스(100)의 내부에는 정류부재(300)가 삽입 안착되어 침전박스(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표면에 유입공(310)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큰 이물질을 여과함과 동시에 원수가 상기 여과부(200)로 유입되게 한다.
막힘 방지부(400)는 여과부(200)의 하부의 제1 다공성 판재(M1)의 막힘 방지를 위한 구성으로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드레인부(500)는 원수가 부패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하부가 개방된 단관 형태의 합성수지 파이프 표면에 다수의 여과공(512)이 형성된 스트레이너(510)를 다수 구비하여, 상기 침전박스(100)의 내부 타측에 일정 높이로 적층되게 설치 고정한다. 스트레이너(510)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여과공(512)의 폭은 일정 크기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0.5~0.7mm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이너(510)가 설치된 위치의 침전박스(100)의 저면에는 배수관(110)을 설치하여 상기 스트레이너(510)의 여과공(512)을 거쳐 오염물이 제거된 상태의 원수가 일정량 침전박스(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스트레이너(510)는 강우량이 적어 침전박스(100)로 유입되는 초기 우수의 수량이 여과부(200)를 넘어가지 않을 정도이거나 또는 그 이하인 경우에는 물론이고, 비가 그친 경우에도, 침전박스(100)의 내부의 우수를 그대로 잔류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스트레이너(510)와 연결되는 배수구(105)는 배출관(110)에 의하여 방류관(20)의 하부에 연결된다.
스트레이너(510)에 의하여 침전박스(100)로 유입되는 초기 우수의 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일부 우수가 스트레이너(510)를 통해 배출되지만, 스트레이너(510)에 형성된 여과공(512)들은 그 폭이 좁기 때문에 유입량에 비하여 여과공(512)을 통해 배출되는 양은 극히 한정적이기 때문에 여과부(200)를 거치지 않고 배출되는 우수의 농도는 극히 미세하다.
수위 감지부(600)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레벨에 따라서, 자동으로 막힘 방지 장치(400) 및 역세 송풍장치(700)를 구동시킨다. 즉, 수위 감지부(600)는 전극봉에 의하여 수위가 감지되지 않는 수위, 세정용 전동실린더를 동작시키는 전동실린더 동작수위, 역세 송풍 장치를 동작시키는 역세 송풍 장치 동작수위, 처리수가 정수관으로 배출하게 되는 배출수위 등을 감지한다.
역세 송풍장치(700)는 여과박스(210, 220) 내의 여재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수위 감지부(600)에서 감지된 수위를 인식하고, 막힘 방지부(400)와 역세 송풍 장치(700)를 구동하는 자동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는 태양광 전지(미도시) 또는 전기 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서,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제거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힘 방지 장치(4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막힘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막힘 방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막힘 방지 장치(400)는 베이스판(410) 상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세정 브러쉬(420), 상기 베이스판(410)을 수위 감지부(600)에서 감지한 전동실린더 동작수위 이상인 경우에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전후로 스트로크 이동하는 세정용 전동실린더(430) 및 상기 세정용 전동실린더(430)와 베이스판(410)을 연결하는 연결 샤프트(450)로 구성된다.
상기 세정용 전동실린더(430)는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서 동작시에는 전후로 이동하며, 세정용 전동실린더(430)와 연결된 세정 브러쉬(420)가 실린더 스트로크에 따라서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세정 브러쉬(420)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다공성 판재(M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힘 방지 장치(4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동작 흐름도는 일실시예로서 필요에 의하여 변경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미도시)에서 세정용 전동실린더를 '자동' 모드로 선택(S11)한다. 세정용 전동실린더는 필요에 의하여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수가 유입되면서 수위 감지부는 수위가 세정용 전동실린더의 동작 수위인지를 감지(S12)하며, 동작 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부는 세정용 전동실린더를 전진(S13)시킨다.
다음으로, 세정용 전동실린더가 전진 리미트까지 이동하였는지를 판단(S14)하며, 전진 리미트(limit)까지 이동한 경우에는 지체시간(delay time)을 카운트하면서, 지체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S15)한다. 지체시간은 예컨대 30초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체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세정 전동실린더를 후진(S16)시킨다.
다음으로, 세정 전동실린더가 후진 리미트까지 이동하였는지를 판단(S17)하며, 후진 리미트까지 이동한 경우에는 지체시간(delay time)을 카운트하면서, 지체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S18)한다. 지체시간은 예컨대 30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수가 유입되어 침전박스(100) 내의 수위가 세정용 전동실린더의 동작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반복적으로 세정용 전동실린더가 동작하여, 이와 연결된 세정 브러쉬는 그 상부에 위치하는 다공성 판재를 세척하게 된다.
다음으로, 원수의 유입이 멈추게 되고, 유입된 원수는 드레인부로 유출되면서, 세정용 전동실린더의 동작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세정용 전동실린더의 동작은 멈추게 된다(S19).
또한, 본 발명은 여과부(200)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역세 송풍장치(700)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 송풍장치(7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 송풍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역세 송풍장치(700)는, 여과박스(210, 220)의 하부를 관통하는 배관홀(710), 상기 배관홀(710)과 연결되며 상기 여과박스(210, 220)의 내부를 에워싸는 밀폐된 역세 배관(720), 상기 역세 배관(720)의 외면에 형성된 미세 노즐(730), 및 배관홀(710)에 공기압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 밸브(740) 및 역세 송풍기(750)를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740) 및 송풍기(750)는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서, 동작시에는 공기압을 제공하며, 이와 연결된 배관홀(710), 역세 배관(720)을 통해 노즐(730)을 통해 공기압이 여과박스(210, 220) 내의 여재층에 배출하여, 여재층에 부착된 슬러지들을 제거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 송풍장치의 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노즐(750)은 역세 배관(720) 상부로 노즐(750)이 상향으로 45°각도로 뚫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향 경사지게 공기압이 분사되어 여재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 송풍 장치(7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동작 흐름도는 일실시예로서 필요에 의하여 변경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에서 역세 송풍장치인 역세 송풍기(750) 및 솔레노이드 밸브(740)를 자동 모드로 선택(S21)한다. 역세 송풍기 및 솔레노이드 밸브는 필요에 의하여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수가 유입되어 침전박스 내의 수위가 올라가면서 수위 감지부는 여과부를 통과한 처리수가 정수관으로 배출하게 되는 배출수위인지를 판단(S22)한다.
다음으로, 원수의 유입이 줄어들거나 멈추어서 수위가 낮아지면서, 수위가 역세 송풍 장치의 동작 수위 인지를 판단(S23)한다.
다음으로, 역세 송풍 장치의 동작 수위 이하인 경우에는 역세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된다(S24).
다음으로, 역세 송풍기가 동작되어 노즐에 공기압을 제공(S25)한다.
다음으로, 공기압이 제공되면서 지체시간(delay time)을 카운트하면서, 지체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S26)한다. 지체시간은 예컨대 30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체시간이 경과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닫히게 된다(S27).
다음으로, 역세 송풍기의 동작이 멈추게 된다.(S28)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여과장치의 전체적인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교량에 설치된 맨홀로 원수가 유입되고, 상기 침전박스(100)로 유입된 원수는 1차적으로 정류부재(300)에 의해 일정 크기의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침전박스(100) 내부의 일측으로 흘러간다.
상기 침전박스(100) 내부로 원수가 계속 유입되어, 침전박스(100) 내의 수위가 세정용 전동실린더(430)의 동작수위에 도달하면, 세정용 전동실린더는 일정 스트로크로 반복적으로 전후진을 반복하게 되어, 상기 세정용 전동실린더와 연결된 다수의 세정 브러쉬들이 상기 여과박스(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공성 판재(M1)를 전체적으로 세척하여, 원수가 여과부(200)로 원활하게 유입 및 통과될 수 있다.
원수가 계속 유입되면, 그 압력에 의해 여과부(200)를 원수가 통과하여 슬러지와 BOD 및 인이 제거된 상태의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하천 및 해양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수위 감지부는 여과부를 통과한 처리수가 정수관으로 배출하게 되는 배출수위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드레인부(500)의 다수의 스트레이너(510)에 형성된 여과공(512)에 의해 오염물이 제거된 상태의 원수가 본체(100)의 저면에 설치된 배수관(110)을 통해 일정량 배출되도록 하는데, 여과되는 원수에 비하여 그 양이 적다.
우수가 멈추어 원수가 더 이상 유입되지 않게 되면, 여과 및 드레인이 계속 진행되면서, 원수의 수위가 처리수가 유출되는 정수관(50)보다 낮게 된다. 이때, 역세수조(230)에 담수된 처리수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부로 흘러 여과박스 내의 여재층 및 각각의 다공성 판재(M1~M3)에 점착된 슬러지 등을 이탈시킨 후, 상기 드레인부(500)의 스트레이너(510)에 형성된 다수의 여과공(512)을 통과하여 상기 침전박스(100)의 저면에 설치된 배출관(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수위감지부(600)는 수위가 낮아져서 역세 송풍 장치의 동작 수위보다 낮아진 것을 감지하며, 이때 제어부는 역세 송풍 장치를 동작시켜, 노즐에 공기압을 제공한다. 노즐의 공기압에 의하여 여과박스 내의 여재층 및 각각의 다공성 판재(M1~M3)에 점착된 슬러지 등을 이탈이 용이하게 하여, 여재층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노즐에 공급되는 공기압은 설정된 지체시간 동안 계속되다가 멈추게 되며, 스트레이너를 통하여 침전박스 내의 잔여 우수는 모두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침전박스(100) 내부에는 원수 및 처리수가 전혀 없는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0: 유입관 20: 방류관
50: 정수관 60: 덮개
100: 침전박스 200: 여과부
210: 제1 여과박스 300: 정류부재
400: 막힘 방지부 410: 베이스판
420: 세정 브러쉬 430: 세정용 전동실린더
450: 연결 샤프트 500: 드레인부
510: 스트레이너 512: 여과공
600: 수위 감지부 700: 역세 송풍 장치
710: 배관홀 720: 역세 배관
730: 노즐 750: 송풍기

Claims (6)

  1. 교량의 일측에 설치되는 맨홀과 상기 맨홀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관을 통하여 교량의 하부로 배출하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의 하부가 삽입 고정되어 배출되는 원수가 담수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침전박스;
    상기 침전박스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며, 여재층을 포함하면서 하단부에 다공성 판재를 갖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 하단부의 다공성 판재를 세정하는 세정 브러쉬를 스트로크 이동하게 하는 세정용 전동실린더로 구성되는 막힘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그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플랜지를 맞대어 나사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여과박스로 구성되며, 상기 여과박스를 분리하여 그 내부에 있는 여재층을 교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박스 내의 수위가 상기 세정용 전동실린더의 동작수위인지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4. 교량의 일측에 설치되는 맨홀과 상기 맨홀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관을 통하여 교량의 하부로 배출하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의 하부가 삽입 고정되어 배출되는 원수가 담수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침전박스;
    상기 침전박스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며, 여재층을 포함하면서 하단부에 다공성 판재를 갖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 상부에 정수관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역세수조; 및
    상기 여과부의 여재층에 역세 배관과 노즐을 통해 공기압을 제공하는 역세 송풍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역세 배관 상부로 45°각도로 뚫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박스 내로 우수의 유입이 줄어들거나 멈추어서 수위가 낮아지게되면서, 수위가 역세 송풍 장치의 동작수위인지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20130067543A 2013-06-13 2013-06-13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20140145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543A KR20140145305A (ko) 2013-06-13 2013-06-13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543A KR20140145305A (ko) 2013-06-13 2013-06-13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305A true KR20140145305A (ko) 2014-12-23

Family

ID=5267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543A KR20140145305A (ko) 2013-06-13 2013-06-13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53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0705A (zh) * 2019-09-26 2020-01-10 江西同济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桥面污染事故应急缓冲池
CN113123427A (zh) * 2021-03-27 2021-07-16 中冶华南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市政排水系统
CN114933366A (zh) * 2022-06-29 2022-08-23 广西华蓝工程管理有限公司 一种建设用雨水自动化回收再利用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0705A (zh) * 2019-09-26 2020-01-10 江西同济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桥面污染事故应急缓冲池
CN113123427A (zh) * 2021-03-27 2021-07-16 中冶华南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市政排水系统
CN114933366A (zh) * 2022-06-29 2022-08-23 广西华蓝工程管理有限公司 一种建设用雨水自动化回收再利用设备
CN114933366B (zh) * 2022-06-29 2024-04-26 广西华蓝工程管理有限公司 一种建设用雨水自动化回收再利用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43415B1 (ko) 빗물정화장치
KR10149567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0896015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1872911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080000501A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10156275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42378B1 (ko) 부유체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637078B1 (ko) 초기우수의 수 처리시스템
KR20190083289A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842653B1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527005B1 (ko) 오염수 정화장치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585575B1 (ko) 빗물 재이용 장치
KR20140145305A (ko)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20160010952A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608043B1 (ko) 비점오염 처리 시설
KR10147946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2253591B1 (ko) 역세척 성능이 향상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170117280A (ko) 강우수 정화장치
KR101799513B1 (ko)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