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106B1 - 분무기 - Google Patents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106B1
KR101725106B1 KR1020127016090A KR20127016090A KR101725106B1 KR 101725106 B1 KR101725106 B1 KR 101725106B1 KR 1020127016090 A KR1020127016090 A KR 1020127016090A KR 20127016090 A KR20127016090 A KR 20127016090A KR 101725106 B1 KR101725106 B1 KR 101725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er
container
fluid
hous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524A (ko
Inventor
알렉산더 바흐
옌스 베셀러
크리스티안 골베르크
프랑크 헤르만
홀거 홀라코프스키
마누엘 다엘만
랄프 토엠메스
길버트 부트케
Original Assignee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8272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2510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96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61M15/0036Piercing means hollow pier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16Piston pumps the outlet valve having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a movable valve element controlled by a pressure actuated controll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unwanted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Nozzl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사전-설치된 컨테이너(3)를 갖는, 분무기(1), 특히 흡입기,가 제안된다. 이컨테이너(3)는 2개의 관련 마개(25, 26)를 갖는 유체 출구(24)를 갖는다. 제 2 마개(26)는 전달 상태에서 이미 관통되어 있고 여기서 컨테이너(3)는 부분적으로 닫힌 분무기(1)에 사전-설치되어 있다. 제 1 마개(25)는 분무기(1)를 완전히 닫거나 분무기(1)를 사용할 때 또는 직전에 열린다.

Description

분무기{NEBULIZER}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 또는 제 3 항의 전제부에 따른 분무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발점은 WO 2006/125577 A2호에 예시된 분무기이다. 이 분무기는 유체를 전달 및 분무하기 위한 구동 스프링을 갖는 압력 생성기와 유체를 담는 내부 백을 갖는 삽입가능한 강성 컨테이너(container)를, 분무될 유체를 위한 저장소로서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는 전달 상태의 분무기에 사전-설치된다. 처음 사용되기 전에 분무기는 완전히 닫혀 있다. 그러므로, 사전-설치된 컨테이너는 밀봉부와 격막(septum)을 관통하여 컨테이너의 내부 백에 유체가 통하게 연결되는 전달 관(delivery tube)에 의해 개방된다.
분무기의 하부 하우징 부분을 회전시켜 구동 스프링이 장력 하에 있게 될 수 있고 유체는 압력 생성기의 압축 챔버에 흡인될 수 있다. 동시에, 컨테이너는 분무기 내에서 왕복 운동으로 하부 하우징 부분 내로 이동되고, 처음 인장될 때 컨테이너는 하부 하우징 부분에서 관통 부재에 의해 그 하부(base)를 통해 관통되어 컨테이너가 통풍(venting)될 수 있다. 잠금 부재를 수동으로 조작한 후에, 구동 스프링이 해제되고 압력 챔버 내의 유체는 구동 스프링에 의해 압력을 받게 되고 추진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에어로졸(aerosol)로서 노즐을 통해 마우스피스로 전달되거나 분무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설치된 컨테이너를 가지면서도 크기가 최소화된 분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따른 분무기에 의해 달성된다. 양호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그 전달 상태에서도 분무기의 내부에 닫힌 컨테이너가 제공되어 있고, 분무기는 분무기의 처음 사용 전 또는 사용 중에 컨테이너가 분무기 내에서 열리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 기본 개념은 이후에 "사전-설치된 컨테이너"로도 불린다. 이는 분무기를 열고, 컨테이너를 삽입하고 분무기를 닫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이 더 쉬워진다. 또한, 그러므로 컨테이너를 삽입할 때 부정확한 취급에 의해 발생되는 분무기에 대한 손상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가 잘못 삽입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삽입 중에 잘못 사용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동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라, 분무기는 컨테이너를 유체가 통하게 연결하기 위해 운송(conveying) 부재를 포함한다. 전달 상태에서, 운송 부재는 컨테이너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지만, 컨테이너의 유체 출구를 닫는 제 1 마개가 여전히 닫혀 있다. 이 마개는 운송 부재의 추가 삽입 중에 열린다. 그러므로, 전달 상태에서 사전-설치된 컨테이너로 분무기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라, 컨테이너는 제 1 마개 및 제 2 마개를 포함하고 이들은 유체 출구를 닫기 위해 컨테이너의 유체 출구에 둘다 관련되어 있다. 전달 상태에서, 제 2 또는 외측 마개는 제 1 단계에서, 특히 분무기에 컨테이너를 삽입할 때 및/또는 컨테이너를 사전-설치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무기를 닫을 때 분무기에 의해 이미 열려 있다. 그러나, 제 1 마개는 이 상태에서 여전히 닫혀 있다. 제 1 마개는 분무기의 첫번째 사용 중 또는 사용전에 분무기 내에서 별개의 제 2 단계 중에 나중에 열린다. 그러므로, 전달 상태에서 사전-설치된 컨테이너로 분무기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분무기의 (하부) 하우징 부분이 종래기술의 경우보다 분무기에 또는 분무기 상에 또는 그 하우징에 더 밀릴 수 있어, 제 2 마개가 이미 열려 있고, 특히 전달 상태에서 관통되지만, 제 1 마개는 여전히 닫혀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분무기는 종래기술에 따른 분무기보다 전달 상태에서, 특히 축방향에서, 더 작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는 교체될 수 없고 특히 제거될 수 없다. 이는 또한 작업이 더 쉽게 하므로 작업 신뢰성을 개선한다. 이는 분무기가 바람직하지 않은 또는 허가되지 않은 방식으로 사용되거나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빈 컨테이너를 채워진 컨테이너와 교체할려고 하는 경우에는 분무기는 열릴 수 없고 하부 하우징 부분은 제거될 수 없다.
컨테이너를 교환불가능하게 하는 구조와 사전-설치된 컨테이너의 조합은 컨테이너가 빌 때까지 1회용 물품으로서만 사용자가 분무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히 쉬운 작동과 높은 작동 신뢰성이 이루어지고, 컨테이너가 교환될 수 없다는 사실 때문에 분무기의 바람직하지 않거나 또는 허가받지 않은 추가 사용이 방지된다.
그러나, 컨테이너가 교환불가능하게 만들어지고, 특히 분무기가 사용자에 의해 열릴 수 없게 제공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컨테이너가 예를 들어, 즉, 숙련된 직원에 의해, 약국에서 사전-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열릴 수 있으면, 사용자에 대한 상응하는 쉬운 작동과 개선된 작동 신뢰성이 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들, 특징들, 특성들 및 양태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양호한 실시예의 하기의 설명과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종래의 분무기의 개략 단면도.
도 2는 장력이 가해진 상태의 종래의 분무기의, 도 1에 비해 90° 회전된, 개략 단면도.
도 3은 부분적으로 닫힌 하우징을 갖고 사전-설치된, 닫힌 컨테이너를 갖는 전달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완전히 닫힌 하우징을 갖고 열린 컨테이너를 갖는 활성화된 또는 장력이 가해진 상태의 도 3에 따른 분무기의 개략 단면도.
도 5는 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도 4에 따른 분무기의 개략 단면도.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에 대해 사용되었고, 그 결과 관련한 설명이 반복되지 않아도 상응하는 또는 비교할만한 특성들과 장점들이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2는 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도 1)와 장력이 가해진 상태(도 2)로 도표로 도시된, 유체(2), 특히 매우 효과적인 의약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등을 분무하기 위한 공지된 분무기(1)를 도시한다. 분무기(1)는 특히 휴대용 흡입기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으로만 및/또는 추진 가스없이 작동한다.
유체(2), 바람직하게는 액체, 보다 상세하게는 의약 조성물이 분무될 때, 에어로졸(14; 도 1)이 형성되고, 이는 사용자에 의해 흡기 또는 흡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흡입은 적어도 하루에 한번, 보다 상세하게는, 하루에 몇번, 바람직하게는 정해진 간격으로 환자가 겪고 있는 통증 또는 병에 따라 이루어진다.
분무기(1)는 유체(2)를 담고 있는 삽입가능한 컨테이너(3)를 포함하거나 구비한다. 그러므로 컨테이너(3)는 분무될 유체(2)를 위한 저장소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는 예를 들어, 200 투여 단위(dosage unit)까지 제공하기, 즉, 200번까지 분무하거나 또는 적용하기에 충분한 양의 유체(2) 또는 활성 물질을 담는다. 전형적인 컨테이너(3)는, WO 96/06011 A1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약 2 내지 10ml의 체적을 보유한다.
컨테이너(3)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카트리지-형상이고 일단 분무기(1)가 열렸으면 그 컨테이너는 아래로부터 그 안에 삽입될 수 있고 원하면 교체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강성 구조이고, 특히 유체(2)는 컨테이너(3)에서 접힐 수 있는 백(4)에 유지된다.
분무기(1)는 특히 사전설정되어 있고 선택적으로 조정가능한 투여량으로, 유체(2)를 운송 및 분무하기 위해 압력 생성기(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 생성기(5)는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를 위한 홀더(6), 관련한 구동 스프링(7)(부분적으로만 도시됨), 스프링(7)를 해제하게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잠금 부재(8), 운송 관(9)과 같은 운송 부재, 비복귀(non-return) 밸브(10), 압력 챔버(11) 및/또는 마우스피스(13)에 유체(2)를 분무하기 위한 노즐(12)을 포함한다. 컨테이너(3)는, 운송 관(9)이 컨테이너(3) 내로 관통하도록 홀더(6)를 통해 분무기(1)에 고정되거나 또는 유지된다. 홀더(6)는 컨테이너(3)가 교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동 스프링(7)이 컨테이너(3)와 함께 홀더(6)를 축방향으로 장력을 가할 때 운송 관(9)이 도면에서 아래로 움직이고 유체(2)가 컨테이너(3)로부터 비복귀 밸브(10)를 통해 압력 생성기(5)의 압력 챔버(11)로 흡인된다. 그 다음에, 분무기(1)가 소위 활성화되거나 또는 장력이 가해진 상태가 된다.
잠금 부재(8)의 작동 후에 이어서 이완하는 중에 압력 챔버(11)의 유체(2)는, 이제 닫힌 비복귀 밸브(10)와 함께 운송 관(9)이 구동 스프링(7)의 이완에 의해 상방향으로 뒤로 움직이고, 이제 가압 램(ram) 또는 피스톤으로서 작동할 때 압력 하에 놓이게 된다. 이 압력은 노즐(12)을 통해 유체(2)를 밀어 내고,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14)로 분무된다. 입자들의 바람직한 액적(droplet) 사이즈는 도입 부분에서 이미 상술했다.
일반적으로, 분무기(1)는 5 내지 200MPa, 바람직하게는 유체(2)에 10 내지 100MPa의 스프링 압력으로, 행정당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로 전달되는 일정 체적의 유체(2)로 작동된다. 유체(2)는 에어로졸(14)로서 변환되거나 분무되고 그 액적들은 20㎛까지의,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의 공기역학적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생성된 제트 스프레이는 20°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의 각도를 갖는다. 이러한 값들은 특히 선호되는 값들로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분무기(1)에도 적용된다.
사용자(도시않음)는 에어로졸(14)을 흡입할 수 있고, 공기 공급은 하나 이상의 공기 공급구(15)를 통해 마우스피스(13)에 흡인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무기(1) 또는 구동 스프링(7)이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분무기(1)는 상부 부분(17a)과 하부 부분(17b; 도 1)을 갖는 그에 대해 회전가능한 상부 하우징 부분(16)과 내부 부분(17)(도 2)을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특히 수동으로 작동가능한(하부) 하우징 부분(18)이 해제가능하게 고정되고, 바람직하게 유지 부재(19; retaining element)에 의해, 특히 내부 부분(17) 상에 끼워진다. 바람직하게, 하우징 부분(16, 18)들은 분무기(1)의 하우징을 형성한다. 컨테이너(3)를 삽입하고 및/또는 교환하기 위해 하우징 부분(18)은 분무기(1) 또는 분무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하우징 부분(18)은 상부 하우징 부분(16)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그와 함께 내부 부분(17)의 부분(17b)을 지지한다. 결과적으로 구동 스프링(7)은 홀더(6) 상에 작동하는 기어 또는 변속기(도시않음)에 의해 축방향에서 장력을 받는다. 장력을 받는 중에 컨테이너(3)는, 이 컨테이너(3)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 위치를 취할 때까지 축방향 하향으로 이동한다. 이 활성화된 상태 또는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구동 스프링(7)은 장력이 가해져 있다. 분무 과정 중에 컨테이너(3)는 구동 스프링(7)에 의해 그 원래 위치(도 1에 도시한 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위치 또는 상태)로 다시 움직인다. 그러므로 컨테이너(3)는 장력을 가하는 과정 중에 및 분무 과정 중에 들어올려지거나 또는 왕복운동을 실시한다.
하우징 부분(18)은 바람직하게 캡-형상 하부 하우징 부분을 형성하고 컨테이너(3)의 하부 자유단 부분 상에 또는 그 둘레에 끼워진다. 구동 스프링(7)에 장력이 가해졌을 때, 컨테이너(3)는 그 단부 부분이 하우징 부분(18)으로 (더) 또는 그 말단 면을 향해 이동하고, 하우징 부분(18)에 배치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20)과 같은 통기(aeration) 수단은 컨테이너(3)의 하부(21)와 접촉하게 되고, 컨테이너(3)가 공기가 들어오도록 또는 통기하도록 처음 관통 부재와 접촉하게 될 때 관통 부재(22)로 컨테이너(3) 또는 그 위의 하부 밀봉부를 관통한다.
분무기(1)는 바람직하게 하우징의 상부 부분(16)에 대해 내부 부분(17)의 회전을 검출하여, 분무기(1)의 작동을 계수하는 모니터링 장치(2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모니터링 장치(23)는 분무기(1)의 작동 또는 분무기(1)의 사용을 차단하고, 예로서, 배출된 투여량이 도달했거나 초과되었을 때, 잠금 부재(8)의 작동을 차단한다.
제안된 흡입기 또는 분무기(1)의 구조와 모드는 이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되지만, 도 1 및 도 2에 따른 분무기(1)로부터 실질적인 차이점들만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도 1과 도 2에 관한 언급들이 바람직하게는 적절히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후술하는 분무기(1)와 도 1 및 도 2에 따른 분무기(1)의 특징들의 임의의 원하는 조합들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1)를 개략 단면도들로 도시한다. 도 3은 전달 상태, 즉, 사전-설치된 컨테이너(3)가 여전히 닫혀 있는 분무기(1)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분무기(1)의 하우징은 완전히 닫혀 있지 않고, 특히 하우징 부분(18)은 내부 부분(17) 상에서 완전히 눌리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는 하우징이 완전히 닫히고 컨테이너(3)가 열린 활성화된 상태의 분무기(1)를 도시한다. 도 4에서, 분무기(1) 또는 구동 스프링(7)에 장력이 가해지고, 즉, 컨테이너(3)가 그 하부 위치에 있다. 도 5는 장력이-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분무기(1)를 도시하고, 예를 들어, 1회 투여량의 유체(2)의 전달 또는 배출 후에, 컨테이너(3)가 그 상부 위치에 있다.
컨테이너(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상태의 분무기(1)에 이미 장착되어 있거나 사전-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컨테이너(3)는 여전히 닫혀 있고, 즉, 한편으로 컨테이너(3) 또는 그 백(4)과 다른 한편으로 분무기(1) 또는 그 압력 생성기(5) 또는 운송 부재 사이에 유체가 통하지 않는다.
컨테이너(3)는 분배될 유체(2)를 내보내기 위한 유체 출구(24)를 포함한다. 특히, 유체 출구(24)는 한편으로 컨테이너(3) 또는 그 백(4)과 다른 한편으로 분무기(1) 또는 그 압력 생성기(5) 또는 운송 부재 사이에 유체가 통하게 한다.
설치되지-않은 상태의 컨테이너(3)에서, 즉, 컨테이너(3)가 분무기(1)에 장착되기 전 또는 설치되기 전에, 유체 출구(24)는 제 1 또는 내부 마개(25)에 의해 그리고 선택적으로 제 2 또는 외부 마개(26)에 의해 닫혀 있다. 특히, 제 2 마개(26)는 제 1 마개(25)를 커버한다.
제 1 마개 또는 내부 마개(25)는 바람직하게는 격막, 막, 플라스틱 밀봉 등에 의해 형성되고 및/또는 컨테이너(3) 내에 제공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 2 마개(26)는 바람직하게는 밀봉부, 박막(foil), 캡 등에 의해, 특히 금속 및/또는 복합재 박막 등에 의해 형성되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의 헤드 단부 또는 축방향 단부 상에 또는 이 단부에 고온-밀봉되거나(hot-sealed)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마개(26)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층을 갖는 고온-밀봉된 박막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마개(25, 26)들은 개별적인 개방이 가능하고, 특히 제 2 마개(26)가 제 1 마개(25)와 독립적으로 열릴 수 있거나 및/또는 제 1 마개(25) 전에 열리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마개(25, 26)들은 하나의 공통 부재, 특히 운송 부재 또는 운송 관(9) 등에 의해, 및/또는 관통에 의해 연속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 1 마개(25)와 제 2 마개(26)는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거나 및/또는 유체(2)의 주요 출구 방향에 대해 또는 컨테이너(3)의 왕복운동 방향으로 또는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또는 내부 마개(25)는 컨테이너(3)의 출구 또는 헤드 단부로부터 컨테이너(3) 또는 백(4)으로 연장하는 마개 부분(27)에 의해 형성 또는 지지된다. 제 2 또는 외부 마개(26)는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의 헤드 또는 축방향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거나 및/또는 플랜지(28)에 연결 또는 유지되고, 이는 마개 부분(27)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조적 해결법들도 가능하다.
도 3에 따른 전달 상태에서, 컨테이너(3)는 사전-설치되었고, 즉, 분무기(1)에 삽입되어 있다. 그러나, 컨테이너(3) 또는 그 유체 출구(24)는 아직 열려 있지 않다. 특히, 제 2 마개(26)는 이미 열려 있지만, 제 1 마개(25)는 열려 있지 않다. 이는 특히 분무기(1)의 하우징이 바람직하게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 부분(18) 상에서 밀거나 또는 완전히 닫히지 않아, 전달 상태에서, 부분적으로만, 즉, 완전하지 않게, 닫힌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18)은 전달 상태에서 부분적으로만 스냅 결합(snap on) 또는 삽입된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3), 유체 출구(24), 마개(25 또는 26)들은 특히 운송 관(9) 등과 같은 운송 부재에 의해 및/또는 관통에 의해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개방된다. 특히, 이 개방은 분무기(1) 또는 운송 부재 또는 관(9) 등에 대해 컨테이너(3)를 이동시킴으로써 및/또는 길이방향 또는 축방향의 운동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 2 마개(26)는 바람직하게는 분무기(1)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달 상태에서 이미 개방되어 있다. 특히, 제 2 마개(26)는 컨테이너(3)를 삽입하는 중에 또는 삽입함으로써 또는 삽입할 때, 및/또는 분무기(1)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 부분(18)을 -바람직하게 부분적으로- 닫을 때 또는 닫음으로써 또는 닫는 중에 열린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마개(25)는 운송 부재가 격막과 같은, 제 1 마개(25)를 관통하거나 열 때, 어떠한 재료도 유체(2)로 떨어지지 않지만 마개 부분(27) 등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및/또는 옆에서 피벗되도록(pivoted aside) 설계된다.
특히, 컨테이너(3)는 바람직하게 하우징 부분(18)에 또는 하우징 부분(18) 내에 배치되는, 수송 로크(29; transportion lock)에 의해 특히, 하우징 부분(18)에 고정 또는 유지되거나 부착된다. 수송 로크(29)는 바람직하게 특히 하우징 부분(18)을 분무기(1)에 부착하기 전에 및/또는 전달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컨테이너(3)를 잡아준다. 특히, 수송 로크(29)는 컨테이너(3)의 유체 연결 중에 및/또는 컨테이너(3)와 홀더(6)의 기계적 연결 중에 컨테이너를 고정되게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마개(26)는 컨테이너(3)를 사전-설치할 때 및/또는 하우징 부분(18)을 분무기(1)에 부착할 때, 특히 하우징 부분(18)을 분무기(1)에 부분적으로 스냅 결합 또는 밀 때, 자동적으로 개방, 특히 관통된다. 그 다음에, 이 개방 또는 관통은 전달 상태에서 제 2 마개(26)를 관통하여 특히 마개 부분(27)으로, 즉, 부분적으로 컨테이너(3)로 연장하는 운송 부재 또는 운송 관(9)에 의해 양호한 실시예에서 실시된다. 그러므로, 분무기(1)의 매우 컴팩트한 배치와 작은 사이즈 또는 축방향 연장이 전달 상태에서 달성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 부분(18)은 종래기술의 경우에서보다 전달 상태에서 분무기(1) 또는 그 하우징으로 훨씬 더 스냅 결합 또는 밀리거나 삽입될 수 있다.
전달 상태에서, 제 1 마개(25), 즉 컨테이너(3)와 유체 출구(24)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전달 상태에서, 분무기(1) 또는 하우징 부분(18)은 컨테이너(3) 및/또는 하우징 부분(18)이 분무기(1) 또는 상부 하우징 부분(16)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유지되고 및/또는 운송 부재 또는 관(9), 하우징 또는 내부 하우징 부분(17) 등에 완전히 삽입되거나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및/또는 컨테이너(3), 즉 제 1 마개(25)의 (완전한) 개방이 방지되도록, 바람직하게는 특히 고정 수단 또는 부재(30)에 의해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 또는 부재(30)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18)과 상부 하우징 부분(16) 사이에 장착되고 하우징 부분(16, 18)들 사이에 또는 이들과 결합하여, 하우징 부분 또는 하부 부분(18)이 운송 관(9)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여전히) 닫혀 있는 컨테이너(3) 또는 제 1 마개(25)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 부분(16)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또는 이격되게 유지되거나 축방향에서 고정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30)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중공 및/또는 원통형이고 (하부) 하우징 부분(18)과 상부 하우징 부분(16)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분무기(1)를 활성화하거나 사용을 위해 준비할 때, 즉, 하우징 부분(18)을 축방향에서 완전히 밀어 컨테이너(3)를 열도록, 고정 부재(30)는 먼저 제거되거나 해제되거나 개방되어야 한다.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3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작은 깃발(banderole) 등의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및/또는 수동으로 열리거나, 제거되거나 파괴될 수 있다. 고정 부재(30)는 다르게는 또는 동시에 원산지 증표(seal of origin)를 형성 또는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부재(30)의 다른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보안 태그 등의 형태로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 및/또는 하우징 부분(18)은 전달 상태에서 확실하게 또는 형상-끼워맞춤(form-fit) 또는 상호잠김 방식으로 유지된다. 이는 특히 하우징 부분(18)과 분무기(1)의 하우징 또는 상부 하우징 부분(16) 등의 사이에 작용하는 고정 수단 또는 부재(30)와, 컨테이너(3)와 하우징 부분(18) 사이에 작용하는 수송 로크(29)에 의해 양호한 실시예에서 달성된다. 그러나, 수송 로크(29) 또는 고정 수단 또는 부재(30)는 한편으로 컨테이너(3)와, 다른 한편으로 분무기(1), 그 하우징, 상부 하우징 부분(16), 내부 하우징 부분(17) 또는 홀더(6) 사이에 직접 작용할 수 있다.
사전-설치된 컨테이너(3), 즉, 그 제 1 마개(25)는 전달 상태에서 여전히 닫혀 있고, 즉, 사전-설치된 컨테이너(3)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비-활성화된 위치에서, 하우징 부분(18)은 손실될 수 없도록, 특히 해제될 수 없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분무기(1)의 하우징 부분 또는 하부 부분(18)은 처음으로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밀린 후에 분무기(1)로부터 더 이상 분리될 수 없고, 즉, 분무기(1)는 더 이상 열릴 수 없고, 그 결과 그 컨테이너(3)는 변할 수 없다, 즉, 다시 제거될 수 없다.
하우징 부분(18)을 고정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호잠김 또는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또는 확실하게 유지 또는 걸쇠결합(latched)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18)은 하우징 부분(18) 등에서 관련한 걸쇠 오목부(32)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걸쇠 돌기(31; latching lug), 돌출부, 노우즈(nose) 등에 의해 고정되어, 상호잠김 결합에 의해 축방향 제거에 대해 하우징 부분(18)을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걸쇠 돌기(31)는 바람직하게 휠 수 있는 걸쇠 암(33; latching arm)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걸쇠 암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우징 부분(18)을 분무기(1)에 또는 그 하우징 또는 그 상부 하우징 부분(16)에 고정하기 위한 래칫(ratchet)-형상 수단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구조적 해결방안도 가능하다.
일단 고정 부재(30)가 제거되었으면 사용자(도시않음)가 운송 부재 또는 운송 관(9)을 삽입하여 하우징 부분(18)을 축방향에서 완전히 밀어 컨테이너(3), 즉, 제 1 마개(25)를 열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하우징 부분(18)이 완전히 밀린 및/또는 컨테이너(3)가 열린 이러한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다(분무기(1) 또는 그 압력 생성기(5) 또는 운송 부재 또는 관(9)에 유체가 통하게 연결됨). 이러한 밀린 또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하우징 부분(18)은 바람직하게는 상호잠김 결합에 의해, 즉, 축방향에서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특히 상응하는 추가 걸쇠 오목부(32)에 걸쇠 돌기(31) 또는 걸쇠 암(33)의 결합에 의해 또는 다른 몇몇 기계적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 또는 다시 축방향에서 고정된다.
도 4는 활성화된 상태의 분무기(1) 또는 컨테이너(3)를 도시하고, 이 컨테이너(3), 즉, 제 1 마개(25)는 열려 있고, 즉, 컨테이너(3) 또는 그 유체(2)는 분무기(1) 또는 그 압력 생성기(5)에 유체가 통하게 연결되어 있고, 하우징 부분(18)은 축방향에서 완전히 밀려 있다. 홀더(6)를 헤드 단부에서 컨테이너(3)와 (완전히) 결합한 다음에 컨테이너(3)를 흡입/장력을 가하고 누르는 왕복운동을 위해 컨테이너(3)를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분무기(1) 또는 구동 스프링(7)을 처음에 장력을 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장력을 가하는 과정 중에 홀더(6)는 하우징 부분(18)을 향해 또는 이 부분으로 축방향에서 운송 관(9)과 함께 움직이므로, 홀더(6)가 컨테이너(3)와 (완전히) 결합하게 하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18)의 하부 영역에서 관통 부재(22)에 대해 컨테이너(3)를 이동 또는 눌러 컨테이너 하부(21)에서 통기구(34)를 관통 또는 연다. 도 4는 이러한 장력이 가해지고 활성화된 상태의 분무기(1)를 도시한다. 홀더(6)는 컨테이너(3)와 결합되어 있고 운송 관(9)은 컨테이너(3)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다.
도 5는 이완된, 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즉, 일정 투여량의 유체(2)의 분무 또는 배출 후의, 분무기(1)를 도시한다. 홀더(6)와 컨테이너(3)는 상부 위치에 있다. 홀더(6)는 여전히 컨테이너(3)와 결합되어 있고 분무기(1)의 추가 사용 중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컨테이너(3)는 여전히 열려 있고 유체가 통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분무기(1)가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에 도시된 전달 상태에서, 즉, 컨테이너(3), 즉, 제 1 마개(25)가 (여전히) 닫혀 있는 상태에서, 분무기(1)는 사용자에게 배달 또는 전달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사전-설치된 컨테이너(3)를 갖는 분무기(1)를 저장할 수 있다. 컨테이너(3)는 분무기(1)의 첫 사용 전에 또는 사용 중에, 즉 고정 부재(30)를 제거하고 분무기(1) 또는 하우징 또는 하우징 부분(18)을 완전히 닫을 때, 열릴 수 있다.
컨테이너(3)의 개방은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수단 및/또는 수동 작동에 의해서만 실시됨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부가적으로 또는 다르게는 다른 방식들로, 예를 들어, 화학적, 전기적, 자기적, 공압적, 유압적 또는 유사한 수단에 의해 열릴 수 있다.
제안된 분무기(1)는 고정 부재(30)의 제거 및 하우징 부분(18)의 (완전한) 축방향 누름 후에 활성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분무기(1)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컨테이너(3)의 사전-설치는 잘못된 컨테이너(3) 또는 사용된 컨테이너(3)가 사용자에 의해 분무기(1)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가적으로 별개로 공급된 컨테이너(3)가 분무기(1)에 삽입되기 전에 우연히 열리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부가적으로, 제안된 해결방안은 분무기(1)가 열리고 컨테이너(3)가 부적절하게 사용될 때, 분무기(1), 예를 들어, 운송 관(9) 등에 발생가능한 오염 또는 손상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가 그 다음에 제거될 수 없으므로, 특히 분무기(1)가 개방될 수 없고 하우징 부분(18)이 다시 제거될 수 없으므로, 사용자에 의한 컨테이너(3)의 바람직하지 않은 교체와 특히 사용자에 의한 분무기(1)의 바람직하지 않은 임시의 또는 이후의 개방이 방지될 수 있다.
분무기(1)의 전달 상태에서, 컨테이너(3), 특히 제 1 마개(25)의 원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수송 로크(29)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마찰, 강제끼워맞춤 또는 상호잠김 결합에 의해, 수송 로크(29)는 예를 들어, 수송 중에, 분무기(1)를 우연히 떨어뜨리는 경우 등과 같이, 컨테이너(3)를 분무기(1)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하기에, 수송 로크(29)의 바람직한 구현이 설명된다. 수송 로크(29)는 전달 상태에서 컨테이너(3)의 바람직한 부분적 개방 또는 관통, 특히, 제 2 마개(26)의 개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특히, 수송 로크(29)의 제안된 기능 및 구조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특징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수송 로크(29)는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방사방향으로 확장된 하부(21) 또는 에지(36) 둘레에서 결합하여, 전달 상태에서 컨테이너(3)를 축방향에서 잡아주도록, 하나 이상의 파지 암(35),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파지 암(35)을 포함한다.
파지 암(35)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분(18)의 단부 면 또는 하부 또는 바닥을 형성할 수 있는 부재(37)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부착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 형성되거나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재(37) 또는 하부는 암(35)이 휘거나 피벗할 수 있도록 파지 암(35)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부재(22)는 부재(37)에 의해 또한 형성되거나 유지된다.
부재(37) 및/또는 수송 로크(29)는 하우징 부분(18)에 삽입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수송 로크(29) 또는 그 부분은 하우징 부분(18) 내에 또는 하우징 부분(18)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송 로크(29)는 다수의 또는 2개의 상이한 부분들에 의해,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지 암(들)(35)과 제어 부재(39)에 의해 형성된다.
수송 로크(29), 특히, 파지 암(35)들은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 하부(21) 또는 통기구(34)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부재(22)로부터 축방향에서 이격되도록 전달 상태에서(닫힌 수송 로크(29)) 컨테이너(3)를 잡아준다.
수송 로크(29)를 열기 위해, 파지 암(35)은 방사방향 외측으로 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송 로크(29)의 개방 또는 파지 암(35)의 휨은 분무기(1) 또는 그 하우징을 완전히 닫을 때, 즉, 상부 하우징 부분(16)을 향해 하우징 부분(18)을 스냅 결합하거나 완전히 밀 때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축방향 또는 망원경식) 닫힘 운동 중에, 수송 로크(29)가 열리고, 컨테이너(3)가 바람직하게는 이 운동의 마지막 부분에서만 및/또는 최종적으로 완전히 닫힌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또는 최종적으로 완전히 닫힌 위치에 막 도달했을 때 축방향으로 해제된다.
분무기(1)의 닫힘 운동은 수송 로크(29)를 바람직하게 자동적으로 연다. 특히, 수송 로크(29)는 분무기(1)의 하우징, 내부 부분(17) 또는 그 하부 부분(17b), 스프링(7)을 지지하는 유지 링(38) 등과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상호작용 또는 이에 의한 작동에 의해 열린다. 바람직하게는, 컨테이너(3) 및/또는 제 1 마개(25)가 공통의 작동, 여기서 분무기(1) 또는 그 하우징 또는 하부 부분(18)의 닫힘 운동에 의해 수송 로크(29)와 마찬가지로 열린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수송 로크(29)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파지 암(35)을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열거나 결합하거나 피벗시키도록 제어 부재(39), 특히 링(ring) 등을 포함한다. 특히, 제어 부재(39) 또는 수송 로크(29)는 선형 또는 축방향 운동을 파지 암(35)의 피벗 또는 반경방향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 부재(39)는 수송 로크(29)가 닫힐 때 도 3의 상부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제어 부재(39)는 닫힌 위치들에서, 특히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제어 부재(39) 등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인접한 부분들(도시않음)에 의해 파지 암(35)을 닫힌 위치들에 고정할 수 있다.
제어 부재(39)는 수송 로크(29)를 열기 위해 축방향으로 이동 또는 시프트(shift)가능하다. 특히, 제어 부재(39)는 분무기(1) 또는 그 하우징을 완전히 닫거나 또는 하우징 부분(18)에 완전히 밀거나 스냅 결합할 때 하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부분(17) 또는 링(38)은 파지 암(35)이 해제되고 특히, 수송 로크(29)를 열고 및/또는 컨테이너(3)를 해제하도록 능동적으로 또는 확실하게 열리거나 피벗되도록 파지 암(35)에 대해 하향으로 또는 이에 대해 제어 부재(39)를 민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39)는 그 축방향 단부 또는 축방향 칼라(color) 또는 환형 링 부분(40)이 파지 암(35)의 작동 부분(41)과 상호작용하여서, 작동 부분(41)의 축방향 하향 운동이 파지 암(35)의 피벗과 파지 암(35)의 방사방향 외측 휨을 초래하도록 한다. 파지 암(35)의 휨 특성들은 사용된 재료, 부재(37)와의 연결 등에 의존한다.
제어 부재(39)는 바람직하게는 수송 로크(29) 또는 파지 암(35)을 확실하게 개방시킨다.
도 4와 도 5는 열린 위치의 파지 암(35)과 수송 로크(29)를 도시한다, 즉 컨테이너(3)가 축방향에서 자유롭게 움직인다. 특히, 제어 부재(39)는 하향 단부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제어 부재(39)는 바람직하게는 수송 로크(29)와 파지 암(35)이 영구적으로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특히 강제-끼워맞춤 또는 형상-끼워맞춤에 의해 또는 스냅-연결에 의해, 하부 부분(18) 내에 잠기거나 고정된다.
그러나, 수송 로크(29)의 다른 구성 해결방법들이 가능하다. 이에 관해, 마찬가지로 실현될 수 있는, 몇몇 다른 구성 해결방법들을 보이는 WO 2006/125577 A2호를 특히 참조한다.
바람직하게는,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즉, 하우징 부분(18)이 완전히 밀리지 않았을 때, 분무기(1)는 압력 생성기(5)에 장력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즉, 특히 상부 하우징 부분(16)에 대한 내부 부분(17)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잠길 수 있다. 이는 분무기(1)가 압력 생성기(5)가 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전달 상태에서 공급될 때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기(1)는 배리어를 가질 수 있어, 하우징 부분(18)이 완전히 밀렸을 때 내부 부분(17)만이 상부 하우징 부분(16)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부가적으로, 고정 부재(30)는 전달 상태에서 하부 부분(18)의 밀림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고정 부재(30)가 열리거나, 해제되거나 또는 제거되었을 때까지 내부 부분(17)의 모든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마우스피스(13)를 커버하는 마우스피스 커버(42)를 갖는 분무기(1)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제안된 분무기(1)에서 컨테이너(3)는 바람직하게 분무기(1)에 삽입, 즉,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한다. 결과적으로, 컨테이너(3)는 바람직하게는 별개의 구성요소이다. 그러나, 컨테이너(3)는 이론적으로는 분무기(1) 또는 분무기(1)의 부분에 의해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르게는 분무기(1)에 통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한 실시예들의 개개의 특징들, 양태들 및 원리들은 원하는 바에 따라 서로 조합될 수도 있고 특히 도 1 및 도 2에 따른 공지된 분무기에 및 유사한 또는 상이한 분무기들에 사용될 수 있다.
독립된(freestanding) 장비 등과 다르게 제안된 분무기(1)는 바람직하게는 휴대용으로 설계되고 특히 이동용 수작동 장치이다.
그러나, 제안된 해결방안은 본원에 상세히 설명한 분무기(1)에만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다른 분무기 또는 흡입기, 예를 들어, 분말 흡입기 또는 소위 계량 투여량(metered dose) 흡입기들에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체(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이고, 특히 수성 의약 제제(pharmaceutical formulation)이다. 그러나, 다른 몇몇 의약 제제, 현탁액 등일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유체(2)는 입자들 또는 분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배출 노즐(12) 대신에, 다른 몇몇 종류의 공급 장치가 제공될 수 있고, 특히 마우스피스(13)에 유체 또는 분말 등을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도시않음) 또는 공급 채널(도시않음)이 제공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선택적인 공기 공급구(15)가 마우스피스(13)를 통해 흡기 또는 흡입하기에 충분한 체적의 공기 유동 또는 일반적인 공기 유동을 허용하도록 바람직하게는 병렬로 대기중 공기를 공급하게 작용한다.
필요하면 유체(2)는 추진 가스에 의해 분무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의료용 유체(2)의 선호되는 성분들 및/또는 제형들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는 WO 2009/047173 A2호에 특히 열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은 에탄올을 포함하거나 용매가 없는,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들, 혼합물들, 제형들 등일 수 있다.
1: 분무기 22: 관통 부재
2: 유체 23: 모니터링 장치
3: 컨테이너 24: 유체 출구
4: 백 25: 제 1 마개
5: 압력 생성기 26: 제 2 마개
6: 홀더 27: 마개 부분
7: 스프링 28: 플랜지
8: 잠금 부재 29: 수송 로크
9: 운송 관 30: 고정 부재
10: 비-복귀 밸브 31: 래치 돌기
11: 압력 챔버 32: 래치 오목부
12: 노즐 33: 래치 암
13: 마우스피스 34: 통기구
14: 에어로졸 35: 파지 암
15: 공기 공급구 36: 에지
16: 상부 하우징 부분 37: 부재
17: 내부 부분 38: 링
17a: 내부 부분의 상부 부분 39: 제어 부재
17b: 내부 부분의 하부 부분 40: 링 부분
18: 하우징 부분(하부 부분) 41: 작동 부분
19: 스프링 42: 마우스피스 커버
20: 컨테이너 베이스
21: 하부

Claims (22)

  1. 유체(2)를 담는 삽입가능한 컨테이너(3)를 포함하는 유체(2)용 분무기(1)로서, 상기 컨테이너(3)는 유체(2)를 위한 유체 출구(24)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출구(24)는 상기 분무기(1)의 전달 상태에서 제 1 마개(25)에 의해 닫히고, 상기 컨테이너(3)는 상기 전달 상태에서 상기 분무기(1) 내에 이미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분무기(1)는 상기 컨테이너(3)로부터 유체(2)를 상기 분무기(1) 또는 분무기(1)의 압력 생성기(5)로 운송하기 위해 운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무기(1)는, 제 1 마개(25) 및 따라서 상기 유체 출구(24)가 상기 운송 부재의 삽입에 의한 상기 분무기(1)의 첫 사용 전 또는 첫 사용 중에 상기 분무기(1) 내에서 열리도록 구성되는, 유체(2)용 분무기(1)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개(25)는, 상기 컨테이너(3)의 상기 유체 출구(24)쪽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3) 내에 포함되는 유체(2)로 연장하는 마개 부분(27)에 의해 형성되거나 지지되며,
    상기 운송 부재는, 상기 전달 상태에서 상기 제 1 마개(25)를 열지 않고, 상기 마개 부분(27)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또한 상기 컨테이너(3) 내에 이미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3)는 상기 유체 출구(24)를 닫기 위한 제 2 마개(26)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마개(26)는 상기 전달 상태에서 상기 운송 부재에 의해 이미 열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3. 유체(2)를 담는 삽입가능한 컨테이너(3)를 포함하는 유체(2)용 분무기(1)로서, 상기 컨테이너(3)는 유체(2)를 위한 유체 출구(24)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출구(24)는 상기 분무기(1)의 전달 상태에서 닫혀 있고, 상기 컨테이너(3)는 상기 전달 상태에서 상기 분무기(1) 내에 이미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분무기(1)는, 상기 유체 출구(24)가 상기 분무기(1)의 첫 사용 전 또는 첫 사용 중에 상기 분무기(1) 내에서 열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테이너(3)는 상기 유체 출구(24)를 닫기 위해 제 1 내부 마개(25)와 제 2 외부 마개(26)를 포함하는, 유체(2)용 분무기(1)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개(26)는 상기 전달 상태에서 상기 분무기(1)에 의해 이미 열려 있고, 상기 분무기(1)는 상기 제 1 마개(25)가 상기 분무기(1)의 첫 사용 전에 또는 첫 사용 중에 상기 분무기(1) 내에서 나중에 개별적으로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1)는 상기 컨테이너(3)로부터 유체(2)를 운송하기 위한 운송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마개들(25, 26)은 상기 운송 부재에 의해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개(26)는, 상기 컨테이너(3)를 삽입할 때 또는 상기 분무기(1)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 부분(18)을 부분적으로 닫을 때 상기 분무기(1)에 의해 자동적으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개(26)는 박막의 밀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1)는, 상기 전달 상태에서 부분적으로만 닫히고, 상기 분무기(1)를 사용하기 전 또는 사용하는 중에 완전히 닫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달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스냅 결합되거나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을 완전히 닫기 위해 완전히 스냅 결합되거나 삽입되는 하우징 부분(18)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마개(25)는 상기 하우징을 완전히 닫을 때 자동적으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개(25)는, 상기 분무기(1)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 부분(18)을 망원경식으로 밀어서 열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1)는, 상기 전달 상태에서 완전히 닫히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또는 하우징 부분(18)을 축방향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개(25)는 상기 컨테이너(3) 내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컨테이너(3)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3)는 상기 유체의 운송, 압력 생성, 및/또는 분무 중에 왕복 운동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14. 제 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1)는, 상기 전달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3)를 움직이지 않게 잡아주기 위한 수송 로크(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 로크(29)는, 상기 제 1 마개(25)의 개방 전에 또는 개방 중에, 및/또는 상기 분무기(1)의 하우징(1)을 완전히 닫을 때, 상기 분무기(1)의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부분(17), 또는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링(38)과의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해제(release), 개방 또는 잠금해제(unlock)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 로크(29)는, 상기 컨테이너(3)를 잠금해제 또는 해제하도록 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파지 암(35), 및/또는 상기 컨테이너(3)를 잠금해제 또는 해제하도록 축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제어 부재(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지 암(35),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파지 암(35) 및 관통 부재(22)가 상기 분무기(1)의 하우징 부분(18)의 하부 또는 부재(37)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39)는 하우징 부분에 의하여 축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는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1)는 의료용 에어로졸 치료를 위한 휴대용 흡입기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1)는 추진 가스없이 기계적으로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분(27)은 상기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어 제 2 단부를 향해 연장하는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부에는 유체를 위한 상기 유체 출구(24)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마개(25)는 상기 마개 부분(27)의 상기 제 1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상태에서, 상기 운송 부재의 단부는, 상기 제 2 단부의 유체 출구를 통해 배치되지만 상기 마개 부분(27)의 제 1 단부를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마개 부분(27) 내에 배치되고,
    활성 상태에서, 상기 운송 부재의 상기 단부가 상기 제 1 마개(25)를 통해 전진하여 상기 컨테이너(3) 내의 유체(2)와 소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분무기.
KR1020127016090A 2009-11-25 2010-11-22 분무기 KR101725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014679.6 2009-11-25
EP09014679 2009-11-25
PCT/EP2010/067896 WO2011064160A1 (en) 2009-11-25 2010-11-22 Nebuliz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524A KR20120096524A (ko) 2012-08-30
KR101725106B1 true KR101725106B1 (ko) 2017-04-10

Family

ID=4382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090A KR101725106B1 (ko) 2009-11-25 2010-11-22 분무기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20110290242A1 (ko)
EP (1) EP2504050B1 (ko)
JP (1) JP5640095B2 (ko)
KR (1) KR101725106B1 (ko)
CN (1) CN102665806B (ko)
AP (1) AP3115A (ko)
AR (1) AR079153A1 (ko)
AU (1) AU2010323301B2 (ko)
BR (1) BR112012012474B1 (ko)
CA (1) CA2780858C (ko)
CL (1) CL2012001202A1 (ko)
CO (1) CO6551691A2 (ko)
EA (1) EA024981B1 (ko)
EC (1) ECSP12011974A (ko)
IL (1) IL218824A (ko)
MA (1) MA33754B1 (ko)
MX (1) MX337338B (ko)
NZ (1) NZ599279A (ko)
PE (1) PE20130037A1 (ko)
SG (1) SG181052A1 (ko)
TN (1) TN2012000244A1 (ko)
TW (1) TW201141554A (ko)
UA (1) UA107096C2 (ko)
UY (1) UY33053A (ko)
WO (1) WO2011064160A1 (ko)
ZA (1) ZA2012023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77132A1 (en) 2008-01-02 2009-07-0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Dispensing device,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formulation
US10011906B2 (en) 2009-03-31 2018-07-03 Beo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thod for coating a surface of a component
EP3508239B1 (de) 2009-05-18 2020-12-2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Adapter, inhalationseinrichtung und zerstäuber
US10016568B2 (en) 2009-11-25 2018-07-1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UA107097C2 (en) 2009-11-25 2014-11-25 Бьорінгер Інгельхайм Інтернаціональ Гмбх Dispenser
WO2011064163A1 (en) 2009-11-25 2011-06-0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JP5874724B2 (ja) 2010-06-24 2016-03-02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ネブライザ
EP2694220B1 (de) 2011-04-01 2020-05-0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dizinisches gerät mit behälter
US9827384B2 (en) 2011-05-23 2017-11-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WO2013152894A1 (de) 2012-04-13 2013-10-1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Zerstäuber mit kodiermitteln
FR3007991B1 (fr) * 2013-07-05 2017-05-05 Aptar France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ou pulverulent.
ES2836977T3 (es) 2013-08-09 2021-06-28 Boehringer Ingelheim Int Nebulizador
EP3030298B1 (en) 2013-08-09 2017-10-11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WO2015149311A1 (zh) * 2014-04-02 2015-10-08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雾化组件以及电子烟
UA121114C2 (uk) 2014-05-07 2020-04-10 Бьорінгер Інгельхайм Інтернаціональ Гмбх Небулайзер, індикаторний пристрій і контейнер
ES2874029T3 (es) 2014-05-07 2021-11-04 Boehringer Ingelheim Int Nebulizador
ES2954961T3 (es) 2014-05-07 2023-11-27 Boehringer Ingelheim Int Unidad, nebulizador y método
ES2942417T3 (es) * 2017-04-28 2023-06-01 Softhale Nv Dispositivo de inhalación
WO2019086036A1 (en) * 2017-11-06 2019-05-09 Microbase Technology Corp. Fluid delivery apparatus
EP3501582B1 (en) * 2017-12-21 2022-04-2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and cartridge
US10676259B1 (en) * 2018-11-15 2020-06-09 Silgan Dispensing Systems Corporation Two-part dispensing closure system with internal seal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21021879A1 (en) * 2019-07-29 2021-02-04 Cai Gu Huang Cartridge with single-layer container and its nozzle-shaped cap for nebulization inhal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8928A (en) 1977-08-10 1979-12-18 Tischlinger Edward A Self injector
FR2604363A1 (fr) 1986-09-30 1988-04-01 Merieux Inst Dispositif d'injection de substances, notamment medicamenteuses
WO1995032015A1 (fr) * 1994-05-25 1995-11-30 Gabriel Meyer Dispositif pour la preparation d'une solution, d'une suspension ou d'une emulsion d'une substance medicinale
WO2006125577A2 (en) * 2005-05-24 2006-11-3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s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9159A (en) * 1993-03-30 1995-03-21 Origin Med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held insufflation
DE4428434A1 (de) 1994-08-11 1996-02-15 Boehringer Ingelheim Kg Verschlußkappe und Verfahren zur gasblasenfreien Füllung von Behältern
US6641782B1 (en) * 2000-11-15 2003-11-04 Polaroid Corpor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diagnostic testing
DE10110742A1 (de) * 2001-02-28 2002-09-05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US8210166B2 (en) * 2003-12-16 2012-07-03 Wolfe Tory Medical, Inc. Vial multi-access adapter
DE102004009434A1 (de) * 2004-02-24 2005-12-1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Zerstäuber
GB2417024B (en) * 2004-08-11 2007-01-03 Bespak Plc Improvements in metering valves for dispensers
DE102005029746B4 (de) * 2005-06-24 2017-10-2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Zerstäuber
CN101247897B (zh) * 2005-08-24 2013-06-12 贝林格尔·英格海姆国际有限公司 雾化器
DE102006022002A1 (de) * 2006-05-10 2007-11-1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Zerstäuber und Verfahren zur Zerstäubung von Fluid
DE102007023012A1 (de) * 2007-05-15 2008-11-20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Zerstäuber und Filter
EP2044967A1 (de) 2007-10-01 2009-04-0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Zerstäuber
WO2011064163A1 (en) * 2009-11-25 2011-06-0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8928A (en) 1977-08-10 1979-12-18 Tischlinger Edward A Self injector
FR2604363A1 (fr) 1986-09-30 1988-04-01 Merieux Inst Dispositif d'injection de substances, notamment medicamenteuses
WO1995032015A1 (fr) * 1994-05-25 1995-11-30 Gabriel Meyer Dispositif pour la preparation d'une solution, d'une suspension ou d'une emulsion d'une substance medicinale
WO2006125577A2 (en) * 2005-05-24 2006-11-3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40095B2 (ja) 2014-12-10
IL218824A (en) 2017-05-29
MA33754B1 (fr) 2012-11-01
AU2010323301A1 (en) 2012-05-03
CL2012001202A1 (es) 2012-08-03
CN102665806A (zh) 2012-09-12
CO6551691A2 (es) 2012-10-31
EP2504050A1 (en) 2012-10-03
CA2780858A1 (en) 2011-06-03
CN102665806B (zh) 2015-07-08
SG181052A1 (en) 2012-07-30
WO2011064160A1 (en) 2011-06-03
CA2780858C (en) 2017-09-19
MX2012005878A (es) 2012-06-27
PE20130037A1 (es) 2013-02-03
IL218824A0 (en) 2012-06-28
UA107096C2 (xx) 2014-11-25
US20110290242A1 (en) 2011-12-01
KR20120096524A (ko) 2012-08-30
AP2012006206A0 (en) 2012-04-30
AR079153A1 (es) 2011-12-28
EA024981B1 (ru) 2016-11-30
BR112012012474A8 (pt) 2016-10-04
EA201200776A1 (ru) 2012-12-28
AP3115A (en) 2015-02-28
JP2013511366A (ja) 2013-04-04
TW201141554A (en) 2011-12-01
AU2010323301B2 (en) 2014-06-05
MX337338B (es) 2016-02-26
TN2012000244A1 (en) 2013-12-12
BR112012012474B1 (pt) 2020-02-04
ECSP12011974A (es) 2012-07-31
ZA201202368B (en) 2012-12-27
BR112012012474A2 (pt) 2016-04-12
NZ599279A (en) 2014-09-26
UY33053A (es) 2011-06-30
EP2504050B1 (en)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106B1 (ko) 분무기
US10124125B2 (en) Nebulizer
KR101782306B1 (ko) 분무기
US9381311B2 (en) System comprising a nebulizer and a packaging
JP6487916B2 (ja) ネブライザ
US20130125881A1 (en) Nebulizer
JP2016525437A (ja) ネブライザ
AU2015202524A1 (en) Nebu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