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084B1 -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5084B1 KR101725084B1 KR1020160048057A KR20160048057A KR101725084B1 KR 101725084 B1 KR101725084 B1 KR 101725084B1 KR 1020160048057 A KR1020160048057 A KR 1020160048057A KR 20160048057 A KR20160048057 A KR 20160048057A KR 101725084 B1 KR101725084 B1 KR 1017250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all
- module
- message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59—Making use of the calling party identifi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시 통화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의 통화 연결 시도 여부를 감지하는 통화감지모듈과, 상기 제2 단말의 통화 연결 시도여부를 감지하는 수신감지모듈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통화 연결 시도 중인 전화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인식모듈 및, 상기 번호인식모듈에서 인식한 전화번호와 상기 제1 단말이 보유한 전화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확인모듈을 포함하는 비교기; 상기 동시확인모듈에서 전화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을 기 지정된 조건에 따라 발신자단말 또는 수신자단말로 지정하는 수발신지정기; 상기 수발신지정기에서 지정된 상기 수신자단말의 통화 연결 시도를 중단시키고 상기 발신자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생성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서로에게 통화 연결을 시도한 경우, 통화 연결을 끊지 않고 지정된 조건에 따라 하나의 단말을 발신자단말로, 나머지 단말을 수신자단말로 지정하여 수신자단말로 지정된 단말의 통화 연결을 해제하고 발신자단말에 연결토록 하는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무선 전화망의 통화 연결 방법은 발신자가 수신자의 번호를 입력한 후 입력된 번호가 발신자의 지역 교환기와 수신자의 지역 교환기를 거쳐 수신자가 통화중인가를 확인한 후 통화중이 아니면 수신자의 통화연결 신호를 발신하여 수신자의 응답 시 전화 통화를 시작하고, 수신자가 통화 연결 시도 중이거나 통화 중이면 발신자에게 통화중 신호를 발신하여 상대방이 통화할 수 없음을 알린다.
일반적인 유무선 전화망은 전화기와 통신하여 중계하는 전화국(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교환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여 중계하는 이동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교환기로 구성되며, 전화국 교환기와 이동국 교환기는 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연결요청 시 수신측 단말기가 포함된 교환기와 통신하여 중계한다.
전화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 요청시의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전화기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 요구 신호를 수신한 전화국 교환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여 중계하는 이동국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중 여부를 판단하고 통화중이면 상기 전화기로 통화중 신호를 발신하고, 통화중이 아니면 상기 이동국 교환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 신호를 발신한다.
하지만 기존의 유무선 전화망의 통화 연결 방법은 발신측의 통화 연결 요청 시 수신측이 통화중인지 아닌지 만을 판단하여 통화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통화 연결대상인 수신측이 발신측으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있으면 통화가 불가능 하였다. 즉, 두개의 단말기가 동시에 상대방과 통화연결을 요청하고 있는 상황에서 통화연결이 불가능하였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화기의 발달과 보급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화기는 현대인들과 뗄 수 없는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화기의 발달과 보급으로 인해 늘어난 통화량으로 인해 동시 통화연결 요청 시 통화 불가능 상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수발신자 상호 동시 통화 연결 시도 시 연결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다음의 기술이 공개되어 있는 상태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 10-0896706호 ‘수발신자 상호 동시 통화 연결 시도 시 연결 장치 및 방법’을 참조하면, 수발신자 상호 동시 통화 연결 시도 시 연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연결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화연결 요구신호의 발신측과 수신측 단말기가 서로에게 통화 시도 중인 상호 동시통화중인지 확인하여 상기 상호 동시통화중이면, 상기 통화연결 요구신호의 상기 발신 측 혹은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연결을 해지하고 상호 동시통화를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동시신호 비교기와, 상기 동시신호 비교기에 요청에 따라 상기 통화연결 요구신호의 상기 발신 측 혹은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연결을 해지하고 상호 동시통화를 연결하는 교환기를 포함하는 수발신자 상호 동시 통화 연결 시도 시 연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나, 이는 동시 통화 연결에 따른 기본적인 통화 종료 방법 및 통화 종료에 따라 발신측과 수신측 단말기를 자연스럽게 통화하도록 연결시키는 기술적인 방법에 국한되는 것이므로, 수발신자가 무조건 자동으로 연결되는 기술만을 포함한다는 문제가 따랐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 10-2003-0076078호 ‘전화 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을 참조하면, 발신측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착신측 단말이 훅-오프(Hook-off)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착신측 단말이 훅-오프 상태인 경우, 통화 연결 시도 중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착신측 단말이 통화 연결 시도 중인 경우, 그 통화연결 시도 중인 전화번호를 추적하는 제3단계와; 상기 추적한 전화번호가 발신측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착신측 단말이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와 발신측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동일한 경우, 일측의 통화 연결 시도를 즉시 종료시켜 양측간에 호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나, 이 역시도 마찬가지로 훅-오프 상태를 판단하여 발신측과 착신측이 서로 통화연결을 시도중인 경우 무조건 자동으로 연결되는 기술만을 포함하므로 보다 복잡한 상황의 발생에 적용하기는 힘든 일반적인 기술이라는 문제가 따랐다.
따라서, 수신자단말과 발신자단말의 상호 통화시도를 확인하여 연결시키되, 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수신자단말과 발신자단말의 상호 연결을 제어함으로써 통화 당사자들에게는 동시 수발신 상황에서도 전화를 연결할 수 있는 편의성과 다양한 상황에서도 적용 가능한 방법을 통해 전화를 연결하는 적용 용이성 및 흥미도가 높은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 단말과 제2 단말에서 동시에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통화 연결을 끊지 않고 일반 통화와 같이 연결하는 시스템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상태를 변경하는 동안 이용자가 통화 연결 상태의 변경을 기다리지 않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시 통화가 발생하는 도중에 제3 단말이 통화 연결을 추가로 시도하더라도 통화 연결을 끊지 않고 3자통화가 가능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시 통화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의 통화 연결 시도 여부를 감지하는 통화감지모듈과, 상기 제2 단말의 통화 연결 시도여부를 감지하는 수신감지모듈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통화 연결 시도 중인 전화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인식모듈 및, 상기 번호인식모듈에서 인식한 전화번호와 상기 제1 단말이 보유한 전화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확인모듈을 포함하는 비교기; 상기 동시확인모듈에서 전화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을 기 지정된 조건에 따라 발신자단말 또는 수신자단말로 지정하는 수발신지정기; 상기 수발신지정기에서 지정된 상기 수신자단말의 통화 연결 시도를 중단시키고 상기 발신자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생성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수발신지정기는, 상기 동시확인모듈에서 전화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을 비교할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설정모듈과,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을 상기 발신자단말 및 상기 수신자단말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연결제어모듈 및, 상기 조건설정모듈 및 상기 연결제어모듈 중 어느 하나에서 설정된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는 메시지안내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조건설정모듈은,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의 통화 연결 시도 시각을 파악하는 연결시각파악파트로 구성되는 선후관계파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제어모듈은, 상기 선후관계파악부에서 파악된 통화 연결 시도 시각의 선후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을 상기 발신자단말 및 상기 수신자단말 중 어느 하나로 지정하는 선후관계비교파트로 구성되는 관계비교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기 조건설정모듈은, 특정 자연수 범위에서 두 개의 난수를 생성하고 각각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난수를 부여하는 난수생성파트로 구성되는 난수적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후관계파악부는, 상기 연결시각파악파트에서 파악된 통화 연결 시도 시각에 따라 특정 자연수 범위의 가중치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 차등적으로 부여하는 가중치부여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제어모듈은, 상기 난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한 가중난수를 생성하는 가중난수생성파트와,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 부여된 상기 가중난수를 비교하여 고저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을 상기 발신자단말 및 상기 수신자단말 중 어느 하나로 지정하는 난수크기비교파트로 구성되는 난수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안내모듈은, 상기 메시지가 표시될 영역 중 일부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터치영역을 생성하는 터치영역생성파트와, 상기 가중난수를 상기 터치영역을 터치할 터치시간으로 지정하는 터치시간설정파트 및, 상기 메시지가 표시될 영역에 상기 터치영역을 포함시켜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는 터치메시지생성파트로 구성되는 메시지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난수비교부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전송된 터치 입력 종료 시각의 선후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을 상기 발신자단말 및 상기 수신자단말 중 어느 하나로 지정하는 터치시간비교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건설정모듈은, 기존 동시 통화 중인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동시 통화에 합류하고자하는 단말을 제3 단말로 설정하는 다자승인파악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안내모듈은, 상기 메시지가 표시될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터치영역을 생성하는 터치영역생성파트와, 기존 동시 통화 중인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제3 단말의 합류 승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합류승인메시지를 생성하는 다자승인메시지생성파트로 구성되는 메시지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제어모듈은,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한 합류승인메시지에 포함된 터치영역이 모두 터치됨에 따라 제3 단말을 추가수신자단말로 지정하는 다자승인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1) 제1 단말과 제2 단말을 발신자모듈 또는 수신자모듈로 설정하되, 수신자모듈로 설정된 단말의 통화 연결을 해제하여 발신자모듈로 설정된 단말의 통화로 연결시킴으로써 통화 연결이 끊기지 않고 일반통화와 같이 연결할수 있고,
2) 제1 단말과 제2 단말을 발신자모듈과 수신자모듈로 설정함에 있어서, 이용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피드백형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이용자가 설정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3) 제3 단말이 동시 통화에 참여하려는 경우, 기 참여중인 단말로 확인메시지를 전송하여 모든 단말이 승인하였을 경우 3자통화를 형성할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관계비교확인부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자승인확인부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관계비교확인부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자승인확인부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발신자단말(1), 수신자단말(2), 교환국(3)으로 구성된다.
먼저 발신자단말(1)은 발신자가 용무가 있는 수신자에게 전화통화를 걸기 위하여 최초 전화통화를 발생시키는 단말을 의미한다. 발신자단말(1)의 경우 상용 전화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는 유선전화, 무선전화, 피쳐폰, 태블릿PC, 스마트폰, PDA, 포켓PC 등을 모두 포함한다.
다음으로 수신자단말(2)은 수신자가 발신자단말(1)로부터 전화통화가 걸려오면 이를 받기 위한 단말을 의미한다. 수신자단말(2) 역시 발신자단말(1)과 마찬가지로 상용 전화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는 유선전화, 무선전화, 피쳐폰, 태블릿PC, 스마트폰, PDA, 포켓PC 등을 모두 포함한다. 다만 발신자단말(1)과 수신자단말(2)을 나눈 것은 전화통화를 발생시키는 주체와 객체로 인해 나뉘는 것이므로, 발신자단말(1)과 수신자단말(2) 모두 반대의 입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교환국(3)은 현재 전화시스템에서 활용되는 전화교환기(30)(telephone exchange)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전화단말로부터 통신선로를 받아 희망하는 전화단말 상호간을 접속시키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발신자단말(1)과 수신자단말(2) 사이에서 전화통화를 최초로 요청하는 단말을 발신자단말(1)로 지정하고, 발신자단말(1)로부터 전화통화가 요청된 단말을 수신자단말(2)로 지정한 후 발신자를 수신자에게 연결시켜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전화가 최초로 발명되었을 때부터 현재까지 변하지 않는 것은 발신자를 수신자에게 연동시키는 작업을 통해 통화가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발신자가 전화통화를 요청하였을 때, 수신자측에서 조금 늦더라도 발신자측으로 전화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또는 발신자와 수신자가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상호 전화통화를 요청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동시 통화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일 측을 발신자로, 타 측을 수신자로 지정하고 수신자로 지정된 쪽의 통화요청을 끊고 발신자로부터의 통화요청에 수신자를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과거에는 이러한 동시 통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일방적으로 상호간에 통화중이라는 안내가 발생하면서 전화통화 요청을 중단시키고 새롭게 전화통화 요청을 요구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방식은 두세 번 같은 작업을 반복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여 불편할 수밖에 없었다.
휴대전화 및 스마트폰의 대중화 이후,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동시 통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수신자로 지정된 단말의 통화요청을 끊고 발신자로 지정된 단말로 통화를 요청하는 기술이 일부 발명되어 사용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과정에서 지정된 규칙이 모호하고 연결 해제 및 재 연결에 필요한 시간 동안 이용자들이 시스템 단에서의 작업을 마냥 기다려야한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게다가 랜덤성에 의한 작업에 따라 시스템에 과도한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도 배제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전화통화에 요금을 지불하는 이용자들의 불만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또, 발신자와 수신자를 지정하고 일 측의 통화를 끊어 다시 재 연결 하는 동안에도 일정 시간이 필요한데, 그 시간 동안 이용자는 단순 대기에 따른 불만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는 이용자가 납득할 수 있는 기준으로 발신자와 수신자를 지정하여 연결시키되, 연결에 필요한 시간 동안 특수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이용자가 직접 연결설정에 참여하도록 흥미를 유발시켜 이용자의 불만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합리적인 방법의 수발신자 지정 및 재 연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동시 통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되는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크게 비교기(10), 수발신지정기(20), 교환기(30)로 구성된다.
먼저 비교기(10)는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의 통화 연결 시도 여부를 감지하는 통화감지모듈(100)과, 제2 단말의 통화 연결 시도여부를 감지하는 수신감지모듈(200), 제2 단말로부터 통화 연결 시도 중인 전화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인식모듈(300)과, 번호인식모듈(300)에서 인식한 전화번호와 제1 단말이 보유한 전화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확인모듈(40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화교환기(30)(telephone exchange)에서 동시 통화 상황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 사용되는 것이며,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의 통화 연결 시도를 감지하면 제2 단말의 통화 연결 시도여부를 감지하고, 이 때 제2 단말도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단말이 통화 연결을 시도 중인 전화번호를 인식한다. 인식된 전화번호가 제1 단말이 보유한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이를 동시 통화 상황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수발신지정기(20)는 이러한 동시 통화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시스템 단에서 지정된 규칙에 따라 발신자단말(1)과 수신자단말(2)을 지정하고, 이를 문자메시지나 음성안내 등으로 이용자에게 안내하며, 이용자가 동시 통화 재 연결 작업을 마냥 기다리지 않고 직접 재 연결 작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특수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동시확인모듈(400)에서 전화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기 지정된 조건에 따라 발신자단말(1) 또는 수신자단말(2)로 지정하는 것이다.
수발신지정기(20)는 발신자단말(1)과 수신자단말(2)을 지정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 중 일부에는 이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특수한 이벤트를 함께 발생시키는 조건설정모듈(500)과 설정된 기준 또는 함께 발생된 이벤트를 정리하여 메시지(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안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자에게 발송하는 메시지안내모듈(600), 설정된 기준 또는 이용자에게 발송된 메시지를 통해 전달된 이벤트의 참여 결과에 따라 발신자모듈과 수신자모듈을 각각 지정하는 연결제어모듈(700)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동시확인모듈(400)에서 전화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비교할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설정모듈(500)과,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여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발신자단말(1) 및 수신자단말(2)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연결제어모듈(700) 및, 조건설정모듈(500) 및 연결제어모듈(700) 중 어느 하나에서 설정된 결과를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는 메시지안내모듈(600)로 구성되는 것이다.
먼저 조건설정모듈(5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건설정모듈(500)은 동시 통화 상황 발생 시 누가 언제 통화 연결을 시도했는지 파악하는 선후관계파악부(510)와, 특정한 범위 내에서 랜덤하게 도출되는 숫자인 난수를 발생시켜 동시 통화 상황 발생 시 동시 통화 대상 단말에 각각 적용하여 발신자모듈과 수신자모듈을 결정하는 난수적용부(520)와, 미리 이용자로부터 특정한 조건을 설정받아 해당 조건에 포함되는 밀접도를 가진 경우에만 발신자모듈 또는 수신자모듈로 지정하는 밀접관계파악부(530) 및, 동시 통화 상황이 발생한 이후 제3 단말이 동시 통화에 합류를 원하는 경우 이 제3 단말의 동시 통화 합류 승인 여부를 파악하여 추가수신자모듈로 지정하는 다자승인파악부(540)로 구성된다.
먼저 선후관계파악부(510)는 어떤 단말로부터 통화 연결 시도가 어느 시각에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연결시각파악파트(511)와 파악된 연결시각에 따라 기 지정된 범위의 가중치를 차등적으로 부여하는 가중치부여파트(512)로 구성된다.
연결시각파악파트(511)의 경우,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가장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동시 통화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각 단말이 통화 연결을 시도한 시각을 파악한다. 즉,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통화 연결 시도 시각을 파악하는 것이다.
가중치부여파트(512)의 경우 후술할 난수적용부(520)와 연동되는 것으로서, 순서파악파트에서 파악한 연결시각의 차이에 따라 기 지정된 범위의 가중치를 차등적으로 부여한다. 다시 말해, 연결시각파악파트(511)에서 파악된 통화 연결 시도 시각에 따라 특정 자연수 범위의 가중치를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차등적으로 부여하는 것이다. 다만, 여기에서 가중치는 어떠한 수치로도 입력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난수에 곱셈형태로 적용될 것이므로 0~2 사이의 수치로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수적용부(520)는 특정한 숫자 범위 내에서 랜덤하게 도출되는 숫자인 난수를 발생시켜 동시 통화 상황 발생 시 동시 통화 대상 단말에 각각 부여하는 난수생성파트(521)로 구성된다.
난수생성파트(52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난수발생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특정한 숫자 범위 내에서 랜덤하게 숫자를 도출하는 난수를 발생시키고 이를 동시 통화 대상 단말에 각각 부여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특정 자연수 범위에서 두 개의 난수를 생성하고 각각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난수를 부여하는 것이다. 난수의 숫자범위에는 제한이 없으나, 난수가 생성된 이후 후술할 메시지안내모듈(600)에서 문자메시지나 음성안내 등을 통해 생성된 난수를 각 모듈로 통보해야 하므로 시스템 관리자는 서비스 시간이나 서비스 대상 제원에 따라 적합한 난수의 자릿수를 지정할 필요성이 있다.
다음으로 밀접관계파악부(530)에서는 각 이용자로부터 특정 시간대를 지정받는 시간대지정파트(531)와, 특정 위치 및 장소를 지정받는 위치지정파트(532)와, 특정 대상을 지정받는 대상지정파트(533) 및, 기존 통신기록 통계를 참조하여 특정 통계수치 이상을 갖는 대상을 자동으로 지정받는 통신기록산출파트(534)로 구성된다.
밀접관계파악부(530)는 다시 말해 각 파트에서 지정된 대상에게 걸려오는 전화를 모두 수신자로 지정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시간대지정파트(531), 위치지정파트(532), 대상지정파트(533)는 각 이용자로부터 특정 시간대, 특정 위치 및 장소, 특정 대상을 미리 지정받는 것으로서, 해당 시간대, 위치 및 장소, 대상으로부터 통화 연결 시도를 통해 동시 통화 상황이 발생하면 각 파트가 포함하는 조건에 포함되는 경우 후술할 관계비교확인부(730)의 시간대파악파트(732), 위치파악파트(733), 대상파악파트(734)에서 자동으로 제2 단말을 수신자단말(2)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일종의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한다.
통신기록산출파트(534)는 휴대전화 등에서 일종의 친밀도를 파악하는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용자의 통신기록을 분석하여 통화량이 많은 상위 시간대, 통화시간 또는 횟수가 많은 상위 위치 및 장소, 통화시간 또는 횟수가 많은 상위 대상을 통계를 통해 자동으로 파악하여 이러한 대상을 쉽게 지정토록 한다.
마지막으로 다자승인파악부(540)는 동시 통화 상황이 이미 발생하여 동시 통화 중인 경우, 제3 단말이 추가적으로 동시 통화에 합류하고자 할 때에 활용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기존 동시 통화 중인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동시 통화에 합류하고자하는 단말을 제3 단말로 설정하는 것이다. 즉,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기존 동시 통화에 추가적으로 합류하고자 하는 단말을 제3 단말로 설정한다.
이렇게 조건설정모듈(500)에서 다양한 조건이 설정되면, 이를 동시 통화 상황이 발생한 각 단말로 안내하기 위한 모듈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 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메시지안내모듈(600)이다.
메시지안내모듈(600)은 크게 메시지생성부(610) 및, 메시지발송부(620)로 구성된다. 단, 여기에서 메시지라 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안내를 총칭하는 것이다.
메시지생성부(610)는 조건설정모듈(500)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이용자에게 제공할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우선, 조건설정모듈(500)의 선후관계파악부(510)에서 파악된 연결시각을 이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해 각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를 생성하는 선후관계메시지생성파트(611)와, 난수적용부(520)의 난수생성파트(521)를 통해 각 단말에 부여된 난수에 선후관계파악부(510)의 가중치부여파트(512)로부터 부여된 가중치를 적용한 가중난수를 이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해 각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를 생성하는 난수메시지생성파트(612)와, 난수생성파트(521)를 더욱 복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시지가 표시될 영역(900)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터치영역(910)을 생성하는 터치영역생성파트(613)를 포함한다.
또, 기존 동시 통화 중인 제1 단말 및 제2 단말로 제3 단말의 합류 승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터치영역(910)을 포함하는 합류승인메시지를 생성하는 다자승인메시지생성파트(614)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다자승인파악부(540)에서 기존 동시 통화 중인 제1 단말 및 제2 단말로 제3 단말의 동시 통화 합류 승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되되 각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터치영역(910)을 포함하는 합류승인메시지를 생성하는 다자승인메시지생성파트(614)가 포함된다.
도 3은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메시지가 표시되는 공간의 일 측에 터치영역(910)을 설정하여 이용자의 터치영역(910)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전체 영역에 동시 통화를 안내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되, 메시지의 일 측에는 터치영역(910)이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메시지생성부(610)의 설명으로 돌아와, 가중난수를 터치시간으로 변환하여 터치영역(910)을 터치할 터치시간으로 지정하는 터치시간설정파트(615)와, 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에 터치영역(910)을 포함시켜 메시지를 생성하는 터치메시지생성파트(616), 동시 통화 상황이 인식되되 통신지연 등의 이유로 어떤 단말이 먼저 통화 연결을 시도하였는지 알 수 없거나 특정한 기준을 설정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동시 통화 상황이 인식되는 경우 메시지의 열람을 확인할 수 있는 토글버튼이 포함되어 각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거나 mms에서 현재 활용되고 있는 열람여부 알림 기능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이용자가 확인하는 순간과 확인 시간을 파악할 수 있는 수신확인 기능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신확인메시지생성파트(617)의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생성부(610)는 밀접관계파악부(530)와 같이 조건이 지정되되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경우, 후술할 연결제어모듈(700)의 관계비교확인부(730)에서 파악된 조건 부합여부에 따라 각 단말로 통보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활용되는 밀접관계메시지생성파트(618)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메시지발송부(620)는 앞선 메시지생성부(610)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각 모듈로 전송하여 이용자에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발신지정기(20)의 마지막 구성요소인 연결제어모듈(700)에는 메시지안내모듈(600)과 연동하여 발신자모듈과 수신자모듈을 결정하는 메시지수신확인부(710)와, 앞서 조건설정모듈(500)의 난수적용부(520)와 연동하는 것으로서, 각 단말이 보유한 난수를 비교하여 발신자모듈과 수신자모듈을 결정하는 난수비교부(720)와, 앞서 조건설정모듈(500)의 선후관계파악부(510) 및 밀접관계파악부(530)와 연동하는 것으로서, 통화 연결 시도 순서, 이용자로부터 지정된 시간, 위치, 대상 또는 밀접도에 따라 발신자모듈과 수신자모듈을 결정하는 관계비교확인부(730) 및, 앞서 조건설정모듈(500)의 다자승인파악부(540)와 연동하는 것으로서, 기존 동시 통화에 통화 중인 발신자단말(1) 및 수신자단말(2)로부터 모두 참여승인여부를 파악하여 제2발신자모듈을 연결 해제시키고 수신자로 재연결토록 하는 다자승인확인부(740)로 구성된다.
먼저 메시지수신확인부(710)는 메시지안내모듈(600)의 수신확인메시지생성파트(617)와 연동하는 것으로서, 이용자의 메시지 확인 시간을 파악하여 시간의 완급에 따라 발신자단말(1) 또는 수신자단말(2)로 지정하는 확인시간파악파트(711)를 포함한다. 확인시간파악파트(711)의 예를 들면, 더 빠르게 메시지를 확인한 단말을 발신자단말(1) 또는 수신자단말(2)로 지정하는 것이다.
단, 국내 전화서비스의 특성 상 발신자단말(1)이 수신자단말(2)의 통화비용까지 부담하게 되므로, 이용자의 참여 유도를 위해 더 빠르게 메시지를 확인한 단말을 수신자단말(2)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수비교부(720)는 난수에 가중치를 적용한 가중난수를 생성하는 가중난수생성파트(721)와,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부여된 가중난수를 비교하여 고저에 따라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발신자단말(1) 및 수신자단말(2) 중 어느 하나로 지정하는 난수크기비교파트(722)로 구성된다. 난수크기비교파트(722)에서는 난수의 고저에 따라 발신자단말(1) 또는 수신자단말(2)로 지정하는 것이다. 단, 각 단말에 부여된 난수의 비교에 앞서 가중치부여파트(512)에서 가중치가 부여된 경우 난수에 가중치를 적용한 가중난수를 비교하는 것으로 가중난수의 고저에 따라 발신자단말(1) 또는 수신자단말(2)을 각각 지정한다.
또, 메시지안내모듈(600)이 포함하는 터치메시지생성파트(616)에 따라 동작하는 터치시간비교파트(723)를 추가로 포함한다. 터치시간비교파트(723)는 서로 다른 터치시간을 포함하는 터치메시지를 각 단말로 전송하면 각 단말을 보유한 이용자가 단말 화면에 출력된 터치영역(910)을 터치시간동안 터치하는 것을 인식하되, 그 터치시간이 종료된 시점을 각각 인식하여 비교하고, 이 중 터치시간 종료의 빠르고 느림에 따라 발신자단말(1) 또는 수신자단말(2)을 각각 지정한다. 다시 말해, 제1 단말 및 제2 단말로부터 전송된 터치 입력 종료 시각의 선후관계에 따라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발신자단말(1) 및 수신자단말(2) 중 어느 하나로 지정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관계비교확인부(730)에서는 선후관계파악부(510)에서 파악된 연결 시도 시각의 비교를 통해 보다 빠르게 통화 연결을 시도한 단말과 보다 늦게 통화 연결을 시도한 단말을 파악하고 연결 시도 시각의 완급에 따라 발신자단말(1) 또는 수신자단말(2)로 지정하는 선후관계비교파트(731)를 포함한다. 즉, 선후관계파악부(510)에서 파악된 통화 연결 시도 시각의 선후관계에 따라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발신자단말(1) 및 수신자단말(2) 중 어느 하나로 지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국내 전화서비스의 특성 상 발신자단말(1)이 수신자단말(2)의 통화비용까지 부담하게 되므로, 연결시각이 더 빠른 단말을 수신자단말(2)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계비교확인부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프로세스로 풀어 설명하면, 제1 단말의 제2 단말로의 통화 연결 시도를 감지하면, 제2 단말의 통화 연결 시도를 감지한다. 이 때 제2 단말이 통화 연결 시도 중인 경우, 제2 단말이 통화 연결 시도 중인 전화번호가 제1 단말의 전화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전화번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단말이 다른 통화중임을 안내하고 제1 단말의 통화요청을 종료시킨다.
그러나, 전화번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통화 연결 시도 시각을 파악하여 비교하고, 기 지정된 기준에 따라 제1 단말과 제2 단말을 발신자단말(1) 또는 수신자단말(2)로 설정한다.
이후 수신자단말(2)로 지정된 단말의 통화 연결을 해제하고 발신자단말(1)로 지정된 단말의 통화로 연결시켜 동시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시 도 2로 돌아가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시간대파악파트(732)와 위치파악파트(733), 대상파악파트(734)와, 밀접도파악파트(735)는 각각 밀접관계파악부(530)의 시간대지정파트(531)와 위치지정파트(532), 대상지정파트(533), 통신기록산출파트(534)와 연동되는 것이다. 즉, 밀접관계파악부(530)에서 지정된 조건에 포함되는가 여부를 판단하여 이용자가 지정한 방법에 따라 발신자단말(1)과 수신자단말(2)을 지정한다.
다자승인확인부(740)는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한 합류승인메시지에 포함된 터치영역(910)이 모두 터치됨에 따라 제3 단말을 추가수신자단말(2)로 지정하는 것이며, 다시 말해, 기존 동시 통화 중인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전송한 합류승인메시지에 포함된 터치영역(910)을 통해 발신자단말(1) 및 수신자단말(2)로부터 모두 터치영역(910)이 터치됨을 인식하는 경우 제3 단말을 추가수신자단말(2)로 지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자승인확인부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프로세스로 풀어 설명하면, 동시통화가 발생한 경우에 제3 단말의 동시통화로의 통화 연결 시도를 감지한다. 동시통화 중인 발신자단말(1)과 수신자단말(2)로 합류승인메시지를 발송한다. 발신자단말(1)과 수신자단말(2) 중 어느 하나의 단말 또는 두 단말 모두 합류승인메시지에 포함된 터치영역(910)이 터치되지 않는 경우, 제3 단말의 통화를 종료시킨다.
발신자단말(1)과 수신자단말(2) 모두 합류승인메시지에 포함된 터치영역(910)을 터치한 경우 제3 단말을 추가수신자단말(2)로 변경하고, 추가수신자단말(2)의 통화 연결을 해제함과 동시에 발신자단말(1)의 통화로 연결시켜 3자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수발신지정기(20)를 통해 최종적으로 발신자단말(1)과 수신자단말(2)이 정해지면 마지막으로 교환기(30)에서는 수신자단말(2)로 지정된 단말의 통화 연결 시도를 해제하고 발신자단말(1)로 지정된 단말의 통화 연결로 연결시킨다. 이는, 공지기술인 유/무선전화의 교환기(30)와 동일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발신자단말 2: 수신자단말
3: 교환국 10: 비교기
20: 수발신지정기 30: 교환기
100: 통화감지모듈 200: 수신감지모듈
300: 번호인식모듈 400: 동시확인모듈
500: 조건설정모듈 510: 선후관계파악부
511: 연결시각파악파트 512: 가중치부여파트
520: 난수적용부 521: 난수생성파트
530: 밀접관계파악부 531: 시간대지정파트
532: 위치지정파트 533: 대상지정파트
534: 통신기록산출파트 540: 다자승인파악부
600: 메시지안내모듈 610: 메시지생성부
611: 선후관계메시지생성파트 612: 난수메시지생성파트
613: 터치영역생성파트 614: 다자승인메시지생성파트
615: 터치시간설정파트 616: 터치메시지생성파트
617: 수신확인메시지생성파트 618: 밀접관계메시지생성파트
620: 메시지발송부 700: 연결제어모듈
710: 메시지수신확인부 711: 확인시간파악파트
720: 난수비교부 721: 가중난수생성파트
722: 난수크기비교파트 723: 터치시간비교파트
730: 관계비교확인부 731: 선후관계비교파트
732: 시간대파악파트 733: 위치파악파트
734: 대상파악파트 735: 밀접도파악파트
740: 다자승인확인부 800: 연결모듈
900: 메시지가 표시될 영역 910: 터치영역
3: 교환국 10: 비교기
20: 수발신지정기 30: 교환기
100: 통화감지모듈 200: 수신감지모듈
300: 번호인식모듈 400: 동시확인모듈
500: 조건설정모듈 510: 선후관계파악부
511: 연결시각파악파트 512: 가중치부여파트
520: 난수적용부 521: 난수생성파트
530: 밀접관계파악부 531: 시간대지정파트
532: 위치지정파트 533: 대상지정파트
534: 통신기록산출파트 540: 다자승인파악부
600: 메시지안내모듈 610: 메시지생성부
611: 선후관계메시지생성파트 612: 난수메시지생성파트
613: 터치영역생성파트 614: 다자승인메시지생성파트
615: 터치시간설정파트 616: 터치메시지생성파트
617: 수신확인메시지생성파트 618: 밀접관계메시지생성파트
620: 메시지발송부 700: 연결제어모듈
710: 메시지수신확인부 711: 확인시간파악파트
720: 난수비교부 721: 가중난수생성파트
722: 난수크기비교파트 723: 터치시간비교파트
730: 관계비교확인부 731: 선후관계비교파트
732: 시간대파악파트 733: 위치파악파트
734: 대상파악파트 735: 밀접도파악파트
740: 다자승인확인부 800: 연결모듈
900: 메시지가 표시될 영역 910: 터치영역
Claims (6)
- 동시 통화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로의 통화 연결 시도 여부를 감지하는 통화감지모듈과, 상기 제2 단말의 통화 연결 시도여부를 감지하는 수신감지모듈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통화 연결 시도 중인 전화번호를 인식하는 번호인식모듈 및, 상기 번호인식모듈에서 인식한 전화번호와 상기 제1 단말이 보유한 전화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확인모듈을 포함하는 비교기;
상기 동시확인모듈에서 전화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을 기 지정된 조건에 따라 발신자단말 또는 수신자단말로 지정하는 수발신지정기;
상기 수발신지정기에서 지정된 상기 수신자단말의 통화 연결 시도를 중단시키고 상기 발신자단말과의 통화 연결을 생성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교환기;로 구성되되,
상기 수발신지정기는,
상기 동시확인모듈에서 전화번호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을 비교할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설정모듈과,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을 상기 발신자단말 및 상기 수신자단말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연결제어모듈 및, 상기 조건설정모듈 및 상기 연결제어모듈 중 어느 하나에서 설정된 결과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 메시지로 작성하여 전송하는 메시지안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건설정모듈은, 기존 동시 통화 중인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동시 통화에 합류하고자하는 단말을 제3 단말로 설정하는 다자승인파악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안내모듈은,
상기 메시지가 표시될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터치영역을 생성하는 터치영역생성파트와, 기존 동시 통화 중인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제3 단말의 합류 승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터치영역을 포함하는 합류승인메시지를 생성하는 다자승인메시지생성파트로 구성되는 메시지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제어모듈은,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한 합류승인메시지에 포함된 터치영역이 모두 터치됨에 따라 제3 단말을 추가수신자단말로 지정하는 다자승인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설정모듈은,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의 통화 연결 시도 시각을 파악하는 연결시각파악파트로 구성되는 선후관계파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제어모듈은,
상기 선후관계파악부에서 파악된 통화 연결 시도 시각의 선후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을 상기 발신자단말 및 상기 수신자단말 중 어느 하나로 지정하는 선후관계비교파트로 구성되는 관계비교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설정모듈은,
특정 자연수 범위에서 두 개의 난수를 생성하고 각각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난수를 부여하는 난수생성파트로 구성되는 난수적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후관계파악부는,
상기 연결시각파악파트에서 파악된 통화 연결 시도 시각에 따라 특정 자연수 범위의 가중치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 차등적으로 부여하는 가중치부여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제어모듈은,
상기 난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한 가중난수를 생성하는 가중난수생성파트와,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에 부여된 상기 가중난수를 비교하여 고저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을 상기 발신자단말 및 상기 수신자단말 중 어느 하나로 지정하는 난수크기비교파트로 구성되는 난수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안내모듈은,
상기 메시지가 표시될 영역 중 일부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터치영역을 생성하는 터치영역생성파트와,
상기 가중난수를 상기 터치영역을 터치할 터치시간으로 지정하는 터치시간설정파트 및,
상기 메시지가 표시될 영역에 상기 터치영역을 포함시켜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는 터치메시지생성파트로 구성되는 메시지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난수비교부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전송된 터치 입력 종료 시각의 선후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을 상기 발신자단말 및 상기 수신자단말 중 어느 하나로 지정하는 터치시간비교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8057A KR101725084B1 (ko) | 2016-04-20 | 2016-04-20 |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8057A KR101725084B1 (ko) | 2016-04-20 | 2016-04-20 |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5084B1 true KR101725084B1 (ko) | 2017-04-10 |
Family
ID=5858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8057A KR101725084B1 (ko) | 2016-04-20 | 2016-04-20 |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508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93034A (ko) * | 2004-03-18 | 2005-09-23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상대방과 동시 통화 시 통화연결 방법 |
KR20060036815A (ko) * | 2004-10-26 | 2006-05-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
KR100896706B1 (ko) * | 2005-08-10 | 2009-05-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수발신자 상호 동시 통화 연결 시도시 연결 장치 및 방법 |
KR20100047538A (ko) * | 2008-10-29 | 2010-05-1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다자간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다자간 통화 서비스 방법 |
-
2016
- 2016-04-20 KR KR1020160048057A patent/KR1017250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93034A (ko) * | 2004-03-18 | 2005-09-23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상대방과 동시 통화 시 통화연결 방법 |
KR20060036815A (ko) * | 2004-10-26 | 2006-05-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다자간 동시 통화 방법 |
KR100896706B1 (ko) * | 2005-08-10 | 2009-05-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수발신자 상호 동시 통화 연결 시도시 연결 장치 및 방법 |
KR20100047538A (ko) * | 2008-10-29 | 2010-05-1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다자간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다자간 통화 서비스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9111B1 (ko) | 전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 |
CN105556939A (zh) | 使用物理手势来发起设备之间的呼叫转移 | |
US8503998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
US933829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 communication session | |
KR101013368B1 (ko) | 휴대 단말기의 다자간 통화처리방법 및 장치 | |
CA272551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n ongoing communication from a wireless handheld telephony device | |
CN110365931A (zh) | 多方通话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 |
CN103813035A (zh) | 会议接入方法及装置 | |
CN103841533A (zh) | 一种处理呼叫转移的方法及装置 | |
CN103856596A (zh) | 一种通话方法、装置及终端 | |
TW200945875A (en) | Method for automatically making conference calls and mobile phone for automatically making conference calls | |
CN101720088A (zh) | 手机通话过程中防窃听的方法和手机 | |
CN105120524A (zh) | 一种建立通信连接的方法和电子设备 | |
KR101725084B1 (ko) | 동시 통화 중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JP2016149636A (ja) | 認証装置、電話端末、認証方法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 |
KR20190044978A (ko) | 원격 통화에 기반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인공지능 단말, 서비스 모드 관리 서버, 서비스 제공 시스템, 그리고 서비스 제공 방법 | |
CN1901683B (zh) | 一种处理通信请求的方法及设备 | |
CN106453828A (zh) | 一种通话切换方法及通信终端 | |
CN101047737B (zh) | 一种电话会议终端及切换方法 | |
KR20030076078A (ko) | 전화 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 |
CN104202237A (zh) | 一种通讯的方法、装置及系统 | |
KR100651951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설정 방법 | |
TW201349836A (zh) | 通話中施行語音會議的方法與系統 | |
KR20050000714A (ko) | 발신자번호를 이용한 다자간 통화서비스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 |
KR100695205B1 (ko) | 제3자 간 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