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033B1 -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033B1
KR101725033B1 KR1020130091061A KR20130091061A KR101725033B1 KR 101725033 B1 KR101725033 B1 KR 101725033B1 KR 1020130091061 A KR1020130091061 A KR 1020130091061A KR 20130091061 A KR20130091061 A KR 20130091061A KR 101725033 B1 KR101725033 B1 KR 101725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value
resistance
deviation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646A (ko
Inventor
김성철
이성엽
표승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1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0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른 저항 편차를 개선하여 터치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터치 전극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에 프레임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 및 복수의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을 센싱하는 터치 IC;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IC는 상기 복수의 채널의 저항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른 저항 편차를 개선하여 터치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은 구조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셀 내에 내화되는 인셀 방식, 디스플레이 패널 상부에 형성되는 온셀 방식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에 별도로 터치 스크린이 결합되는 애드온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에 들어 디자인 미감 및 슬림화의 장점이 있는 인셀 방식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화면 변화에 의해서 오토 터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드라이버 IC(20, Driver Integrated Circuit) 및 터치 IC(30, Touch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에는 복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 개수의 화소들(예로서, 가로60×세로64)을 터치 그룹(1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터치 그룹이 터치 전극으로 기능하는 터치 스크린이 인셀 터치(in cell touch)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구성인 공통 전극을 터치 전극으로 이용하며, 각 터치 전극은 별도의 터치 라인(미도시)을 통해 터치 IC(30)와 접속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 한다. 인셀 터치 방식은 디스플레이와 터치 센싱을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구동하고, 터치 IC(30)가 터치 블록(12) 별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터치 유무 및 위치를 센싱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구간 완료 시(gate off 상태) 디스플레이 패널(10) 내의 화소 전극(pixel electrode)는 플로팅(floating) 상태가 된다. 그러나, 게이트화 화소 간 오버랩 커패시턴스(overlap capacitance) 및 커플링(coupling)으로 인해 화소 전극이 완전환 플로팅 상태가 되지 않아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형성된다.
공통 전극과 화소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커패시턴스는 스토리지 커패시턴스(Cst)와 프린지 필드(fringe field)에 의해 형성되는 액정 커패시턴스(Clc)로 구분된다. 이때, 화면 변화에 따라서 액정 커패시턴스가 변화되어 초기 커패시턴스(initial capacitance)의 변화가 크게 발생된다. 이로 인해, 터치 센싱에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화면 변화에 의해서 화소들의 초기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심하게 변하는데,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에 따른 커패시턴스의 변화보다 더 큰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유발될 수 도 있다. 따라서, 화면의 휘도가 크게 변화될 때마다 액정층의 정전용량이 변화되어 터치 오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화면의 디스플레이 패턴이 변경되면 터치 로우 데이터(touch raw data)가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로우 데이터의 변화로 인해 실제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터치로 인식되는 오토 터치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오토 터치 불량을 DTX (Display to Touch Crosstalk)라고도 하며, 화면이 블랙 패턴에서 화이트 패턴으로 변경될 때 가장 터치 로우 데이터의 변화가 가장 크며, 터치 로우 데이터의 변화량이 터치를 인식하는 문턱 값보다 큰 경우에 실제 터치가 없어도 터치가 된 것으로 오동작 되는 오토 터치(auto touch)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화상의 휘도 별 터치 로우 데이터의 변화량(?data)은 대체적으로 2.2 감마 커브화 유사한 추세를 보이고, 터치 민감도(touch sensitivity)가 증가하면 화면 전환에 따른 터치 로우 데이터의 변화량도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터치 센싱 성능을 높이는 것에 제약이 있다.
각 터치 전극 별로 로드 변화를 센싱하여 터치를 센싱하는 방식은 터치 전극 내부의 픽셀들의 변화에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위의 다른 픽셀들의 화면 변화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터치 전극 내부의 픽셀들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DTX 값을 보상함으로써 오토 터치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터치 전극의 평균 전압 값을 기준으로 터치를 센싱하는 방식은 화면 변화에 따라서 오토 터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전체 터치 전극의 평균 값을 기준으로 터치를 센싱(Touch Sensing)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각 터치 전극에 일정한 전류를 차징하면서 동시에 센싱되는 터치 전극의 평균 전압(X_avg)이 특정 전압(Vref) 값과 동일하게 되면 차징을 중지하고, 평균 전압 값에 일정한 바이어스(bias) 전압(Voffset) 값을 더한 Vref + Voffset 전압에서부터 일정한 전류로 디스차징(discharging)을 시작한다.
디스차징을 시작하는 동시에 메인 클럭 카운터(main clock counter)가 동작되며 디스차징 되는 전압과 각각의 터치 전극의 전압 값이 동일하게 될 때까지의 클럭(clock) 값이 각 터치 전극의 센싱 데이터가 된다. 센싱 된 터치 전극의 센싱 데이터와 전체 터치 전극의 센싱 데이터의 평균 전압 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터치에 의한 커패시턴스 증가에 따른 로드 변화를 센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전극 별 평균 그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그레이 별 DTX 보상 값을 로딩하고, 로딩 된 DTX 보상 값에 따라 각 터치 전극 별로 DTX 보상 값을 생성한다.
이후, 드라이버 IC에서 터치 IC로 전달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에서 로딩된 터치 전극 별 DTX 보상 값을 터치 로우 데이터(touch raw data)를 보상함으로써 화면 변화에 따른 오토 터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라서 DXT(Display to Touch Crosstalk)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라서 DTX 값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DTX 보상 값을 적용하여 터치 로우 데이터를 보상하더라도 터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터치 전극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중앙부에 위치하는 경우 및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따라서 DTX 값 달라지게 된다.
풀 블랙에서 풀 화이트로 화면의 패턴이 변화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중앙부에 위치하는 경우 및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따라서 DTX 값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3개 포인트에서 측정한 결과, 터치 전극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터치 전극의 로드가 평균 로드보다 크게 나타난다. 그리고, 터치 전극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터치 전극의 로드와 평균 로드가 동일 또는 비슷하다. 마지막으로, 터치 전극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터치 전극의 로드가 평균 로드바다 작게 나타난다.
이는, 액티브 영역에서 각 터치 전극을 연결하는 터치 센싱 라인의 길이가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각 터치 전극의 저항 값이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서 각 터치 전극의 커패시턴스(cap)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서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른 DTX의 편차가 발생되어 터치 불량이 생기게 됨으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면 변화에 따른 터치 오류 특히, 오토 터치(auto touch)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라서 DXT(Display to Touch Crosstalk)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DTX(Display to Touch Crosstalk)를 보상하여 터치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산 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편차에 따른 터치 불량율 및 재가공(rework)을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민감도의 증가에 따른 터치 에러 데이터의 증가량을 보상하여, 터치 민감도를 높이면서도 오토 터치로 인한 터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터치 전극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에 프레임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 및 복수의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을 센싱하는 터치 IC;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IC는 상기 복수의 채널의 저항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은 복수의 채널이 형성된 터치 IC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터치 전극을 센싱하되, 상기 복수의 채널의 저항 편차를 보상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화면 변화에 따른 터치 오류 특히, 오토 터치(auto touch)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라서 DXT(Display to Touch Crosstalk)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전체 터치 전극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터치를 센싱할 때 DTX(Display to Touch Crosstalk)를 보상하여 터치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터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터치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터치 민감도의 증가에 따른 터치 에러 데이터의 증가량을 보상함으로써 터치 민감도를 높이면서도 오토 터치로 인한 터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산 편차에 따른 터치 불량율 및 재가공(rework)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산성을 높이고, 터치 불량률을 저감하여 제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화면 변화에 의해서 오토 터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전체 터치 전극의 평균 값을 기준으로 터치를 센싱(Touch Sensing)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라서 DXT(Display to Touch Crosstalk)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라서 로드가 달라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그레이 별 DTX 보상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IC를 나타내는 것으로,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른 저항을 보상하는 저항 보상부를 포함하는 터치 IC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블랙 화면 패턴과 화이트 화면 패턴일 때의 DTX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서 터치 전극들의 위치에 따른 저항 편차를 보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편자 보상 저항 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과 관련이 없는 경우 및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구성과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에 따라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그 중에서, IPS 모드와 FFS 모드는, 하부 기판(TFT 어레이 기판) 상에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형성하고,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전계에 의해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특히, IPS 모드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평행하게 교대로 배열함으로써 양 전극 사이에서 수평전계를 일으켜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FFS 모드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이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하나의 전극은 판(plate) 형상 또는 패턴으로 구성하고, 다른 하나의 전극은 핑거(finger)형상으로 형성한다.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발생되는 프린지 필드(Fringe Field)를 통해 액정층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및 FFS 모드의 액정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에서는 FFS 모드의 액정 패널에 터치 스크린이 일체화되어 화상의 디스플레이 및 터치 센싱이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OLED 패널에 터치 스크린이 일체화되어 화상의 디스플레이 및 터치 센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드라이버 IC(200, Driver Integrated Circuit), 터치 IC(300, Touch Integrated Circuit), 룩업 테이블(400),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및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부 기판(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하부 기판(TFT 어레이 기판) 및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의해 복수의 화소가 정의된다.
복수의 화소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각 화소에는 스위칭 소자인 TFT, 스토리지 커패시터,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RGB 3개의 화소로 단위 화소가 구성된다.
여기서, TN(Twisted Nematic) 모드 및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이 수직 전계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공통 전극이 상부 기판에 형성된다. 한편,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또는 FFS(Fringe Field Switching)와 같이 수평 전계 또는 프린지 필드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공통 전극이 하부 기판에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화소는 화소 전극에 공급된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극에 공급된 공통 전압(Vcom)에 의해 형성된 전계에 따라 액정의 배열을 조절하고, 액정의 배열을 조절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일정 개수의 화소들(예로서, 가로60×세로64)을 하나의 터치 전극으로 구성하고, 복수의 터치 전극이 모여 터치 스크린을 형성한다. 각 터치 전극은 하부 기판의 공통 전극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각 터치 전극은 별도로 형성된 터치 라인(미도시)을 통해 터치 IC(300)와 접속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인셀 터치(in-cell touch)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를 위한 화소와 터치 검출은 위한 터치 스크린이 터치 스크린이 일체화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와 터치 센싱을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구동한다.
표시 기간에는 각 화소의 화소 전극에 영상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고, 공통 전극에 공통전압(Vcom)을 공급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비 표시 기간에는 공통 전극을 터치 전극으로 구동시켜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 한다.
드라이버 IC(200)는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iver) 및 데이터 드라이버(data driv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MUX의 평균 그레이 정보와 터치 전극의 평균 그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DTX 보상을 수행하게 되는데, MUX의 평균 그레이 정보와 터치 전극의 평균 그레이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데이터 보정부가 드라이버 IC(200) 또는 터치 IC(300)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셀프 인셀 터치 방식으로 터치를 센싱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소형 사이즈로 제조되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 하나의 칩(single 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데이터 보정부는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터치 IC(300)의 내부 또는 드라이버 IC(200)에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중형 사이즈 이상으로 제조되어 모니터 또는 TV에 적용되는 경우, 게이트 드라이버는 ASG(Amorphous Silicon Gate) 방식 또는 GIP(Gate In Panel) 방식으로 액정 패널의 기판 위에 직접화 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 데이터 드라이버, 터치 IC(300) 및 터치 데이터 보정부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부 구성들이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DATA)를 정렬하여 프레임 단위의 디지털 형태의 RGB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에 공급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는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TS)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의 제어를 위한 게이트 제어 신호(GCS) 및 데이터 드라이버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생성한다. 타이밍 신호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및 클럭신호(CLK)를 포함한다.
게이트 제어 신호(GCS)를 게이트 드라이버에 공급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DCS)를 데이터 드라이버에 공급한다.
데이터 제어 신호(DCS)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소스 샘플링 클럭(SSC: Source Sampling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SOE: Source Output Enable) 및 극성 제어(POL: Polarity)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제어 신호(GCS)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및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GOE: Gate Output Enable)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GCS)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소들에 형성된 TFT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캔 신호(게이트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스캔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화소들의 TFT를 구동시킨다.
데이터 드라이버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R, G, B)를 감마 전압(GMA)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데이터 신호)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데이터 드라이버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데이터 제어 신호(DCS)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을 패널(100)의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복수의 화소에 공급한다. 또한, 데이터 드라이버는 공통 전압(Vcom)을 생성하여 복수의 터치 전극에 공급하여 화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드라이버 IC(200)는 멀티플렉서(MUX)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룩업 테이블(LUT)에는 그레이 별 DTX 보상 값이 저장되어 있다.
셀프 인셀 터치 방식의 터치 센싱을 위해 드라이버 IC(200)에 1개의 멀티플렉서(MUX)를 구성하였다. 드라이버 IC(200)에 3:1 멀티플렉서(MUX)가 구성되어 있으며, 80개의 채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반드시 1개의 멀티플렉서를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터치 IC(300)에 형성 가능한 채널의 개수에 따라서 멀티플렉서의 개수는 2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80개의 채널을 가지는 3:1 멀티플렉서(MUX)를 이용하여 240개의 터치 전극을 3개의 터치 그룹(MUX #1, MUX #2, MUX#3)으로 분할하여, 80개 터치 전극 단위로 터치를 센싱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총 240개의 터치 전극이 구성된 경우, 80개 채널을 가지는 3:1 멀티플렉서 1개를 이용하면 80개의 터치 전극을 동시에 센싱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라서 로드가 달라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셀프 인셀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터치 전극의 배치 구조와, 터치 전극들을 연결하는 함에 따라서 각 터치 전극 별로 저항 값이 달라지게 된다. 이는 터치 전극들을 연결하는 터치 센싱 라인의 길이가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서 각 터치 전극의 기본 커패시턴스가 달라지게 된다.
터치 IC(300)의 채널의 저항은 액티브 영역(A/A)의 저항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으로 터치 센싱 라인이 라우팅되어 발생되는 저항의 합이 된다.
터치 IC(300)가 20개 채널을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단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들을 센싱하는 첫 번째 채널의 저항 값은 약 6643이다.
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들을 센싱하는 마지막 채널과 연결된 제20 라인의 저항 값은 약 490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 내에서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라서, 저항 값이 달라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른 저항 값이 상이함으로 인해서,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라서 DTX 크기에 편차가 발생하게 됨으로 본 발명에서는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른 저항 값을 보상하여 DTX 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그레이 별 DTX 보상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 9를 결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른 저항 값을 보상함과 아울러, 화면 변화에 따른 DTX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멀티플렉서(MUX)의 3개의 터치 그룹(MUX #1, MUX #2, MUX#3) 별로 평균 그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평균 그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DTX 값을 보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형성된 240개의 터치 전극을 80개씩 3개의 터치 그룹(MUX#1, MUX#2, MUX#3)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센싱 한다. 80개의 터치 전극의 평균 그레이 정보에 따른 제1 DTX 값과 해당 터치 전극의 평균 그레이 정보에 따른 제2 DTX 값의 차이에 해당하는 DTX 보상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DTX 보상 값을 터치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화면 변화에 따른 DTX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240개의 터치 전극(12x20=240)이 형성된 경구, 3:1 멀티플렉서(MUX)를 적용하여 80개 터치 전극 단위로 터치를 센싱 한다.
터치 그룹(MUX#1, MUX#2, MUX#3) 별로 평균 픽셀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각 터치 그룹에 구성된 80개의 터치 전극 별 평균 픽셀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터치 그룹 별 평균 픽셀 정보와 터치 전극 별 평균 픽셀 정보는 드라이버 IC에서 생성할 수 있다.
터치 그룹 별 평균 픽셀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그룹 별 평균 그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터치 전극 별 평균 픽셀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전극 별 평균 그레이 정보를 생성한다. 터치 그룹 별 평균 그레이 정보와 터치 전극 별 평균 그레이 정보에 따라 룩업 테이블(LUT)에서 DTX 값을 로딩한다.
이후, 터치 그룹의 평균 그레이 정보에 해당하는 제1 DTX 값과 해당 터치 전극의 평균 그레이 정보에 해당하는 제2 DTX 값을 이용하여, 전체 240개 터치 전극의 터치 전극의 DTX 보상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IC를 나타내는 것으로,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른 저항을 보상하는 저항 보상부를 포함하는 터치 IC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터치 IC(300)가 20개 채널을 가지는 경우에, 20개의 저항 편차 보상부(310)가 형성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체 터치 전극의 DTX 보상 값을 산출할 때, 터치 전극들의 위치에 따른 로드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서 터치 IC(300) 내부에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터치 IC(300)의 각 채널 별로 저항 보상(3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로드를 고려하여 터치 IC(300)의 모든 채널이 동일한 저항 값을 가지도록 복수의 저항 보상(310)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310)는 가변 저항이 적용될 수 있으며, 터치 IC(300)의 각 채널의 로드가 상이함으로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310)의 편차 보상 저항 값도 상이하게 설정된다.
도 11은 블랙 화면 패턴과 화이트 화면 패턴일 때의 DTX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블랙 패턴 대비 화이트 패턴에서 터치 전극의 로드가 크기 때문에, Vref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커지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V_White > △V_Black 가 된다. 반대로, 로드가 큰 터치 전극에서는 차징 전압이 감소하여 로우 데이터가 커지게 된다.
블랙 패턴 대비 화이트 패턴에서의 터치 전극의 차징 전압이 커지게 되면, 터치 로우 데이터(touch raw data) 값은 작아지며, 반대로 차징 전압이 작아지면 터치 로우 데이터의 값은 커지게 된다. 즉, 로드가 작은 터치 전극에서는 터치 로우 데이터가 작아지게 되고, 로드가 큰 터치 전극에서는 터치 로우 데이터가 커지게 된다.
여기서, 평균값은 동일하기 때문에 블랙 패턴 대비 화이트 패턴일 때 로드가 작은 터치 전극에서는 차징(charging) 전압이 증가하여 로우 데이터(raw data)가 작아지게 된다.
블랙 패턴 대비 화이트 패턴에서 로드가 더 크기 때문에 일정한 전류가 공급될 때 차징 슬로프(slope)가 달라지게 되어 Vref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게 된다(t2>t1).
블랙 패턴일 때와 화이트 패턴일 때, 모든 터치 전극의 평균 값은 동일하지만, 차징 시간이 달라지기 때문에 △V_Black과 △V_White가 달라지게 된다 (△V_White > △V_Black).
△V_White > △V_Black 크고, 평균값이 동일하기 때문에 V_#1_Black < V_#1_White 되고, V_#N_Black > V_#N_White 가 된다.
따라서, 터치 전극의 채널의 로드를 동일하게 설계하면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른 DTX 편차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2는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서 터치 전극들의 위치에 따른 저항 편차를 보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편자 보상 저항 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가 온(power on)된 이후에, 터치 IC(300)에 형성된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310)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초기 설정한다.
터치 IC(300)의 각 채널 별 편차 보상 저항 값이 동일한 상태(default 값)에서 각 채널의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센싱(sensing) 한다. 로우 데이터를 센싱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영역 및 라우팅 저항 편차로 인해서 센싱된 로우 데이터에 편차가 발생된다.
이어서,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310)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앞에서 센싱된 로우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치 IC(300)의 채널 별로 로우 데이터의 타겟(target) 값을 설정한다.
이후, 터치 IC(300)의 각 채널 별로 로우 데이터가 타겟 값과 동일(raw data = target)해지도록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310)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설정한다. 즉, 터치 IC(300)에 형성된 복수의 채널의 로드 값이 동일해지도록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310)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설정한다.
이어서,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310)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설정한 이후에 터치 IC(300)의 각 채널의 로우 데이터를 센싱하여 로우 데이터의 오차가 있는 확인 한다. 즉, 로우 데이터가 설정한 타겟 값에 만족하는지 확인 한다.
터치 IC(300)의 각 채널의 로우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채널의 로드 균일도(uniformity)를 산출한다.
여기서, 각 채널의 로드 즉, 각 채널의 로우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표준편차를 넘어서는 오차를 가지는 경우에는 터치 IC(300)에 형성된 복수의 채널의 로드 값이 동일해지도록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310)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재 설정한다.
각 채널의 로드 즉, 각 채널의 로우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표준편차 이내의 오차를 만족할 때까지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310)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재 설정한다.
각 채널의 로드 즉, 각 채널의 로우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표준편차 이내의 오차를 가지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310)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서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른 저항 값을 보상하여, 터치 전극의 위치에 따른 DTX 편차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터치 전극의 화면 패턴 변화뿐만 아니라, 주면 터치 전극들의 화면 패턴 변화를 반영하여 전체 터치 전극의 DTX 보상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셀프 인셀 터치 센싱 방식에서 화면 변화에 따른 오토 터치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시, 양상 편차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터치 불량이 발생될 수 있지만 양산이 완료된 제품의 재가공(rework)은 제약 사항이 많아 터치 불량의 개선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이와 대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양산 편차에 따라 터치 에러 데이터를 보상하여, 양상 편차에 따른 터치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산성을 높이고, 터치 불량률을 저감하여 제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드라이버 IC(200)에 3:1 멀티플렉서가 1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여러 실시 예들 중에서 하나를 설명한 것이다. 터치 IC(300)의 사이즈로 인해 구성할 수 있는 채널의 개수에 제약이 있음으로 3:1 멀티플렉서 1개를 구성한 것으로, 1:1, 2:2 또는 4:1 6:1 멀티플렉서를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240개의 터치 전극을 3개의 그룹으로 분할하여 80개씩 순차적으로 센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240개의 터치 전극을 동시에 센싱 할 수도 있고, 40 또는 20개의 터치 전극 단위로 순차적으로 센싱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 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200: 드라이버 IC
300: 터치 IC 310: 저항 편차 보상부
400: 룩업 테이블

Claims (21)

  1. 복수의 터치 전극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에 프레임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 및
    복수의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을 센싱하는 터치 IC;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IC 또는 상기 드라이버 IC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채널의 저항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에서 센싱된 로우 데이터가 타겟 값과 동일해지도록 상기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설정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의 저항이 동일하거나 또는 표준편차 이내의 값을 가지도록 상기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이 설정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의 로우 데이터가 동일하거나 또는 표준편차 이내의 값을 가지도록 상기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이 설정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는 가변 저항으로 구성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5. 복수의 채널이 형성된 터치 IC에서 상기 복수의 채널의 저항 편차를 보상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터치 전극을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IC에 형성된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초기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채널의 로우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채널의 로우 데이터의 타겟 값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의 로우 데이터가 상기 타겟 값과 동일해지도록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설정하여 상기 복수의 채널의 저항 편차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을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채널의 로우 데이터를 센싱하여 상기 타겟 값을 만족하는지 확인 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채널의 로우 데이터가 상기 타겟 값을 만족할 때까지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의 저항이 동일하거나 또는 표준편차 이내의 값을 가지도록 상기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설정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의 로우 데이터가 동일하거나 또는 표준편차 이내의 값을 가지도록 상기 복수의 저항 편차 보상부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설정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11.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복수개의 터치 전극에서의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센싱 블록; 및
    상기 복수개의 터치 전극에 각각 연결된 채널들간의 저항 편차를 보상하는 하나 이상의 저항 편차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에서 센싱된 로우 데이터가 타겟 값과 동일해지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저항 편차 보상부의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집적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블록 및 상기 저항 편차 보상부는 단일 칩 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집적 회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저항 편차 보상부는, 상기 각 채널들의 저항이 동일한 값을 갖거나 표준편차 이내의 값을 갖도록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집적 회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저항 편차 보상부는, 상기 각 채널을 통해 획득되는 로우 데이터가 동일한 값을 갖거나 표준편차 이내의 값을 갖도록 편차 보상 저항 값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집적 회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저항 편차 보상부는, 가변 저항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집적 회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 전극들은 복수개의 터치 그룹으로 그룹핑되어 있고,
    상기 터치 센싱 블록은, 각 터치 그룹에 포함된 화소들의 그레이 값을 기초로 결정된 제1 DTX(Display Touch Crosstalk)값 및 각 터치 그룹의 특정 터치 전극에 포함된 화소들의 그레이값을 기초로 결정된 제2 DTX값을 기초로 DTX 보상값을 산출하고, 상기 DTX 보상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터치 전극에서 센싱된 터치 로우 데이터를 보상하고, 상기 보상된 터치 로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터치 전극에서의 터치를 검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집적 회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TX값은 상기 각 터치 그룹에 포함된 화소들의 그레이 값을 평균한 제1 평균값에 대응되는 DTX값이고,
    상기 제2 DTX값은 상기 각 터치 그룹의 특정 터치 전극에 포함된 화소들의 그레이값을 평균한 제2 평균값에 대응되는 DTX값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집적 회로.
  18. 제17항에 있어서,
    그레이 값 별로 DTX값이 매핑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싱 블록은는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평균값에 해당하는 제1 DTX값과 상기 제2 평균값에 해당하는 제2 DTX값을 로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집적 회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채널들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입력단자를 갖는 MUX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그룹은 상기 MUX에서 동일한 입력단자에 연결된 터치 채널들과 연결되어 있는 터치 전극들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집적 회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복수개의 화소에 프레임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드라이버 IC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항 편차 보상부 및 상기 드라이버 IC는 단일 칩 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집적 회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집적 회로는 터치IC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집적 회로.
KR1020130091061A 2013-07-31 2013-07-31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725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061A KR101725033B1 (ko) 2013-07-31 2013-07-31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061A KR101725033B1 (ko) 2013-07-31 2013-07-31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646A KR20150015646A (ko) 2015-02-11
KR101725033B1 true KR101725033B1 (ko) 2017-04-10

Family

ID=52572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061A KR101725033B1 (ko) 2013-07-31 2013-07-31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0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3185B2 (en) 2021-09-17 2024-02-06 Apple Inc. Pixel array and touch array crosstalk mitigation system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159B1 (ko) * 2017-06-22 2021-10-29 주식회사 지2터치 먹스와 센서 스위치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KR20220094876A (ko) 2020-12-29 202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086B1 (ko) 2010-09-29 2011-11-18 이성호 레벨시프트를 이용한 정전식 터치 검출수단, 검출방법 및 터치스크린패널과, 그러한 정전식 터치스크린패널을 내장한 표시장치
KR101197460B1 (ko) * 2012-01-27 2012-11-12 크루셜텍 (주) 기생 정전 용량을 저감시키는 터치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621B1 (ko) * 2000-07-04 2007-01-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KR101333000B1 (ko) * 2010-07-22 2013-11-25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입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086B1 (ko) 2010-09-29 2011-11-18 이성호 레벨시프트를 이용한 정전식 터치 검출수단, 검출방법 및 터치스크린패널과, 그러한 정전식 터치스크린패널을 내장한 표시장치
KR101197460B1 (ko) * 2012-01-27 2012-11-12 크루셜텍 (주) 기생 정전 용량을 저감시키는 터치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3185B2 (en) 2021-09-17 2024-02-06 Apple Inc. Pixel array and touch array crosstalk mitigation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646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740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US9946400B2 (en) Display device
KR20150002202A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TWI485593B (zh) 具有一整合觸控式螢幕的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TWI608388B (zh) 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與驅動電路
EP2881845B1 (en) Touch display device
US9952717B2 (en) Display device with common voltage compensation
KR101367133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구동 장치
KR10168296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인식 방법
JP5232949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792404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sensing unit for compensation driving
EP330166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40137096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308851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5957490B (zh) 驱动电路及具有该驱动电路的液晶显示器
JP2017102454A (ja) 表示装置
KR102235495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102098681B1 (ko) 인 셀 터치 액정표시장치
KR101725033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70026977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및 터치 구동 회로
KR101337258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842064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2302135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06709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711591B1 (ko)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 및 터치 집적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