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823B1 -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 - Google Patents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823B1
KR101724823B1 KR1020150041271A KR20150041271A KR101724823B1 KR 101724823 B1 KR101724823 B1 KR 101724823B1 KR 1020150041271 A KR1020150041271 A KR 1020150041271A KR 20150041271 A KR20150041271 A KR 20150041271A KR 101724823 B1 KR101724823 B1 KR 101724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plate
surface direction
undercut portion
convex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074A (ko
Inventor
심재기
김태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1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823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는, 일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인 제1셀과, 일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인 제2셀이 각각 교번되어 다수 개 형성된 제1판재; 일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인 제3셀과, 일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인 제4셀이 각각 교번되어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1판재와 결합되는 제2판재; 및 상기 제1판재와 상기 제2판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충진되는 유동성 있는 고상의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판재와 상기 제2판재는, 상기 제1셀에 상기 제3셀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4셀에 상기 제2셀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 {MULTILAYER COMPOSITE PANEL FOR HIGH TEMPERATURE INSULATION}
본 발명은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판재 사이에 유동성 있는 고상의 단열재를 충진시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리카(SiO2)를 이용하여 제조된 단열재(에어로젤)는 건축/우주산업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순수한 에어로젤은 충격에 의해 깨지기 쉽고,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약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자동차 부품 등에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종래에는 에어로젤을 분말 형태로 가공하여 복합판넬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강판 사이에 에어로젤과 접착제를 혼합시켜 강판과 에어로젤을 접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때 접착제가 건조되면서 단단한 층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성형시 접착층이 깨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성형성이 우수한 에어로젤 활용 복합판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에 종래의 에어로젤 복합판재(1)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2) 사이에 에어로젤(4)을 삽입하는데, 에어로젤(4)과 강재(2) 사이를 접합시키기 위해 접착제(3)를 이용한 것을 볼 수 있다. 접착제(3)가 없다면 에어로젤(4)이 강재(2) 사이에 고정되지 못하기 때문에 접착제(3)를 생략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접착제(3)가 경화된 후에 복합판재(1)를 가공할 경우, 접착제(3)층이 깨어져 에어로젤(4)이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2에는 종래의 "다층 복합 판재"(대한민국등록특허 10-1461919 (2014.11.19))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상부판재(10)와 하부판재(20)를 기계적으로 결합시켜 단열재인 공기가 머물 수 있는 셀(11)을 형성시키는데, 이러한 셀(11)을 형성시키기 위해 언더컷(12)과 가압부(13)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언더컷을 이용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복수 개의 판재를 결합시킬 때 내부를 밀폐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공기가 판재 내외를 쉽게 오가면서 단열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기의 단열 성능이 높지 않기 때문에 고온 단열용으로 사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로젤 복합판재의 성형성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복합판재를 제조하고, 에어로젤이 판재 내부에서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제작함으로써 프레스 가공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61919 (2014.11.19)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상 단열재와 언더컷 가공을 활용하여 성형성과 고온 단열성이 우수한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는, 일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인 제1셀과, 일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인 제2셀이 각각 교번되어 다수 개 형성된 제1판재; 일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인 제3셀과, 일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인 제4셀이 각각 교번되어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1판재와 결합되는 제2판재; 및 상기 제1판재와 상기 제2판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충진되는 유동성 있는 고상의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판재와 상기 제2판재는, 상기 제1셀에 상기 제3셀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4셀에 상기 제2셀이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셀 및 제2셀은, 상기 제1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언더컷부와 상기 제1판재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가압부에 의해 각각 구획되어, 각각의 요(凹)부 바닥면에서 개방된 면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제3셀 및 제4셀은, 상기 제2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언더컷부와 상기 제2판재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가압부에 의해 구획되어, 각각의 요(凹)부 바닥면에서 개방된 면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며, 상기 제1언더컷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1셀과 상기 제2셀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셀의 요(凹)부 바닥면과 상기 제2셀의 요(凹)부 바닥면을 연결하며, 상기 제1판재의 평면에서 예각 30~7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가압부는, 제1판재의 표면에 상기 제1언더컷부와 엇갈리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언더컷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3셀과 상기 제4셀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셀의 요(凹)부 바닥면과 상기 제4셀의 요(凹)부 바닥면을 연결하며, 상기 제2판재의 평면에서 예각 30~7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가압부는, 제2판재의 표면에 상기 제2언더컷부와 엇갈리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판재는, 상기 제2판재보다 넓게 형성되고, 가장자리가 헤밍 가공되어 상기 제2판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셀과 상기 제3셀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되는 사이에 제1룸이 형성되고, 상기 제2셀과 상기 제4셀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되는 사이에 제2룸이 형성되며, 상기 제1룸과 상기 제2룸은 각각 다수 개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단열재는, 수분산처리된 에어로젤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언더컷 형상으로 접힌 판재가 펴지면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스 가공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의 단열판을 제조할 수 있다.
둘째, 에어로젤이 수용되는 많은 셀들로 압력이 분산되므로 내구성이 뛰어나다.
셋째, 에어로젤을 판재에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 등의 바인더가 최소화되므로 가공성과 고온 내구성이 뛰어나다.
도 1은 종래의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언더컷 형상 복합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의 A-A 단면도.
도 5는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의 B-B 단면도.
도 6은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의 C-C 단면도.
도 7은 헤밍 가공된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의 단부를 나타낸 단면도.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는, 일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인 제1셀(100)과, 일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인 제2셀(200)이 각각 교번되어 다수 개 형성된 제1판재(10), 일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인 제3셀(300)과, 일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인 제4셀(400)이 각각 교번되어 다수 개 형성된 제2판재(20) 및 제1판재(10)와 제2판재(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충진되는 유동성 있는 고상의 단열재(A) 를 포함한다.
이때, 제1판재(10)와 제2판재(20)는, 제1셀(100)에 제3셀(300)이 끼움 결합되고, 제4셀(400)에 제2셀(200)이 끼움 결합됨으로써 제1판재(10)와 제2판재(20)는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렇게 기계적인 결합 방식을 택함으로써, 단열재(A)가 제1판재(10)와 제2판재(20) 사이에 고정되면서도, 접착제에 의해 경화되지 않아 프레스나 롤링 가공 등의 판재 가공시에 단열재(A)의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단열재(A)는 어느 정도의 유동성이 있는 고상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를 추가적으로 가공할 때, 압력에 따라 제1판재(10)와 제2판재(20)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다. 만약 단열재(A)가 단단하게 경화되어 있다면, 가공시 제1판재(10)와 제2판재(20) 사이에서 깨짐으로써, 단열 성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판재 자체의 강도 또한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A)는 겔(gel)이나 유동체, 분말과 같이 유동성이 있는 재질을 선정해야 한다. 더 자세히는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단열재(A)를 수분산처리된 졸 형태의 에어로젤을 적용하였다.
제1판재(1)와 제2판재(2)는 일반적인 프레스 가공에 사용할 수 있다면 어떤 재질이든 무관하지만, 고온 환경에서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상, 가공성과 내열성이 높은 금속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판재(10)의 표면에는 일정한 형상의 제1셀(100) 및 제2셀(200)이 각각 형성되고, 제2판재(20)의 표면에는 일정한 형상의 제3셀(300) 및 제4셀(400)이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판재와 같은 삼각형이나,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제1판재(10)와 제2판재(20)를 결합시키기 위해 언더컷부를 형상시키는 본 발명의 특성상, 직선이 존재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셀(100)과 제3셀(300), 제2셀(200)과 제4셀(400)의 형태는 각각 서로 닮은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셀(100)에 제3셀(300)이 삽입되거나, 제4셀(400)에 제2셀(200)이 삽입되는 것이 용이해지기 위해서이다. 다만,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셀(100)은 제3셀(300)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제4셀(400)은 제2셀(20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판재(10)는 제2판재(20)보다 넓게 형성되고, 제1판재(10)의 가장자리를 접어 제2판재(20)를 감싸 헤밍 가공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A)는 유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제1판재(10)와 제2판재(20)의 결합면을 따라 가장자리로 새어 나올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A)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판재의 가장자리를 폐쇄시킬 필요가 있다. 다층으로 구성된 판재의 가장자리를 폐쇄하는 방법은 다양하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끝단을 접어 올리는 헤밍 공정을 적용하였다. 용접이나 리벳 등의 방법으로 가장자리를 폐쇄할 수도 있으나, 헤밍은 용접이나 리벳에 비해 공정이 간단하고, 필요에 의해 제1판재(10)와 제2판재(20)를 분리시켜야 하는 상황에서는 용접이나 리벳 접합된 판재에 비해 분리시키는 것이 쉽기 때문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셀(100)과 제3셀(300)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되는 사이에 제1룸(130)이 형성되고, 제2셀(200)과 제4셀(400)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되는 사이에 제2룸(230)이 형성되며, 제1룸(130)과 제2룸(230)은 각각 다수 개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룸(130)과 제2룸에는 단열재(A)가 충진되어 단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판재를 가공할 때 제1룸(130) 및 제2룸(230)이 각각 폐쇄되어 있다면, 판재의 변형에 따라 충진된 단열재가 유출되거나 판재의 변형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제1룸(130)과 제2룸(230)은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인접한 다른 제1룸(130) 및 제2룸(230)과 연결되어 단열재(A)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셀(100)이 제3셀(300)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4셀(400)이 제2셀(200)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그 크기 차이에 의한 틈새를 통해 단열재(A)가 유동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셀(100) 및 제2셀(200)은, 제1판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언더컷부(110)와 제1판재(1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가압부(120)에 의해 각각 구획되어, 각각의 요(凹)부 바닥면에서 개방된 면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고, 제3셀(300) 및 제4셀(400)은, 제2판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언더컷부(120)와 제2판재(2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가압부(220)에 의해 구획되어, 각각의 요(凹)부 바닥면에서 개방된 면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진다.
제1언더컷부(110)는, 서로 인접한 제1셀(100)과 제2셀(200)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제1셀(100)의 요(凹)부 바닥면과 제2셀(200)의 요(凹)부 바닥면을 연결하며, 제1판재(10)의 평면에서 예각 30~7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제2언더컷부(120)는, 서로 인접한 제3셀(300)과 제4셀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제3셀(300)의 요(凹)부 바닥면과 제4셀(400)의 요(凹)부 바닥면을 연결하며, 제2판재(20)의 평면에서 예각 30~7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언더컷부는, 판재상에 복수 개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인접한 다른 언더컷부와 다른 방향으로 절곡된다. 즉, 판재상의 일방향으로 절곡된 언더컷부에 바로 인접한 다른 언더컷부들은 판재상의 타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이렇게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언더컷부에 의해 각각의 셀이 판재의 평면 방향으로 개방될지, 혹은 저면 방향으로 개방될지가 결정된다.
언더컷부의 각도가 작아질수록 가공성이 좋아지는데, 이는 언더컷부를 형성하는 부분이 가공시에 펴지면서 변형되기 때문이다. 즉, 언더컷부의 각도가 작다는 것은 언더컷부를 이루는 판재의 길이가 길어진다는 것을 뜻하고, 이러한 길이만큼 가공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다만, 언더컷부의 각도가 지나치게 작아지면 가공이 어려워지고, 언더컷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판재의 길이도 길어지므로 같은 양의 판재로 더 적은 양의 복합판재(100)가 제조되므로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언더컷부의 각도는 3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언더컷부의 각도가 커질수록 언더컷부의 가공은 쉬워지지만 결합된 판재가 분리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완성된 복합판재(100)의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언더컷부의 최대 각도는 70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압부(120)는, 제1판재(10)의 표면에 제1언더컷부(110)와 엇갈리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가압부(220)는, 제2판재(20)의 표면에 제2언더컷부(120)와 엇갈리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제1가압부(120) 및 제2가압부(220)는, 제1언더컷부(110) 및 제2언더컷부(210)와 수직으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사각형의 셀을 형성시킬 수도 있고, 사선 형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삼각형의 셀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셀의 형상은 판재가 필요로 하는 가공성이나 내열성의 정도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셀을 사각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와 언더컷부를 수직하게 배치하였다.
삭제
단열재(A)로서 바인더를 완전히 제거한 졸 형태의 수분산처리 에어로젤을 사용할 때는 별다른 첨가제 없이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삭제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 제조 방법은, 사이에 유동성 있는 고상의 단열재(A)가 배치된 파형의 제1판재(10)와 제2판재(20)를 동시에 언더컷 롤금형에 통과시켜 제1판재(10)와 제2판재(20)를 끼움 결합시키는 판재 결합 단계(S10), 판재 결합 단계(S10)에서 결합된 제1판재(10) 및 제2판재(20)에서 제1판재(10)의 가장자리를 접어 제2판재(20)를 감싸는 헤밍 가공 단계(S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판재(10)와 제2판재(20) 사이에 유동성 있는 고상의 단열재(A)를 배치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단열재(A)의 유동성으로 인해 판재들의 결합면을 통해 단열재(A)가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판재(10)의 가장자리를 접어 올리는 헤밍 가공으로 제1판재(10)와 제2판재(20) 사이의 틈을 폐쇄시키는 것이다.
판재 결합 단계(S20)는, 제1판재(10)와 제2판재(20)를 각각 파형 롤금형에 통과시키는 형상 가공 과정(S21a)과, 형상 가공 과정(S21a)에서 파형으로 가공된 제1판재와 제2판재가 결합될 면에 단열재(A)를 도포하는 도포 과정(S22a)을 거칠 수도 있고, 형상 가공 과정과 도포 과정의 순서를 바꾸어 제1판재(10)와 제2판재(20)가 결합될 면에 단열재(A)를 도포하는 도포 과정(S21b)과, 도포 과정(S21b)에서 단열재(A)가 도포된 제1판재(10)와 제2판재(20)를 각각 파형 롤금형에 통과시키는 형상 가공 과정(S22b)을 거칠 수도 있다.
단열재가 수분산 처리된 에어로젤일 경우, 에어로젤과 판재의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먼저 판재를 파형으로 가공한 후 단열재(A)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재 결합 단계(S20)는, 제1판재(10), 제2판재(20) 및 제1판재(10)와 제2판재(20) 사이에 배치된 단열재(A)를 동시에 언더컷 롤금형에 통과시켜 제1판재(10)와 제2판재(20)를 언더컷 형상으로 가공하여 끼움 결합시키는 결합 과정(S23)을 더 포함한다.
파형으로 가공되고 사이에 단열재(A)가 배치되어 있는 제1판재(10)와 제2판재(20)를 동시에 언더컷 롤금형에 통과시켜서 언더컷부를 형성시키는데, 이렇게 언더컷부가 형성됨으로써 제1판재(10)와 제2판재(20)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제1판재(10)와 제2판재(20)가 결합되는 형상에 대해서는 상술한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종래의 복합판재 2: 금속판재
3: 접착제 10: 제1판재
20: 제2판재 11: 셀
12: 언더컷 13: 가압부
100: 제1셀 110: 제1언더컷부
120: 제1가압부 130: 제1룸
200: 제2셀 210: 제2언더컷부
220: 제2가압부 230: 제2룸
300: 제3셀 400: 제4셀
A: 단열재

Claims (12)

  1. 일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인 제1셀과, 일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인 제2셀이 각각 교번되어 다수 개 형성된 제1판재;
    일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인 제3셀과, 일면 방향으로 철(凸) 형상이고 타면 방향으로 요(凹) 형상인 제4셀이 각각 교번되어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1판재와 결합되는 제2판재; 및
    상기 제1판재와 상기 제2판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충진되는 유동성 있는 고상의 단열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판재와 상기 제2판재는, 상기 제1셀에 상기 제3셀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4셀에 상기 제2셀이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셀 및 제2셀은, 상기 제1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언더컷부와 상기 제1판재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가압부에 의해 각각 구획되어, 각각의 요(凹)부 바닥면에서 개방된 면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제3셀 및 제4셀은, 상기 제2판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언더컷부와 상기 제2판재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가압부에 의해 구획되어, 각각의 요(凹)부 바닥면에서 개방된 면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며,
    상기 제1언더컷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1셀과 상기 제2셀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셀의 요(凹)부 바닥면과 상기 제2셀의 요(凹)부 바닥면을 연결하며, 상기 제1판재의 평면에서 예각 30~7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가압부는, 제1판재의 표면에 상기 제1언더컷부와 엇갈리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언더컷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3셀과 상기 제4셀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3셀의 요(凹)부 바닥면과 상기 제4셀의 요(凹)부 바닥면을 연결하며, 상기 제2판재의 평면에서 예각 30~7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가압부는, 제2판재의 표면에 상기 제2언더컷부와 엇갈리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판재는, 상기 제2판재보다 넓게 형성되고, 가장자리가 헤밍 가공되어 상기 제2판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셀과 상기 제3셀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되는 사이에 제1룸이 형성되고,
    상기 제2셀과 상기 제4셀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어 서로 끼움 결합되는 사이에 제2룸이 형성되며,
    상기 제1룸과 상기 제2룸은 각각 다수 개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수분산처리된 에어로젤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41271A 2015-03-25 2015-03-25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 KR101724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271A KR101724823B1 (ko) 2015-03-25 2015-03-25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271A KR101724823B1 (ko) 2015-03-25 2015-03-25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074A KR20160116074A (ko) 2016-10-07
KR101724823B1 true KR101724823B1 (ko) 2017-04-10

Family

ID=5714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271A KR101724823B1 (ko) 2015-03-25 2015-03-25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926B1 (ko) * 2017-10-24 2022-10-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차음 복합판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4473A (ja) 2011-01-28 2012-08-16 Mag Isover Kk 断熱構造体
KR101288869B1 (ko) * 2012-12-10 2013-07-23 주식회사 새한산업 다층 복합 판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940B1 (ko) * 2012-08-21 2014-07-08 엔케이에스주식회사 다층 시트재의 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다층 시트재
KR20140039493A (ko) * 2012-09-24 2014-04-02 조영수 에어로젤 함유 단열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61919B1 (ko) 2013-12-31 2014-11-1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다층 복합 판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4473A (ja) 2011-01-28 2012-08-16 Mag Isover Kk 断熱構造体
KR101288869B1 (ko) * 2012-12-10 2013-07-23 주식회사 새한산업 다층 복합 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074A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2171B2 (en) Lamination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733900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の製造方法及びプレート式熱交換器
KR20090050063A (ko) 조직화된 복합 시트
EP2138641A3 (de) Bauelement zur Wärmedämmung und Dämmmaterial für Bauanwendungen
CN102189680B (zh) 均温板及其封边方法
KR101724823B1 (ko) 고온 단열용 다층 복합 판재
WO2016145526A1 (en) Heat exchangers with plates having surface patterns for enhancing flatnes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7841386B2 (en) Anti-breaking structure for end closure of heat pipe
RU2018143309A (ru) Слоистые композитные конструкции с межслойными гофрами для улучшения стойкости к ударным нагрузкам и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х образования
KR101880167B1 (ko) 차량용 히트 프로텍터
CN106152818A (zh) 换热片及其制作工艺
JP7151573B2 (ja) 閉断面構造体
ITTO20111182A1 (it) Connessione per pannelli roll-bond
EP2463472B1 (en) Pane spacer
JP6491005B2 (ja) 複合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温度調節パネル
KR101885892B1 (ko) 건축용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9273881B2 (en) Connecting piece and a method and tool for its manufacture
TW201139865A (en) Frame bar structure of cabinet skeleton
CN103418900A (zh) 双波形钢板纵横组合构件及制造工艺
CN106678367B (zh) 用于密封多结合面的密封结构
CN203373899U (zh) 双波形钢板纵横组合构件
CN101398250A (zh) 冷藏集装箱地板与侧板部位的安装结构
JP5889547B2 (ja) 金属接合体
TWM556839U (zh) 均溫板保護結構
JP2012154594A (ja) プレート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