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498B1 -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498B1
KR101724498B1 KR1020150143587A KR20150143587A KR101724498B1 KR 101724498 B1 KR101724498 B1 KR 101724498B1 KR 1020150143587 A KR1020150143587 A KR 1020150143587A KR 20150143587 A KR20150143587 A KR 20150143587A KR 101724498 B1 KR101724498 B1 KR 101724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flange
crash box
ho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준
김현경
박석재
최영호
김준엽
소철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3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3/18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preformed layer being a lining, e.g. shaped in the mould before compression moulding, or a preformed shell adapted to the shape of the mould
    • B29C43/18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preformed layer being a lining, e.g. shaped in the mould before compression moulding, or a preformed shell adapted to the shape of the mould shaped by the compression of the material during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3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충돌로 인한 압착 붕괴 시, 충격 에너지를 크게 흡수하고 차체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저 중량인 차량용 크래쉬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는, 범퍼 빔에 연결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차체에 장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및 상기 플랜지는 직조된 프리프레그를 삽입하고 수지를 주입하여 압축 성형되며, 상기 프리프레그는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와 상기 경사에 교차 방향으로 직조되는 위사를 포함하며, 상기 위사의 간격은 차체의 원방에서 최대로 형성하고, 차체에 가까워지면서 작아진다.

Description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제조방법 {CRASH BOX FOR VEHICH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 시, 압착 붕괴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범퍼 빔을 차체에 설치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충돌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승객과 차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차체의 전방과 후방에 범퍼 빔 모듈을 각각 구비한다. 범퍼 빔 모듈은 범퍼 빔과 크래쉬 박스를 포함한다.
크래쉬 박스는 범퍼 빔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써, 범퍼 빔과 차체 사이에 구비된다. 크래쉬 박스는 차량 충돌시 적절하게 압착 붕괴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따라서 크래쉬 박스는 차체에 균등하게 지지되어 최적의 중량으로 충격 에너지에 대한 높은 흡수 효율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일례를 들면, 한국 공개특허 제2015-0060451호에 차량용 크래쉬 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충돌로 인한 압착 붕괴 시, 충격 에너지를 크게 흡수하고 차체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저 중량인 차량용 크래쉬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차량용 크래쉬 박스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는, 범퍼 빔에 연결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차체에 장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및 상기 플랜지는 직조된 프리프레그를 삽입하고 수지를 주입하여 압축 성형되며, 상기 프리프레그는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와 상기 경사에 교차 방향으로 직조되는 위사를 포함하며, 상기 위사의 간격은 차체의 원방에서 최대로 형성하고, 차체에 가까워지면서 작아진다.
상기 프리프레그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스틸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프레그는 평판으로 형성되고, 관체에 감기는 기본부, 및 상기 관체의 측면 및 상기 범퍼 빔에 연결되는 대향부에 배치되어, 상기 관체의 측면 및 상기 대향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대향부에서 포개어져 배치되며, 관통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는, 상기 대향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 및 상기 보강 부재에 고정되고 토잉 훅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암나사를 구비하는 토잉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잉 너트는 상기 대향부에서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로 돌출되어 상기 대향부 외측에 제공되는 체결너트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범퍼 빔을 고정하는 체결 나사가 결합되는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향부는 상기 체결 나사가 관통되도록 상기 나사부에 대응하는 제2관통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리프레그는 상기 몸체의 상기 대향부 반대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플랜지의 내부를 형성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절곡부에 제3관통구를 구비하고, 차체에 결합되는 차체 체결 부재는 상기 플랜지의 내측을 지지하면서 상기 플랜지의 외측에서 상기 제3관통구로 돌출되는 나사부로 체결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 및 상기 플랜지는 복합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은,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와 상기 경사에 교차 방향으로 직조되는 위사를 포함하며, 상기 위사의 간격이 차체의 원방에서 최대로 형성되고, 차체에 가까워지면서 작아지는 프리프레그를 가열하여 관체에 권취하여 권취체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권취체를 코어 금형에 배치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권취체를 삽입하여 상기 코어 금형에 캐비티 금형을 닫고 수지를 주입하고 압축 성형하여 범퍼 빔에 연결되는 몸체와 차체에 장착되는 플랜지를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권취체의 측면 및 상기 범퍼 빔에 연결되는 대향부에 보강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보강부에 관통구를 구비하여, 상기 대향부에서 서로 포개어지게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서 절곡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권취체의 상기 대향부 반대측 단부에서 상기 보강부의 단부를 절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은, 성형된 몸체에서 상기 대향부의 내측에 보강 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보강 부재에 고정되고 토잉 훅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암나사를 구비하는 토잉 너트를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로 돌출하여 상기 대향부 외측에서 체결너트로 체결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범퍼 빔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는 크래쉬 박스의 몸체와 플랜지를 프리프레그와 수지로 압축 성형하며, 프리프레그의 위사 간격을 차체의 원방에서 최대로 형성하고 근방으로 오면서 작아지게 하므로 차량 충돌로 인한 압착 붕괴 시, 몸체에서 충격 에너지를 크게 흡수하고 차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속섬유로 이루어진 프리프레그를 포함하는 복합플라스틱 소재에 의하여 크래쉬 박스의 중량이 낮아짐에 따라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크래쉬 박스에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므로 토잉 너트를 구비하여 요구되는 토잉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가 적용되는 범퍼 빔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 중 프리프레그를 가열하여 관체에 권취하여 권취체를 제조하는 단계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사용되는 프리프레그(prepreg)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 중 권취체를 코어 금형에 배치하는 단계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 중 압축 성형 후 크래쉬 박스를 인출하는 단계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크래쉬 박스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가 적용되는 범퍼 빔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범퍼 빔 모듈은 차량 충돌시 충격 에너지로부터 승객과 차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되며, 범퍼 빔(10)과 크래쉬 박스(20)를 포함한다.
범퍼 빔(10)에는 범퍼(미도시)가 장착되고, 크래쉬 박스(20)는 차체(30)에 고정 설치되어, 범퍼 빔(10)을 차체(30)에 장착한다. 크래쉬 박스(20)는 복합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종래 대비 40%이상의 중량을 절감하여 차량의 경량화 및 연비 개선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크래쉬 박스(20)는 강도 및 강성과 충격 흡수 성능이 우수하여 토잉 너트(23)를 일체로 구비하므로 제작 비용 및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크래쉬 박스(20)는 범퍼 빔(10)에 연결되는 몸체(21)와 몸체(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체(30)에 장착되는 플랜지(22)를 포함한다. 크래쉬 박스(20), 즉 몸체(21) 및 플랜지(22)는 직조된 프리프레그를 삽입하고 플라스틱 수지를 주입하여 압축 성형된다.
도 4는 도 3의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크래쉬 박스(20)는 몸체(21)의 내측에 배치되는 토잉 너트(23)를 더 포함한다. 토잉 너트(23)는 토잉 훅(미도시)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암나사(231)를 구비하며, 몸체(21)의 외측에 배치되는 체결너트(24)와 수나사(232)로 체결된다.
편의상, 이하에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을 설명하면서, 크래쉬 박스(2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함께 설명한다.
일 실시예의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은 제1단계, 제2단계 및 제3단계를 포함하며, 제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 중 프리프레그를 가열하여 관체에 권취하여 권취체를 제조하는 단계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에 사용되는 프리프레그(prepreg)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프리프레그(40)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또는 스틸와이어에 의하여 평판으로 직조될 수 있다. 즉 프리프레그(40)는 차체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벋어 배치되는 경사(41)와 경사(41)에 교차 방향으로 직조되는 위사(42)를 포함한다.
경사들(41)은 이웃하는 다른 경사들(41)과 설정된 간격(D0)으로 배치된다. 이에 비하여, 위사들(42)은 이웃하는 다른 위사들(42)가 서로 다른 간격(D1~D4)으로 배치된다. 즉 위사들(42)은 차체의 원방에서 최대 간격(D1)을 형성하고, 차체에 가까워지면서 점점 작아지는 간격(D1>D2>D3>D4)을 형성한다. 이때 경사들(41)의 간격(D0)이 위사들(42)의 최소 간격(D4) 보다 더 작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리프레그(40)는 연속섬유 테이프로 형성되어 직조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연속섬유 테이프로 형성되는 위사들(42)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크래쉬 박스(20)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에 대하여 프리프레그(40)는 크래쉬 박스(20)의 선단부에서 후단부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압착 및 압괴될 수 있다.
충격 방향(y축 방향)으로 벋어 배치되는 연속섬유 테이프의 경사들(41)은 x축 방향에서 틈이 없이 서로 밀착된다. 그리고 충격 방향에 수직인 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속섬유 테이프의 위사들(42)은 y축 방향으로 설정된 간격(D1~D4)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 위사들(42)이 이격되는 간격(D1~D4)의 대소에 따라 충격 에너지에 대한 크래쉬 박스(20)의 압착 및 압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단계는 프리프레그(40)를 가열하여 관체(50)에 권취하여(도 5의 a), 관체(50)의 외주에 프리프레그(40)를 구비한다(도 5의 b). 즉 제1단계에 의하여 권취체(60)가 형성된다. 관체(50)는 권취체(60)에서 기본적인 강성을 부여하면서, 프리프레그(40)의 연속성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취약 부분을 최소화 한다.
권취체(60)는 관체(50)의 외주에 프리프레그(40)를 연속적으로 권취하여 중공 구조를 가지므로 크래쉬 박스(20)의 압축 강도를 높여서 요구의 압축 강도를 확보하고, 크래쉬 박스(20)의 단면계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즉 권취체(60)는 중공으로 형성되므로 크래쉬 박스(20)의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연비가 향상될 수 있다.
권취체(60)에서 차체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벋어 배치되는 경사(41)는 관체(5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위사(42)는 권취 방향(x축 방향)으로 관체(5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위사들(42)은 차체의 원방(y축 방향 원방)에서 최대 간격(D1)을 형성하고, 차체에 가까워지면서(좌표 중심으로 가까워지면서) 작아지는 간격(D1~D4)을 형성한다. 즉 위사들(42)은 권취체(60)에서 충격 방향으로 압착 및 압괴를 유도한다.
따라서 프리프레그(40)에서 위사들(42)의 간격(D1~D4)은 크래쉬 박스(20)에 충격 에너지가 가해지면, 크래쉬 박스(20)의 선단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압착 및 압괴를 유도하여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차체의 손상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 중 권취체를 코어 금형에 배치하는 단계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단계는 관체(50)에 프리프레그(40)를 권취하여 형성되는 권취체(60)를 코어 금형(61)에 배치한다(도 7의 a).
제2단계는 권취체(60)의 측면 및 범퍼 빔(10)에 연결되는 대향부에 보강부(43, 44)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도 7의 b 및 도 8의 실선 상태). 보강부(43, 44)를 배치하는 단계는 보강부(43, 44)에 관통구(431, 441)를 구비하여, 대향부에서 서로 포개어지게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도 7의 b 및 도 8의 실선 상태). 관통구(431, 441)는 권취체(60) 및 크래쉬 박스(20)에서 제1관통구(H1)의 형성을 가능케 하여, 제1관통구(H1)에 토잉 너트(23)의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교차 배치되는 보강부(43, 44)는 크래쉬 박스(20)와 범퍼 빔(10)의 체결 부위 및 차체(30)와의 체결 부위에 충격이 가해질 때, 높은 저항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강도의 보강부(43, 44)는 크래쉬 박스(20)가 범퍼 빔(10)과 차체(30) 사이에서 요구의 강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부(43, 44)가 차체(30)와 범퍼 빔(10)을 지지하는 크래쉬 박스(20)에서 강도 및 강성을 확보므로 토잉 너트(23)가 범퍼 빔 모듈(범퍼 빔(10)과 크래쉬 박스(20)) 및 크래쉬 박스(20)에 일체화될 수 있다.
즉 보강부(43, 44)를 가지는 크래쉬 박스(20)는 토잉 너트(23)에 작용하는 토잉 하중을 보강부(43, 44)에서 견디게 하고, 플랜지(22)에 체결되는 차체(30)의 체결 부위에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보강부(43, 44) 및 이에 연결되는 토잉 너트(23)는 요구되는 강성을 가지므로 토잉 하중에도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보강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플랜지(22)의 내부에서 절곡부(221)를 형성하도록 권취체(60)의 대향부 반대측 단부에서 보강부(43, 44)를 절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절곡부(221)는 권취체(60) 및 크래쉬 박스(20)에서 플랜지(22)의 강도를 더욱 강화시킨다. 즉 절곡부(221) 및 플랜지(22)는 차체(30)와의 체결 부위에서 충격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 중 압축 성형 후 크래쉬 박스를 인출하는 단계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크래쉬 박스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3단계는 권취체(60)를 삽입하여 코어 금형(61)에 캐비티 금형(62)을 닫고 플라스틱 수지를 주입하고 압축 성형하여 범퍼 빔(10)에 연결되는 몸체(21)와 차체(30)에 장착되는 플랜지(22)를 형성한다. 즉 일 실시예의 크래쉬 박스(20)는 권취체(60)을 내장하여 플라스틱 수지를 압축 성형하므로 권취체(60)의 내주 및 외주에 구비되는 플라스틱 수지 및 권취체(60)에 의하여, 몸체(21)와 플랜지(22)를 가진다.
권취체(60)의 인서트 압축 성형 방식으로 크래쉬 박스(20)를 제조하므로 플라스틱 복합 소재인 프리프레그(40)가 관체(50)의 측면에 견고히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21)는 높은 압축 강도를 가지면서 충격 에너지에 의하여 선단에서 순차적으로 압착 및 압괴되는 변형 모드를 구현하면서, 충격 에너지를 순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도 5,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권취체(60)에서 프리프레그(40)는 관체(50)에 감기는 기본부(45)에 더하여, 보강부(43, 44)를 포함한다. 보강부(43, 44)는 관체(50)의 측면 및 범퍼 빔(10)에 연결되는 대향부(11, 도 4, 9 참조)에 배치되어, 권취체(60) 및 관체(50)의 측면 및 대향부(11)를 보강한다.
보강부(43, 44)는 대향부(11)에서 포개어져 배치되며, 관통구(431, 441)를 구비하여, 크래쉬 박스(20)에서 토잉 너트(23)가 설치되는 제1관통구(H1)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강부재(43, 44)는 제1관통구(H1)의 외곽에서 포개어진 위치에 관통구(432, 442)를 더 구비한다.
도 9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4단계는 성형된 몸체(21)에서 대향부(11)의 내측에 보강 부재(25)를 배치하고, 보강 부재(25)에 고정되는 토잉 너트(23)를 제1관통구(H1)로 돌출하여 대향부 외측에서 체결너트(24)로 체결한다. 즉 일 실시예의 크래쉬 박스(20)는 토잉 너트(23)를 일체로 구비하여, 요구되는 토잉 성능을 구현한다.
토잉 너트(23)는 대향부(11)에서 관통구(431, 441)에 형성되는 제1관통구(H1)로 돌출되어, 대향부(11) 외측에 제공되는 체결너트(24)로 체결된다.
다시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강 부재(25)는 범퍼 빔(10)을 고정하는 체결 나사(12)가 결합되는 나사부(251)를 구비한다. 대향부(11)는 체결 나사(12)(도 2 참조)가 관통되도록 나사부(251)에 대응하는 제2관통구(H2)를 구비한다. 즉 제2관통구(H2)는 대향부(11)에서 보강부(43, 44)의 관통구(432, 442)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체결 나사(12)는 범퍼 빔(10)을 관통하고 제2관통구(H2)를 관통하여 보강 부재(25)의 나사부(251)에 체결된다. 따라서 범퍼 빔(10)이 크래쉬 박스(20)의 몸체(21)에 연결된다. 이때, 범퍼 빔(10)은 보강부(43, 44)에 의하여 크래쉬 박스(20)의 몸체(21)에 높은 강도로 연결될 수 있다.
크래쉬 박스(20)의 플랜지(22)는 절곡부(221)의 관통구(443, 433)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3관통구(H3)를 구비한다. 따라서 차체 체결 부재(26)는 플랜지(22)의 내측을 지지하면서 플랜지(22)의 외측에서 제3관통구(H3)로 돌출되는 나사부(261)에 체결너트(27)로 체결된다.
즉 크래쉬 박스(20)는 플랜지(22)를 구비하여 차체 체결 부재(26)에 의하여 차체(30)에 고정 설치되고, 몸체(21)를 구비하여 체결 나사(12)로 범퍼 빔(10)을 연결한다. 이때, 크래쉬 박스(20)는 보강부(43, 44)의 절곡부(221)에 의하여 차체(30)에 높은 강도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범퍼 빔 11: 대향부
12: 체결 나사 20: 크래쉬 박스
21: 몸체: 22: 플랜지
23: 토잉 너트 24: 체결너트
25: 보강 부재 26: 차체 체결 부재
27: 체결너트 30: 차체
40: 프리프레그 41: 경사
42: 위사 43, 44: 보강부
45: 기본부 50: 관체
60: 권취체 61: 코어 금형
62: 캐비티 금형 221: 절곡부
231: 암나사 232: 수나사
251: 나사부 261: 나사부
431, 441: 관통구 432, 442: 관통구
433, 443: 관통구 D0, D1, D3, D4: 간격
H1, H2, H3: 제1, 제2, 제3관통구

Claims (14)

  1. 범퍼 빔에 연결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체에 장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및 상기 플랜지는
    직조된 프리프레그를 삽입하고 수지를 주입하여 압축 성형되며,
    상기 프리프레그는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와 상기 경사에 교차 방향으로 직조되는 위사를 포함하며,
    상기 위사의 간격은
    차체의 원방에서 최대로 형성하고, 차체에 가까워지면서 작아지고,
    상기 범퍼 빔에 연결되는 대향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 및
    상기 보강 부재에 고정되고 토잉 훅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암나사를 구비하는 토잉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리프레그는
    상기 대향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구비하며,
    상기 토잉 너트는
    상기 대향부에서 상기 보강부의 관통구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로 돌출되어 상기 대향부 외측에 제공되는 체결너트로 체결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프레그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스틸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프레그는,
    평판으로 형성되고,
    관체에 감기는 기본부, 및
    상기 관체의 측면 및 상기 대향부에 배치되어, 상기 관체의 측면 및 상기 보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대향부에서 포개어져 배치되며, 관통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범퍼 빔을 고정하는 체결 나사가 결합되는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향부는
    상기 체결 나사가 관통되도록 상기 나사부에 대응하는 제2관통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프레그는
    상기 몸체의 상기 대향부 반대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플랜지의 내부를 형성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절곡부에 제3관통구를 구비하고,
    차체에 결합되는 차체 체결 부재는
    상기 플랜지의 내측을 지지하면서 상기 플랜지의 외측에서 상기 제3관통구로 돌출되는 나사부로 체결너트에 체결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상기 플랜지는
    복합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10.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와 상기 경사에 교차 방향으로 직조되는 위사를 포함하며, 상기 위사의 간격이 차체의 원방에서 최대로 형성되고, 차체에 가까워지면서 작아지는 프리프레그를 가열하여 관체에 권취하여 권취체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권취체를 코어 금형에 배치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권취체를 삽입하여 상기 코어 금형에 캐비티 금형을 닫고 수지를 주입하고 압축 성형하여 범퍼 빔에 연결되는 몸체와 차체에 장착되는 플랜지를 형성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며,
    성형된 상기 몸체에서 상기 범퍼 빔에 연결되는 대향부의 내측에 보강 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보강 부재에 고정되고 토잉 훅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암나사를 구비하는 토잉 너트를 보강부의 관통구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로 돌출하여 상기 대향부 외측에서 체결너트로 체결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권취체의 측면 및 상기 대향부에 상기 보강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보강부를 상기 대향부에서 서로 포개어지게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서 절곡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권취체의 상기 대향부 반대측 단부에서 상기 보강부의 단부를 절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박스 제조방법.
  14. 삭제
KR1020150143587A 2015-10-14 2015-10-14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724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587A KR101724498B1 (ko) 2015-10-14 2015-10-14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587A KR101724498B1 (ko) 2015-10-14 2015-10-14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498B1 true KR101724498B1 (ko) 2017-04-07

Family

ID=5858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587A KR101724498B1 (ko) 2015-10-14 2015-10-14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4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0314A1 (en) * 2019-06-24 2020-12-30 Jaguar Land Rover Composite crush can
FR3116491A1 (fr) * 2020-11-26 2022-05-27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absorbeur d’énergi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814A (ja) * 2003-04-25 2004-11-18 Mitsubishi Heavy Ind Ltd 衝撃吸収複合材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走行体又は航行体
KR20140031706A (ko) * 2012-09-05 2014-03-1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JP2015013628A (ja) * 2013-07-08 2015-01-22 スズキ株式会社 バンパーメンバのナット取付構造
KR20150060451A (ko) * 2013-11-26 2015-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814A (ja) * 2003-04-25 2004-11-18 Mitsubishi Heavy Ind Ltd 衝撃吸収複合材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走行体又は航行体
KR20140031706A (ko) * 2012-09-05 2014-03-1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JP2015013628A (ja) * 2013-07-08 2015-01-22 スズキ株式会社 バンパーメンバのナット取付構造
KR20150060451A (ko) * 2013-11-26 2015-06-03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0314A1 (en) * 2019-06-24 2020-12-30 Jaguar Land Rover Composite crush can
GB2585007A (en) * 2019-06-24 2020-12-30 Jaguar Land Rover Ltd Composite crush can
GB2585007B (en) * 2019-06-24 2021-11-17 Jaguar Land Rover Ltd Composite crush can
FR3116491A1 (fr) * 2020-11-26 2022-05-27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absorbeur d’énergie.
WO2022111896A1 (fr) * 2020-11-26 2022-06-02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absorbeur d'energi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722B1 (ko) 충격흡수 유닛 및 그 제조방법, 멤버 연결구조
JP6018643B2 (ja) 中空断面を有する繊維複合補強材が内蔵されているバンパーバックビーム及びこれを有するバンパーの製造方法
KR101484227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범퍼빔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범퍼빔 유닛
JP6610677B2 (ja) 車両の衝撃吸収部材構造
KR101654951B1 (ko) 에너지 흡수용 구조체
US20160001723A1 (en) Bumper device for automobile
CN106240504B (zh) 车辆保险杠及车辆保险杠的制造方法
KR20050000046A (ko) 자동차 범퍼 보강구조체
KR101724498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및 그 제조방법
JP6281558B2 (ja) 車両の衝撃吸収部材構造
JP4685818B2 (ja)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支持構造
JP4462978B2 (ja) 自動車のエネルギー吸収構造
JP2018114794A (ja) 自動車用燃料タンクの支柱部品
US20200369230A1 (en) Shock-absorb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6323400B2 (ja) 車両用炭素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の振動減衰部材
CN107848474B (zh) 保险杠用横梁
JP6112686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1552769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제조방법
KR101372231B1 (ko) 자동차용 범퍼 백빔
JP2013141848A (ja) 自動車の車体フレーム構造
JP7035906B2 (ja) ルーフ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及び樹脂中空骨格部材の製造方法
JP6521290B2 (ja) エネルギ吸収部材の保持構造
KR102288159B1 (ko) 차량용 범퍼
KR101327567B1 (ko) 자동차용 범퍼 백빔
JP7153207B2 (ja) ボディサイド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