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951B1 -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 - Google Patents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951B1
KR101723951B1 KR1020150091496A KR20150091496A KR101723951B1 KR 101723951 B1 KR101723951 B1 KR 101723951B1 KR 1020150091496 A KR1020150091496 A KR 1020150091496A KR 20150091496 A KR20150091496 A KR 20150091496A KR 101723951 B1 KR101723951 B1 KR 101723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nut
elbow
cable connector
rece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704A (ko
Inventor
래리 노먼 시벤스
Original Assignee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엘엘씨 filed Critical 토마스 앤드 베츠 인터내셔널,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001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6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tip of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 H01R9/18Fastening by means of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는 엘보우 몸체, 케이블 접속부, 제1 탭, 제2 탭, 중간부, 회전 너트 및 축방향 보어를 포함한다. 케이블 접속부는 케이블 커넥터를 갖는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제1 탭은 나사산 스터드를 갖는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제2 탭은 제2 인터페이스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회전 너트는 중앙부에 위치되며, 제1 탭과 연통하는 나사산 보어와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키형 개구를 가지는 반대편 폐쇄 단부를 가진다. 공구가 축방향 보어를 통과하여 키형 개구로 삽입되어 회전 너트를 회전시켜 회전 너트에 나사산 스터드를 고정하며 케이블 커넥터를 제 위치에 고정한다.

Description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ELBOW WITH INTERNAL ASSEMBLY SYSTEM}
본원은,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포함되어 있는, 2014년 6월 26일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2/017,531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엘보우(elbow)를 부싱(bushing)에 연결하기 위한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감속 엘보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조립 시스템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interface device)의 내부 접속을 위한 회전 너트를 포함한다.
감속 탭(tap)이 종래 기술의 600 amp 고전압 엘보우에 연결될 때, 스패너 렌치(spanner wrench)가 엘보우 내부의 나사 스터드(threaded stud) 상에서 감속 탭을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감속 탭은 렌치가 감속 탭에 부착되어 힘이 가해질 때 깨지거나 파손될 수 있는 경화형 에폭시(hardened epoxy)로 코팅(coating)된다. 통상적으로, 토크 렌치(torque wrench)가 짧은 스패너 렌치에 연결된다. 감속 탭의 중심에서부터 스패너 렌치 상의 스퀘어 드라이브(square drive)까지 부가된 거리로 인하여, 감속 탭을 덮고 있는 에폭시에 추가의 응력이 가해진다. 종래에는, 에폭시 코팅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조이는 토크(torque)를 감소시키는 것이었다(도 1 참조).
도 1은 600 amp 엘보우(A), 600 amp 부싱(B), 및 600 내지 200 (600/200) amp 감속 부싱(C)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600 amp 감속 엘보우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600 amp 부싱(B)은 엘보우(A)에 연결되는 단부에 연결된 나사산 스터드(D)를 가진다. 600 amp 부싱(B)은 엘보우(A)의 한 탭(E) 내로 삽입되고, 600/200 amp 감속 부싱(C)은 엘보우(A)의 반대편 탭(F) 내로 삽입된다. 2개의 부싱을 엘보우(A)에 고정하기 위하여, 600/200 amp 감속 부싱(C)의 외측면 둘레에 맞는 스패너 렌치(G)를 사용하여 나사산 스터드(D) 상에서 600/200 amp 감속 부싱(C)이 회전된다. 다음에 토크 렌치(H)가 스패너 렌치(G)에 부착되어 필요한 토크로 600/200 amp 감속 부싱(C)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엘보우 조립체의 단점은 조립체의 전체 치수, 스패너 렌치에 의해 초래될 수 있는 에폭시-코팅된 감속 부싱에 대한 잠재적 손상, 및 적절한 접속을 보장하는데 필요한 정확한 토크를 적용하는데 따른 어려움을 포함한다. 따라서 엘보우에 연결될 때 탭이 회전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 200/600 amp 감속 탭을 갖는 600 amp 엘보우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가 제공된다.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는, 엘보우 몸체, 케이블 접속부, 제1 탭, 제2 탭, 회전 너트, 및 축방향 보어(bore)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구성된다. 엘보우 몸체는 바림직하게는 탄성중합체로 제조되며, 중간부 및 대향하는 제1 탭과 제2 탭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가진다. 케이블 접속부는 중간부에 배치되고, 케이블 커넥터(cable connector)를 갖는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커넥터는 링(ring) 또는 스페이드 커넥터(spade connector)이다. 제1 탭은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통로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원위 단부는 나사산 스터드를 갖는다. 제2 탭은 제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암형 접촉부(female contact)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600 amp 데드브레이크(deadbreak) 인터페이스이고, 제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200 amp 데드브레이크 인터페이스이다. 케이블 커넥터는 길이방향 축과 정렬되는 개구를 가지며,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나사산 스터드는 케이블 커넥터 개구를 통과하여 회전 너트의 나사산 보어 내로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회전 너트는 엘보우의 중간부에 배치되며, 제1 탭의 통로와 연통하는 나사산 보어, 및 공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키형 개구(keyed opening)를 갖는 반대편 폐쇄 단부를 가진다. 회전 너트는 엘보우 내에서, 하우징, 바람직하게는 구리로 바람직하게 제조되는 전기전도성 금속 하우징에 의하여 캡쳐(capture)되거나 유지된다. 축방향 보어는 회전 너트의 키형 개구로부터 제2 탭의 암형 접촉부로 연장된다. 회전 너트에 나사산 스터드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공구가 축방향 보어를 통과하여 키형 개구 내로 삽입되어 회전 너트를 회전시킨다. 바람직하게, 키형 개구는 6각형 공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6각형 브로치(hex broach)이다. 그러나 유사한 공구 및 회전 너트의 키형 개구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회전 너트에서 나사산 스터드를 조여서 엘보우 몸체에 케이블 커넥터를 고정한다. 다음에 공구가 축방향 보어로부터 후퇴되며, 제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가 제2 탭의 암형 접촉부에 연결된다. 회전 너트의 전기전도성 금속 하우징은 회전 너트가 나사산 스터드에 고정된 후 케이블 커넥터와 전기 접촉한다.
본 발명의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의 바람직한 실시예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감속 부싱을 회전시키기 위해 렌치를 사용하여 감속 부싱 및 부싱에 연결되는 종래 기술의 엘보우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2는 엘보우에 삽입되기 전의 케이블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의 제1 실시예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3은 케이블이 엘보우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 및 도 5에 도시된 내부 조립 시스템의 세부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4는 케이블이 엘보우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내부 조립 시스템의 상세 도면이다.
본 발명은 600 amp 고전압 엘보우에 내부 감속 탭 및 내부 회전 너트를 제공함으로써 감속 탭 상의 에폭시 코팅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춘 엘보우이다. 회전 너트는, 6각형 렌치가 감속 탭의 반대편에 있는 엘보우의 탭 내로 삽입된 600 amp 부싱에 조립체를 부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600 amp 부싱을 엘보우에 연결하는 일은 감속 탭을 통과하여 엘보우 내에서 실시되므로 감속 탭이 회전될 필요가 없다.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춘 엘보우는, 감속 부싱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원피스(one piece) 구조를 포함하여 다수의 이득을 제공한다. 원피스 구조는 또한 엘보우의 전체 치수를 감소시켜서 공간이 제한되어 있는 장소에 엘보우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엘보우를 부싱에 연결하기 위한 회전 너트는, 6각형 비트 소켓(bit socket)을 회전 너트에 결합하기 위해 감속 탭의 접촉부의 축방향 보어를 통과하는 6각형 조립체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하게 된다(또한, 토크를 받게 된다고 언급될 수 있음). 6각형 조립체 공구가 6각형 비트 소켓에 직접 연결되어 토크 렌치가 6각형 비트 소켓을 직접 조이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대조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엘보우를 조립하기 위해, 스패너 렌치가 감속 부싱에 결합되고, 다음에 토크 렌치가 스패너 렌치에 부착된다. 이러한 조립은 적용되고 있는 토크를 정확하게 계산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엘보우 몸체는 한 측면 상에 케이블 접속부를 가지며, 그리고 케이블 접속부에 수직인 2개의 대향한 탭을 가진다. 케이블 접속부는 개구를 구비한 케이블 커넥터를 가지는 케이블을 수용한다. 제1 탭은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는 통로를 가지며, 제2 탭은 제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축방향 보어를 구비한 암형 접촉부를 가진다. 엘보우는 제1 탭과 제2 탭 사이에 중간부(mid-section)(또한, 중간 영역(intermediate section)이라고 지칭됨)를 가지며, 그리고 제1 탭과 제2 탭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가진다. 제1 탭의 통로와 제2 탭의 축방향 보어는 엘보우의 길이방향 축과 동일한 축을 가진다. 제1 탭의 통로와 제2 탭의 축방향 보어는 바람직하게 테이퍼 형상을 가져, 그들이 탭 개구로부터 엘보우의 중간부로 연장됨에 따라 단면 치수가 감소되도록 한다. 제1 및 제2 탭은 동일한 크기(즉, 커넥터용 암페어 레이팅(amperage rating))가 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크기가 될 수 있다. 엘보우가 다른 크기의 탭들을 가질 때, 엘보우는 감속 엘보우로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600 amp 데드브레이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고, 제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200 amp 데드브레이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회전 너트가 엘보우의 중간부에 배치된 전기전도성 금속 하우징에 캡쳐된다. 바람직하게, 전기전도성 금속 하우징 및 회전 너트는 구리로 제조된다. 제1 탭의 통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회전 너트의 제1 단부는 나사산 보어를 가지며, 제2 탭의 축방향 보어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제2 단부는 폐쇄되고 키형 개구, 바람직하게는 6각형 브로치를 가진다. 공구가 축방향 보어를 통해 회전 너트의 키형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공구가 키형 개구 내로 삽입되면, 공구를 회전시켜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서 회전 너트를 회전시켜 조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나사산 스터드는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원위 단부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가 제1 탭에 설치될 때, 나사산 스터드가 케이블 커넥터의 개구를 통과하여 회전 너트로 들어가게 된다. 공구, 예로서 6각형 렌치가 제2 탭 내에 삽입되고, 축방향 보어를 통과하여 회전 너트의 키형 개구로 들어가게 된다. 6각형 렌치가 사용될 때, 키형 개구는 회전 너트에 형성되어 6각형 공구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피팅(fitting)이다. 공구가 키형 개구와 결합한 후, 공구를 회전시켜 회전 너트를 나사산 스터드 상에서 조인다. 토크 렌치가 공구와 함께 사용되어 예정된 토크를 적용할 수 있다. 회전 너트가 조여지면,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케이블 커넥터가 엘보우에 고정된다. 다음에 제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가 엘보우의 제2 탭 내로 삽입되어 설치를 완료한다.
바람직하게, 표준 탭 및 감속 탭이 엘보우의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되며, 즉 원피스로서 형성되며, 이는 감속 부싱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그러나 엘보우는 감속기(reducer)로서 사용될 필요가 없고, 제1 및 제2 탭이 동일한 크기 또는 암페어 레이팅을 가질 수 있다. 엘보우 내부에는 상단에 브로치형 또는 키형 개구를 갖는 회전 너트가 있으며, 상기 상단에는 감속 탭의 상부 접촉부를 통과하는 축방향 보어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브로치(broach)", "브로치형 구멍(broached hole)" 또는 "키형 개구(keyed opening)"는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공구를 수용하도록 설계되는 너트의 표면의 특정 형태를 갖는 개구 또는 오목부를 지칭한다. 공구는 축방향 보어를 통과하여 개구 내로 삽입되며 너트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6각형 조립 공구, 바람직하게는 6각형 렌치가 축방향 보어를 통과하며, 6각형 렌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너트의 키형 개구 내로 삽입된다. 6각형 렌치는 엘보우에 표준 부싱을 고정하기 위해 회전 너트에 토크를 가하는데 사용된다. 내부 조립 시스템에 정확한 토크를 제공하기 위해 토크 렌치가 6각형 조립체에 부착될 수 있다. 너트의 상단에 있는 개구의 형상(별 모양, 슬롯형(slotted) 또는 다측면) 및 너트를 회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의 대응 형상은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하지 않으며, 너트를 회전하기 위한 공구와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너트의 상부에 형성된 어떠한 구조도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케이블 접속부는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케이블 커넥터 개구가 길이방향 축과 정렬되도록 한다. 케이블 커넥터는 링 또는 스페이드 커넥터가 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나사산 스터드는 케이블 커넥터 개구를 통해 회전 너트의 나사산 보어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6각형 조립 공구가 축방향 보어를 통과하여 6각형 브로치 내로 삽입되어 회전 너트를 회전시켜 회전 너트에 나사산 스터드를 고정하고, 그리고 케이블 커넥터를 제 위치에 고정한다. 다음에 6각형 조립 공구가 축방향 보어로부터 후퇴되며, 제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가 제2 탭의 암형 접촉부에 연결된다. 회전 너트의 전기전도성 금속 하우징은 엘보우가 조립된 후에 케이블 커넥터와 전기 접촉한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면, 도 2 내지 도 4는 내부 조립 시스템(12)을 구비한 600/200 amp 엘보우 또는 엘보우 몸체(10)를 도시하고 있다. 엘보우(10)는 엘보우(10)의 길이방향 축(18)을 따라 200 amp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2 탭(16)의 반대편에서 600 amp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1 탭(14)을 포함한다. 600 amp 인터페이스 및 200 amp 인터페이스는 내부 조립 시스템(12)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80)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20)가 길이방향 축(18)에 수직으로 위치된다. 케이블(80)은 그 단부에 커넥터(82)를 가지며, 케이블(80)이 엘보우(10)의 케이블 커넥터(20) 내에 삽입될 때, 커넥터(82)의 개구(84)가 길이방향 축(18)과 정렬된다.
내부 조립 시스템(12)은 구리 하우징(24)에 의하여 캡쳐된 회전 너트(22)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캡쳐된다(captured)"는, 회전 너트(22)가 하우징(24) 내부에 구속되어서 길이방향 축을 따르는 회전 너트의 이동이 제한되지만 하우징(24) 내부에서의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너트의 능력은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회전 너트(22)는, 부싱과 같이 600 amp 인터페이스(86)상의 나사산 스터드(88)에 연결되는 나사산 보어(28)를 구비한 제1 단부(26), 및 6각형 브로치(32)(또한, 본원에서는 6각형 비트 소켓이라고도 지칭됨)를 구비한 반대편의 제2 단부(30)를 구비한다. 6각형 브로치(32)는 6각형 조립 공구(92)를 수용하며, 이 6각형 조립 공구(92)는 회전 너트(22)를 회전시키며 600 amp 부싱(600 amp 인터페이스)(86)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케이블(80)이 엘보우(10) 내에 삽입되고 커넥터(82)의 개구(84)가 엘보우(10)의 길이방향 축(18)과 정렬된 후에, 그 원위 단부(90) 상에 나사산 스터드(88)를 구비한 600 amp 인터페이스(86)가 600 amp 탭(제1 탭)(14) 내로 삽입되어서, 나사산 스터드(88)가 커넥터(82)의 개구(84)를 통과하여 회전 너트(22)와 결합한다. 다음에 6각형 조립 공구(92)가 엘보우(10)의 200 amp 인터페이스 단부(제2 탭)(16)에서의 축방향 보어(34)를 통과하고, 6각형 조립 공구(92)의 제1 단부(94)가 6각형 브로치(32)(즉, 6각형 공구(92)를 수용하는 회전 너트(22)의 상부에서의 개구)와 결합한다. 6각형 조립 공구(92)의 제2 단부(96)는 렌치(도시되지 않음), 바람직하게는 토크 렌치에 연결된다. 6각형 조립 공구(92)는 필요한 토크로 회전 너트(22)를 회전시켜 600 amp 부싱(600 amp 인터페이스)(86)을 엘보우(10)에 연결하며 커넥터(82)를 엘보우(10) 에 고정한다. 다음에 6각형 조립 공구(92)가 제거되고, 200 amp 데드브레이크 엘보우 탭과 같은 200 amp 인터페이스 디바이스(98)가 엘보우(10)의 제2 탭(16)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또한 이것은 본원에 설명된 청구범위의 진실한 범위 내에 있는 추가의 수정 및 변화를 모두 포함하도록 계획되어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20)

  1.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로서,
    엘보우 몸체;
    케이블 커넥터를 갖는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접속부;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통로를 갖는 제1 탭으로서, 상기 원위 단부는 나사산 스터드를 갖는 제1 탭;
    제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암형 접촉부, 제1 탭과 제2 탭 사이의 중간부, 및 제1 탭과 제2 탭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갖는 제2 탭;
    상기 엘보우의 중간부에 위치된 회전 너트로서, 상기 제1 탭의 통로와 연통하는 나사산 보어, 및 공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키형 개구를 갖는 반대편 폐쇄 단부를 가지는 회전 너트; 및
    상기 회전 너트의 키형 개구로부터 상기 제2 탭의 상기 암형 접촉부로 연장되는 축방향 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공구가 상기 축방향 보어를 통과하여 상기 키형 개구 내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 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 너트에 상기 나사산 스터드를 고정하며 상기 엘보우 몸체에 케이블 커넥터를 고정하고, 상기 공구는 상기 축방향 보어로부터 후퇴되어,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상기 제2 탭의 암형 접촉부에 연결되는 엘보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600 amp 데드브레이크(deadbreak) 인터페이스이고, 제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200 amp 데드브레이크 인터페이스인 엘보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링 또는 스페이드 커넥터(spade connector)인 엘보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너트의 전기전도성 금속 하우징은 구리로 제조되는 엘보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너트의 전기전도성 금속 하우징은, 상기 회전 너트가 상기 나사산 스터드에 고정된 후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전기 접촉하는 엘보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형 개구는 6각형 공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6각형 브로치인 엘보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너트는 전기전도성 금속 하우징 내에 캡쳐되는 엘보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길이방향 축과 정렬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나사산 스터드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회전 너트의 나사산 보어 내로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엘보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는 탄성중합체로 제조되는 엘보우.
  10.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로서,
    엘보우 몸체;
    케이블 커넥터를 갖는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접속부;
    제1 암페어 레이팅(amperage rating)을 갖는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통로를 갖는 제1 탭으로서, 상기 원위 단부는 나사산 스터드를 갖는 제1 탭;
    제2 암페어 레이팅을 갖는 제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암형 접촉부를 갖는 제2 탭;
    상기 제1 탭과 제2 탭 사이의 중간부와, 상기 제1 탭과 제2 탭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으로서, 상기 제1 암페어 레이팅은 상기 제2 암페어 레이팅보다 큰 중간부와 길이방향 축;
    상기 엘보우의 중간부에 위치되며 전기전도성 금속 하우징 내에 캡쳐된 회전 너트로서, 상기 제1 탭의 통로와 연통하는 나사산 보어, 및 공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키형 개구를 갖는 반대편 폐쇄 단부를 가지는 회전 너트; 및
    상기 회전 너트의 키형 개구로부터 상기 제2 탭의 상기 암형 접촉부로 연장되는 축방향 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공구가 상기 축방향 보어를 통과하여 상기 키형 개구 내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 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 너트에 상기 나사산 스터드를 고정하며 상기 엘보우 몸체에 상기 케이블 커넥터를 고정하고, 상기 공구는 상기 축방향 보어로부터 후퇴되어,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상기 제2 탭의 암형 접촉부에 연결되는 엘보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페어 레이팅은 600 amps이고, 상기 제2 암페어 레이팅은 200 amps인 엘보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링 또는 스페이드 커넥터인 엘보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 너트의 전기전도성 금속 하우징은 구리로 제조되는 엘보우.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 너트의 전기전도성 금속 하우징은, 상기 회전 너트가 상기 나사산 스터드에 고정된 후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전기 접촉하는 엘보우.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키형 개구는 6각형 공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6각형 브로치인 엘보우.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길이방향 축과 정렬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나사산 스터드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회전 너트의 나사산 보어 내로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엘보우.
  17.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로서,
    엘보우 몸체;
    개구를 갖는 케이블 커넥터를 구비하는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접속부;
    제1 암페어 레이팅을 갖는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통로를 갖는 제1 탭으로서, 상기 원위 단부는 나사산 스터드를 갖는 제1 탭;
    제2 암페어 레이팅을 갖는 제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암형 접촉부를 갖는 제2 탭으로서, 상기 제1 암페어 레이팅은 상기 제2 암페어 레이팅보다 큰 제2 탭;
    상기 제1 탭과 제2 탭 사이의 중간부와, 상기 제1 탭과 제2 탭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 커넥터 개구와 정렬되는 길이방향 축;
    상기 엘보우의 중간부에 배치되며 전기전도성 금속 하우징 내에 캡쳐된 회전 너트로서, 상기 회전 너트는 상기 제1 탭의 통로와 연통하는 나사산 보어, 및 공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키형 개구를 갖는 반대편 폐쇄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나사산 스터드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회전 너트의 나사산 보어 내로 들어가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 너트의 전기전도성 금속 하우징은, 상기 회전 너트가 상기 나사산 스터드에 고정된 후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전기 접촉하는 회전 너트; 및
    상기 회전 너트의 키형 개구로부터 상기 제2 탭의 상기 암형 접촉부로 연장되는 축방향 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공구가 상기 축방향 보어를 통과하여 상기 키형 개구 내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 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 너트에 상기 나사산 스터드를 고정하며 상기 엘보우 몸체에 상기 케이블 커넥터를 고정하고, 상기 공구는 상기 축방향 보어로부터 후퇴되어,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상기 제2 탭의 암형 접촉부에 연결되는 엘보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페어 레이팅은 600 amps이고, 상기 제2 암페어 레이팅은 200 amps인 엘보우.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링 또는 스페이드 커넥터인 엘보우.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키형 개구는 6각형 공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6각형 브로치인 엘보우.
KR1020150091496A 2014-06-26 2015-06-26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 KR101723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17531P 2014-06-26 2014-06-26
US62/017,531 2014-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704A KR20160001704A (ko) 2016-01-06
KR101723951B1 true KR101723951B1 (ko) 2017-04-06

Family

ID=54011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496A KR101723951B1 (ko) 2014-06-26 2015-06-26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50123B2 (ko)
EP (1) EP2960997B1 (ko)
KR (1) KR101723951B1 (ko)
AU (1) AU2015203548B2 (ko)
BR (1) BR102015015578A2 (ko)
CA (1) CA2895724C (ko)
ES (1) ES2657368T3 (ko)
MX (1) MX3433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5493B2 (en) * 2014-04-10 2016-07-05 S&C Electric Company Adjustable bus bar for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AU2015252103B2 (en) * 2014-11-17 2017-05-25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Grounding link for electrical connector mechanis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6837A1 (en) * 2005-04-01 2006-12-21 Luzzi Glenn J Multiple bore termin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9869A (en) 1974-03-29 1976-06-01 Amerace Corporation Apparatus for the remote grounding,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high voltage electrical circuits
US4202591A (en) * 1978-10-10 1980-05-13 Amerace Corporation Apparatus for the remote grounding,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high voltage electrical circuits
US4354721A (en) 1980-12-31 1982-10-19 Amerace Corporation Attachment arrangement for high voltage electrical connector
US4360967A (en) 1980-12-31 1982-11-30 Amerace Corporation Assembly tool for electrical connectors
US4776089A (en) 1986-09-18 1988-10-11 Rte Corporation Method of assembling tap plug to cable connector
US4715104A (en) 1986-09-18 1987-12-29 Rte Corporation Installation tool
US4722694A (en) * 1986-12-01 1988-02-02 Rte Corporation High voltage cable connector
US4779341A (en) 1987-10-13 1988-10-25 Rte Corporation Method of using a tap plug installation tool
US4857021A (en) * 1988-10-17 1989-08-15 Cooper Power System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same
US5114357A (en) * 1991-04-29 1992-05-19 Amerace Corporation High voltage elbow
US5116265A (en) * 1991-05-13 1992-05-26 General Electric Company Separable connector module with improved current-carrying threaded joint
US5421750A (en) * 1994-05-24 1995-06-06 Amerace Corporation 200 AMP bolted elbow with a loadbreak tap
US6042407A (en) * 1998-04-23 2000-03-28 Hubbell Incorporated Safe-operating load reducing tap plug and method using the same
US6364216B1 (en) 2001-02-20 2002-04-02 G&W Electric Co. Universal power connector for joining flexible cables to rigid devices in any of many configurations
US6520795B1 (en) * 2001-08-02 2003-02-18 Hubbell Incorporated Load reducing electrical device
US7491075B2 (en) 2005-07-28 2009-02-17 Cooper Technolog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MXPA06014816A (es) 2005-12-21 2008-10-16 Thomas & Betts Int Componente de conector electrico separable que tiene una derivacion de salida de voltaje y un punto de acceso directo.
US7588469B2 (en) * 2006-07-07 2009-09-15 Richards Manufacturing Company Safely separating electrical connecting system
TW200910705A (en) 2007-07-09 2009-03-01 Thomas & Betts Internationnal Inc Bushing well with improved coupling components
US7915530B2 (en) * 2008-04-01 2011-03-29 Thomas & Betts Corporation Torque limiting device for insulated plug
US8018707B2 (en) 2008-12-11 2011-09-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amperage surge arrestors
US8602800B2 (en) * 2010-04-20 2013-12-10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lignment mechanism
MX2012013475A (es) 2010-05-21 2012-12-10 Cooper Technologies Co Adapatador para retenedor de buje.
US8641434B2 (en) 2010-07-21 2014-02-04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Rotatable feedthru insert
US7972155B1 (en) 2010-09-01 2011-07-05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Hotstick operable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bushing well
US9124050B2 (en) * 2012-07-19 2015-09-01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mechanism
US9112322B2 (en) 2012-08-27 2015-08-1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ple interfa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6837A1 (en) * 2005-04-01 2006-12-21 Luzzi Glenn J Multiple bore termin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03548A1 (en) 2016-01-21
EP2960997B1 (en) 2017-11-15
US9350123B2 (en) 2016-05-24
US20150380880A1 (en) 2015-12-31
ES2657368T3 (es) 2018-03-05
MX343315B (es) 2016-11-01
KR20160001704A (ko) 2016-01-06
AU2015203548B2 (en) 2016-05-12
CA2895724A1 (en) 2015-12-26
MX2015008346A (es) 2015-12-25
CA2895724C (en) 2017-12-12
EP2960997A1 (en) 2015-12-30
BR102015015578A2 (pt)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405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mechanism
US8047868B1 (en) Stud-type junction block
US8875368B2 (en) Controlled torque fasteners and methods for using same
MX2009007716A (es) Espiga de fijacion.
US935010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mechanism
US8425265B2 (en) Arrangement with a clamp of metal constructed as a pipe piece
US9209531B2 (en) Bus bar releasable bushing apparatus
US8317536B2 (en) Ground clamp with ball contact stud
EP2883476B1 (de) Knotenelement für ein Möbelsystem mit einer dreidimensionalen tragenden Rohrstruktur
US9553374B1 (en) Electrical connectors and connection assemblie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US20150031227A1 (en) Conductor connectors for power cables
KR101723951B1 (ko) 내부 조립 시스템을 갖는 엘보우
US8079884B2 (en) Clamping screw
US10573979B2 (en) Shearing screw
US9702393B2 (en) Pressure pad for screw and breakaway pressure screw
DE102014012350B3 (de) Anschlussanordnung für ein elektrisches Gerät
EP3333982B1 (de) Anschlussadapter zum verbinden eines elektrischen gerätes sowie system und elektrische anlage
US11258188B2 (en) Shearing screw
EP3048670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mechanism
DE102016218779A1 (de) Kontaktierungsvorrichtung
CA3139814A1 (en) Deadbreak connector
US20110162487A1 (en) Wire twist connector tool
WO2024041902A1 (de) Befestigungselement, befestigungsanordnung und elektrische verbindung
NZ579752A (en) Clamping crew with a ball in the end for use in an electrical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