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816B1 - 기능성 화장품 피부 흡수용 패드 - Google Patents

기능성 화장품 피부 흡수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816B1
KR101723816B1 KR1020160113795A KR20160113795A KR101723816B1 KR 101723816 B1 KR101723816 B1 KR 101723816B1 KR 1020160113795 A KR1020160113795 A KR 1020160113795A KR 20160113795 A KR20160113795 A KR 20160113795A KR 101723816 B1 KR101723816 B1 KR 101723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layer
contact layer
functional
ski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창선
Original Assignee
(주)코떼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떼랑 filed Critical (주)코떼랑
Priority to KR1020160113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816B1/ko
Priority to PCT/KR2017/008859 priority patent/WO201804395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0Natural fibres, e.g. wool, cotton

Abstract

본 발명은 세안 또는 필링 후에 하는 기능성 화장품을 피부에 흡수시키기 위하여 하는 마스크 팩을 대체하기 위한 피부 흡수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순면으로 이루어진 피부접촉층; 상기 피부접촉층에 적층되고, 피부접촉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며, 기능성 화장품을 흡수하여 피부접촉층으로 공급하는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 및 상기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에 적층되어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된 손걸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를 이용하는 경우는 피부를 부드럽게 터치하면서 기능성 화장품을 피부에 골고루 도포하기 때문에 기능성 성분이 피부 속으로 신속하게 침투가 되어 마스크 팩을 사용할 때보다 그 효과가 뛰어나며 또한 사용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공공 장소 등 노출된 장소에서 사용하여도 혐오감을 주지 않기 때문에 장소에 제약이 없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화장품 피부 흡수용 패드{Cosmetic pad for skin absorption}
본 발명은 세안 또는 필링 후에 하는 기능성 화장품을 피부에 흡수시키기 위하여 하는 마스크 팩을 대체하기 위한 피부 흡수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아름다움을 유지하기 위하여 피부가 거칠어 지거나 햇볕에 타고 피로할 때 얼굴 피부에 영양 및 기능성 성분을 공급하여 얼굴 피부를 촉촉하고 탄력 있고 윤기 있게 가꾸기 위하여 깨끗이 세안 또는 필링 후 피부에 오이나 감귤 등의 천연재료를 이어거나, 마사지 크림, 마시지 팩을 얼굴에 바른 상태에서 얼굴을 미용 티슈나 기타 보조 수단으로 덮어주는 방식으로 피부 마시지를 하게 되는데, 미용 티슈는 눈, 코, 입 부분을 뚫어서 사용하므로 번거롭고 달라붙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한 하기 위한 일환으로 피부 보습 ·주름방지 · 수분 공급 ·모공 수축 · 피부 항산화 등의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품을 흡수하고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얼굴 형상의 마스크 팩을 이용하는 방식이 널리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마스크 팩은 얼굴에 비교적 긴 시간 동안 부착하고 있어야 피부로 기능성 성분이 흡수된다는 점에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고, 특히 여러 사람이 볼 수 있는 노출된 장소에서는 할 수 없고 폐쇄된 특정한 장소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0287269호(한지 원료에 황토와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혼합된 기능성 얼굴 미용 마사지 팩/2002.08.14)
본 발명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든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일반적인 마스크 팩 보다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기능성 성분의 피부 흡수 효과도 더욱 뛰어난 피부 흡수용 패드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순면으로 이루어진 피부접촉층;
상기 피부접촉층에 적층되고, 피부접촉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며, 기능성 화장품을 흡수하여 피부접촉층으로 공급하는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 및
상기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에 적층되어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된 손걸이층을 포함하는 피부 흡수용 패드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는,
상기 손걸이층을 형성하기 위한 초음파 접합 시 접합력을 강화시켜주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가 상기 피부접촉층과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의 사이 및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과 손걸이층 사이에 삽입 보강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에 있어서,
상기 피부접촉층과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의 가장자리 중에서 피부접촉층,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 및 손걸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스폿 접합된 것을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에 있어서,
상기 손걸이층은 극세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를 이용하는 경우는 피부를 부드럽게 터치하면서 기능성 화장품을 피부에 골고루 도포하기 때문에 기능성 성분이 피부 속으로 신속하게 침투가 되어 마스크 팩을 사용할 때보다 그 효과가 뛰어나며 또한 사용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공공 장소 등 노출된 장소에서 사용하여도 혐오감을 주지 않기 때문에 장소에 제약이 없는 장점이 있으며, 기존 패드형태로 된 퍼프는 주로 메이크업 베이스용 제품들에만 적용되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기능성 화장품의 사용할 때에도 손에 묻히지 않고 필요한 부위에 골고루 충분히 바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 팩과 다르게 패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단순하게 접촉만이 되는 것이 아니라 피부를 터치하게 되므로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에 닿는 느낌 등의 사용감이 우수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는 피부에 직접 닿는 피부접촉층은 피부 자극이 적은 순면으로 하고 이와 별도로 피부접촉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어 기능성 화장품을 흡수하여 피부접촉층으로 공급하는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을 형성하여 2개의 층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이를 완전하게 해결을 하였다. 또한 2개의 충을 가진 본 발명의 경우 얼굴 굴곡과 곡선에 따라 쉽게 움직이며 밀착력이 대단히 좋아 기능성 성분을 원하는 부위에 골고루 충분히 흡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더욱,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의 손걸이층을 극세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손걸이층을 피부에 접촉하도록 하여 필링용 패드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1)는 피부접촉층(10)과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 및 손걸이층(3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서든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얼굴(F) 피부의 자극이 없으며 뛰어난 사용감으로 피부 보습 ·주름방지 · 수분 공급 ·모공 수축 · 피부 항산화 등의 기능성 성분을 더 쉽고 빠르게 손실 없이 피부에 흡수시킬 수 있어 종래의 마스크 팩을 사용하는 것보다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와 우수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피부접촉층(10)은 순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피부접촉층(10)은 순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그것이 직조된 것이든 부직포이든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은 상기 피부접촉층(10)에 적층되게 구성되어 피부접촉층(10)을 통해 흡수된 기능성 화장품을 흡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기능성 화장품을 피부접촉층(10)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에 충분한 특성을 가진 섬유 내지 수지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그 예로는 면 직물, 다양한 성분의 부직포, 예를 들어 스펀지와 같은 발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은 기능성 화장품을 충분히 흡수해 저장하고, 이를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피부접촉층(10) 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제조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면 적정한 두께로 하나의 층으로 하는 것인데, 본 발명은 피부접촉층(10)과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을 별도로 하여 2개의 층으로 하여 구성을 하였는데, 이는 본 발명자에 의한 다양한 시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이와 같은 2개의 층으로 하는 것이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의 접촉시킬 때의 뻑뻑하지 않은 부드러운 느낌 등의 사용감이 1개의 층을 할 때보다 월등히 우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손걸이층(30)은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에 적층되어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과 손걸이층(30)의 내부는 일측으로 개방되거나 또는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손걸이층(30)은 손가락을 삽입하여 패드에 손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나, 손걸이층(30)을 극세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필요에 따라 필링부(31)를 이용해 얼굴(F) 피부를 세정 또는 필링하는데 사용할 수 있어 하나의 제품으로 필링과 마사지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피부접촉층(10)과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 및 손걸이층(30)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가장자리가 상호 접합되면서 일체형을 이루게 되는데, 통상 접합방식은 바느질로 고정하거나 열을 가한 상태에서 가압해 압착고정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바느질로 고정하게 되며 외부로 노출된 실밥이 피부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사용감이 매우 떨어짐은 물론 피부에 상처를 낼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열을 가해 접합하게 되면 가장자리부분이 거칠고 딱딱하며 접합부위가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가장 좋은 접합 방법은 초음파를 이용한 접합 방법인데, 초음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접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피부접촉층(10)과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과 손걸이층(30) 사이에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40)를 개입시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는데, 상기 피부접촉층(10)과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과 손걸이층(30) 사이에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40)를 개입시켜 준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가압하고, 이후에 초음파를 쏴주게 되면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40)를 매개로 피부접촉층(10)과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과 손걸이층(30)의 가장자리에 접합부(J)가 형성되면서 일체로 고정되며 초음파 접합을 하더라도 접합력이 매우 우수해져 단점이 있는 다른 접합 방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형성된 피부 흡수용 패드(1)를 얼굴(F) 피부에 터치하더라도 피부와 맞닿는 면으로 실밥 등의 노출된 것이 전혀 없기 때문에 사용 중 피부를 자극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접합부위가 쉽게 떨어지는 문제 또한 해소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피부 흡수용 패드(1)의 경우 가장자리 전체를 접합하는 경우에는 가장자리 전체가 다소 거칠고 단단한 감이 있어 얼굴(F) 피부와 접촉하는 경우 피부에 자극을 주거나 사용감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피부접촉층(10)과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 및 손걸이층(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부분은 연속적으로 접합부(J)를 형성해 주고, 손걸이층(30)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피부접촉층(10)과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의 가장자리는 스폿 접합(J')을 해줌으로써 가장자리의 최소 부분만을 접합시켜 피부 자극 및 사용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최소화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시예는 도 5 및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의 다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1')는 제1실시예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1')와 전반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그 형상에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부 흡수용 패드(1')를 얼굴(F) 피부에 터치하는 경우 손걸이층(30)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피부접촉층(10)과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20)의 가장자리는 스폿 접합(J')되어 있기 때문에 딱딱하지는 접합층이 최소로 되어 순면을 이용한 효과가 최대한으로 발휘될 수 있어 피부 자극이 없고 사용감의 우수성 가장 잘 유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의 사용 방법을 보충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관 및 유통 등이 편리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와 고농축 세럼 또는 에센스와 같은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을 하나에 파우치에 넣고 포장을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는 기능성 화장품을 충분히 흡수한 상태에 있다.
이를 사용할 때 파우치에서 피부 흡수용 패드를 꺼내 손걸이층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약간 누르면 피부접촉층이 피부에 터치게 되도록 부드럽게 마사지하여 주면 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하나의 파우치에 포장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한 후에 기능성 화장품을 피부 흡수용 패드에 충분히 흡수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을 완료한 이후에는 폐기하거나 필요에 따라 필링을 하고 싶은 경우에는 손걸이층을 이용해 필링을 실시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를 이용하는 경우는 피부를 부드럽게 터치하면서 기능성 화장품을 피부에 골고루 도포하기 때문에 기능성 성분이 피부 속으로 신속하게 침투가 되어 마스크 팩을 사용할 때보다 그 효과가 뛰어나며 또한 사용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공공 장소 등 노출된 장소에서 사용하여도 혐오감을 주지 않기 때문에 장소에 제약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 팩과 다르게 패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단순하게 접촉만이 되는 것이 아니라 피부를 터치하게 되므로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에 닿는 느낌 등의 사용감이 우수하여야 하는데 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는 피부에 직접 닿는 피부접촉층은 피부 자극이 적은 순면으로 하고 이와 별도로 피부접촉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어 기능성 화장품을 흡수하여 피부접촉층으로 공급하는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을 형성하여 2개의 층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이를 완전하게 해결을 하였다. 또한, 마스크 팩과 다르게 패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단순하게 접촉만이 되는 것이 아니라 피부를 터치하게 되므로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에 닿는 느낌 등의 사용감이 우수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는 피부에 직접 닿는 피부접촉층은 피부 자극이 적은 순면으로 하고 이와 별도로 피부접촉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어 기능성 화장품을 흡수하여 피부접촉층으로 공급하는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을 형성하여 2개의 층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이를 완전하게 해결을 하였다. 또한 2개의 충을 가진 본 발명의 경우 얼굴 굴곡과 곡선에 따라 쉽게 움직이며 밀착력이 대단히 좋아 기능성 성분을 원하는 부위에 골고루 충분히 흡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더욱,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의 손걸이층을 극세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손걸이층을 피부에 접촉하도록 하여 필링용 패드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와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피부접촉층은 면 100%의 순면 부직포로 그 두께를 1mm으로 하고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은 피부접촉층과 동일한 재질로 두께를 3mm로 하였다.
또한 손걸이층은 일반적으로 패드의 손걸이 사용하는 합성섬유 재질을 이용하였으며, 가장자리 전체를 초음파 접합을 하였으며, 초음파 접착을 용이하기 우수한 각층 사이에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삽입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흡수용 패드와는 다르게 피부접촉층과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층으로 하여 두께를 4mm로 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시험예 1>
건강한 성인 여자 20명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하나의 그룹에는 실시예 1의 패드에 기능성 성분이 없는 세럼을 충분히 흡수시킨 다음에 60분 동안 사용하게 하였으며, 다른 그룹에는 비교예 1의 패드를 동일하게 사용하게 하였다. 기능성 성분이 없는 세럼을 사용하는 이유는 패드에 의한 피부 자극에 의해 나타나는 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면 기능성 성분에 의한 효과에 따라 피부 자극이 없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그 후에 다음 기준에 따라 판정하여 각각 점수를 부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 판정 기준>
1 점: 피부가 붉어지는 홍반이 나타나며 피부 접촉 시 자극적인 느낌이 있음
2 점; 피부가 붉어지는 홍반은 없으나 피부 접촉 시 자극적인 느낌은 있음
3 점: 피부 접촉 시 자극적인 느낌은 없으나 뻑뻑하게 터치되는 느낌이 있음
4점: 뻑뻑하게 터치되는 느낌도 없음
점수 평균



실시예 1 그룹




1 4


3.7


2 3
3 4
4 4
5 3
6 4
7 4
8 3
9 4
10 4




비교예 1 그룹


1 3



2.9



2 3
3 3
4 3
5 2
6 2
7 4
8 3
9 3
10 3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층으로 제조한 실시예 1의 패드가 1개의 층의 비교예 1의 패드보다 피부 자극 및 사용감이 월등하게 적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비교예 1의 경우는 2명에 경우에는 사용감이 나쁜 정도를 지나 피부에 자극적인 느낌까지 나타난 것으로 평가된 것을 보면 본 발명의 우수성을 확연히 알 수 있다.
< 실시예 2>
본 실시예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접촉용 패드인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다만 가장자리 전체를 초음파 접합을 하지 않고 손걸이층이 적층되는 곳은 전체를 그 외의 가장자리는 전면 2곳, 후면 2곳을 스팟 접합한 것에 차이가 있다.
< 시험예 2>
시험예 1과 동일한 시험을 실시예 2의 패드를 이용하여 측정하게 한 후에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점수 평균



실시예 2 그룹




1 4


4.0


2 4
3 4
4 4
5 4
6 4
7 4
8 4
9 4
10 4
상기 표 2를 보면 실시예 2의 그룹의 평균 점수가 실시예 1보다 그룹의 평균 점수 보다 더 우수하여 가장자리를 부분적으로 스팟 접합하는 것이 사용감에서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피부접촉층 20: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
30: 손걸이층 31: 필링부
40: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J: 접합부
J': 스폿 접합부 F: 얼굴

Claims (4)

  1. 순면으로 이루어진 피부접촉층;
    상기 피부접촉층에 적층되고, 피부접촉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며, 기능성 화장품을 흡수하여 피부접촉층으로 공급하는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 및
    상기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에 적층되어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손걸이층을 포함하며,
    상기 피부접촉층,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 및 손걸이층의 결합은 초음파 접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초음파 접합 시 접합력을 강화시켜주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가 상기 피부접촉층과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의 사이 및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과 손걸이층 사이에 삽입 보강 구비되고,
    상기 피부접촉층과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의 초음파 접합 시 가장자리 중에서 피부접촉층, 기능성 화장품 흡수층 및 손걸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부분은 전체적으로 초음파 접합을 실시하고 나머지 부분은 스폿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흡수용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걸이층이 극세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흡수용 패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13795A 2016-09-05 2016-09-05 기능성 화장품 피부 흡수용 패드 KR101723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795A KR101723816B1 (ko) 2016-09-05 2016-09-05 기능성 화장품 피부 흡수용 패드
PCT/KR2017/008859 WO2018043954A1 (ko) 2016-09-05 2017-08-16 기능성 화장품 피부 흡수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795A KR101723816B1 (ko) 2016-09-05 2016-09-05 기능성 화장품 피부 흡수용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816B1 true KR101723816B1 (ko) 2017-04-07

Family

ID=58583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795A KR101723816B1 (ko) 2016-09-05 2016-09-05 기능성 화장품 피부 흡수용 패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3816B1 (ko)
WO (1) WO201804395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954A1 (ko) * 2016-09-05 2018-03-08 주식회사 코떼랑 기능성 화장품 피부 흡수용 패드
KR20240031736A (ko) 2022-09-01 2024-03-08 코스맥스네오 주식회사 도포패드 일체형 파우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1418U (ko) * 1987-12-04 1989-06-15
KR200287269Y1 (ko) 2002-06-05 2002-08-27 김수경 한지 원료에 황토와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혼합된 기능성얼굴미용 마사지 팩
KR101385652B1 (ko) * 2013-10-21 2014-05-07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JP2016032486A (ja) * 2014-07-30 2016-03-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化粧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649A (ja) * 2000-07-28 2002-02-05 Yoshihiko Tsukamoto 簡易型ファンデーション塗布用パフ
KR101723816B1 (ko) * 2016-09-05 2017-04-07 (주)코떼랑 기능성 화장품 피부 흡수용 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1418U (ko) * 1987-12-04 1989-06-15
KR200287269Y1 (ko) 2002-06-05 2002-08-27 김수경 한지 원료에 황토와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혼합된 기능성얼굴미용 마사지 팩
KR101385652B1 (ko) * 2013-10-21 2014-05-07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JP2016032486A (ja) * 2014-07-30 2016-03-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化粧パッ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954A1 (ko) * 2016-09-05 2018-03-08 주식회사 코떼랑 기능성 화장품 피부 흡수용 패드
KR20240031736A (ko) 2022-09-01 2024-03-08 코스맥스네오 주식회사 도포패드 일체형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3954A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3318A (en) Product applicator and packaging unit comprising such applicator
US4185330A (en) Disposable cosmetic glove
US4186445A (en) Disposable cosmetic glove
JP4046998B2 (ja) 塗布具
JP5890179B2 (ja) ブラシ/スクラブ機能を有するパッド
US4122554A (en) Disposable cosmetic glove
KR20080049708A (ko) 기계적 피부 재생
US5251990A (en) Method of applying skin products using an elongated strip
WO1988000015A1 (en) Cleansing puff
PT1137495E (pt) Almofadas laminadas com pegas dobradas mecanicamente
KR101723816B1 (ko) 기능성 화장품 피부 흡수용 패드
TW201244778A (en) Orthopedic prayer mat
KR20150000186U (ko) 손발 및 팔다리용 팩 세트
JPWO2006095912A1 (ja) 美容用具
CN103220928B (zh) 四指美容手套
US7624454B2 (en) Hand-packing instrument in the form of gloves
US3596661A (en) Dermatological cosmetic process
CN103721314A (zh) 一种静脉输液保护装置
US4493866A (en) Cosmetic towel
JP5388207B2 (ja) 洗浄用具
KR200467648Y1 (ko) 화장용 양면 패드
JP2004168698A (ja) ドライシャンプーシートおよび使用方法ならびに使用装置
KR102164416B1 (ko) 숯 성분이 포함된 화장솜
JP3115897U (ja) 甲部スキンケアシート
US3255481A (en) Epidermal pad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