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399B1 - 폐액 보관함 - Google Patents

폐액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399B1
KR101723399B1 KR1020160164876A KR20160164876A KR101723399B1 KR 101723399 B1 KR101723399 B1 KR 101723399B1 KR 1020160164876 A KR1020160164876 A KR 1020160164876A KR 20160164876 A KR20160164876 A KR 20160164876A KR 101723399 B1 KR101723399 B1 KR 10172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storage part
transfer tube
solution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주)유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나 filed Critical (주)유나
Priority to KR1020160164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50Enclosures; Chambers for storing hazardous materials in the laboratory, e.g. cupboards, wast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5Displaying results or values with integr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러버, 흄후드 등의 실험장비로부터 생성되는 폐액을 보관할 수 있는 폐액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폐액을 수용할 수 있는 용액보관부가 구비되고, 상기의 실험장비에서 배출되는 폐액이 용액보관부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으며, 용액보관부에 일정량의 폐액이 수용되면 용액보관부를 간편하게 인출하여 처리할 수 있는 폐액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액 보관함 {Wastewater storage}
본 발명은 스크러버, 흄후드 등의 실험장비로부터 생성되는 폐액을 보관할 수 있는 폐액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폐액을 수용할 수 있는 용액보관부가 구비되고, 상기의 실험장비에서 배출되는 폐액이 용액보관부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으며, 용액보관부에 일정량의 폐액이 수용되면 용액보관부를 간편하게 인출하여 처리할 수 있는 폐액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구실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은 크게 일반생활계폐기물, 방사능폐기물, 화학폐기물, 의료폐기물로 구분될 수 있다. 연구실에서 배출되는 폐지, 휴지, 1회용품, 음료수병, can 등의 사업장생활계폐기물은 지방자치단체의 조례가 정하는 바에 따라 생활폐기물의 기준 및 방법으로 수집, 운반, 보관, 처리할 수 있다. 반면에 연구개발활동 등으로 인해 발생 되는 폐산, 폐알칼리, 폐유기용제 등 화학폐기물은 사람에게 유해·위해 하거나 주변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고 생물 관련 실험 후 발생하는 인체조직물, 동물사체, 탈지면, 배양액, 보관균주 등 의료폐기물은 감염 등의 우려가 있어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실 등을 통해 발생되는 다양한 폐기물 중 특히 사용된 용액들은 실험이 종료된 후, 폐액으로 분류되어 별도의 보관통에 보관된다. 종래의 보관통은 취급이 어렵고 운반 도중 보관된 폐액이 흘러넘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다양한 실험장비로부터 폐액의 원활한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보관통과 실험장비를 연결하는 연결관 내부에 폐액이 잔존하여 보관통의 수거 시 연결관 내부에서 폐액이 흘러나와 실험실 내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연결관 내부에서 페액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관 내부에 폐액이 잔존하지 않으며, 수용된 폐액의 이동 및 취급이 용이한 폐액 보관함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2584호 '폐수 보관통' (출원일자 2010.10.06)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6702호 '해수 스크러버로부터 폐수 해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출원일자 2012.02.02) 3.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3844호 '스크러버 장치' (출원일자 2007.12.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폐액의 수집이 용이하며, 수집된 폐액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용액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액이 수집될 때 외부로 누출되거나, 보관된 폐액을 처리할 때 폐액이 수용된 용액 보관함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폐액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폐액 보관함은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용액이 투입되는 용액투입구(200); 일측단이 상기 용액투입구(200)와 연결되며, 용액투입구(200)로부터 투입된 용액이 이송되는 이송관(300); 상기 수용공간(S)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이송관(300)의 타측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300)을 따라 이동되는 용액을 전달받아 보관하는 용액보관부(400); 상기 용액보관부(400)가 안착되며, 상기 용액보관부(400)가 케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00)의 개방된 일측으로 삽입과 인출이 반복되는 인출부(500); 상기 용액보관부(400)의 인출과 삽입이 반복될 때 상기 이송관(300)이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여 상기 이송관(300)에 위치한 용액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이송관(300)을 안내하는 안내수단(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60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듈(610); 상기 용액투입구(20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회전모듈(610)과 연결되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가상의 수직선(h)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620); 상기 회전축(620)의 타측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620)과 일체로 회전하는 연결바(630); 상기 이송관(300)이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이송관(300)이 안착되며, 일정한 곡률반경을 그리며 회전하도록 상기 연결바(630)의 끝단에 장착되는 안내판(640); 을 포함하되, 상기 인출부(500)가 인출되어 상기 이송관(300)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멀어지는 경우 상기 회전축(620)이 일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송관(300)과 상기 용액보관부(400)의 상면이 이루는 경사(θ)를 유지시키고, 상기 인출부(500)가 삽입되어 상기 이송관(300)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회전축(620)이 타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관(300)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이송관(300)의 일부를 절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수단(600)은 상기 안내판(640)이 상기 회전축(6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일측이 상기 연결바(630)와 연결된 제1 힌지몸체(650); 상기 제1 힌지몸체(650)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안내판(640)과 연결되는 제2 힌지몸체(6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수단(600)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장착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601); 일측이 상기 가이드레일(601)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601)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봉(602); 상기 연결봉(602)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602)과 일체로 이동하는 이동몸체(603); 상기 이동몸체(603)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되, 상기 이송관(300)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쌍을 이루는 다수개의 지지롤러(604); 및 상기 가이드레일(60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602)을 후방으로 견인하도록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605);를 포함하되, 상기 인출부(500)가 인출되어 상기 이송관(300)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멀어지는 경우 상기 이동몸체(603)가 상기 가이드레일(60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송관(300)과 상기 용액보관부(400)의 상면이 이루는 경사(θ)를 유지시키고, 상기 인출부(500)가 삽입되어 상기 이송관(300)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이동몸체(603)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송관(300)을 절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롤러(604)는 상기 이송관(300)의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이송관(30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회전하는 안내롤러(604-1)와 상기 안내롤러(604-1)의 측면에 형성되는 롤러회전축(604-2)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몸체(603)에는 상기 롤러회전축(604-2)이 삽입되는 롤러홈(603-1)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롤러홈(603-1)의 내부에는 한쌍의 상기 안내롤러(604-1)가 상기 이송관(300)의 양측면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측과 타측이 상기 롤러회전축(604-2)에 각각 체결되어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60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폐액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용액보관부가 형성되며, 용액보관부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고, 용액보관부에 수용된 폐액을 처리하기 위해 용액보관부를 인출할 때, 용액이 이동하는 이송관에 잔존하지 않도록 이송관과 용액보관부가 이루는 각도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송관과 용액보관부를 분리할 때 이송관 내부에 위치한 용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액보관부를 케이스 내부에 삽입할 때 이송관이 꼬이지 않도록 안내수단이 이송관을 지지하여 용액투입구로 폐액을 투입할 때 폐액이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폐액 보관함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케이스에서 인출부가 인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안내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안내수단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폐액 보관함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케이스에서 인출부가 인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안내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안내수단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액 보관함은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100)를 갖는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도록 중공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면이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개방된 일측은 케이스(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0)의 하단에는 케이스(100)의 운반을 용이하도록 다수의 이동바퀴(1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케이스(100)의 상면에는 용액투입구(200)가 형성된다. 용액투입구(200)는 용액투입구(200)의 상단을 개폐하는 캡(210), 케이스(100)에 고정되는 투입구 몸체(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폐액(이하, 용액)을 용액투입구(200)의 캡(210)을 개방한 후 투입할 수 있고, 투입이 완료되면 캡(210)을 덮어 용액이 포함하는 가스 등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내부가 중공된 이송관(300)이 구비된다. 이송관(300)의 일측은 용액투입구(200) 즉, 투입구 몸체(220)와 연결되어 용액투입구(200)로부터 투입된 용액을 전달받으며, 전달된 용액이 이송관(300)을 따라 이동한다. 이송관(30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자유로운 절곡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주름관, 고무호스 또는 플렉시블관(flexible hose)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용액보관부(400)가 구비된다. 용액보관부(400)는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용액보관부(400)는 이송관(300)의 타측단과 연결되어 이송관(300)을 따라 이동되는 용액을 전달받아 용액보관부(400)의 내부에 보관한다. 이때 용액보관부(400)와 이송관(300)의 타측단은 상호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이송관(300)이 용액보관부(400)의 타측단에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케이스(100)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어 케이스(100)의 개방된 일측으로 삽입과 인출이 반복되는 인출부(500)가 구비된다. 인출부(500)는 상하로 세워져 케이스(100)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510)와 커버(510)의 하단에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바닥판(5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바닥판(520)의 상면에는 용액보관부(400)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520)의 측면과 케이스(100) 내측면 사이에는 레일(53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레일(530)에 안내되어 바닥판(52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바닥판(520)의 하면에는 인출부(500)를 케이스(100)에서 완전히 인출하여 인출부(500)만 단독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용액보관부(400)에 용액이 일정량 수용되면 용액보관부(400)에 수용된 용액을 처리하기 위해 인출부(500)를 인출하고, 용액의 처리가 완료되면 인출부(500)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용액보관부(400)가 케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용액보관부(400)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잔량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센서(120)가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케이스(100)의 외부에 용액보관부(400)의 수용량 및 수용될 수 있는 잔량 등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30)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이송관(300)을 안내하는 안내수단(600)이 구비된다. 즉, 안내수단(600)은 인출부(500)를 통해 용액보관부(400)의 인출과 삽입이 반복될 때, 이송관(300)과 용액보관부(400)가 일정한 경사도를 유지하여 이송관(300)을 따라 이송되는 용액이 원활하게 용액보관부(40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이송관(300)을 안내,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출부(500)를 케이스(100)에서 인출할 때 용액보관부(400)와 용액투입구(200)의 거리는 점차적으로 멀어지게 된다. 이때 용액보관부(400)와 용액투입구(200)를 상호 연결하는 이송관(300)은 용액보관부(400)와 용액투입구(200)의 이격된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용액보관부(400)에 수용된 용액을 처리한 후 인출부(500)를 케이스(100) 내부에 삽입하면 용액보관부(400)와 용액투입구(200)가 이루는 거리는 가까워진다. 동시에 이송관(300)은 케이스(100) 내부에서 꼬이거나 케이스(100)의 바닥면과 가까워지도록 늘어지게 되어 용액투입구(200)로 투입된 용액이 역류하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안내수단(600)이 이송관(300)을 지지 및 안내하여 이송관(300)을 따라 이동하는 용액이 용액보관부(400)로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이송관(300)과 용액보관부(400)가 이루는 경사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안내수단(600)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안내수단(600)은 회전모듈(610), 회전축(620), 연결바(630) 및 안내판(640)을 포함한다.
먼저 회전모듈(610)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또는 일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비틀림 스프링에 해당할 수 있다. 회전모듈(610)이 모터에 해당하는 경우 모터는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텝모터(step motor) 또는 서보모터(servo mot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비틀림 스프링에 해당하는 경우 회전모듈(610)이 일정한 외력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일정회전수 회전하고, 외력이 해제되면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타측 방향으로 다시 회전된 회전수만큼 회전이 진행될 수 있다.
회전축(620)은 회전모듈(610)과 연결되어 회전모듈(6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회전축(620)은 용액투입구(20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가상의 수직선(h)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회전축(620)과 용액투입구(200)는 케이스(100)의 상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수평선(L1) 상에 각각 위치할 수 있으며, 회전축(620)과 용액투입구(200) 중 어느 하나가 일정간격 이격된 평행선(L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바(630)는 회전축(620)의 타측에 체결되어 회전축(620)과 일체로 회전한다. 연결바(630)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송관(300)의 길이의 1/2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내판(640)은 연결바(630)의 끝단에 장착되어 회전축(620)이 회전할 시 일정한 곡률반경을 그리며 회전한다. 안내판(640)에는 이송관(300)이 안착되며, 안내판(640)이 연결바(630)와 함께 회전할 때 이송관(300)이 안내판(640)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인출부(500)가 인출되는 경우, 용액수용부(400)가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인출되고, 동시에 이송관(300)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점차적으로 멀어지게 된다. 이때, 회전축(620)이 일측으로 서서히 회전하면서 이송관(300)을 지지한다. 이로 인해 이송관(300)과 용액보관부(400)의 상면이 일정한 경사(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이송관(300)의 타측을 용액수용부(400)에서 분리한 후 용액수용부(400) 내부에 수용된 용액을 처리한다.
이와 반대로, 인출부(500)가 삽입되는 경우 용액보관부(400)가 케이스(100) 에 점차적으로 삽입되면서 이송관(300)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이루는 거리는 점점 가까워진다. 이때, 회전축(620)이 타측으로 서서히 회전하면서 이송관(300)의 일부가 자체 중량에 의해 처지거나, 용액보관부(400)의 상면 이하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송관(300)의 측면을 가압 또는 지지한다. 따라서, 이송관(300)이 지그재그를 그리며 절곡되며, 동시에 이송관(300)과 용액보관부(400)의 상면이 일정한 경사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안내수단(600)은 제1 힌지몸체(650)와 제2 힌지몸체(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몸체(650)는 일측이 연결바(630)와 체결되며, 제2 힌지몸체(660)는 안내판(640)과 연결된다. 이때 제1 힌지몸체(650)와 제2 힌지몸체(660)는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회전축(6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힌지몸체(650)와 제2 힌지몸체(660)는 상호 자유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힌지몸체(650)와 제2 힌지몸체(660)가 안내판(640)과 연결바(630) 사이에 형성됨으로 인해 안내판(640)이 이송관(3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안내수단(6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안내수단(600)은 가이드레일(601), 연결봉(602), 이동몸체(603), 지지롤러(604) 및 탄성부재(605)를 포함하며, 상기의 가이드레일(601), 연결봉(602), 이동몸체(603), 지지롤러(604) 및 탄성부재(605)는 지지롤러(604)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는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가이드레일(601)은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601)은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결봉(602)은 가이드레일(601)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일측이 가이드레일(601)에 삽입된다. 따라서, 연결봉(602)은 가이드레일(601)에 안내되어 가이드레일(601)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몸체(603)는 연결봉(602)의 타측에 설치되며, 연결봉(602)과 일체로 이동한다.
지지롤러(604)는 이동몸체(603)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이때, 지지롤러(604)에는 이송관(300)이 안착될 수 있는데, 이때, 이송관(300)의 양측면을 지지롤러(604)가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롤러(604)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롤러(604)는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이송관(300)의 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탄성부재(605)는 가이드레일(601)의 내측에 형성된다. 이때, 탄성부재(605)의 일측은 연결봉(602)에 체결되고, 타측은 가이드레일(601)의 끝단에 체결되어 연결봉(602)을 후방으로 견인하도록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다. 즉, 탄성부재(605)는 인장스프링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인출부(500)가 인출되어 이송관(300)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멀어지는 경우 이동몸체(603)가 연결봉(602)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다. 즉, 인출부(600)를 통해 용액수용부(400)가 인출될 때 이송관(300)도 함께 전방으로 인출되고, 동시에 이송관(300)이 지지롤러(604)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동몸체(603) 및 연결봉(602)이 가이드레일(60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송관(300)의 인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부재(605)의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이송관(300)은 긴장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송관(300)과 용액보관부(400)의 상면은 일정한 경사(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인출부(500)가 삽입되어 이송관(300)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가까워지는 경우 이동몸체(603)와 연결봉(602)이 탄성부재(605)의 탄성력에 의해 수방으로 견인된다. 이로 인해 이송관(300)은 일정한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이송관(300)이 이동몸체(603)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는 경사를 가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 을 참조하면 지지롤러(604)는 안내롤러(604-1)와 롤러회전축(604-2)을 포함한다. 안내롤러(604-1)는 이송관(300)의 측면과 접촉하여 이송관(300)이 전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안내롤러(604-1)가 회전하여 이송관(300)을 지지한다. 롤러회전축(604-2)는 안내롤러(604-1)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안내롤러(604-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이동몸체(603)에는 롤러회전축(604-2)이 삽입되는 롤러홈(603-1)이 관통형성된다. 롤러홈(603-1)은 이동몸체(603)의 측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며, 가이드레일(601)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간격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하측에 형성된 롤러홈(603-1)의 연장길이는 이동몸체(603)의 중심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진다.
따라서, 이송관(300)의 절곡되는 부분은 지지롤러(604)가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이송관(300)의 측면이 지지롤러(604)에 지지되면서 소정의 곡률반경을 그리며 절곡된다. 그러므로 이송관(300)을 따라 이동하는 용액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한편, 롤러홈(603-1)의 내부에는 일측과 타측이 일정간격 이격된 롤러회전축(604-2)에 각각 체결되는 탄성체(606)가 구비된다. 탄성체(606)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안내롤러(604-1)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당기는 인장 또는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즉, 지지롤러(604)의 이격된 간격보다 이송관(300)의 직경이 큰 경우 지지롤러(604)의 이격된 간격이 넓어지고, 동시에 지지롤러(604)가 이송관(300)의 양측면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송관(300)은 지지롤러(604)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폐액 보관함은 용액보관부(400)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고, 안내수단이 용액보관부(400)의 인출 또는 삽입에 무관하게 용액보관부(400)와 이송관(300)이 이루는 각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어 용액투입구(200)로 용액을 투입할 때 용액이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 케이스 200 : 용액투입구
300 : 이송관 400 : 용액보관부
500 : 인출부 600 : 안내수단
601 : 가이드레일 602 : 연결봉
603 : 이동몸체 603-1 : 롤러홈
604 : 지지롤러 604-1 : 안내롤러
604-2 : 롤러 회전축 605 : 탄성부재
606 : 탄성체 610 : 회전모듈
620 : 회전축 630 : 연결바
640 : 안내판 650 : 제1 회전몸체
650 : 제2 회전몸체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용액이 투입되는 용액투입구(200);
    일측단이 상기 용액투입구(200)와 연결되며, 용액투입구(200)로부터 투입된 용액이 이송되는 이송관(300);
    상기 수용공간(S)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이송관(300)의 타측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300)을 따라 이동되는 용액을 전달받아 보관하는 용액보관부(400);
    상기 용액보관부(400)가 안착되며, 상기 용액보관부(400)가 케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00)의 개방된 일측으로 삽입과 인출이 반복되는 인출부(500);
    상기 용액보관부(400)의 인출과 삽입이 반복될 때 상기 이송관(300)이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여 상기 이송관(300)에 위치한 용액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이송관(300)을 안내하는 안내수단(600);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수단(60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듈(610);
    상기 용액투입구(20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회전모듈(610)과 연결되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가상의 수직선(h)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축(620);
    상기 회전축(620)의 타측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620)과 일체로 회전하는 연결바(630);
    상기 이송관(300)이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이송관(300)이 안착되며, 일정한 곡률반경을 그리며 회전하도록 상기 연결바(630)의 끝단에 장착되는 안내판(640); 을 포함하되,
    상기 인출부(500)가 인출되어 상기 이송관(300)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멀어지는 경우 상기 회전축(620)이 일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송관(300)과 상기 용액보관부(400)의 상면이 이루는 경사(θ)를 유지시키고,
    상기 인출부(500)가 삽입되어 상기 이송관(300)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회전축(620)이 타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관(300)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이송관(300)의 일부를 절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 보관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600)은
    상기 안내판(640)이 상기 회전축(6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일측이 상기 연결바(630)와 연결된 제1 힌지몸체(650);
    상기 제1 힌지몸체(650)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안내판(640)과 연결되는 제2 힌지몸체(6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 보관함.
  4. 삭제
  5. 삭제
KR1020160164876A 2016-12-06 2016-12-06 폐액 보관함 KR101723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76A KR101723399B1 (ko) 2016-12-06 2016-12-06 폐액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76A KR101723399B1 (ko) 2016-12-06 2016-12-06 폐액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399B1 true KR101723399B1 (ko) 2017-04-05

Family

ID=5858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876A KR101723399B1 (ko) 2016-12-06 2016-12-06 폐액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3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340B1 (ko) * 2017-04-18 2017-11-08 주식회사 신생 폐약품 보관 시약장
KR101838920B1 (ko) * 2017-09-07 2018-03-15 이민수 벤트필터가 포함된 자체 순환형 폐시약 안전 보관함
KR101941152B1 (ko) * 2017-10-23 2019-01-23 쏠코리아 주식회사 폐용액 저장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844A (ko) 2007-12-14 2009-06-1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스크러버 장치
KR20120002584A (ko) 2009-03-24 2012-01-06 가부시키가이샤 아사카리켄 수처리 방법 및 수처리 시스템
JP5086124B2 (ja) * 2008-02-19 2012-11-28 株式会社ディスコ 加工廃液処理装置
KR20130126702A (ko) 2011-02-10 2013-11-20 알스톰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해수 스크러버로부터 폐수 해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371187B1 (ko) * 2013-11-01 2014-03-12 (주)영테크 케미컬 흡입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844A (ko) 2007-12-14 2009-06-1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스크러버 장치
JP5086124B2 (ja) * 2008-02-19 2012-11-28 株式会社ディスコ 加工廃液処理装置
KR20120002584A (ko) 2009-03-24 2012-01-06 가부시키가이샤 아사카리켄 수처리 방법 및 수처리 시스템
KR20130126702A (ko) 2011-02-10 2013-11-20 알스톰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해수 스크러버로부터 폐수 해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371187B1 (ko) * 2013-11-01 2014-03-12 (주)영테크 케미컬 흡입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340B1 (ko) * 2017-04-18 2017-11-08 주식회사 신생 폐약품 보관 시약장
KR101838920B1 (ko) * 2017-09-07 2018-03-15 이민수 벤트필터가 포함된 자체 순환형 폐시약 안전 보관함
KR101941152B1 (ko) * 2017-10-23 2019-01-23 쏠코리아 주식회사 폐용액 저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399B1 (ko) 폐액 보관함
CN201823147U (zh) 用于医疗设备的盘及导管包装系统
US5405587A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transporting medical implements
JP6164664B2 (ja) 混合システム
KR102043955B1 (ko) 검체 채취용 어댑터
CN207918803U (zh) 一种便携式动物病原微生物快速检测箱
KR101284703B1 (ko) 미생물 수송배지 용기
CN202016660U (zh) 一种消毒棉签自动取用装置
KR20170074982A (ko) 용기 내부로 매체를 도입하기 위한 장치
KR20090093495A (ko) 검체용 수송배지용기
CN104169412A (zh) 袋锁定机构
KR102347227B1 (ko) 채혈관용 라벨 부착장치
CN213263475U (zh) 一种生化试剂生产用低温存放装置
CN106226127B (zh) 一种微生物的取样机构
CN109350249B (zh) 一种医疗推车用传送盒
CN210711586U (zh) 一种细胞增殖及毒性检测试剂盒
CN207670039U (zh) 中文教学用文件箱
CN108225812B (zh) 采样杯
CN111493063A (zh) 液氮罐
US7562776B1 (en) Slide holder for staining specimens disposed on microscope slides
CN211433892U (zh) 一种便携式换药箱
CN201382871Y (zh) 化学因子样品采集箱
CN214493693U (zh) 一种畜牧兽医用疫苗存放装置
CN215246364U (zh) 一种医疗标本运送盒
US7497135B2 (en) Method for placing a receptacle containing a liquid in a device for sampling the liquid and sampling device for apply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