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373B1 - 일회용 성인 기저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성인 기저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373B1
KR101723373B1 KR1020150154458A KR20150154458A KR101723373B1 KR 101723373 B1 KR101723373 B1 KR 101723373B1 KR 1020150154458 A KR1020150154458 A KR 1020150154458A KR 20150154458 A KR20150154458 A KR 20150154458A KR 101723373 B1 KR101723373 B1 KR 101723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lastic
elastic yarn
folde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표
박인춘
Original Assignee
(주)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어 filed Critical (주)케어
Priority to KR102015015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3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ic in both the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dir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상의 편리성과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생산 공정상의 경제성이 있는 일회용 성인 기저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부; 상기 흡수부의 양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1커버 및 제2커버;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날개에 배치되고 저면에 배치되는 체결부에 착탈되는 조절부;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내측에서 흡수부와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샘방지부; 상기 샘방지부를 이루는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내측 단부측에 형성되는 내측절첩부에 결합되는 내측탄성사; 및 제1커버 및 제2커버를 샘방지부 외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외측탄성사를 구비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성인 기저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성인 기저귀 및 그 제조방법{DISPOSABLE ADULT DI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성인용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상의 편리성과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생산 공정상의 경제성이 있는 일회용 성인 기저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실금(尿失禁,Urinary Incontinence)이란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요도를 통하여 소변이 나오는 증상을 말하고, 변실금이란 항문을 통하여 대변이 나오는 증상을 말한다.
이러한 요실금 발생시 팬티의 젖어있는 면과 피부의 접촉으로 인해 불쾌감이 유발되고, 자신감과 생활의 의욕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우울증 내지 대인기피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지속되는 습기로 인한 세균과 냄새는 사회활동의 제약하거나 다른 질병감염을 유발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요실금은 형태에 따라 진성 요실금과 복압성 요실금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전자는 외상이나 수술로 괄약근 또는 이를 지배하는 신경이 손상을 받거나 이소성 요관과 같은 선천성 기형 등으로 인해 방광에 요가 저장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하며, 후자는 대개 분만을 경험한 중년 또는 노년의 여성에게서 생기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나 운동을 할 때 발생하여 긴장성 요실금으로 일컬어진다.
환자용 또는 성인용의 기저귀는 이러한 요실금이나 변실금 증상이 있는 사람에게는 필수적이며, 현재 국내외에서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성인용 기저귀는 팬티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로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6650호는 종래기술의 성인용 일회용 기저귀를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일회용 성인용 기저귀를 살펴보면, 착용시 사람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단부와, 상기 전단부에 연속하여 양측에 구비된 탄성체에 의해 착용시 밀착되는 가랑이부와, 상기 가랑이부에 연속하여 착용시 사람의 후면에 위치하며 양측에 소정의 접착밴드가 구비되어 상기 전단부와 결합되는 후단부로 형성된다.
내측에는 흡수체(30)이 체액을 흡수할 수 있으며 상부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삽입된다. 샘방지막(42)은 체액이 누수되지 않도록 기능하며, 접착밴드가 좌우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어 착용자의 사이즈에 알맞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성인 기저귀는 국내외에 다양한 제품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인체에 착용하였을 때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으면서도 누수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소재와 세부적인 구조에 있어서 꾸준한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다만, 구조상의 복잡성의 증가는 생산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게 되고 이는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하여야 하는 소비자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기 때문에 기능성은 물론 생산공정의 문제를 함께 고려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체에 착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도 안정감과 구조적인 견고성을 가질 수 있는 일회용 성인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공정의 복잡성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제작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일회용 성인 기저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부; 상기 흡수부의 양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1커버 및 제2커버;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날개에 배치되고 저면에 배치되는 체결부에 착탈되는 조절부;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내측에서 흡수부와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샘방지부; 상기 샘방지부를 이루는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내측 단부측에 형성되는 내측절첩부에 결합되는 내측탄성사; 및 제1커버 및 제2커버를 샘방지부 외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외측탄성사를 구비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성인 기저귀를 제공한다. 따라서, 생산공정이 단순화되면서도 사용상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 내측탄성사는,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절첩부위에 형성되는 공간에 결합되며, 상기 외측탄성사는, 제1커버와 흡수부 및 제2커버와 흡수부의 접착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내측탄성사는, 2개의 탄성사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외측탄성사는, 3개의 탄성사가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내측탄성사는, 외측탄성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는,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날개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외측절첩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력이 우수하며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외측절첩부의 저면에 접착되고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이후 굽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자유단을 형성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자유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굽힘부 및 외측절첩부를 덮는 형태로 접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자유단은, 외측절첩부의 단부보다 내측에서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박형의 커버에 대한 부하가 분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펄프의 분쇄 및 믹싱하여 흡수체를 마련하는 단계와; 흡수체를 개재하여 상하시트를 접착하고 흡수부 연속체를 마련하는 단계와; 양측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내측을 절첩하고 내측탄성사를 결합하는 단계와; 제1커버 및 제2커버와 흡수체를 접착하여 일회용 기저귀 연속체를 마련하는 단계와; 제1커버 및 제2커버와 흡수체를 접착하는 과정에서 외측탄성사를 결합하는 단계와; 제1커버 및 제2커버에 조절부를 접착하는 단계와; 각각의 일회용 성인 기저귀의 형상을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회용 성인 기저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내측탄성사를 결합하는 단계는, 탄성사 공급부에서 양측으로 하나 이상의 내측탄성사를 공급하고, 탄성사가이드가 내측탄성사를 정렬하면, 가이드부재가 마주보는 제1커버와 제2커버를 접어가면서 내측절첩부 접어가면서 내측탄성사를 배치하고, 가이드부재의 내측에서 접착물질을 도포하여 내측절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성인 기저귀, 그 제조방법과 장치에 의하여 사용상의 신뢰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연속적인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수시로 교체하여야 하는 소비자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어 국민 건강과 위생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성인용 일회용 기저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성인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회용 성인 기저귀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일회용 성인 기저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회용 성인 기저귀에서 커버부의 중심측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회용 성인 기저귀에서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절부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회용 성인 기저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성인 기저귀의 내측 절첩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성인 기저귀 및 그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부와, 흡수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커버 및 제2커버와,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날개부에 배치되는 조절부와,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내측에서 흡수부와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샘방지부와,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외측에 형성되며 인체의 서혜부의 형상에 맞추어 샘방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성인 기저귀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이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2의 도시된 상태에서 상측은 후방으로, 하측은 전방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하며, 사용상태에서 이러한 방향은 치환될 수 있다. 또한, 폭방향의 중심을 바라보는 방향을 내측으로 그 반대되는 방향을 외측으로 정의하며, 도 2의 도시상태를 상부 또는 상면으로 도 3의 도시상태를 하부 또는 하면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 성인 기저귀는 크게 폭방향 중심에 배치되는 흡수부(1000)와, 흡수부(1000)의 양측에 접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커버(2010) 및 제2커버(202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흡수부(1000)는 소변과 같은 인체의 배설물 등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1120)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흡수체(1120)는 분쇄된 형태의 솜털펄프나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하면에 각각 상부시트(1110)와 하부시트(도 3의 1130)가 배치되어 흡수체(1120)의 위치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시트(1110)와 하부시트(1130)는 열가소성 합성 섬유 부직포, 열가소성 합성 섬유와 천연 섬유나 화학 섬유와의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는데, 하부시트(1130)의 경우 외부로 배설물 등이 유출되지 않도록 방수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부시트(1110)는 액체 투과성 또는 흡수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시트(1130)는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 합성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2010)와 제2커버(2020)로 이루어지는 커버부(2000)는 실질적으로 흡수부(1000)의 위치와 형태를 유지하면서 인체에 밀착되도록 기능하게 되는데, 후술될 바와 같이 샘방지부(2120)의 형성 등을 고려하면 소수성의 부직포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2000)를 형성하는 재질은 폭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부직포 재질로 형성되어 그 자체로서 탄성력을 가지고 신축되어 인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커버(2010)와 제2커버(2020)가 각각 흡수부(1000)의 양측에 결합되어 인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기능하면서 길이방향의 대략 중심측에서 양측으로의 배설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샘방지부(2120)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1커버(2010)와 제2커버(2020)는 흡수부(1000)의 양측의 상면에서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이격되어 접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커버부(2000)가 흡수부(1000)의 저면 즉, 착용시의 외면에 결합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샘방지부(2120)의 형성이 어려우며 상하면에 이중으로 커버부를 형성하게 되면 생산 공정의 복잡성과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부(1000)의 상면 양측에 두 개의 조각이 접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생산공정의 효율성과 소비자의 비용부담의 저감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도시된 사항에서 흡수부(1000)와 커버부(2000)의 중첩되는 영역의 대부분은 접착물질이 도포되거나 열실링 되는 등의 방식으로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샘방지부(2120)를 형성하는 부위에는 커버부(2000)의 내측 단부측이 흡수부(100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접착이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샘방지부(2120)의 외측으로는 대칭되는 형태로서 제1커버(2010) 및 제2커버(2020)의 길이방향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탄성부(23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사항에서는 펼쳐진 상태의 평면상으로 나타났으나, 실제 착용시에는 전방과 후방이 상측으로 상호 인접되어 전체적으로 서혜부의 전후방을 감싸는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사람마다 그 형상이나 크기가 차이를 가지기 때문에 탄성부(2300)가 탄성을 가지고 신축되면서 인체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샘방지부(2120)가 격벽의 형태로서 일차적으로 배설물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탄성부(2300)가 인체에 밀착되어 이차적으로 유출을 방지하는 이중의 샘방지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다만, 샘방지부(2120)가 길이방향으로 탄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 인체의 형상에 정확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샘방지부(2120)가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고 신축 가능하도록 탄성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된 탄성부(2300)와 샘방지부(2120)의 탄성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1커버(2010)와 제2커버(2020)는 전후방에서 양측으로 더 벌어진 형태로 각각 날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날개는 인체를 감싸면서 흡수부(1000)의 위치와 형태를 유지하여주도록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제1커버(2010)는 후방측에 후방측제1날개(2011)와 전방측에 전방측제1날개(2012)를 포함하고, 제2커버(2020)는 후방측에 후방측제2날개(2022)와 전방측에 전방측제2날개(20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의 경우 상호 길이방향으로 위치가 반전되어 도시되어 있음에 유의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회용 성인 기저귀는 전체적으로 전후방에서 폭이 넓고 중심측의 폭이 좁은 땅콩 내지는 모래시계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인체에 밀착되었을 경우 팬티와 유사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이 흡수부(1000)도 마찬가지로 전후방에서 폭이 중심측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측제1날개(2011)와 후방측제2날개(2022)는 조절부(21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절부(2100)는 전방측의 저면에 형성되는 체결부(24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조절부(2100)와 체결부(2400)의 결합으로서 후방측제1날개(2011)와 후방측제2날개(2022)가 밀착되고, 전방측제1날개(2012)와 전방측제2날개(2021)가 밀착되어 인체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2400)는 제1커버(2010) 및 제2커버(2020) 및/또는 흡수부(100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허리의 둘레에 따라 다양한 위치로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폭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길이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2100)와 체결부(2400)는 벨크로(velcro)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반복 탈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스냅버튼이나 후크(hook) 등과 같은 체결구조가 채택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2000) 또는 최소한 전방측제1날개(2012), 전방측제2날개(2021), 후방측제1날개(2011) 및 후방측제2날개(2022)가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재질, 예를 들어 신축성의 부직포로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조절부(2100) 및 체결부(2400)와 함께 인체에의 밀착감과 착용감을 더욱 향상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탄성부(2300)는 길이방향으로의 신축성을 외측에서 부여하게 되는데, 양측에서 각각 제1커버(2010)와 제1커버(2010)의 길이방향 중심의 외측에 외치하며 이러한 탄성부(2300)가 배치되는 부위에는 흡수부(1000)가 중첩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일회용 성인 기저귀의 분해도이다.
흡수부(1000)를 사이에 두고 제1커버(2010)와 제2커버(2020)가 대칭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는데, 흡수부(1000)의 상면에 상호 이격 배치되어 샘방지부(2120)가 형성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접착부(2210)는 흡수부(1000)와 제1커버(2010), 흡수부(1000)와 제2커버(2020)가 상호 결합되는 부위를 의미하며, 결합된 전체의 형태에서 후방측제1날개(2011)와 전방측제1날개(2012)가 흡수부(1000)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후방측제2날개(2022)와 전방측제2날개(2021)가 흡수부(1000)의 타측으로 돌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2100)는 후방측제1날개(2011)와 후방측제2날개(2022)의 양단측에 배치되어 흡수부(1000)의 저면에 배치되는 체결부(2400)에 탈착 가능하며, 초기 상태에서는 조절부(2100)의 자유단이 날개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절첩된 상태로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2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접착부(2210)의 길이방향 중심측의 내측에서는 접착이 되지 않는 부위가 형성되는데 이 부분은 샘방지부(2120)로 기능하게 되며, 어느 정도 소변과 대변의 양측으로의 흐름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인체의 곡선에 따라 자연스러운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만곡진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부(1000)는 양측에서 내주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이루며, 제1커버(2010)와 제2커버(2020)의 이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탄성부(23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2300)는 흡수부(1000)와 접착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는데, 그 두께가 증가하면 탄성력에 장애가 될 수 있으므로 탄성부(2300)가 배치되는 측에는 흡수체(1120)가 제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회용 성인 기저귀에서 커버부의 중심측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접착부(2210)의 영역은 제1커버(2010)와 흡수부(1000)가 중첩되어 접착된 영역을 의미한다. 다만, 샘방지부(2120)가 형성되는 부위는 흡수부(1000)와 제1커버(2010)가 중첩되어 있으나 접착되어 있지 않으며 샘방지부(2120)를 형성하는 제1커버(2010)의 소정의 면적이 흡수부(1000)로부터 이격되어 배설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여기서, 제2커버(2020)는 제1커버(2010)와 대칭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상기 접착부(2210)에 형성되는 탄성부(2300)가 인체에의 밀착을 통하여 이차적인 샘방지의 기능을 하면서 일차적으로는 샘방지부(2120)가 기능하게 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때, 샘방지부(2120)의 효과적인 작동을 위하여 샘방지부(2120)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수단은 샘방지부(2120)측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내측탄성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샘방지부(2120)의 내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후술될 탄성부(2300)와는 달리 샘방지부(2120)에 형성되는 내측탄성사는 커버부와만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이를 위하여 제1커버(2010)와 제2커버(2020)의 내측 단부는 절첩되어 그 사이에 내측탄성사를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샘방지부(2120)의 내측 단부에는 내측절첩부(2220)가 형성되고 내측절첩부(2220)에 내측탄성사가 배치되어 절첩된 부위와 탄성사 사이의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효과적인 샘방지기능을 고려하여 내측탄성사는 내측제1탄성사(2231)와 내측제2탄성사(2232)가 상호 인접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단일의 탄성사의 배치의 경우에 비하여 탄성복원력이 향상됨은 물론 폭방향으로 이중의 샘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탄성부(2300)의 형성을 위하여 샘방지부(2120)의 외측에는 외측탄성사(2331, 2332, 233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탄성사(2331, 2332, 2333)는 제1커버(2010)와 흡수부(1000)의 상부시트(1110)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탄성사(2331, 2332, 2333)는 폭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탄성사의 배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내측탄성사와 외측탄성사의 개수는 선택적이나 기능성을 고려하여 외측탄성사의 개수가 내측탄성사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변 또는 대변의 내측에서의 유동과 중력에 의한 쏠림 현상을 고려하여 내측탄성사가 외측탄성사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탄성사와 외측탄성사는 신축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조단계의 접착과정, 더욱 정확하게는 내측절첩부(2220)의 접착과정과 제1커버(2010) 또는 제2커버(2020)와 흡수부(1000)와의 접착과정에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탄성사는 신장된 상태에서 결합되어 자연스러운 상태에서는 샘방지부(2120) 또는 탄성부(2300)가 원래의 길이보다 축소된 상태를 형성하도록 하며 착용시 인체의 형상에 맞추어 신장되어 밀착이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회용 성인 기저귀에서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개념과 같이 부직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낱장의 커버부(2000)가 흡수부(1000)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경우 착용감과 생산성 면에서 이점이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그런데, 조절부(2100)가 날개의 단부에 배치되면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직포로 커버부(2000)가 제작되면 특히 절단된 단부측에서는 펠트 재질의 접착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찢겨져 나갈 우려가 있고, 이러한 경우 원만한 착용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커버부(2000)의 양단측, 더욱 정확하게는 후방측날개의 외측 단부에서 조절부(2100)와 체결부위에 외측절첩부(2240)를 형성한다.
이러한 외측절첩부(2240)는 후술될 바와 같은 조절부(2100)의 구조와 함께 결합력을 향상하고 착용 과정에서 당기는 동작시 내구성을 보장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절첩부(2240)가 형성된 측에 조절부(2100)가 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용자가 필요한 경우 이를 펼쳐서 저면에 형성되는 전방측의 체결부(2400)에 결합시킨다. 조절부(2100)의 결합되는 부위에는 다수의 고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리는 부직포의 펠트 사이의 공간에도 어느 정도의 부착력을 제공하므로 비착용시 조절부(2100)의 자유단을 날개에 고정함으로써 다른 물체나 부위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조절부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제1커버(2010)를 대상으로 설명하면, 외측절첩부(2240)가 후방측제1날개(2011) 단부에 형성되고 조절부(2100)는 복수의 갈고리 구조를 가지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2130)는 체결부(2400)에 형성되는 걸림고리 내지는 걸림링과 결합될 수 있다.
외측절첩부(2240)가 상면으로 절첩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나, 이러한 형태는 상하면으로 반전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결합부(2130)는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2110)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2110)는 후방측제1날개(2011)의 저면에 일측이 부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타측이 자유단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베이스(2110)는 후방측제1날개(2011)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첩되어 소정 길이를 감싼 이후에 다시 외측으로 절첩되어 굽힘부(2111)를 통하여 자유단을 연장시키게 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조절부(2100)의 자유단은 제1커버(2010)의 단부가 아닌 단부보다 내측에서 시작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시상태에서는 굽힘부(2111)가 외측절첩부(2240)의 내측 단부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데 경우에 따라 내측 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베이스(2110)의 상면과 제1커버(2010)를 함께 부착하도록 접착부재(2120)가 그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접착부재(2120)의 일부는 자유단을 구성하고 일부는 제1커버(2010)와 일체로 외측절첩부(2240) 및 베이스(2110)를 고정하도록 기능한다.
이렇게 복수의 절첩구조와 이중의 접착 구조를 통하여 조절부(2100)와 제1커버(2010)의 결합력이 보장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커버부(2000)에 대해 안정적인 장력의 지지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회용 성인 기저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흡수체(1120)를 형성하기 위하여 펄프를 분쇄하고 믹싱하는 단계(S3100)가 개시되어 분쇄된 형태의 솜털펄프가 마련될 수 있다. 분쇄 전의 펄프는 롤 형태로 권취된 장방향의 부재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이러한 분쇄 공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러한 펄프의 분쇄형태에는 흡수성 및 내구성의 향상을 위하여 고분자수지 등이 함유되어 믹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분쇄 및 믹싱이 완료되면 상부시트(1110)와 하부시트(1130) 사이에 흡수체(1120)를 개재하고 테두리를 접착하게 된다. 이렇게 마련된 흡수부(1000)는 장방형의 연속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조상의 편의성을 고려하면 커버부(2000)와의 접착 등의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커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팅공정에 대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하시트의 접착으로써 흡수부(1000) 연속체가 마련되는 과정에서 흡수부(1000)에 결합되는 제1커버(2010) 및 제2커버(2020)는 배치되는 폭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상술된 탄성사의 결합을 위한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내측절첩부(2220)의 형성(S3300)과 내측탄성사들의 결합(S3310)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고, 이 경우 제1커버(2010) 및 제2커버(2020)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나 상기 절첩부의 형성 및 내측탄성사들의 결합은 단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샘방지부(2120)가 형성되는 부위까지만 내측탄성사가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사는 미리 신장된 상태로 제1커버(2010) 및 제2커버(2020)와 결합되며 연속적인 제조공정에서는 커버부(2000)가 본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장력을 제공함으로써 원래의 형태인 장방형으로 공급하는 것이 결합공정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흡수부(1000)와 커버부(2000)가 연속체로서 마련되면 커버부 접착(S3400)이 이루어지는데, 흡수부(1000)의 상면에서 양측의 제1커버(2010)와 제2커버(2020)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접착을 하게 된다.
커버부(2000)의 접착 공정에서 흡수부(1000)와의 사이에 외측탄성사들을 개재한 이후에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는 외측탄성사 결합(S3410)단계로 커버부 접착(3400)단계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마련된 커버부(2000)와 흡수부(1000)의 결합관계에서 커버부(2000)의 양단측, 정확하게는 후방날개를 이루는 양측에서 외측절첩부(2240)를 형성하기 위한 외측절첩(S3500)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조절부(2100)의 접착(S3510)이 이루어진다. 이때, 내측절첩부(2220)와는 달리 외측절첩부(2240)는 베이스(2110)와 접착부재(2120)에 의한 접착이 이루어지고 일부 구간에서만의 절첩이 필요하므로 절첩 부위에 별도의 접착 공정이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경우에 따라 신장강도의 향상을 위하여 접착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추가로, 커버부(2000)와 흡수부(1000)가 결합된 연속체에서 체결부(2400)가 저면에 접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흡수부(1000)와 커버부(2000)와 조절부(2100) 및 탄성수단들의 결합이 완료되면 기저귀 연속체로서 마련되는데, 도 2와 같은 형상을 이루기 위하여 흡수부(1000)와 커버부(2000)의 길이방향 중심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커팅(S3600)공정이 수행된다.
또한, 연속체에서 각각의 일회용 성인 기저귀를 분리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써 커팅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의 커팅은 박형의 커버부(2000) 또는 시트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워터젯 커팅(water jet cutting)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물을 고압(3000~6000bar)으로 만들어 0.2~0.4mm의 분사노즐 통해 초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곡선형태의 절단을 할 수 있다.
이렇게 커팅되어 평판 형상을 이루는 각각의 일회용 성인 기저귀는 절첩되는 과정 및 포장(S3700) 공정을 거쳐 최종 상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성인 기저귀의 내측 절첩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내측절첩부(2220)는 제1커버(2010)와 제2커버(2020)에서 탄성사를 배치하기 위함은 물론 절단된 날이 피부에 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도 기능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탄성사의 배치와 절첩 및 접착이 동시에 수행될 것이 요청된다.
상기된 복합적인 공정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내측절첩부 형성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 접착단계(S3400)를 거치기 전에 내측절첩부(2220)를 형성하는 공정을 위하여 제1커버(2010)와 제2커버(2020)는 소정의 이송라인 상에서 이격된 간격을 가지고 이송된다.
탄성사공급부(3310)는 양측에서 내측제1탄성사(2231)와 내측제2탄성사(2232)를 소정의 장력을 가지고 공급을 하며, 탄성사가이드(3320)는 내측절첩부(2220)에 배치되기 위한 이격 간격에 맞게 가이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가이드부재(3340)는 커버부(2000)의 이송 과정에서 이송되는 힘에 의하여 내측 단부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접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3340)를 통하여 일부분에서 전체로 내측절첩부(2220)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그 사이의 공간에 탄성사가 삽입되는데 일단은 탄성사공급부(3310)에서 장력을 유지하고 타단은 연속적으로 접착결합되는 내측절첩부(2220)의 운송라인에 의하여 지탱받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340)는 절곡 및 절단된 일체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저부의 프레임과, 일측에서 프레임과의 상하 이격된 사이 공간으로 커버부의 내측 단부를 접어넣는 접이부(참조번호 미표시)와, 타측에서 완전하게 접힌 부위에 접착물질의 도포공간을 마련하는 가이드부(참조번호 미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이부와 프레임의 이격된 간격은 접이부와 가이드부의 이격된 간격보다 더 크며, 가이드부는 탄성을 가지고 상하로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도록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프레임과 밀착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접이부는 프레임으로부터 내측 상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서 폭이 좁고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접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데, 가이드부는 접이부의 타단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되 내측으로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부는 프레임과 직접 결합되지 않고 단부가 소정의 자유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포부(3350)는 가이드부재(3340)에 의하여 절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배치되며 정확하게는 가이드부에 의하여 마련되는 내측 공간에 접착물질을 도포하게 된다. 이러한 도포부(3350)는 내측제1탄성사(2231)와 내측제2탄성사(2232) 및 내측절첩부(2220)가 상호간에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된 가이드부재의 구조는 외측절첩부(2240)의 형성을 위한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절첩부위 자체의 접착은 없이, 베이스(2110)를 저면에 결합하고 함께 절첩하면서 상면에 접착부재(2120)가 결합되도록 가이드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성인 기저귀, 그 제조방법과 장치에 의하여 사용상의 신뢰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연속적인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수시로 교체하여야 하는 소비자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어 국민 건강과 위생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흡수부 1110...상부시트
1120...흡수체 1130...하부시트
2000...커버부 2010...제1커버
2011...후방측제1날개 2012...전방측제1날개
2020...제2커버 2021...전방측제2날개
2022...후방측제2날개 2100...조절부
2110...베이스 2111...굽힘부
2120...접착부재 2130...결합부
2200...샘방지부 2210...접착부
2220...내측절첩부 2231...내측제1탄성사
2232...내측제2탄성사 2240...외측절첩부
2300...탄성부 2331...외측제1탄성사
2232...외측제2탄성사 2233...외측제3탄성사
2400...체결부 3310...탄성사공급부
3320...탄성사가이드 3340...가이드부재
3350...도포부

Claims (8)

  1.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부;
    상기 흡수부의 양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1커버 및 제2커버;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날개에 배치되고 저면에 배치되는 체결부에 착탈되는 조절부;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내측에서 흡수부와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샘방지부;
    상기 샘방지부를 이루는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내측 단부측에 형성되는 내측절첩부에 결합되는 내측탄성사; 및
    제1커버 및 제2커버를 샘방지부 외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외측탄성사를 구비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날개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절첩부의 저면에 접착되고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이후 굽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자유단을 형성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자유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굽힘부 및 외측절첩부를 덮는 형태로 접착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자유단은,
    외측절첩부의 단부보다 내측에서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성인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탄성사는,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절첩부위에 형성되는 공간에 결합되며,
    상기 외측탄성사는, 제1커버와 흡수부 및 제2커버와 흡수부의 접착부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성인 기저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탄성사는, 2개의 탄성사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외측탄성사는, 3개의 탄성사가 평행하게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성인 기저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탄성사는,
    외측탄성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성인 기저귀.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일회용 성인 기저귀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으로서,
    펄프의 분쇄 및 믹싱하여 흡수체를 마련하는 단계와;
    흡수체를 개재하여 상하시트를 접착하고 흡수부 연속체를 마련하는 단계와;
    양측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내측을 절첩하고 내측탄성사를 결합하는 단계와;
    제1커버 및 제2커버와 흡수체를 접착하여 일회용 기저귀 연속체를 마련하는 단계와;
    제1커버 및 제2커버와 흡수체를 접착하는 과정에서 외측탄성사를 결합하는 단계와;
    제1커버 및 제2커버에 조절부를 접착하는 단계와;
    각각의 일회용 성인 기저귀의 형상을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회용 성인 기저귀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탄성사를 결합하는 단계는,
    탄성사 공급부에서 양측으로 하나 이상의 내측탄성사를 공급하고, 탄성사가이드가 내측탄성사를 정렬하면, 가이드부재가 마주보는 제1커버와 제2커버를 접어가면서 내측절첩부 접어가면서 내측탄성사를 배치하고, 가이드부재의 내측에서 접착물질을 도포하여 내측절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성인 기저귀의 제조방법.

KR1020150154458A 2015-11-04 2015-11-04 일회용 성인 기저귀 및 그 제조방법 KR101723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458A KR101723373B1 (ko) 2015-11-04 2015-11-04 일회용 성인 기저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458A KR101723373B1 (ko) 2015-11-04 2015-11-04 일회용 성인 기저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373B1 true KR101723373B1 (ko) 2017-04-06

Family

ID=5858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458A KR101723373B1 (ko) 2015-11-04 2015-11-04 일회용 성인 기저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948A (ko) 2020-05-19 2021-11-26 주식회사 창은레딕스 열융착식 흡수체 뭉침방지 기저귀와 그 제조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650Y1 (ko) * 2001-12-17 2002-02-28 (주)다쉬 성인용 일회용 기저귀
JP2002515771A (ja) * 1995-11-03 2002-05-28 ポリ−ボン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通気性のある使い捨て衛生品の構造とバリアシート
JP2010148762A (ja) * 2008-12-26 2010-07-08 Daio Paper Corp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
WO2011010574A1 (ja) * 2009-07-21 2011-01-27 株式会社瑞光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5771A (ja) * 1995-11-03 2002-05-28 ポリ−ボン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通気性のある使い捨て衛生品の構造とバリアシート
KR200266650Y1 (ko) * 2001-12-17 2002-02-28 (주)다쉬 성인용 일회용 기저귀
JP2010148762A (ja) * 2008-12-26 2010-07-08 Daio Paper Corp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
WO2011010574A1 (ja) * 2009-07-21 2011-01-27 株式会社瑞光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948A (ko) 2020-05-19 2021-11-26 주식회사 창은레딕스 열융착식 흡수체 뭉침방지 기저귀와 그 제조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7055B (zh) Absorbent article
KR101084881B1 (ko) 허리 개구부 부근에 탄성 밴드를 가지는 일회용 팬티형언더가먼트
KR101116578B1 (ko) 흡수 용품 상에서의 허리 밴드 형성 방법
US9011396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with moveable skin-contactable sheet
JP5144539B2 (ja) 吸収性物品
JP3830545B2 (ja) 脚閉鎖部を有する吸収性製品
JP4980420B2 (ja) 使い捨てプルオン衣料
WO2007074682A1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カバー
TWI663967B (zh) Absorbent article
KR20140003169U (ko) 기저귀
JP2018506390A (ja) 使い捨て吸収性コアおよび該使い捨て吸収性コアを含む使い捨て吸収性組立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12187152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EA037225B1 (ru) Предмет одежды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20170246047A1 (en) Absorbent article with channels
KR20050110702A (ko) 일회용 팬티형 속옷
US8439888B2 (en) Three-piec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with cross-direction flexibility
JP2005027839A (ja)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5721987B2 (ja) 吸収性物品
KR101723373B1 (ko) 일회용 성인 기저귀 및 그 제조방법
US20170105886A1 (en) Crotch member of disposable undergarment and disposable undergarment that has the crotch member
JP6255203B2 (ja) 吸収性物品
WO2022004162A1 (ja) ショーツ型ナプキン
JP2004298395A (ja) 吸収性物品
JP6236420B2 (ja) 吸収性物品
JP3246354U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