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825B1 - 자동차 조명등용 광학 소자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명등용 광학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825B1
KR101722825B1 KR1020147024450A KR20147024450A KR101722825B1 KR 101722825 B1 KR101722825 B1 KR 101722825B1 KR 1020147024450 A KR1020147024450 A KR 1020147024450A KR 20147024450 A KR20147024450 A KR 20147024450A KR 101722825 B1 KR101722825 B1 KR 101722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element
facet
light
edges
outcoup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391A (ko
Inventor
헤닝 킬
파트리크 베그네르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124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8Refractors for light sources producing an asymmetric light distribu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조명등(1)의 광원(3)의 광 방출을 커플링하기 위한 광인 커플링 면(7) 및 자동차 조명등(1)의 광원(3)의 광 방출의 방사 특성과 다른 방사 특성이 제공되도록 인 커플링된 광 빔들(L1, L2)의 방향이 변경되는 아웃 커플링 구조(8)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명등(1)용 광학 소자(6)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소자(6)는, 아웃 커플링 구조(8)가 다수의 패싯면(9;facet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패싯면에서 광 빔들(L1, L2)은 방사각(β)으로 아웃 커플링되고, 상기 방사각은 패싯면(9)의 관련 각도 방위(α)에 의존하고, 패싯면들(9)은 서로 상이한 각도(α)로, 반복되지 않는 패턴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조명등용 광학 소자{OPTICAL ELEMENT FOR A VEHICLE LIGHT}
본 발명은 자동차 조명등의 광원의 광 방출을 커플링하기 위한 광인 커플링 면 및 아웃 커플링 구조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명등용 광학 소자에 관한 것이다. 아웃 커플링 구조에서 인 커플링된 광 빔들의 방향은, 자동차 조명등의 광원의 광 방출의 방사 특성과 다른 방사 특성이 제공되도록 변경된다.
자동차 조명등이 차량의 디자인에 점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동차 조명등의 형상에 의해 상기 차량에는 특히 쉽게 재인식되고 다른 디자인의 차량과 구별되는 특징적 외형이 부여된다. 또한, 차량의 자동차 조명등, 특히 후미등 및 전조등을 위한 조립 공간 상태와 관련해서, 조명등의 구성은 매우 콤팩트하고 조명 장치의 조명 영역을 위한 좁은 공간을 남겨두는 것이 요구된다.
DE 10 2004 053 643 A1호에 커버부가 광을 조절하는 광학 구조를 포함하는 차량 조명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구조는 톱니 형상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들은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에 할당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한다.
DE 39 25 999 A1호에 광원과 커버 디스크 사이에 광학 디스크가 배치된 신호 조명등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커버 디스크는 소위 필로우 광학계(pillow optics) 형태의 광학 수단을 포함한다. 광학 디스크는 중간 영역에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광 빔들을 확대하는 한편, 외부 영역에서 광 빔들은 덜 확대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광학 소자 및 상기 광학 소자를 포함하고 자동차 조명등의 광 방출 시 자동차의 광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자동차 조명등에 특수한 특징적 외형을 부여하는 자동차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갖는 광학 소자 및 상기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명등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 및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소자는, 아웃 커플링 구조가 다수의 패싯면(facet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패싯면에서 광 빔들은 방사각으로 아웃 커플링되고, 상기 방사각은 패싯면들의 관련 각도 방위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패싯면들은 아웃 커플링 구조의 부분 영역에서 서로 상이한 각도로, 반복되지 않는 패턴으로 배치된다.
광학 소자의 패싯면들은 자동차 조명등에 관찰차를 위한 특수한 특징적 외형을 부여한다. 패싯면들의 배치와 정렬은, 랜덤하게 나타나는 하이 콘트라스트 구조에 의해 특징되는 광기능을 위한 규정된 방사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렌즈 또는 중간 렌즈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규칙적인 구조는 아웃 커플링 구조의 부분 영역에서 방지된다. 관찰자는 균일하게 조명되는 영역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관찰 위치 및 관찰 각도의 변경 시 글리터 효과(glitter effect)를 감지하고, 상기 효과는 자동차 조명등에 다른 특수한 특성을 부여하고, 관찰자에게 자동차 조명등을 다시 알아 볼 수 있게 만든다.
바람직하게 패싯면들이 서로 상이한 각도로, 반복되지 않는 패턴으로 배치된 아웃 커플링 구조의 부분 영역은 아웃 커플링 구조의 적어도 30%를 차지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부분 영역은 아웃 커플링 구조의 정확히 30%를 차지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부분 영역은 아웃 커플링 구조의 적어도 40% 또는 50%를 차지하고, 특히 바람직하게 아웃 커플링 구조의 정확히 50%를 차지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패싯면들이 서로 상이한 각도로, 반복되지 않는 패턴으로 배치된 아웃 커플링 구조의 부분 영역은 아웃 커플링 구조의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또는 적어도 90%를 차지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부분 영역은 아웃 커플링 구조의 정확히 70%를 차지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부분 영역은 아웃 커플링 구조 전체에 해당한다.
패싯면들에 의해 바람직하게, 광학 소자 후방에 배치된 자동차 조명등의 다른 소자들, 예컨대 광원 및 반사기들은 관찰자에게 보이지 않거나 광학 소자에 의해 가려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소자의 실시예에 따라 개별 패싯면들에 의해 형성된 방사각의 분포는 제공될 방사 특성에 의해 정해진다. 개별 패싯면들의 상호 각도 방위는 특히 랜덤 배치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자동차의 특정한 광기능의 특정한 방사 특성은 미리 정해진다. 이러한 광기능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주행 방향 지시기 또는 자동차의 후진 전조등의 기능인 후미등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전조등의 광기능은 예를 들어 하향등 또는 상향등일 수 있다. 이러한 방사 특성에 의해, 어떠한 광 강도가 어떠한 각도로 방사되어야 하는지가 분명해진다. 특정한 광 강도가 특정한 각도로 방사되는 패싯면들은 임의로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패싯면들의 각도 방위들의 가능한 배치의 많은 개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패싯면들의 각도 방위들의 랜덤 배치가 선택되고, 상기 랜덤 배치는 소정의 방사 특성이 제공되는 부가 조건을 충족한다.
광학 소자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패싯면들은 평평하다. 개별 패싯면들은 에지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에지들의 곡률 반경은 특히 4 mm보다 작다. 패싯면들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바람직하게 관찰자에게 글리터 효과가 강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소자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에지들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긴 불규칙한 지그재그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한 패싯면들을 향한 에지들 사이의 패싯면들의 길이는 특히 광학 소자의 두께보다 크다. 광학 소자의 두께는 광인 커플링- 및 광아웃 커플링 측면에서 대향 배치된 면들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주어진다. 아웃 커플링 구조는 인 커플링 측면 및 아웃 커플링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광 아웃 커플링 측면에 제공된다. 아웃 커플링 구조는 광학 소자의 아웃 커플링 측면에 불규칙한 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측면에서는 평균 두께가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소자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광학 소자의 두께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패싯면들의 에지들의 간격은 항상 동일하다. 패싯면들의 불규칙성은 따라서 패싯면들의 각도 방위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광학 소자의 두께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 내로 패싯면들의 주사 시 규칙적인 패턴이 제공될 수 있다. 패싯면들의 각도 방위에 대해서 반복되지 않는 패턴이 제공된다. 각도 방위는 랜덤으로 선택되고, 그러나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규정된 방사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특정 부가 조건들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소자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패싯면들의 에지들의 간격은 광학 소자의 두께 방향으로 에지들의 길이의 평균값에 의해, 예를 들어 광학 소자의 평균 두께에 의해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최대 간격 M은 평균값에 의해 정해진다. 상기 최대 간격 M은 필수적으로 광학 소자의 두께보다 작다. 서로 인접하는 패싯면들에 대해 0 내지 M의 난수들(random numbers)p이 형성된다. 연속하는, 즉 서로 인접하는 패싯면들에 대해, 연속하는 난수들 p의 교대하는 양 및 음의 값이 관련 패싯면들의 간격값 a으로 간주된다. 관련 간격값들 a과 관련해서 패싯면들의 에지들이 배치된다. 간격값들 a에 의해 패싯면들의 각도 방위가 정해지는데, 그 이유는 광학 소자의 두께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에지들의 간격은 동일하기 때문이다. 광학 소자의 두께에 대해 수직인 간격과 간격값 a은 따라서 횡단면으로 볼 때 직각 삼각형을 규정하고, 상기 삼각형의 빗변은 패싯면이다.
광학 소자의 두께를 향한 에지들의 위치의 평균값으로부터 패싯면들의 에지들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방법의 개선예에 따라 간격값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난수들만이 사용되고, 이 경우에 선행하는 간격값의 난수와의 차이는 규정된 퍼센티지, 예를 들어 1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적용된다. 이로 인해 바람직하게 더 큰 불규칙성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소자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방사 특성을 제공하는 공개된 규칙적인 구조가 기초가 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방사 특성을 제공하는 공개된 필로우 광학계가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구조는 n번 커팅되고, 곡률들은 선형화되므로, 특정한 각도 방위를 갖는 평평한 면들이 제공된다. 결과되는 패싯면들은 규칙적인 구조를 갖는다. 마지막 단계에서 패싯면들은 랜덤 배치된다. 패싯면들의 각도 방위에 따라 방사 특성이 얻어지지만, 관찰자에게 규칙적인 아웃 커플링 구조는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명등이 제공된다. 광학 소자는 중간 렌즈로서 자동차 조명등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광학 소자는 자동차 조명등의 커버 렌즈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관련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명등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소자의 실시예의 횡단면을 도시한 부분도.
도 3은 자동차 조명등의 실시예에서 광학 소자의 배치를 도시한 부분도.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명등(1)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자동차 조명등(1)은 자동차의 후미등 또는 전조등일 수 있다.
자동차 조명등(1)은 하우징(2)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부로 투명 유리 렌즈에 형성된 투과성 커버 렌즈(5)에 의해 폐쇄된다. 하우징(2) 내부에 광원(3)이 배치되고, 상기 광원은 광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전기 접속된다. 또한, 하우징(2)의 내부에 반사기(4)가 배치되므로, 광원(3)으로부터 방사된 광은 커버 렌즈(5)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반사된다.
광원(3) 및 반사기(4)와 커버 렌즈(5) 사이에 중간 렌즈로서 광학 소자(6)가 배치된다. 광학 소자(6)는 광원(3)을 향한 광인 커플링 면(7)을 포함한다. 상기 광인 커플링 면(7)에 의해 광원(3)으로부터 방사된 광은 광학 소자(6) 내로 커플링된다. 광인 커플링 면(7)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광학 소자(6)의 측면에 커버 렌즈(5)를 향한 아웃 커플링 구조(6)가 형성된다. 아웃 커플링 구조(8)에 의해 인 커플링된 광 빔들의 방향은, 자동차 조명등(1)의 광원(3) 또는 반사기(4)와 조합된 광원(3)의 광 방출의 방사 특성과 다른 방사 특성이 제공되도록 변경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광학 소자는 중간 렌즈를 형성하지 않고, 커버 렌즈를 형성한다.
아웃 커플링 구조(8)는 다수의 평평한 패싯면(9)을 포함하고, 상기 패싯면에서 광 빔들은 특정한 방사각으로 아웃 커플링되고, 상기 방사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패싯면들의 관련 각도 방위에 의존한다. 패싯면들(9)은 아웃 커플링 구조(8)의 부분 영역(12)에서 서로 상이한 각도로, 반복되지 않는 패턴으로 배치된다. 패싯면들(9)의 각도 방위들은 특히 랜덤 패턴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부분 영역(12)은 전체 아웃 커플링 구조(8)에 걸쳐 연장되고, 즉 아웃 커플링 구조(8)의 100%를 차지한다.
도 2와 관련해서 광학 소자(6)의 아웃 커플링 구조(8)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2에 플레이트 형태의 광학 소자(6)의 횡단면이 도시된다. 반사기(4)로부터 예를 들어 도시된 광 빔들(L1, L2)이 광인 커플링 면(7)에 입사하고, 상기 광인 커플링 면은 광학 소자(6)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평평한 면이다. 광 빔들(L1, L2)은 특히 광인 커플링 면(7)에 수직으로 입사하므로, 상기 광 빔들이 광학 소자(6)에 입사 시 상기 광 빔들의 방향은 변경되지 않는다. 후속해서 광 빔들(L1, L2)은 투명 광학 소자(6)를 통과하고, 광학 소자(6)의 다른 측면에서 아웃 커플링 구조(8)의 패싯면들(9)에 입사한다. 도 2에 예시적으로 4개의 패싯면들(9-1, 9-2, 9-3 및 9-4)이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 커플링 구조(8)는 z-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긴 섹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은 인접한 패싯면들(9)을 포함한다. 인접한 패싯면들(9)은 z-방향으로 에지들(1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에지들(11)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패싯면들(9)이 서로 인접할 때 형성되는 에지들(11)은 실질적으로 라운딩을 포함하지 않고, 곡률 반경은 특히 4 mm보다 작다.
광학 소자(6)에 의해 제공되는 방사 특성의 경우에 광인 커플링 면(7)에 대해 평행한 평면과 개별 패싯면들(9)이 형성하는 각도 α가 중요하다. 패싯면들(9)의 각도 α는 말하자면 패싯면들(9)에서 광학 소자(6)로부터 방사 시 광 빔들의 방사각 β를 결정한다.
도 2에 패싯면들(9-1 내지 9-4)에 대해 각도(α1 내지α4)가 도시된다. 각도(α1 내지α4)로부터 광 빔들(L1, L2)의 경우에 예를 들어 방사각(β1 내지 β2)이 형성된다.
패싯면들(9)의 정렬을 위한 각도 α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먼저 광학 소자(6)에 의해 어떠한 방사 특성이 제공되어야 하는지 결정된다. 예를 들어 미등 기능을 위한 공개된 방사 특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개별 패싯면들(9)의 형성될 방사각 β의 전체 분포가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광 빔들은 평행하게 광인 커플링 면(7) 및 패싯면(9)에 입사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패싯면들(9)의 정렬을 위한 각도 α의 분포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에지들(11)의 z-방향 간격(I)은 항상 동일한 것, 즉 광인 커플링 면(7)으로 패싯면들(9)의 주사는 모든 패싯면들(9)의 경우에 동일한 크기인 것이 전제된다. 길이(I)는 특히 광학 소자(6)의 평균 두께(d)보다 크다. 평균 두께(d)는 예를 들어 3 mm이다. 특정한 패싯면들의 각도 α는 광학 소자(6)의 평균 두께(d)에 대한, 즉 평면(10)을 향한 에지(11)의 간격들(a)로부터 주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패싯면(9-1)에서 시작된다. 상기 패싯면(9-1)의 시작부의 에지(11-0)는 광인 커플링 면(7)으로부터 평균 두께(d)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즉 이 경우에는 0이다. 인접한 패싯면(9-2)을 향한 다음 에지(11-1)는 광학 소자(6)의 평균 두께 d에서 평면(10)과 (a-1)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로써 패싯면(9-1)의 정렬을 위한 각도 (α1)가 주어진다. 다음 패싯면(9-3)을 향한 다음 패싯면(9-2)의 에지(11-2)는 평면(10)과 (a-2)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간격(a-2)의 값은 마이너스인데, 그 이유는 에지(11-2)가 광인 커플링 면(7)을 향한 평면(10)의 측면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개별 패싯면들(9)에 대한 간격값들(a)은 아래와 같이 결정된다.
먼저 광학 소자(6)의 평균 두께(d)에 의해 평면(10)과의 최대 간격(M)이 정해진다. 상기 최대 간격(M)은 광학 소자(6)의 두께(d)보다 작다. 패싯면들(9-i(i=1,...,n))에 대해 연속해서 난수들(Pi)이 형성된다. 난수들(Pi)은 0에서 M사이이다. 제 1 패싯면(9-1)에 대해 난수(P1)의 양의 값은 간격값(a-1)으로 간주된다. 다음 패싯면(9-2)에서 난수(P2)의 음의 값은 간격값(a-2)으로 간주된다. 다음 패싯면(9-3)에서 양의 값(P3)은 간격값(a-3)으로 간주된다. 이로써 연속하는 패싯면(9)에 대해 연속하는 난수들의 교대하는 양 및 음의 값은 관련 패싯면(9)의 간격값(a)으로 간주된다. 패싯면들(9)의 에지들(11)은 관련 간격값(a)과 관련해서 배치되므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지그재그 패턴이 형성된다. 패싯면들(9)의 각도 방위는 난수들에 의해 형성되었기 때문에, 매우 높은 확률로 패싯면들(9)의 정렬과 관련해서 반복되지 않는 랜덤 패턴이 제공된다.
간격값들(a)을 형성하기 위한 난수들(P)의 선택 시 바람직하게, 선행하는 간격값의 난수(P)와의 차이는 10%의 규정된 퍼센티지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또한, 패싯면들(9)에 의해 형성된 방사각들(β)의 분포를 위해 자동차 조명등(1)의 제공될 방사 특성이 고려된다. 이러한 다른 부가 조건은 난수들(P)의 선택 시 고려될 수 있다.
패싯면들(9)의 각도(α)의 결정을 위한 출발점으로서, 또한 공개된 필로우 광학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로우 광학계의 필로우 형태의 만곡부는 입사하는 평행한 광 빔을 부채꼴로 펼치는 렌즈와 유사할 수 있다. 광학 소자(6)에 의해 공개된 필로우 광학계와 동일한 방사 특성이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에, 필로우 형태의 개별 만곡부들은 평평한 다수의 개별 패싯면들(9)로 각각 각도(α)로 랜덤하게 세분된다. 각도(α)의 가중 또는 분포는 필로우 광학계의 필로우 형태의 만곡부에 의해 형성된 개별 렌즈의 각도의 분포에 상응한다. 이로써 전체 방사 특성은 필로우 광학계의 방사 특성에 상응하고, 이 경우 상기 방사 특성은 반복되지 않는 패턴으로 배치된 패싯면들(9)에 의해 제공된다.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조명하는 영역이 제공되지 않고, 관찰 위치를 약간 벗어난 경우에 글리터 효과가 제공된다.
1 자동차 조명등
2 하우징
3 광원
4 반사기
5 커버 렌즈
6 광학 소자
7 광인 커플링 면
8 아웃 커플링 구조
9 패싯면들
9-1 패싯면
9-2 패싯면
9-3 패싯면
10 평면
11 에지들
11-1 에지
11-2 에지
11-3 에지
11-4 에지
12 부분 영역

Claims (13)

  1. 자동차 조명등(1)용 광학 소자(6)로서,
    - 상기 자동차 조명등(1)의 광원(3)의 광 방출을 커플링하기 위한 광인 커플링 면(7) 및
    - 상기 자동차 조명등(1)의 상기 광원(3)의 광 방출의 방사 특성과 다른 방사 특성이 제공되도록, 인 커플링된 광 빔들(L1, L2)의 방향이 변경되는 아웃 커플링 구조(8)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에 있어서,
    - 상기 아웃 커플링 구조(8)는 다수의 패싯면(9)을 포함하고, 상기 패싯면에서 상기 광 빔들(L1, L2)은 방사각(β)으로 아웃 커플링되고, 상기 방사각은 패싯면들(9)의 관련 각도 방위(α)에 의존하고, 상기 패싯면들(9)은 상기 아웃 커플링 구조(8)의 부분 영역(12)에서 서로 상이한 각도(α)로, 반복되지 않는 패턴으로 배치되고,
    - 개별 패싯면들(9)에 의해 형성되는 방사각(β)의 분포는 광학 소자(6)에 의하여 제공되는 정해진 방사 특성에 의해 정해지고, 상기 개별 패싯면들(9)의 상호 각도 방위(α)는 랜덤 배치되며,
    - 상기 패싯면들(9)은 평평하고, 에지들(1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 상기 패싯면들(9)의 상기 에지들(11)의 간격(a)은 상기 광학 소자(6)의 두께(d) 방향으로 상기 에지들(11)의 길이의 평균값에 의해 다음과 같이 결정되고, 즉
    - 평균값에 의해 최대 간격(M)이 정해지고,
    - 연속하는 패싯면들(9)에 대해 0 내지 M의 난수들(P)이 형성되고,
    - 상기 연속하는 패싯면들(9)에 대해 연속하는 난수들(P)의 교대하는 양 및음의 값이 관련 패싯면들(9)의 간격값(a)으로 간주되고,
    - 관련 간격값들(a)과 관련해서 상기 패싯면들(9)의 상기 에지들(1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영역(12)은 상기 아웃 커플링 구조(8)의 적어도 30%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영역(12)은 상기 아웃 커플링 구조(8)의 적어도 70%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영역(12)은 상기 아웃 커플링 구조(8) 전체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들(11)의 곡률 반경은 4 mm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들(11)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패싯면들(9)을 향한 상기 에지들(11) 사이의 상기 패싯면들(9)의 길이는 상기 광학 소자(6)의 두께(d)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소자(6)의 두께(d)에 대해 수직인 방향(z)으로 상기 패싯면들(9)의 상기 에지들(11)의 간격(I)은 항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값(a)의 형성을 위해 상기 난수들(P)만이 사용되고, 이 경우에 선행하는 간격값(a)의 난수(p)와의 차이는 규정된 퍼센티지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소자.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광학 소자(6)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명등(1).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47024450A 2012-03-22 2013-03-22 자동차 조명등용 광학 소자 KR101722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05826A DE102012005826A1 (de) 2012-03-22 2012-03-22 Optikelement für eine Fahrzeugleuchte
DE102012005826.8 2012-03-22
PCT/EP2013/056070 WO2013139962A1 (de) 2012-03-22 2013-03-22 Optikelement für eine fahrzeugleuch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391A KR20140124391A (ko) 2014-10-24
KR101722825B1 true KR101722825B1 (ko) 2017-04-05

Family

ID=4804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450A KR101722825B1 (ko) 2012-03-22 2013-03-22 자동차 조명등용 광학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722825B1 (ko)
CN (1) CN104302966B (ko)
DE (1) DE102012005826A1 (ko)
WO (1) WO20131399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9116B1 (fr) * 2014-04-01 2017-11-24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avec ecran de deviation
DE102014218540B4 (de) 2014-09-16 2023-04-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leuchte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Lichtfunktion mittels einer Fahrzeugleuchte
DE102015216743A1 (de) 2015-09-02 2017-03-02 Volkswagen Ag Fahrzeugleuchte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Lichtfunktion mittels einer Fahrzeugleuchte
DE102015216746A1 (de) 2015-09-02 2017-03-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leuchte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Lichtfunktion mittels einer Fahrzeugleuchte
DE102015216744A1 (de) 2015-09-02 2017-03-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leuchte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Lichtfunktion mittels einer Fahrzeugleuchte
CN106369521A (zh) * 2016-09-30 2017-02-01 马瑞利汽车零部件(芜湖)有限公司 使用透镜实现近光的汽车前照灯光学系统
CN107178751B (zh) * 2017-07-06 2023-06-02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具有立体发光效果的车灯配光纹及其设计生成方法
KR102396854B1 (ko) * 2017-07-10 2022-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장치
GB2597242A (en) * 2020-07-13 2022-01-26 Iq Structures Sro Optics for luminaires
EP3964748A1 (en) * 2020-09-03 2022-03-09 Varroc Engineering Limited A light assembly
DE102020124482A1 (de) 2020-09-21 2022-03-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3726A1 (en) * 1998-08-25 2001-10-25 Shie Rick L. Optical element having an integral surface diffus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01659A (ko) * 1969-05-12 1973-01-04
IT1128804B (it) * 1980-06-05 1986-06-04 Iao Industrie Riunite Spa Gruppo ottico particolarmente proiettore fendinebbia posteriore per autoveicoli
DE3925999A1 (de) 1989-08-05 1991-02-07 Hella Kg Hueck & Co Signalleuchte
FR2727742A1 (fr) * 1994-12-01 1996-06-07 Valeo Vision Feu de signalis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notamment du type feu stop sureleve
CN1202428A (zh) * 1997-06-18 1998-12-23 杨若 一种传播企业信息的方法及所用的卡
DE102004053643A1 (de) 2004-11-03 2006-05-04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Fahrzeugleuchtenanordnung
FR2925656B1 (fr) * 2007-12-21 2013-08-23 Holophane Lentille de module d'eclairage de vehicule automobile
CN101526691A (zh) * 2008-03-04 2009-09-09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侧光式背光模块的光学膜材
DE102008023551B4 (de) * 2008-05-14 2019-05-09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in Form eines Projektionsscheinwerfers für Kraftfahrzeuge
US8246212B2 (en) * 2009-01-30 2012-08-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ED optical assembly
IT1403824B1 (it) * 2011-01-27 2013-10-31 Automotive Lighting Italia Spa Fanale per autoveicoli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3726A1 (en) * 1998-08-25 2001-10-25 Shie Rick L. Optical element having an integral surface diff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02966A (zh) 2015-01-21
DE102012005826A1 (de) 2013-09-26
WO2013139962A1 (de) 2013-09-26
CN104302966B (zh) 2017-09-08
KR20140124391A (ko) 2014-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825B1 (ko) 자동차 조명등용 광학 소자
JP6948818B2 (ja) 光ビームを放出するための自動車両ヘッドライト・モジュール
US9879836B2 (en) Lighting device in a motor vehicle
US9121565B2 (en) Automotive lighting unit
US9557024B2 (en) Light guide for an optical device, notably for lighting and/or signaling
JP6224110B2 (ja) 自動車両の照明および/または合図装置
US8317381B2 (en) Vehicle light
JP2006522442A (ja) テールランプ、とりわけ自動車用の後部ストップランプ
CN102997153A (zh) 车辆用灯具
CN112840158B (zh) 用于车辆的照明装置
CN103499060A (zh) 车灯
US20140140083A1 (en) Ligh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1794065B1 (ko) 차량용 광학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KR200483320Y1 (ko) 차량용 램프
CN114659066A (zh) 车辆用灯具
CN102865538A (zh) 用于机动车的、具有相对行驶方向倾斜延伸的防尘盖的照明装置
JP2004139903A (ja) 車両用灯具
US10422502B2 (en) Motor vehicle lamp and motor vehicle
WO2022172783A1 (ja) 車両用ランプ
CN110500556B (zh) 用于车灯的导光部件、用于机动车辆的车灯和机动车辆
KR101486818B1 (ko) 차량용 램프
KR101975461B1 (ko) 차량용 램프
CN218295568U (zh) 用于车辆的灯和车辆
KR20150071410A (ko) 차량용 램프
WO2023063138A1 (ja) 車両用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