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757B1 - 기능성 패션 우산 - Google Patents

기능성 패션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757B1
KR101721757B1 KR1020150085232A KR20150085232A KR101721757B1 KR 101721757 B1 KR101721757 B1 KR 101721757B1 KR 1020150085232 A KR1020150085232 A KR 1020150085232A KR 20150085232 A KR20150085232 A KR 20150085232A KR 101721757 B1 KR101721757 B1 KR 101721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loth
extended
rainwater
functional fa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8321A (ko
Inventor
김동호
유재왕
Original Assignee
김동호
유재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호, 유재왕 filed Critical 김동호
Priority to KR1020150085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75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으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에 더하여 우산천 가장자리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주변에 튀지 않고 사용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빗물에 의해 옷, 가방 등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여 패션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수요 욕구를 갖는 소비자의 요구를 광범위하게 충족시켜줄 수 있는 기능성 패션 우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우산대; 상기 우산대의 일단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우산살; 상기 우산살에 연결 설치되는 우산천; 상기 우산살의 단부에 접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 우산살; 상기 우산천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 우산살에 설치되는 빗물수용 연장천; 상기 빗물수용 연장천에 형성되는 빗물 배출부; 및 상기 우산살과 연장 우산살 간이 소정 각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로형성 수단;을 포함하는 기능성 패션 우산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기능성 패션 우산{FUNCTIONAL FASHION UMBRELLA}
본 발명은 기능성 패션 우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으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에 더하여 우산천 가장자리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주변에 튀지 않고 사용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빗물에 의해 옷, 가방 등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여 패션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수요 욕구를 갖는 소비자의 요구를 광범위하게 충족시켜줄 수 있는 기능성 패션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 또는 양산(이하, 우산으로 통일)은 부채꼴 모양으로 된 8개 정도의 천이 긴밀하게 박음질되고 여기에 우산살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우산은 기본적으로 빗물이 새거나 스며들면 안되므로 우산원단 자체를 방수 및 발수처리해야 하며, 다양한 시각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 단위천에 문자, 문양, 색상, 기호 등이 인쇄된다.
또한, 우산을 제조할 때에는 폴리에스테르 비닐 또는 면·나일론·폴리에스테르의 혼방 생지원단을 나염처리하여 문자,문양, 색상을 인쇄한 후 발수 및 방수처리공정에 들어가게 되며, 발수 및 방수처리가 완료된 후에는 단위천의 상하폭에 맞게 가로방향으로 절단하고, 부채꼴 모양의 전용척을 대고 칼로 도려내어 각 단위천으로 재단하게 되며, 각 단위천끼리 맞대어 재봉한 후 우산살을 조립하여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우산은 떨어지는 빗물의 처리가 용이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우산대를 잡았을 경우에 사용자의 중심과 우산천의 중심이 불일치하게 되어 어깨 한쪽이 우산천의 영역 밖으로 노출되어 빗물에 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기를 업고 우산을 펼치게 되면, 부모의 등에 업혀진 아기의 신체 일부분도 우산천의 영역 밖으로 노출되었으며, 특히 비바람이 몰아칠 경우에는 기존의 우산천만으로는 비바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곤란하였으며, 사용자의 하반신은 빗물에 젖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0823호(2008.09.23) (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0-1999-0035115호(1999.09.06) (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4546호(1999.01.15)
따라서, 본 발명은 우산으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에 더하여 우산천 가장자리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주변에 튀지 않고 사용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빗물에 의해 옷, 가방 등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패션 우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여 패션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수요 욕구를 갖는 소비자의 요구를 광범위하게 충족시켜줄 수 있는 기능성 패션 우산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하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우산대; 상기 우산대의 일단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우산살; 상기 우산살에 연결 설치되는 우산천; 상기 우산살의 단부에 접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 우산살; 상기 우산천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 우산살에 설치되는 빗물수용 연장천; 상기 빗물수용 연장천에 형성되는 빗물 배출부; 및 상기 우산살과 연장 우산살 간이 소정 각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로형성 수단;을 포함하는 기능성 패션 우산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장천의 일면에는 발수 및 방수 처리가 이루어져 연장천의 강도를 상승시키도록 구비되는 보강천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빗물 배출부는 빗물수용 연장천의 소정 부위에서 일정크기로 개구된 구멍 형태로 형성되거나, 방사 방향으로 일자로 절개된 선형 절개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장 우산살이 우산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탈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연장천과 우산천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암수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 수단은 일단이 우산살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연장 우산살의 일측에 연결되며, 중앙부의 우산살과 연장 우산살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단과 타단이 소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 수단은 상기 우산살과 연장 우산살의 연결 회동축을 구성하는 둘 이상의 회동판; 상기 회동판 중 하나에서 소정 회전 반경에 각각 형성되는 둘 이상의 스토퍼 홈; 및 상기 회동판 중 다른 하나에서 소정 회전 반경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패션 우산에 따르면, 우산의 기본 기능에 더하여 우산천 가장자리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주변에 튀지 않고 사용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빗물에 의해 옷, 가방 등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여 패션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수요 욕구를 갖는 소비자의 요구를 광범위하게 충족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패션 우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패션 우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패션 우산의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도 2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능성 패션 우산을 구성하는 다른 형태의 유로형성 수단을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능성 패션 우산을 구성하는 다른 형태의 유로형성 수단을 도시한 부분확대 조립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패션 우산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패션 우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패션 우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패션 우산의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도 2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패션 우산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손잡이(101)가 구비된 우산대(110); 상기 우산대(110)의 상측 단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우산살(120); 상기 우산살(120)에 연결 설치되는 우산천(130); 상기 우산살(120)의 단부에 접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 우산살(140); 상기 우산천(13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 우산살(140)에 설치되는 빗물수용 연장천(150); 상기 빗물수용 연장천(150)에 형성되는 빗물 배출부(160); 및 상기 우산살(120)과 연장 우산살(140) 간이 소정 각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로형성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장 우산살(140)이 우산천(13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탈착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우산대(110)는 일정의 길이 및 두께를 가지며, 우산의 종축을 형성하는 프레임 역할을 수행한다. 손잡이(101)는 우산대(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우산의 휴대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우산살(120)은 우산대(110)의 상부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접힘/펼침 동작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우산살(120)의 펼침 동작에 의해 우산천(130)이 함께 펼쳐짐으로써 비를 피할 수 있게 된다.
우산천(130)은 우산살(120)의 접힘/펼침 동작에 의해 연동되며,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 우산살(140)은 우산천이 우산 모양을 유지하는데 기본 프레임 역할을 하는 우산살(120)에 일체로 형성되되, 그 우산살(120)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단부에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며, 그에 구비되는 유로형성 수단에 의해 빗물이 임시 저장될 수 있는 빗물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연장 우산살(140)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 유로는 우산천(130)과 연장천(150)의 경계면에 접힘부가 형성되고, 연장천(150)을 접힘부를 따라 접어 우산살(120)에 재봉 박음질 등에 의해 고정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천(130)을 타고 낙하하는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방수처리된 "V"자 유로의 형상을 구성하게 된다.
방수 처리된 유로(또는 오솔길) 형상의 수용부는 우산천(130)을 타고 내려오는 빗물을 바로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우산천(130)을 직접 타고 내려오는 빗물에 의한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연장천(150)은 우산천(130)과 일체로 형성되며, 우산살(120)의 끝 단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본딩 등과 같은 방식으로 접착되거나, 재봉 박음질 등에 의해 우산살에 고정된다.
또한, 우산대(110)에 방사상으로 구성되는 우산살(120)들의 거리와 동일하게 제작하여 우산살(120)이 펼침 상태일 때 이 연장천(150)이 최대한의 장력을 제공받도록 하여 빗물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우산천(130) 및/또는 연장천(150)은 발수 및 방수 처리가 뛰어난 원단으로 제작되되, 특히 폴리에스테르, 면, 나일론 등이 혼방으로 제작된 원단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장천(150)의 하부면에는 발수 및 방수 처리가 이루어져 연장천(150)의 강도를 상승시켜 빗물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보강천(미도시)이 연장천(150)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연장천(150)의 하부면에 접착되거나, 재봉 박음질 등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연장천(150)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보강천은 연장천(150)과 마찬가지로 우산살(120)에 연장천(150)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 우산살(140)의 단부에는 그 단부를 마감해주는 팁부(141)가 구비된다.
계속해서, 상기 빗물수용 연장천(150)에 형성되는 빗물 배출부(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천(150)의 소정 부위에서 일정크기로 개구된 구멍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방사 방향으로 일자로 절개된 선형 절개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로형성 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우산살(12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연장 우산살(140)의 일측에 연결되며, 중앙부의 우산살(120)과 연장 우산살(140)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단과 타단이 소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171)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 수단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능성 패션 우산을 구성하는 다른 형태의 유로형성 수단을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기능성 패션 우산을 구성하는 다른 형태의 유로형성 수단을 도시한 부분확대 조립사시도이다.
다른 형태의 유로형성 수단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살(120) 또는 연장 우산살(140)의 연결 회동축을 구성하는 둘 이상의 회동판(172)(도면에서는 2개의 회동판으로 도시됨)과, 상기 회동판(172) 중 하나에서 소정 회전 반경에 각각 형성되는 둘 이상의 스토퍼 홈(173), 및 상기 회동판(172) 중 다른 하나에서 소정 회전 반경에 형성되는 스토퍼(17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로형성 수단은 스토퍼(174)가 소정 회전 반경의 스토퍼 홈(173)에 위치되는 경우, 도 2나 도 3과 같이 빗물 유로를 형성하는 상태가 되고, 스토퍼(174)가 소정 회전 반경의 다른 스토퍼 홈(173)에 위치되는 경우는 연장 우산살(140)이 우산살(120)에 접절되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연장 우산살(140)이 우산천(13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탈착 수단은, 연장천(150)과 우산천(130)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암수버튼(181)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패션 우산은 평상시에는 손잡이(101)측으로 접힘 상태를 유지하여 우산커버(미도시) 등에 의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고, 우천시 우산살(120)을 펼침 상태로 변경하면, 우산살(120)의 단부에 고정된 우산천(130)이 우산살(120)의 펼침 상태에 따라 펴지게 되고, 우산천(130) 및 우산살(120)의 일단부에 고정된 일정한 유로가 형성되어, 우천시 빗물 배출부(160)를 통해 지면으로 떨어지는 빗물이 유로에 수용되어 사람의 옷, 가방 등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로의 빗물 고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우산천(130)의 중심이 불일치하게 된다 하더라도 어깨 한쪽이 우산천(130)의 영역 밖으로 노출되어 빗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능성 패션 우산에 따르면, 우산의 기본 기능에 더하여 우산천 가장자리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주변에 튀지 않고 사용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빗물에 의해 옷, 가방 등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여 패션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수요 욕구를 갖는 소비자의 요구를 광범위하게 충족시켜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1단 수동 우산에 관하여 언급되었지만, 2단 혹은 3단 자동 및 수동 우산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손잡이
110: 우산대
120: 우산살
130: 우산천
140: 연장 우산살
150: 빗물수용 연장천
160: 빗물 배출부
150: 연장천
171: 탄성 부재
172: 회동판
173: 스토퍼 홈
174: 스토퍼
181: 암수버튼

Claims (7)

  1. 하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우산대;
    상기 우산대의 일단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우산살;
    상기 우산살에 연결 설치되는 우산천;
    상기 우산살의 단부에 접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 우산살;
    상기 우산천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 우산살에 설치되는 빗물수용 연장천;
    상기 빗물수용 연장천에 형성되는 빗물 배출부; 및
    상기 우산살과 연장 우산살 간이 소정 각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로형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형성 수단은
    상기 우산살과 연장 우산살의 연결 회동축을 구성하는 둘 이상의 회동판;
    상기 회동판 중 하나에서 소정 회전 반경에 각각 형성되는 둘 이상의 스토퍼 홈; 및
    상기 회동판 중 다른 하나에서 소정 회전 반경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기능성 패션 우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천의 일면에는 발수 및 방수 처리가 이루어져 연장천의 강도를 상승시키도록 구비되는 보강천을 더 포함하는
    기능성 패션 우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빗물 배출부는 빗물수용 연장천의 소정 부위에서 일정크기로 개구된 구멍 형태로 형성되거나, 방사 방향으로 일자로 절개된 선형 절개부로 형성되는
    기능성 패션 우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 우산살이 우산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탈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능성 패션 우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연장천과 우산천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암수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패션 우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 수단은
    일단이 우산살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연장 우산살의 일측에 연결되며, 중앙부의 우산살과 연장 우산살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단과 타단이 소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패션 우산.
  7. 삭제
KR1020150085232A 2015-06-16 2015-06-16 기능성 패션 우산 KR101721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232A KR101721757B1 (ko) 2015-06-16 2015-06-16 기능성 패션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232A KR101721757B1 (ko) 2015-06-16 2015-06-16 기능성 패션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321A KR20160148321A (ko) 2016-12-26
KR101721757B1 true KR101721757B1 (ko) 2017-03-30

Family

ID=5773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232A KR101721757B1 (ko) 2015-06-16 2015-06-16 기능성 패션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686B1 (ko) * 2021-04-15 2021-10-18 최태규 씨앵커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844Y1 (ko) * 2003-09-04 2003-12-11 김영선 비대칭 우산
KR200403063Y1 (ko) * 2005-09-23 2005-12-07 유병훈 우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340B1 (ko) 1997-06-28 1999-07-15 권영수 우산의 우산포 회전장치
KR19990035115U (ko) 1999-06-01 1999-09-06 진준섭 다목적패션우산
KR100860823B1 (ko) 2007-08-30 2008-09-29 김우열 패션 튜브 우산
KR20110005653U (ko) * 2009-12-01 2011-06-09 곽슬기 넓이 조절이 가능한 우산
KR20130101213A (ko) * 2012-03-05 2013-09-13 김용희 빗물처리 우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844Y1 (ko) * 2003-09-04 2003-12-11 김영선 비대칭 우산
KR200403063Y1 (ko) * 2005-09-23 2005-12-07 유병훈 우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686B1 (ko) * 2021-04-15 2021-10-18 최태규 씨앵커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321A (ko) 201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3208B1 (en) Dual-jacket assembly
CN101500463B (zh) 毛巾
EP1883330A1 (en) A baby carrier
US4426740A (en) Water-proof garment horizontally foldable
KR101721757B1 (ko) 기능성 패션 우산
KR200462312Y1 (ko) 상의
CN204015264U (zh) 一种防水鞋
KR20130101213A (ko) 빗물처리 우산
KR200458884Y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우산
CN202858191U (zh) 具有雨衣功能的野餐垫
KR20200002823U (ko) 야광 우산
KR200385637Y1 (ko) 우산천 연결구조
KR101712646B1 (ko) 앞치마로 사용가능한 레인코트
CN208550071U (zh) 一种雨衣结构
CN107198268B (zh) 可做雨伞和雨衣两用的雨具
KR200278647Y1 (ko) 크기와 형태의 변화가 가능한 우산
CN108669733A (zh) 多功能包
KR102062368B1 (ko) 다용도 우의
KR20180130763A (ko) 빗물 두 방향 처리 우산
JP2003235622A (ja)
JP3119627U (ja)
JP3142786U (ja) 携帯用傘袋
JP3218283U (ja) フード付き上着
JP3143908U (ja) 自転車用車体カバー
JP3093948U (ja) ペット用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