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743B1 - 물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물 배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1743B1 KR101721743B1 KR1020150007903A KR20150007903A KR101721743B1 KR 101721743 B1 KR101721743 B1 KR 101721743B1 KR 1020150007903 A KR1020150007903 A KR 1020150007903A KR 20150007903 A KR20150007903 A KR 20150007903A KR 101721743 B1 KR101721743 B1 KR 1017217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mineral
- ppm
- filter
- mineral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67D1/0022—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Landscapes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물 배출 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에 의해서 정화된 물이 유동하는 유로; 상기 유로 상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취출구; 및 미네랄을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하기 위한 미네랄 공급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물 배출 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에 의해서 정화된 물이 유동하는 유로; 상기 유로 상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취출구; 및 미네랄을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하기 위한 미네랄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배출 장치는, 사용자가 음용하거나 요리 등에 사용될 수 있도록 물을 배출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물 배출 장치는, 정화된 물을 그대로 배출하거나, 정화된 물을 냉각시켜 냉수를 배출하거나 정화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배출할 수 있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2005-0104509호(공개일 2005.11.03.)에는 이온수 정수기의 필터 시스템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필터 시스템의 경우, 전해조를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물을 산성수와 알칼리수로 만든다. 그리고, 산성수는 미용수로 세안용으로 사용하도록 공급하고, 알칼리수는 신체의 건강을 위하여 기능성 음용수로 공급한다.
선행문헌의 경우, 전해조로 유동하는 물의 일부는 역삼투압 필터를 지남에 따라서 물에서 이온성분이 제거하여 미네랄이 없는 물로 만든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양이온을 가지는 미네랄은 물에 일정 농도로 포함되는 경우, 물맛에 영향을 주며, 사용자에게 상쾌감이나 청량감을 줄 수 있다.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역삼투압 필터를 지나면서 미네랄을 제거함에 따라서 사용자가 느끼는 물맛이 향상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느끼는 물맛이 좋아지도록 미네랄을 물로 공급할 수 있는 물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물 배출 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에 의해서 정화된 물이 유동하는 유로; 상기 유로 상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취출구; 및 미네랄을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하기 위한 미네랄 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되는 미네랄은 마그네슘(Mg), 나트륨(Na) 및 칼륨(K)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미네랄을 포함하는 농축액을 상기 유로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는, 중공사막 필터이며, 상기 취출구를 통하여 취출될 물의 온도가 15도 이상인 경우,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나트륨(Na)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나트륨(Na)의 함량이 8.4ppm 보다 높고 10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나트륨(Na)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는, 중공사막 필터이며, 상기 취출구를 통하여 취출될 물의 온도가 10도 이하인 경우,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나트륨(Na)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나트륨(Na)의 함량이 8.4ppm 보다 높고 10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나트륨(Na)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는, 중공사막 필터이며, 상기 취출구를 통하여 취출될 물의 온도가 10도 이하인 경우,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마그네슘(Mg)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마그네슘(Mg)의 함량이 3.7ppm 보다 높고 12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마그네슘(Mg)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는, 중공사막 필터이며, 상기 취출구를 통하여 취출될 물의 온도가 10도 이하인 경우,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칼륨(K)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칼륨(K)의 함량이 3.9ppm 보다 높고 25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칼륨(K)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는, 중공사막 필터이며, 상기 취출구를 통하여 취출될 물의 온도가 10도 이하인 경우,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칼륨(K), 마그네슘(Mg) 및 나트륨(Na)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칼륨(K)의 함량이 3.9ppm 보다 높고 25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나트륨(Na)의 함량이 8.4ppm 보다 높고 10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마그네슘(Mg)의 함량이 3.7ppm 보다 높고 12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칼륨(K), 마그네슘(Mg) 및 나트륨(Na)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는, 역삼투압 필터이며, 상기 취출구를 통하여 취출될 물의 온도가 15도 이상인 경우,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칼륨(K) 및 나트륨(Na)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칼륨(K)의 함량이 3.52ppm 이상 38.57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나트륨(Na)의 함량이 1.17ppm 이상 2.05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칼륨(K) 및 나트륨(Na)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되는 미네랄은 칼슘(Ca)과 마그네슘(Mg)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되는 미네랄이 칼슘(Ca)인 경우,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칼슘(Ca)의 함량이 0.53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칼슘(Ca)을 공급하고,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되는 미네랄이 마그네슘(Mg)인 경우,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마그네슘(Mg)의 함량이 7.64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마그네슘(Mg)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는, 역삼투압 필터이며, 상기 취출구를 통하여 취출될 물의 온도가 10도 이하인 경우,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마그네슘(Mg), 칼륨(K) 및 나트륨(Na)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마그네슘(Mg)의 함량이 6.4ppm 이상 23.4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칼륨(K)의 함량이 3ppm 이상 20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나트륨(Na)의 함량이 4.4ppm 이상 25.4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마그네슘(Mg), 칼륨(K) 및 나트륨(Na)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되는 미네랄은 칼슘(C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칼슘(Ca)의 함량이 0.41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칼슘(Ca)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미네랄이 농축된 농축액을 수용하는 미네랄 공급모듈과, 상기 미네랄 공급모듈을 상기 유로에 연결시키는 미네랄 공급관과, 상기 미네랄 공급관에 구비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는 물의 온도가 10도 이하의 상태가 되도록 냉각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 저장된 냉각수를 배수하기 위한 냉각수 배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냉각수 배출관에 연결되며 상기 미네랄 공급부의 농축액을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배관과, 상기 드레인 배관에 구비되는 드레인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구를 통하여 취출되는 물의 온도 범위는 물의 온도가 10도 이하인 냉수와, 물의 온도가 15도 이상인 정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정수로 미네랄을 공급하는 제1미네랄 공급모듈과, 상기 유로 상의 냉수로 미네랄을 공급하는 제2미네랄 공급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미네랄 공급모듈에서 상기 유로로 공급되는 미네랄 성분 및 함량은 상기 제2미네랄 공급모듈에서 상기 유로로 공급되는 미네랄 성분 및 함량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음용하는 냉수 또는 정수로 미네랄이 공급됨에 따라서 냉수에서는 청량감을 느낄 수 있고, 정수에서는 상쾌함을 느낄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배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물 배출 장치의 수배관도.
도 3은 추가되는 미네랄 양에 따른 물맛을 결정하기 위한 시료의 미네랄 농도와 용존고형물의 총합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다수의 시료에 대한 상온수와 냉수 상태에서의 사람의 표현 언어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미네랄 함량별 물맛 시험을 통한 물맛 인덱스 개발을 위하여 결정된 제조수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제조수가 상온 상태인 경우의 제조수 별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미네랄 별 함량에 따른 상온수에 대한 상쾌함 물맛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미네랄 별 함량에 따른 상온수에 대한 뒷맛 오래감 물맛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5의 제조수가 냉수 상태인 경우의 제조수 별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미네랄 별 함량에 따른 냉수에 대한 청량감 물맛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미네랄 별 함량에 따른 냉수에 대한 뒷맛 오래감 물맛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중공사막필터를 통과한 상온수에 미네랄이 공급되어 취출구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배출된 상온수의 미네랄 함량에 따른 만족도 함수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중공사막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냉각된 냉수에 미네랄이 공급되어 취출구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배출된 냉수의 미네랄 함량에 따른 만족도 함수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물 배출 장치의 수배관도.
도 3은 추가되는 미네랄 양에 따른 물맛을 결정하기 위한 시료의 미네랄 농도와 용존고형물의 총합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다수의 시료에 대한 상온수와 냉수 상태에서의 사람의 표현 언어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미네랄 함량별 물맛 시험을 통한 물맛 인덱스 개발을 위하여 결정된 제조수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제조수가 상온 상태인 경우의 제조수 별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미네랄 별 함량에 따른 상온수에 대한 상쾌함 물맛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미네랄 별 함량에 따른 상온수에 대한 뒷맛 오래감 물맛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5의 제조수가 냉수 상태인 경우의 제조수 별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미네랄 별 함량에 따른 냉수에 대한 청량감 물맛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미네랄 별 함량에 따른 냉수에 대한 뒷맛 오래감 물맛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중공사막필터를 통과한 상온수에 미네랄이 공급되어 취출구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배출된 상온수의 미네랄 함량에 따른 만족도 함수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중공사막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냉각된 냉수에 미네랄이 공급되어 취출구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배출된 냉수의 미네랄 함량에 따른 만족도 함수치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물 배출 장치는, 정화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정수기 또는 물 배출 기능이 구비되는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유로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직수형 정수기이거나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의해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저수조형 정수기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정수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물 배출 장치의 수배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배출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 내에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가지는 필터유닛(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물을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취출구(4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물 배출 장치(1)는 정수, 냉수 및 온수 중 하나 이상의 상태의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취출구(44)는 정수, 냉수 및 온수를 배출할 수 있는 공통의 배출구이거나, 정수, 냉수 및 온수를 각각 배출하기 위하여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일 예로 하나의 취출구(44)가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는 온수 배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온수 버튼과, 냉수 배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냉수 버튼과, 정수 배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정수 버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온수 버튼, 냉수 버튼, 정수 버튼은 배출될 물의 온도를 선택하기 위한 종류 버튼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용기 지지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 장치(1)는, 공급되는 물을 감압하기 위한 감압밸브(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21)은, 제1필터(22)와 제2필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22)와 상기 제2필터(23)는 일 예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23)는 역삼투압 필터 또는 중공사막 필터일 수 있다.
상기 제1필터(22)와 상기 제2필터(23)를 연결하는 연결관(24)에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밸브(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 장치(1)는, 상기 필터유닛(21)을 통과한 정화된 물을 상기 취출구(44)으로 안내하는 유로(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30)는, 상기 필터유닛(21)에서 물의 유동을 기준으로 마지막에 배치되는 필터(본 실시 예에서는 제2필터(23))에 연결되는 정수관(31)과, 상기 정수관(31)에 연결되는 냉각기(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32)에 의해서 정수는 대략 10도 이하로 냉각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각기(32)에 의해서 냉각된 정수를 냉수라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각기(32)에 의해서 정수가 얼지 않도록 상기 냉각기(32)에 의해서 냉각된 냉수는 5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냉각기(32)에는 냉각수가 배출되기 위한 냉각수 배출관(46)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냉각수 배출관(46)에는 배출밸브(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32)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용기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용기 내에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코일 형태의 관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 형태의 관을 정수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각수와 열교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용기 내에 정수가 수용되고, 상기 용기의 둘레를 냉매 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의 배관이 감길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유로(30)는, 상기 정수관(31)에 연결되며 상기 취출구(44)로 정수를 안내하기 위한 정수 유동관(34)과, 상기 냉각기(32)에 연결되며 상기 냉각기(32)에 의해서 냉각된 냉수를 상기 취출구(44)로 안내하기 위한 냉수 유동관(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정수 유동관(34)을 유동하는 정수의 온도는 15도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15도 이상의 정수를 상온수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정수 유동관(34)에는 정수 밸브(41)가 구비되고, 상기 냉수 유동관(35)에는 냉수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30)는, 상기 정수 유동관(34) 및 상기 냉수 유동관(35)이 연결되는 공통 유동관(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 유동관(43)의 단부에 상기 취출구(44)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통 유동관(43)의 단부가 취출구(44)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단일의 취출구(44)를 이용하여 정수 또는 냉수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상기 냉수 또는 정수는 각각의 유동관(34, 35)을 유동한 후에 상기 공통 유동관(433)을 지나 상기 취출구(44)을 통하여 상기 물 배출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물 배출 장치가 냉수 또는 정수를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추가적으로 물 배출 장치가 온수를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온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와, 가열기에서 가열된 온수를 취출구으로 안내하기 위한 온수 유동관, 상기 온수 유동관에 구비되는 온수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물 배출 장치(1)가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상기 저수조는 물의 유동을 기준으로 취출구과 필터 유닛 사이에 배치되므로, 상기 저수조도 상기 유로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물 배출 장치(1)는 상기 유로(30)로 미네랄을 공급하기 위한 미네랄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하나 이상의 미네랄이 농축된 농축액을 수용하는 미네랄 공급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로(30)로 공급될 수 있는 미네랄은 양이온으로서, 칼슘(Ca), 칼륨(K), 나트륨(Na) 및 마그네슘(M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미네랄 공급모듈(50)을 상기 유로(30)에 연결시키기 위한 미네랄 공급관(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공급관(51)은 상기 유로(3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미네랄 공급관(51)은 상기 공통 유동관(43)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미네랄 공급모듈(50)로부터 공급된 미네랄은 상기 공통 유동관(43)을 유동하는 냉수 또는 정수와 섞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미네랄 공급관(51)은 상기 정수 유동관(34) 또는 냉수 유동관(35) 또는 상기 취출구(44)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물 배출 장치(1)는 정수나 냉수 중 어느 한 종류의 물 만을 배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공통 유동관(43)은 생략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물 배출 장치(1)가 냉수 만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네랄 공급관(51)은 상기 취출구(44) 또는 상기 냉수 유동관(35)에 연결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물 배출 장치(1)가 정수 만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네랄 공급관(51)은 상기 유로(30) 상의 일 지점(정수관(31) 또는 정수 유동관(34)) 또는 취출구(4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공급관(51)에는 밸브(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53)가 개방되면, 상기 미네랄 공급모듈(50)에서 상기 유로(30)로 미네랄이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밸브(53)는 상기 냉수 밸브(42)가 온되거나 정수 밸브(41)가 온되는 경우 온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미네랄 공급모듈(50)에 연결되며, 미네랄을 포함한 농축액을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관(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관(52)에는 드레인 밸브(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관(52)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냉각수 배출관(46)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물 배출 장치에서 배출되는 물이 최적의 물맛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추가될 미네랄 성분 및 미네랄이 추가되어 취출구를 통하여 취출된 물의 미네랄 함량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추가되는 미네랄 양에 따른 물맛을 결정하기 위한 시료의 미네랄 농도와 용존고형물의 총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네랄을 추가하지 않은 수돗물의 물맛은 나라 별로 다른 특성을 가진다. 한국의 경우, 수돗물의 TDS는 (Total Disolved Solid, 용존고형물의 총합) 값이 낮아서 경수보다는 연수의 물맛을 선호한다. 반면, 유럽 등과 같이 TDS 값이 높은 지역에서는 TDS 값이 어느 정도 있는 경우를 선호한다.
따라서, 수돗물의 TDS에 따라서 물맛이 다를 수 있으며, TDS는 물에 추가되는 미네랄의 양 또는 물에서 미네랄의 농도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한편, 물맛에 대해서 사람들의 표현 언어가 다양하며, 일반인의 경우에서는 더욱 더 다양한 물맛을 표현하므로 물맛 전문가 집단을 통하여 공통화된 표현 언어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3과 같이 총 25개의 시료에 대해서 미네랄의 함량을 달리하여 상온수와 냉수 조건에서 물맛 전문 패널과 일반 소비자의 물맛에 대한 표현 언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도 3에서 시료에 포함되는 미네랄은 칼슘(Ca), 칼륨(K), 나트륨(Na) 및 마그네슘(Mg)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네랄이다. 그리고, 도 3에서 표시된 숫자의 단위는 ppm이다.
도 4는 다수의 시료에 대한 상온수와 냉수 상태에서의 사람의 표현 언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좋은 물맛에 대해서는 냉수는 청량감, 정수는 상쾌함으로 표현되며, 무거운 물맛에 대해서는 냉수, 정수 공통적으로, 뒷맛 오래감으로 표현되었으며, 일반인과 물맛 전문 패널 사이에 상관도도 높게 나타났다. 즉, 물맛 전문 패널의 물맛 표현력이 일반 소비자 물맛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도 5는 미네랄 함량별 물맛 시험을 통한 물맛 인덱스 개발을 위하여 결정된 제조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제조수가 상온 상태인 경우의 제조수 별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물맛 인덱스 개발을 위하여 시료로서 32개의 제조수를 준비하였으며, 32개의 제조수를 상온 상태로 물맛 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6과 같다.
도 7 및 도 8은 미네랄 별 함량에 따른 상온수에 대한 상쾌함 물맛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미네랄 별 함량에 따른 상온수에 대한 뒷맛 오래감 물맛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9는 상온수의 미네랄 별 독립 증가 영향을 보여주고, 도 8은 상온수에서 모든 미네랄 성분의 동시 증가 영향을 보여주는 도면이이다.
독립 증가 영향은, 다른 미네랄 성분의 함량을 1ppm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특정 미네랄 성분 함량을 높인 경우에 획득할 수 있는 결과이고, 동시 증가 영향은 모든 미네랄 성분 함량을 동일 수준으로 높인 경우에 획득할 수 있는 결과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 가로축의 단위는 ppm이고, 세로축은 무차원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칼슘(Ca)의 증가는 청량감 또는 상쾌감을 낮추고, 뒷맛 오래감을 높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마그네슘(Mg), 칼륨(K), 나트륨(Na)은 맛 속성에 끼치는 영향이 칼슘(Ca)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며, 청량감, 상쾌함, 부드러움, 뒷맛 오래감 속성과 비선형적 관계가 있어 일정 함량 전후로 해당 속성에 끼치는 영향이 바뀔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 확보된 물맛 평가 결과와 도 7 내지 도 9에서 획득한 결과를 바탕으로 반응 표면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상온수의 물맛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상온수의 상쾌함에 대한 회귀식
[회귀식1]
C1 = 8.948 - (1.820e-02*Ca) - (1.366e-02*Mg) + (1.949e-02*K) + (9.782e-03*Na) - (4.227e-04*K2) - (1.877e-04*Na2) + (1.309e-04*Ca*Mg) - (1.557e-04*Mg*K)
상온수의 뒷맛 오래감에 대한 회귀식
[회귀식2]
C2 = 6.698 + (7.578e-03*Ca) - (3.717e-03*Mg) + (5.198e-03*K) + (1.703e-03*Na) + (8.719e-05*Ca2) + (2.053e-04*Mg2)
도 10은 도 5의 제조수가 냉수 상태인 경우의 제조수 별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미네랄 별 함량에 따른 냉수에 대한 청량감 물맛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미네랄 별 함량에 따른 냉수에 대한 뒷맛 오래감 물맛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냉수의 미네랄 별 독립 증가 영향을 보여주고, 도 13은 냉수에서 모든 미네랄 성분의 동시 증가 영향을 보여주는 도면이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 가로축의 단위는 ppm이고, 세로축은 무차원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칼슘(Ca)과 마그네슘(Mg)의 증가는 청량감, 상쾌함을 낮추고 뒷맛 오래감을 강하게 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마그네슘(Mg)의 경우는 칼슘(Ca)와 달리 청량감, 상쾌함, 뒷맛 오래감에 대해 약간의 비선형 관계가 관찰되어 일정 함량 전후로 해당 속성에 끼치는 영향이 바뀔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칼륨(K), 나트륨(Na)의 경우 냉장 평가에서 물맛 속성에 끼치는 영향은 마그네슘(Mg)에 비하여 적은 것으로 확인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0에서 확보된 물맛 평가 결과 및 도 11 내지 도 13에서 획득한 결과를 바탕으로 반응 표면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냉수의 물맛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냉수의 청량감에 대한 회귀식
[회귀식3]
C3 = 9.506 - (1.136e-02*Ca) + (5.655e-03*Mg) - (2.904e-04*Mg2) + (5.611e-05*Na)
냉수의 뒷맛 오래감에 대한 회귀식
[회귀식4]
C4 = 6.404 + (9.495e-03*Ca) - (1.277e-02*Mg) + (4.213e-04*Mg2) + (6.644e-05*Na2)+ (3.121e-04*Ca*Mg)
회귀식에서 C1 내지 C4는 무차원 상수로서 결과값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만족도 함수 모델을 활용하여 맛있는 물 조성을 탐색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회귀식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맛 속성 민감도 성향을 고려하여 각 맛 속성에 대해 3가지 유형의 만족도 함수(최대, 최소, 목표치) 중 둘 이상을 선택하여 종합 만족도 함수(dOverall)를 최대화하는 조성을 탐색한다.
먼저, dMax(7, 9)함수는 아래와 같다.
dMax(7, 9)함수는 7 ~ 9 사이에서 최대값을 가질 때 만족도가 1이 되는 함수이다.
dMin(7, 8.5) 함수는 아래와 같다.
dMim(7, 8.5)함수는 7 ~ 8.5 사이에서 최소값을 가질 때 만족도가 1이 되는 함수이다.
dTarget(7, 8.5, 9) 함수는 아래와 같다.
dMim(7, 8.5, 9)함수는 7 ~ 9 사이에서 8.5에 가까워지면 만족도가 1이 되는 함수이다.
dOverall(dMax(7, 9), dMin(7, 8.5)) 함수는 다음과 같다.
dOverall(dMax(7, 9), dMin(7, 8.5)) 함수는 2개의 만족도 함수 각각에 대해 가중치를 고려하여 만족도가 최대가 되는 지점을 탐색하는 함수이다.
위의 회귀식과 만족도 함수를 이용하여, 만족도 함수 목표치를 설정함으로서, 상온수 또는 냉수에서 미네랄 함량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필터(23)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2필터(23)에서 배출되어 상기 유로(30)를 유동하는 정수의 미네랄 함량은 다르다.
따라서, 제2필터(23)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미네랑 공급부가 상기 유로(30) 상의 물로 공급할 미네랄의 함량은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필터(23)의 종류에 따른 미네랄 공급에 따른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의 미네랄 함량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중공사막 필터_상온수]
상기 제2필터(23)로 중공사막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수돗물의 미네랄 평균 값은 대략적으로 칼슘(Ca) 18.5ppm, 마그네슘(Mg) 3.7ppm, 칼륨(K) 3.9ppm, 나트륨(Na) 8.4ppm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필터(23)를 통과한 물이 상기 제2필터(23)를 통과하더라도 상기 상기 제2필터(2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미네랄이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필터(23)를 통과한 정수(상온수)는 대략적으로 칼슘(Ca) 18.5ppm, 마그네슘(Mg) 3.7ppm, 칼륨(K) 3.9ppm, 나트륨(Na) 8.4ppm을 포함한다.
도 14는 중공사막필터를 통과한 상온수에 미네랄이 공급되어 취출구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배출된 상온수의 미네랄 함량에 따른 만족도 함수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필터(23)로서 중공사막필터가 사용하는 경우, 취출구으로 취출되는 상온수의 만족도 함수 목표치는 상쾌함 8.7 및 뒷맛 오래감 6.9 수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의 증가는 만족도 함수 결과치에 큰 영향이 없다. 반면, 나트륨(Na)의 소량 증가는 만족도 함수 결과치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2필터(23)로서 중공사막필터가 사용하는 경우, 취출구로 취출되는 상온수의 미네랄 성분 중에서 적어도 나트륨(Na) 성분의 함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모듈(50)이 상기 유로(30)를 유동하는 상온수로 나트륨(Na)을 공급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칼슘(Ca), 마그네슘(Mg) 및 칼륨(K) 중 하나 이상의 미네랄의 공급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 중 하나 이상의 미네랄과 나트륨(Na)이 상기 유로(30)를 유동하는 정수로 공급될 수 있다.
적어도 나트륨이 추가되어 상기 취출구(44)를 통하여 취출되는 상온수에서, 나트륨(Na)은 8.4ppm 보다 높고 10ppm 이하의 만큼 함유될 수 있다.
[중공사막 필터_냉수]
도 15는 중공사막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냉각된 냉수에 미네랄이 공급되어 취출구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배출된 냉수의 미네랄 함량에 따른 만족도 함수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필터(23)로서 중공사막필터가 사용하는 경우, 취출구로 취출되는 냉수의 만족도 함수 목표치는 청량감 9.3 및 뒷맛 오래감 6.6 수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필터를 통과한 후 냉각기에 의해서 냉각된 냉수에서 마그네슘(Mg), 칼륨(K) 및 나트륨(Na) 중 하나 이상의 소량 증가는 만족도 함수 결과치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취출구(44)를 통하여 취출되는 냉수에서, 마그네슘(Mg)의 함유량이 3.7ppm 보다 높고 12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모듈(50)이 상기 유로(30)를 유동하는 냉수로 마그네슘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취출구(44)를 통하여 취출되는 냉수에서, 칼륨(K)의 함유량이 3.9ppm 보다 높고 25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모듈(50)이 상기 유로(30)를 유동하는 냉수로 칼륨(K)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취출구(44)을 통하여 취출되는 냉수에서, 나트륨(Na)이 함유량이 8.4ppm 보다 높고 10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모듈(50)이 상기 유로(30)를 유동하는 냉수로 나트륨(Na)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미네랄 공급모듈(50)이 상기 유로(30)를 유동하는 냉수로 마그네슘(Mg), 칼륨(K) 및 나트륨(Na) 중 둘 이상의 미네랄을 공급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_상온수]
상기 제2필터(23)로 역삼투압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수돗물의 미네랄 평균 값은 대략적으로 칼슘(Ca) 18.5ppm, 마그네슘(Mg) 3.7ppm, 칼륨(K) 3.9ppm, 나트륨(Na) 8.4ppm을 포함하나, 물이 상기 역삼투압 필터를 통과하는 경우, 미네랄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다.
제2필터(23)로서 역삼투압 필터가 사용하는 경우, 취출구로 취출되는 정수의 만족도 함수 목표치는 상쾌함 8.9 및 뒷맛 오래감 6.9 수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만족도 함수 목표치는 도 5에 개시된 제조수에 대한 물맛 평가 결과에서 상쾌함은 상위 10%, 뒷맛 오래감은 하기 10%인 수준으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만족도 함수 목표치를 만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2필터(23)로서 중공사막필터가 사용하는 경우, 취출구로 취출되는 정수의 미네랄 성분의 함량은, 칼슘(Ca) 0 ~ 0.53ppm, 마그네슘(Mg) 0 ~ 7.64 ppm, 칼륨(K) 3.52 ~ 38.57ppm, 나트륨(Na) 1.17 ~ 2.05 ppm을 만족할 수 있다.
즉, 상기 미네랄 공급모듈(50)은, 상기 유로(30)를 유동하는 정수로 칼륨(K) 및 나트륨(Na)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미네랄 공급모듈(50)은, 상기 유로(30)를 유동하는 정수로 칼슘(Ca) 및 마그네슘(Mg)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유로(30)로 공급되는 미네랄은 농축액 상태로 상기 유로(30)에 공급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_냉수]
제2필터(23)로서 역삼투압필터가 사용하는 경우, 취출구로 취출되는 냉수의 만족도 함수 목표치는 상쾌함 9.5 및 뒷맛 오래감 6.4 수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만족도 함수 목표치를 만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2필터(23)로서 중공사막필터가 사용하는 경우, 취출구로 취출되는 냉수의 미네랄 성분의 함량은, 칼슘(Ca) 0 ~ 0.41ppm, 마그네슘(Mg) 6.4 ~ 23.4 ppm, 칼륨(K) 3 ~ 20ppm, 나트륨(Na) 4.4 ~ 25.4 ppm을 만족할 수 있다.
즉, 상기 미네랄 공급모듈(50)은, 상기 유로(30)를 유동하는 냉수로 칼륨(K), 나트륨(Na) 및 마그네슘(Mg)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미네랄 공급모듈(50)는, 상기 유로(30)를 유동하는 냉수로 칼슘(Ca)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음용하는 냉수 또는 정수로 미네랄이 공급됨에 따라서 냉수에서는 청량감을 느낄 수 있고, 정수에서는 상쾌함을 느낄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물 배출 장치의 수배관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미네랄 공급모듈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물 배출 장치는, 미네랄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냉수로 미네랄을 공급하기 위한 제1미네랄 공급모듈(61)과, 정수로 미네랄을 공급하기 위한 제2미네랄 공급모듈(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미네랄 공급모듈(61)은 제1미네랄 공급관(63)에 의해서 상기 유로(30)에 연결되고, 상기 제2미네랄 공급모듈(62)은 제2미네랄 공급관(64)에 의해서 상기 유로(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미네랄 공급관(63)에는 제1밸브(65)가 구비되고, 상기 제2미네랄 공급관(64)에는 제2밸브(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65)는 상기 냉수 밸브(42)가 온될 때 온될 수 있고, 상기 제2밸브(66)는 상기 정수 밸브(41)가 온될 때 온될 수 있다.
상기 제1미네랄 공급모듈(61)에는 미네랄을 포함한 농축액을 배수하기 위한 제1드레인 관(67)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미네랄 공급모듈(62)에는 제2드레인 관(68)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드레인 관(67, 68)에는 드레인 밸브(69, 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드레인 관(67, 68)은 냉각수 배출관(46)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1드레인 관(67)과 상기 제2드레인 관(68)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냉각수 배출관(46)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드레인 관(67)과 상기 제2드레인 관(68)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냉수 및 정수 각각에 미네랄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냉수에 공급되는 미네랄의 성분 및 함량은 정수에 공급되는 미네랄의 성분 및 함량과 다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물 배출 장치 20: 필터유닛
30: 유로 34: 정수 유동관
35: 냉수 유동관 44: 취출구
50: 미네랄 공급모듈 51: 미네랄 공급관
30: 유로 34: 정수 유동관
35: 냉수 유동관 44: 취출구
50: 미네랄 공급모듈 51: 미네랄 공급관
Claims (25)
-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에 의해서 정화된 물이 유동하는 유로;
상기 유로 상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취출구; 및
미네랄을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하기 위한 미네랄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마그네슘(Mg), 나트륨(Na) 및 칼륨(K) 중 하나 이상의 미네랄을 상기 유로 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는 중공사막 필터와 역삼투압 필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중공사막 필터가 선택될 때의 상기 미네랄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미네랄의 종류 또는 미네랄의 함량은 역삼투압 필터가 선택될 때의 상기 미네랄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미네랄의 종류 또는 미네랄의 함량과 다르며,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로 중공사막 필터가 선택되어 사용될 때,
상기 취출구를 통하여 취출될 물의 온도가 15도 이상인 경우,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나트륨(Na)을 공급하는 물 배출 장치. -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에 의해서 정화된 물이 유동하는 유로;
상기 유로 상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취출구; 및
미네랄을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하기 위한 미네랄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출구에서는 물의 온도가 15도 이상인 상온수와, 물의 온도가 10도 이하인 냉수가 취출될 수 있고,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마그네슘(Mg), 나트륨(Na) 및 칼륨(K) 중 하나 이상의 미네랄을 상기 유로 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상온수가 배출될 때의 상기 미네랄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미네랄의 종류 또는 미네랄의 함량은 상기 냉수가 배출될 때의 상기 미네랄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미네랄의 종류 또는 미네랄의 함량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배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미네랄을 포함하는 농축액을 상기 유로로 공급하는 물 배출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나트륨(Na)의 함량이 8.4ppm 보다 높고 10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나트륨(Na)을 공급하는 물 배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로 중공사막 필터가 선택되어 사용될 때,
상기 취출구를 통하여 취출될 물의 온도가 10도 이하인 경우,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나트륨(Na)의 함량이 8.4ppm 보다 높고 10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나트륨(Na)을 공급하는 물 배출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로 중공사막 필터가 선택되어 사용될 때,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마그네슘(Mg)의 함량이 3.7ppm 보다 높고 12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마그네슘(Mg)을 공급하는 물 배출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로 중공사막 필터가 선택되어 사용될 때,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칼륨(K)의 함량이 3.9ppm 보다 높고 25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칼륨(K)을 공급하는 물 배출 장치. - 삭제
-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중공사막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에 의해서 정화된 물이 유동하는 유로;
상기 유로 상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취출구; 및
칼륨(K), 마그네슘(Mg) 및 나트륨(Na)을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하기 위한 미네랄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의 온도가 10도 이하인 경우,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칼륨(K)의 함량이 3.9ppm 보다 높고 25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나트륨(Na)의 함량이 8.4ppm 보다 높고 10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마그네슘(Mg)의 함량이 3.7ppm 보다 높고 12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칼륨(K), 마그네슘(Mg) 및 나트륨(Na)을 공급하는 물 배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로 역삼투압 필터가 선택되어 사용될 때,
상기 취출구를 통하여 취출될 물의 온도가 15도 이상인 경우,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칼륨(K) 및 나트륨(Na)을 공급하는 물 배출 장치. -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역삼투압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에 의해서 정화된 물이 유동하는 유로;
상기 유로 상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취출구; 및
칼륨(K), 및 나트륨(Na)을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하기 위한 미네랄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의 온도가 15도 이상인 경우,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칼륨(K)의 함량이 3.52ppm 이상 38.57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나트륨(Na)의 함량이 1.17ppm 이상 2.05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칼륨(K) 및 나트륨(Na)을 공급하는 물 배출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되는 미네랄은 칼슘(Ca)과 마그네슘(Mg)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물 배출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되는 미네랄이 칼슘(Ca)인 경우,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칼슘(Ca)의 함량이 0.53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칼슘(Ca)을 공급하고,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되는 미네랄이 마그네슘(Mg)인 경우,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마그네슘(Mg)의 함량이 7.64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마그네슘(Mg)을 공급하는 물 배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로 역삼투압 필터가 선택되어 사용될 때,
상기 취출구를 통하여 취출될 물의 온도가 10도 이하인 경우,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마그네슘(Mg), 칼륨(K) 및 나트륨(Na)을 공급하는 물 배출 장치. -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역삼투압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에 의해서 정화된 물이 유동하는 유로;
상기 유로 상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취출구; 및
칼륨(K), 마그네슘(Mg) 및 나트륨(Na)을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하기 위한 미네랄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의 온도가 10도 이하인 경우,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마그네슘(Mg)의 함량이 6.4ppm 이상 23.4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칼륨(K)의 함량이 3ppm 이상 20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나트륨(Na)의 함량이 4.4ppm 이상 25.4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마그네슘(Mg), 칼륨(K) 및 나트륨(Na)을 공급하는 물 배출 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되는 미네랄은 칼슘(Ca)을 더 포함하는 물 배출 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되는 물에서, 상기 칼슘(Ca)의 함량이 0.41p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물로 칼슘(Ca)을 공급하는 물 배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미네랄이 농축된 농축액을 수용하는 미네랄 공급모듈과,
상기 미네랄 공급모듈을 상기 유로에 연결시키는 미네랄 공급관과,
상기 미네랄 공급관에 구비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물 배출 장치. -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유닛;
상기 필터유닛에 의해서 정화된 물이 유동하는 유로;
상기 유로 상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취출구; 및
미네랄을 상기 유로 상의 물로 공급하기 위한 미네랄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물의 온도가 10도 이하의 상태가 되도록 냉각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 저장된 냉각수를 배수하기 위한 냉각수 배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냉각수 배출관에 연결되며 상기 미네랄 공급부의 농축액을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배관과,
상기 드레인 배관에 구비되는 드레인 밸브를 더 포함하는 물 배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공급부는, 상기 유로 상의 상온수로 미네랄을 공급하는 제1미네랄 공급모듈과, 상기 유로 상의 냉수로 미네랄을 공급하는 제2미네랄 공급모듈을 포함하는 물 배출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7903A KR101721743B1 (ko) | 2015-01-16 | 2015-01-16 | 물 배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7903A KR101721743B1 (ko) | 2015-01-16 | 2015-01-16 | 물 배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8613A KR20160088613A (ko) | 2016-07-26 |
KR101721743B1 true KR101721743B1 (ko) | 2017-03-30 |
Family
ID=5668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7903A KR101721743B1 (ko) | 2015-01-16 | 2015-01-16 | 물 배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174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9834B1 (ko) * | 2019-10-22 | 2021-01-29 | (주) 더메리트 | 냉/온수 또는 특정 경도를 가지는 미네랄 워터 혹은 이들의 혼합 수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8069B2 (ja) * | 1994-03-04 | 2001-03-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トナー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1885B1 (ko) * | 1993-10-18 | 1996-09-04 | 구창남 | 정수장치 |
JP3148069U (ja) * | 2008-11-14 | 2009-01-29 | 安井 睿男 | ミネラル水生成装置および液体収容袋 |
KR20100098805A (ko) * | 2009-03-02 | 2010-09-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성분 조절된 물을 제공하는 정수기 |
KR101305327B1 (ko) * | 2011-06-17 | 2013-09-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
-
2015
- 2015-01-16 KR KR1020150007903A patent/KR1017217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48069B2 (ja) * | 1994-03-04 | 2001-03-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トナー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8613A (ko) | 2016-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7109B1 (ko) | 물공급장치 살균 방법 | |
US20090283464A1 (en) | Water feed device | |
CN201074230Y (zh) | 家酿啤酒饮水机 | |
EP1913323A1 (en) | Water condenser | |
JP5923226B1 (ja) | 濃縮装置及び濃縮方法 | |
US10167208B2 (en) | Sterilization system | |
KR101721743B1 (ko) | 물 배출 장치 | |
CN108272346A (zh) | 嵌入式净饮机 | |
JP2014510633A (ja) | 交換可能な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システムによって飲料水を処理する方法 | |
CN108078380A (zh) | 一种智能饮水机 | |
KR100672476B1 (ko) | 진공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 |
Baiju et al. | Performance investigations of hybrid adsorption and thermo electric dehumidification desalination system | |
JPWO2006003968A1 (ja) | 凍結融解による濃縮物及び懸濁固形分分離装置 | |
CN204039374U (zh) | 用于从大气中生产啤酒的设备 | |
KR200428986Y1 (ko) | 냉수와 온수가 동시에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냉온수기 | |
KR20190065033A (ko) | 분리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 |
CN101780989B (zh) | 一种能够产生蒸馏水的家用饮水装置 | |
WO2005054763A1 (fr) | Dispositif de refrigeration combine | |
CN208905555U (zh) | 嵌入式净饮机 | |
JP2007333325A (ja) | 製氷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冷蔵庫 | |
KR20220058755A (ko) | 맥주 제조장치 | |
CN216675466U (zh) | 一种酒店用冷热直饮水机 | |
JP2008131882A (ja) | 酵母保管装置及び酵母保管方法 | |
KR20160066017A (ko) | 기능수 정수기 및 이에 사용되는 기능수 생성 제어방법 | |
Osorio et al. | Progressive stirred freeze concentration: Effect of operative parameters on vital statistics of be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