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785B1 -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785B1
KR101720785B1 KR1020160034022A KR20160034022A KR101720785B1 KR 101720785 B1 KR101720785 B1 KR 101720785B1 KR 1020160034022 A KR1020160034022 A KR 1020160034022A KR 20160034022 A KR20160034022 A KR 20160034022A KR 101720785 B1 KR101720785 B1 KR 101720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connection
gear
modul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률
손종완
장승호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2013/10Auxiliary actuators for variable valve timing
    • F01L2013/103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20/00Details on specific features characterising valve gear arrangements
    • F01L2820/03Auxiliary actuators
    • F01L2820/032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구동모터와 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질 수 있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터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모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구동모터의 단자와 회로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단자 연결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단자 연결 모듈은 회로기판의 단자부와 구동모터의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 연결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단자부는 면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an actuator for driving a continous variable valve}
본 발명은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구동모터와 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질 수 있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서의 기어 모듈과 구동 모터 간의 얼라인먼트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연속 가변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은 연소실(combustion chamber)에 연료와 공기를 받아들여 이를 연소함으로써 동력을 형성한다.
공기를 흡입할 때에는 캠축(camshaft)의 구동에 의해 흡기밸브(intake valves)를 작동시키고, 흡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 흡입되게 된다. 또한, 캠축의 구동에 의해 배기밸브(exhaust valve)를 작동시키고 배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최적의 흡기밸브/배기밸브 동작은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리프트(lift) 또는 밸브 오프닝/클로징 타임이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밸브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밸브를 구동시키는 캠의 형상을 복수 개로 설계하거나, 밸브가 엔진회전수에 따라 다른 리프트(lift)로 동작하도록 구현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continuous variable valve lift; CVVL) 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또한, 밸브의 열림 시간을 조절하는 것으로 CVVT(Continuous Variable Valve Timing)기술이 개발되어왔는데, 이는 밸브 듀레이션이 고정된 상태로 밸브 열림/닫힘 시점이 동시에 변경되는 기술이다.
한편, CVVL 또는 CVVT는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이 고가인 문제가 있어서, 엔진의 작동 상태에 따라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장치가 제공되며, 이러한 장치는 한국 공개 특허 10-2013-0063819에 나타난다.
이러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선 엔진 일측에 액츄에이터가 장착되는데, 이러하 액츄에이터의 경우, 하우징과, 모터와, 여러가지 기어모듈 및 기어 모듈과 연결되는 출력축이 마련된다.
그리고 출력축은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장치와 연결되어 이를 제어한다. 그런데 이러한 액츄에이터의 경우,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의 위치가 완벽하게 고정되지 않아서 동작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ECU에 의하여 제어를 받고 있을 뿐 자체적인 마이콤에 의한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있어서 ECU 제어와 무관한 자체적인 스마트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으로서, 구동모터의 전방과 후방에서 구동모터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구동모터의 배치 불안정으로 인한 소음이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의 자체적인 제어 동작을 위하여 마련되는 소자들이 배치된 회로 기판과 구동 모터 간에 원활한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게 하고, 그러한 전기적 연결 구조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모터와 기어 모듈 간의 얼라이먼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터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모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구동모터의 단자와 회로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단자 연결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단자 연결 모듈은 회로기판의 단자부와 구동모터의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 연결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단자부는 면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단자 연결 모듈은; 상기 단자 연결부를 둘러싸도록 단자 연결부와 결합되어 단자 연결부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연결부는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를 따라 배치되는 제1단자 연결부와, 상기 제1단자부와 분리되게 마련되고 제2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를 따라 배치되는 제2단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단자 연결부는 각각 PCB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단부와, 구동모터의 단자와 연결되는 타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일단부는 몸체부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타단부는 제1,2연장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단자 연결부의 일단부의 넓은 면은 구동 모터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2단자 연결부의 타단부의 넓은 면은 구동 모터의 폭 방향으로 향하여 구동 모터의 단자에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회로 기판의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 연결부와 상기 결합부는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 기판에는 구동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과, 출력축 모듈에 설치되는 마그넷의 자성 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 모듈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기어 모듈은;
구동 모터에 연결되는 웜 샤프트와; 상기 웜 샤프트와 치합되는 웜 휠 기어와; 상기 웜휠기어에 결합되며 웜휠기어와 같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선 기어와;
선기어를 둘러싸는 복수의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되며 기어 모듈 수용 공간 내벽에 고정되는 링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상기 유성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공전 방향을 따라서 회전하는 출력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축 모듈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출력축부와, 출력축부와 반대편에 형성되며 선기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연장축부와, 출력축부와 연장축부 사이에 마련되고 유성기어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이 배치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축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상면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축과 상기 유성기어 사이에 마련되는 유성 기어 지지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축부와 상기 선기어 사이에 마련되는 선기어 지지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의 단자는 플러그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단자 연결부는 플러그 형태로 마련되는 구동모터의 단자가 삽입되는 탭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단자 연결 모듈은 상기 회로 기판과 단자 연결부를 연결하는 전원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모터가 모터 수용 공간 내부에 수용될 때, 모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체결 부재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구동 모터의 고정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된다.
구동 모터의 전방 부분은 체결 부재에 의하여 고정되고, 구동 모터의 후방 부분은 모터 커버의 지지리브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구동 모터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이동이나 진동이 방지될 수 있다.
체결 부재의 경우, 하우징 외부에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구획벽에 고정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등으로 인하여 체결 상태가 영향받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자체적인 마이콤이 설치되는 회로 기판이 설치되고, 이러한 회로기판은 구동 모터와 연결되는데, 그 연결되는 거리가 상당하기 때문에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단자 연결부만 설치되는 경우 형상의 변형이나 위치 불안정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 연결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로 인하여 단자 연결부의 형상 유지 및 위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결합부는 몸체부와 두 개의 연장부가 마련되고, 이 부분에 각각 두 개의 단자 연결부가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결합되어 보다 용이하게 단자 연결 모듈을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단자 연결부의 상단부의 넓은 면과 하단부의 넓은 면이 각각 회로 기판의 단자부의 배치 및 구동 모터의 배치 상태에 맞게 배치되므로 단자와 단자 연결부 간의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구현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축에 마련되는 커플러와 웜 샤프트 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얼라이먼트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웜 샤프트가 모터 축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웜휠 기어와 웜샤프트간에 치합이 원활하게 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커플러와 웜 샤프트 간에 결합구조가 제공되므로 웜 샤프트와 웜휠기어간에 확실한 치합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웜 샤프트가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링 구조가 제공됨으로써 웜 샤프트와 웜 휠 기어 간에 확실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그 고정링이 C링 형태로 마련되고, 고정링이 걸리는 걸림턱이 하우징에 형성되어 웜 샤프트의 위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어서 동력 전달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의 웜 샤프트 및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의 상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웜휠 기어가 없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의 상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웜휠 기어가 없는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의 측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의 상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웜휠 기어가 있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의 측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에서 구동 모터와 회로 기판과 단자 연결 모듈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에서 구동 모터와 단자 연결 모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11과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에서 구동 모터와 회로 기판과 단자 연결 모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에서 구동 모터와 회로 기판과 단자 연결 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이하, 액츄에이터라고 한다)(1)는 하우징(100)이 그 외관을 형성하고, 하우징 (100)내부에는 후술할 구동 모터, 기어 모듈, 회로 기판 등이 수용된다.
하우징(100) 상부에는 하우징 커버(200)가 마련되며, 하우징 커버(200) 일측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 단자(210)가 배치된다.
하우징(100) 하부에는 기어 모듈과 연결되는 출력축 모듈(400)이 마련되며, 출력축 모듈(400)는 엔진의 연속 가변 밸브(미도시)에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의 구동력과 구동 속도가 기어 모듈에 의하여 조절되고, 조절된 구동력과 속도가 출력축 모듈(400)에 의하여 연속 가변 밸브에 전달된다.
한편, 하우징(100)에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이 결합되어할 상대물(예 엔진)을 연결하는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되는 체결홀(111)이 형성되는 체결부(110)가 다수 형성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츄에이터(1)의 분해사시도이다.
하우징(100)은 모터 수용 공간(120)과, 기어 모듈 수용 공간(130)이 형성되며, 모터 수용 공간(120)과 기어 모듈 수용 공간(130)은 상호 구획되어 마련된다.
모터 수용 공간(120)은 구획벽(121)에 의하여 정의되는데, 구획벽(121)은 모터 수용 공간(120)의 측방과 후방을 형성하는 외부 구획벽(1211, 1212) 및 모터 수용 공간(120)의 전방을 형성하는 내부 구획벽(1213)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터 수용 공간(120)의 전방은 구동 모터(150)의 출력축이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하고, 후방은 그 반대편으로 정의한다.
다만, 이는 기준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모터 수용 공간(120)의 후방에 배치되는 외부 구획벽(1212)에는 구동 모터(150)를 삽입할 수 있는 모터 삽입공(1212a)이 형성된다.
모터 삽입공(1212a)에는 구동 모터(150)가 삽입된 후에 이를 폐쇄할 수 있는 모터 커버(151)가 마련된다.
모터 커버(151)와 구동 모터(150) 사이에는 디스크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170)가 마련되어, 구동 모터(150)를 내부 구획벽(1213) 방향으로 밀어 구동 모터(15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디스크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부재(170)은 링 형태로 마련되며, 그 외경 및 내경이 모터 커버(151)에서 구동 모터(150)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구조가 된다.
이를 통해서 모터 수용공간 내에서의 구동 모터(150)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에는 판 웨이브 스프링이 사용되었으나, 판 웨이브 스프링은 약 10kgf 정도 밖의 가압력을 가지지 못하지만, 디스크 스프링은 100kgf의 가압력을 가짐으로써 보다 강력하게 구동 모터(150)를 가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모터 삽입공(1212a)의 양측에는 체결홀(1212b)이 형성되며, 모터 커버(151 )에도 체결홀(151a)이 형성되고, 체결 부재(152)가 삽입되어 모터 커버(151)를 외부 구획벽(1212)에 고정시킨다.
내부 구획벽(1213)에는 구동 모터(150)와 연결되는 웜 샤프트(310)가 관통하는 웜 샤프트 홀(1213a)이 형성된다.
웜 샤프트홀(1213a)홀의 옆에는 구동 모터(150)를 내부 구획벽(1213)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16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삽입공(1214)이 형성된다.
이 삽입공(1214)은 웜 샤프트 홀(1213a) 양 옆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뒤로 뚫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 모듈 수용 공간(130)은 소정 깊이를 갖도록 마련된다.
기어 모듈 수용 공간(130)에는 여러 개의 기어가 기어 모듈(300) 또는 어셈블리를 형성하며 수용된다.
기어 모듈(300)을 구체적으로 보면, 구동 모터(150)의 모터축과 연결되는 웜(worm) 샤프트(310)와, 웜 샤프트(310)와 치합되는 웜휠 기어(320)와, 웜휠 기어(320)에 결합되어 웜휠 기어(320)와 같이 회전하는 선기어(sun gear)(330)를 포함한다.
선기어(330)는 치형부(331)와, 치형부(331) 상측에 연장되는 보스(332)와, 보스(332) 주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333)를 포함한다.
선기어(330)의 보스(332) 및 돌기부(333)에 윔휠 기어(320)가 결합됨으로써 윔휠 기어(320)와 선기어(330)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선기어(330)의 옆에는 복수개(예 3개)의 유성기어(340)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유성 기어(340)의 주변에는 링 기어(350)가 배치된다.
링기어(350)는 기어 모듈 수용 공간(130)에 고정된다.
유성기어(340)는 출력축 모듈(400)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출력축 모듈(400)은 하우징(100) 바깥으로 돌출되며 연속 가변 밸브와 결합되는 출력축부(410)와, 선기어(330)의 보스(332)를 관통하여 출력축부(410)와 반대편으로 연장되는 연장축부(420)와, 출력축부(410)와 연장축부(420) 사이에 배치되어 원판 형태로 마련되는 캐리어(430)를 포함한다.
캐리어(430)에는 유성기어(340)들에 삽입되어 유성기어(340)들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431)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하에서 구동 모터(150) 동작 -> 웜 샤프트(310) 회전 -> 웜휠 기어(320) 및 선 기어(330) 회전-> 유성기어(340)의 자전 및 공전 -> 유성기어(340)의 공전 방향으로 출력축 모듈(400)의 회전 동작이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출력축 모듈(400)의 출력축부(410) 주위에는 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베어링(421)이 마련되고, 그 아래에는 실링 부재(422)가 배치된다.
실링 부재(422)는 액츄에이터(1)가 엔진에 장착되는 경우, 오일이 액츄 에이터(1)의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출력축 모듈(400)의 연장축부(410)는 웜휠 기어(320) 및 선기어(330)의 보스(332)보다 위로 돌출되며 제2베어링(422)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 커버(44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를 위해서 상부 커버(440)에는 축 지지홀(441)이 형성되고, 축 지지홀(441) 주위에는 보스(4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커버(442) 상부에는 여러가지 소자 및 마이콤(510)이 배치되는 회로 기판(500)이 배치되고, 회로 기판(500)의 상부에 하우징 커버(200)가 배치된다.
하우징 커버(200) 및 하우징(100) 테두리에는 고정홀(200a, 100a)이 다수 형성되며, 다수의 고정부재(미도시)가 고정홀(200a, 100a)에 삽입되어 하우징 커버(200)와 하우징(100)을 결합시킨다.
회로기판(500)과 구동모터(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회로기판(500)에 마련되는 마이콤(510)에 의하여 구동모터(150)가 자체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야 하므로 회로기판(500)과 구동모터(150) 간의 전기적 연결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회로 기판(500)과 구동모터(150)를 연결하는 단자 연결 모듈(600)이 배치된다.
단자 연결모듈(600)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전도체로 형성되는 단자 연결부(610, 620)와, 단자 연결부(610, 620)를 둘러싸며 단자 연결부(610, 620)의 형상을 유지하고, 회로 기판(500)에 결합되는 결합부(630)를 포함한다.
단자 연결 모듈(600)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3(a)는 웜 샤프트(310) 및 웜 샤프트(310)와 결합되는 커플러(30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b)는 웜 샤프트(310)에 베어링(305a, 305b)의 결합되는 경우의 분해사시도이다.
베어링(305a, 305b)는 웜 샤프트(310)가 하우징(10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웜 샤프트(31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커플러(309)는 구동 모터(도2 참조, 150)의 모터 축에 결합되고, 웜 샤프트(310)의 타단부(310b)에 치형 결합되는 연결 구조이다.
웜 샤프트(310)를 구동 모터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커플러(309)를 사용함으로써, 웜 샤프트(310)와 구동 모터의 모터 축과의 얼라인먼트(alignment)가 원활해진다.
한편, 웜 샤프트(310)의 외주면에는 고정링(311)이 결합된다.
고정링(311)은 웜 샤프트(310)가 하우징(100)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구조를 이룬다.
고정링(311)은 일측이 개방된 C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링(311)은 웜 샤프트(310)의 타단부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링(311)이 잘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웜 샤프트(310)의 외주면에는 고정홈(310a)이 마련된다.
고정링(311)이 고정홈(310a)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링(311)이 웜샤프트(3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웜 샤프트(310)의 일단부(310c)와 타단부(310b)에는 각각 베어링(305a, 305b)가 결합된다.
한편 베어링(305a, 305b)의 외주면과, 고정링(310)의 외주면에 하우징(100) 내부에 강제 압입되어 하우징(100) 내에서의 웜 샤프트(3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참고로, 웜 샤프트(310)와 웜휠기어(도2참조, 320)는 금속 가공물로 이루어져서 내구성 및 동력 전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4와 도5는 윔휠 기어(도2참조, 320)가 빠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내부 구획벽(1213)에는 삽입공(1214)과 웜샤프트 홀(1213a)에 형성된다.
삽입공(1214)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웜샤프트 홀(1213a)의 양 옆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작하다.
삽입공(1214) 중 일부는 기어 모듈 수용 공간(130)을 향하도록 마련되고, 나머지는 기어 모듈 수용 공간(130)과 별도로 구분되어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체결 부재 삽입 공간(170)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기어 모듈 수용 공간(130)과 체결 부재 삽입 공간(170) 사이에는 분리벽(131)이 마련되어 이들을 구획한다.
한편 분리벽(131)은 도면에서 생략된 상부 커버와 함께, 기어 모듈 수용 공간(130)에 있는 그리스(grease)가 상부의 회로기판(500)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벽 역할도 수행한다.
기어 모듈(300) 및 기어 모듈 수용 공간(130)에는 기어 들간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 그리스를 도포하는데, 이것의 누출되어 인근의 회로 기판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하는데, 이를 상부 커버(도2참조, 440)와 분리벽(131)이 수행한다.
분리벽(131)은 내부 구획벽(1213)에서 연결되고, 외곽벽(132)까지 연장된다.
외곽벽(132)은 기어 모듈 수용 공간(130)을 형성하는 벽이다.
삽입공(1214) 중 기어 모듈 수용 공간(13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삽입공을 제1삽입공(1214a)이라고 하고, 체결 부재 삽입 공간(170)에 배치되는 삽입공을 제2삽입공(1214b)이라고 하고, 제1삽입공(1214a)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를 제1체결 부재(161)라고 하고, 제2삽입공(1214b)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를 제2체결 부재(162)라고 하자.
외곽벽(132)에는 체결부재(160)가 삽입되어 삽입공(1214)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입구 역할을 하는 입구홀(1321; 1321a, 1321b)이 마련된다.
입구홀은 제1삽입공(1214a)과 대향되게 형성되며, 제1체결부재(161)가 진입하는 제1입구홀(1321a)과, 제2삽입공(1214b)과 대향되게 형성되며 제2체결부재(162)가 진입하는 제2입구홀(1321b)을 포함한다.
제1입구홀(1321a)과 제2입구홀(1321b)사이에는 웜 샤프트홀(1213a)과 대향되는 개방홀(1322)이 형성된다.
개방홀(1322)은 웜 샤프트(310)의 교체 등을 위해서 웜 샤프트(310)를 인출하거나 삽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공간이다.
제1,2입구홀(1321a, 1321b) 및 개방홀(1322)에는 이를 막는 실링부재(18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150)의 정면에는 제1,2체결부재(161, 16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2고정홀(150a, 150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체결부재(161) 체결은 웜휠 기어(도2참조, 320)가 끼워지기 전에 이루어져야 하는데, 웜휠 기어(320)의 배치 높이가 제1체결 부재(161)의 배치 높이와 동일하여 제1체결 부재(161)가 제1입구홀(1321a)을 거쳐 제1삽입공(1214a)으로 들어가는 루트와 간섭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2체결 부재(162)는 제2입구홀(1312b)을 통과한 뒤에 체결 부재 삽입 공간(170)을 따라서 이동한 뒤에 제2삽입공(1214b)에 끼워지고 구동 모터(150)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2고정홀(150b)에 체결된다.
따라서, 제1,2 체결 부재(161, 162)에 의하여 구동 모터(150)가 내부 구획벽(1213)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한편, 구동 모터(150)의 후방의 중심부(153)는 돌출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구동 모터(150) 내부에 있는 회전축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감싸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구동 모터(150) 후방 중심의 돌출 부분은 모터 커버(151)의 중심에 마련되는 지지 리브(151b)에 의하여 둘러싸여 지지된다.
구동 모터(150)의 전방은 제1,2체결 부재(161, 162)에 의하여 고정되고, 구동모터(150)의 후방은 모터 커버(151)의 지지리브(151b)에 의하여 고정되며, 구동 모터(150)의 측면은 모터 수용 공간(130)을 형성하는 외부 구획벽(1211)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구동 모터(150)가 모터 수용 공간(13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6은 상부 커버(440)가 장착된 경우의 측단면도이다.
여기서 구동 모터(150)의 모터축에 커플러(309)가 결합되고, 웜 샤프트(310)의 일단부(310c)와 타단부(310b)에는 각각 베어링(305a, 305b)가 배치된다.
베어링(305a)의 앞에는 고정링(311)이 설치된다.
한편, 고정링(311) 앞에는 하우징 내부의 걸림턱(131a)이 위치하는데, 걸림턱(131a)에 고정링(311)이 걸림으로써 웜 샤프트(310)가 앞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베어링(305a)은 하우징(100)에 강제압입되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고정링(311)은 베어링(305a)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도 방지된다.
따라서, 웜 샤프트(310) 자체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웜 샤프트(310)와 웜 휠(320)이 적용되는 경우, 회전 방향에 따라서 웜 샤프트(31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동력전달의 일관성 및 안정성을 위해서 위와 같은 고정링(311) 및 걸림턱(131a), 그리고 베어링(305a) 구조가 필요하다.
여기서 전방의 베어링(305b)은 회전 지지 및 얼라인 먼트를 위해서 배치되며, 후방의 베어링(305a)은 회전 지지, 얼라인먼트, 웜샤프트의 전후 방향 이동 방지를 위한 고정링(311)의 이동 방지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7은 웜휠 기어(320)가 설치되었을 때의 평면을 절개한 사시도이다.
윔휠 기어(320)가 설치되는 경우, 웜휠 기어(320)는 제1체결부재(161)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다만, 제1체결부재(161)의 헤드부가 윔휠 기어(320)의 치형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므로 제1체결부재(161)가 삽입되었던 루트는 웜휠 기어(320)에 의하여 가려진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액츄에이터의 측단면도이다.
여기서 보면, 체결 부재 삽입 공간(170)과 기어 모듈 수용 공간(130)은 분리벽(131)에 의하여 구획된다.
분리벽(131) 옆에는 웜 샤프트(310)가 배치된다.
웜 샤프트(310)는 그 옆의 웜휠 기어(320)와 치합된다.
웜휠 기어(320)의 하부에는 선기어(330)가 결합된다.
선기어(330)의 상부에는 보스(332)가 형성되고, 보스(332) 주위에는 돌기부(333)가 형성되며, 보스(332) 아래에는 치형부(331)가 형성된다.
보스(332)와 돌기부(333)는 웜휠 기어(32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하여 웜휠 기어(320)가 회전하는 경우, 선기어(330)와 동일한 방향과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선기어(330)의 치형부(331)에는 유성기어(340)가 치합되고, 유성기어(340)는 그 외주에 배치되는 링기어(350)의 치형에 치합된다.
링기어(350)는 기어 모듈 수용 공간(130) 하부에 고정된다.
유성기어(340)는 출력축 모듈(400)에 결합된다.
출력축 모듈(400)은 하부로 연장되어 하우징(100) 바깥으로 노출되는 출력축부(410)와, 출력축부(4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축부(420), 그리고 출력축부(410)와 연장축부(420) 사이에 마련되어 유성기어(340)가 놓이는 캐리어(430)를 포함한다.
캐리어(430)에는 지지축(431)이 마련되고, 지지축(431)에 유성기어(340)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웜휠 기어(320) 및 선기어(300)에 의한 입력 각속도가 유성기어(340)에 의하여 감속되고, 출력축 모듈(400)은 감속된 각속도를 연속 가변 밸브에 전달한다.
출력축부(410) 주위에는 제1베어링(421)이 배치되어 출력축부(41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베어링(421)의 하부에는 실링 부재(422)가 마련되어 외부 오일의 유입을 방지한다.
실링 부재(422)는 출력축부(410)의 외주를 둘러싸는 절곡부(422b)와, 절곡부(422b)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평면 형태의 테두리부(422a)를 포함한다.
테두리부(422a)는 제1베어링(421)의 하부에 놓여 제1베어링(421)와 하우징(100) 사이에 압착되어 실링을 수행한다.
절곡부(422b)는 출력축부(410)의 외주면을 빈틈없이 감싸서 출력축부(410) 외주면을 타고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장축부(420)와 선기어(330)의 보스(332)사이에는 선 기어 지지 베어링(433)이 마련되어 연장축부(420)를 중심으로 선기어(33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유성기어(340)와 지지축(431) 사이에는 유성 기어 지지 베어링(432)가 마련되어 유성 기어(340)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한다.
선 기어 지지 베어링(433)과 유성 기어 지지 베어링(432)은 모두 상하부가 개방된 관 형태로 마련되고, 하부 테두리는 납작하게 펴져 있어서 선기어(330) 및 유성 기어(340)의 하면과 면접한다.
한편, 지지축(431)은 헤드부(431a)와 몸체부(431b)로 구성된다.
헤드부(431a)는 몸체부(431b)보다 위에 배치되며, 유성 기어(430)의 상부를 덮는 역할을 수행하여 유성 기어(430)가 지지축(4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몸체부(431b)는 캐리어(430)에 고정되고 그 외주면에 유성 기어 지지 베어링(432)이 설치된다.
여기서 실링부재(431)은 테프론 재질로 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장축부(420) 상부 주위에는 제2베어링(422)이 배치되어 연장축부(42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그 위에는 상부 커버(440)가 마련된다.
상부 커버(440) 내부에는 제2베어링(422)을 둘러싸는 리세스(442)가 형성되고, 연장축부(420)가 통과하는 축 지지홀(441)이 형성된다.
한편, 연장축부(420)의 단부에는 마그넷(450)이 배치된다.
여기서 마그넷(450)은 연장축부(420)의 단부 중심에 끼워지는 삽입부(451)과, 연장축부(420)의 단부 외주면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턱부(452)를 포함한다.
마그넷(450)은 연장축부(420)에 인서트 사출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축부(420) 및 상부 커버(440)의 상부에는 회로 기판(500)이 설치된다.
회로 기판(500)에는 마이콤 및 여러가지 전기 소자 또는 전자 소자가 배치된다.
회로 기판(500)에는 자성 변화를 측정하는 홀 센서(520)가 마련된다.
홀 센서(520)는 마그넷(450)에서 이격된 곳에 배치된다.
홀 센서(520)는 출력축 모듈(400)의 회전에 따른 마그넷(450)의 자성 변화를 측정하고, 이 변화를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마이콤(510)에 전달한다.
이를 통해 마이콤은 출력축 모듈(400)의 회전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도9는 회로 기판(500)과 구동 모터(150)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다.
구동 모터(150)에 전원 공급 및 제어 신호 전달을 위해서 회로 기판(500)과 구동 모터(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구동 모터(151)의 후방에는 단자부(155)가 마련되고, 회로 기판(500)에도 단자부(555)가 설치된다.
이들 단자부(155, 55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구동 모터(150)의 후방 및 회로기판(500)의 하부에는 단자 연결 모듈(600)이 마련된다.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연결 모듈(600)은 전도체로 구성되는 단자 연결부(610, 620)와, 단자 연결부(610, 620) 외부 일부를 둘러싸면서 단자 연결부(610, 620)의 형상 및 배치 상태를 유지시키고 회로 기판(500)에 결합되는 결합부(6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부(630)는 비전도체(예, 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자 연결 모듈(600)은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금형 내부에 단자 연결부(610, 620)를 넣고, 수지 재료를 주입하여 단자 연결부(610, 620)를 둘러싸고 있는 결합부(630)를 성형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하나의 단자 연결 모듈(600)은 제1단자 연결부(610) 및 이와 떨어져 있는 제2단자 연결부(620)를 포함하고, 결합부(630)는 제1,2단자 연결부(610, 620)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가 된다.
결합부(630)는 몸체부(633)와, 몸체부(633)의 하부에서 양 옆으로 연장되는 제1,2연장부(631, 632)를 포함한다.
제1단자 연결부(610)의 상단부(611)와 하단부(612)는 외부에 노출되고, 그 중간 영역(613)은 몸체부(630)와 제1연장부(631)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단자 연결부(620)의 상단부(621)와 하단부(622)도 외부에 노출되고 그 중간 영역(623)은 몸체부(633)와 제2연장부(623) 내부에 배치된다.
제1,2단자 연결부(610, 620)의 하단부(612, 622)는 제1,2연장부(631,63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구동 모터(150)의 단자부(155)에 접속되는데, 이 때 접속은 용접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2단자 연결부(610, 620)의 하단부(612, 622)는 구동 모터(150)의 단자부(155)와 면접함으로써 접속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단자 연결부(610, 620)의 상단부(611, 621)는 몸체부(633)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된다.
몸체부(633)의 상면에는 돌기부(634)가 형성된다.
돌기부(634)는 회로기판(500)에 끼워지는 구조인데, 이에 의하여 단자 연결 모듈(600)이 회로 기판(500)에 결합될 수 있고, 제1,2단자 연결부(610, 620)의 상단부(611, 621)가 회로 기판(500)의 단자부(555)에 대한 전기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돌기부(634)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적절하다.
나중에 돌기부(634)는 회로 기판(500)에 융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10에서는 돌기부(634)가 제1,2단자 연결부(610, 620)의 상단부(611, 62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 위치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2단자 연결부(610, 620)의 상단부(611, 621)의 넓은 면은 구동모터(150)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제1,2단자 연결부(610, 620)의 하단부의 넓은 면은 구동 모터(150)의 폭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위와 같이 한 이유는 제1,2단자 연결부(610, 620)의 상단부(611, 621)와 중간 영역(613, 623)의 두께가 몸체부(633)의 두께보다 얇게 하여 제1,2단자 연결부(610, 620)의 중간 영역(613, 623)에 몸체부(633)에 둘러싸이게 하면서도 제1,2단자 연결부(610, 620)의 상단부(611, 621)와 회로 기판(500)의 단자부(555)와의 접속 면적이 넓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구동 모터(150)의 단자(155)의 넓은 면이 구동 모터(150)의 폭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제1,2단자 연결부(610, 620)의 하단부(612, 622)의 넓은 면의 접속이 최대한 잘 이루어지도록 제1,2단자 연결부(610, 620)의 넓은 면이 구동 모터(150)의 폭방향을 바라보게 하였다.
구동 모터(150)의 단자(155)와 제1,2단자 연결부(610, 620)가 면접촉함으로써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11와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500)의 테두리 하면과 단자 연결 모듈(600)의 상면이 대향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회로 기판(500)의 홀 형태의 단자에 제1,2단자 연결부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접속된다.
회로 기판의 단자 옆에는 단자 연결 모듈의 몸체부에 형성되는 돌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다만, 돌기부와 결합공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
종래 연속 가변 밸브 액츄에이터의 경우, ECU에서 직접적으로 명령을 받아 제어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구동 모터의 단자는 모터 커버에 형성되는 단자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점 접촉 또는 선접촉을 하는 핀포크(pin fork) 타입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액츄에이터의 경우, 회로 기판에 자체적인 제어 동작(일명 스마트(smart) 제어 동작)을 위해서 마이콤을 두었고, 마이콤에 의한 제어 명령에 따른 전원 공급을 위하여 구동 모터의 단자가 회로 기판과 연결되어야 한다.
그런데, 회로 기판의 단자와 구동 모터의 단자간의 거리가 현격하게 멀고, 이 간격을 전도체로만 형성되는 단자 연결부로만 연결하기에는 위험성이 크다.
따라서, 단자 연결부의 안정적인 위치 및 형상 유지를 위해서 단자 연결부와 결합부를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서 위치 안정성 및 전기 접속 안정성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일 특징이다.
구동 모터(150)로 공급되는 전류는 50A 정도인데, 이 경우, 전류가 너무 세서 종래 기술과 같이 접접촉 또는 선접촉이 된 상태에서 진동이 발생하면 스파크가 발생하거나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접촉불량이 되는 경우 제대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고, 스파크가 발생하는 경우, 주위 사출 구성물(예, 모터 커버)들을 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점접촉 또는 선접촉의 경우, 저항이 커져서 온도가 올라가고 이로 인하여 주위 사출 구성물(예, 모터 커버)에 열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도13은 다른 형태의 전원 연결구조를 도시하였다.
도13에서는 단자 연결 모듈이 회로기판(500)와 연결되는 전원선(701, 702)와, 각 전원선(701, 702)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탭(711, 712)로 구성된다.
연결탭(711, 712)는 구동 모터(150)의 단자(155)에 각각 삽입되는데, 단자(155)는 플러그 형태로 마련되어 연결탭(711, 712)에 끼워져서 면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면접촉의 당위성과 장점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중복 설명 방지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하겠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100: 하우징
150: 구동 모터 160: 체결부재
200: 하우징 커버 300: 기어 모듈
309: 커플러 310: 웜 샤프트 311: 고정링 320: 웜휠 기어
330: 선 기어 340: 유성기어
350: 링 기어 400: 출력축 모듈
410: 출력축부 420: 연장축부
430: 캐리어 600: 단자 연결 모듈
610: 제1단자 연결부 620: 제2단자 연결부
630: 결합부 631: 제1연장부
632: 제2연장부 633: 몸체부

Claims (15)

  1. 모터 수용 공간 및 기어 모듈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모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구동모터의 단자와 회로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단자 연결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단자 연결 모듈은 회로기판의 단자부와 구동모터의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 연결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단자부는 면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단자 연결 모듈은;
    상기 단자 연결부를 둘러싸도록 단자 연결부와 결합되어 단자 연결부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연결부는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를 따라 배치되는 제1단자 연결부와, 상기 제1단자 연결부와 분리되게 마련되고 제2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를 따라 배치되는 제2단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단자 연결부는 각각 PCB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단부와, 구동모터의 단자와 연결되는 타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일단부는 몸체부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타단부는 제1,2연장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단자 연결부의 일단부의 넓은 면은 구동 모터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2단자 연결부의 타단부의 넓은 면은 구동 모터의 폭 방향으로 향하여 구동 모터의 단자에 대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회로 기판의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부와 상기 결합부는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는 구동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과, 출력축 모듈에 설치되는 마그넷의 자성 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모듈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기어 모듈은;
    구동 모터에 연결되는 웜 샤프트와; 상기 웜 샤프트와 치합되는 웜 휠 기어와; 상기 웜휠기어에 결합되며 웜휠기어와 같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선 기어와;
    선기어를 둘러싸는 복수의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되며 기어 모듈 수용 공간 내벽에 고정되는 링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유성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공전 방향을 따라서 회전하는 출력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 모듈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출력축부와, 출력축부와 반대편에 형성되며 선기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연장축부와,
    출력축부와 연장축부 사이에 마련되고 유성기어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이 배치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상면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과 상기 유성기어 사이에 마련되는 유성 기어 지지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축부와 상기 선기어 사이에 마련되는 선기어 지지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단자는 플러그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단자 연결부는 플러그 형태로 마련되는 구동모터의 단자가 삽입되는 탭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단자 연결 모듈은 상기 회로 기판과 단자 연결부를 연결하는 전원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KR1020160034022A 2016-03-22 2016-03-22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KR101720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022A KR101720785B1 (ko) 2016-03-22 2016-03-22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022A KR101720785B1 (ko) 2016-03-22 2016-03-22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785B1 true KR101720785B1 (ko) 2017-04-10

Family

ID=5858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022A KR101720785B1 (ko) 2016-03-22 2016-03-22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7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060A (ko) * 2020-12-22 2022-06-29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냉각수 제어밸브의 액츄에이터
KR20220117494A (ko) * 2021-02-17 2022-08-24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냉각수 제어밸브의 액츄에이터
US11906073B2 (en) 2022-06-21 2024-02-20 Inzicontrols Co., Ltd. Actuator for vehicle coolant control val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825A (ko) * 2000-08-23 2002-03-02 이계안 유성기어를 이용한 차량용 가변밸브타이밍장치
US20030145816A1 (en) * 2002-02-07 2003-08-07 Kai Lehmann Device for controlling the relative rotary position between a crankshaft and a camshaft
US6725964B2 (en) * 1998-06-16 2004-04-27 Trw Lucasvarity Electric Steering Ltd. Relating to electrical power assisted steering
JP2011091997A (ja) * 2009-10-21 2011-05-06 Johnson Electric Sa モータ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5964B2 (en) * 1998-06-16 2004-04-27 Trw Lucasvarity Electric Steering Ltd. Relating to electrical power assisted steering
KR20020015825A (ko) * 2000-08-23 2002-03-02 이계안 유성기어를 이용한 차량용 가변밸브타이밍장치
US20030145816A1 (en) * 2002-02-07 2003-08-07 Kai Lehmann Device for controlling the relative rotary position between a crankshaft and a camshaft
JP2011091997A (ja) * 2009-10-21 2011-05-06 Johnson Electric Sa モータ駆動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060A (ko) * 2020-12-22 2022-06-29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냉각수 제어밸브의 액츄에이터
KR102437290B1 (ko) 2020-12-22 2022-08-30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냉각수 제어밸브의 액츄에이터
KR20220117494A (ko) * 2021-02-17 2022-08-24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냉각수 제어밸브의 액츄에이터
KR102571337B1 (ko) 2021-02-17 2023-08-29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냉각수 제어밸브의 액츄에이터
US11906073B2 (en) 2022-06-21 2024-02-20 Inzicontrols Co., Ltd. Actuator for vehicle coolant control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085B1 (ko)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US10370875B2 (en) Electrical vehicle latch having a fluid tight electrical housing
KR101720785B1 (ko)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EP2477005B1 (en) Motor-driven airflow control device
JP4695929B2 (ja) 非接触式の回転角度検出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JP5774192B2 (ja) モジュール式の電気的なコネクタ接続装置
US20180062479A1 (en) Modular Vehicle Engine Component Actuator
US7594452B2 (en)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for power transmission device
JP2004521281A (ja) メカトロニクスセンサーの組立て方法
JP2002012097A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JP4093173B2 (ja) 内燃機関用スロットル制御装置
KR101720768B1 (ko)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JP2009523301A (ja) センサ又はアクチエータのための接続アダプタ
US8616522B2 (en) Idle air control valve
US20210028564A1 (en) Bridge Element for Establishing an Electrical Connection, and Arrangement
JP2012059555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及び、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を備えたコネクタユニット
JP5450511B2 (ja) インダクタンス式回転角度検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モータ駆動式の絞り弁制御装置
US20160061066A1 (en) Valve timing control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2424460B (zh) 电控节气门装置
TWI613362B (zh) 用於引擎起動器的安裝構件
US20220271612A1 (en) Electric motor
JP3470532B2 (ja) ニュートラルスタートスイッチ一体型電子制御ユニット
US20030084862A1 (en) Magnet actuator for a camshaft controller
KR101842595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커버 어셈블리
JP2000265861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