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753B1 -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753B1
KR101720753B1 KR1020160165163A KR20160165163A KR101720753B1 KR 101720753 B1 KR101720753 B1 KR 101720753B1 KR 1020160165163 A KR1020160165163 A KR 1020160165163A KR 20160165163 A KR20160165163 A KR 20160165163A KR 101720753 B1 KR101720753 B1 KR 101720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data
display device
display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612A (ko
Inventor
황세일
김보현
전동호
박철오
황주안
이유준
김성미
정선영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5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7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 장치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질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제공하는 광고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 이전에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고, 상기 질의 데이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광고 데이터의 표시를 계속 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서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ADVERTISEMENT PROVIDING SERVE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PROVID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에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선택지를 제공하여 정확한 답을 선택한 사용자에게는 광고를 스킵(skip)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이동통신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 기술은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바꾸어 놓고 있다. 거의 모든 가정, 학교 및 사무실에 인터넷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어 웹 사이트를 이용한 정보 습득, 전자 상거래를 이용한 상품 구매, 이메일을 통한 소식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사람들이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 통화 위주의 이동통신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에도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한편,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광고가 제공되고 있다. 즉, 광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광고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광고 음향을 재생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의 광고가 제공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KR 10-2002-0020530 A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 장치에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선택지를 제공하여 정확한 답을 선택한 사용자에게는 광고를 스킵(skip)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를 기 시청한 사용자가 빠르게 원하는 컨텐츠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주 입장에서는 의도한 광고 메시지는 정확히 전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고주 만족도가 향상되는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 장치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질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제공하는 광고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 이전에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고, 상기 질의 데이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광고 데이터의 표시를 계속 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서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광고 제공 서버로부터,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질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광고 디스플레이부; 상기 질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질의문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상에서의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하는 답변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질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광고 및/또는 질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상에서의 상기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 장치에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광고 제공 서버가 표시 장치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제공 서버가 질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 이전에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고, 상기 질의 데이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광고 데이터의 표시를 계속 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표시 장치가, 상기 표시 장치상에서의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질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데이터를 광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광고 및/또는 상기 질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상에서의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에 의해, 광고를 기 시청한 사용자가 빠르게 원하는 컨텐츠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에 의해, 광고주 입장에서는 의도한 광고 메시지는 정확히 전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고주 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광고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도 4의 광고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 제공 서버(100) 및 표시 장치(300)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 개의 표시 장치(300)들과 광고 제공 서버(100)를 연결하는 통신망(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서버(100)는 표시 장치(300)에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선택지를 제공하여 정확한 답을 선택한 사용자에게는 광고를 스킵(skip)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 제공 서버로서, 본 발명의 광고 제공 서버(100)는 포털(porta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광고 제공 서버를 표시하였지만, 접속량 혹은 데이터 양에 따라 복수 개의 서버가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고 제공 서버(100)는 표시 장치(300)에 광고를 제공하는 외에도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및 기타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광고 제공 서버(100)는 광고 서비스 외에도 검색, 이메일, 뉴스, 쇼핑 정보 제공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광고 제공 서버(100)는 검색, 이메일, 뉴스, 쇼핑과 같은 포털(porta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연결되어, 포털(portal) 서비스에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표시 장치(300)로 포털(portal) 서비스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 내에 포함되는 광고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는, 광고 제공 서버(100)는 검색, 이메일, 뉴스, 쇼핑 등과 같은 포털(portal)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 장치(300)가 포털(portal) 서비스 제공 서버에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면, 광고 제공 서버(100)는 포털(portal) 서비스가 제공하는 컨텐츠(예를 들어, 웹 페이지 또는 동영상) 내에 포함되는 광고를 표시 장치(300)로 직접 또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를 거쳐서 표시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제공 서버(100)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다.
복수 개의 표시 장치(3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표시 장치(3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가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또는 광고를 표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400)은 복수 개의 표시 장치(300)들과 광고 제공 서버(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400)은 표시 장치(300)들이 광고 제공 서버(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도 2는 도 1의 광고 제공 서버(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의 광고 제공 서버(100)는 인터페이스부(110), 수신부(120), 광고 데이터 제공부(130) 및 데이터베이스(160)를 포함한다. 나아가, 광고 제공 서버(100)는 답변 데이터 판단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인터페이스부(110)는 통신망(400)과 연동하여 광고 제공 서버(100)와 표시 장치(3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수신부(12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표시 장치(300)로부터 컨텐츠(예를 들어, 웹 페이지 또는 동영상)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표시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제공 요청은, 예를 들어 포털 사이트의 메인 페이지 또는 어느 특정 페이지에 대한 제공 요청일 수도 있고, 검색 결과 리스트 페이지에 대한 제공 요청일 수도 있으며, 또는 광고 페이지 자체에 대한 제공 요청일 수도 있는 등, 광고가 삽입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컨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표시 장치(300)로부터 광고 제공 서버(100)의 수신부(120)로 직접 컨텐츠 제공 요청이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오히려, 표시 장치(300)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로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전송하고, 이와 같이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한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가 이와 연결된 광고 제공 서버(100)에게 광고 데이터에 대한 제공 요청을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것이다. 다만, 결과적으로 보았을 때, 표시 장치(300)로부터의 컨텐츠 제공 요청에 의해 광고 제공 서버(100)의 수신부(120)로 광고 데이터에 대한 제공 요청이 수신되는 바, 이하에서는 광고 제공 서버(100)의 수신부(120)가 직접 표시 장치(300)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 내지 광고 데이터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가 표시 장치(300)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광고 제공 서버(100)의 수신부(120)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광고 데이터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를 통합하여, 표시 장치(300)로부터 광고 제공 서버(100)로 컨텐츠 제공 요청이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광고 데이터 제공부(130)는 표시 장치(300) 상에서 표시될 광고 데이터를 표시 장치(3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때 광고 데이터에는 표시 장치(300)상에서의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질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종래의 광고 제공 서버에서는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등 다양한 형태의 광고가 표시 장치(300)로 제공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광고가 표시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안, 소정 시간(예를 들어, 5초)이 지나면 광고를 스킵할 수 있는 스킵 버튼이 디스플레이되어, 광고 시청을 중단하고 본 컨텐츠를 시청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광고를 스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였다. 예를 들어, 총 30초짜리 동영상 형태의 광고가 재생되는 동안, 최초에는 광고 스킵 버튼이 비활성화되어 있다가, 5초가 경과하면 광고 스킵 버튼이 활성화되어, 광고 시청을 중단하고 본 컨텐츠를 시청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광고 스킵 버튼을 누름으로써 광고를 스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미 여러 번 시청하였던 광고를 다시 시청할 경우, 그 내용이 무엇인지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소한 5초는 다시 광고를 시청하여야 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끼고, 오히려 광고에 대한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광고주의 입장에서도, 자신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홍보하고자 하는 목적만 달성하면 됨에도 불구하고, 자칫 잘못하면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끼게 되어, 광고 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서버(100)는 표시 장치(300)에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선택지를 제공하여 정확한 답을 선택한 사용자에게는 광고를 스킵(skip)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 및 광고주 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답변 데이터 판단부(140)는 표시 장치(300)로부터 질의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답변 데이터의 정답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답변 데이터의 정답 여부에 대한 판단은 표시 장치(300)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광고 제공 서버(100)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답변 데이터 판단부(14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베이스(160)는 광고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광고 데이터 및 이에 포함된 질의 데이터와, 그에 대한 정답을 저장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나아가, 데이터베이스(16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데이터베이스는 검색 또는 광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 소속, 인적 사항, 성별, 나이 등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 등 로그인에 대한 정보, 접속 국가, 접속 위치, 접속에 이용한 장치에 대한 정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등 접속과 관련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서버(100)는 메모리와, 입/출력부와, 프로그램 저장부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3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 장치(3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1), 메모리(303), 입/출력부(305), 제어부(309), 광고 디스플레이부(311), 질의문 디스플레이부(313) 및 답변 데이터 처리부(315) 등을 포함한다.
상세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1)는 통신망(400)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광고 데이터를 광고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송받는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메모리(303)는 제어부(309)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표시 장치(300)로 전송된 광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42입/출력부(305)는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 및 기타 입출력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와 송수신한다. 또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하며,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제어기는 파워 및 스피커, 마이크로폰과 같은 기타 주변 기기의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출력부(305)는 예를 들어 터치 인식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제어부(309)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표시 장치(300)에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309)는 프로그램 저장부(307)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광고 디스플레이부(311)를 제어하여 광고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며 표시 장치(300)의 입/출력부(305) 상에 광고를 디스플레이하고, 질의문 디스플레이부(313)를 제어하여 표시 장치(300)의 입/출력부(305) 상에 질의문을 디스플레이하고, 답변 데이터 처리부(315)를 제어하여 입력받은 답변 데이터에 기초하여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광고 디스플레이부(311)는 광고 제공 서버(100)로부터, 표시 장치상에서의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질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세히, 표시 장치(300)에서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된 컨텐츠 제공 요청에 대해, 광고 제공 서버(100)는 포털(portal) 서비스가 제공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 또는 웹 페이지) 내에 포함되는 광고를 표시 장치(300)로 직접 또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를 거쳐서 표시 장치(300)로 제공하고, 따라서 광고 디스플레이부(311)는 광고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광고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광고 디스플레이부(311)는 수신된 광고 데이터에 포함된 동영상 형태의 광고를 표시 장치(300)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광고 디스플레이부(311)가 광고 데이터의 수신 기능과 이에 대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수신부와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별도의 부재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질의문 디스플레이부(313)는 광고 디스플레이부(311)에 의해 표시 장치(300) 상에서 광고가 표시되는 동안, 그 광고 상에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질의문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질의문 디스플레이부(313)는 표시되고 있는 광고 상에 질의문이 오버레이(중첩) 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질의 데이터는 해당 광고와 연관된 문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의 데이터는 해당 광고가 홍보하는 상품명에 대한 질문일 수도 있고, 해당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주가 누구인지에 대한 질문일 수도 있으며, 캠페인 광고의 경우 해당 광고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광고가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다양한 질문들이 질의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질의 데이터에는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까지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질의 데이터는 질문만을 포함하고,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은 광고 제공 서버(100)가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답변 데이터 처리부(315)는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300)상에서의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답변 데이터 처리부(315)는 답변 데이터의 정답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일 예로, 답변 데이터 처리부(315)는 사용자로부터 문제에 대한 정답이 입력될 경우, 광고의 표시를 중단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본 컨텐츠(예를 들어, 웹 페이지 또는 동영상)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답변 데이터 처리부(315)는 사용자로부터 문제에 대한 오답이 입력될 경우, 광고가 계속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오답 입력시에는 광고가 계속 표시되다가 기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면, 광고 디스플레이부(311)가 표시 장치(300)상에 광고 스킵(skip) 버튼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 광고 스킵(skip) 버튼을 눌러야만 사용자가 원하는 본 컨텐츠(예를 들어, 웹 페이지 또는 동영상)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답변 데이터 처리부(315)는 스스로 답변 데이터의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광고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질의 데이터에, 해당 질의문뿐만 아니라 질의문에 대한 답변까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또는 답변 데이터 처리부(315)는 스스로 답변 데이터의 정답 여부를 판단하지 아니하고, 광고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답변 판단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하면, 표시 장치(300)는 이를 광고 제공 서버(100)로 전송하고, 광고 제공 서버(100)의 답변 데이터 판단부(140)가 입력된 답변이 정답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답변 판단 결과 데이터를 표시 장치(300)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거쳐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답변 데이터 처리부(315)는 광고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답변 판단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서버(100)에 의해 광고를 기 시청한 사용자가 빠르게 원하는 컨텐츠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광고주 입장에서는 의도한 광고 메시지는 정확히 전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고주 만족도 또한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f는 도 4의 광고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표시 장치(300)에서 광고 제공 서버(100)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110 단계), 광고 제공 서버(100)에서 표시 장치(300)로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질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120 단계), 표시 장치(300) 상에서 광고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130 단계), 표시 장치(300) 상에서 질의문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140 단계), 상기 질의문에 대한 사용자 답변이 입력되는 단계(S150 단계), 상기 입력된 답변이 정답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S160 단계), 질의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300)상에서의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답변이 오답일 경우 광고의 표시가 계속되는 단계(S170 단계), 상기 입력된 답변이 정답일 경우 광고의 표시가 중단되는 단계(S180 단계) 및 해당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190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표시 장치(300)에서 광고 제공 서버(100)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전송(S110 단계) 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광고 제공 서버(100)는 표시 장치(300)에 광고를 제공하는 외에도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및 기타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광고 제공 서버(100)는 포털(portal)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연결되어, 포털(portal) 서비스에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표시 장치(300)로 포털(portal) 서비스가 제공하는 컨텐츠 내에 포함되는 광고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제공 서버(100)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표시 장치(300)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한 광고 제공 서버(100)는 해당 표시 장치(300)로,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질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데이터를 전송(S120 단계)한다. 여기서, 질의 데이터에는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까지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질의 데이터는 질문만을 포함하고,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은 광고 제공 서버(100)가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광고 제공 서버(10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한 표시 장치(300)의 광고 디스플레이부(도 3의 311 참조)는 입/출력부(도 3의 305 참조) 상에 광고를 디스플레이(S130 단계)한다. 이때, 광고 디스플레이부(도 3의 311 참조)는 수신된 광고 데이터에 포함된 동영상 형태의 광고를 표시 장치(300)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질의문 디스플레이부(도 3의 313 참조)는 광고 디스플레이부(도 3 의 311 참조)에 의해 표시 장치(300) 상에서 광고가 표시되는 동안, 그 광고 상에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질의문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S140 단계)한다. 이때 질의문 디스플레이부(도 3의 313 참조)는 표시되고 있는 광고 상에 질의문이 오버레이(중첩) 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질의 데이터는 해당 광고가 홍보하는 주제와 연관된 문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의 데이터는 해당 광고가 홍보하는 상품명에 대한 질문일 수도 있고, 해당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주가 누구인지에 대한 질문일 수도 있으며, 캠페인 광고의 경우 해당 광고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광고가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다양한 질문들이 질의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a에는 표시 장치(300)상에 광고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동안, 표시 장치(300)의 질의문 디스플레이 영역(320)에 질의문 및 이에 대한 선택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즉, 자동차에 대한 광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질의문 디스플레이 영역(320)의 질의문 영역(326)에는 해당 광고가 무슨 광고인지에 대한 질의문(예를 들어, "무슨 광고일까요")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더불어 질의문 영역(326)의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된 선택지 영역(322, 323)에는, 해당 질의문에 대한 선택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즉, 제1 선택지 영역(322)에는 "연필"이라는 답변이 표시되어 있고, 제2 선택지 영역(323)에는 "자동차"라는 답변이 표시되어 있다.
나아가 질의문 디스플레이 영역(320)에는 타이머 영역(321)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타이머 영역(321)에는 해당 질의문이 디스플레이되는 잔여 시간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5a에는 질의문 표시 시간이 5초 남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질의문 표시 시간이 4초 남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소정의 답변 데이터를 입력(S150 단계)한다. 즉 사용자는 다수의 선택지 영역(322, 323) 중 하나를 터치하거나, 해당 선택지 영역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등의 방법으로 답변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또는 주관식 문항인 경우, 사용자가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직접 답변을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c에는 사용자가 제2 선택지 영역(323)을 터치하여 "자동차"라는 답변을 선택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는 도 5d에는 사용자가 제1 선택지 영역(322)을 터치하여 "연필"이라는 답변을 선택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입력된 답변이 정답인지 여부가 판단(S160 단계)된다. 즉, 답변 데이터 처리부(315)는 질의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데이터의 정답 여부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300)상에서의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입력된 답변이 정답일 경우 광고의 표시가 중단(S180 단계)되고,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컨텐츠(예를 들어, 웹 페이지 또는 동영상)가 디스플레이(S190 단계)된다. 즉, 도 5c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선택지 영역(323)의 "자동차"라는 답변이 정답이었을 경우, 광고의 표시는 중단되고,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해당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한편, 입력된 답변이 오답일 경우, 광고는 계속해서 표시(S170 단계)된다. 즉, 도 5d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선택지 영역(322)의 "연필"이라는 답변이 오답이었을 경우, 광고는 계속해서 표시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다시 답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300)의 질의문 디스플레이 영역(320)에 질의문 및 이에 대한 선택지가 다시 디스플레이(S130 단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가 계속해서 표시되는 동안, 표시 장치(300) 상에는 재생중인 광고의 재생 상태를 나타내는 광고 재생상태 표시부(324)가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재생상태 표시부(324)는 소정의 진행 막대(progress bar) 형태로 표시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진행 막대(progress bar)가 점점 채워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광고 재생상태 표시부(324)의 일 측에는 스킵 버튼(325)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스킵 버튼(325)을 선택하면, 광고의 재생은 중단되고, 그제서야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해당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서버(100)에 의해 광고를 기 시청한 사용자가 빠르게 원하는 컨텐츠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광고주 입장에서는 의도한 광고 메시지는 정확히 전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고주 만족도 또한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표시 장치(300)에서 광고 제공 서버(100)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210 단계), 광고 제공 서버(100)에서 표시 장치(300)로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질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220 단계), 표시 장치(300) 상에서 광고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230 단계), 표시 장치(300) 상에서 질의문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240 단계), 상기 질의문에 대한 사용자 답변이 입력되는 단계(S250 단계), 상기 입력된 사용자 답변이 표시 장치(300)로부터 광고 제공 서버(100)로 전송되는 단계(S260 단계), 광고 제공 서버(100)에서 상기 입력된 답변이 정답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S270 단계), 광고 제공 서버(100)에서 표시 장치(300)로 답변 판단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280 단계), 수신한 답변 판단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300)상에서의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S290 단계)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답변이 오답일 경우 광고의 표시가 계속되는 단계(S230 단계), 상기 입력된 답변이 정답일 경우 광고의 표시가 중단되는 단계(S310 단계) 및 해당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320 단계)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광고 제공 방법에 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답변에 대한 정답/오답 판단이 광고 제공 서버(100)에서 수행된다는 점이 특징적으로 달라진다.
즉, 질의문에 대한 사용자 답변이 입력(S250 단계)되면, 입력된 사용자 답변이 표시 장치(300)로부터 광고 제공 서버(100)로 전송(S260 단계)된다. 그러면, 광고 제공 서버(100)의 답변 데이터 판단부(140)는 표시 장치(300)로부터 질의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답변 데이터의 정답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판단된 결과인 답변 판단 결과 데이터가 광고 제공 서버(100)에서 표시 장치(300)로 전송되면, 답변 데이터 처리부(315)는 광고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답변 판단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광고 제공 서버(100)에서 표시 장치(300)로 전송된 질의 데이터에는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질의문 데이터와 답변 데이터가 분산되어 전송됨으로써, 최초 광고 로딩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답변 판단 결과 데이터가 광고 제공 서버(100)에서 표시 장치(300)로 전송되면, 답변 데이터 처리부(315)가 광고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답변 판단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광고 제공 서버(100)의 답변 데이터 판단부(140)가 표시 장치(300)로부터 질의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답변 데이터의 정답 여부를 판단한 후, 그 결과에 따라 표시 장치(300)로 광고 종료 신호 또는 광고 계속 신호를 보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서버(100)에 의해 광고를 기 시청한 사용자가 빠르게 원하는 컨텐츠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광고주 입장에서는 의도한 광고 메시지는 정확히 전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고주 만족도 또한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광고 제공 서버
110: 인터페이스부
120: 수신부
130: 광고 데이터 제공부
140: 답변 데이터 판단부
160: 데이터베이스
300: 표시 장치
311: 광고 디스플레이부
313: 질의문 디스플레이부
315: 답변 데이터 처리부

Claims (10)

  1. 표시 장치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질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제공하는 광고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 이전에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고,
    상기 질의 데이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광고 데이터의 표시를 계속 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컨텐츠의 표시 이전에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광고 데이터 상에는, 광고의 표시를 중단하기 위한 스킵 버튼이 기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표시되되,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정답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상에서의 상기 광고의 표시가 중단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오답인 경우, 상기 기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표시 장치상에 상기 스킵 버튼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데이터는,
    상기 광고가 홍보하는 주제와 연관된 문항을 포함하는 광고 제공 서버.
  3.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답변 데이터의 정답 여부를 판단하는 답변 데이터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광고 제공 서버.
  4.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부;
    광고 제공 서버로부터,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질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광고 디스플레이부;
    상기 질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질의문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상에서의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하는 답변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컨텐츠의 표시 이전에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광고 데이터 상에는, 광고의 표시를 중단하기 위한 스킵 버튼이 기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표시되되,
    상기 사용자 답변 데이터가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정답인 경우, 상기 답변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표시 장치상에서의 상기 광고의 표시가 중단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답변 데이터가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오답인 경우, 상기 기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표시 장치상에 상기 스킵 버튼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광고 제공 서버가 표시 장치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제공 서버가 질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 이전에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고,
    상기 질의 데이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광고 데이터의 표시를 계속 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컨텐츠의 표시 이전에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광고 데이터 상에는, 광고의 표시를 중단하기 위한 스킵 버튼이 기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표시되되,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정답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상에서의 상기 광고의 표시가 중단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오답인 경우, 상기 기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표시 장치상에 상기 스킵 버튼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데이터는,
    상기 광고가 홍보하는 주제와 연관된 문항을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
  7. 제 5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제공 서버가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답변 데이터의 정답 여부에 대한 답변 판단 결과 데이터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
  8. 표시 장치가, 상기 표시 장치상에서의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질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데이터를 광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광고 및/또는 상기 질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장치상에서의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컨텐츠의 표시 이전에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광고 데이터 상에는, 광고의 표시를 중단하기 위한 스킵 버튼이 기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표시되되,
    상기 사용자 답변 데이터가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정답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상에서의 상기 광고의 표시가 중단되고,
    상기 사용자 답변 데이터가 상기 질의 데이터에 대한 오답인 경우, 상기 기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표시 장치상에 상기 스킵 버튼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광고 제공 서버로 상기 답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광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답변 판단 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의 표시 계속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데이터는,
    상기 광고가 홍보하는 주제와 연관된 문항을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
KR1020160165163A 2016-12-06 2016-12-06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 KR101720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163A KR101720753B1 (ko) 2016-12-06 2016-12-06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163A KR101720753B1 (ko) 2016-12-06 2016-12-06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584A Division KR20150140502A (ko) 2014-06-05 2014-06-05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612A KR20160146612A (ko) 2016-12-21
KR101720753B1 true KR101720753B1 (ko) 2017-03-29

Family

ID=5773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163A KR101720753B1 (ko) 2016-12-06 2016-12-06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7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093B1 (ko) 2006-11-08 2009-02-19 (주)아루온게임즈 게임의 진행 도중 별도의 동영상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는광고서비스제공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530A (ko) 2000-09-09 2002-03-15 이영완 네트워크상에서 다기능 단말기를 통한 정보제공방법 및시스템
US20030031455A1 (en) * 2001-08-10 2003-02-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tomatic commercial skipping service
KR101652000B1 (ko) * 2008-12-24 2016-08-30 주식회사 이치온라인 사용자 입력 정보에 연동하여 다른 재생 위치의 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동영상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동영상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제작 방법
KR20130095060A (ko) * 2012-02-17 2013-08-27 이정현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093B1 (ko) 2006-11-08 2009-02-19 (주)아루온게임즈 게임의 진행 도중 별도의 동영상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는광고서비스제공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612A (ko)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27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through presence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590837B2 (en) Interaction of user devices and servers in an environment
US20150378587A1 (en) Various Systems and Methods for Expressing An opinion
CN113965807B (zh) 消息推送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US20170311021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item
CN104216990A (zh) 视频广告播放方法及系统
CN111435998A (zh)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9420440B2 (en) Calling methods and devices
KR101310274B1 (ko)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CN112312225A (zh) 信息展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WO2017140226A1 (zh) 视频处理方法及其设备
KR101720753B1 (ko)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
US11526269B2 (en) Video play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10233034A (ja) 関連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ユーザデバイス管理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140502A (ko) 광고 제공 서버, 표시 장치 및 광고 제공 방법
KR101726107B1 (ko) 전화 인터랙션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JP2007195119A (ja) 携帯型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101437004B1 (ko) 퀴즈 제공 시스템 및 퀴즈 제공 방법
TW201719527A (zh) 廣告推播系統及廣告推播方法
KR100716711B1 (ko)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WO2015195172A1 (en) Method, system and application for providing second screen advertisments and reward opportunities to a user device
US20230095894A1 (en) Method, devic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video
CN111930276B (zh) 页面交互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230297218A1 (en) Terminal and method
TWI511538B (zh) 整合數位電視服務及社群網路的方法及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