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629B1 -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이 도포된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이 도포된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629B1
KR101720629B1 KR1020160081416A KR20160081416A KR101720629B1 KR 101720629 B1 KR101720629 B1 KR 101720629B1 KR 1020160081416 A KR1020160081416 A KR 1020160081416A KR 20160081416 A KR20160081416 A KR 20160081416A KR 101720629 B1 KR101720629 B1 KR 101720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eolite
fabric
coating composition
environmentally friendly
bl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지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지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지샵
Priority to KR102016008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8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09D7/12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이 도포된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올라이트의 기공 내 에탄올이 함침된 제올라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바인더와 혼합 시 제올라이트 기공내 바인더 성분의 침투를 막을 수 있고, 제올라이트의 기공을 유지할 수 있어 제올라이트의 탈취, 항균, 흡습, 흡착, 원적외선 발생 등의 기능을 제대로 발현할 수 있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이 도포된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이 도포된 블라인드{Environment-friendly UV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zeolite and blind coat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의 기공 내 에탄올이 함침된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이 도포된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에는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 가시광선보다 짧은 파장을 가진 자외선, 가시광선보다 긴 파장을 가진 적외선, 자외선보다 파장이 더 짧은 전자기파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태양광은 전도, 대류, 복사의 형태로 전달되는 열과 함께 건물의 창문을 통하여 실내로 투입되며, 건물에는 창을 통하여 들어오는 빛과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버티칼이나 블라인드와 같은 차양막장치, 커튼 등의 다양한 차광재가 설치되고 있다.
최근에는 버티칼이나 블라인드와 같은 차양막 장치가 커튼과는 달리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아 깔끔한 인테리어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사무실 등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블라인드는 창문으로 투과되는 햇빛을 차단하고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창문의 실내측에서 차양부재를 상하로 왕복이동되도록 구성하거나,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하여 창문을 통하여 투과되는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종류로는 통상의 블라인드, 버티컬 블라인드, 롤 블라인드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열이 벽체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거나 창문 등을 통하여 태양의 빛과 함께 열이 실내로 유입되어 낮 시간에 실내의 온도 상승의 한 요인이 되며, 창문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의 빛을 차단하는 것만으로도 실내의 온도 상승을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라인드가 창틀이나 천정 등에 설치되어, 창문을 통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빛을 용이하게 반사할 수 있고, 창틀에 설치된 블라인드의 직물지를 통하여 유입되는 열이 효율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양부재로서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따뜻하고, 편안하며 세련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직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천이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차양부재로서 천을 사용할 경우 디자인의 표현성, 실내분위기 연출성 등의 미적 기능은 우수하나, 미적 기능 이외의 탈취, 항균, 흡습 등의 기능은 전무하였다.
이에 블라인드의 일면에 무기계 항균제를 수지와 같이 코팅 처리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 경우 수지 성분이 항균제에 침투되어 항균제가 가지는 기능을 제대로 발현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제오라이트(Zeolite)란 장석류 광물의 일종으로서, 나노크기의 세공이 무수히 존재하며, 그 세공속에는 보통 물분자들이 가득 채워져 있고 일정한 열이 가해지면 내포된 물분자가 증발하여 수증기를 발산한다. 이러한 사실에 기인하여 끓는(zeo) 돌(lite)이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제오라이트는 흡착력과 화학적 양이온 치환작용이 뛰어나 수분 외의 다른 물질, 예를 들면 가스 등을 20배까지 흡수, 흡착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서서히 배출하는 특이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지금까지 다양한 용도로 개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오라이트는 토양개량제, 비료혼합제, 상토혼합제 등의 농업분야, 해양오염방지제, 적조현상 방지제 및 잉어사료용 등의 수산업분야 및 제지충전제, 폐수처리제 및 건조제 등의 공업분야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116871호
본 발명은 기공 내 에탄올이 함침된 제올라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바인더와 혼합 시 제올라이트 기공내 바인더 성분의 침투를 막을 수 있고, 제올라이트의 기공을 유지할 수 있어 탈취, 항균, 흡습, 흡착, 원적외선 발생 등 제올라이트의 기능을 제대로 발현할 수 있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취, 항균, 흡습, 흡착, 원적외선 발생 등의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아크릴계 올리고머, 우레탄계 올리고머 및 반응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바인더; 및
광개시제;
를 포함하는 UV 경화 조성물; 및
b) 에탄올 함침 제올라이트;
를 포함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라인드용 원단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을 UV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블라인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올라이트가 코팅되어 탈취, 항균, 흡습, 흡착, 원적외선 발생 등의 기능을 가지는 친환경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은 기공 내 에탄올이 함침된 제올라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바인더와 혼합 시 제올라이트 기공내 바인더 성분의 침투를 막을 수 있고, 제올라이트의 기공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탈취, 항균, 흡습, 흡착, 원적외선 발생 등 제올라이트의 기능을 제대로 발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블라인드용 원단에 코팅되어 들어오는 열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동시에 탈취, 항균, 흡습, 흡착, 원적외선 발생 등의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친환경 블라인드용 직물 원단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친환경 블라인드용 직물 원단의 폐렴균에 대한 항균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제올라이트를 사용한 UV 코팅 조성물의 경우 제올라이트와 바인더 성분의 혼합 시 바인더 성분이 제올라이트의 기공에 침투하여 제올라이트의 기능이 거의 소실되며, 따라서 제올라이트 본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올라이트와 바인더 성분의 혼합에 앞서 제올라이트 기공 내 에탄올을 함침시킴으로써 기공 내 바인더의 침투를 막고, 코팅 후 건조과정을 통해 기공 내 에탄올이 쉽게 휘발되어 제올라이트의 기공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제올라이트 본연의 기능을 그대로 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UV 경화 조성물과 에탄올 함침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탈취, 항균, 흡습, 흡착, 원적외선 발생 등의 기능 발현을 위해 통상 사용되는 제올라이트라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어 자연에서 채광된 후 300~400℃의 온도에서 고온 건조하여 650~750메쉬(mesh)로 분쇄된 천연 제올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탄올 함침 제올라이트는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먼저, 에탄올에 제올라이트를 1:1의 중량비로 첨가한 후 20~40분간, 바람직하게는 30분간 교반한다. 상기 교반 후 제올라이트 내 에탄올이 충분히 침투될 수 있도록 10~15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동안 상온 숙성시킨다. 이때, 상기 숙성과정을 생략할 경우에는 에탄올의 점성이 낮아 제올라이트 내 에탄올의 침투 및 제올라이트 기공 유지를 통한 기능 발현의 효과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이렇게 숙성을 통해 기공 내 에탄올이 함침된 제올라이트를 얻을 수 있다.
제올라이트의 기공 내 에탄올이 함침되어 있는 상기 에탄올 함침 제올라이트는 이후 UV 코팅 조성물과 혼합 시 바인더 성분이나 그 외 코팅 조성물의 성분이 제올라이트 기공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코팅 조성물의 코팅 후 건조 시 에탄올만 휘발됨으로써 제올라이트가 가지는 기공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올라이트가 가지는 본연의 탈취, 항균, 흡습, 흡착 및 원적외선 발생의 기능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V 경화 조성물은 아크릴계 올리고머, 우레탄계 올리고머 및 반응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바인더와,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함량은 UV 경화 조성물에 10~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경화성이 저하되고, 2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작업성, 경화성 및 이형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함량은 UV 경화 조성물에 20~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조성물의 부착성 및 내약품성이 감소될 수 있으며,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작업성, 경화성 및 이형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 및 우레탄계 올리고머는 일반적으로 점도가 높아 사용상에 어려움이 있어 점도를 낮추기 위해 반응성 모노머들과 함께 사용한다. 용제를 사용하여 점도를 조절하는 경우도 있으나, 환경상의 문제고 있고 물성 구현에도 한계가 있어, 본 발명에서는 반응성 모노머를 사용하여 고형분이 100%인 UV 경화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반응성 모노머로는 반응기 개수에 따라 단관능, 이관능, 삼관능 및 다관능 모노머로 구분되는데 단관능모노머의 경우 2-EHA(ethtlhexyl acrylate), ODA(Octyl decyl acrylate), HEMA(Hydroxyethyl metaacrylate) 등이 있으며, 이관능 모노머로는 BDDA(Butanediol), NPGDA(Neopentyl Glycol Diacrylate), EGDMA(Ethylene Glycol Dimethylacrylate) 등이 있으며, 삼관능 모노머로는 TMPTA(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MA(Trimethacrylate), PETA(Pentaerythritol triacrlate) 등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TMPTA 및 HEMA를 병용하는 것이 점도 좋다.
상기 반응성 모노머는 UV 경화 조성물에 10~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점도 조절의 효과가 미미하며,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져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로는 Irgacure 184, 500, 2959, 819 DW(Ciba geigy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UV 경화 조성물에 4~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UV 경화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소포제, 노화방지제, 소광제, 레벨링제, 분산제 등의 첨가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소포제로는 Byk-018, 024, 028, 093, 1710(BYK)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노화방지제로는 BHT, 왁스, 놀계 노화방지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소광제로는 HK-400, OK-412, OK-607, TS-100(EVONIK)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레벨링제로는 Byk-307, 320, 331, 342, 377, 3500, 358N, 3441(BYK)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분산제로는 Byk-154, 180, 187, 190, 194(BYK)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UV 경화 조성물과 메라민 폴리포스페이트는 1:0.1~0.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0.2~0.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비가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제올라이트의 기능 발현이 미미할 수 있으며, 형성된 코팅층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친환경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직물 원단'은 통상의 직물 또는 원단이라 일컫는 모든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천, 부직포, 롤스크린, 블라인드, 벽지, 초배지, 마스크, 신발 부직포, 우드블라인드, 포장재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직물 원단의 일면에 전술한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을 도포한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직물 원단의 일면에 도포될 수도 있으며, 일면과 이면에 모두 도포될 수도 있다.
이때, 코팅 조성물은 0.05~0.20㎜의 두께가 되도록 3~5회 도포한다. 상기 코팅층이 3개층 미만일 경우에는 제올라이트의 효능 발현이 미미할 수 있으며, 5개층을 초과할 경우에는 코팅층이 너무 두터워져 코팅층이 깨지거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이 도포된 직물 원단은 이후 UV를 3초간 조사하여 UV 건조시킨다. 상기 UV 조사량은 600~1,000mJ/㎠로 조사하는 것이 좋으며, UV 조사량이 600mJ/㎠ 미만일 경우에는 경화가 잘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1,000mJ/㎠를 초과할 경우에는 코팅층이 단단해질 수 있다.
상기 건조 시에는 직물 원단에 도포된 친환경 UV 코팅층이 경화됨과 동시에, 코팅층에 함유된 제올라이트의 기공으로부터 에탄올이 휘발되어 원래 제올라이트가 가지는 기공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공을 유지하고 있는 제올라이트로 인해 친환경 UV 코팅층이 도포된 직물 원단에는 제올라이드가 가지는 탈취, 항균, 흡습, 흡착, 원적외선 발생능이 부여되어 제올라이트의 기능을 최대로 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이 도포된 친환경 직물 원단을 제공하는 바, 상기 코팅 조성물이 도포된 친환경 직물 원단은 기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하여 탈취, 항균, 흡습, 흡착 및 원적외선 발생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친환경 직물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친환경 직물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블라인드는 기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도포되어 제올라이트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탈취, 항균, 흡습, 흡착, 원적외선 발생 등의 특성이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친환경 코팅 조성물 제조-1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수지 15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20중량%, 반응성 모노머로 TMPTA 25중량% 및 HEMA 15중량%, 광개시제로 CIBA 184 5중량% 및 잔량의 첨가제를 1시간 동안 상온에서 혼합하여 점도가 500mPa.s(25℃)인 코팅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자연에서 채광한 제올라이트를 300℃의 온도에서 고온 건조하여 700메쉬로 분쇄하였다. 에탄올에 상기 제올라이트를 1:1중량비로 첨가한 후 30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 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올라이트 내 에탄올이 충분히 침투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조한 코팅 조성물에 에탄올이 함침된 제올라이트를 8: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친환경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친환경 코팅 조성물 제조-2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수지 10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30중량%, 반응성 모노머로 TMPTA 20중량% 및 HEMA 20중량%, 광개시제로 CIBA 184 5중량% 및 잔량의 첨가제를 1시간 동안 상온에서 혼합하여 점도가 500mPa.s(25℃)인 코팅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친환경 코팅 조성물 제조-3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수지 20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20중량%, 반응성 모노머로 TMPTA 30중량% 및 HEMA 10중량%, 광개시제로 CIBA 184 5중량% 및 잔량의 첨가제를 1시간 동안 상온에서 혼합하여 점도가 500mPa.s(25℃)인 코팅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친환경 직물 원단 제조-1
부직포의 일면에 코팅층의 두께가 0.1㎜가 되도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코팅 조성물을 3~5회 도포하였다. 상기 코팅층이 형성된 부직포를 800mJ/㎠의 UV를 3초간 조사하여 UV 건조시킴으로써 코팅층이 도포된 친환경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친환경 직물 원단 제조-2
상기 실시예 4에서 폴리에스터 100%의 벽지용 직물 원단을 사용하고, 실시예 2의 코팅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코팅층이 도포된 친환경 벽지용 직물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친환경 직물 원단 제조-3
상기 실시예 4에서 폴리에스터 100%의 블라인드용 직물 원단을 사용하고, 실시예 3의 코팅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코팅층이 도포된 친환경 블라인드용 직물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친환경 직물 원단 제조-4
상기 실시예 6에서 실시예 3의 코팅 조성물을 블라인드의 일면(상면)과 이면(하면)에 각각 0.8㎜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코팅층이 도포된 친환경 직물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소취성 시험-1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친환경 블라인드용 직물 원단의 소취성은 일본 섬유평가기술협의회 시험법(JTETC)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5L의 테트라백에 10ㅧ10㎝ 크기로 절단된 친환경 부직포 시료를 넣고, 초기농도로 조정한 가스 3L를 주입한 다음 2시간 후 가스농도를 검지관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검지관은 암모니아 3La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62828074-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이 도포된 실시예 6의 친환경 블라인드용 직물 원단은 2시간 후 암모니아 농도가 5.9㎎/㎏으로 94.1%의 감소율을 보여 소취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균성 측정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친환경 블라인드용 직물 원단의 항균성은 KS K 0693:2011법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사용한 균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과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이었으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트윈 80(0.05%)을 사용하였다.
정균감소값(S)과 정균감소율(%)은 하기 수학식 1 및 2에 따라 각각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1 내지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정균감소값(S) = log Mb - log Mc(무가공 시료에 대한 가공시료의 생균수 차)
[수학식 2]
정균감소율(%) = (Mb - Mc) × 100/Mb
상기 수학식 1 또는 2에서 Ma는 대조편의 접종직후 생균수, Mb는 대조편에서 18시간 배양 후 생균수, Mc는 친환경 블라인드용 직물 원단 시료에서 18시간 배양후 생균수를 의미한다.
구분 황색포도상구균(ATCC 6538) 폐렴균(ATCC 4352)
Ma 1.2×105 1.0×105
Mb 6.8×106 2.7×107
Mc <20 <20
정균감소값 5.5 6.1
정균감소율(%) 99.9 99.9
상기 표 2 및 도 1 내지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이 도포된 실시예 6의 친환경 블라인드용 직물 원단은 황색포도상구균과 폐렴균에서 모두 정균감소율이 99.9%로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1)

  1. a) 아크릴계 올리고머, 우레탄계 올리고머 및 반응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바인더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UV 경화 조성물; 및
    b) 에탄올에 제올라이트를 1:1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20~40분간 교반한 후, 10~15시간 동안 상온 숙성시켜 기공 내 에탄올이 함침된 제올라이트;
    를 포함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및 제올라이트는 1:0.1~0.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 경화 조성물은 아크릴계 올리고머 10~20중량부, 우레탄계 올리고머 20~30중량부, 반응성 모노머 20~50중량부 및 광개시제 4~1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수지이며,
    상기 우레탄계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이며,
    상기 반응성 모노머는 2-EHA(ethylhexyl acrylate), ODA(Octyl decyl acrylate), HEMA(Hydroxyethyl methacrylate), BDDA(Butanediol), NPGDA(Neopentyl Glycol Diacrylate), EGDMA (Ethylene Glycol Dimethylacrylate), TMPTA(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MA(Trimethacrylate) 및 PETA(Pentaerythritol triacrlate)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6. 직물 원단의 일면에 제1항 기재의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 조성물이 도포된 직물 원단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친환경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을 0.05~0.20㎜의 두께가 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원단은 천, 부직포, 롤스크린, 블라인드, 벽지, 초배지, 마스크, 자동차용 필터, 신발 부직포, 우드블라인드 및 포장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600~1,000mJ/㎠의 양의 UV를 조사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직물 원단의 제조방법.
  10.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이 도포되어 탈취, 항균, 흡습, 흡착 및 원적외선 발생능을 가지는 친환경 직물 원단.
  11. 제10항 기재의 친환경 직물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블라인드.
KR1020160081416A 2016-06-29 2016-06-29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이 도포된 블라인드 KR10172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416A KR101720629B1 (ko) 2016-06-29 2016-06-29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이 도포된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416A KR101720629B1 (ko) 2016-06-29 2016-06-29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이 도포된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629B1 true KR101720629B1 (ko) 2017-04-10

Family

ID=5858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416A KR101720629B1 (ko) 2016-06-29 2016-06-29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이 도포된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629A (ko) * 2018-06-18 2019-12-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환경 부하 저감용 발포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7227A (ko) * 1996-01-11 1999-10-25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방사 경화가능한 코팅 조성물
KR20050116871A (ko) 2004-06-08 2005-12-13 주식회사 다우리월드 제오라이트를 함유하는 섬유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
KR20100016595A (ko) * 2007-04-18 2010-02-12 바스프 에스이 항균성 플라스틱 및 코팅
KR20150114216A (ko) * 2014-04-01 2015-10-12 김인욱 항균, 항진균 및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7227A (ko) * 1996-01-11 1999-10-25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방사 경화가능한 코팅 조성물
KR20050116871A (ko) 2004-06-08 2005-12-13 주식회사 다우리월드 제오라이트를 함유하는 섬유 염색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섬유의 염색방법
KR20100016595A (ko) * 2007-04-18 2010-02-12 바스프 에스이 항균성 플라스틱 및 코팅
KR20150114216A (ko) * 2014-04-01 2015-10-12 김인욱 항균, 항진균 및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629A (ko) * 2018-06-18 2019-12-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환경 부하 저감용 발포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5622B1 (ko) * 2018-06-18 2020-02-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환경 부하 저감용 발포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253B1 (ko) 친환경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00548B1 (ko) 유해물질 분해 또는 흡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0350119C (zh) 内装修用建筑材料、内装修用建材板和内装修用建材薄片
KR102274572B1 (ko) 주방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89792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항균 건축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건축자재
KR102075349B1 (ko) 친환경 섬유판의 제조방법
KR20090097600A (ko) 환경친화형 수성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ndrady et al. Effects of UV radiation on natural and synthetic materials
KR101333743B1 (ko) 친환경 합성 목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합성 목재
KR102270930B1 (ko) 가구용 기능성 목재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24292B1 (ko) 항균, 항진균 및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0629B1 (ko)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친환경 uv 코팅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이 도포된 블라인드
KR101445621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항균 도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도료
KR20160061723A (ko) 기능성 항균 벽지 및 벽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43543B1 (ko) 원적외선 방사 및 항균성을 가지도록 목제가구에 부착되는 보호용 시트
KR100802421B1 (ko) 건축자재용 마감재 패널
KR101796823B1 (ko) 기능성 건축마감재 제조방법
KR100805936B1 (ko) 건축 내장재용 조성물
CN106830882A (zh) 一种硅藻泥陶土
KR100444758B1 (ko) 수맥파 차단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포함하는 방수성 수맥파 차단제
KR101895057B1 (ko) 흡음 판넬
KR20040052717A (ko) 기능성섬유상물질오버레이숯보드제조
KR20170068887A (ko) 우드 블라인드용 난연 코팅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이 도포된 난연 우드 블라인드
KR100626870B1 (ko) 바닥장식재용 천연 광석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KR101690274B1 (ko) 흙침대용 흙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