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174B1 -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 Google Patents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174B1
KR101720174B1 KR1020150081464A KR20150081464A KR101720174B1 KR 101720174 B1 KR101720174 B1 KR 101720174B1 KR 1020150081464 A KR1020150081464 A KR 1020150081464A KR 20150081464 A KR20150081464 A KR 20150081464A KR 101720174 B1 KR101720174 B1 KR 101720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water
temperature
block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810A (ko
Inventor
김춘식
Original Assignee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8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17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면에 서로 다른 유로를 갖는 제1입수구와 제2입수구가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에 출수구가 형성된 메인블럭; 일측이 상기 제1입수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길이가 변화되는 온도감응부재; 상기 온도감응부재에 상기 제1입수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온도감응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돌출되는 커넥팅로드; 및 상기 커넥팅로드와 연결되며,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이 상기 제2입수구를 개폐하도록 배치되고, 물이 지나가는 관수구가 형성된 셋팅블럭을 포함하는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SAFETY VALVE HAVING FUNCTIONS OF PREVENTING FROZEN OF WATER AND DRAINING OF HOT WATER}
본 발명은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꼭지나 수도관 또는 계량기 등 수도 사용에 관련된 설비에서 겨울철 물이 얼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고 여름철에는 태양열에 의해 가열된 뜨거운 물이 배출되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나 수도관이 외부로 노출되면 겨울철에 물이 얼면서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동파될 수 있다.
종래에는 수도꼭지나 수도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는데, 가장 보편적인 방안이 수도꼭지 밸브를 열어 수도배관 내의 수돗물이 정체되어 있지 않고 계속 흐르도록 함으로써 물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도꼭지 밸브를 잘못 조절하여 개방량을 너무 크게 하면 너무 많은 물이 낭비될 수 있고, 개방량을 너무 작게 하면 물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물이 동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수도꼭지나 수도관은 여름철 태양열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열되므로 수돗물 사용이 빈번하지 않을 때에는 그 내부에 정체되어 있는 수돗물의 온도가 대략 40 ~ 50℃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여름철에는 수도꼭지나 수도관 또는 계량기 등 수도 사용에 관련된 설비의 물이 고온의 열수(Hot Water)가 되지만, 사용자는 이를 알지 못하고 수돗물을 사용하려다 열수에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2003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부품으로 겨울철에는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해 동파를 예방하고 여름철에는 뜻하지 않게 공급된 열수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동결 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면에 서로 다른 유로를 갖는 제1입수구와 제2입수구가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에 출수구가 형성된 메인블럭; 일측이 상기 제1입수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길이가 변화되는 온도감응부재; 상기 온도감응부재에 상기 제1입수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온도감응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돌출되는 커넥팅로드; 상기 커넥팅로드와 연결되며,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이 상기 제2입수구를 개폐하도록 배치되고, 물이 지나가는 관수구가 형성된 셋팅블럭을 포함하는 동결방지와 안전 차단 기능을 갖는 방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입수구는 상기 메인블럭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2입수구는 상기 제1입수구의 외측에서 상기 제1입수구보다 더 긴 유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감응부재 및 상기 셋팅블럭에는 상기 제1입수구 및 상기 제2입수구와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링부재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구는 상기 메인블럭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셋팅블럭에는 상기 제2입수구의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면에 서로 다른 유로를 갖는 제1입수구와 제2입수구가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에 출수구가 형성된 메인블럭; 일측이 상기 제1입수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길이 변화되는 온도감응부재; 상기 온도감응부재에 상기 제1입수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온도감응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돌출되는 커넥팅로드; 상기 제2입수구 측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입수구의 물이 지나가는 수로부가 형성된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에 상기 출수구를 향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양단이 상기 이동블럭의 걸림턱에 걸리며 상기 이동블럭에서 이격될 때 상기 수로부의 물을 통과시키고, 물이 통과하는 관수구가 형성된 걸림부; 상기 커넥팅로드의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에 회전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상기 온도감응부재의 압축량을 조절하는 저온셋팅조절부; 상기 메인블럭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높이 조절되며, 상기 이동블럭을 지지하여 상기 이동블럭의 위치를 설정하는 고온셋팅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입수구는 상기 메인블럭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2입수구는 상기 제1입수구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응부재 및 상기 이동블럭에는 상기 제1입수구 및 상기 걸림부와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링부재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구는 상기 메인블럭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이동블럭의 수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과 상기 걸림부의 외주면에는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수밀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온셋팅조절부와 상기 커넥팅로드 사이에는 상기 저온셋팅조절부의 회전력이 상기 커넥팅로드에 전달되지 않도록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부품으로 겨울철에는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해 동파를 예방하고 여름철에는 태양열에 의해 가열된 열수의 뜻하지 않은 공급으로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동결 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를 나타낸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3은 도2의 상태에서 동결방지 기능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
도4는 도2의 상태에서 열수 배출 기능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6은 도5의 상태에서 동결방지 기능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
도7은 도5의 상태에서 동결방지가 더 낮은 온도에서 수행되도록 저온셋팅조절부가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8은 도5의 상태에서 열수 배출 기능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
도9는 도5의 상태에서 열수 배출 기능이 더 높은 온도에서 수행되도록 고온셋팅조절부가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장치가 설치된 수도꼭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3은 도2의 상태에서 동결방지 기능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고, 도4는 도2의 상태에서 열수 배출 기능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장치(1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꼭지(10)에 설치되어 동절기에는 수도꼭지(10) 내부의 물이 얼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절기에는 태양열에 의해 수도꼭지(10) 내부에서 가열된 열수의 공급으로 인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장치(100)는 동절기에는 물이 빙점 이하로 내려가기 전에 수도꼭지(1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물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절기에는 수도꼭지(10) 내부의 물이 기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가 수돗물 사용시 열수에 의해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장치(100)가 수도꼭지(10)에 설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인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장치(100)의 적용처가 반드시 수도꼭지(10)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수도관이나 다른 곳에도 필요에 따라 적용 가능하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장치(100)는 메인블럭(110), 온도감응부재(120), 제1탄성부재(130), 커넥팅로드(140), 셋팅블럭(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럭(110)은, 본 실시예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며 위에서 나열된 다른 구성들이 설치되는 곳으로서, 상기 메인블럭(110)은 수도꼭지(10) 또는 수도관 같은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럭(110)은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과 통하면서 연결(연통)되도록 일측면에 서로 다른 유로를 갖는 제1입수구(111)와 제2입수구(11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럭(110)의 타측면에는 내부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출수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입수구(111)는 상기 메인블럭(110)의 상부 중앙에 하방으로 소정길이의 유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입수구(112)는 상기 제1입수구(111)의 외측에서 상기 상기 제1입수구(111)보다 더 긴 유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동절기와 같이 수도꼭지(10) 또는 수도관의 물이 상온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인 경우에는 상기 제1입수구(111)를 통해 메인블럭(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하절기와 같이 수도꼭지(10) 또는 수도관의 물이 상대적으로 고온인 경우에는 상기 제2입수구(112)를 통해 메인블럭(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입수구(111)를 통과하는 물은 얼기 직전에 있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물(이하, 편의상 “저온수”라 한다)이고, 상기 제2입수구(112)를 통과하는 물은 태양열에 의해 가열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이하, 편의상 “열수”라 한다)이다.
상기 출수구(113)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블럭(110)과는 별도로 제공되는 커버부(114)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 커버부(114)는 상기 수용공간에 다른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메인블럭(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시 상기 메인블럭(110)의 타측을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블럭(110)에 다른 구성들을 설치하거나 각 구성의 교환, 수리,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커버부(114)를 메인블럭(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감응부재(120)는 일측이 상기 제1입수구(111)를 개폐하도록 상기 메인블럭(1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길이가 변화되는 구성이다.
상기 온도감응부재(120)는 외부의 온도(기온이나 수온 등)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되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상기 온도감응부재(120)로 자동차용 서모스탯에 사용되는 온도감응형 왁스(wax)가 적용되었으나 이외에도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온도감응형 왁스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에 속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온도감응부재(120)는 냉각되면 수축하고 가열되면 신장(팽창)되는바, 대략 1.5~3.0℃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온도감응부재(120)의 수축 성질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대략 30℃ 이상의 온도에서 신장 성질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온도감응부재(120)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대략 1.5~3.0℃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제1입수구(111)가 개방되도록 하며, 대략 30℃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제2입수구(112)가 개방되도록 하여 서로 다른 온도 영역에서 밸브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1탄성부재(130)는 상기 온도감응부재(120)에 상기 제1입수구(1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인장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130)가 온도감응부재(12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온도감응부재(120)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12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응부재(120)에 수축 작용이 크게 일어나지 않는 대략 3℃를 넘는 온도 영역에서는 상기 제1탄성부재(130)의 탄성력 때문에 상기 제1입수구(111)는 폐쇄되므로 물이 새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커넥팅로드(140)는 상기 온도감응부재(120)의 타측에 연결되며, 커넥팅로드(140)의 타측 표면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셋팅블럭(150)은 상기 커넥팅로드(140)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감응부재(120)의 신축에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셋팅블럭(150)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은 상기 제2입수구(112)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셋팅블럭(150)에는 상기 제1입수구(111) 또는 상기 제2입수구(112)를 통해 메인블럭(110) 내부로 들어온 물이 지나가는 관수구(15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감응부재(120) 및 상기 셋팅블럭(150)에는 상기 제1입수구(111) 및 상기 제2입수구(112)와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링부재(s)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s)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온도감응부재(120)가 상기 제1입수구(111)를 막을 때 또는 상기 셋팅블럭(150)이 상기 제2입수구(112)를 막을 때 물이 새지 않도록 밀폐력을 높여 누수에 의해 물이 낭비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셋팅블럭(150)에는 상기 제2입수구(112)의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1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160)는 셋팅블럭(150)과 메인블럭(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제2탄성부재(160)는 메인블럭(110)의 커버부(114)와 상기 셋팅블럭(150) 사이에 탄성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셋팅블럭(150)에 미는 힘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2 및 도3,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안전밸브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는 온도감응부재(120)가 수축 또는 신장(팽창)되기 전의 상온(대략 10~20℃)에서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2에서는 상기 제1입수구(111) 및 제2입수구(112)가 모두 폐쇄되어 있다.
도2의 상태에서 온도가 점차 하강하여 기 설정온도(예컨대, 대략 2℃)가 되면 상기 온도감응부재(120)는 수축하기 시작하면서 그 길이가 줄어드는바, 상기 온도감응부재(120)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던 상기 제1입수구(11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기 시작한다. 상기 제1입수구(111)가 개방되면 수도꼭지(10) 또는 수도관 내부에 있던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물이 내부에서 정체되지 않고 흘러 내부에서 동결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감응부재(120)의 타측은 커넥팅로드(140)와 셋팅블럭(150)을 통해 상기 제2입수구(112)에 걸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온도감응부재(120)의 수축시 온도감응부재(120)의 타측부는 움직이지 못하고 상기 제1입수구(111)를 폐쇄하고 있던 온도감응부재(120)의 일측부가 제1입수구(11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입수구(111)가 개방된다.
한편, 도2의 상태에서 여름철 태양열에 의해 수도꼭지(10) 또는 수도관 내부에 정체되어 있는 물의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온도감응부재(120)가 열 팽창하여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감응부재(120)의 길이가 신장될 때 온도감응부재(120)의 일측부는 상기 제1입수구(111)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온도감응부재(120)의 타측부 쪽으로 늘어나면서 상기 커넥팅로드(140)를 통해 상기 셋팅블럭(150)을 밀게 되는바, 이에 따라 상기 제2입수구(112)를 폐쇄하고 있던 셋팅블럭(150)이 제2입수구(112)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제2입수구(112)가 개방되어 수도꼭지(10) 또는 수도관 내부에 정체되어 있던 고온의 열수가 출수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고온의 열수가 외부로 배출되고 나면 다시 가열되지 않은 원래 온도의 수돗물이 수도꼭지(10) 또는 수도관에 공급되므로, 상기 온도감응부재(120)는 다시 원래대로 수축하여 상기 제2입수구(112)는 닫히게 된다. 따라서, 수도꼭지(10) 또는 수도관 내부의 물은 소정의 온도(대략 30~ 40℃) 이상으로 가열되면 외부로 배출되고 새로운 수돗물이 채워지므로 하절기 수도꼭지(10) 또는 수도관이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더라도 사용자에게 열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5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장치(200)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6은 도5의 상태에서 동결방지 기능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며, 도7은 도5의 상태에서 동결방지가 더 낮은 온도에서 수행되도록 저온셋팅조절부가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8은 도5의 상태에서 열수 배출 기능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며, 도9는 도5의 상태에서 열수 배출 기능이 더 높은 온도에서 수행되도록 고온셋팅조절부가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장치(200)는 메인블럭(210), 온도감응부재(220), 제1탄성부재(230), 커넥팅로드(240), 이동블럭(250), 제2탄성부재(260), 걸림부(270), 저온셋팅조절부(280), 고온셋팅조절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럭(210)은 일측면에 서로 다른 유로를 갖는 제1입수구(211)와 제2입수구(212)가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에 출수구(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럭(210)은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제2입수구(212) 측 유로의 구조가 도면상 미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구성상 설명은 유사하므로 앞의 설명을 준용한다.
상기 제1입수구(211)는 상기 메인블럭(210)의 상부 중앙에 하방으로 소정길이의 유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입수구(212)는 상기 제1입수구(211)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구(213)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블럭(210)과는 별도로 제공되는 커버부(214)의 일측에 형성된 수 있는바, 상기 커버부(214)는 메인블럭(210)의 수용공간에 다른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메인블럭(2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시 상기 메인블럭(210)의 타측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감응부재(220)는 일측이 상기 제1입수구(211)를 개폐하도록 상기 메인블럭(2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길이가 변화되는 구성이다.
상기 온도감응부재(220) 또한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부재(22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앞의 설명을 준용한다.
한편, 상기 제1탄성부재(230)는 상기 온도감응부재(220)에 상기 제1입수구(2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앞에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설명을 준용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로드(240)는 상기 온도감응부재(220)의 타측에 연결되며, 커넥팅로드(240)의 타측 표면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구성으로서 앞의 설명을 준용한다.
한편, 상기 이동블럭(250)은 상기 제2입수구(212) 측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블럭(250)에는 상기 제2입수구(212)로 유입된 물이 지나가는 수로부(2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블럭(250)이 내장되어 예컨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입수구(212) 측 유로는 상기 이동블럭(25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260)는 상기 이동블럭(250)에 상기 출수구(213)를 향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블럭(250)은 상기 제2탄성부재(2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입수구(212)에서 멀어지며 상기 출수구(213)를 향하는 방향의 외력을 제공받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27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상기 이동블럭(250)의 걸림턱(252)에 걸리며 상기 이동블럭(250)에서 이격될 때 상기 수로부(251)의 물을 통과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걸림부(270)에는 물이 통과하는 관수구(27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270)의 양단이 상기 이동블럭(250)의 걸림턱(252)에 밀착되어 있을 때에는 물이 걸림부(270)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물이 흐르지 못하지만, 상기 걸림부(270)의 양단이 이동블럭(250)의 걸림턱(252)에서 이격되면 그 사이의 틈새를 통해 수로부(251)의 물이 통과하게 되고 상기 걸림부(270)의 관수구(271)를 통해 상기 출수구(213) 쪽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온도감응부재(220) 및 상기 이동블럭(250)에는 상기 제1입수구(211) 및 상기 걸림부(270)와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링부재(s)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응부재(220)는 상기 제1입수구(211)와 접촉하는 일측부에 실링부재(s)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이동블럭(250)에는 상기 걸림부(270)와 접촉하는 부위에 실링부재(s)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s)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이 새지 않도록 밀폐력을 높여 누수에 의해 물이 낭비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250)은 상기 메인블럭(21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이동되고, 상기 걸림부(270)는 상기 이동블럭(250)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이동되는바, 그 각각의 틈새에는 물이 새지 않도록 수밀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이동블럭(250)과 상기 걸림부(270)의 외주면에는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수밀링(R)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밀링(R)은 상기 이동블럭(250)의 외주면과 메인블럭(2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블럭(250)과 메인블럭(210) 사이의 틈새를 수밀하며, 상기 걸림부(270)의 외주면과 상기 이동블럭(250)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걸림부(270)와 이동블럭(250) 사이의 틈새를 수밀한다.
한편, 상기 걸림부(270)에는 걸림부(270)가 상기 이동블럭(250)의 수로부(25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부재(3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탄성부재(300)는 걸림부(270)와 메인블럭(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제3탄성부재(300)는 메인블럭(210)의 커버부(214)와 상기 걸림부(270) 사이에 탄성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270)에 미는 힘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온셋팅조절부(280)는 상기 커넥팅로드(240)의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270)에 회전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상기 온도감응부재(220)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저온셋팅조절부(280)는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저온셋팅조절부(280)를 회전시키면 저온셋팅조절부(280)가 걸림부(270) 상에서 회전되면서 나사 결합구조에 의해 저온셋팅조절부(28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저온셋팅조절부(280)가 상기 커넥팅로드(240)를 밀거나 당겨 상기 온도감응부재(220)의 압축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저온수에서 상기 제1입수구(211)가 개방되는 온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온셋팅조절부(280)를 회전시켜 상기 제1입수구(211)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2℃에서 개방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저온수의 온도가 대략 2℃에 도달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수구(211)가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0℃에서 제1입수구(211)가 개방되도록 저온수의 온도가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저온셋팅조절부(280)와 상기 커넥팅로드(240) 사이에는 상기 저온셋팅조절부(280)의 회전력이 상기 커넥팅로드(240)에 전달되지 않도록 베어링(B)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온셋팅조절부(280)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베어링(B)에 의해 회전력은 상기 커넥팅로드(240)에 전달되지 않고 저온셋팅조절부(280)의 이동량(변위)만 커넥팅로드(240)에 전달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저온셋팅조절부(280)가 커넥팅로드(240)를 밀거나 당겨 상기 온도감응부재(220)의 압축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저온셋팅조절부(280)를 회전시켜 상기 온도감응부재(220)의 압축량이 증가될수록 상기 제1입수구(211)가 개방되는 온도는 낮아지게 된다.(도5 및 도7 참조)
한편, 상기 고온셋팅조절부(290)는 상기 메인블럭(21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블럭(250)을 지지하여 상기 이동블럭(25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럭(250)이 상기 고온셋팅조절부(290)에 의해 지지되어 어느 일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도꼭지(10) 또는 수도관의 수돗물 온도가 상승하여 예컨대 대략 30℃ 정도의 열수가 되면 상기 온도감응부재(220)가 신장(팽창)하는바, 이에 따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70)가 상기 이동블럭(250)에서 이격되므로 상기 열수는 상기 제2입수구(212)로 유입되어 상기 수로부(251)와 관수구(271)를 지나 상기 출수구(2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5의 상태에서 상기 고온셋팅조절부(290)를 조정하여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럭(250)의 위치를 상기 온도감응부재(220)의 신장(팽창)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키면 열수의 온도가 30℃가 되어도 온도감응부재(220)의 신장량(팽창량)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이동블럭(250)의 위치가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도9에서 보듯이 상기 걸림부(270)가 이동블럭에 밀착되어 있어 열수는 상기 제2입수구(212)로 유입되지 않는다.
도9의 상태에서 열수가 제2입수구(212)로 유입되기 위해서 상기 열수의 온도는 30℃보다 높은 온도(예컨대, 대략 40℃)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저온셋팅조절부(280)를 통해 저온수일 때 상기 제1입수구(211)의 개방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고온셋팅조절부(290)를 통해 열수일 때 상기 제2입수구(212)의 개방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장치
2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장치
110, 210 : 메인블럭 111, 211 : 제1입수구
112, 212 : 제2입수구 113, 213 : 출수구
114, 214 : 커버부 120, 220 : 온도감응부재
130, 230 : 제1탄성부재 140, 240 : 커넥팅로드
150 : 셋팅블럭 151, 271 : 관수구
160, 260 : 제2탄성부재 250 : 이동블럭
251 : 수로부 252 : 걸림턱
270 : 걸림부 280 : 저온셋팅조절부
290 : 고온셋팅조절부 s : 실링부재
R : 수밀링 B : 베어링

Claims (12)

  1. 일측면에 서로 다른 유로를 갖는 제1입수구와 제2입수구가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에 출수구가 형성된 메인블럭;
    일측이 상기 제1입수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길이가 변화되는 온도감응부재;
    상기 온도감응부재에 상기 제1입수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온도감응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돌출되는 커넥팅로드;
    상기 커넥팅로드와 연결되며,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이 상기 제2입수구를 개폐하도록 배치되고, 물이 지나가는 관수구가 형성된 셋팅블럭; 및
    상기 셋팅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제2입수구의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수구는 상기 메인블럭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2입수구는 상기 제1입수구의 외측에서 상기 제1입수구보다 더 긴 유로를 갖도록 형성되는,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부재 및 상기 셋팅블럭에는 상기 제1입수구 및 상기 제2입수구와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링부재가 각각 설치된,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는 상기 메인블럭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5. 삭제
  6. 일측면에 서로 다른 유로를 갖는 제1입수구와 제2입수구가 각각 형성되고, 타측면에 출수구가 형성된 메인블럭;
    일측이 상기 제1입수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길이 변화되는 온도감응부재;
    상기 온도감응부재에 상기 제1입수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온도감응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돌출되는 커넥팅로드;
    상기 제2입수구 측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입수구의 물이 지나가는 수로부가 형성된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에 상기 출수구를 향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양단이 상기 이동블럭의 걸림턱에 걸리며 상기 이동블럭에서 이격될 때 상기 수로부의 물을 통과시키고, 물이 통과하는 관수구가 형성된 걸림부;
    상기 커넥팅로드의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에 회전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상기 온도감응부재의 압축량을 조절하는 저온셋팅조절부;
    상기 메인블럭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높이 조절되며, 상기 이동블럭을 지지하여 상기 이동블럭의 위치를 설정하는 고온셋팅조절부; 및
    상기 걸림부에 설치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이동블럭의 수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수구는 상기 메인블럭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2입수구는 상기 제1입수구의 외측에 형성되는,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부재 및 상기 이동블럭에는 상기 제1입수구 및 상기 걸림부와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링부재가 각각 설치된,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는 상기 메인블럭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럭과 상기 걸림부의 외주면에는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수밀링이 설치되는,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셋팅조절부와 상기 커넥팅로드 사이에는 상기 저온셋팅조절부의 회전력이 상기 커넥팅로드에 전달되지 않도록 베어링이 설치된,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KR1020150081464A 2015-06-09 2015-06-09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KR101720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464A KR101720174B1 (ko) 2015-06-09 2015-06-09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464A KR101720174B1 (ko) 2015-06-09 2015-06-09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810A KR20160144810A (ko) 2016-12-19
KR101720174B1 true KR101720174B1 (ko) 2017-04-10

Family

ID=5773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464A KR101720174B1 (ko) 2015-06-09 2015-06-09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138A (ko) * 2018-07-05 2020-01-15 안철 온도 감응형 유체 흐름 단속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1723B (zh) * 2020-07-07 2021-10-08 山东顺发重工有限公司 一种磁牵引式自来水管口抗冰阻法兰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169A (ja) * 2000-05-22 2001-11-30 Fuji Seiko Kk 湯水供給用制御弁
JP2006307971A (ja) * 2005-04-28 2006-11-09 Nippon Thermostat Co Ltd 湯水混合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003B1 (ko) 2012-12-28 2014-05-30 정도상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KR20150026084A (ko) * 2013-08-30 2015-03-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압력 반응형 동파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169A (ja) * 2000-05-22 2001-11-30 Fuji Seiko Kk 湯水供給用制御弁
JP2006307971A (ja) * 2005-04-28 2006-11-09 Nippon Thermostat Co Ltd 湯水混合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138A (ko) * 2018-07-05 2020-01-15 안철 온도 감응형 유체 흐름 단속 장치
KR102631300B1 (ko) * 2018-07-05 2024-01-29 안철 온도 감응형 유체 흐름 단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810A (ko) 201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052B1 (ko) 동결방지장치
RU2379432C2 (ru) Картридж для водосмесительного крана, кран, содержащий данный картридж, и термостатический блок для оснащения данного картриджа
KR101542382B1 (ko) 수도계량기용 동결방지장치
KR101720174B1 (ko) 동결방지와 열수 배출 기능을 갖는 안전밸브장치
JP2004527703A (ja) 逆流阻止装置
JP2022003275A (ja) 流量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温水器具
KR102263076B1 (ko) 온도에 따라 배출유량의 제어가 가능한 동파방지밸브
MXPA04001971A (es) Valvula activada por temperatura.
KR100696204B1 (ko) 유량조절밸브
KR102631300B1 (ko) 온도 감응형 유체 흐름 단속 장치
KR102054884B1 (ko) 동파방지용 볼 밸브
KR20160137204A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체크밸브
RU2659660C2 (ru) Клапан
JP5564843B2 (ja) 湯水混合装置
US4763682A (en) Thermally responsive valve activating assembly
KR101303298B1 (ko) 서모스탯 카트리지
JPH039354B2 (ko)
EP3693671B1 (en) Filling system with thermal actuating device
RU2393389C1 (ru) Секционный радиатор
CN105276235B (zh) 一种控制水路温度的方法及采用该方法的温控装置
KR200395080Y1 (ko) 유량조절밸브
KR101205371B1 (ko) 서모스탯 카트리지
RU2480808C2 (ru) Затвор клапана и термостатическое регу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массового потока
CN212429845U (zh) 水路调节组件及具有其的供水系统
EP3193047B1 (e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