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029B1 - 자동차 방향지시등 소켓의 접속단자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방향지시등 소켓의 접속단자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029B1
KR101720029B1 KR1020150045779A KR20150045779A KR101720029B1 KR 101720029 B1 KR101720029 B1 KR 101720029B1 KR 1020150045779 A KR1020150045779 A KR 1020150045779A KR 20150045779 A KR20150045779 A KR 20150045779A KR 101720029 B1 KR101720029 B1 KR 10172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ocket housing
housing
socket
work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094A (ko
Inventor
안정욱
Original Assignee
(주)지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스티 filed Critical (주)지에스티
Priority to KR1020150045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02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21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F21S48/2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방향지시등이 결합되어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에 다수의 접속단자를 자동화 라인을 형성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을 구현하므로써, 최소의 장치관리 인력만으로 최대의 생산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항상 균일한 품질의 단자홀더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소켓의 접속단자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방향지시등이 결합되기 위한 소켓 하우징의 공급에서 작업수행 및 배출되기 위한 각 구성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테이블과; 상기 작업테이블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소켓 하우징, 상기 소켓 하우징에 결합되기 위한 1차, 2차 단자와, 실러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와; 상기 작업테이블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소켓 하우징을 홀딩한 후, 작업지점을 통과하여 배출지점까지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소켓 하우징이 공급되는 지점의 작업테이블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이 공급된 후 홀딩된 방향을 검사하여 정상상태로 유지시켜 정렬하는 하우징 정렬부와; 상기 1차 단자가 공급되는 지점의 작업테이블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면 1차 단자를 소켓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1차 단자 결합부와; 상기 2차 단자가 공급되는 지점의 작업테이블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면 2차 단자를 소켓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2차 단자 결합부와; 상기 실러가 공급되는 지점의 작업테이블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면 실러를 결합시키는 실러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방향지시등 소켓의 접속단자 결합장치{Connecting terminal union apparatus of turn signal socket for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 방향지시등 소켓의 접속단자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방향지시등이 결합되어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에 다수의 접속단자를 자동화 라인을 형성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을 구현하므로써, 최소의 장치관리 인력만으로 최대의 생산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항상 균일한 품질의 단자홀더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방향지시등 소켓의 접속단자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지시등은 자동차의 전, 후 양측에 설치되어 운전 중 차선의 변경이나 진행방향의 표시 또는 비상상황 표시 등을 다른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것임은 주지된 것과 같으며, 이와 같은 방향지시등은 빛을 발산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 전원과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램프가 결합되는 소켓으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3-0073584호(차량용 벌브 홀더, 이하, 기출원발명)에는 상기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등에 적용되는 램프(기출원발명에서 "벌브(Bulb)"로 표기)가 결합하기 위한 소켓(기출원발명에서 "홀더"로 표기)이 제시되고 있다.
기출원발명의 소켓(기출원발명의 "벌브홀더")은「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이고, 벌브가 삽입되는 장착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며, 벌브의 조립방향을 안내하는 장착슬롯이 내벽에 형성된 소켓; 상기 하우징과 상기 소켓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소켓의 하면을 통해 상기 장착공간으로 노출되는 제1단자;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소켓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소켓의 측면을 통해 상기 장착공간으로 노출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슬롯은, 상기 소켓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안내홈과, 상기 소켓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안내홈과, 상기 제2안내홈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장착공간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벤딩된 볼록부를 포함하는 파형이고, 상기 볼록부의 상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와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홈을 통해 상기 장착공간으로 노출되며, 상기 소켓에 삽입된 벌브의 장착돌기가 상기 볼록부와 상기 스토퍼에 이중으로 접촉되도록」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소켓은 주로 합성수지로 된 하우징을 사출로 제작하고, 금속으로 제작된 접속단자를 하우징의 여러지점(대체로 2지점)에 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소켓의 플랜지부 측에는 수분의 차단에 따른 누전의 위험성을 방지하고자 실러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소켓은 하우징에 접속단자를 결합시키기 위한 특정의 자동화장치가 제시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종래 소켓과 접속단자의 결합은 여러명의 수작업 인력이 소형의 특정공구 또는 소형의 특정장비를 이용하여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소켓에 접속단자를 결합하는 작업은 단위시간 당 목적하는 생산량을 얻기 위해 상당히 많은 인력이 요구되어 과도한 인건비 지출이 발생되며, 수작업 특성에 의해 작업된 소켓의 품질 균일성이 낮기 때문에 잦은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방향지시등이 결합되어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소켓에 다수의 접속단자를 자동화 라인을 형성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을 구현하므로써, 최소의 장치관리 인력만으로 최대의 생산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항상 균일한 품질의 단자홀더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접속단자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방향지시등이 결합되기 위한 소켓 하우징의 공급에서 작업수행 및 배출되기 위한 각 구성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테이블과; 상기 작업테이블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소켓 하우징, 상기 소켓 하우징에 결합되기 위한 1차, 2차 단자와, 실러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와; 상기 작업테이블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소켓 하우징을 홀딩한 후, 작업지점을 통과하여 배출지점까지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소켓 하우징이 공급되는 지점의 작업테이블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이 공급된 후 홀딩된 방향을 검사하여 정상상태로 유지시켜 정렬하는 하우징 정렬부와; 상기 1차 단자가 공급되는 지점의 작업테이블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면 1차 단자를 소켓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1차 단자 결합부와; 상기 2차 단자가 공급되는 지점의 작업테이블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면 2차 단자를 소켓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2차 단자 결합부와; 상기 실러가 공급되는 지점의 작업테이블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면 실러를 결합시키는 실러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는 하우징 피더, 1차 단자 피더, 2차 단자 피더, 실러 피더가 각각 하우징 정렬부, 1차 단자 결합부, 2차 단자 결합부, 실러 결합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작업테이블 상에서 1차 단자 결합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1차 단자가 결합된 소켓 하우징을 2차 단자의 결합자세로 유지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는 하우징 터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작업테이블 상에 설치되어 1차, 2차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 결합된 후, 각 단자의 결합상태 및 탄성을 검사하기 위한 단자 검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단자 검사부는, 1차 단자가 결합된 소켓 하우징이 이송되는 이송부 일측에 설치되어 1차 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1차 단자 장착상태 검사부와; 상기 2차 단자가 결합된 소켓 하우징이 이송되는 이송부 일측에 설치되어 2차 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2차 단자 장착상태 검사부와; 상기 1차 단자 장착상태 검사부에 의해 검사가 완료된 소켓 하우징이 이송되는 이송부 일측에 설치되어 1차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1차 단자의 탄성력을 검사하는 1차 단자 탄성 검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방향지시등 소켓에 접속단자를 결합시키는 공정이 자동화 장치에 의해 실시되어 최소의 장치관리 인력만으로도 최대의 생산성을 얻도록 하므로써 인건비 절감에 따른 사용자의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화 장치에 의한 작업에 의해 생산제품의 품질 균일성이 향상되며, 특히, 자동화 장치의 정밀한 작업설정에 의해 보다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하우징 정렬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1차 단자 압입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2차 단자 공급 및 압입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실러 공급 및 압입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1차 단자 및 실러 측정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2차 단자 측정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1차 단자 탄성측정부 사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하우징 정렬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1차 단자 압입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2차 단자 공급 및 압입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실러 공급 및 압입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1차 단자 및 실러 측정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2차 단자 측정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의 1차 단자 탄성측정부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결합장치는 작업테이블(T), 공급부(1), 이송부(2), 하우징 정렬부(3), 1차 단자 결합부(4), 2차 단자 결합부(5), 실러 결합부(6)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추가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 터닝부(7), 단자 검사부(8)를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작업테이블(T)은 방향지시등이 결합되기 위한 소켓 하우징(H)의 공급에서 작업수행 및 배출되기 위한 각 구성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공급부(1)는 작업테이블(T)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소켓 하우징(H), 상기 소켓 하우징(H)에 결합되기 위한 1차, 2차 단자와, 실러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부(1)는 하우징 피더(10), 1차 단자 피더(11), 2차 단자 피더(12), 실러 피더(13)가 각각 하우징 정렬부(3), 1차 단자 결합부(4), 2차 단자 결합부(5), 실러 결합부(6)의 일측에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2)는 작업테이블(T)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공급부(1)에 의해 공급된 소켓 하우징(H)을 홀딩한 후, 작업지점을 통과하여 배출지점까지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2)는 공급된 소켓 하우징(H)을 정위치에 고정(홀딩)시킨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이송부(2)는 컨베이어 또는 특정의 이송장치를 적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소켓 하우징(H)의 고정은 소켓 하우징(H)의 하단부가 컨베이어에 삽입되어 홀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정렬부(3)는 소켓 하우징(H)이 공급되는 지점의 작업테이블(T)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H)이 공급된 후 홀딩된 방향을 검사하여 정상상태로 유지시켜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정렬부(3)는 소켓 하우징(H)이 정상적인 방향으로 홀딩유지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와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홀딩유지된 경우 이를 회전시켜 정상적인 방향으로 홀딩유지시키기 위한 회전장치가 갖추어져 구성된다.
상기 1차 단자 결합부(4)는 1차 단자가 공급되는 지점, 즉, 1차 단자 피더(11)가 배치된 지점의 작업테이블(T)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1차 단자 결합부(4)는 상기 이송부(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H)이 이송부(2)에 의해 이송되면 1차 단자를 소켓 하우징(H)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1차 단자 결합부(4)는 1차 단자를 소켓 하우징(H)에 픽업하여 장착시키기 위한 로봇 등의 공급기와 소켓 하우징(H)에 장착된 1차 단자를 압착하여 1차 단자의 결합을 완성시키는 압착기 등의 장치를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2차 단자 결합부(5)는 2차 단자가 공급되는 지점, 즉, 2차 단자 피더(12)가 배치된 지점의 작업테이블(T)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2차 단자 결합부(5)는 상기 이송부(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H)이 이송부(2)에 의해 이송되면 2차 단자를 소켓 하우징(H)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2차 단자 결합부(5)는 2차 단자를 소켓 하우징(H)에 픽업하여 장착시키기 위한 로봇 등의 공급기와 소켓 하우징(H)에 장착된 2차 단자를 압착하여 2차 단자의 결합을 완성시키는 압착기 등의 장치를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실러 결합부(6)는 실러가 공급되는 지점, 즉, 실러 피더(13)가 배치된 지점의 작업테이블(T)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실러 결합부(6)는 이송부(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H)이 이송부(2)에 의해 이송되면 실러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러 결합부(6)는 실러를 소켓 하우징(H)에 픽업하여 장착시키기 위한 로봇 등의 공급기와 소켓 하우징(H)에 장착된 실러를 압착하여 2차 단자의 결합을 완성시키는 압착기 등의 장치를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추가되는 구성으로 하우징 터닝부(7)는 작업테이블(T) 상에서 1차 단자 결합부(4)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송부(2)의 일측에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 터닝부(7)는 1차 단자가 결합된 소켓 하우징(H)을 2차 단자의 결합자세로 유지시키기 위해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단자 검사부(8)는 작업테이블(T) 상에 설치되어 1차, 2차 단자가 소켓 하우징(H)에 결합된 후, 각 단자의 결합상태 및 탄성을 검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자 검사부(8)는 1차 단자 장착상태 검사부(81)와, 2차 단자 장착상태 검사부 및 1차 단자 탄성 검사부(83)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단자 장착상태 검사부(81)는 1차 단자가 결합된 소켓 하우징(H)이 이송되는 이송부(2) 일측에 설치된 센서 등으로 적용되어 상기 1차 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2차 단자 장착상태 검사부(82)는 2차 단자가 결합된 소켓 하우징(H)이 이송되는 이송부(2) 일측에 설치된 센서 등으로 적용되어 상기 2차 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1차 단자 탄성 검사부(83)는 1차 단자 장착상태 검사부(81)에 의해 검사가 완료된 소켓 하우징(H)이 이송되는 이송부(2) 일측에 설치되어 1차 단자가 소켓 하우징(H)에 결합된 상태에서 1차 단자의 탄성력을 검사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1차 단자 탄성 검사부(83)는 소켓 하우징(H)에 결합된 1차 단자를 단위시간당 설정된 횟수로 가압한 후 센서 등을 이용하여 1차 단자의 변형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검사장치로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장치는 소켓 하우징(H)에 각각의 단자 및 실러가 결합되고 검사되면 소켓 제품이 완성되는 것으로, 상기 작업테이블(T)의 최외측에는 완성된 소켓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등의 배출장치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결합장치는 소켓 제품의 검사시 불량으로 판정된 소켓제품을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불량취출구성과, 불량품이 취출되고 진행되는 양품의 소켓 제품에 마킹을 실시하거거나 제품의 표면에 잔류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세정하기 위한 크리너 등의 구성을 더 갖추어 구성될 수 있다.
1: 공급부 2: 이송부
3: 하우징 정렬부 4: 1차 단자 결합부
5: 2차 단자 결합부 6: 실러 결합부
7: 하우징 터닝부 8: 단자 검사부

Claims (5)

  1. 방향지시등이 결합되기 위한 소켓 하우징(H)의 공급에서 작업수행 및 배출되기 위한 각 구성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테이블(T)과; 상기 작업테이블(T)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소켓 하우징(H), 상기 소켓 하우징(H)에 결합되기 위한 1차, 2차 단자와, 실러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1)와; 상기 작업테이블(T)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공급부(1)에 의해 공급된 소켓 하우징(H)을 홀딩한 후, 작업지점을 통과하여 배출지점까지 이송시키는 이송부(2)와; 상기 소켓 하우징(H)이 공급되는 지점의 작업테이블(T)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H)이 공급된 후 홀딩된 방향을 검사하여 정상상태로 유지시켜 정렬하는 하우징 정렬부(3)와; 상기 1차 단자가 공급되는 지점의 작업테이블(T)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H)이 이송부(2)에 의해 이송되면 1차 단자를 소켓 하우징(H)에 결합시키는 1차 단자 결합부(4)와; 상기 2차 단자가 공급되는 지점의 작업테이블(T)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H)이 이송부(2)에 의해 이송되면 2차 단자를 소켓 하우징(H)에 결합시키는 2차 단자 결합부(5)와; 상기 실러가 공급되는 지점의 작업테이블(T) 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H)이 이송부(2)에 의해 이송되면 실러를 결합시키는 실러 결합부(6);를 포함하는 자동차 방향지시등 소켓의 접속단자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T) 상에 설치되어 1차, 2차 단자가 소켓 하우징(H)에 결합된 후, 각 단자의 결합상태 및 탄성을 검사하기 위한 단자 검사부(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자 검사부(8)는, 1차 단자가 결합된 소켓 하우징(H)이 이송되는 이송부(2) 일측에 설치되어 1차 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1차 단자 장착상태 검사부(81)와; 상기 2차 단자가 결합된 소켓 하우징(H)이 이송되는 이송부(2) 일측에 설치되어 2차 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2차 단자 장착상태 검사부(82)와; 상기 1차 단자 장착상태 검사부(81)에 의해 검사가 완료된 소켓 하우징(H)이 이송되는 이송부(2) 일측에 설치되어 1차 단자가 소켓 하우징(H)에 결합된 상태에서 1차 단자의 탄성력을 검사하는 1차 단자 탄성 검사부(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방향지시등 소켓의 접속단자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급부(1)는
    하우징 피더(10), 1차 단자 피더(11), 2차 단자 피더(12), 실러 피더(13)가 각각 하우징 정렬부(3), 1차 단자 결합부(4), 2차 단자 결합부(5), 실러 결합부(6)의 일측에 배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방향지시등 소켓의 접속단자 결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T) 상에서 1차 단자 결합부(4)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송부(2)의 일측에 배치되어 1차 단자가 결합된 소켓 하우징(H)을 2차 단자의 결합자세로 유지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는 하우징 터닝부(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방향지시등 소켓의 접속단자 결합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50045779A 2015-03-31 2015-03-31 자동차 방향지시등 소켓의 접속단자 결합장치 KR10172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779A KR101720029B1 (ko) 2015-03-31 2015-03-31 자동차 방향지시등 소켓의 접속단자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779A KR101720029B1 (ko) 2015-03-31 2015-03-31 자동차 방향지시등 소켓의 접속단자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094A KR20160117094A (ko) 2016-10-10
KR101720029B1 true KR101720029B1 (ko) 2017-03-27

Family

ID=5714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779A KR101720029B1 (ko) 2015-03-31 2015-03-31 자동차 방향지시등 소켓의 접속단자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0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316B1 (ko) * 1994-03-28 1999-10-15 무라타 고이치 와이어압착소켓 커넥터 제조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3442A (ko) * 2013-02-18 2014-08-27 (주)제이콥스 엘이디 전구의 제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316B1 (ko) * 1994-03-28 1999-10-15 무라타 고이치 와이어압착소켓 커넥터 제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094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58293B (zh) 电池包自动组装设备
CN109946639B (zh) 接拆装置及电能表校验台
KR101738919B1 (ko) 차량용 후드 힌지 아세이 조립방법 및 자동조립 시스템
US20150330846A1 (en) Mounting method for a strain gage
CN107234375A (zh) 一种自动套焊圈的方法和设备
CN109079490A (zh) 一种水泵活塞架组件的自动装配方法
CN108196186A (zh) 用于电路板测试的测试工装
CN113400001A (zh) 一种医用注射器针头装配设备
KR101720029B1 (ko) 자동차 방향지시등 소켓의 접속단자 결합장치
CN209919290U (zh) 水泵组装设备及其装配线
KR101420295B1 (ko) 커넥터의 조립장치
CN110743821B (zh) 一种电源线性能测试装置
CN111495791A (zh) 一种万向球接头生产用的球壳进料检测装置和方法
KR101851599B1 (ko) 더스트 커버용 검사장치
CN110932052A (zh) 一种碳刷生产设备
CN110871354A (zh) 一种o型圈自动装配装置
KR101653814B1 (ko) 탭홀의 가공불량 검사장치
CN210513249U (zh) 汽车螺纹漏装检测治具
CN210468354U (zh) 一种自动插针机
CN110127346B (zh) 氦检油箱流转方法及油箱氦检自动化生产线
CN109663861B (zh) 传感器引脚套筒铆压装置
CN109227437B (zh) 一种兼容多产品的恒力夹具装置及上料方法
KR102071050B1 (ko) 브레이크 호스 제조방법
KR102459264B1 (ko) 자동차용 할로겐 램프의 조립 시스템과 이의 조립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방법 및 이의 조립 시스템으로 조립된 자동차용 할로겐 램프
CN109605028A (zh) 一种电子接插件全自动装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