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707B1 -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707B1
KR101719707B1 KR1020160039563A KR20160039563A KR101719707B1 KR 101719707 B1 KR101719707 B1 KR 101719707B1 KR 1020160039563 A KR1020160039563 A KR 1020160039563A KR 20160039563 A KR20160039563 A KR 20160039563A KR 101719707 B1 KR101719707 B1 KR 101719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c
coagulant
water
titanium oxide
floccu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김종범
박세민
이광영
조아라
안종화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39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4/00Obtaining refractory metals
    • C22B34/10Obtaining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C22B34/12Obtaining titanium or titanium compounds from ores or scrap by metallurgical processing; preparation of titanium compounds from other titanium compounds see C01G23/00 - C01G23/0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4/00Obtaining refractory metals
    • C22B34/10Obtaining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C22B34/12Obtaining titanium or titanium compounds from ores or scrap by metallurgical processing; preparation of titanium compounds from other titanium compounds see C01G23/00 - C01G23/08
    • C22B34/1218Obtaining titanium or titanium compounds from ores or scrap by metallurgical processing; preparation of titanium compounds from other titanium compounds see C01G23/00 - C01G23/08 obtaining titanium or titanium compounds from ores or scrap by dry processes
    • C22B34/1222Obtaining titanium or titanium compounds from ores or scrap by metallurgical processing; preparation of titanium compounds from other titanium compounds see C01G23/00 - C01G23/08 obtaining titanium or titanium compounds from ores or scrap by dry processes using a halogen contain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31Refractory metal oxides, their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04B2235/3232Titanium oxides or titanates, e.g. rutile or anat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02P10/23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 오폐수 등의 오염수의 수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응집제에 의해 발생되는 응집체를 소결하여 응집제에 함유된 금속을 산화물 형태로 회수할 수 있는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은 응집제를 오염수에 첨가하여 상기 오염수 중의 유기물을 응집시켜 응집체를 형성하는 응집단계와, 오염수로부터 상기 응집체를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응집체를 소결하여 티탄산화물을 회수하는 소결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응집제는 염화티타늄 용액에 과산화수소를 혼합하여 형성시킨다.

Description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method for recovering metal oxide coagulants}
본 발명은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 오폐수 등의 오염수의 수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응집제에 의해 발생되는 응집체를 소결하여 응집제에 함유된 금속을 티탄산화물 형태로 회수할 수 있는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티탄은 열역학적으로 안정하고 무독성이며 백색도 및 은폐력이 좋으므로 페인트, 플라스틱, 종이 등의 백색도료의 원료로 대량 이용되고 있다. 특히 루틸상 이산화티탄은 광촉매 소재, 자외선 차단 능력이 뛰어나 화장품의 UV 차단제, 여름철 빌딩 및 자동차의 냉방을 위한 자외선 차단용 페인트로 사용되고 있고, 플라스틱과 섬유 등의 안료, 타이어의 충진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재료에 비해 유전상수와 굴절률이 높고 기름의 흡착 및 착색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강산성이나 강염기성에서도 화학적으로 안정하므로 광학기기의 비반사 코팅막, 빔 스플리터, 렌즈 첨가제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산화티탄의 강유전성 특성 때문에 전자세라믹 소자의 근간재료, 산화물 반도체, 산소 센서 및 필터 재료로 사용되어 그 용도가 우리 일상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크게 확대되고 있다.
한편,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오염수의 효율적 처리방안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한 방안의 하나로서, 오염수에 용해된 탄소, 인, 질소 및/또는 황화합물을 처리하기 위해 응집제에 의한 침전공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해 첨가된 응집제가 회수되지 아니함으로써, 응집제에 의한 이차적 환경오염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것은 자원이용률을 감소시키고, 오염수의 처리비용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응집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응집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최근 티타늄을 이용한 폴리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PTC:polytitanium tetrachloride) 응집제가 보고되었다(Y X Zhao, S Phuntsho, B Y Gao, Y Z Yang, J-H Kim, H K Shon, Comparison of a novel polytitanium chloride coagulant with polyaluminium chloride: coagulation performance and floc characteristic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147 194p ~ 202p, 2015).
PTC 응집제는 티티늄에 수산화나트륨이나 탄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하지만, 종래의 PTC 응집제는 티티늄에 수산화나트륨이나 탄산나트륨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많은 침전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Y X Zhao, S Phuntsho, B Y Gao, Y Z Yang, J-H Kim, H K Shon, Comparison of a novel polytitanium chloride coagulant with polyaluminium chloride: coagulation performance and floc characteristic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147 194p ~ 202p, 201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하수, 오폐수 등의 오염수의 수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응집제에 의해 발생되는 응집체를 소결하여 응집제에 함유된 금속을 산화물 형태로 회수함으로써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의 회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PTC) 형태의 응집제를 이용하되 제조시 침전물이 발생되지 않는 새로운 응집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은 응집제를 오염수에 첨가하여 상기 오염수 중의 유기물을 응집시켜 응집체를 형성하는 응집단계와; 상기 오염수로부터 상기 응집체를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응집체를 소결하여 티탄산화물을 회수하는 소결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응집제는 염화티타늄 용액에 과산화수소를 혼합하여 형성시킨다.
상기 응집제는 OH:Ti의 몰비가 0.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화티타늄 용액은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티탄산화물은 이산화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집제는 수산화나트륨 용액 또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더 혼합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수, 오폐수 등의 오염수의 수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응집제에 함유된 금속을 티탄산화물 형태로 회수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화티타늄 용액에 과산화수소를 혼합하여 응집제를 제조함으로써 침전물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1은 PTC-SH 응집제의 제조 후 사진이고,
도 2는 PTC-SC 응집제의 제조 후 사진이고,
도 3은 PTC-HP 응집제의 제조 후 사진이고,
도 4는 TiCl4 응집제를 사용하여 수처리한 후 수질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PAC 응집제를 사용하여 수처리한 후 수질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 및 도 7은 PTC-HP(0.3) 응집제를 사용하여 수처리한 후 수질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PTC-SH, PTC-SC 응집제를 사용한 응집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9는 회수한 금속산화물의 XRD 패턴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회수한 금속산화물의 TEM 사진이고,
도 11은 금속산화물의 아세트알데히드 기상분해반응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에 사용된 응집제로부터 금속산화물의 회수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금속산화물의 회수방법은 응집제를 오염수에 첨가하여 상기 오염수 중의 유기물을 응집시켜 응집체를 형성하는 응집단계와, 오염수로부터 응집체를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응집체를 소결하여 금속산화물을 회수하는 소결단계를 구비한다.
먼저, 응집단계에서 오염수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오염수 중의 유기물을 응집시킨다. 이를 위해 오염수를 응집조로 공급한 후 여기에 오염수에 함유된 각종 유기물과 응집반응을 하는 응집제를 응집조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응집제의 첨가량은 오염수의 오염 정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집제는 오염수 1L당 0.1 내지 5mL 일 수 있다. 오염수라 함은 수처리가 요구되는 상수, 하수, 중수 및 폐수 및 기타의 오염된 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액상의 응집제는 폴리티탄염을 함유한다. 가령, 폴리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PTC:polytitanium tetrachloride)를 함유한다.
이러한 응집제는 염화티타늄 용액에 과산화수소를 혼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에 과산화수소를 혼합할 수 있다. 이때 OH:Ti의 몰비가 0.01 내지 10이 되도록 과산화수소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비 0.01 내지 10의 범위에서 응집효율이 우수하고, 응집제의 제조시 침전물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응집제는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에 과산화수소와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에 과산화수소와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에 과산화수소와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혼합하여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응집제를 오염수에 첨가하면 오염수 중에 함유된 유기화합물 또는 콜로이드상의 무기물과 응집제가 응집반응을 한다. 응집반응에 의해 응집조의 하부에는 침전된 응집체가 생성된다. 이러한 응집체는 슬러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응집제의 처리에 의해 응집체가 형성된 후 상등액을 제거하여 응집체를 분리한다. 분리된 응집체는 탈수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탈수장치로는 통상적인 벨트프레스, 필터프레스, 스크루 데칸터, 원심분리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함수량을 효과적으로 낮추기 위해 탈수보조제를 첨가한 후 응집체를 탈수시킬 수 있다. 탈수보조제로 무기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무기화합물은 함수율의 저하와 처리효율의 증진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탈수된 응집체를 소결하여 금속산화물을 회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소결온도는 400 내지 7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결온도가 400℃ 미만인 경우 소결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고, 소결온도가 7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소결을 수행하는 것은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소결과정에서 응집체의 수분과 유기화합물이 분해되어 제거되고, 응집제에 함유된 금속성분은 산화물 형태로 남는다. 본 발명에서는 티타늄 성분을 함유하는 응집제를 이용하므로 소결과정을 통해 티탄산화물(TiO2)을 회수할 수 있다.
이때 얻어진 산화티타늄은 응집체에 함유된 각종 유/무기 원소가 도핑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핑된 유/무기 원소로서 C,Na,Si,Al,Cr,Fe,P,Cl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유/무기원소들은 오염수의 종류, 응집제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응집제의 제조
농도 44%(w/w)의 염화티타늄(TiCl4) 용액(밀도=1.39g/ml)에 증류수를 가하여 농도 20%(w/w)로 희석한 염화티타늄 용액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농도 30%(w/w)의 과산화수소(밀도=1.11g/ml)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액상의 응집제(PTC-HP)를 제조하였다. 응집제는 OH:Ti의 몰비를 달리하여 8가지를 제조하였다.
한편 위의 응집제와 비교하기 위해 농도 20%(w/w)의 염화티타늄 용액에 농도 16.67%(w/w)의 수산화나트륨 용액(밀도=1.39g/ml)을 첨가하여 액상의 응집제(PTC-SH)를 제조하였고, 농도 25%(w/w)의 탄산나트륨 용액(밀도=0.33g/ml)을 첨가하여 액상의 응집제(PTC-SC)를 제조하였다. PTC-SH 응집제와 PTC-SC 응집제 각각은 OH:Ti의 몰비를 달리하여 8가지를 제조하였다.
OH:Ti의 몰비에 따른 응집제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응집제
OH/Ti의 몰비
0.3 0.5 0.8 1.0 1.5 2.0 2.5 3.0
PTC-HP PTC-HP(0.3) PTC-HP(0.5) PTC-HP(0.8) PTC-HP(1.0) PTC-HP(1.5) PTC-HP(2.0) PTC-HP(2.5) PTC-HP(3.0)
PTC-SH PTC-SH(0.3) PTC-SH(0.5) PTC-SH(0.8) PTC-SH(1.0) PTC-SH(1.5) PTC-SH(2.0) PTC-SH(2.5) PTC-SH(3.0)
PTC-SC PTC-SC(0.3) PTC-SC(0.5) PTC-SC(0.8) PTC-SC(1.0) PTC-SC(1.5) PTC-SC(2.0) PTC-SC(2.5) PTC-SC(3.0)
상기 응집제들의 제조과정에서 침전이 발생되는지는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PTC-SH 응집제의 제조 후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PTC-SH 응집제는 제조 직후 맑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PTC-SH(1.5)~(3.0)에서는 제조 2일 후 침전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PTC-SC 응집제의 제조 후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PTC-SC모두 제조 당시에는 맑고 투명한 액체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PTC-SC(2.0)~(3.0)에서는 제조 1일 후 침전이 일어났으며, PTC-SC(0.8)~(1.5)는 제조 4일 후 침전이 발생하였고, PTC-SC(0.5) 이하에서도 제조 10일 후 침전이 일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PTC-SC 응집제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모두 침전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PTC-HP 응집제의 제조 후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PTC-HP 응집제의 경우 과산화수소를 첨가한 직후 붉은색으로 변하기 시작했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점 진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TC-HP 응집제 제조 당시에는 맑은 정도를 유지하였으며, 제조 후 10일 지나도 침전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수처리 실험
jar-tester를 이용하여 인공폐수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응집실험을 하였다. 1분 동안 급속교반(100ppm) 후 20분 동안 완속교반(30rpm) 조건으로 교반하였다. 교반을 완료한 다음 30분 동안 침전시간을 둔 후 응집상태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침전 후 상등수를 채취하여 수질분석을 수행하였다.
응집제로 위에서 제조한 PTC-HP, PTC-SH, PTC-SC를 사용하였고, 이와 함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농도 20%의 TiCl4 용액, 폴리염화알루미늄(PAC)을 사용하였다.
(1)인공폐수 조제
인공폐수를 조제하기 위한 재료로 KH2PO4(98%, 덕산약품, 대한민국), NaHCO3 (99.5~100.3%, Wako, 일본), Humic acid(Wako, 일본)를 이용하였다.
인 유발물질로 KH2PO4을 이용하여 A용액을 제조하였다. 즉, 물 1L에 KH2PO4 219.5mg을 첨가하여 물 1L당 인(P) 성분이 50mg이 포함된 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분취하여 인 성분의 농도가 2mg/L이 되도록 하여 A용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Humic acid 1g을 0.1N NaOH (97%, 대정화금, 대한민국)용액에 용해시켜 1000ppm 용액을 제조한 후 10mg/L가 되도록 희석하여 B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A용액과 B용액을 혼합한 후 증류수를 가하여 용량 500mL의 인공폐수를 제조하였다. 염기도를 맞추기 위하여 인공폐수 500mL에 NaHCO3을 84mg을 첨가하였다.
(2)실험결과
PTC-SH, PTC-SC의 응집실험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면, PTC-SH, PTC-SC 응집제를 사용하였을 때, 대체로 응집이 잘 일어나는 편이었다. 일부 부유물질이 존재하지만 침강도 빨리되는 것으로 보였다. 대부분 급속 교반시부터 플럭이 형성되었으나, PTC-SH(0.3)과 PTC-SC(0.8)의 경우 완속교반에서 플럭이 형성되며, 다른 응집제에 비해 색도가 잘 빠지지 않는 편이었다. 하기 표 2에 사용된 응집제와 투입량, 그에 따른 상등수의 pH와 탁도를 나타내었다.
응집제 투입량(ml/l) pH 탁도
- 0 7.35 -
PTC-SH(0.3)

0.28

3.74 1.77
PTC-SH(0.5) 4.58 0.9
PTC-SC(0.3) 3.83 0.80
PTC-SC(0.5) 4.65 1.6
PTC-SC(0.8) 5.43 3.5
한편, PTC-HP의 경우 급속 교반시부터 플럭이 형성되어 응집이 잘 일어났고, 침강성도 양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도 4 내지 도 7은 TiCl4 , 폴리염화알루미늄(PAC), PTC-HP 응집제를 사용하여 응집실험 후 분리한 상등수에 대한 수질분석결과이다.
도 4는 TiCl4 응집제를 사용한 결과이다.
도 4와 하기 표 3을 참조하면, 20%의 TiCl4 응집제의 경우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COD 및 T-P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0.4 ml/L 투입한 경우 오차로 판단됨). 0.38 ml/L 이상 투입했을 때 T-P값 기준치 이하(0.2 mg/L)를 유지하였다.
도 4의 실험결과를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투입량(ml/l) pH COD(mg/l) T-P(mg/l)
0 7.46 5.0 2.126
0.36 5.78 2.8 0.509
0.38 5.31 1.6 0.133
0.40 5.65 4.0 0.203
0.42 5.78 1.7 0.072
0.44 5.23 2.1 0.130
0.46 4.81 1.7 0.154
도 5는 PAC응집제를 사용한 결과이다.
도 5와 표 4를 참조하면,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COD 및 T-P값이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0.06~0.12 ml/L 투입했을 때 T-P값 기준치 이하(0.2 mg/L)를 유지하였다.
도 5의 실험결과를 하게 표 4에 정리하였다.
투입량(ml/l) pH COD(mg/l) T-P(mg/l)
0 7.46 5.0 2.126
0.03 7.13 4.1 0.649
0.06 6.83 3.2 0.18
0.09 6.55 3.2 0.124
0.12 6.45 2.9 0.152
0.15 6.18 4.5 0.759
도 6은 PTC-HP(0.3) 응집제를 0.40ml/l를 사용한 결과이다.
도 6 및 하기 표 5를 참조하면, pH가 증가할수록 COD 및 T-P값이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7.0~8.0 조건에서 T-P값 기준치 이하(0.2 mg/L)를 유지하였다.
도 6의 실험결과를 하기 표 5에 정리하였다.
초기 pH 상등수 pH COD(mg/l) T-P(mg/l)
- - 5.0 2.126
7.00 4.35 0.9 0.133
7.46 5.47 1.1 0.115
8.00 5.60 0.7 0.093
9.00 5.90 3.4 0.3710
도 7은 PTC-HP(0.3) 응집제를 사용한 결과이다.
도 7 및 하기 표 6을 참조하면,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COD 및 T-P값이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0.42~0.44 ml/L 투입 조건에에서 T-P값 기준치 이하(0.2 mg/L)를 유지하였다.
도 7의 실험결과를 하기 표 6에 정리하였다.
투입량(ml/l) pH COD(mg/l) T-P(mg/l)
0 7.46 6.5 2.010
0.38 5.97 6.1 1.416
0.40 5.62 4.4 0.958
0.42 5.71 1.7 0.136
0.44 5.53 2.7 0.138
0.45 5.36 4.5 0.440
0.50 4.32 3.9 0.274
3. 금속산화물의 회수
상기 PTC-HP(0.3) 응집제를 이용한 응집실험(투입량 0.42ml/l) 후 발생된 응집체를 상등수로부터 분리한 후 응집체를 탈수시킨 다음 전기로에서 400~700℃에서 3시간 동안 소결하여 금속산화물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금속산화물의 XRD 패턴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9에서 PTC-400은 400℃에서 소결하여 회수한 금속산화물이고, PTC-500은 500℃에서 소결하여 회수한 금속산화물이고, PTC-600은 600℃에서 소결하여 회수한 금속산화물이고, PTC-700은 700℃에서 소결하여 회수한 금속산화물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수된 금속산화물은 모두 산화티탄 Anatase 결정 구조와 인공폐수에 소량 존재한 인 화합물로부터 생성된 인 산화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600℃에서 소결하여 회수한 금속산화물의 TEM 사진을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수된 TiO2의 입자크기는 20nm 정도로 균일하였다.
500℃에서 소결하여 회수한 금속산화물(PTC-500)과 600℃에서 소결하여 회수한 금속산화물(PTC-600)의 아세트알데히드 기상분해반응의 실험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금속산화물과 비교하기 위한 광촉매로 Degussa의 P-25 이산화티탄을 이용하였다.
밀폐된 기상 반응기에 0.5g의 금속산화물을 넣고 900ppm의 아세트알데히드를 주입 한 후 UV 램프를 조사하면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시간에 따른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2가지의 금속산화물 모두 광분해능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PTC-600의 경우 상업화된 P-25 제품과 거의 동등한 수준의 광분해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회수한 금속산화물은 광촉매 물질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응집제를 오염수에 첨가하여 상기 오염수 중의 유기물을 응집시켜 응집체를 형성하는 응집단계와;
    상기 오염수로부터 응집체를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응집체를 소결하여 티탄산화물을 회수하는 소결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응집제는 염화티타늄 용액에 과산화수소를 혼합하여 형성시키며,
    상기 응집제는 OH:Ti의 몰비가 0.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티타늄 용액은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티탄산화물은 이산화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는 수산화나트륨 용액 또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더 혼합하여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
KR1020160039563A 2016-03-31 2016-03-31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 KR101719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63A KR101719707B1 (ko) 2016-03-31 2016-03-31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63A KR101719707B1 (ko) 2016-03-31 2016-03-31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707B1 true KR101719707B1 (ko) 2017-03-27

Family

ID=58496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563A KR101719707B1 (ko) 2016-03-31 2016-03-31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7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478B1 (ko) 2018-01-19 2019-05-21 신태욱 활성백토의 산성 폐수를 이용한 무기응집제의 제조방법
KR102514816B1 (ko) 2021-10-29 2023-03-29 (주)벤텍프런티어 수처리 슬러지로부터 티탄산화물을 제조하기 위한 연속식 소성로
KR20240020665A (ko) 2022-08-08 2024-02-15 유니버시티 오브 지난 폴리염화티타늄 가수분해 산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413A (ko) * 2002-04-26 2003-11-01 주식회사 동궁물산 폐수처리용 응집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3157A (ko) * 2009-12-04 2011-06-10 (주) 빛과환경 백색도를 향상시킨 산화티탄의 제조방법
KR20120021363A (ko) * 2010-07-28 2012-03-09 (주) 빛과환경 폐기물 슬러지로부터 회수된 산화티탄을 이용한 세라믹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413A (ko) * 2002-04-26 2003-11-01 주식회사 동궁물산 폐수처리용 응집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3157A (ko) * 2009-12-04 2011-06-10 (주) 빛과환경 백색도를 향상시킨 산화티탄의 제조방법
KR20120021363A (ko) * 2010-07-28 2012-03-09 (주) 빛과환경 폐기물 슬러지로부터 회수된 산화티탄을 이용한 세라믹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 X Zhao, S Phuntsho, B Y Gao, Y Z Yang, J-H Kim, H K Shon, Comparison of a novel polytitanium chloride coagulant with polyaluminium chloride: coagulation performance and floc characteristic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147 194p ~ 202p, 2015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478B1 (ko) 2018-01-19 2019-05-21 신태욱 활성백토의 산성 폐수를 이용한 무기응집제의 제조방법
KR102514816B1 (ko) 2021-10-29 2023-03-29 (주)벤텍프런티어 수처리 슬러지로부터 티탄산화물을 제조하기 위한 연속식 소성로
KR20240020665A (ko) 2022-08-08 2024-02-15 유니버시티 오브 지난 폴리염화티타늄 가수분해 산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179B1 (ko) 고염기성 폴리염화알루미늄 응집제의 제조방법
KR101409870B1 (ko) 고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 응집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1113178B1 (ko) 염기성 폴리염화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염기성 폴리염화알루미늄
KR101719707B1 (ko) 수처리에 사용된 폴리티탄염 응집제로부터 티탄산화물의 회수방법
KR101656825B1 (ko) 폐수로부터 불소 성분을 제거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폐수로부터 불소 성분을 제거하는 방법
CN110054275A (zh) 一种新型深度除氟药剂及其应用
KR102263203B1 (ko) 수처리용 응집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97362B1 (ko)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저농도 폐황산을 이용한 미량 과산화수소가 잔류된 폐수 처리용 무기계 응집제 및 이를 활용한 폐수처리제로서의 용도
KR100715093B1 (ko) 오염수의 처리와 동반하여, 응집제로서 첨가된 가수분해성금속화합물로부터 유·무기원소-도핑 금속산화물을 회수하는방법
KR101152382B1 (ko) 백색도를 향상시킨 산화티탄의 제조방법
KR101844024B1 (ko) 용해성 cod를 제거하는 폐수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폐수처리제 조성물
KR101990179B1 (ko) 붕불화물 함유수의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KR101297435B1 (ko) 폐수 및 폐기물로부터 황산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CN110023250B (zh) 用于处理含二氧化硅水的处理系统和处理方法
KR100469685B1 (ko) 폐수처리용 응집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935269B (zh) 一种能回用混凝剂和光催化材料的泥水零排放的水处理工艺
KR20160098768A (ko) 고염기 폴리염화알루미늄 무기 응집제의 제조방법
CN110668538B (zh) 一种聚合氯化钛的制备方法
KR20050005111A (ko) 수처리용 응집제의 제조방법 및 수처리용 응집제
JP2004121948A (ja) フッ素またはリンの除去方法
JP2002079003A (ja) 高純度第二鉄系無機凝集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浄水処理における凝集分離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Wern et al. Coagulation performance of titanium tetrachloride for Alor Pongsu wastewater treatment
KR101887412B1 (ko) 알카리성 응집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CN111250064A (zh) 一种支化聚乙烯亚胺修饰贻贝壳粉的制备方法及应用
KR102301289B1 (ko) 폐황산 또는 재생황산을 이용한 폴리 황산 알루미늄-마그네슘계 응집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