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049B1 - 조립식 해상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해상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049B1
KR101719049B1 KR1020150021415A KR20150021415A KR101719049B1 KR 101719049 B1 KR101719049 B1 KR 101719049B1 KR 1020150021415 A KR1020150021415 A KR 1020150021415A KR 20150021415 A KR20150021415 A KR 20150021415A KR 101719049 B1 KR101719049 B1 KR 101719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ea
structures
pip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9754A (ko
Inventor
김용진
박종환
박한규
정순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Priority to KR1020150021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0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8Rafts, i.e. free floating waterborne vessels, of shallow draft, with little or no freeboard, and having a platform or floor for supporting a user
    • B63B35/613Rafts, i.e. free floating waterborne vessels, of shallow draft, with little or no freeboard, and having a platform or floor for supporting a user with tubular shaped flota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에 설치되는 조립식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현장에서도 해상구조물의 조립작업이 가능하면서도 부분파손 시 수리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 개 설치되는 각 브라켓(5)의 관통공(5a)에 파이프(6)를 끼워 고정하고 상기 브라켓(5)의 상면에는 발판(8)을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해상구조물(1)을 복수 개로 분할 형성하여 단위 해상구조물(2)(3)을 구성하는 각각의 파이프(6) 끝단에 엔드 캡(7)을 고정하고 상기 단위 해상구조물(2)(3)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브라켓(5)에 고정된 파이프(6a)가 단위 해상구조물(2)(3)의 파이프(6)와 직교되게 위치하며 각 파이프(6a)의 끝단에는 또 다른 앤드 캡(7a)이 고정된 연결 해상구조물(4)을 위치시켜 상기 단위 해상구조물(2)(3) 및 연결 해상구조물(4)을 볼트(10) 및 너트(11)로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해상구조물{omitted}
본 발명은 바다에 설치되는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그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현장에서도 해상구조물의 조립작업이 가능하면서도 부분파손 시 해상구조물의 전체를 해체하지 않고도 수리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조립식 해상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 설치되는 해상구조물로는, 바다에서 고기를 양식하는 가두리 양식장 또는 선박 등을 대거나 매어 놓는 계류장(繫留場) 등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해상구조물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로써, 출원인에 의해 특허 10-0984575호(해상구조물)로 등록된 권리이다.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는 파이프(22)와, 상기 파이프에 소정의 간격으로 끼워지는 관통공(23)을 갖는 브라켓(21)과, 상기 브라켓(21)에서 파이프(22)가 회전되지 않도록 이들의 결합부위에 구비된 회전방지수단과, 상기 브라켓(21)의 양측에 위치하는 파이프(22)에 융착 고정되어 브라켓(21)이 파이프(22)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수단이 구비되도록 발판 고정유니트(24)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각 발판 고정유니트(24)를 구성하는 파이프(22)를 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인접하는 브라켓(21)을 보울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함과 동시에 동일평면을 이루는 브라켓(21)의 상면에 발판(25)을 고정하여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브라켓(21)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 보스(26)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면에는 돌출 보스(26)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 보스(27)가 형성되어 있어 일 측에 위치하는 돌출 보스(26)를 이웃하는 브라켓(21a)에 형성된 결합 보스(27)에 끼우고 보울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28)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21)에서 파이프(22)가 회전되지 않도록 이들의 결합부위에 구비된 회전방지수단은 파이프(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편(29)과, 상기 돌기편이 결합되도록 브라켓(21)의 관통공(23)에 형성된 요입홈(30)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21)의 양측에 위치하는 파이프(22)에 융착 고정되어 브라켓(21)이 파이프(22)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수단은 파이프(22)에 결합된 브라켓(21)의 양 측면에 위치되게 파이프(22) 상에 융착 고정된 환형의 링(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파이프(22)의 일단에 깔대기형태의 앤드 캡(35)이 고정되어 있고 파이프(22)의 다른 일단은 폐쇄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21)의 상면에 고정된 발판(25)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위치하는 지점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삽입공(37a)이 형성된 핸드레일 포스트(37)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 핸드레일 포스트(37)의 각 삽입공(37a)에는 핸드레일(38)이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84575호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해상구조물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파이프에 브라켓이 일정간격으로 조립 고정되게 융착된 상태로 발판 고정유니트를 공장에서 제작한 다음 현장으로 운반하여 해상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조립되므로 해상구조물의 조립에 따른 시간을 대폭 절감하는 이점을 갖으나, 길이가 긴 해상구조물을 제작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즉, 운송수단(트레일러, 트럭 등)의 적재함에 적재하는 발판 고정유니트의 길이가 제한되어 있어 해상구조물을 적재 길이 이상으로 제작하는 데에는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길이가 긴 해상구조물은 부득이 종래의 방법과 같이 부품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제작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 해상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융착작업 등을 위해 전기를 가설하여야만 되었으므로 많은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었다.
또한, 중량체의 발판 고정유니트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 태풍 등으로 인해 해상구조물의 일부가 파손되어 수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체가 1개의 유니트(unit)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를 분해하여야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단위 해상구조물 및 연결 해상구조물을 적재함을 실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만큼으로 공장에서 제작한 다음 현장으로 운반하여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열악한 현장에서도 이들을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위 해상구조물의 사이 연결부위에 연결 해상구조물을 단위 해상구조물과 90°위상차를 갖도록 설치하여 해상구조물의 내파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상구조물의 일부가 파손되어 부품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해상구조물의 전체를 해체하지 않고도 부분 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복수 개 설치되는 각 브라켓의 관통공에 파이프를 끼워 고정하고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는 발판을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해상구조물을 복수 개로 분할 형성하여 단위 해상구조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파이프 끝단에 엔드 캡을 고정하고 상기 단위 해상구조물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브라켓에 고정된 파이프가 단위 해상구조물의 파이프와 직교되게 위치하며 각 파이프의 끝단에는 또 다른 앤드 캡이 고정된 연결 해상구조물을 위치시켜 상기 단위 해상구조물(2)(3) 및 연결 해상구조물(4)을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하며 상면에는 발판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해상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해상구조물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해상구조물을 복수 개로 분할하여 공장에서 제작한 다음 현장으로 운반한 후에는 기계적인 조립에 의해 해상구조물을 원하는 길이로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브라켓에 파이프를 융착하여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기 공급이 되지 않는 장소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단위 해상구조물 및 연결 해상구조물의 길이가 짧아 트레일러 등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셋째, 해상구조물의 측면에 완충부재가 고정되어 있어 계류 중인 요트 또는 선박이 해상구조물에 부딪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넷째,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된 단위 해상구조물 및 연결 해상구조물을 서로 맞대어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기만 하면 조립작업이 완료되므로 별도의 크레인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다섯째, 해상구조물의 일부가 파손되어 수리를 할 때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파손된 부위만을 분해하여 수리할 수 있게 되므로 신속한 수리가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의 해상구조물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부 확대도
도 6은 도 4의 상면에 발판이 시공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브라켓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완충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시공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4의 상면에 발판이 시공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로써,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1)을 운송수단에 의해 운반 가능하게 단위 해상구조물(2)(3) 및 연결 해상구조물(4)로 분할 형성한 다음 공장에서 브라켓(5)의 관통공(5a)에 파이프(6)(6a)를 끼워 융착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해상구조물(1)이 설치되는 장소에서는 융착작업을 실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열악한 장소에서도 해상구조물(1)의 조립작업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데 특징이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송수단에 의해 운반 가능한 길이로 제작되는 단위 해상구조물(2)(3) 및 단위 해상구조물의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 해상구조물(4)을 공장에서 조립하여 현장으로 운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 해상구조물(4)을 구성하는 브라켓(5)의 상측에는 도 6과 같이 관통공(5a)에 고정되는 파이프(6a)에 평행하게 강도보강부재(15)가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는, 연결 해상구조물(4)이 단위 해상구조물(2)(3)과 직교되게 위치되는 반면, 그 상면에 발판(8)이 고정됨에 따라 연결 해상구조물(4)을 구성하는 브라켓(5)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강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각 파이프(6)(6a)를 브라켓(5)의 관통공(5a)으로 통과시켜 파이프(6)(6a)와 브라켓(5)을 융착하는 융착작업을 실시하고 각 파이프(6)(6a)의 끝단에 엔드 캡(7)(7a)을 고정하는 작업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브라켓(5)의 상면에는 발판(8)을 고정하지 않은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이들을 현장으로 운반하게 된다.
상기 각 브라켓(5)의 연결 조립 시에는 접속면 상면에 도 8과 같이 제1 보강편(9)을 대고 볼트(10) 및 너트(11)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5)의 접속면 하부에는 비틀림 보강편(12a)이 형성된 제2 보강편(12)을 대고 볼트(10) 및 너트(11)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 파도 또는 선박의 이동에 따른 스크류의 회전으로 발생된 파도 등에 의해 해상구조물(1)이 출렁거려 비틀림 하중이 작용되더라도 브라켓(5)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브라켓(5)의 접속면에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체결공(5a)을 통해 볼트(10) 및 너트(11)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1)이 설치되는 현장으로 운반된 단위 해상구조물(2)(3) 및 연결 해상구조물(4)을 조립할 때, 이들을 인라인(in-line)으로 연결하지 않고 단위 해상구조물(2)(3)의 사이에 연결 해상구조물(4)을 직교되게 연결하는 데 특징이 있다.
이는, 파도 및 선박의 이동에 따른 스크류의 회전으로 발생된 파도 등에 의해 설치된 해상구조물(1)에 비틀림 하중이 작용되더라도 연결부위에서 비틀림 하중을 충분히 견딤으로써, 해상구조물(1)이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단위 해상구조물(2)(3)에 연결 해상구조물(4)을 보다 견고한 상태로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단위 해상구조물(2)(3)을 구성하는 각 브라켓(5)의 측면에 삽입홈(도시는 생략함)을 형성하여 연결 해상구조물(4)을 구성하는 브라켓(5)의 측면을 삽입홈에 끼운 상태에서 체결공(5d)을 통해 끼워진 볼트(10)가 인접하는 브라켓(5)의 보스(5c)의 체결공(5d)을 통과하여 너트(11)로 이들을 조립하면 해상구조물(1)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이들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연결 해상구조물(4)의 브라켓(5)을 1열로 구성하여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 도 4와 같이 2열로 배열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브라켓(5)의 측면에 완충부재(14)가 고정되어 있어 해상구조물(1)에 요트 또는 선박을 계류시킨 상태에서 파도 또는 선박의 이동으로 발생된 조류에 의해 계류시킨 선박 또는 요트가 해상구조물(1)에 부딪히더라도 완충부재(14)가 충격을 흡수하여 선박 또는 요트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단위 해상구조물(2)(3)에 90°위상차를 갖도록 조립되는 연결 해상구조물(4)은 도 4 및 도 11a 내지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 , "ㄱ" , "T" , "E" 등 다양한 형태로 조립 가능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위 해상구조물(2)(3) 및 연결 해상구조물(4)을 구성하는 브라켓(5)을 상호 조립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브라켓(5)의 접속면 상면에 제1 보강편(9)을 대고 볼트(10)를 끼운 다음 너트(11)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접속면 하부에는 비틀림 보강편(12a)이 형성된 제2 보강편(12)을 대고 볼트(10)를 끼운 다음 너트(11)를 체결하여 고정하며 측면은 브라켓(5)에 형성된 체결공(5d) 및 보스(5c)에 형성된 체결공(5d)를 통해 볼트(10)를 끼운 다음 너트(11)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브라켓(5)의 체결 개수는 운송수단(트럭 또는 트레일러 등)의 적재함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볼트 및 너트만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연결하던 종래의 해상구조물과는 달리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그 후, 브라켓(5)에 형성된 관통공(5a)으로 파이프(6)(6a)를 끼워 파이프(6)(6a)에 브라켓(5)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융착작업을 실시한 다음 파이프(6)(6a)의 끝단에 엔드 캡(7)(7a)을 각각 고정하여 단위 해상구조물(2)(3) 및 연결 해상구조물(4)을 완성하게 된다.
그 후, 상기 단위 해상구조물(2)(3)을 구성하는 브라켓(5)의 측면에 홀더(13)를 고정한 다음 상기 홀더의 개구부(13a)에 완충부재(14)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장에서 단위 해상구조물(2)(3) 및 연결 해상구조물(4)을 완성하고 나면 이들을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현장으로 운반한 다음 단위 해상구조물(2)(3)의 사이에 연결 해상구조물(4)을 직교된 형태로 배치하여 체결부재로 연결한 후 각 브라켓(5)의 상면에 발판(8)을 고정시키기만 하면 해상구조물(1)의 조립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즉, 설치현장에서 부품의 조립에 따른 융착작업을 하지 않고 기계적인 조립으로만 해상구조물(1)의 조립이 완료되므로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도 해상구조물의 조립이 가능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1 : 해상구조물 2, 3 : 단위 해상구조물
4 : 연결 해상구조물 5 : 브라켓
6, 6a : 파이프 7, 7a : 엔드 캡
8 : 발판 9 : 제1 보강편
12 : 제2 보강편 12a : 비틀림 보강편
13 : 홀더 14 : 완충부재
15 : 강도보강부재

Claims (6)

  1. 복수 개 설치되는 각 브라켓(5)의 관통공(5a)에 파이프(6)를 끼워 고정하고 상기 브라켓(5)의 상면에는 발판(8)을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해상구조물(1)을 복수 개로 분할 형성하여 단위 해상구조물(2)(3)을 구성하는 각각의 파이프(6) 끝단에 엔드 캡(7)을 고정하고 상기 단위 해상구조물(2)(3)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브라켓(5)에 고정된 파이프(6a)가 단위 해상구조물(2)(3)의 파이프(6)와 직교되게 위치하며 각 파이프(6a)의 끝단에는 또 다른 앤드 캡(7a)이 고정된 연결 해상구조물(4)을 위치시켜 상기 단위 해상구조물(2)(3) 및 연결 해상구조물(4)을 볼트(10) 및 너트(11)로 고정하며 상면에는 발판(8)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해상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해상구조물(4)을 구성하는 브라켓(5)을 복수 개 연결하여 상기 각 브라켓(5)의 관통공(5a)에 파이프(6a)가 끼워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해상구조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위 해상구조물(2)(3) 및 연결 해상구조물(4)을 구성하는 각 브라켓(5)에 체결공(5d)을 갖는 보스(5c)를 형성하여 브라켓(5)에 형성된 체결공(5d) 및 보스(5c)에 형성된 체결공(5d)을 통해 볼트(10) 및 너트(11)를 체결하여 단위 해상구조물(2)(3)의 사이에 연결 해상구조물(4)이 직교되게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해상구조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해상구조물(4)을 구성하는 브라켓(5)에 강도보강부재(15)를 연결 해상구조물(4)을 구성하는 파이프(6a)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해상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 해상구조물(2)(3) 및 연결 해상구조물(4)을 구성하는 브라켓(5)의 접속면 상면에 제1 보강편(9)을 대고 볼트(10) 및 너트(11)로 고정하고 접속면 하부에는 비틀림 보강편(12a)이 형성된 제2 보강편(12)을 대고 볼트(10) 및 너트(11)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해상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 해상구조물(2)(3) 및 연결 해상구조물(4)을 "-" , "ㄱ" , "T" , "E"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해상구조물.
KR1020150021415A 2015-02-12 2015-02-12 조립식 해상구조물 KR101719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415A KR101719049B1 (ko) 2015-02-12 2015-02-12 조립식 해상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415A KR101719049B1 (ko) 2015-02-12 2015-02-12 조립식 해상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754A KR20160099754A (ko) 2016-08-23
KR101719049B1 true KR101719049B1 (ko) 2017-03-23

Family

ID=5687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415A KR101719049B1 (ko) 2015-02-12 2015-02-12 조립식 해상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0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9233A1 (en) * 2020-09-04 2022-03-10 Jagd Holding Ab Inflatable platform assembly
WO2022049231A1 (en) * 2020-09-04 2022-03-10 Jagd Holding Ab Inflatable platform system
KR102562002B1 (ko) * 2021-04-29 2023-07-31 강흥묵 파이프형 부상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615B1 (ko) 2010-02-23 2010-09-30 유명화 해상구조물용 발판 고정유니트
KR100984575B1 (ko) 2010-02-23 2010-09-30 유명화 해상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180U (ko) * 2011-02-25 2012-09-05 김은숙 가두리 양식 브라켓
KR200466457Y1 (ko) * 2011-06-08 2013-04-16 (주)엠디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615B1 (ko) 2010-02-23 2010-09-30 유명화 해상구조물용 발판 고정유니트
KR100984575B1 (ko) 2010-02-23 2010-09-30 유명화 해상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754A (ko)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216B1 (ko) 조립식 해상구조물
KR100984575B1 (ko) 해상구조물
KR101719049B1 (ko) 조립식 해상구조물
KR101674453B1 (ko) 조립식 해상구조물
US6892502B1 (en) Space frame support structure employing weld-free, single-cast structural connectors for highway signs
KR100984615B1 (ko) 해상구조물용 발판 고정유니트
KR101070242B1 (ko) 연결식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부유해상구조물
JP5932404B2 (ja) コンテナハウスの結合構造
KR20140003834A (ko) 해상 지지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CN102561527A (zh) 一种钢结构建筑物梁、柱节点接口
KR101298679B1 (ko) 부력파이프 교차식 고강도 부잔교
CN101168381A (zh) 漂浮平台及构造该漂浮平台的方法
JP4958586B2 (ja) 籠体及び籠体の製造方法
KR102166383B1 (ko) 파일 가이드가 연결된 부잔교
KR101270949B1 (ko) 조립식 수상 부유구조물 연결체 및 그 연결체 어셈블리
KR200466457Y1 (ko)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KR102273223B1 (ko) 조립이 간편한 부력조립체
KR102562942B1 (ko) 해상 부유 구조물용 조립식 일체형 부력관 모듈
US20150048094A1 (en) Blanket installation method and blanket unit
KR200441485Y1 (ko) 해상부유구조물
KR102646403B1 (ko) 래싱 브리지
KR200478662Y1 (ko) 선박용 방현 장치
KR102605682B1 (ko) 래싱 브리지
KR102447517B1 (ko) 부유식 구조물
RU2536473C2 (ru) Балочный узел и промежуточный элем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