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589B1 -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589B1
KR101718589B1 KR1020140148206A KR20140148206A KR101718589B1 KR 101718589 B1 KR101718589 B1 KR 101718589B1 KR 1020140148206 A KR1020140148206 A KR 1020140148206A KR 20140148206 A KR20140148206 A KR 20140148206A KR 101718589 B1 KR101718589 B1 KR 101718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module
power
led
thermoelectric element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316A (ko
Inventor
전상락
최재한
Original Assignee
전상락
최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락, 최재한 filed Critical 전상락
Priority to KR1020140148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5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6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parallel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comb-like cross-section
    • F21V29/76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parallel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comb-like cross-section the planes containing the fins or blades having the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axi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등기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ED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열과 빛을 재사용하여 LED 등기구 장치의 전체 소모 전력를 감소시킬 수 있는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LED 등기구 장치는, LED 모듈과, LED 모듈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열과 하우징 외부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열발전소자와, 열발전소자를 통해 생성된 전력과 LED 모듈 구동에 사용된 전력을 비교하여 LED 모듈의 구동에 필요한 적정량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제어부와, 열발전소자를 통해 생성된 교류전류(AC)를 직류전류(DC)로 변환하여 LED 모듈에 공급하는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LED lamp apparatus with reusable function of energy}
본 발명은 에너지 재사용 기능을 가지는 LED 등기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ED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열과 빛을 재사용하여 LED 등기구 장치의 전체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조명기구에 사용되는 광원은 LED 소자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LED(Light-Emitting Diode)란, 전류가 인가되면 발광하는 다이오드로서 특정 원소의 반도체에 순방향 전압을 가하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접합부분을 통해 전자와 정공이 이동하면서 서로 재결합하는데 전자와 정공이 떨어져 있을 때보다 작은 에너지가 되므로 이때 발생하는 에너지의 차이로 인해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이다.
이와 같은 LED 소자는 저전압에서 구동할 수 있는 발광소자로서, 다른 발광체에 비하여 수명이 길며 소비전력이 낮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 충격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표시용도를 중심으로 응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LED의 고휘도화에 따라 최근 들어 옥외 표시기로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초창기에는 낮은 휘도와 색상이 한정된 단점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고휘도 청색 LED가 개발되어 자연스러운 총 천연색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청색 LED가 적색 및 녹색 LED와 결합함에 따라 모든 색상의 표시가 가능해져서, 긴 수명, 고휘도, 및 고시각의 특성을 지니는 디스플레이, 교통신호, 전광판, 조명기구등의 부품으로 이용됨으로써 현재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기존의 고휘도 LED에 비해 최소 10배 이상의 휘도를 나타내는 파워 LED의 경우 벽매립등, 실내등, 지중등, 투광등, 파워라이너 등의 경관 조명이나 LED 후레쉬 등의 특수조명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LED는 발광 동작시 발열량이 많아 그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과도한 열은 LED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고 발광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LED 소자가 내장된 기존의 LED 조명장치에서는 LED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LED 소자를 조명장치의 케이스 내부면에 부착하는 한편 케이스 외면에 다수의 방열핀을 설치함으로서 LED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LED 조명장치에 구비되는 LED 소자는 다른 발광체, 예를 들어 HID(High intensity discharge)나 백열전구 등의 발광체에 비해 수명이 길고 소비전력이 낮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LED 소자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의 약 80%이상이 열로 소모되고 20% 미만의 에너지만이 빛으로 변환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이렇게 변환된 빛 중에서도 약 40% 이상이 허공으로 날아가게 되는 무효 광(光)이 되기 때문에 상당 부분의 빛이 허비되고 있는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19317(2013.01.0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LED에서 발생되는 열과 LED 케이스 외부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열발전소자를 통해 전력을 생성하는 한편 허공으로 발산되는 빛을 태양전지를 통해 전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열발전소자 및 태양전지를 통해 생산된 각 전력과 상용전력을 비교하여 자체 생산된 전력만큼 상용전력을 줄이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의 절감이 가능하도록 한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LED 등기구 장치는, LED 모듈과, LED 모듈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열과 하우징 외부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열발전소자와, 열발전소자를 통해 생성된 전력과 LED 모듈 구동에 사용된 전력을 비교하여 LED 모듈의 구동에 필요한 적정량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제어부와, 열발전소자를 통해 생성된 교류전류(AC)를 직류전류(DC)로 변환하여 LED 모듈에 공급하는 컨버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LED 모듈과 열발전소자 사이에는 LED 모듈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을 열발전소자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탄소나노페이퍼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LED 모듈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전력으로 변환해주기 위한 태양전지판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태양전지판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는 LED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다수의 방열핀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발전소자는 방열핀이 설치된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발전소자가 방열핀이 설치된 하우징의 전면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LED 모듈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열과 하우징 외부와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열발전소자를 통해 전력을 발생시키고, LED 모듈로부터 허공으로 발산되는 빛을 태양전지판을 통해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한편, 상기 열발전소자 및 태양전지판을 통해 각각 생산된 전력량을 비교하여 신규 생산된 전력량만큼 LED 모듈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줄이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의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LED 모듈과 열발전소자 사이에 탄소나노페이퍼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LED 모듈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을 상기 열발전소자로 신속하게 전달하여 열손실을 줄이면서 열반전소자를 통한 전력 생산량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잇다.
또한, 상기 LED 모듈의 양 측면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LED 모듈로부터 방사되어 허공으로 손실되는 빛까지 전력으로 변환시켜 전력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태양전지판을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게 되면, 필요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빛의 입사량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력생산량의 증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에 다수의 방열핀을 설치함으로써, LED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방열핀을 통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LED 모듈을 과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LED 모듈과 하우징 외부와의 온도차를 크게 하여 열발전소자에 의한 전력 생산량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발전소자를 방열핀이 설치된 하우징의 전면에 매립된 상태로 일체로 설치함에 따라, 열발전소자와 하우징과의 별도 조립공정이 필요치 않게 되고, 상기 열발전소자가 매립된 하우징의 전면이 평평한 평면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탄소나노페이퍼 또는 LED 모듈의 부착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등기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등기구 장치에서 LED 모듈과 외부케이스 사이에 열발전소자 및 탄소나노페이퍼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등기구 장치에서 LED 모듈 주변에 태양전지판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등기구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LED 등기구 장치(100)는, 빛을 발생하는 LED 모듈(110)과, LED 모듈(110)의 점등시 발생하는 고온의 열과 하우징(114) 외부와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열발전소자(120)와, 열발전소자(120)를 통해 발생한 전력량과 LED 모듈(110)의 점등시 사용되는 전력량을 비교하여 LED 모듈(110)의 구동에 필요한 적정량의 전력을 상기 LED 모듈(110)에 공급하는 전력 제어부(130)와, 열발전소자(120)를 통해 발생된 교류전류(AC)를 직류전류(DC)로 변환하여 LED 모듈(110)로 공급하는 컨버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LED 모듈(110)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PCB)으로는 열 방사율이 뛰어난 알루미나(Al2O3) 소재가 사용되어 LED의 점등시 발생되는 열을 열발전소자(120)로 신속하게 방사함으로써 열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열발전소자(120)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 또는 반도체의 접합부 상호 간의 온도차에 의하여 열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제베크 효과(See beck effect) 이용한다.
상기 제베크 효과는 다른 말로 열전효과(Thermoelectric effect)라고도 부르며, 상기 열전효과는 열과 전기가 동시에 관계하는 현상을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서, 열과 전기 사이의 에너지 변화를 의미하며, 열발전소자(120)의 양단에 온도차가 발생할 때 열발전소자(120) 내부의 캐리어(carrier)가 이동함으로써 기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발생한 기전력을 열기전력이라고 한다.
즉, 이종금속을 접합시킨 폐회로 내에서 양단의 온도를 Ta, Tb라 할 때, 양단 간의 온도차(ΔT=ΔTa-Tb)가 발생하면, 이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력량은 다음과 같은 공식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P(w) = αㆍ(α/6.4+0.53A)ㆍ(ΔT)2
여기서, A 는 변환면적(㎡), α는 제베크 계수, P는 전력(W), ΔT는 양단 온도차를 말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열발전소자(120)는 그 전면(도면의 하면)과 배면(도면의 상면)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할 경우 제베크 효과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되어 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열발전소자(120)의 양단 간의 온도차가 클 경우 발생되는 전력량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전력 제어부(130)는 열발전소자(120)를 통해 발생한 전력량을 기초로 하여 LED 모듈(11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전력 제어부(130)는 열발전소자(120)를 통해 발생한 전력량과 LED 모듈(110)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력량을 내부의 논리 비교기(Logic Compare)를 통해 비교하여 LED 모듈(110)의 구동에 필요한 적정량의 전력을 산정하고 이를 상기 LED 모듈(110)에 공급하게 된다.
컨버터(Converter)(140)는 상용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써, 정격 전압과 전류로 LED 모듈(110)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컨버터(140)는 전력 제어부(130)의 논리 비교기의 신호를 받아 자체에서 생산된 전력을 제외한 전력만큼만 LED 모듈(110)에 공급할 수 있는 콘트롤러(Conroler)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한편, LED 모듈(110)과 열발전소자(120) 사이에는 LED 모듈(11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열발전소자(120)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탄소나노페이퍼(150)가 설치된다.
상기 탄소나노페이퍼(150)는 열저항이 거의 "0"인 소재로서, LED 모듈(110)에서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열발전소자(120) 측으로 전달해 줌으로써 중간에서의 열손실을 줄여 열발전소자(120)를 통한 발전효율을 증대시키고 열 방출을 극대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LED 모듈(110)에서 발생된 고온(약 120℃)의 열이 탄소나노페이퍼(150)를 통하여 열저항 없이 바로 열발전소자(120) 전면으로 전달되고, 열발전소자(120)의 배면은 하우징(114) 후면에 형성된 다수의 방열핀(116)을 통해 외부로 열이 발산되기 때문에, 열발전소자(120)의 전면과 배면 사이에는 약 90℃의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며, 양단 간의 온도차 발생으로 인한 제베크 효과(Seebeck effect)로 인해 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열발전소자(120)의 양단(전면과 배면) 간의 온도차가 클수록 전력발생량도 함께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열발전소자(120)의 양단 간 온도차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열 저항이 거의 없는 탄소나노페이퍼(150)를 LED 모듈(110)과 열발전소자(120)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LED 모듈(110)에서 발생된 열이 열발전소자(120)의 전면에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발전소자(120)의 배면은 방열핀(116)이 형성된 하우징(114)의 전면과 일체가 되도록 열 전도 크림을 사용하여 매립된 형태로 접착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14)의 방열핀(116)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열을 배출시킴으로써 온도차를 극대화하여 전력발생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등기구 장치(100)에서 열발전소자(120) 및 탄소나노페이퍼(150)의 구체적인 설치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발전소자(120)는 다수 개로 구비되어 하우징(114)의 전면(도면의 하면)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열발전소자(120)가 매립된 상기 하우징(114)의 전면에는 탄소나노페이퍼(150)와 LED 모듈(110)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물 형태로 패키지화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열발전소자(120) 하우징(114)의 전면에 매립된 상태로 일체로 설치하게 되면, 열발전소자(120)와 하우징(114)과의 조립공정이 별도로 필요치 않게 되고, 또한, 상기 열발전소자(120)가 매립된 하우징(114)의 전면이 평평한 평면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탄소나노페이퍼(150) 및 LED 모듈(110)의 부착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LED 모듈(110)에서 발생되는 빛 중에서 많은 양의 빛이 유효하게 사용되지 않고 허공으로 발산된다. 이렇게 허공으로 발산되는 무효 광(光)은 약 40%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낭비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허공으로 발산되는 무효 광을 수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도록 하는 태양전지판(160)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LED 등기구 장치(100)에서 LED 모듈(110) 주변에 태양전지판(160)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ED 등기구 장치(100)에는 LED 모듈(110)로부터 방사되는 빛 중 허공으로 방사되는 무효 광을 모아 전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태양전지판(160)이 설치된다.
이러한 태양전지판(160)은 열발전소자(120)와 함께 병행 설치되어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전력생산장치이다.
이와 같은 태양전지판(160)은 단결정 실리콘 셀(Cell)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최대효율은 23%로서, LED 등기구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상용전력을 150W로 기준으로 할 경우, 300×100mm 크기를 갖는 태양전지판(160) 두 장을 LED 모듈(110) 양쪽에 설치할 때 발생되는 전력량은 약 10W로서, 상용전력 대비 약 7% 정도의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태양전지판(160)은 LED 모듈(110)의 좌우 양단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노면을 비추는 조사각을 설정한 후 무효 광(光)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기간 사용시 태양전지판(160)의 표면에 먼지 등의 오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산화타이타늄(TiO2) 코팅액(광촉매)으로 코팅하여 광분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LED 모듈(110)의 양 단에 태양전지판(160)을 설치함으로써, LED 모듈(110)로부터 방사되어 허공으로 손실되는 빛까지 전력으로 변환시켜 전력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태양전지판(160)을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필요시 상기 태양전지판(160)의 경사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태양전지판(160)으로 입사되는 빛의 입사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력생산량의 증대 및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하우징(114)의 후면(도면의 상면)에는 LED 모듈(11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다수의 방열핀(116)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114)의 후면에 다수의 방열핀(116)이 설치됨에 따라, LED 모듈(11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방열핀(116)을 통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LED 모듈(110)을 과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LED 모듈(110)과 하우징(114) 외부와의 온도차를 크게 하여 열발전소자(120)에 의한 전력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등기구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블럭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블럭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LED 등기구 장치 구동용 회로는 기존의 상용 컨버터 회로(20)에서 전력 제어(Power control) 기능을 갖는 신규 컨버터 회로(200)가 추가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기존의 상용 컨버터 회로(20)에 전술된 열발전소자(120), 태양전지판(160), 논리 비교기(130), 부하제어회로(170)가 추가적으로 회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열발전소자(120)에서 생성된 전력과 태양전지판(160)에서 생성된 전력을 LED 모듈(110)의 구동에 필요한 상용 부하전력과 비교하여 자체 생성된 전력만큼 상용전원(콘버터)에서 감함으로써 입력전력을 감소시켜 전력 세이브(sav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LED 컨버터(20)에 부하제어회로(170) 및 전력비교회로(Logic Compare)(130)를 추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열발전소자(120) 및 태양전지판(160)에서 각각 발생된 전력을 전력비교회로(130)를 통해 비교하여 상기 부하제어회로(17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재생산된 전력만큼 상용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절약되는 전력량은 150W짜리 LED 등기구 장치(100)를 기준으로 아래와 같은 전력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열발전소자의 전력발생량 20W + 태양전지판의 전력발생량 10W = 30W
LED 등기구 소비전력 150W - 재생산된 전력량 30W = 120W
따라서, 상용전력 대비 약 20%이상의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ED 모듈(110)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열과 하우징(114) 외부와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열발전소자(120)를 통해 전력을 발생시키고, LED 모듈(110)로부터 허공으로 발산되는 무효 광을 태양전지판(160)을 통해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한편, 상기 열발전소자(120) 및 태양전지판(160)을 통해 생산된 각 전력량을 상용전력량과 비교하여 LED 모듈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함으로써 자체 재생산된 전력량 만큼 공급 전력량을 줄일 수 있는 에너지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효율적인 자체 열관리로 인해 LED의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친환경적인 조명기구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 LED 등기구 장치 110 : LED 모듈
114 : 하우징 116 : 방열핀
120 : 열발전소자 130 : 전력제어부
140 : 컨버터 150 : 탄소나노페이퍼
160 : 태양전지판 170 : 부하제어회로

Claims (7)

  1. LED 모듈(110);
    상기 LED 모듈(110)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열과 하우징(114) 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열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열발전소자(120);
    상기 열발전소자(120)를 통해 생성된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LED 모듈(11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부(130);
    상기 열발전소자(120)를 통해 생성된 교류전류(AC)를 직류전류(DC)로 변환하여 상기 LED 모듈(110)에 공급하는 컨버터(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력 제어부(130)는 상기 열발전소자(120)를 통해 생성되는 전력량과 상기 LED 모듈(110) 구동에 사용되는 전력량을 내부의 논리 비교기(Logic Compare)를 통해 비교하여 상기 LED 모듈(110)의 구동에 필요한 적정 전력량을 산정하고 이를 상기 LED 모듈(110)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LED 모듈(110)과 열발전소자(120) 사이에는 상기 LED 모듈(110)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열발전소자(120)의 전면 측으로 신속하게 전달하여 상기 열발전소자(120)의 전면과 배면 양단 간 온도차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탄소나노페이퍼(1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110)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전력으로 변환해주는 태양전지판(16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판(16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4)에는 상기 LED 모듈(11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핀(11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발전소자(120)는 상기 방열핀(116)이 설치된 하우징(114)과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발전소자(120)는 상기 방열핀(116)이 설치된 하우징(114)의 전면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
KR1020140148206A 2014-10-29 2014-10-29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 KR101718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206A KR101718589B1 (ko) 2014-10-29 2014-10-29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206A KR101718589B1 (ko) 2014-10-29 2014-10-29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316A KR20160050316A (ko) 2016-05-11
KR101718589B1 true KR101718589B1 (ko) 2017-03-22

Family

ID=5602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206A KR101718589B1 (ko) 2014-10-29 2014-10-29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1357A (zh) * 2018-05-31 2018-12-18 黄开荣 一种路灯控制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804B1 (ko) * 2014-03-11 2014-05-16 박일권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JP2014164832A (ja) * 2013-02-22 2014-09-08 Sodick Co Ltd 投光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826B1 (ko) * 2003-09-02 2006-01-26 조준호 조명등의 빛을 이용한 추가조명등의 점등방법
KR101038414B1 (ko) * 2008-10-30 2011-06-01 (주)대광라이텍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219317B1 (ko) 2011-09-21 2013-01-09 김종일 방열 기능이 보강된 led 등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4832A (ja) * 2013-02-22 2014-09-08 Sodick Co Ltd 投光器
KR101395804B1 (ko) * 2014-03-11 2014-05-16 박일권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1357A (zh) * 2018-05-31 2018-12-18 黄开荣 一种路灯控制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316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0318B2 (en) Light-emitting diode cluster lamp
US7980725B2 (en) Solar energy street lamp structure with air passageway
US20130083516A1 (en) High-power optical element street lamp using thermocouple
US20110031887A1 (en) Led lighting system
KR100671851B1 (ko) 에너지 절약형 엘이디
CN105782890A (zh) Led自发电灯具及其应用
CN202484755U (zh) Led射灯
CN101625078A (zh) 一种节能型led强光装置
KR101718589B1 (ko) 에너지 재사용이 가능한 led 등기구 장치
KR101470867B1 (ko) 외부 방열구조를 갖는 엘이디장치
KR20140075240A (ko) 조명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장치
CN106287549A (zh) 一种温差发电节能转换器
JP6042637B2 (ja) Led照明システム
CN203309686U (zh) 节电led隧道灯
KR101372252B1 (ko) 방열성·절전율이 우수한 다기능 led 등기구
CN111901949A (zh) 可热电转换回流的节能系统
KR20100019624A (ko) 솔라셀 내장형 led조명기구
CN201724181U (zh) 大功率led散热模组
KR20150111189A (ko) 엘이디 어셈블리의 케이스
KR100999032B1 (ko) 엘이디 조명 장치
KR20120111304A (ko) 엘이디 조명기구
CN201628142U (zh) 一种led路灯
CN202040682U (zh) 一种大功率led路灯照明装置
KR20180102296A (ko) Led 발열 에너지를 전원으로 재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고안
CN201779562U (zh) 一种带散热片的led路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