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579B1 - 흡수 시트 구성체 - Google Patents

흡수 시트 구성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579B1
KR101718579B1 KR1020127026477A KR20127026477A KR101718579B1 KR 101718579 B1 KR101718579 B1 KR 101718579B1 KR 1020127026477 A KR1020127026477 A KR 1020127026477A KR 20127026477 A KR20127026477 A KR 20127026477A KR 101718579 B1 KR101718579 B1 KR 10171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sheet
absorbent
sheet construct
nonwoven fabric
constr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059A (ko
Inventor
준이치 다카토리
히데키 마츠시타
준 사카타
하루카 이나바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67297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1857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absorbent material located in discrete regions, e.g. p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polydienes homopolymers or poly-halodienes hom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Abstract

흡수성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친수성 부직포에 의해 그 흡수층의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협지된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 구성체로서, 그 흡수 시트 구성체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1 면에 엠보스가 실시되고, 이하의 특성 [생리 식염수를, 그 흡수 시트 구성체 1 ㎡ 당 4 ℓ (4 ℓ/㎡) 흡수시켰을 때, 다음의 관계 (A) 및 (B) 의 양방을 만족하는 것 (단, T1 은 생리 식염수 흡수 전의 흡수 시트 구성체 두께 (㎜), T2 는 생리 식염수 흡수 후의 흡수 시트 구성체 두께 (㎜), t2 는 생리 식염수 흡수 후의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엠보스 두께 (㎜) 이다) ; (A) 팽창 두께비 (T2/T1) 가 2 이상 ; (B) 팽창 엠보스 깊이 [(T2-t2)/T2] 가 0.7 이상]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시트 구성체.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액체 흡수 전이나 흡수 후에 형태 붕괴를 일으키지 않고, 또한 우수한 액체 침투성, 적은 액 누출량 등의 흡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흡수 시트 구성체{WATER-ABSORBENT SHEET STRUCTURE}
본 발명은, 위생 재료 분야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흡수 시트 구성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박형이며 종이 기저귀,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흡수 시트 구성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흡수 시트 구성체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종이 기저귀,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이 기저귀 등으로 대표되는 흡수성 물품은, 체액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가, 몸에 접하는 측에 배치된 유연한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 (탑 시트) 와, 몸과 접하는 반대측에 배치된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 시트 (백 시트) 에 의해 협지된 구조를 갖는다.
종래, 디자인성, 휴대시에 있어서의 편리성, 유통시에 있어서의 효율 등의 관점에서, 흡수성 물품의 박형화, 경량화에 대한 요구는 높아지고 있었다. 또한, 최근, 환경 보전의 관점에서,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수목과 같은 성장에 장기간을 요하는 천연 소재의 사용을 최대한 회피하는, 이른바 에코·프렌들리한 지향에 니즈가 모이고 있다.
그래서, 목재의 해쇄 펄프 섬유 등이 매우 적고, 기본적인 성능 (빠른 액체 침투 속도, 충분한 액체 흡수능, 적은 액체 역복귀량, 적은 액 누출량, 형태 유지성 등) 이 우수하고, 박형화를 달성한 흡수 시트 구성체로서, 소정량의 흡수성 수지 및 소정량의 핫멜트 접착제가, 2 장 이상의 소정의 겉보기 중량을 갖는 친수성 부직포에 의해 협지된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 구성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가 제안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상기 흡수체에 있어서는, 흡수 속도 및 피트성, 그리고 형태 붕괴 방지 효과를 개량하기 위해서, 엠보스를 실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국제 공개 WO2010/004894호 팜플렛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300922호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흡수 시트 구성체는, 상기 기본적인 성능이 충분히 우수한데, 특히 빠른 액체 침투 속도, 적은 액 누출량, 형태 유지성에 있어서 더욱 우수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제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에, 특허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는 엠보스를 실시해 보았는데, 흡수 시트 구성체가 액체를 흡수했을 때, 흡수층 중의 흡수성 수지가 액체를 흡수하여 팽윤되는 것을 상기 엠보스가 저해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의 액체 흡수능이 나빠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 상기 흡수성 수지의 팽윤에 의해, 엠보스가 없어지고, 다음으로 발생하는 액체의 흡수에 엠보스가 유효하게 작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 것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액체 침투성, 적은 액 누출량, 형태 유지성이 우수하고, 박형화를 달성한 흡수 시트 구성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1] 흡수성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친수성 부직포에 의해 그 흡수층의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협지된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 구성체로서, 그 흡수 시트 구성체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1 면에 엠보스가 실시되고 이하의 특성 :
생리 식염수를, 그 흡수 시트 구성체 1 ㎡ 당 4 ℓ (4 ℓ/㎡) 흡수시켰을 때, 다음의 관계 (A) 및 (B) 의 양방을 만족하는 것 (단, T1 은 생리 식염수 흡수 전의 흡수 시트 구성체 두께 (㎜), T2 는 생리 식염수 흡수 후의 흡수 시트 구성체 두께 (㎜), t2 는 생리 식염수 흡수 후의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엠보스 두께 (㎜) 이다).
(A) 팽창 두께비 (T2/T1) 가 2 이상
(B) 팽창 엠보스 깊이 [(T2-t2)/T2] 가 0.7 이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시트 구성체 ; 그리고
[2] 상기 [1] 에 기재된 흡수 시트 구성체를, 액체 투과성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협지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 ;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박형이어도, 형태 유지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액체 흡수 전이나 흡수 후에 형태 붕괴를 일으키지 않고, 또한 우수한 액체 침투성, 적은 액 누출량 등의 흡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를 종이 기저귀 등의 흡수체로서 사용함으로써, 얇고 외관의 의장성이 우수함과 함께, 액 누출 등의 문제가 없는 위생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위생 재료 분야 이외에, 농업 분야나 건재 분야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생리 식염수 흡수 전 (건조 상태) 의 흡수 시트 구성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생리 식염수 흡수 후의 흡수 시트 구성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엠보스 도형 (패턴) 의 일례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엠보스 도형 (패턴) 의 다른 일례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엠보스 도형 (패턴) 의 다른 일례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엠보스 도형 (패턴) 의 다른 일례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엠보스 도형 (패턴) 의 다른 일례이다.
도 8 은 흡수 시트 구성체의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시험을 실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흡수성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친수성 부직포에 의해 그 흡수층의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협지된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 구성체이고, 그 흡수 시트 구성체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1 면에 엠보스가 실시되고, 그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특정한 두께 조건 및 특정한 엠보스 유지 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빠른 액체 침투 속도, 적은 액 누출량, 형태 유지성이 우수한 박형의 흡수 시트 구성체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펄프 섬유 등의 친수성 섬유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의 양으로, 친수성 부직포 사이에 흡수성 수지와 함께 혼재되어 있는 양태여도 되는데, 박형화의 관점에서는, 실질적으로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양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로는, 공지된 흡수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가수 분해물,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중합체의 중화물, 아세트산비닐-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흡수성 수지 중에서는, 생산량, 제조 비용이나 흡수 성능 등의 관점에서,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을 합성하는 방법으로는, 역상 현탁 중합법 및 수용액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법 중에서도, 얻어지는 입자의 유동성의 양호함이나 미세 분말의 적음, 액체 흡수 용량 (보수능, 유효 흡수량, 하중하에서의 흡수능 등의 지표로 나타낸다) 이나 흡수 속도 등의 흡수 성능이 높다는 관점에서,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폴리아크릴산 부분 중화물의 중화도는, 흡수성 수지의 삼투압을 높이고, 흡수 능력을 높이는 관점에서, 50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 90 몰%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은,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가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었을 때 충분한 액체 흡수 성능을 얻는 관점에서, 흡수 시트 구성체의 1 ㎡ 당 바람직하게는 100 ∼ 1000 g (즉 100 ∼ 1000 g/㎡)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8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700 g/㎡ 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20 ∼ 600 g/㎡ 이다. 흡수 시트 구성체로서의 충분한 액체 흡수 성능을 발휘시키고, 액체의 역복귀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당해 함유량은 10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겔 블로킹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로서 액체의 확산 성능을 발휘시키고, 또한 액체의 침투 속도를 개선시키는 관점에서, 당해 함유량은 10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사용되는 친수성 부직포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친수성 부직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체 침투성, 유연성 및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로 했을 때의 형태 유지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등의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섬유, 레이온 섬유, 그 밖의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부직포나, 면, 견, 마, 펄프 (셀룰로오스) 섬유 등이 혼합되어 제조된 친수성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친수성 부직포 중에서도, 흡수 시트 구성체의 형태 유지성을 높이는 등의 관점에서, 합성 섬유의 친수성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레이온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합성 섬유의 친수성 부직포에는, 얻어지는 흡수 시트 구성체의 두께를 증대시키지 않을 정도로, 소량의 펄프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의 친수성 부직포는, 상기 섬유의 단독의 친수성 부직포여도 되고, 2 종 이상의 섬유를 조합한 친수성 부직포여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 시트 구성체의 형태 유지성을 높이고, 흡수성 수지의 구멍 뚫림에 의한 탈락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들의 혼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섬유로부터 제조되는 스펀본드 부직포가 보다 바람직하고, 또, 흡수 시트 구성체를 형성했을 때의 액체 흡수 성능, 유연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레이온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도,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직포로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중에서도, 폴리올레핀 섬유의 다층 구조인,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S) 부직포, 및 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 (SMMS) 부직포가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SMS 부직포, SMMS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한편, 상기 스펀레이스 부직포로는, 주성분인 레이온 섬유에 폴리올레핀 섬유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적절히 배합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레이온-PET 부직포, 레이온-PET-PE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부직포에는, 흡수 시트 구성체의 두께를 증대시키지 않을 정도로 소량의 펄프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는,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양호한 액체 액침투성, 유연성, 형태 유지성이나 쿠션성을 부여하는 것, 및 흡수 시트 구성체의 액체 침투 속도를 빠르게 하는 관점에서, 적당히 부피가 크고, 겉보기 중량이 큰 친수성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그 겉보기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5 ∼ 300 g/㎡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 100 g/㎡,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 50 g/㎡ 이다. 또, 친수성 부직포의 두께로는, 바람직하게는 200 ∼ 1500 ㎛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 1200 ㎛ 의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 1000 ㎛ 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 얻어지는 흡수 시트 구성체의 형태 유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흡수층은 추가로 접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계, 부틸 고무계, 폴리이소프렌 등의 고무계 접착제 ;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SIS),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SBS),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SI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EBS) 등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접착제 ;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접착제 ;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EEA), 에틸렌-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EBA) 등의 에틸렌-아크릴산 유도체 공중합계 접착제 ;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EAA) 접착제 ; 공중합 나일론, 다이머산 베이스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어택틱폴리프로필렌, 공중합 폴리올레핀 등의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및 아크릴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접착제 중에서도, 접착력이 강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친수성 부직포의 박리나 흡수성 수지의 산일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접착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및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의 접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접착제의 용융 온도 또는 연화점은, 흡수성 수지를 친수성 부직포에 충분히 고정시킴과 함께, 친수성 부직포의 열 열화나 변형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0 ∼ 18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150 ℃ 이다.
또, 상기 접착제의 유지력은, 사용하는 친수성 부직포 등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흡수 시트 구성체가 액체를 흡수했을 때의 엠보스의 형상 유지성이나 효과 지속성의 관점에서, 1000 분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0 분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0 분간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착제의 유지력은,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따라 평가한 값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함유량은, 상기 흡수성 수지의 함유량 (질량 기준) 의 0.05 ∼ 2.0 배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8 ∼ 1.5 배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 1.0 배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충분한 접착에 의해 친수성 부직포의 박리나 흡수성 수지의 산일을 방지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의 형태 유지성을 높이고, 또한 엠보스의 형상 유지성이나 효과 지속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접착제의 함유량은 0.05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이 지나치게 강해지는 것에 의한 흡수성 수지의 팽윤 저해를 회피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의 액체 침투 속도나 액 누출을 개선시키는 관점에서, 접착제의 함유량은 2.0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친수성 부직포 사이에 형성되는 흡수층이, 적어도 흡수성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친수성 부직포 상에서 흡수성 수지와 접착제의 혼합 분말을 균일하게 산포하고, 추가로 친수성 부직포를 중첩하여, 접착제의 용융 온도 부근에서 가열하는 것, 필요하면 압력하에서 가열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접착제를 도포한 친수성 부직포 상에, 흡수성 수지를 균일하게 산포한 후, 접착제를 도포한 친수성 부직포를 추가로 중첩하고, 필요하면 압력하에서 가열하는 것, 또는 친수성 부직포 사이에 흡수성 수지를 사이에 끼운 후, 열엠보스 등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도,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a) 친수성 부직포 상에, 흡수성 수지와 접착제의 혼합 분말을 균일하게 산포하고, 추가로 친수성 부직포를 중첩하여, 접착제의 용융 온도 부근에서 가열 압착한다.
(b) 친수성 부직포 상에, 흡수성 수지와 접착제의 혼합 분말을 균일하게 산포하고, 가열로를 통과시켜 분말이 산일되지 않을 정도로 고정시킨다. 이것에 친수성 부직포를 중첩하여, 가열 압착한다.
(c) 친수성 부직포 상에, 접착제를 용융 도포한 직후, 흡수성 수지를 균일하게 산포하여 층을 형성시키고, 또한 상부로부터 접착제를 용융 도포한 친수성 부직포를, 접착제의 도포면이 산포된 흡수성 수지층측을 향하도록 상부로부터 중첩하여 롤 프레스 등을 사용해서 가압하고, 필요하면 가열하여 압착한다.
(d) 친수성 부직포 상에, 흡수성 수지를 균일하게 산포하고, 추가로 친수성 부직포를 중첩하여, 가열 엠보스를 실시함으로써, 친수성 부직포끼리를 가열 압착한다.
예를 들어, 이들 (a) ∼ (d) 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흡수 시트 구성체를 제조함으로써, 흡수성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2 장의 친수성 부직포에 의해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협지된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을 수 있다. 이들 방법 중에서도, 제조 방법의 간편함과 제조 효율이 높은 관점에서, (a), (c), (d) 의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a) ∼ (d) 에 예시된 방법을 조합하여, 흡수 시트 구성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친수성 부직포의 장 수로는, 2 장 이상이 바람직하고, 2 장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소취제, 항균제나 겔 안정제 등의 첨가제가 적절히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1 면에 엠보스가 실시되어 있고, 양면에 엠보스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실시되는 엠보스의 도형 (패턴)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점상 (예를 들어, 도 3 참조), 직선 (예를 들어, 도 4 및 5 참조), 곡선, 파형 및 그것들을 조합한 도형 (예를 들어, 도 6 및 7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도형 중에서도, 얻어지는 흡수 시트 구성체가, 빠른 액체 침투 속도, 적은 액 누출량을 달성하는 관점에서, 도 6 및 7 의 도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실시되는 엠보스의 면적률은, 당해 흡수성 시트 구성체의 엠보스가 실시된 면의 면적의 3 ∼ 25 %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20 % 의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5 % 의 범위이다. 엠보스부에서 액체의 확산을 촉진하고, 액체의 침투 속도를 빠르게 하는 관점, 흡수성 수지의 흡수 시트 구성체에 대한 고정화에 의한 흡수 시트 구성체의 형태 붕괴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엠보스의 면적률은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액체가 흡수 시트 구성체에 흡수되기 전에 생길 수 있는 확산을 방지하여, 흡수 시트 구성체로부터의 액 누출을 방지하는 관점, 흡수성 수지의 팽윤을 저해하지 않는 관점, 또 얻어지는 흡수 시트 구성체의 텍스처를 부드럽게 하는 관점에서, 엠보스의 면적률은 2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엠보스를 실시하는 방법으로는, 압력, 열, 초음파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그것들을 조합한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엠보스를 실시할 때,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압착할 때 직접 엠보스를 실시해도 되고, 한번 엠보스를 실시하기 전의 흡수 시트 구성체를 제조한 후, 별도 엠보스를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생리 식염수를, 그 흡수 시트 구성체 1 ㎡ 당 4 ℓ (4 ℓ/㎡) 흡수시켰을 때, 다음의 관계 (A) 및 (B) 의 양방을 만족시키는 것에 하나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단, T1 은 생리 식염수 흡수 전의 흡수 시트 구성체 두께 (㎜), T2 는 생리 식염수 흡수 후의 흡수 시트 구성체 두께 (㎜), t2 는 생리 식염수 흡수 후의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엠보스 두께 (㎜) 이며,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평가한 값이다.
(A) 팽창 두께비 (T2/T1) 가 2 이상.
(B) 팽창 엠보스 깊이 [(T2-t2)/T2] 가 0.7 이상.
상기 팽창 두께비는, 흡수 시트 구성체가 액체를 흡수했을 때, 엠보스 주변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의 팽윤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팽창 두께비는 2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 ∼ 2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15 이다. 팽창 두께비가 2 미만인 경우, 흡수층 중의 흡수성 수지가 액체를 흡수하여 팽윤될 때, 흡수층의 상방 및 하방의 친수성 부직포에 내려 눌려진 상태가 되고, 흡수성 수지의 팽윤이 저해되고, 흡수 시트 구성체의 흡수 능력이 저하되어, 액 누출이 발생되기 쉬워진다.
상기 팽창 엠보스 깊이는, 흡수 시트 구성체가 액체를 흡수했을 때, 엠보스의 형상 유지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팽창 엠보스 깊이는 0.7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8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이상이다. 팽창 엠보스 깊이가 0.7 미만인 경우, 흡수 시트 구성체가 액체를 흡수하여 팽창됐을 때, 엠보스의 형상이 없어지고, 다음으로 발생하는 액체 흡수시에, 엠보스가 유효하게 작용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엠보스의 형상이 없어짐으로써,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액체의 침투 속도가 늦어지거나, 흡수 시트 구성체가 형태 붕괴된다.
상기의 T1, T2 및 t2 를 원하는 정도로 설정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흡수층의 흡수성 수지량과 접착제량 및 흡수 시트 구성체에 실시하는 엠보스의 면적률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T1 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친수성 부직포의 두께나 흡수성 수지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T2 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엠보스의 면적률을 작게 하는 것이나, 흡수성 수지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그 값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t2 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접착제의 양을 늘리거나, 보다 유지력이 강한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그 값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의 흡수층의 전체면 또는 일부를, 적합한 통기성 분획층을 사용하고, 수직 방향 (시트 구성체의 두께 방향) 으로, 상방의 1 차 흡수층과 하방의 2 차 흡수층으로 분획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흡수 시트 구성체의 액체 흡수 성능, 그 중에서도 경사에 있어서의 액 누출이 비약적으로 개선된다.
상기 통기성 분획층은, 적절한 통기성과 통액성을 갖는데, 흡수성 수지와 같은 입자상물이 실질적으로 통과하지 않는 층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PE, PP섬유로 이루어지는 세공을 갖는 네트 등의 망상물, 퍼포레이티드 필름 등의 다공질 필름, 티슈 페이퍼 등의 위생 용지, 펄프/PE/PP 로 이루어지는 에어레이드형 부직포 등의 셀룰로오스 함유 합성 섬유 부직포, 혹은 레이온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얻어지는 흡수 시트 구성체의 성능면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수층을 협지하는 상기 부직포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2 차 흡수층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의 사용량은, 1 차 흡수층의 흡수성 수지의 사용량에 대해, 0.01 ∼ 1.0 배 (질량비)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 0.8 배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 0.5 배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 차 흡수층의 액체 흡수성을 충분히 발휘하고, 액 누출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0.01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흡액 후에 있어서의 표면에서의 드라이감을 높이고, 역복귀를 적게 하는 관점에서, 1.0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액체 흡수 성능은,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흡수 성능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1 차 흡수층의 흡수성 수지는, 흡수 시트 구성체의 각 성분의 구성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범위의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2 차 흡수층의 흡수성 수지는, 1 차 흡수층의 흡수성 수지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일방의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가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인 양태가 바람직하고,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가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인 양태가 보다 바람직하며, 1 차 흡수층 및 2 차 흡수층에 사용되는 흡수성 수지의 양자가 역상 현탁 중합법에 의해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인 양태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박형화가 가능한 점에 하나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종이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대한 사용을 고려하면, 흡수 시트 구성체의 두께는, 건조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4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 2 ㎜ 이다. 건조 상태란, 흡수 시트 구성체가 액체를 흡수하기 전 상태인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 시트 구성체의 건조 상태의 두께는,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평가한 값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액체의 침투 속도가 빠른 점에 하나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흡수성 물품에 대한 사용을 고려하면, 흡수 시트 구성체의 합계 침투 속도가 50 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8 초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 시트 구성체의 합계 침투 속도는,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액체의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이 적은 점에 하나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흡수성 물품에 대한 사용을 고려하면, 흡수 시트 구성체의 누출 지수가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 시트 구성체의 누출 지수는,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액체 침투 후의 역복귀가 적은 점에 하나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흡수성 물품에 대한 사용을 고려하면,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액체의 역복귀량이 12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액체의 역복귀량은,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 시트 구성체는, 액체 투과성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협지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을 얻을 수 있다. 엠보스가 실시된 면이 흡수 시트 구성체의 1 면인 경우, 엠보스가 실시된 면에 액체 투과성 시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는, 본 발명 분야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시트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시트로 협지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규정하는 측정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 평가하였다.
[접착제의 유지력]
폴리에틸렌 필름 (길이 150 ㎜, 폭 25 ㎜) 에, 50 ㎛ 의 두께가 되도록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여, 시험편으로 하였다. 스테인리스 강판 (길이 125 ㎜, 폭 50 ㎜) 의 일단에, 시험편의 길이 25 ㎜×폭 25 ㎜ 의 면적이 접하도록, 첩부하고, 첩부하지 않은 부분은, 접착면을 내측으로 하여 접어서 중첩시켰다. 시험편 상으로부터, 2 kg 의 고무 롤러를 사용하여, 5 ㎜/초의 속도로 1 왕복하여 압착하였다.
20 분 후, 스테인리스 강판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스테인리스 강판 및 시험편이 수직으로 늘어지도록 하고, 접혀 중첩된 시험편 부분의 단에, 1 kg 의 추를 장착하였다.
시험편이 스테인리스 강판으로부터 박리되어 낙하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을 3 장의 시험편에 대해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접착제의 유지력으로 하였다. 또한, 1440 분간 (24 시간) 을 초과한 경우에는, 「1440 분간 이상」이라고 평가하였다.
[흡수 시트 구성체의 건조 상태의 두께]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를 그대로, 샘플로 하였다 (10 ㎝ × 30 ㎝). 또한,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가 10 ㎝ × 30 ㎝ 의 형상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10 ㎝ × 30 ㎝ 의 단책상 (短冊狀) 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것을, 샘플로서 사용하였다.
두께 측정기 (주식회사 오자키 제작소 제조, 형번 : J-B) 를 사용하여, 길이 방향으로 좌단, 중앙, 우단의 3 개 지점 (왼쪽으로부터 3 ㎝ 를 좌단, 15 ㎝ 를 중앙, 27 ㎝ 를 우단) 을 측정하였다. 폭 방향은 중앙부를 측정하였다. 두께의 측정값은 각 지점에서 3 회 측정하여 평균내었다. 또한, 좌단, 중앙, 우단의 값을 평균내어, 흡수 시트 구성체 전체의 두께로 하였다.
[흡수 시트 구성체의 팽창 두께비 및 팽창 엠보스 깊이]
흡수 시트 구성체를, 5 ㎝×5 ㎝ 로 절단한 것을 샘플로서 사용하였다.
얻어진 샘플에 대해, 레이저 변위 센서 (주식회사 키엔스 제조, 형번 : LB 시리즈) 를 사용하여, 엠보스가 실시되지 않은 평면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두께의 측정은, 측정 지점을 바꾸어 5 회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생리 식염수 흡수 전의 두께 T1 (㎜) 로 하였다 (예를 들어, 도 1 참조).
상기 샘플에, 10 ㎖ 의 생리 식염수 (0.9 질량% 염화나트륨 수용액, 이하 동일) 를 균일하게 투입하여, 흡수시켰다. 또한, 흡수시킨 생리 식염수는, 샘플 (흡수 시트 구성) 1 ㎡ 당 4 ℓ (4 ℓ/㎡) 에 해당한다.
생리 식염수의 투입으로부터 10 분간 경과 후의 생리 식염수 흡수 후의 샘플에 대해, 상기 T1 과 동일한 측정 방법에 의해, 생리 식염수 흡수 후의 두께 T2 (㎜) 를 측정하였다 (예를 들어, 도 2 참조).
또, 레이저 변위 센서 (주식회사 키엔스 제조, 형번 : LB 시리즈) 를 사용하여, 엠보스가 실시되고 있는 지점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엠보스 깊이의 측정은 측정 지점을 바꾸어 5 회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생리 식염수 흡수 후의 엠보스 두께 t2 (㎜) 로 하였다 (예를 들어, 도 2 참조).
상기 T1, T2, t2 를 측정한 후, 하기 식에 의해, 흡수 시트 구성체의 팽창 두께비 및 팽창 엠보스 깊이를, 각각 산출하였다.
(A) 팽창 두께비=T2/T1
(B) 팽창 엠보스 깊이=(T2-t2)/T2
[흡수 시트 구성체의 침투 속도, 폭 방향의 액 누출 및 역복귀량]
흡수 시트 구성체를 10 ㎝ × 30 ㎝ 의 단책상이고, 길이 방향이 친수성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것을, 샘플로서 사용하였다.
10 ℓ 용 (容) 의 용기에, 염화나트륨 60 g, 염화칼슘 2 수화물 1.8 g, 염화마그네슘 6 수화물 3.6 g 및 적당량의 증류수를 넣어 완전하게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1 질량% 폴리(옥시에틸렌)이소옥틸페닐에테르 수용액 15 g 을 첨가하고, 추가로 증류수를 첨가하여, 수용액 전체의 질량을 6000 g 으로 조정한 후, 소량의 청색 1 호로 착색하여, 시험액을 조제하였다.
샘플 (흡수 시트 구성체) 의 상부에, 샘플과 동일한 크기 (10 ㎝ × 30 ㎝), 겉보기 중량 22 g/㎡ 의 폴리에틸렌제 에어스루형 다공질 액체 투과성 시트를 얹었다. 또, 샘플 아래에, 샘플과 동일한 크기 및 겉보기 중량의 폴리에틸렌제 액체 불투과성 시트를 놓고, 간이적인 흡수성 물품을 제작하였다. 이 흡수성 물품의 중심 부근에, 내경 3 ㎝ 의 원통형 실린더를 놓고, 50 ㎖ 의 시험액을 그 실린더 내에 한번에 투입함과 함께, 스톱 워치를 사용하여, 시험액이 실린더 내로부터 완전하게 소실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1 회째의 침투 속도 (초) 로 하였다. 이어서 30 분 후 및 60 분 후에도, 1 회째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원통형 실린더를 놓고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2 회째 및 3 회째의 침투 속도 (초) 를 측정하였다. 1 회째 ∼ 3 회째의 초 수의 합계를 합계 침투 속도로 하였다.
또, 상기 1 ∼ 3 회의 각 침투 속도의 측정 종료 후, 흡수 시트 구성체의 폭 방향의 액 누출의 유무에 대해,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1 회라도 폭 방향의 액 누출이 발생하면, 액 누출 있음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1 회째의 시험액 투입 개시부터 120 분 후에 실린더를 제거하고, 흡수성 물품 상의 시험액 투입 위치 부근에, 미리 질량 (Wa (g), 약 70 g) 을 측정해 둔 사방 10 ㎝ 의 여과지 (약 80 장) 를 놓고, 그 위에 바닥면이 10 ㎝×10 ㎝ 인 5 kg 의 추를 얹었다. 5 분간의 하중 후, 여과지의 질량 (Wb (g)) 을 측정하고, 증가된 질량을 액체 역복귀량 (g) 으로 하였다.
액체 역복귀량 (g)=Wb-Wa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시험]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시험은, 도 8 에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개략적으로는, 시판되는 실험 설비용 가대 (51) 를 사용하여, 아크릴판 (52) 을 경사지게 하여 고정시킨 후, 판 상에 재치 (載置) 한 흡수성 물품 (53) 에 연직 상방으로부터 적하 깔때기 (54) 로 상기 시험액을 투입하고, 누출량을 천칭 (55) 으로 계량하는 기구이다. 이하에 상세한 사양을 나타낸다.
아크릴판 (52) 은 경사면 방향의 길이가 45 ㎝ 이고, 가대 (51) 에 의해 수평에 대해 이루는 각 45±2 °가 되도록 고정시켰다. 아크릴판 (52) 은 폭 100 ㎝, 두께 1 ㎝ 이고, 복수의 흡수성 물품 (53) 을 병행하여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였다. 아크릴판 (52) 의 표면은 매끄러워서, 판에 시험액이 체류되거나 흡수 되거나 하는 경우는 없었다.
가대 (51) 를 사용하여, 적하 깔때기 (54) 를 경사 아크릴판 (52) 의 연직 상방에 고정시켰다. 적하 깔때기 (54) 는, 용량 100 ㎖, 선단부의 내경이 약 4 ㎜ 이고, 8 ㎖/초로 시험액이 투입되도록 콕의 스로틀을 조정하였다.
아크릴판 (52) 의 하부에는, 트레이 (56) 를 재치한 천칭 (55) 이 설치되어 있고, 누출로서 흘러 떨어지는 시험액을 모두 받아, 그 질량을 0.1 g 의 정밀도까지 기록하였다.
이와 같은 장치를 사용한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시험은, 이하의 순서로 실시하였다. 폭 10 ㎝ × 길이 30 ㎝ 인 단책상이고, 길이 방향이 친수성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동 사이즈의 에어스루형 폴리에틸렌제 액체 투과성 부직포 (겉보기 중량 22 g/㎡) 를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의 상방으로부터 붙이고, 또한 동 사이즈 및 동 겉보기 중량의 폴리에틸렌제 액체 불투과성 시트를 하방으로부터 붙여 작성한 간이적인 흡수성 물품 (53) 을, 아크릴판 (52) 상에 첩부하였다 (누출을 작위적으로 멈추지 않기 위해, 흡수성 물품 (53) 의 하단은 아크릴판 (52) 상에는 첩부하지 않았다).
흡수성 물품 (53) 의 상단으로부터 2 ㎝ 하방향 지점에 표시를 하여, 적하 깔때기 (54) 의 투입구를, 표시로부터 연직 상방 거리 8±2 ㎜ 가 되도록 고정시켰다.
천칭 (55) 을 기동시키고, 표시를 제로로 보정한 후, 적하 깔때기 (54) 에 상기 시험액 80 ㎖ 를 한번에 투입하였다. 시험액이 흡수성 물품 (53) 에 흡수되지 않고 경사진 아크릴판 (52) 을 흘러, 트레이 (56) 에 들어간 액량을 측정하여, 1 회째의 누출량 (g) 으로 하였다. 이 1 회째의 누출량 (g) 의 수치를 LW1 로 하였다.
1 회째의 투입 개시부터 10 분 간격으로, 동일하게 2 회째, 3 회째의 시험액을 투입하여, 2 회째, 3 회째의 누출량 (g) 을 측정하고, 그 수치를 각각 LW2, LW3 으로 하였다.
이어서, 이하의 식에 따라 누출 지수를 산출하였다. 지수가 작을수록, 흡수 시트 구성체의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량, 특히 초기의 누출량이 적어, 우수한 흡수 시트 구성체인 것으로 판단된다.
누출 지수 : L=LW1×10+LW2×5+LW3
[흡수 시트 구성체의 형태 붕괴]
상기의 경사에 있어서의 누출 시험 실시 후의 흡수 시트 구성체 상태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 : 흡수층에 변화없고, 형태 붕괴되어 있지 않다.
B : 일부, 흡수성 수지의 이동 등 흡수층에 변화가 있고, 다소 형태 붕괴되어 있다.
C : 꽤 형태 붕괴되어 있다.
[실시예 1]
가열 온도를 150 ℃ 로 설정한 핫멜트 도공기 (주식회사 할리스 제조 : 마샬 150) 상에, 친수성 부직포로서 폭 30 ㎝ 의 폴리프로필렌제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이하, SMS 로 표기) 부직포를 친수화제에 의해 친수화 처리한 것 (겉보기 중량 : 13 g/㎡, 두께 : 150 ㎛, 폴리프로필렌 함유율 : 100 %) 를 깐 후, 접착제로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SBS-1 ; 연화점 85 ℃, 유지력 1440 분간 이상) 를 겉보기 중량 14 g/㎡ 로 당해 부직포 상에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롤러형 산포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신터에이스 M/C) 의 투입구에, 흡수성 수지로서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 중화물의 가교체 (스미토모 정화 주식회사 제조 : 아쿠아 키프 SA55SX-Ⅱ) 를 주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친수성 부직포를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상기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 중화물의 가교체를 겉보기 중량 190 g/㎡ 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친수성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적층하고, 적층체를 얻었다.
접착제로서 상기 SBS-1 을 겉보기 중량 14 g/㎡ 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상기 SMS 친수성 부직포로, 얻어진 적층체의 상부로부터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를 100 ℃ 로 설정한 라미네이트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직선식 접착 프레스 HP-600LF) 로 열융착시킴으로써 이들을 일체화시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을 얻었다.
상기와 동일하게, 가열 온도를 150 ℃ 로 설정한 핫멜트 도공기 상에,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을 깔고, 접착제로서 상기 SBS-1 을 겉보기 중량 10 g/㎡ 로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상에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롤러형 산포기의 투입구에, 흡수성 수지로서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 중화물의 가교체 (스미토모 정화 주식회사 제조 : 아쿠아 키프 10 SH-PB) 를 주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을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상기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 중화물의 가교체를 겉보기 중량 50 g/㎡ 로 접착제를 도포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상에 균일하게 적층하고, 적층체를 얻었다.
접착제로서 상기 SBS-1 을 겉보기 중량 10 g/㎡ 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상기 SMS 친수성 부직포로, 얻어진 적층체의 상부로부터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를 100 ℃ 로 설정한 상기 라미네이트기에서 열융착시킴으로써 이들을 일체화시켜, 엠보스를 실시하기 전의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엠보스를 실시하기 전의 흡수 시트 구성체를, 10 ㎝ × 30 ㎝ 의 단책상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후,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 (편면) 상에, 가열 엠보스 롤에서, 엠보스 면적률이 7 %, 또한 도 7 로 나타내는 엠보스 형상이 형성되도록 엠보스를 실시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에 대해,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엠보스 면적률을 7 % 에서 13 % 로 변경하고,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엠보스 형상을 실시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에 대해,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가열 온도를 150 ℃ 로 설정한 핫멜트 도공기 (주식회사 할리스 제조 : 마샬 150) 상에, 친수성 부직포로서 폭 30 ㎝ 의 스펀레이스 친수성 부직포 (겉보기 중량 : 50 g/㎡, 두께 : 400 ㎛, 레이온 함유율 : 70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함유율 : 30 %) 를 깐 후, 접착제로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SBS-1 ; 연화점 85 ℃, 유지력 1440 분간 이상) 를 겉보기 중량 20 g/㎡ 로 당해 부직포 상에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롤러형 산포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신터에이스 M/C) 의 투입구에, 흡수성 수지로서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 중화물의 가교체 (스미토모 정화 주식회사 제조 : 아쿠아 키프 SA55SX-Ⅱ) 를 주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친수성 부직포를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상기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 중화물의 가교체를 겉보기 중량 270 g/㎡ 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친수성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적층하고, 적층체를 얻었다.
접착제로서 상기 SBS-1 을 겉보기 중량 20 g/㎡ 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상기 스펀레이스 친수성 부직포로, 얻어진 적층체의 상부로부터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를 100 ℃ 로 설정한 라미네이트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직선식 접착 프레스 HP-600LF) 에서 열융착시킴으로써 이들을 일체화시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A-1 을 얻었다.
상기와 동일하게, 가열 온도를 150 ℃ 로 설정한 상기 핫멜트 도공기 상에, 친수성 부직포로서 폭 30 ㎝ 의 스펀레이스 친수성 부직포 (겉보기 중량 : 50 g/㎡, 두께 : 400 ㎛, 레이온 함유율 : 70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함유율 : 30 %) 를 깐 후, 접착제로서 SBS-1 을 겉보기 중량 6 g/㎡ 로 당해 부직포 상에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롤러형 산포기의 투입구에, 흡수성 수지로서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 중화물의 가교체 (스미토모 정화 주식회사 제조 : 아쿠아 키프 10 SH-PB) 를 주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친수성 부직포를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상기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 중화물의 가교체를 겉보기 중량 70 g/㎡ 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친수성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적층하고, 적층체를 얻었다.
접착제로서 상기 SBS-1 을 겉보기 중량 6 g/㎡ 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상기 스펀레이스 친수성 부직포로, 얻어진 적층체의 상부로부터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를 100 ℃ 로 설정한 상기 라미네이트기에서 열융착시킴으로써 이들을 일체화시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B-1 을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B-1 상에, 상기 SBS-1 을 겉보기 중량 4 g/㎡ 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후, 그 상부로부터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A-1 을 중첩시켰다. 이어서, 가열 온도를 40 ℃ 로 설정한 상기 라미네이트기에서 열융착시킴으로써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A-1 및 B-1 을 일체화시켜, 엠보스를 실시하기 전의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엠보스를 실시하기 전의 흡수 시트 구성체를, 10 ㎝ × 30 ㎝ 의 단책상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후,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 (편면) 상에, 가열 엠보스 롤에서, 엠보스 면적률이 7 %, 또한 도 7 로 나타내는 엠보스 형상이 형성되도록 엠보스를 실시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에 대해,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3 에 있어서 얻어진 엠보스를 실시하기 전의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A-1 을, 10 ㎝ × 30 ㎝ 의 단책상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후,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A-1 (편면) 상에, 가열 엠보스 롤에서, 엠보스 면적률이 7 %, 또한 도 7 로 나타내는 엠보스 형상이 형성되도록 엠보스를 실시하여,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A-1e 를 얻었다.
실시예 3 에 있어서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B-1 을, 10 ㎝ × 30 ㎝ 의 단책상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후,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B-1 상에, 상기 SBS-1 을 겉보기 중량 4 g/㎡ 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후, 그 상부로부터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A-1e 의 엠보스가 실시되지 않은 면을 중첩시켰다. 이어서, 가열 온도를 40 ℃ 로 설정한 상기 라미네이트기에서 열융착시킴으로써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A-1e 및 B-1 을 일체화시켜,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실시예 5]
가열 온도를 150 ℃ 로 설정한 핫멜트 도공기 (주식회사 할리스 제조 : 마샬 150) 상에, 친수성 부직포로서 폭 30 ㎝ 의 스펀레이스 친수성 부직포 (겉보기 중량 : 50 g/㎡, 두께 : 400 ㎛, 레이온 함유율 : 70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함유율 : 30 %) 를 깐 후, 접착제로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SBS-1 ; 연화점 85 ℃, 유지력 1440 분간 이상) 를 겉보기 중량 30 g/㎡ 로 당해 부직포 상에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롤러형 산포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신터에이스 M/C) 의 투입구에, 흡수성 수지로서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 중화물의 가교체 (스미토모 정화 주식회사 제조 : 아쿠아 키프 SA55SX-Ⅱ) 를 주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친수성 부직포를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상기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 중화물의 가교체를 겉보기 중량 400 g/㎡ 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친수성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적층하고, 적층체를 얻었다.
접착제로서 상기 SBS-1 을 겉보기 중량 30 g/㎡ 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상기 스펀레이스 친수성 부직포로, 얻어진 적층체의 상부로부터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를 100 ℃ 로 설정한 라미네이트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직선식 접착 프레스 HP-600LF) 에서 열융착시킴으로써 이들을 일체화시켜, 엠보스를 실시하기 전의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엠보스를 실시하기 전의 흡수 시트 구성체를, 10 ㎝ × 30 ㎝ 의 단책상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후,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 (편면) 상에, 가열 엠보스 롤에서, 엠보스 면적률이 7 %, 또한 도 7 로 나타내는 엠보스 형상이 형성되도록 엠보스를 실시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에 대해,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적층 시트 구성체에 엠보스를 실시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에 대해,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접착제를,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SBS-1 ; 연화점 85 ℃, 유지력 1440 분간 이상) 로부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SBS-2 ; 연화점 82 ℃, 유지력 850 분간)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에 대해,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엠보스 면적률을 7 % 에서 35 % 로 변경하고,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엠보스 형상을 실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에 대해,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가열 온도를 150 ℃ 로 설정한 핫멜트 도공기 (주식회사 할리스 제조 : 마샬 150) 상에, 친수성 부직포로서 폭 30 ㎝ 의 스펀레이스 친수성 부직포 (겉보기 중량 : 50 g/㎡, 두께 : 400 ㎛, 레이온 함유율 : 70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함유율 : 30 %) 를 깐 후, 접착제로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SBS-1 ; 연화점 85 ℃, 유지력 1440 분간 이상) 를 겉보기 중량 16 g/㎡ 로 당해 부직포 상에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롤러형 산포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신터에이스 M/C) 의 투입구에, 흡수성 수지로서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 중화물의 가교체 (스미토모 정화 주식회사 제조 : 아쿠아 키프 SA55SX-Ⅱ) 를 주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친수성 부직포를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상기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 중화물의 가교체를 겉보기 중량 220 g/㎡ 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친수성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적층하고, 적층체를 얻었다.
접착제로서 상기 SBS-1 을 겉보기 중량 16 g/㎡ 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상기 스펀레이스 친수성 부직포로, 얻어진 적층체의 상부로부터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를 100 ℃ 로 설정한 라미네이트기 (주식회사 하시마 제조 : 직선식 접착 프레스 HP-600LF) 에서 열융착시킴으로써 이들을 일체화시켜, 엠보스를 실시하기 전의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A-2 를 얻었다.
얻어진 엠보스를 실시하기 전의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A-2 를, 10 ㎝ × 30 ㎝ 의 단책상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후,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A-2 (편면) 상에, 가열 엠보스 롤에서, 엠보스 면적률이 7 %, 또한 도 7 로 나타내는 엠보스 형상이 형성되도록 엠보스를 실시하여,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A-2e 를 얻었다.
상기와 동일하게, 가열 온도를 150 ℃ 로 설정한 상기 핫멜트 도공기 상에, 친수성 부직포로서 폭 30 ㎝ 의 스펀레이스 친수성 부직포 (겉보기 중량 : 50 g/㎡, 두께 : 400 ㎛, 레이온 함유율 : 70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함유율 : 30 %) 를 깐 후, 접착제로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SBS-2 ; 연화점 82 ℃, 유지력 850 분간) 를 겉보기 중량 9 g/㎡ 로 당해 부직포 상에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롤러형 산포기의 투입구에, 흡수성 수지로서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 중화물의 가교체 (스미토모 정화 주식회사 제조 : 아쿠아 키프 10 SH-PB) 를 주입하였다. 한편, 산포기 하부의 컨베이어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친수성 부직포를 깔았다. 이어서, 산포 롤러와 하부 컨베이어를 가동시킴으로써, 상기 폴리아크릴산 부분 나트륨 중화물의 가교체를 겉보기 중량 120 g/㎡ 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친수성 부직포 상에 균일하게 적층하고, 적층체를 얻었다.
접착제로서 상기 SBS-2 를 겉보기 중량 9 g/㎡ 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상기 스펀레이스 친수성 부직포로, 얻어진 적층체의 상부로부터 사이에 끼운 후, 가열 온도를 100 ℃ 로 설정한 상기 라미네이트기에서 열융착시킴으로써 이들을 일체화시켜,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B-2 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B-2 를, 10 ㎝ × 30 ㎝ 의 단책상이고, 길이 방향이 부직포의 세로 방향 (기계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한 후,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B-2 상에, 상기 SBS-1 을 겉보기 중량 4 g/㎡ 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한 후, 그 상부로부터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A-2e 의 엠보스가 실시되지 않은 면을 중첩시켰다. 이어서, 가열 온도를 40 ℃ 로 설정한 상기 라미네이트기에서 열융착시킴으로써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의 중간물 A-2 e 및 B-2 를 일체화시켜, 흡수 시트 구성체를 얻었다.
얻어진 흡수 시트 구성체에 대해, 상기 각종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82156560-pct00001
T1 : 생리 식염수 흡수 전의 흡수 시트 구성체 두께 (㎜)
T2 : 생리 식염수 흡수 후의 흡수 시트 구성체 두께 (㎜)
t2 : 생리 식염수 흡수 후의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엠보스 두께 (㎜)
Figure 112012082156560-pct00002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흡수 시트 구성체는, 액체의 침투 속도가 빠르고, 폭 방향의 액 누출이 적고, 액체 흡수 후에 형태 붕괴되지 않는 (형태 유지성이 우수한) 것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에 있어서는, 엠보스가 실시되지 않은 것 (비교예 1), 흡수 시트 구성체가 액체를 흡수하여 팽윤되었을 때 엠보스 깊이가 얕아지는 것 (비교예 2및 4), 및 흡수 시트 구성체의 팽윤 두께비가 작은 것 (비교예 3) 모두가, 액체의 침투 속도의 향상, 폭 방향의 액 누출의 방지 및 형태 붕괴와 같은 과제를 동시에 만족시키지 못하고, 흡수 시트 구성체로서 열등한 것이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흡수 시트 구성체는, 우수한 액체 침투성, 적은 액 누출량, 형태 유지성이 우수하고, 박형화를 달성하고 있고, 종이 기저귀 등으로 대표되는 흡수성 물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흡수 시트
2 : 흡수층
3 : 엠보스
4 : 친수성 부직포
51 : 가대
52 : 아크릴판
53 : 흡수성 물품
54 : 적하 깔때기
55 : 천칭
56 : 트레이

Claims (4)

  1. 흡수성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친수성 부직포에 의해 그 흡수층의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협지된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 구성체로서, 그 흡수 시트 구성체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1 면에 엠보스가 실시되고, 이하의 특성:
    생리 식염수를, 그 흡수 시트 구성체 1 ㎡ 당 4 ℓ (4 ℓ/㎡) 흡수시켰을 때, 다음의 관계 (A) 및 (B) 의 양방을 만족하는 것; 단, T1 은 생리 식염수 흡수 전의 흡수 시트 구성체 두께 (㎜), T2 는 생리 식염수 흡수 후의 흡수 시트 구성체 두께 (㎜), t2 는 생리 식염수 흡수 후의 흡수 시트 구성체에 있어서의 엠보스 두께 (㎜) 이다;
    (A) 팽창 두께비 (T2/T1) 가 2 이상
    (B) 팽창 엠보스 깊이 [(T2-t2)/T2] 가 0.7 이상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시트 구성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에 실시된 엠보스의 면적률이, 그 흡수 시트 구성체의 엠보스가 실시된 면의 면적의 3 ∼ 25 % 인 흡수 시트 구성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시트 구성체의 건조 상태의 두께가 4 ㎜ 이하인 흡수 시트 구성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 시트 구성체를, 액체 투과성 시트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협지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
KR1020127026477A 2010-03-25 2011-03-10 흡수 시트 구성체 KR101718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69990 2010-03-25
JP2010069990 2010-03-25
PCT/JP2011/055670 WO2011118409A1 (ja) 2010-03-25 2011-03-10 吸水シート構成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059A KR20130029059A (ko) 2013-03-21
KR101718579B1 true KR101718579B1 (ko) 2017-03-21

Family

ID=44672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477A KR101718579B1 (ko) 2010-03-25 2011-03-10 흡수 시트 구성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018349A1 (ko)
JP (1) JP5727999B2 (ko)
KR (1) KR101718579B1 (ko)
AU (1) AU2011230827B2 (ko)
CA (1) CA2793411C (ko)
SG (1) SG184205A1 (ko)
TW (1) TWI503111B (ko)
WO (1) WO2011118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309126B2 (en) 2010-09-28 2015-05-07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Water-absorbent sheet structure
JP5967796B2 (ja) * 2011-12-02 2016-08-10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4038324A1 (ja) 2012-09-10 2014-03-13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樹脂、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US9789014B2 (en) 2013-03-15 2017-10-17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US9566198B2 (en) 2013-03-15 2017-02-14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MY180041A (en) * 2013-03-15 2020-11-20 Dsg Technology Holdings Ltd Absorbent articles with pulpless riffled core
US10201462B2 (en) 2013-07-03 2019-02-12 Dsg Technology Holdings Ltd. Absorbent composite, an absorbent article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absorbent composite and/or article
JP6365406B2 (ja) * 2015-05-15 2018-08-0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793456B2 (ja) * 2016-03-01 2020-12-02 ダイニック株式会社 吸水蒸散板
EP3586957B1 (en) 2017-02-22 2022-03-30 Nippon Shokubai Co., Ltd.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water-absorbing sheet
JP7001471B2 (ja) * 2017-12-29 2022-01-19 花王株式会社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CN111971011B (zh) 2018-04-13 2022-05-31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片、吸水性片的制造方法及吸收性物品
WO2020032283A1 (ja) 2018-08-09 2020-02-13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含む吸水性物品
JP7410175B2 (ja) * 2019-11-28 2024-01-09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含む吸収性物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6228A1 (en) * 2004-08-12 2006-02-16 Uni-Charm Corporation Interlabial pad
WO2010004894A1 (ja) * 2008-07-11 2010-01-14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シート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136B2 (ja) * 1988-08-19 1996-11-13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143968A (en) * 1989-08-11 1992-09-01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styrene-polyisoprene-polystyrene block copolymers,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JPH05300922A (ja) 1992-04-23 1993-11-16 Chikazawa Seishijiyo:Kk 紙おむつ
JP3499375B2 (ja) * 1996-07-02 2004-02-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60903B1 (en) * 1999-10-01 2003-12-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enter-fill absorbent article with a central rising mem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6228A1 (en) * 2004-08-12 2006-02-16 Uni-Charm Corporation Interlabial pad
WO2010004894A1 (ja) * 2008-07-11 2010-01-14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シート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93411C (en) 2017-05-09
JP5727999B2 (ja) 2015-06-03
AU2011230827A1 (en) 2012-10-25
KR20130029059A (ko) 2013-03-21
US20130018349A1 (en) 2013-01-17
CA2793411A1 (en) 2011-09-29
AU2011230827B2 (en) 2015-12-10
TW201143738A (en) 2011-12-16
JPWO2011118409A1 (ja) 2013-07-04
TWI503111B (zh) 2015-10-11
SG184205A1 (en) 2012-10-30
WO2011118409A1 (ja)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579B1 (ko) 흡수 시트 구성체
US10828206B2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WO2011117997A1 (ja) 吸水シート構成体
KR101728199B1 (ko) 흡수 시트 구성체
JP6033236B2 (ja) 吸水シート構成体
KR101695046B1 (ko) 흡수 시트
KR101661788B1 (ko) 흡수 시트
US20170135870A1 (en)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TWI563990B (zh) Absorbent sheet structure
KR20130092399A (ko) 흡수 시트 구성체
US20180008485A1 (en) Absorbent core exhibiting material mo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