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369B1 - 기념일의 날짜 변경이 가능하고 락기능이 구비된 반지 - Google Patents

기념일의 날짜 변경이 가능하고 락기능이 구비된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369B1
KR101718369B1 KR1020170019118A KR20170019118A KR101718369B1 KR 101718369 B1 KR101718369 B1 KR 101718369B1 KR 1020170019118 A KR1020170019118 A KR 1020170019118A KR 20170019118 A KR20170019118 A KR 20170019118A KR 101718369 B1 KR101718369 B1 KR 101718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hole
fixing
display
r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길
Original Assignee
최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길 filed Critical 최상길
Priority to KR1020170019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53Finger-rings having special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념일의 날짜 변경이 가능하고 락기능이 구비된 반지에 관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월(月)이 각인된 제1표시링 및 일(日)이 각인된 제2표시링이 반지몸체의 끼움단에 결합되어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이 반지몸체 외주면에서 회동 가능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날짜를 지정하여 기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반지몸체는 상부 및 하부에 탄생석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정해놓은 날짜가 반지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지 지표로 사용되며, 시인성이 확보되어 지정한 날짜를 한번에 찾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이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사용자가 정해놓은 날짜가 바뀌지 않도록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이 반지몸체에 돌기 결합되어 사용자가 날짜를 변경하기 전까지는 외력에 의해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이 회전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제1표시링이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사용자가 지정해 놓은 날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원터치로 고정 및 고정해제가 가능한 제1고정핀이 형성되어 다중락 구조를 갖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2표시링이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사용자가 지정해 놓은 날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원터치로 고정 및 고정해제가 가능한 제2고정핀이 형성되어 다중락 구조를 갖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기념일의 날짜 변경이 가능하고 락기능이 구비된 반지{Ring for changeable anniversary date and with 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기념일의 날짜 변경이 가능하고 락기능이 구비된 반지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반지몸체 외주면을 회전하는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을 통해 월(月)과 일(日)을 사용자가 원하는 날로 정할 수 있는 기념일의 날짜 변경이 가능하고 락기능이 구비된 반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1 내지 12월까지의 월(月)이 각인된 제1표시링 및 1 내지 31일까지의 일(日)이 각인된 제2표시링이 반지몸체의 끼움단에 결합되어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이 반지몸체 외주면에서 회동 가능한 것으로, 착용자는 자신이 특별하게 생각하여 기리고 싶은 날의 월(月)과 일(日)을 맞추어 놓는 것으로 표시해둔 기념일을 항상 상기할 수 있는 것이다.
고가인 이유로 아무나 가질 수 없었던 장신구는 주로 상류계층의 사람들이 자신의 신체를 치장하기 위해 사용되곤 했지만, 과거에 비해 사람들의 삶이 풍요로워 짐에 따라 의식주 외에 부가적으로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상류계층이 아닌 일반시민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팔찌, 반지, 귀걸이, 목걸이 등의 다양한 금속 및 비금속을 이용한 악세사리 산업이 활성화되어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근래에는 다이아몬드와 같이 고가의 보석을 구매하지 않아도, 큐빅과 같이 저렴한 준보석들이 시중에 보급되어 고가의 보석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같은 형상의 팔찌, 반지 귀걸이, 목걸이와 같은 귀금속 장신구라도 준보석과 같은 장식보석을 결합하여 새로운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귀금속 장신구 중에서 반지의 경우에는 단체나 구성원들 끼리의 소속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결혼반지와 같이 사랑하는 사람과의 증표로써 사용되곤 한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784호(등록일: 2016.03.02.)에는 사용자의 생일에 해당하는 월(月)에 탄생석이 형성되는 형태의 선행문헌이 있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문헌은 제작자가 한번 정해놓으면 탄생석의 위치를 바꾸기 어려웠던 바, 즉 한번 정해놓은 기념일을 바꿀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월(月)이 각인된 제1표시링 및 일(日)이 각인된 제2표시링이 반지몸체의 끼움단에 결합되어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이 반지몸체 외주면에서 회동 가능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날짜를 지정하여 기념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반지몸체는 상부 및 하부에 탄생석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정해놓은 날짜가 반지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지 지표로 사용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이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사용자가 정해놓은 날짜가 바뀌지 않도록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이 반지몸체에 돌기 결합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표시링이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사용자가 지정해 놓은 날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원터치로 고정 및 고정해제가 가능한 제1고정핀이 형성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2표시링이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사용자가 지정해 놓은 날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원터치로 고정 및 고정해제가 가능한 제2고정핀이 형성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통공(110)이 형성되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끼움단(120)이 형성되는 반지몸체(100)와; 상기 반지몸체(100)의 끼움단(120)에 구비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1 내지 12월(月)의 수(210)가 표시되는 제1표시링(200)와; 상기 반지몸체(100)의 끼움단에 구비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1 내지 31일(日)의 숫자(310)가 표시되는 제2표시링(3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반지몸체(100)는 끼움단(120) 상부 및 하부에 탄생석(J)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정해놓은 기념일을 표시하는 지표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반지몸체(100)는 끼움단(120)은 외주면에 제1돌기(121) 및 제2돌기(1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표시링(200)은 수(210)와 대응되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12개의 제1돌기홈(220)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2표시링(300)은 숫자(310)와 대응되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31개의 제2돌기홈(320)이 형성되어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을 사용자가 기념하고자 하는 날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반지몸체(100)는 중앙을 기준으로 제1표시링(200)이 형성되는 방향 외측에 제1관통공(1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제1표시링에는 제1통공(230)이 형성되어 측면에 제1고정홈(410)이 형성되고 후면에 제1누름구(420)가 구비되는 제1고정핀(400)이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제1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제1관통공 내주면 일측에는 제1고정홈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510)가 구비되는 제1판스프링(500)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230) 내주면 일측에는 제1돌기(B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핀이 반지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누름구(420)와 제1관통공(130) 외주 둘레를 고정하는 고정스프링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반지몸체(100)는 중앙을 기준으로 제2표시링(300)이 형성되는 방향 외측에 제2관통공(140)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제2표시링에는 제2통공(330)이 형성되어 측면에 제2고정홈(610)이 형성되고 후면에 제2누름구(620)가 구비되는 제2고정핀(600)이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제2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제2관통공 내주면 일측에는 제2고정홈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710)가 구비되는 제2판스프링(700)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330) 내주면 일측에는 제2돌기(B2)가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핀이 반지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누름구(620)와 제2관통공(140) 외주 둘레를 고정하는 고정스프링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월(月)이 각인된 제1표시링 및 일(日)이 각인된 제2표시링이 반지몸체의 끼움단에 결합되어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이 반지몸체 외주면에서 회동 가능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날짜를 지정하여 기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반지몸체는 상부 및 하부에 탄생석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정해놓은 날짜가 반지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지 지표로 사용되며, 시인성이 확보되어 지정한 날짜를 한번에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이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사용자가 정해놓은 날짜가 바뀌지 않도록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이 반지몸체에 돌기 결합되어 사용자가 날짜를 변경하기 전까지는 외력에 의해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이 회전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표시링이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사용자가 지정해 놓은 날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원터치로 고정 및 고정해제가 가능한 제1고정핀이 형성되어 다중락 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2표시링이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사용자가 지정해 놓은 날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원터치로 고정 및 고정해제가 가능한 제2고정핀이 형성되어 다중락 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념일의 날짜 변경이 가능하고 락기능이 구비된 반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탄생석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반지몸체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돌기 및 제2돌기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핀에 의해 반지몸체 및 제1표시링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고정핀에 의해 반지몸체 및 제2표시링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핀에 제1보조고정구가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고정핀에 제2보조고정구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몸체(100), 제1표시링(200), 제2표시링(300), 제1고정핀(400), 제1판스프링(500), 제2고정핀(600) 및 제2판스프링(70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때,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지몸체(100)는 귀금속재로 이루어지되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통공(110)이 형성되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끼움단(1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표시링(200)은 반지몸체(100)의 끼움단(120)에 구비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1 내지 12월(月)의 수(210)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2표시링(300)은 반지몸체(100)의 끼움단에 구비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1 내지 31일(日)의 숫자(310)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반지몸체(100)는 끼움단(120) 상부 및 하부에 탄생석(J)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정해놓은 기념일을 표시하는 지표로 사용되며, 시인성이 확보되어 사용자는 지정한 날짜를 단번에 찾을 수 있다.
이에, 도 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지몸체(100)의 끼움단(120)은 외주면에 제1돌기(121) 및 제2돌기(1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표시링(200)은 수(210)와 대응되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12개의 제1돌기홈(220)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2표시링(300)은 숫자(310)와 대응되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31개의 제2돌기홈(320)이 형성되어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을 사용자가 기념하고자 하는 날로 고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표시링(200) 및 제2표시링(300)이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사용자가 정해놓은 날짜가 바뀌지 않도록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의 제1돌기홈(220) 및 제2돌기홈(320)이 반지몸체(100)의 제1돌기(121) 및 제2돌기(122) 결합되어 사용자가 날짜를 변경하기 전까지는 외력에 의해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이 회전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돌기홈(220) 내주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제1연질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홈(320) 내주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제2연질부(321)가 형성되어 제1표시링(200) 및 제2표시링(300)의 고정력을 배가시키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제1표시링(200) 및 제2표시링(300)은 반지몸체(100)의 내주면과 끼움단(120)의 외주면은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닌 1mm ~ 1.3mm로 이격되어 회전을 용이하게 하되 제1돌기(121) 및 제2돌기(122)가 제1돌기홈 및 제2돌기홈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지몸체(100)를 관통하여 제1표시링(200) 및 제2표시링(3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고정핀(400) 및 제2고정핀(500)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반지몸체(100)을 관통하여 제1표시링(200)을 고정하는 제1고정핀(400)에 대해 먼저 말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몸체는 중앙을 기준으로 제1표시링이 구비된 방향 외주면에 제1관통공(1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제1표시링에는 제1통공(2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통공에는 측면에 제1고정홈(410)이 형성되고 후면에 제1누름구(420)가 구비되는 제1고정핀(400)이 관통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400)의 제1누름구(420)와 제1관통공(130) 외주 둘레를 고정하는 고정스프링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스프링은 제1고정핀이 반지몸체(1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되 탄성에 의한 유동(전진 및 후진)을 도모한다.
이에,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고정핀(400)의 제1누름구(420)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제1통공(230) 내측에 제1고정부(510)가 구비되는 제1판스프링(50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판스프링의 제1고정부가 제1고정핀의 제1고정홈(410)에 걸려짐으로써 제1표시링(200)의 고정을 도모한다.
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제1표시링(200)을 다시 회전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제1누름구(420)를 다시한번 가압하게 되면, 제1고정부(510)가 제1고정홈(410)에서 이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통공(230) 내주면 일측(도면상에는 상측)에는 제1돌기(B1)가 구비되어 직선으로 진행하던 제1고정핀(400)은 하향 전진하게 되어 제1고정홈과 제1고정부의 위치가 어긋나게된다.
이에,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기(B)에 의해 일(一)자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어긋난 제1고정핀(400)은 제1통공 끝단면에 위치한 제1탄성스프링(S1)에 의해 뒤로 밀리게 되고, 제1관통공(130) 상하면에는 언덕 형상의 돌출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1고정핀의 후진이 용이하게 되어 제1고정핀이 눌려지지 않은 초기 상태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관통공(130) 및 제1통공(230)은 제1고정핀(400)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반지몸체(100)을 관통하여 제2표시링(300)을 고정하는 제2고정핀(600)에 대해 먼저 말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몸체는 중앙을 기준으로 제2표시링이 구비된 방향 외주면에 제2관통공(140)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제2표시링에는 제2통공(330)이 형성되며, 상기 제2관통공 및 제2통공에는 측면에 제2고정홈(610)이 형성되고 후면에 제2누름구(620)가 구비되는 제2고정핀(600)이 관통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600)의 제2누름구(620)와 제2관통공(140) 외주 둘레를 고정하는 고정스프링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스프링은 제2고정핀이 반지몸체(1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되 탄성에 의한 유동(전진 및 후진)을 도모한다.
이에,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고정핀(600)의 제2누름구(620)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제2통공(330) 내측에 제2고정부(710)가 구비되는 제2판스프링(70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판스프링의 제2고정부가 제2고정핀의 제2고정홈(610)에 걸려짐으로써 제2표시링(300)의 고정을 도모한다.
이에, 도 14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제2표시링(300)을 다시 회전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제2누름구(620)를 다시 한번 가압하게 되면, 제2고정부(710)가 제1고정홈(610)에서 이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통공(330) 내주면 일측(도면상에는 상측)에는 제2돌기(B2)가 구비되어 직선으로 진행하던 제2고정핀(600)은 하향 전진하게 되어 제2고정홈과 제2고정부의 위치가 어긋나게된다.
이에, 상기 제2돌기(B2)에 의해 일(一)자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어긋난 제2고정핀(600)은 제2통공 끝단면에 위치한 제2탄성스프링(S2)에 의해 뒤로 밀리게 되고, 제2관통공(140) 상하면에는 언덕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2고정핀의 후진이 용이하게 되어 제2고정핀이 눌려지지 않은 초기 상태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관통공(140) 및 제2통공(330)은 제2고정핀(600)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핀(400)은 내측에 힌지에 의해 시소운동을 하는 제1유동링크(431)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되 하측에는 제1보조핀(432)이 형성되는 제1보조고정구(430)이 형성되어, 상기 제2통공(330) 끝단면에 형성되는 제1고정홀(240)에 제1보조핀(432)이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핀(600)은 내측에 힌지에 의해 시소운동을 하는 제2유동링크(631)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되 하측에는 제2보조핀(632)이 형성되는 제2보조고정구(630)이 형성되어, 상기 제2통공(330) 끝단면에 형성되는 제2고정홀(340)에 제2보조핀(632)이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보조고정구(430) 및 제2보조고정구(430)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로 고정하되 다중락(돌기, 고정핀, 보조고정구) 구조를 갖게 되어 사용자의 의자와는 무관하게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이 회전할 가능성이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반지몸체 110 ... 통공
120 ...끼움단 121 ... 제1돌기
122 ... 제2돌기 130 ... 제1관통공
140 ... 제2관통공 200 ... 제1표시링
210 ... 수 220 ... 제1돌기홈
221 ... 제1연질부 230 ... 제1통공
240 ... 제1고정홀 300 ... 제2표시링
310 ... 숫자 320 ... 제2돌기홈
321 ... 제2연질부 330 ... 제2통공
340 ... 제2고정홀 400 ... 제1고정핀
410 ... 제1고정홈 420 ... 제1누름구
430 .. 제1보조고정구 431 ... 제1유동링크
432 ... 제1보조핀 500 ... 제1판스프링
510 ... 제1고정부 600 ... 제1고정핀
610 ... 제1고정홈 620 ... 제1누름구
630 .. 제1보조고정구 631 ... 제1유동링크
632 ... 제1보조핀 700 ... 제1판스프링
710 ... 제1고정부 B1 ... 제1돌기
B2 ... 제2돌기 S1 ... 제1탄성스프링
S2 ... 제2탄성스프링 J ... 탄생석

Claims (5)

  1.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통공(110)이 형성되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끼움단(120)이 형성되는 반지몸체(100)와; 상기 반지몸체(100)의 끼움단(120)에 구비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1 내지 12월(月)의 수(210)가 표시되는 제1표시링(200)와; 상기 반지몸체(100)의 끼움단에 구비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1 내지 31일(日)의 숫자(310)가 표시되는 제2표시링(3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지몸체(100)의 끼움단(120) 상부 및 하부에 탄생석(J)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정해놓은 기념일을 표시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상기 반지몸체(100)의 끼움단(120)은 외주면에 제1돌기(121) 및 제2돌기(1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표시링(200)은 수(210)와 대응되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12개의 제1돌기홈(220)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2표시링(300)은 숫자(310)와 대응되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31개의 제2돌기홈(320)이 형성되어 제1표시링 및 제2표시링을 사용자가 기념하고자 하는 날로 고정하며,
    상기 반지몸체(100)는 중앙을 기준으로 제1표시링(200)이 형성되는 방향 외측에 제1관통공(1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제1표시링에는 제1통공(230)이 형성되어 측면에 제1고정홈(410)이 형성되고 후면에 제1누름구(420)가 구비되는 제1고정핀(400)이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제1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제1관통공 내주면 일측에는 제1고정홈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510)가 구비되는 제1판스프링(500)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230) 내주면 일측에는 제1돌기(B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핀이 반지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누름구(420)와 제1관통공(130) 외주 둘레를 고정하는 고정스프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념일의 날짜 변경이 가능하고 락기능이 구비된 반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지몸체(100)는
    중앙을 기준으로 제2표시링(300)이 형성되는 방향 외측에 제2관통공(140)이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제2표시링에는 제2통공(330)이 형성되어 측면에 제2고정홈(610)이 형성되고 후면에 제2누름구(620)가 구비되는 제2고정핀(600)이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제2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제2관통공 내주면 일측에는 제2고정홈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710)가 구비되는 제2판스프링(700)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330) 내주면 일측에는 제2돌기(B2)가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핀이 반지몸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누름구(620)와 제2관통공(140) 외주 둘레를 고정하는 고정스프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념일의 날짜 변경이 가능하고 락기능이 구비된 반지.
KR1020170019118A 2017-02-13 2017-02-13 기념일의 날짜 변경이 가능하고 락기능이 구비된 반지 KR101718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18A KR101718369B1 (ko) 2017-02-13 2017-02-13 기념일의 날짜 변경이 가능하고 락기능이 구비된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18A KR101718369B1 (ko) 2017-02-13 2017-02-13 기념일의 날짜 변경이 가능하고 락기능이 구비된 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369B1 true KR101718369B1 (ko) 2017-03-21

Family

ID=5850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118A KR101718369B1 (ko) 2017-02-13 2017-02-13 기념일의 날짜 변경이 가능하고 락기능이 구비된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3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522B1 (ko) * 2020-06-08 2020-10-30 김영길 여러 기념일을 표시 가능하도록 회전 및 락 기능이 구비된 반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524U (ja) * 1993-12-29 1995-07-18 繁喜 中島 記念日等をメモリーした三連指輪
JP2001321210A (ja) * 2000-03-09 2001-11-20 Gunma Seimitsu:Kk リング装身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524U (ja) * 1993-12-29 1995-07-18 繁喜 中島 記念日等をメモリーした三連指輪
JP2001321210A (ja) * 2000-03-09 2001-11-20 Gunma Seimitsu:Kk リング装身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522B1 (ko) * 2020-06-08 2020-10-30 김영길 여러 기념일을 표시 가능하도록 회전 및 락 기능이 구비된 반지
EP3922126A1 (en) * 2020-06-08 2021-12-15 Young Gil Kim Ring with rotation and lock function to display multiple anniversaries
CN113827006A (zh) * 2020-06-08 2021-12-24 金永吉 可用于标记多个纪念日的具备旋转及锁定功能的戒指
US11659901B2 (en) 2020-06-08 2023-05-30 Young Gil Kim Ring with rotation and lock function to display multiple anniversar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0803A (en) Jewelry article with selectively visible portions
US2316225A (en) Ring-mounted jewelry
TWI710869B (zh) 裝飾品
JP4333882B2 (ja) 宝石の不可視嵌合
US7988349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s
KR101718369B1 (ko) 기념일의 날짜 변경이 가능하고 락기능이 구비된 반지
WO2005025365A3 (en) Jewelry setting, particularly suited for displaying multiple faces or gem stones
KR200479784Y1 (ko) 기념일이 표시되는 반지
US20050193769A1 (en) Ring
CN202618545U (zh) 一种带印章的佩戴饰品
JP3097278U (ja) 装飾具
CN205585466U (zh) 用于戒指、手环、手链和项链的多用途首饰装饰件
US11849818B2 (en) Method of custom designing a jewelry article to commemorate a special date
US418218A (en) Adolph peabody
JP3116297U (ja) リング状装身具
CN209644060U (zh) 一种装饰配件
KR20110043915A (ko) 반지
US20220304431A1 (en) Customized jewelry design by transposition of dates into times
KR20180063782A (ko) 펫 메모리 펜던트
KR101874915B1 (ko) 탄생석이 구비된 기념액자
JPS5934335Y2 (ja) 指輪
JP3205994U (ja) 装身具
JPH1071010A (ja) 指 輪
JP3095540U (ja) 回転、係止機能を持ち合わせた装飾用接続部材
KR101830084B1 (ko) 보석 회전이 가능한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