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123B1 -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 - Google Patents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123B1
KR101718123B1 KR1020170000959A KR20170000959A KR101718123B1 KR 101718123 B1 KR101718123 B1 KR 101718123B1 KR 1020170000959 A KR1020170000959 A KR 1020170000959A KR 20170000959 A KR20170000959 A KR 20170000959A KR 101718123 B1 KR101718123 B1 KR 101718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assembly
arm member
brush
tunne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영
이기준
송영석
이재우
문덕호
이태근
이성근
정갑식
Original Assignee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대구광역시 시설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대구광역시 시설관리공단 filed Critical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2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05Mobile installations, particularly for upkeeping in situ road or railway furniture, for instance road barricades, traffic signs; Mobile installations particularly for upkeeping tunnel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에 설치되고,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상단에 피벗 연결되고, 복수의 실린더의 왕복 운동에 의해 적어도 2관절 이상으로 관절 운동되도록 일단이 연결되는 암 부재, 상기 암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브러시 모를 회전시키는 브러시 회전축을 구비하는 브러시 어셈블리,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폭방향을 따른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2 센서 및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암 부재 및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레버, 복수의 버튼 및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TUNNEL SWEEPING VEHICLE PROVIDED WITH CONTRLLER}
본 발명은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된 각종 장치를 운전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 지방자치단체 또는 도로를 관리하는 기관에서는 이미 건설되어 사용하고 있는 도로 관리를 위해 다목적도로 관리차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터널 청소를 위한 터널 청소차는 살수 장비, 살포 장비, 터널 청소 장비 등의 다양한 유지관리 장비가 차량에 장착되어 터널의 상태에 따라 그에 맞는 유지 관리 장비를 사용하게 된다.
일 예로, 작업자는 터널의 내측 벽면에 이물질이 적층된 경우, 다목적 도로 관리차의 브러시를 이용하여 살수 장비를 작동시켜 세척을 실시한다.
그러나 다목적 도로 관리차에 구비되는 각각의 유지 관리 장비들은 각각의 컨트롤러와 연결되어(즉, 1:1로 연결되어) 작업자는 각각의 컨트롤러를 선택적으로 제어해야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터널 청소 차량은 브러시를 조종하기 위한 조종 공간 및 작업자가 별도로 마련되어야 하고, 브러시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작업하며 제어하여야 하기 때문에 브러시 제어용 장비 설치를 위한 공간 및 인력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에 설치되고,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상단에 피벗 연결되고, 복수의 실린더의 왕복 운동에 의해 적어도 2관절 이상으로 관절 운동되도록 일단이 연결되는 암 부재, 상기 암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브러시 모를 회전시키는 브러시 회전축을 구비하는 브러시 어셈블리,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폭방향을 따른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2 센서 및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암 부재 및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레버, 복수의 버튼 및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에 설치되고,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상단에 피벗 연결되고, 복수의 실린더의 왕복 운동에 의해 적어도 2관절 이상으로 관절 운동되도록 일단이 연결되는 암 부재, 상기 암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브러시 모를 회전시키는 브러시 회전축을 구비하는 브러시 어셈블리,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폭방향을 따른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2 센서 및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암 부재 및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레버, 복수의 버튼 및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를 제공한다.
상기 암 부재는 상호 힌지 결합되는 제1 암 부재와 제2 암 부재로 분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암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4개의 방향으로 피벗되되, 상기 조작 레버의 4개 방향 중 2개의 방향은 상기 제1 암 부재의 회전을 양방향으로 피벗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2개의 방향은 상기 제2 암 부재의 회전을 양방향으로 피벗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를 통하여 수직으로 연결되는 모니터부가 포함되고, 상기 모니터부는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브러시 어셈블리 조작 버튼 및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부에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회전을 작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복수의 브러시 어셈블리 조작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 상에는 상기 제1 암 부재와 제2 암 부재의 각각의 실린더에 유압 형성을 가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암 부재 조작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암 부재 조작 버튼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고음 제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 2 센서에 의해 검출된 브러시 어셈블리와 세척면 간의 이격 거리를 표시하는 보조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브러시 어셈블리가 차량의 전면부에 탑재되므로 차량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브러시 어셈블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러시 어셈블리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의 부피가 최소화되어 운전자 주변에 설치되므로 브러시 어셈블리 제어를 위한 추가적인 인력이 저감되고, 컨트롤러 장착을 위한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과 수평 이동이 가능한 터널 청소기가 터널 청소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과 수평 이동이 가능한 터널 청소기가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각각의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브러시 어셈블리를 암 부재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각각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과 수평 이동이 가능한 터널 청소기의 브러시 어셈블리가 회전되는 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청소차의 컨트롤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표시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과 수평 이동이 가능한 터널 청소기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과 수평 이동이 가능한 터널 청소기가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각각의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브러시 어셈블리를 암 부재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각각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과 수평 이동이 가능한 터널 청소기(10)는 전방 프레임(100), 슬라이더(200), 회전체(300), 암 부재(400) 및 브러시 어셈블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프레임(100)은 터널 청소차(1)의 전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터널 청소차(1)의 전면부는 전방 프레임(100)이 장착될 수 있는 면적을 확보함과 동시에 터널 청소차(1)의 운전자가 운전하는 동안 시야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터널 청소차(1)의 앞유리(2)를 제외한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터널 청소차(1)의 범퍼(3)를 포함한 전면부의 하측에 전방 프레임(100)이 장착될 수 있다.
전방 프레임(100)은 상하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101) 및 한 쌍의 수평 프레임(101)의 양단에 연결되어 양 측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102)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측의 수평 프레임(101)의 상면에는 체인 레일(110)이 형성되고, 체인 레일(110)을 이루는 복수의 체인 롤러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체인 기어(211)가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더(200)는 전방 프레임(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수평 프레임(101)의 상면 및 하측에 위치하는 수평 프레임(101)의 하면을 동시에 감싸며 수평 프레임(10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슬라이더(200)의 상하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절곡부(미도시)가 수평 프레임(101)에 면접촉한 상태로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슬라이더(200)가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00)의 일측에는 구동 모터(210)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구동 모터(210)는 회전되는 모터 구동축(미도시)을 구비하되, 상기 모터 구동축과 동축 상에 회전되는 체인 기어(211)가 형성될 수 있다.
체인 기어(211)는 그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기어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기어치가 체인 레일(110)의 복수의 체인 롤러에 외접됨으로써 상기 모터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체인 레일(110)을 따라 구동 모터(210)가 수평 이동이 가능해진다.
구동 모터(210)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정역 회전 모터일 수 있고, 구동 모터(210)가 슬라이더(200)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체인 기어(211)의 회전 운동이 구동 모터(210)의 수평 이동으로 전환 됨으로써 슬라이더(200)가 터널 청소차(1)의 차폭 방향을 따라 양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회전체(30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더(200)의 상단에 설치되되,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회전체(300)는 암 부재(400)의 피벗이 가능하도록 피벗 지지함과 동시에 암 부재(400)에 공급되는 작동 유압 제어를 위한 유압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압 제어부는 복수로 이루어져 회전체(3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터널 청소차(1)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후술하는 복수의 작동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도록 한다.
회전체(300)의 상단에는 수직 연장부(310) 및 수평 연장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연장부(310)는 회전체(300)의 회전축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암 부재(400)의 단부를 피벗 지지 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수평 연장부(320)는 후술하는 제1 실린더(420)가 피벗 지지될 수 있도록 회전체(30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암 부재(400)는 회전체(300)에 의해 피벗 지지될 수 있고, 제1 암 부재(410), 제1 브래킷(410a), 제1 실린더(420), 제2 암 부재(440), 제2 브래킷(440a), 제2 실린더(430), 제3 실린더(450) 및 링크 조립체(4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암 부재(410, 440)를 도시하고 있지만, 청소 위치 및 사용 용도에 따라 3개 이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암 부재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암 부재(410)의 일단은 수직 연장부(310)의 제1 힌지부(411)를 통하여 결합되고, 타단은 제2 힌지부(412)를 통하여 제2 암 부재(44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암 부재(410)의 중간부에는 그 외주면을 감싸는 제1 브래킷(41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래킷(410a)은 제1 암 부재(4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양 축이 서로 평행하는 제1 핀(422) 및 제2 핀(4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제1 핀(422)을 통하여 제1 실린더(420)의 플런저(미도시)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제2 핀(431)을 통하여 제2 실린더(430)의 몸체 측 단부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제1, 2, 3 실린더(420, 430, 450)는 각각 일단이 개구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몸체 및 상기 각각의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원기둥 형상의 플런저를 구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제1 실린더(420)의 몸체 측 단부는 수평 연장부(320)의 제1 보조 힌지부(421)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린더(420)의 플런저가 왕복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플런저와 힌지 결합된 제1 핀(422)에 회전 토크가 발생됨과 동시에 제1 암 부재(410)는 제1 힌지부(411)를 중심으로 피벗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암 부재(440)의 제2 힌지부(412)에 근접한 위치에 제2 보조 힌지부(432)가 형성되고, 제2 실린더(430)의 플런저 측 단부가 제2 보조 힌지부(43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실린더(430)의 플런저가 왕복 운동함에 따라 제2 암 부재(440)는 제2 힌지부(412)를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된다.
제2 암 부재(440)의 중간부에는 제2 암 부재(44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2 브래킷(44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래킷(440a)은 제2 암 부재(44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3 실린더(450)의 몸체 측 단부가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제3 보조 힌지부(4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린더(450)의 플런저 측 단부는 후술하는 링크 조립체(45)의 제4 링크축(455)에 연결될 수 있다.
링크 조립체(45)는 제2 암 부재(440)의 제2 힌지부(412)의 반대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링크 축(452), 제2 링크 축(453), 제3 링크 축(454) 및 제4 링크 축(4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 축(452), 제2 링크 축(453), 제3 링크 축(454) 및 제4 링크 축(455)은 제2 암 부재(440)의 두께를 관통하도록 각각 결합됨과 동시에 제1 링크 부재(461), 제2 링크 부재(462) 및 제3 링크 부재(463)를 상호 연결하는 4점 지지 링크 구조로서, 제1 링크 부재(461), 제2 링크 부재(462) 및 제3 링크 부재(463)는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한 쌍은 제2 암 부재(440)의 두께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2 암 부재(440)의 하단부를 관통하는 제1 링크 축(452)을 중심으로 피벗되는 제1 링크 부재(461)가 배치되고, 제1 링크 부재(46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간부를 관통하는 제2 링크 축(453)을 중심으로 피벗되는 제2 링크 부재(462)가 형성되고, 제2 링크 부재(462)의 단부를 관통하는 제3 링크 축(454)을 중심으로 피벗되도록 제3 실린더(450)의 플런저 측 단부가 연결되며, 제2 암 부재(440)의 단부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4 링크 축(455)에 제3 링크 부재(463)가 피벗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 부재(461)의 하단에는 그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480)이 설치됨으로써 제1 링크 부재(461)의 하단과 편심 부재(520)를 상호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 링크 부재(461)의 하단면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관통되는 저지부(470)가 형성되어서, 후술하는 편심 부재(520)의 돌기부(5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저지부(470)는 편심 부재(520)의 상면부로부터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53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편심 부재(52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을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브러시 어셈블리(500)는 제1 편심축(515)과 제2 편심축(523)을 갖는 편심 부재(520)가 고정 브래킷(480)에 의해 제2 암 부재(440)의 제1 링크 부재(461)과 고정될 수 있다.
편심 부재(520)는 평평한 상면(521) 및 상면(521)으로부터 수직하게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을 이루는 측면(520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편심 부재(520)의 상면(521)을 관통하는 돌기부(530)가 형성되되, 돌기부(530)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 블록(520b)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블록(520b)의 양측면이 편심 부재(520)의 측면(520a)의 내측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편심 부재(520)와 돌기부(530)는 일체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편심 부재(520)의 상면(521)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편심 부재 브래킷(522)이 형성될 수 있다. 편심 부재 브래킷(522)에는 제1 편심축(515)이 배치되고, 제1 편심축(515)과 동일한 방향의 축을 갖되, 소정 거리 이격되는 제2 편심축(523)이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편심축(515)은 피벗 실린더(513)의 플런저(514)의 회전 중심일 수 있고, 제2 편심축(523)은 브러시 어셈블리(500)의 회전 중심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피벗 실린더(513)의 플런저(514)가 왕복운동을 함에 따라 피벗 실린더(513)의 플런저(514) 단부(514a)가 제1 편심축(51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브러시 어셈블리(500)가 제2 편심축(52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작동 원리는 이후에 설명한다.
제2 편심축(523)의 단부 일부는 브러시 어셈블리(500)와 마주보는 면에 삽입되고, 제2 편심축(523)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레이디얼 베어링(미도시)이 배치되어서 회전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브러시 어셈블리(500)의 후면부(이하, 편심 부재(520)를 마주보는 일면을 브러시 어셈블리(500)의 후면부, 상기 후면부의 반대측면을 브러시 어셈블리(500)의 전면부로 정의함)에는 브러시 지지 프레임(510)이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 지지 프레임(510)은 브러시 어셈블리(50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브러시 어셈블리(500)와 편심 부재(520)를 상호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 플레이트(511)가 브러시 지지 프레임(51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플레이트(511)의 일면은 브러시 지지 프레임(510)의 후면부에 면접촉한 상태에서 볼트 결합이나 용접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타면은 피벗 실린더(513)의 회전축을 이루는 실린더 피벗 축(513a)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실린더 브래킷(512)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5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에 근접하도록 한 쌍의 제1 센서(S1) 및 제2 센서(S2)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 2 센서(S1, S2)의 상호 이격 거리는 브러시 어셈블리(500)의 폭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제1, 2 센서(S1, S2)를 이용함으로써 브러시 어셈블리(500)와 세척면의 이격 거리를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제1, 2 센서(S1, S2)는 초음파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실린더 브래킷(512)은 피벗 실린더(513)의 외주면에 이격되어 4면으로 감싸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실린더 피벗 축(513a)이 실린더 브래킷(512) 및 피벗 실린더(513)의 몸체부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피벗 실린더(513)의 플런저(514)가 수축하는 방향으로 유압이 가해지면 피벗 실린더(513)가 플런저(514)와 함께 제1 편심축(515)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관성력에 의해 동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피벗 실린더(513)의 플런저(514)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유압이 가해지면서 피벗 실린더(513)가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해, 피벗 실린더(513)의 플런저(514)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편심 부재(520)가 제2 편심축(523)을 중심으로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게 되나, 편심 부재(520)의 돌기부(530)가 저지부(47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이므로 피벗 실린더(513)가 플런저(514)와 함께 제1 편심축(515)을 중심으로 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더하여 피벗 실린더(513)가 플런저(514)와 함께 제1 편심축(515)을 중심으로 90˚ 회전되는 시점에서 플런저(514)가 인장되면 작용중인 관성력으로 인하여 피벗 실린더(513)의 90˚ 회전 위치를 경유하여 180˚ 회전되도록 한다.
피벗 실린더(513)가 회전되는 과정은 말미에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피벗 실린더(513)가 제1 편심축(515)을 기준으로 0˚ 위치(피벗 실린더(513)의 몸체부가 돌기부(530)와 대략 수직하는 일측 방향) 및 180˚ 위치(피벗 실린더(513)의 몸체부가 돌기부(530)와 대략 수직하는 타측 방향)에 놓여질 시 피벗 실린더(513)의 몸체가 실린더 브래킷(512)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린더 브래킷(512)의 마주보는 2개의 면에는 피벗 실린더(513)의 몸체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절개홈(515)이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 지지 프레임(510)을 다시 살펴보면, 그 양단에는 측면 프레임(541, 542)의 일단이 각각 마주보도록 연결되고, 측면 프레임(541, 542)의 각각의 타단에는 브러시 회전축(501)이 회전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한 쌍의 측면 프레임(541, 542) 중 어느 하나에 브러시 구동 모터(540)가 형성되고, 브러시 구동 모터(540)의 회전력에 의해 브러시 회전축(501)이 회전하게 되고, 브러시 회전축(50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브러시 모(503)가 함께 회전함으로써 복수의 브러시 모(503)를 이용하여 터널의 천장 및 측벽의 오염 부위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브러시 모(503)는 합성 수지 또는 천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평시에는 늘어지는 유연 재질의 브러시 모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브러시 회전축(50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직선형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브러시 회전축(501)이 정지 상태인 경우에는 브러시 모(503)가 자중에 의해 브러시 회전축(501)에 매달려 있는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브러시 지지 프레임(510)에는 한 쌍의 만곡 프레임(506)이 형성될 수 있다. 만곡 프레임(506)은 브러시 모(503)의 회전 궤적의 일부를 감싸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으며, 브러시 모(503)가 브러시 회전축(501)에 의해 회전 시 비산되는 오염물 및 수분이 일부 차단하기 위한 프론트 에이프런(502)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론트 에이프런(502)은 만곡 프레임(506)에 의해 지지되되, 브러시 모(503)의 회전 궤적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이와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브러시 어셈블리(500)의 후면부에는 프론트 에이프런(502)과 동일한 기능을 하나, 프론트 에이프런(502)에 의해 차단되는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비산되는 오염물 및 수분의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리어 에이프런(508)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론트 에이프런(502)이 터널 청소차(1)의 전측 및 상측으로 비산되는 오염물 및 수분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리어 에이프런(508)은 브러시 어셈블리(500)의 후측 및 하측으로 비산되는 오염물 및 수분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브러시 어셈블리(500)의 전면부에는 식별 플레이트(50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식별 플레이트(504)는 차량의 운행 중에 전방에 위치하는 차량 또는 사람에게 표식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식별 플레이트(504)의 전면부에 경고 이미지 또는 표식이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식별 플레이트(504)의 측면 모서리에는 식별 봉(50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식별 봉(505)은 터널 청소차(1)의 운전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높이에 해당되는 최소의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운전자에게 브러시 어셈블리(500)의 최전방 위치를 인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과 수평 이동이 가능한 터널 청소기의 브러시 어셈블리가 회전되는 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며 브러시 어셈블리가 회전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의 (a)의 상태에서 피벗 실린더(513)의 플런저(514)가 수축되면 제1 편심축(515)축을 당기게 되어서 편심 부재(520)가 제2 편심축(523)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을 받게 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편심 부재(520)의 돌기부(530)가 저지부(47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도 9의 (b)의 상태로 진행되며 피벗 실린더(513)는 제1 편심축(515)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후, 도 9의 (c)의 상태에 도달하면 피벗 실린더(513)의 플런저(514)가 최대 수축 상태가 되고 브러시 어셈블리(500)는 초기 위치인 (a) 상태로부터 90˚ 회전된 상태가 된다.
이후, 브러시 어셈블리(500)는 관성력에 의해 계속적으로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되고 이때, 도 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벗 실린더(513)의 플런저(514)는 인장상태로 전환되며, 도 9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벗 실린더(513)의 플런저(514)가 최대 인장 상태가 됨으로써, 초기 위치인 (a)인 상태로부터 180˚ 회전된 상태가 된다.
즉, 도 9의 (a)부터 (e) 상태가 되는 동안 브러시 어셈블리(500)가 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되고, 브러시 어셈블리(500)가 원위치로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피벗 실린더(513)의 플런저(514)를 도 9의 (e)부터 (a) 역순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과 수평 이동이 가능한 터널 청소기에 의하면 브러시 어셈블리(500)는 제2 편심축(523)을 중심으로 일측 방향으로 180˚회전 및 타측 방향으로 180˚ 회전(반전) 가능하므로 터널 내부의 측벽 및 천장 등의 다양한 위치에 대한 세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횡방향 수평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200)에 의해 터널 청소차(1)의 측방에 대한 거리 조절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과 수평 이동이 가능한 터널 청소차의 컨트롤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도 10의 표시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반전과 수평 이동이 가능한 터널 청소차의 컨트롤러(600)는 본체부(601), 조작 레버(610), 모니터부(604), 복수의 조작 버튼(605)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601)는 터널 청소차(1)의 운전석 주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부재(6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부(601)의 내부는 전자 회로 장치의 전원 공급 및 케이블이 내장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조작 레버(6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적어도 4개 방향으로 피벗 되도록 본체부(601)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레버(610)의 4개 방향 중 2개의 방향은 제1 암 부재(410)의 회전을 양방향으로 피벗되도록 설정되고, 다른 2개의 방향은 제2 암 부재(440)의 회전을 양방향으로 피벗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 레버(610)의 2개 방향을 따른 조작을 하되, 이중 하나의 방향은 제1 암 부재(410)가 일측으로 회전되도록 제1 실린더(420)가 인장되도록 제어되고, 다른 하나의 방향은 제1 암 부재(410)가 타측으로 회전되도록 제1 실린더(420)가 수축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조작 레버(610)의 다른 2개 방향을 따른 조작을 하는 경우, 이중 하나의 방향은 제2 암 부재(440)가 일측으로 회전되도록 제2 실린더(430)가 인장되도록 제어되고, 다른 하나의 방향은 제2 암 부재(440)가 타측으로 회전되도록 제2 실린더(430)가 수축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601)에는 제1 실린더(420) 및 제2 실린더(430)의 유압 형성을 미리 가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하여 암 부재 조작 버튼(620, 630)이 형성될 수 있다.
암 부재 조작 버튼(620, 630)은 제1 실린더(420) 및 제2 실린더(430)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공급 라인(미도시)을 통해 형성되는 유압 형성부(미도시)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암 부재 조작 버튼(620, 630)에 근접하는 위치에 경고음 제어 버튼(640)이 형성될 수 있다. 경고음 제어 버튼(640)은 터널 청소차(1)의 각종 장비들의 오작동 또는 고장으로 인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될 여지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경고음 제어 버튼(640)을 눌러 주변에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위험 상황이 발생될 여지가 있는 경우, 모든 장치를 중지시키기 위해 본체부(601)에 긴급 정지 버튼(65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체부(601)의 일면에는 연결 부재(603)의 일단이 고정되고, 이러한 연결 부재(603)의 타단이 고정되는 모니터부(604)가 설치될 수 있다.
모니터부(604)는 브러시 어셈블리(50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브러시 어셈블리 조작 버튼(605) 및 표시부(606)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어셈블리 조작 버튼(605)은 브러시 어셈블리(500)의 회전 제어를 위해 피벗 실린더(513)의 구동 및 정지를 입력받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606)에는 각 장치들의 작동 상태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606)에 근접하는 위치에 보조 표시부(606c, 606d)가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표시부(606c, 606d)는 제1, 2 센서(S1, S2)에 의해 측정된 브러시 어셈블리(500)와 세척면 간의 이격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조 표시부(606c, 606d)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브러시 어셈블리(5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컨트롤러(600)는 각종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일 예로 CAN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종 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브러시 어셈블리(500)에 설치된 제1, 2 센서(S1, S2)는 각각의 검출값을 제어기(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이 값을 비교하여 이 값의 차이가 일 예로, 설정값인 오차 범위 50 이내이면 회전 각도 정상으로 판단하고, 이 값의 평균이 거리 설정값(500mm~420mm) 이내이면 거리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정상 범위에 있음을 표시부(606)에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600)는 운전석내에 설치되되 설치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는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로 전방 및 상측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터널 청소차(1)에 구비된 제1 암 부재(410)와 제2 암 부재(440)의 관절 운동을 회전 제어할 수 있고, 브러시 어셈블리(500)의 회전 및 정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터널 청소차
10: 터널 청소기
100: 전방 프레임
300: 회전체
400: 암 부재
500: 브러시 어셈블리
600: 컨트롤러
610: 조작 레버
S1, S2: 제1, 2 센서

Claims (8)

  1. 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전방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에 설치되고,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상단에 피벗 연결되고, 복수의 실린더의 왕복 운동에 의해 적어도 2관절 이상으로 관절 운동되도록 일단이 연결되는 암 부재;
    상기 암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브러시 모를 회전시키는 브러시 회전축을 구비하는 브러시 어셈블리;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폭방향을 따른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2 센서; 및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암 부재 및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레버, 복수의 버튼 및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고,
    상기 암 부재는 상호 힌지 결합되는 제1 암 부재와 제2 암 부재로 분절되어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암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4개의 방향으로 피벗되되,
    상기 조작 레버의 4개 방향 중 2개의 방향은 상기 제1 암 부재의 회전을 양방향으로 피벗되도록 제어하고, 다른 2개의 방향은 상기 제2 암 부재의 회전을 양방향으로 피벗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를 통하여 수직으로 연결되는 모니터부가 포함되고,
    상기 모니터부는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브러시 어셈블리 조작 버튼 및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부에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어셈블리의 회전을 작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복수의 브러시 어셈블리 조작 버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상에는 상기 제1 암 부재와 제2 암 부재의 각각의 실린더에 유압 형성을 가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암 부재 조작 버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 부재 조작 버튼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고음 제어 버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 2 센서에 의해 검출된 브러시 어셈블리와 세척면 간의 이격 거리를 표시하는 보조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
KR1020170000959A 2016-06-29 2017-01-03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 KR101718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006 2016-06-29
KR20160082006 2016-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123B1 true KR101718123B1 (ko) 2017-03-21

Family

ID=5850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959A KR101718123B1 (ko) 2016-06-29 2017-01-03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1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8981A (zh) * 2017-11-03 2018-03-30 福建龙马环卫装备股份有限公司 功能车辆作业装置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5120A (ja) * 1997-05-27 1998-12-08 Kensetsusho Kyushu Chiho Kensetsu Kyokucho トンネル内壁清掃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5120A (ja) * 1997-05-27 1998-12-08 Kensetsusho Kyushu Chiho Kensetsu Kyokucho トンネル内壁清掃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8981A (zh) * 2017-11-03 2018-03-30 福建龙马环卫装备股份有限公司 功能车辆作业装置控制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2698B2 (en) Mobile robotic cleaner
US4933016A (en) Car wash
ES2334064T3 (es) Robot modular.
CN103251357B (zh) 外墙清洗机
KR101718124B1 (ko) 상하 반전과 수평 이동이 가능한 터널 청소기
ES2882424T3 (es) Instalación de lavado de vehículos y procedimiento para su funcionamiento
JP2014523983A (ja) 清掃車
EP2743038A1 (de) Anordnung zur Überwindung eines Verfahrhindernisses
EP0401120A1 (fr) Robot mobile commandable à distance pour intervenir sur une surface, notamment pour le nettoyage d'une façade verrière.
KR101718123B1 (ko) 컨트롤러를 구비한 터널 청소차
CN104350212A (zh) 旋回作业车
WO2016154272A1 (en) Walk-behind rail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CN109629496A (zh) 一种多角度清扫设备
DE102005035634A1 (de) Verfahren zum Steuern eines Werkzeuges
DE102006017999A1 (de) Verfahren zum Waschen eines Kraftfahrzeugs in einer Waschstrasse sowie Waschstrasse zur Reinigung von Kraftfahrzeugen
KR20190103519A (ko) 무인제설로봇
JP3877634B2 (ja) 滑走路の誘導灯洗浄装置
US20130187354A1 (en) Stairway assembly for a machine
WO2015168773A1 (en) Device for clearing an area around elevated objects
KR100432124B1 (ko) 도로의 중앙 분리대 또는 팬스 청소 장치
JP2009173175A (ja) 洗車機
US3616477A (en) Power driven road sweeper with laterally and angularly adjustable brush
EP2725141B1 (fr) Membre articulé comportant un outil de traitement de parois et véhicule de traitement de parois d'un ouvrage
DK168426B1 (da) Rengøringsapparat
JP5941014B2 (ja) 双腕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