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958B1 - Nonpower apparatus for exiting via the emergency stairs with wheel-based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Nonpower apparatus for exiting via the emergency stairs with wheel-based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958B1
KR101717958B1 KR1020140181511A KR20140181511A KR101717958B1 KR 101717958 B1 KR101717958 B1 KR 101717958B1 KR 1020140181511 A KR1020140181511 A KR 1020140181511A KR 20140181511 A KR20140181511 A KR 20140181511A KR 101717958 B1 KR101717958 B1 KR 101717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p
moving mechanism
wheel moving
safety ba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5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73468A (en
Inventor
권효순
은선덕
조기훈
구도훈
이유진
오금호
장재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18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958B1/en
Publication of KR20160073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4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9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는 단차진 계단상에 설치되어 계단의 단차를 은폐키는 경사로; 경사로와 동일한 폭으로 바퀴 이동기구에 탑승한 탑승자가 손으로 잡고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난간 지지부의 지지를 받아 형성된 외, 내측 난간; 외, 내측 난간과 연결되어 안전벨트 방식으로 하강하는 바퀴 이동기구에 탑승한 탑승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안전벨트 타입 안전바; 및 외, 내측 난간 각각에 내장되고 안전바와 연결되어 바퀴 이동기구와 탑승자의 하중으로 인해 발생되는 속도를 제동하는 속도 제어기;를 포함하여, 계단이동을 수월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step escape assist device for the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amp installed on a stepped stairway to hide a step of a step; An inner and outer railing formed by a support of the railing support at a position where the rider aboard the wheel moving mechanism can hold and support the rider in the same width as the ramp; A safety belt type safety bar for supporting a load of a passenger mounted on a wheel moving mechanism that is lowered in a seat belt manner in connection with an inner side rail; And a speed controller which is built in each of the inner and outer rails and connected to the safety bar to braking a speed generated due to the load of the wheel moving mechanism and the occupant, thereby facilitating the step movement.

Description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NONPOWER APPARATUS FOR EXITING VIA THE EMERGENCY STAIRS WITH WHEEL-BASED MOBILE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irway evacuation assist device for a wheel moving device,

본 발명은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하여 바퀴이동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계단을 이용하여 일정속도범위로 내려올 수 있게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ir escape assistance device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ir escape assistance device for a wheel moving device, Evacuation assistance device.

거동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하여 바퀴이동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종래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는 1인 1대로 제한되어 있어 사용인원에 맞게 구비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 is a problem that a stair evacuation assist device for a conventional wheel moving device for a user who uses a wheel moving device due to impossibility or inconvenience is limited to one per one,

또한, 종래의 경사로는 표면의 마찰력을 높여주는 미끄럼방지 소재를 붙여 미끄러짐을 최소화 시켰으나 경사가 높은 경우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경사각을 줄여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이러한 번거로움은 경사로를 길게 빼기 위해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amp minimizes slippage by attaching a slip resistant material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surface. However, when the slope is high, the effect is not shown and there is a need to reduce the inclination angle. There is a problem that space is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0101호(2010. 05. 19)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60101 (2010. May 19, 201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동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하여 바퀴이동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계단을 이용하여 일정속도범위로 내려올 수 있게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ir-step evacuation assisting device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such that a user using a wheel-moving device can not move or descend to a predetermined speed range using a stair .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계단 상단에 있던 안전벨트가 계단 하단으로 내려가는 동시에 원래부터 계단 하단에 있었던 안전벨트가 계단 상단으로 올라가게 되어 한 사람이 내려간 후 바로 다음 사람이 내려갈 수 있는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벨트형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계단의 벽면 한 면 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의 계단에 설치가 간단하고 접이식으로서 사용자가 사용할 시에만 펴서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접혀지는 형태로 보관이 가능하여 계단 이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는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바형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 belt at the top of the stairs descends to the bottom of the stairs, and at the same time, the seat belt that was originally at the bottom of the stairs rises to the top of the stairs, It is easy to install on narrow stairway because it uses only one side of the wall of the stairs. It is used folded only when it is used by the user, and after folding after u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r-type stair-step evacuation assisting device for a wheel-moving mechanism that can be installed in a stairway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use of a stairwa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는 단차진 계단상에 설치되어 계단의 단차를 은폐키는 경사로; 경사로와 동일한 폭으로 바퀴 이동기구에 탑승한 탑승자가 손으로 잡고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난간 지지부의 지지를 받아 형성된 외, 내측 난간; 외, 내측 난간과 연결되어 안전벨트 방식으로 하강하는 바퀴 이동기구에 탑승한 탑승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안전벨트 타입 안전바; 및 외, 내측 난간 각각에 내장되고 안전바와 연결되어 바퀴 이동기구와 탑승자의 하중으로 인해 발생되는 속도를 제동하는 속도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ir-step evacuation assisting apparatus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comprising: a ramp installed on a stepped stairway to cover a step of a stairway; An inner and outer railing formed by a support of the railing support at a position where the rider aboard the wheel moving mechanism can hold and support the rider in the same width as the ramp; A safety belt type safety bar for supporting a load of a passenger mounted on a wheel moving mechanism that is lowered in a seat belt manner in connection with an inner side rail; And a speed controller which is built in each of the inner and outer railing and connected to the safety bar so as to brake the speed generated by the wheel moving mechanism and the load of the occupant.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는 단차진 계단상에 설치되어 계단의 단차를 은폐시키는 경사로; 경사로에 타측면이 연결되고 경사로의 일측면이 벽측에서 계단측으로 펴짐과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난간 지지부; 바퀴 이동기구에 탑승한 탑승자가 손으로 잡고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난간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된 내측 난간; 내측 난간과 연결되어 바 방식으로 하강하는 바퀴 이동기구에 탑승한 탑승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바 타입 안전바; 및 내측 난간에 내장되고 안전바와 연결되어 바퀴 이동기구와 탑승자의 하중으로 인해 발생되는 속도를 제동하는 속도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air-step evacuation assisting device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comprising: a slope installed on a stepped stairway to conceal steps of steps; A parapet suppor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amp and allowing one side of the ramp to expand and collapse from the side of the ramp to the side of the ramp; An inner parapet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arapet supporting portion at a position where the occupant aboard the wheel moving mechanism can hold and support the parapet; A bar type safety bar supporting a load of a passenger mounted on a wheel moving mechanism which is connected to an inner side rail and descends in a bar manner; And a speed controller built in the inner side rail and connected to the safety bar so as to brake the speed generated due to the load of the wheel moving mechanism and the occupant.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는 장애가 있는 이용자 뿐만 아니라, 고령화사회의 도래로 거동이 불편하여 휠체어 이동이 잦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수많은 노인들의 계단이동을 수월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stairway evacuation assist device for the wheel 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movement of the stairs of a large number of elderly people who are expected to have frequent wheelchair movement due to inconvenience due to the arrival of an aging society as well as a disabled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경사로 상세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경사로에 형성되는 무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안전벨트 타입 안전바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속도 제어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바 타입 안전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ir-step evacuation assist apparatus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view of a ramp of a stair evacuation assist device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pattern formed on a ramp of a stair-step evacuation assist device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safety belt type safety bar of a stair escape assistant apparatus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peed controller of a stair evacuation assistance apparatus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ir-step evacuation assist device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stair-step evacuation assisting device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bar type safety bar structure of a stair escape assistant apparatus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in order to describe it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irway evacuation assistance device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는 경사로(100), 외, 내측 난간(200, 300), 난간 지지부(400), 안전바(500), 및 속도 제어기(600)를 포함한다.1, the stair escape assist apparatus for the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mp 100, an inner railing 200, 300, a railing support 400, a safety bar 500, And a speed controller (600).

상기 경사로(100)는 직사각형 구조로 단차진 계단상에 설치되어 상기 계단의 단차를 은폐시키 바퀴 이동기구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The ramp 100 is installed on a stepped stairway with a rectangular structure to conceal the stepped portion of the stairway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wheel moving mechanism.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로(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경사판 즉, 제1 경사판(110)과 제2 경사판(120)이 배면에 형성된 경첩으로 연결되어 중앙에서 접철되어 도 2의 (b)와 같이 평상시에는 접어서 보관된다.2, the ramp 100 includes two swash plates made of an aluminum alloy, that is, a first swash plate 110 and a second swash plate 120 connected to each other by hinges formed on the back surface, And is normally folded and stored as shown in Fig. 2 (b).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경사로 상세도면이다. 2 is a detailed view of a ramp of a stair escape assistance device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상기 경사로(100)는 펼칠 때 탄성의 힘으로 쉽게 펼쳐질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에 탄성체인 스프링이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은 상기 경사로(100)가 접힌 상태에서 밑부분에 해당되는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amp 100 is formed with elastic springs at upper and lower portions so that the ramp 100 can be easily unfolded by the elastic force when the ramp 100 is expanded. The spring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when the ramp 100 is folded desirable.

상기 외, 내측 난간(200, 300)은 상기 경사로(100)와 동일한 폭으로 바퀴 이동기구에 탑승한 탑승자가 손으로 잡고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난간 지지부(400)의 지지를 받아 형성된다. The inner and outer railing members 200 and 300 are supported by the railing support member 400 at a position where the occupant of the railing member 100 can hold the railing member 100 by hand.

참고로, 상기 외측 난간(200)은 벽을 중심으로 벽에서 멀리 설치된 난간을 일컫고, 상기 내측 난간(300)은 벽에서 가까이 설치된 난간을 일컫는다.For reference, the outer parapet 200 refers to a parapet installed far from a wall around a wall, and the inner parapet 300 refers to a parapet installed near a wall.

무엇보다, 후술된 바와 같은 이루로 상기 외, 내측 난간(200, 300)은 상기 안전바(500)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2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More particularly, the inner and outer railing (200, 300) have a two-layer structure so that the safety bar (500)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특히, 상기 난간 지지부(400)는 하부에 바퀴(41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바퀴(410)는 상기 경사로(100)의 접철이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도록 한다.Particularly, the wheel supporting part 400 is formed with a wheel 410 at a lower part thereof. The wheel 410 makes it easy to fold the ramp 100.

즉, 상기 경사로(100)는 가장자리 부분이 계단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난간 지지부(400)의 바퀴(410)에 결합되어 접고 펴는 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That is, the edge of the ramp 100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step, but is engaged with the wheel 410 of the railing support unit 400 and is easily folded and stretched.

한편, 계단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상기 경사로(100) 높이에 대한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위해, 경사로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명도와 채도를 낮게 색상을 배치시키고, 팽창해 보이는 영향을 주어 좁고 높다는 느낌을 주는 파란색보다는 안정적인 느낌을 주는 초락색을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order to give a user who uses the stairway a psychological feeling of stability with respect to the height of the ramp 100, colors are set to be lowered from the upper end portion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amp with lower brightness and saturation, It is preferable to arrange an ultralock color giving a stable feeling.

또한, 상단에서 볼때 하단부분이 가깝게 느껴질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선 좁게 그리고 하단으로 갈수록 넓게 바 형태의 무늬를 상기 경사로(100)에 넣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지그재그 무늬나 가로무늬, 사선무늬로 실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it is preferable to insert a bar-shaped pattern into the ramp 100 narrowly at the upper end and broader toward the lower end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may be felt closer to the upper end as viewed from the upper end. It can be done with patterns, transverse patterns, and oblique patterns.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경사로에 형성되는 무늬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pattern formed on a ramp of a stair-step evacuation assist device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경사로(100)를 하강하는 바퀴 이동기구의 가속력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로(100) 표면에 미끄럼 방지 테이프를 붙여주어 마찰계수를 높여줌으로써, 마찰력을 상승시켜 상기 가속력을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an accident caused by the acceleration force of the wheel moving mechanism that descends the ramp 100, a slip tape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amp 100 to increase the friction coefficient,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 force, .

상기 마찰력을 상승시켜 주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 상기 경사로(100)에 고무재질의 매트를 붙이거나 경도 50 Hv이상의 EVA를 붙여준다.As another method for raising the frictional force, a rubber material mat is attached to the ramp 100, or EVA having a hardness of 50 Hv or more is stuck.

또한, 상기 경사로(100)에 일정간격(실시예 20 cm)마다 공간을 두어 휠체어 바퀴가 걸려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추가하는, 일정(실시예 15 cm) 공간에 맞는 직사각형 알루미늄 박스를 연결하여 그 안에 EVA와 같은 소재를 삽입하여 마찰을 높이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a rectangular aluminum box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15 cm) space was added to the ramp 100 so that the wheelchair wheels could be hooked on the ramp 100 at regular intervals (20 cm for example) By inserting material such as EVA in it, it is possible to increase friction and to absorb shock.

한편, 바퀴 이동기구의 안전한 진행을 위하여, 상기 경사로(100) 판이 전체적으로 오목하거나 완만한 V자형으로 제작되어 바퀴 이동기구에 장착된 바퀴의 진로방향이 일정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경사로(100) 상의 일부분에만 바퀴 이동기구의 바퀴만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U자 형이나 V자 형 홈으로 제작하여 바퀴 이동기구의 바퀴에 대하여 안정적인 진로방향을 유도한다.In order to move the wheel moving mechanism safely, the ramp 100 may be formed as a generally concave or gentle V-shap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wheel mounted on the wheel moving mechanism can be constantly guided, ), Only a wheel of the wheel moving mechanism is inserted and moved to form a U-shaped or V-shaped groove to induce a stable care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heel of the wheel moving mechanism.

상기 안전바(500)는 상기 외, 내측 난간(200, 300) 내부에 내장되어 장착된 속도 제어기(600)와 로프를 통해 연결되어 안전벨트 방식으로 계단의 상단과 계단의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The safety bar 500 is connected to the speed controller 600 built in the inner and outer rails 200 and 300 through a rope so as to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tairs and the lower ends of the stairs in a seat belt manner .

즉, 상기 안전바(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점식의 안전벨트로 상기 내측 난간(300)에 연결된 버클(Buckle:510)과 상기 외측 난간(200)에 연결된 텅 플레이트(Tongue Plate:520)로 구성되어, 상기 버클(510)을 상기 텅 플레이트(520)에 착용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타고 하강하는 탑승자가 내측 난간과 외측 난간을 가로질러 연결된 안전바에 몸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4, the safety bar 500 includes a buckle 510 connected to the inner rail 300 with a two-point safety belt, and a tongue plate 500 connected to the outer rail 200. [ 520). As the buckle (510) is worn on the tongue plate (520), the occupant descending on the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body in the safety bar which is connected across the inner side rail and the outer side rail .

특히, 상기 안전바(5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내측 난간과 외측 난간 내부에 속도 제어기와 연결된 로프가 결합되어 난간 내부에서 순환 이송되고,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외, 내측 난간(200, 300) 내부가 각각 2개층의 폐쇄된 레일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2개층 레일구조를 따라 로프가 1층과 2층의 레일을 순환하도록 구성되어, 바퀴 이동기구를 타고 탑승자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상부의 안전바는 난간 내부의 상기 속도 제어기에서 순환 이송되는 로프를 통해 2층의 레일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의 안전바는 난간 내부의 상기 속도 제어기에서 순환 이송되는 로프를 통해 1층의 레일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다음 이용자의 안전바(500)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부 안전바와 하부 안전바는 상기 속도 제어기 내부를 통과하는 하나의 로프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4 (b), the safety bars 500 ar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airs, respectively. The rope connected to the speed controller is coupled to the inside railing and the outer railing, and circulated within the railing The inner side rails 200 and 300 are formed of two closed rail structures, and the rope is configured to circulate the first and second rails along the two-layered rai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bar on the upper part moves downward along the two-layered rail through the rope circulated and transported by the speed controller inside the railing, and the safety bar on the lower part moves downward To move upward along the rails of the first floor through the rope circulated in the speed controller of the speed controller to enable the use of the safety bar 500 of the next user. That is, the upper safety bar and the lower safety bar are connected through a single rop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speed controller.

참고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안전바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safety bar of a stair evacuation assistance device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안전바(500)는 안전벨트 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폭, 경사, 높이 등 계단의 특성에 따라 바(bar), 또는 하네스 타입 등으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The safety bar 500 is not limited to the safety belt type, but may be a bar, a harness type,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steps such as width, inclination, and height.

특히, 상기 바 타입은 후술된 바와 같이 벽면 한 면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의 계단에 설치가 가능하고, 바를 접이식으로 사용자가 사용할 때만 펴서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접혀지는 형태로 보관이 가능하여 계단 이용에 방해되지 않도록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활용이 용이하다.In particular, since the bar type uses only one side of the wall as described later, it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and the bar can be folded to be used only when the user uses it, Installation is possible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se, so space utilization is easy.

계단 상부 난간 내측에 고정되어 설치된 상기 속도 제어기(600)는 로프를 통해 상기 안전바(500)와 연결되어 상기 안전바(500)에 전달되는 상기 바퀴 이동기구와 상기 바퀴 이동기구 탑승자의 하중으로 발생되는 하강 속도를 제동하여 상기 안전바(500)를 포함한 바퀴 이동기구와 탑승자를 천천히 내려가게 한다.The speed controller 600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stepped railing is connected to the safety bar 500 through a rope and is generated by the loads of the wheel moving mechanism and the wheel moving mechanism which are transmitted to the safety bar 500 So that the wheel moving mechanism including the safety bar 500 and the passenger slowly descend.

즉, 상기 속도 제어기(600)는 상기 바퀴 이동기구가 4m 길이의 30°경사로에서 약 0.8m/s속도로 내려올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speed controller 600 allows the wheel moving mechanism to descend at a speed of about 0.8 m / s in a 30 ° ramp having a length of 4 m.

상기 속도 제어기(600)의 구동방식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driving method of the speed controller 6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속도 제어기(600)는 치차식, 유성치차식, 유압식을 적용한 브레이크 원리가 이용될 수 있다.The speed controller 600 may be a brake principle using a gear type, a planetary gear type, or a hydraulic type.

상기 브레이크 원리와 관련하여,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브레이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에 연결된 상기 안전바(500)를 착용한 상태로 바퀴 이동기구를 탑승한 탑승자가 하강하는 경우, 브레이크슈에 붙여진 브레이크 패드(도 5의 브레이크슈에 검은색 부분)에 의해 마찰계수가 상승됨에 따라 제동력을 올려주어 속도를 줄인다.
즉, 본 실시예에 적용된 속도 제어기의 브레이크 원리는 치차원심마찰 브레이크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로프홈에 상기 안전바와 연결된 로프의 단부가 결합되어 구동기어와 안전바를 연결하고, 구동기어가 안전바에 가해지는 무게에 의해 회전하면서 피동기어로 힘을 전달하게 되며, 피동기어로 전달된 힘은 n개로 구성된 호형의 브레이크슈가 브레이크드럼에 부딪히면서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brake includes a safety bar 500 connected to a rope as shown in FIG. 5, and a passenger carrying the wheel movement mechanism moves downward , The friction coefficient is increased by the brake pad (the black portion in the brake shoe of FIG. 5) attached to the brake shoe, thereby increasing the braking force and reducing the speed.
That is, the brake principle of the speed controller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gear centrifugal friction brake system. The end of the rope connected to the rope groove is connected to the drive gear and the safety bar,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driven gear is transmitted to the driven gear while being rotated by the weight.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driven gear can be braked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brake pad as the arc-shaped brake shoe composed of n bumps against the brake drum.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속도 제어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peed controller of a stair evacuation assistance device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속도 제어기(600)는 엘리베이터 제동 원리를 이용한 방법을 치차원심마찰 브레이크 방식과 병행하여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벽면에 넓이는 20 cm, 길이는 계단 길이에 맞게 툴박스를 제작하여 10 kg의 추 10여개를 계단 하단에 있도록 하고 추를 속도 제어기와 연결된 로프의 일단에 연결하고, 타단을 상기 속도 제어기(600)의 구동 기어와 연결하여 상기 구동 기어와 피동 기어의 기어비로 인한 제동력을 원심마찰 브레이크 방식에 더하도록 하여 추의 무게 제동력과 융합되어 바퀴 이동기구와 바퀴 이동기구 탑승자의 하중에 따른 하강 속도에 대한 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경사로(100)를 하강하는 바퀴 이동기구와 바퀴 이동기구 탑승자의 하중에 따라 추의 무게를 조절하여 제동할 수 있도록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peed controller 600 performs braking in parallel with the gear centrifugal friction brake method using the elevator braking principle. A tool box was manufactured to have a width of 20 cm on the wall and a length of the stairs so that 10 weights of 10 kg wer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stairs and the weight wa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pe connected to the speed controller, And the braking force due to the gear ratio of the driving gear and the driven gear is added to the centrifugal friction braking system so that the braking force for the descending speed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wheel moving mechanism and the wheel moving mechanism occupant . That is, the weight of the weight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oads of the wheel moving mechanism and the wheel moving mechanism descending the ramp 100, so that braking can be performed.

이미 언급한 벽면 한 면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의 계단에 설치가 가능하고, 바를 접이식으로 사용자가 사용할 때만 펴서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접혀지는 형태로 보관이 가능하여 계단 이용에 방해되지 않도록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활용이 용이한 바 타입에 대하여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Since only one side of the wall mentioned above is used, it can be installed on the stairs in a narrow space, and it is possible to store the folded shape of the bar when folded after use. A bar type that is easy to use space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인데,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ir-step evacuation assisting device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operation of the stair evacuation assist device for the wheel moving mechanism, which i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는 상기 경사로(100)가 벽측에 구비되어 있고, 사용시 상기 경사로(100)의 일측면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간 지지부(400)에 회동 방식으로 펼쳐진 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 이동기구 탑승자가 바 타입의 안전바(500)를 잡고 하강하면, 하부에 있던 바 타입의 안전바(500)가 다음 이용자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상부로 이동하고, 더 이상의 이용자가 없는 경우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측으로 원위치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a), the stairway escape assist device for the wheel moving mechanism is provided with the ramp 100 on the wall side, and one side of the ramp 100 is shown in Fig. 7 (b) 7 (c), when the occupant of the wheel moving mechanism holds the bar type safety bar 500 and descends, the bar type of the bar type The safety bar 500 is moved upward to enable the next user, and if there is no more user, the bar 500 is returned to the wall side as shown in Fig. 7 (d).

이때, 상기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는 바 타입의 상기 안전바(500)가 상술한 속도 제어기(600)와 연결된 로프에 장착되어 경사로 하강 시, 상기 바퀴 이동기구와 탑승자의 하중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속도를 제동받아 천천히 내려가게 된다.At this time, the stair escape evacuation assist device for the wheel moving mechanism is constructed such that when the safety bar 500 of the bar type is mounted on the rope connected to the speed controller 600 described above and is lowered on the ramp due to the load of the wheel moving mechanism and the passenger The generated acceleration is braked and slowly lowered.

여기서, 상기 안전바(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부가 구비되고, 해당 접힘부에서 `ㄱ`자 형태로 90°만큼 접힘이 가능하여, 경사로 하강시 편 상태로 의지할 수 있고 비사용시 상기 경사로(100)와 마찬가지로 접어서 계단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계단 이용자의 불편을 덜어줄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afety bar 500 is provided with a folded portion and can be folded by 90 ° in the shape of a letter "A" at the folded por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the stairway user by securing the space of the stairway by folding it in the same manner as the ramp 100 when it is used.

참고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의 바 타입 안전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illustrating a bar type safety bar structure of a step escape assist device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바 타입의 안전바(500)는 상기 접힘부가 형성된 일단이 상기 내측 난간(300)의 2층 폐쇄된 레일 구조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형성되어, 상기 안전벨트 타입의 안전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의 안전바가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내측 난간의 내부에 속도 제어기와 연결되어 2층의 레일을 순환 구동하는 로프의 이송에 의해서 2층의 레일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의 안전바가 1층의 레일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다음 이용자의 안전바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In particular, the bar-type safety bar 500 is formed such that one end of the bar 500 is movably engaged with the two-layer closed rail structure of the inner side rail 300, When the safety bar moves along the rail, the inner rail is connected to the speed controller inside the inner rail to move downward along the two-layer rail by the transfer of the rope for circulating the two-layer rail, To enable the use of the safety bar of the next user.

안전바의 다른 실시예로서, 레일 하네스형 안전벨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레일 하네스형 안전벨트 장치는 비상구 계단을 따라 천장 중앙에 I자형 지지레일 두 라인을 설치하고, 두 개의 레일 사이에 W자형 지지레일의 지지면을 따라 동작하는 롤러를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레일과 맞붙는 롤러 끝면에는 고무재질의 패드가 부착되어 있어 마찰력을 증가시켜 속도를 조절해주고, 속도가 급격히 증가할 때 제동해주는 역할을 한다.In the rail harness type safety belt device, two lines of I-shaped support rails ar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along the escape route and W A roller that operates along the support surface of the female support rail is provided and a rubber pad is attached to the end surface of the roller which abuts against the support rail to adjust the speed 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and to brake when the speed increases rapidly .

이때, 하네스는 두 개로 이루어져 W자형 롤러에 각각 하나씩 연결되며 한 개의 하네스는 사용자의 액와(겨드랑이)를 지나 팔에 걸리도록 착용하고, 다른 한 개는 바퀴이동기구에 연결해 준다.At this time, the harness consists of two harnesses, one for each W-shaped roller. One harness is worn to pass through the user's axle (armpits), and the other harness is connected to the wheel movement mechanism.

안전바의 다른 실시예로서, 원형롤러 방식의 안전벨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원형롤러 방식의 안전벨트 장치는 총 3개의 파이프가 구성되어 2층의 레일을 만들게 되며, 도넛 형태의 원형롤러가 상부 상층의 원형롤러 한 개, 하부 하층의 원형롤러 한 개로 구성되어, 원형롤러의 가운데 원형 구멍에 속도제어기와 연결된 로프가 안전벨트와 고정되어 속도를 제동해 준다.As another example of the safety bar, a circular belt type safety belt device will be described. In the round belt type safety belt device, a total of three pipes constitute a two-layered rail, and a donut- One round roller in the upper upper layer and one round roller in the lower lower layer, the rope connected to the speed controller in the center circular hole of the circular roller is fixed to the seat belt and brakes the spe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경사로
110 : 제1 경사판
120 : 제2 경사판
200 : 외측 난간
300 : 내측 난간
400 : 난간 지지부
410 : 바퀴
500 : 안전바
510 : 버클
520 : 텅 플레이트
600 : 속도 제어기
100: ramp
110: first swash plate
120: 2nd swash plate
200: outside railings
300: inner railings
400: railing support
410: Wheel
500: Safety bar
510: Buckle
520: Tongue plate
600: Speed controller

Claims (14)

단차진 계단상에 설치되어 계단의 단차를 은폐시키는 경사로(100);
상기 경사로(100)와 동일한 폭으로 바퀴 이동기구에 탑승한 탑승자가 손으로 잡고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난간 지지부(400)의 지지를 받아 형성되고, 내부가 2층의 폐쇄된 레일구조로 이루어진 외, 내측 난간(200, 300);
상기 외, 내측 난간(200, 300)과 연결되어 바퀴 이동기구에 탑승한 탑승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안전벨트 타입 안전바(500); 및
상기 외, 내측 난간(200, 300) 각각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내장되고 상기 안전바(500)와 연결되어 상기 바퀴 이동기구와 탑승자의 하중으로 인해 발생되는 속도를 제동하는 속도 제어기(600);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바(500)는 계단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바퀴 이동기구를 타고 탑승자가 하강하는 경우, 상부의 안전바는 2층의 레일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고, 하부의 안전바는 1층의 레일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
A ramp (100) installed on the stepped step to conceal the step of the step;
The railroad car 200 is formed by supporting the railroad support part 400 at a position where the passenger on the wheel moving mechanism can be held by the hand with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ramp 100, Inner railings 200 and 300;
A safety belt type safety bar 500 connected with the inner and outer rails 200 and 300 to support the loads of the passengers aboard the wheel movement mechanism; And
A speed controller 600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each of the inner and outer rails 200 and 300 and connected to the safety bar 500 for braking a speed generated due to the load of the wheel movement mechanism and the occupant; / RTI >
The safety bar 500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airs. When the occupant rides on the wheel moving mechanism, the upper safety bar moves downward along the two-layer rail, Wherein the step moves upward along the rails of the flo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100)는
제1 경사판(110)과 제2 경사판(120)이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1 경사판(110)과 상기 제2 경사판(120)의 배면이 경첩으로 결합되어 중앙에서 접힘과 펴짐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mp (100)
The first swash plate 110 and the second swash plate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swash plate 110 and the second swash plate 12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by a hinge, A stairway evacuation aid for a wheel moving mechanis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100)는
상기 제1 경사판(110)과 상기 제2 경사판(120)의 배면에 탄성체인 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amp (100)
Wherein the first inclined plate (110) and the second inclined plate (120) are provided with elastic springs on the rear surface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100)는
경사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갈수록 명도와 채도가 높아지게 색상을 배치시키고, 경사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게 바 형태의 무늬를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mp (100)
And a bar-shaped pattern is disposed so as to have a wider width from a higher position to a lower position from a higher position to a lower position. Auxiliary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 타입의 안전바(500)는
2점식의 안전벨트로 상기 내측 난간(300)에 연결된 버클(Buckle:510); 및
상기 외측 난간(200)에 연결된 텅 플레이트(Tongue Plate:520);를 포함하되,
상기 버클(510)을 상기 텅 플레이트(520)에 착용함에 따라 바퀴 이동기구를 타고 하강하는 탑승자의 몸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fety bar type safety bar 500
A buckle 510 connected to the inner railing 300 by a two-point seat belt; And
And a tongue plate 520 connected to the outer railing 200,
Wherein the tread plate (520) is worn on the buckle (510) so that the body of the descending rider can be supported by the wheel moving mechanis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제어기(600)는
브레이크슈에 붙여진 브레이크 패드에 의해 마찰계수가 상승함에 따라 제동력을 올려 속도를 줄이는 마찰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eed controller 600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ing force is a friction mode in which the braking force is increased and the speed is reduced as the friction coefficient is increased by the brake pads attached to the brake shoes.
단차진 계단상에 설치되어 계단의 단차를 은폐시키는 경사로(100);
상기 경사로(100)에 타측면이 연결되고 상기 경사로(100)의 일측면이 벽측에서 계단측으로 회동되어 펴짐과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난간 지지부(400);
바퀴 이동기구에 탑승한 탑승자가 손으로 잡고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난간 지지부(400)의 상단에 형성되고, 내부가 2층의 폐쇄된 레일구조로 이루어진 내측 난간(300);
상기 내측 난간(300)과 연결되어 바퀴 이동기구에 탑승한 탑승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바 타입 안전바(500); 및
상기 내측 난간(300)에 내장되고 상기 안전바(500)와 연결되어 상기 바퀴 이동기구와 탑승자의 하중으로 인해 발생되는 속도를 제동하는 속도 제어기(600);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바(500)는 계단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바퀴 이동기구를 타고 탑승자가 하강하는 경우, 상부의 안전바는 2층의 레일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고, 하부의 안전바는 1층의 레일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
A ramp (100) installed on the stepped step to conceal the step of the step;
A railing support part 4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amp 100 to allow one side of the ramp 100 to pivot from the side of the ramp to the side of the ramp to allow the ramp 100 to expand and fold;
An inner railing 30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ailing support unit 400 at a position where the rider aboard the wheel moving mechanism can be held by a hand and is made up of a two-layer closed rail structure;
A bar type safety bar (500) connected to the inner side rail (300) to support a load of an occupant aboard the wheel moving mechanism; And
And a speed controller (600) installed in the inner side rail (300) and connected to the safety bar (500) for braking a speed generated due to the load of the wheel moving mechanism and the occupant,
The safety bar 500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airs. When the occupant rides on the wheel moving mechanism, the upper safety bar moves downward along the two-layer rail, Wherein the step moves upward along the rails of the floo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바타입 안전바(500)는
접힘부가 구비되고, 상기 접힘부에서 `ㄱ`자 형태로 90°만큼 접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ar-type safety bar 500
Wherein the folding part is provided with a folding part and is foldable by 90 degrees in the form of a curved shape at the folding par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100)는
경사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갈수록 명도와 채도가 줄어들게 색상을 배치시키고, 경사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게 바 형태의 무늬를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amp (100)
Wherein a color is arranged so as to reduce brightness and chroma as the slope moves from a high slope to a low slope, and a bar-shaped pattern is disposed so as to have a wider width from a high slope to a low slope. Auxiliary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제어기(600)는
브레이크슈에 붙여진 브레이크 패드에 의해 마찰계수가 상승함에 따라 제동력을 올려 속도를 줄이는 마찰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이동기구를 위한 계단 대피 보조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peed controller 600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ing force is a friction mode in which the braking force is increased and the speed is reduced as the friction coefficient is increased by the brake pads attached to the brake shoes.
KR1020140181511A 2014-12-16 2014-12-16 Nonpower apparatus for exiting via the emergency stairs with wheel-based mobile device KR101717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511A KR101717958B1 (en) 2014-12-16 2014-12-16 Nonpower apparatus for exiting via the emergency stairs with wheel-based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511A KR101717958B1 (en) 2014-12-16 2014-12-16 Nonpower apparatus for exiting via the emergency stairs with wheel-based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468A KR20160073468A (en) 2016-06-27
KR101717958B1 true KR101717958B1 (en) 2017-03-23

Family

ID=5634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511A KR101717958B1 (en) 2014-12-16 2014-12-16 Nonpower apparatus for exiting via the emergency stairs with wheel-based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95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1500A (en) * 2019-11-04 2020-02-07 江苏千禧杭萧装配式建筑科技有限公司 Shock insulation assembled building stair
CN111039129B (en) * 2020-01-09 2024-08-30 五邑大学 A wheelchair lifting auxiliary device for existing residential stairs
CN112064908A (en) * 2020-09-04 2020-12-11 徐州创之社通用技术产业研究院有限公司 Tide type intelligent stair for subway st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563A (en) * 2003-07-24 2005-02-17 Shusaku Hara Stair ascending/descending function and facility for wheelchair
KR100738261B1 (en) * 2006-11-28 2007-07-11 (주)홍주산업 Stairs structure for handicapped person and infant of building
JP6015398B2 (en) * 2012-12-05 2016-10-26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Fuel injection valv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398B2 (en) * 1983-03-24 1985-04-19 工業技術院長 Manganese removal method using microorganisms
KR100960101B1 (en) 2008-05-29 2010-05-31 최재식 Stairway up-down apparatus for wheel-chai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0563A (en) * 2003-07-24 2005-02-17 Shusaku Hara Stair ascending/descending function and facility for wheelchair
KR100738261B1 (en) * 2006-11-28 2007-07-11 (주)홍주산업 Stairs structure for handicapped person and infant of building
JP6015398B2 (en) * 2012-12-05 2016-10-26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Fuel injection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468A (en)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958B1 (en) Nonpower apparatus for exiting via the emergency stairs with wheel-based mobile device
US5253885A (en) Stairway descending patient carriage
JP2020023306A (en) Lift for telescopic passenger stair for boarding wheelchair passenger on aircraft
US10946296B1 (en) Scissor lift construction equipment amusement ride
US20040118635A1 (en) Apparatus for evacuating people from a high building in emergency
US6957716B1 (en) Emergency stairway escape apparatus for wheelchairs
US6360833B1 (en) Chair lift for stairs
JPH1148867A (en) Vehicle equipped with step elevating means
NZ281407A (en) Swing comprising a support structure with a support line secured to it and to a rider, also included is a launch structure and a pendulum damper
JP2002178930A (en) Carrier capable of traveling on stairway
KR101495326B1 (en) Ferry boat with boarding equipment for traffic weaker
JP6277453B2 (en) Seated evacuation device
EP0786396A1 (en) An emergency transporter for a patient
JP3619519B2 (en) Vehicle having deck and cabin lifting device
JPH037682A (en) Double decker bus
CN219307789U (en) An emergency rescue device for a flying theater seat platform
JPS597630B2 (en) stair lift device
JP4439034B2 (en) Tilting elevator
KR20150139023A (en) Multiple composite type elevator for transporting equipment
KR101653579B1 (en) Mobile escalators for aircraft boarding
KR20160021592A (en) lifting rail system for bicycle
JP2015217212A (en) Transport vehicle for emergency evacuation
JP3277459B2 (en) Lift rescue ladder
CN208182401U (en) A kind of lift escape device
JP2022156136A (en) stair troll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