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741B1 - 다목적 각질 정리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각질 정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741B1
KR101717741B1 KR1020150166538A KR20150166538A KR101717741B1 KR 101717741 B1 KR101717741 B1 KR 101717741B1 KR 1020150166538 A KR1020150166538 A KR 1020150166538A KR 20150166538 A KR20150166538 A KR 20150166538A KR 101717741 B1 KR101717741 B1 KR 101717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polishing
flat
sl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경
Original Assignee
장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경 filed Critical 장태경
Priority to KR1020150166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26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for cleaning the feet or t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각질 정리기에 관한 것으로,
판 형상을 이루는 평판(120)과 상기 평판(120)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각도로 꺾여 모서리를 형성하며 평판(120)과 이어지게 형성되는 측판(160)을 포함하는 연마부(100)를 구비하되,
상기 평판(120) 에는 다수의 연마공(12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모서리를 따라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연마공(122)과 슬릿을 이용해 각질을 깎아서 제거하게 됨으로써,
평평하고 넓게 형성된 각질뿐만 좁은 틈 또는 굴곡이 있는 부분에 형성된 각질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어 각질제거 및 손발톱 손질, 티눈 제거등 다양한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각질 정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각질 정리기{Versatile skin buffer}
본 발명은 각질 정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체 여러 부위에 있는 각질을 효과적으로 갈고 깎아내어 깔끔하게 제거하고 정리할 수 있게 되는 각질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손이나 발, 무릎, 손톱 주변 등과 같이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는 신체부위에서는 피부가 쉽게 노화되어 두터운 각질층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발 뒤꿈치에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데, 이러한 각질층을 제때 제거하지 않으면 건조되면서 거칠어지고 심한 경우 갈라지면서 심한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더불어 미관상으로도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각질을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연마석이나 칼, 가위 등을 사용하는 예가 있었고, 근래 금속 표면에 미세한 돌기가 형성된 연마부를 구비하여 연마부로 각질을 갈아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 제안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공개 제10-2012-0118744호(2012. 10. 29.) "탈착식 손발톱 손질용 또는 각질 제거용 미용기구"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각질 제거용 미용기구는 일정한 면적으로 된 연마부로 각질을 갈아서 제거하는 구성이 주를 이루고 있는바, 넓은 면적에 형성된 각질을 제거하기에는 용이하였으나 좁은 틈이나 굴곡이 있는 부분에 형성된 각질을 세밀하게 제거하기에는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넓은 면적에 형성된 각질 뿐만 아니라 좁은 틈 또는 굴곡이 있는 부분등에 형성된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각질 외에 손톱과 발톱을 다듬는 용도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다목적 각질 정리기를 얻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판 형상을 이루되 다수의 연마공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과, 상기 평판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각도로 꺾여 모서리를 형성하며 평판과 이어지게 형성되는 측판을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를 따라서 슬릿이 형성되는 연마부를 구비하는 다목적 각질 정리기를 제안하여, 상기 평판을 이용해 평평하고 넓게 형성된 각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상기 슬릿을 이용해 좁은 틈 또는 굴곡이 있는 부분에 형성된 각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손발톱을 손질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마부에 형성된 평판 부분을 이용해 평평하고 넓게 형성된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과 아울러 모서리 부분 등에 형성된 슬릿으로는 좁은 틈 또는 굴곡이 있는 부분에 형성된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바, 각질제거나 손발톱 손질 및 티눈 제거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각질 정리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마부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마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마부가 손잡이에 착탈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마무로 각질을 제거하는 사용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은 넓은 면적에 형성된 각질뿐만 아니라 좁은 틈 또는 굴곡이 있는 부분등에 형성된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각질 외에 손톱과 발톱을 다듬는 용도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각질 정리기를 얻기 위해,
판 형상을 이루는 평판과 상기 평판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각도로 꺾여 모서리를 형성하며 평판과 이어지게 형성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연마부를 구비하되, 상기 평판 에는 다수의 연마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모서리를 따라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연마공과 슬릿을 이용해 각질을 깎아서 제거하게 되는 목적 각질 정리기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각질 정리기는 각질이나 손발톱을 정리하는 연마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연마부(100)는 판 형상을 이루는 평판(120)과 상기 평판(120)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각도로 꺾여 모서리를 형성하며 평판(120)과 이어지게 형성되는 측판(160)을 구비한다.
평판(120)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쪽 가장자리에 평판(120)이 이어지게 형성되는바, 상기 평판(120)과 측판(160)은 스테인레스와 같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녹 발생이 적은 재질로 된 금속판이 프레스로 가공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평판(120)과 측판(160)이 이루는 각도는 직각일 수 있고, 이와 같이 평판(120) 가장자리에 측판(160)이 일정한 각도로 꺾인 상태로 이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자연스럽게 모서리가 형성되게 된다.
평판(120) 에는 다수의 연마공(122)이 형성된다. 연마공(122)은 평판(120)이 천공되어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 그 지름은 1~5m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권장되는데, 지름이 너무 작거나 클 경우 연마 능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의 범위에서 결정하게 된다. 물론 연마공(122)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형상과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마공(122)을 동일한 형상으로 일률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반면, 동일한 형상이되 다양한 크기로 또는 다양한 형상이되 다양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 등이 모두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금속판이 천공되어 연마공(122)이 형성됨에 따라 천공된 지점에 당연하게도 절단면이 형성되게 된다. 그 결과 평판(120)의 표면과 상기 절단면이 맞닿는 지점이 날카롭게 형성된다. 따라서 평판(120)의 표면을 각질이 형성된 부분에 대고 밀고 당겨주면 각질이 상기 평판(120)의 표면과 절단면이 맞닿는 지점에 의해 깎여나가게 된다. 마치 대패질을 하면 나무 표면이 깎여 나가는 것처럼 깎이는 것인바, 표면을 매끄럽게 유지한 상태로 각질을 깎아낼 수 있게 된다(도 6 참조).
여기서, 상기 평판(120)은 일 지점에서 연마부(100)의 끝단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하향되는 곡면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평판(120)이 각질이 형성되는 부분과 선상으로 접하는 상태에 가깝게 접하도록 하여 각질을 깎아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평판(120)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에 비해 연마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평판(120)과 측판(160)이 이어지며 형성되는 상기 모서리에는 슬릿(140a)이 형성된다. 상기 연마공(122)과 마찬가지로 천공되어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모서리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슬릿(140a)의 폭은 0.5~2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릿(140a)의 형성은 평판(120)으로 되는 부분과 측판(160)으로 되는 부분이 일체로 형성된 금속판을 마련하고 평판(120)과 측판(160)이 이어지는 부분에 슬릿(140a)을 형성한 상태에서 접어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금속판이 천공되어 슬릿(140a)이 형성됨에 따라 앞서 설명한 연마공(122)과 마찬가지로 천공된 지점에 절단면이 형성되게 된다. 그 결과 평판(120)의 표면과 상기 절단면이 맞닿는 지점이 날카롭게 형성되고, 따라서 평판(120)과 측판(160)이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되는 모서리를 각질이 형성된 부분에 대고 밀고 당겨주면 각질이 깎여나가며 제거된다(도 4 참조). 이때, 상기 슬릿(140a)이 형성되는 부분이 모서리라는 특성상 좁은 틈 또는 굴곡이 있는 부분에 형성된 각질을 세밀하고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평판(120)에 형성된 연마공(122)으로는 넓게 형성된 각질을 제거하고 상기 모서리에 형성된 슬릿(140a)으로는 좁은 틈 또는 굴곡이 있는 부분에 형성된 각질을 세밀하고도 정밀하게 제거하여 줄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편의성이 향상되고 각질 제거뿐만 아니라 손발톱 손질 및 티눈 제거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평판(120)은 두 개가 마련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상측 평판(120)과 하측 평판(120)에 각각 이어지는 측판(160)이 서로 맞닿아 이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가 비어 공간이 형성되는 입체형상의 연마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마부(100)가 입체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볼륨감 있는 형상을 이루되어 각질제거 성능이 향상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두 개의 평판(120)은 일 지점에서부터 연마부(100)의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지며 맞닿아 이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마부(100)가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끝단이 비교적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연마부(100)의 끝단에는 슬릿(140b)이 형성된다. 평판(120)이 맞닿아 이어지는 부분에 슬릿(140b)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앞서 평판(120)과 측판(160)이 이어지는 지점에 형성되는 모서리보다 더 얇은 지점에 슬릿(140b)이 형성되는 결과가 되어 상기 연마부(100)의 끝단을 이용해 더욱 세밀하고 정밀한 각질 제거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
두 개의 평판(120)이 상하로 배치되어 일 지점에서 연마부(100) 끝단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평판(120)은 연마부(100)의 끝단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하향되는 곡면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마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연마부(10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구성에서는 연마부(100)가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채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판(160)이 서로 이어지는 지점을 따라 천공홀(1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천공홀(170)을 통해 각질을 깎아내는 과정에서 연마공(122)과 슬릿(140a)(140b)을 통과하여 연마부(1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천공홀(170)을 형성함에 따라 형성되는 절단면을 이용해 손발톱의 끝단을 긁어 깎아내는 작업도 가능한바, 본 발명에 의한 연마부(100)의 사용 용도가 확장되고 사용의 편의성 또한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두 개의 평판(120)이 상하로 배치되는 구성은 두 개의 평판(120)을 하나의 금속판을 이용해 재단하여 형성하는 한편, 각각의 평판(120)에 측판(160)이 일체로 형성되게 형성하여서 두 평판(120)이 서로 이어지는 부분을 접어서 연마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도 2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연마부(100)는 별도로 마련된 손잡이(200)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도 3 참조). 손잡이(200)는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파지감과 미감적 가치를 고려하여 외관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 되어 그 끝단에 연마부(100)가 착탈식으로 결합 된다. 따라서 필요할 때마다 연마부(100)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청소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특히 미용 전문업체에서 한번 사용된 연마부(100)를 분리하여 청소하고 살균 및 소독한 다음 재사용토록 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 연마부, 120 : 평판,
122 : 연마공, 140a, 14ob : 슬릿,
160 : 측판, 170 : 천공홀,
200 : 손잡이.

Claims (5)

  1. 판 형상을 이루는 평판(120)과 상기 평판(120)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각도로 꺾여 모서리를 형성하며 평판(120)과 이어지게 형성되는 측판(160)을 포함하는 연마부(100)를 구비하되,
    상기 연마부(100)는 두 개의 평판(120)이 상하로 배치되어 측판(160)이 서로 이어지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입체형상을 이루고, 상기 두 개의 평판(120)은 일 지점에서 연마부(100)의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지며 맞닿게 되는 한편,
    상기 평판(120) 에는 다수의 연마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를 따라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연마공(122)과 슬릿을 이용해 각질을 깎아서 제거하게 되는 다목적 각질 정리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평판(120)이 맞닿는 부분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다목적 각질 정리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120)은 상기 일 지점에서 연마부(100)의 끝단으로 갈수록 완만한 곡면을 이루게 되는 다목적 각질 정리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60)이 서로 이어지는 지점을 따라 천공홀(170)이 형성되어 연마부(100) 내부로 유입된 각질을 배출할 수 있게 되는 다목적 각질 정리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100)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손잡이(200)를 더 포함하여 연마부(100)를 교환할 수 있게 되는 다목적 각질 정리기.
KR1020150166538A 2015-11-26 2015-11-26 다목적 각질 정리기 KR101717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538A KR101717741B1 (ko) 2015-11-26 2015-11-26 다목적 각질 정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538A KR101717741B1 (ko) 2015-11-26 2015-11-26 다목적 각질 정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741B1 true KR101717741B1 (ko) 2017-03-17

Family

ID=5850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538A KR101717741B1 (ko) 2015-11-26 2015-11-26 다목적 각질 정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7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100Y1 (ko) * 2006-04-13 2006-08-16 손훈승 피부 각질제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100Y1 (ko) * 2006-04-13 2006-08-16 손훈승 피부 각질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95637B2 (en) Skin treating device
US8888790B2 (en) Device for the removal of unsightly skin
US10646257B2 (en) Abrading implement
AU2011225884A1 (en) Skin treating device
EP2066246A1 (en) Skin treatment tool
US20200205859A1 (en) Abrading implement
KR101184144B1 (ko) 마이크로 커터가 형성된 각질제거판과 이를 이용한 각질제거기
US20150105801A1 (en) Foot Cleaning Device
US20160183978A1 (en) Callous, dead, dry or hard skin remover
KR101717741B1 (ko) 다목적 각질 정리기
AU2019204170A1 (en) Exfoliation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955032B1 (ko) 각질 제거기
US20120151701A1 (en) Multifaceted scrubbing device
US20180353210A1 (en) Device for Manually Removing Calluses
JP3145152U (ja) 爪削り具
KR200442710Y1 (ko) 각질 제거 장치
KR200313461Y1 (ko) 신체의 굳은살 제거 겸용 일회용 면도기
JP6893756B1 (ja) 魚の目切除具
KR200382300Y1 (ko) 손톱깎이
KR200424100Y1 (ko) 피부 각질제거기
KR200337059Y1 (ko) 각질 제거용구
US20150366586A1 (en) Foot Rake
JP3066938U (ja) 爪やすり
JP3091326U (ja) 甘皮切り用具
US1563944A (en) Massage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