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024B1 -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 Google Patents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024B1
KR101717024B1 KR1020160132549A KR20160132549A KR101717024B1 KR 101717024 B1 KR101717024 B1 KR 101717024B1 KR 1020160132549 A KR1020160132549 A KR 1020160132549A KR 20160132549 A KR20160132549 A KR 20160132549A KR 101717024 B1 KR101717024 B1 KR 101717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generator
blowin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옥규
Original Assignee
(주)큰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큰나무 filed Critical (주)큰나무
Priority to KR1020160132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024B1/ko
Priority to PCT/KR2017/003748 priority patent/WO20171959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19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for machines with closed casing and closed-circuit cooling using a liquid cooling medium, e.g. 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 및 하수처리장과 같은 수처리 시설 또는 소하천 등의 관로에 설치되며, 그 관로에 흐르는 물의 수력(수압, 유량)을 이용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작용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여 공급되게 하는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력을 이용해 발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로서, 물이 흐르는 관로(10) 사이에 연결설치되되, 양측에 물의 흡입구(101) 및 배출구(102)가 각각 마련되어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흐르면서 수압이 형성되는 관로 하우징(100)과; 상기 관로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수압을 이용해 회전작동하는 회전자(200)와; 상기 관로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자(200)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310), 상기 구동축(310)의 회전을 안내하는 베어링유닛(320) 및, 상기 회전자(200)의 회전동력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작용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330)로 구성된 발전기 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전기(330)는, 외부 찬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켜 순환하면서 찬 공기의 열교환에 의한 냉각작용으로 발전기(3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랭식냉각수단(340)이 마련되고, 상기 베어링유닛(320)은, 냉각유로(362)를 이용해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순환하면서 냉각수의 열교환에 의한 냉각작용으로 상기 베어링유닛(320)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랭식냉각수단(360)이 마련된 구성이다.

Description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air cooling or Water cooling vertical inline type of small scale hydropower}
본 발명은 정수 및 하수처리장과 같은 수처리 시설 또는 소하천 등의 관로에 설치되며, 그 관로에 흐르는 물의 수력(수압, 유량)을 이용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작용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여 공급되게 하는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력발전은 물의 흐름을 이용한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천의 물을 막거나 댐을 건설하여 유수를 이용한 낙차 현상으로 발전하는 대용량 수력발전설비 또는, 소하천과 농수로 및 각종 수처리 시설에 적용되어 설비 용량이 15,000kw 미만의 소수력발전설비를 구분되고 있다.
이러한 수력발전설비 중에 소수력발전은 대용량 수력발전설비와 원리 면에서 차이가 없으나 대용량 수력발전설비의 부정적 요인(대규모 설비에 의한 환경파괴, 시설 가능 지역의 제한 등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소수력발전은 다른 발전설비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단위 용량당 에너지 생산량이 많으며, 원자재의 해외의존도가 없어 광범위하게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소수력발전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수차는 펠톤, 횡류수차, 프란시스, 카프란, 튜블러 등이 있었으며, 그 중 펠톤, 횡류수차, 프란시스, 카프란은 물의 유입방향과 물의 유출 방향이 직각인 관계로 관을 절단하고 관의 중간부분에 설치하기가 곤란하며, 관을 절단하고 설치하여도 수차 유출구 방향에 엘보등을 설치하여 관의 방향을 바꾸어야 하므로 설치공간이 증가하고, 효율이 감소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물의 유입과 유출이 일직선상에 있고, 배관 중간에 설치가 가능한 튜블러 수차를 광범위하게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종래 등록특허공보 제10-1369522호를 살펴보면,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 상에서 설치된 터빈 및 상기 터빈의 회전에 따라 발전하는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터빈은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에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날개, 상기 복수의 날개 측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날개 회전축을 구비하며, 각 날개 회전축의 일단에는 각 날개가 결합되고, 각 날개 회전축의 타단에는 날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가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 변동에 대응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날개의 각도를 가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종래 등록특허공보 제10-1503727호를 살펴보면, 러너에서 수압이 인가되는 측에는, 수압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러너로 배출하는 출구를 가지는 '관' 형상의 유입관이 배치되되, 상기 유입관은 입구가 출구에 비하여 그 직영이 크게 형성되어 입구에서 출구 측으로 갈수록 수압이 증대되도록 되고, 상기 러너는 상기 유입관의 출구에 접속된 연결관의 내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러너에 대하여 상기 유입관 측의 상기 연결관에는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수압이 중앙을 중심으로 와류 형태로 이동하도록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 날개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시된 종래 선행기술문헌들을 배경으로 다양한 소수력발전장치가 개발되고 있지만 개선해야할 기술적 문제점들이 여전히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경우 발전기 내부의 영구자석은 온도가 상승하면 자성이 감소하면서 임계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자성은 완전히 사라지는 특성이 있고,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낮추어도 자성은 원상태로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발전기의 자석이 항상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어야 하며, 또한 회전자의 회전작동을 위한 베어링 유닛 역시 온도가 높으면 그리스의 윤활기능이 떨어지고, 온도가 너무 낮으면 마찰력이 커짐에 따라 기존의 소수력발전장치는 발전기 및 베어링 유닛이 항상 일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냉각장치가 절실하게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소수력발전장치에서 사용하는 회전자(런너)는 복수의 날개(블레이드)가 회전축 둘레로 단순 결합되는 프로펠러(propeller)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의 압력에 의해 회전자의 날개에 하중이 작용하면 회전과정에서 진동을 야기하여 물의 압력이 상쇄될 수 있음에 따라 기존의 소수력발전장치는 물의 운동에너지를 완전히 활용하지 못하는 손실이 생겨 발전효율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발전기의 구동축이 관로에 관통된 부분으로 메카니칼 씰 등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는데 그 부분으로 누수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장치가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누수의 진행을 곧바로 처리하지 못해 누수에 의해 발전기 등의 전기부품들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9522호(등록일:2014.02.25)가 제시되어 있다.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3727호(등록일:2015.03.12)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소수력발전장치의 발전기 및 베어링 유닛에 일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공랭 및 수랭 방식의 냉각수단을 적용함에 따라 발전기의 내부 영구자석의 자성이 감소하거나 자성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고, 베어링 유닛의 윤활기능이 떨어지거나 마찰력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수력발전장치의 회전자를 물의 흐름에 의한 압력에 복수의 날개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형 날개를 갖는 일체형 구조로 제작하는 등 회전자를 개선함에 따라 회전자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물의 운동에너지를 완전히 활용할 수 있어 발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기의 구동축이 설치된 하우징과 회전자가 설치된 하우징 사이로 누수를 감지하는 센서를 적용함에 따라 누수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곧바로 처리가능하게 하여 발전기 등의 전기부품들 및 축, 베어링과 같은 기계적 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력을 이용해 발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로서,
물이 흐르는 관로 사이에 연결설치되되, 양측에 물의 흡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마련되어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흐르면서 수압이 형성되는 관로 하우징과;
상기 관로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수압을 이용해 회전작동하는 회전자와;
상기 관로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자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베어링유닛 및, 상기 회전자의 회전동력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작용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로 구성된 발전기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전기는, 외부 찬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켜 순환하면서 찬 공기의 열교환에 의한 냉각작용으로 발전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랭식냉각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베어링유닛은, 냉각유로를 이용해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순환하면서 냉각수의 열교환에 의한 냉각작용으로 상기 베어링유닛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랭식냉각수단이 마련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수랭식냉각수단은, 베어링유닛의 양쪽 끝에 중공의 원판으로 각각 결합되되, 그 안쪽에 링 형상의 공급홀 및 다수의 분기홀이 마련되며, 냉각수를 상기 공급홀을 이용해 공급한 후 다수의 분기홀을 이용해 분기시키는 한 쌍의 분기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분기 플레이트 사이에서 양단이 상기 분기홀에 각각 연결되어 분기된 냉각수가 개별적 공급되되, 상기 베어링유닛의 외부 둘레에서 냉각작용을 하는 냉각유로를 더 포함하는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수력발전장치의 발전기 유닛에 외부 찬 공기를 강제로 발전기 유닛 측에 송풍시켜 찬 공기의 열교환에 의한 냉각을 수행하는 공랭식 냉각수단을 설치하면서, 베어링 유닛의 외부 표면으로 냉각수가 냉각라인을 이용해 지속적으로 순환되면서 냉각수의 열교환에 의한 냉각을 수행하는 수랭식 냉각수단을 설치구성함으로써 발전기 유닛 및 베어링 유닛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어 발전기의 내부 영구자석의 자성이 감소하거나 자성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발전효율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고, 베어링 유닛의 윤활 기능이 떨어지거나 마찰력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소수력발전장치의 회전자를 축 연결을 위한 내륜 및, 내륜의 둘레로 유입되는 물이 배수되는 외륜을 마련하고, 그 내륜과 외륜 사이에 복수의 날개를 고정시켜 이루어진 회전자를 구성함으로써 고정형 날개 구조에 의해 물의 압력에 의해 복수의 날개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 회전자가 회전작동하는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물의 운동에너지를 완전히 활용할 수 있어 발전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전기의 구동축이 설치된 하우징과 회전자가 설치된 하우징 사이로 누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회전자가 설치된 하우징에 누수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곧바로 처리가능함에 따라 발전기 등의 전기부품들 및 구동축 베어링과 같은 기계적 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의 작동 상태의 도면.
본 발명에 따른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의 각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물이 유입되어 흐르면서 수압이 형성되는 관로 하우징(100)과, 수압을 이용해 회전작동하는 회전자(200)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 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발전기(3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랭식냉각수단(340) 및, 베어링유닛(320)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랭식냉각수단(360)이 마련된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수랭식 겸용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의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수력발전장치의 사시 상태의 측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수력발전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수력발전장치 중 회전자의 저부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수력발전장치 중 공랭식 냉각수단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상기 관로 하우징(100)은;
물이 흐르는 관로(10) 사이에 연결설치되되, 양측에 물의 흡입구(101) 및 배출구(102)가 각각 마련되어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흐르면서 수압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관로 하우징(100)은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물에 의한 부식에 강한 금속 재질로 제작하거나, 표면에 부식방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수 및 하수처리장과 같은 수처리 시설 또는 소하천 등에서 물이 흐르는 관로(10) 중간 사이에 관로 하우징(100)의 흡입구(101) 및 배출구(102)를 관 이음으로 연결하여 설치사용한다.
이때, 상기 관로 하우징(100)은 동일 선상의 흡입구(101) 및 배출구(102)가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101)와 배출구(102) 사이에서 수용공간(103)이 마련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03)의 측방이 흡입구(101)와 연결되고 하방이 배출구(102)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공간(103)에 회전자(200)가 삽입되게 된다.
상기 관로 하우징(100)은 유선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상기 흡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수용공간(103)을 거쳐 배출구(102)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병목형상에 의한 수압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흡입구(101)와 배출구(102)의 측단에는 관로(10)와 관 이음될 수 있게 하는 플랜지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101)는, 유입되는 물이 회전자(200) 측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유선형가이드(101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선형가이드(101a)는 흡입구(101) 측에 유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관로 하우징(100)은; 상기 회전자(200)가 삽입된 부분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며, 내부에 구동축(310)이 삽입되면서 상기 회전자(200)와 구동축(310)을 상호 연결되게 하는 연결케이싱(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케이싱(110)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 함체로 제작되며, 상하단 중앙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후술하는 베어링유닛(320)이 결합되고, 하단에는 구동축(310)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메카니칼씰이 결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연결케이싱(110)은 관로 하우징(100))의 상부 즉, 회전자(200)가 삽입되는 수용공간(103)을 밀폐하듯이 막아서 볼트체결로 고정결합되며, 그 연결케이싱(110)과 관로 하우징(100) 사이로 누수를 막기 위해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 패킹 부재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결케이싱(110)은 내부로 구동축(310)이 수직으로 관통삽입되면서 상기 구동축(310)이 회전자(200)와 발전기(330)를 상호 연결되게 하면서 구동축(310)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관로 하우징(100)은; 상기 연결케이싱(110)의 상단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에 발전기(330)가 설치되고, 상기 발전기(330)를 내부에 마련된 커플링(350)을 이용해 구동축(310)과 연결시켜 지지하는 상부프레임(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20)은 상판(121) 및 하판(122)이 서로 이격되어 지지되는 프레임으로 제작되며, 상기 하판(122)은 연결케이싱(110)의 상단에 볼트체결로 고정결합되고, 상기 상판(121)은 후술하는 발전기 수단(300)의 발전기(330)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내부에는 축 연결을 위한 커플링(350)이 결합되어 상기 커플링(350)의 상부는 발전기(330)가 체결되고, 상기 커플링(350)의 하부는 구동축(310)이 체결됨으로 상기 발전기(330)와 구동축(310)을 커플링(350)을 이용해 상호 연결되게 한다.
또한, 상기 관로 하우징(100)은; 상기 연결케이싱(110)과 관로 하우징(100) 사이로 구비되되, 누수를 감지하면 그 감지된 전기 신호를 송출하는 감지센서(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130)는 물을 직접적으로 감지하면 전기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전기 부품이며, 상기 관로 하우징(100)과 연결케이싱(110) 사이에 볼트체결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케이싱(110)의 내부에 2개의 접점을 설치하여 물의 누수 발생시 누수를 감지할 수 있게 하고, 그 누수에 대한 전기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130)는 소수력발전장치(1)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 제어부를 이용해 감지센서(130)의 송출된 전기신호를 소리, 불빛으로 변환시켜 작업자가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감지센서(130)의 구조가 부가됨에 따라 회전자(200)가 설치된 관로 하우징(100)으로부터 누수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센서(130)가 직접적으로 감지하여 곧바로 누수처리가 가능함에 따라 발전기(330) 등의 전기부품들 및 구동축(310)의 베어링유닛(320)과 같은 기계적 부품들의 심각한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자(200)는;
상기 관로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수압을 이용해 회전작동하며, 회전작동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발전기 수단(300)에 전달시켜 발전기(330)를 이용해 발전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자(200)는 물의 수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내구성이 우수하며, 물에 의한 부식 역시 강한 금속 재질로 제작하거나, 표면에 부식방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자(200)는 상기 관로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03)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구동축(310)에 축 결합되어 키 구조로 고정됨으로 수압에 의해 회전자(200)가 회전하면 구동축(310)을 통해 회전운동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자(200)는; 내륜(210), 외륜(220), 복수의 날개(230)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자(200)는; 구동축(310)에 축 결합되는 내륜(210)과, 상기 내륜(210)의 둘레에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102)와 동일 직경의 단턱유입부(240)가 배출구(102)에 끼워지면서 상기 단턱유입부(240)를 통해 물이 배출되게 하는 외륜(220) 및, 상기 내륜(210)과 외륜(220) 사이에 방사형으로 고정결합된 복수의 날개(230)를 포함한다.
상기 내륜(210)은, 중앙에 구동축(310)이 관통 삽입되는 원판 링으로 제작되며, 상기 내륜(210)은 구동축(310)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키 결합을 위한 키 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륜(210)이 구동축(310)과 동일한 회전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외륜(220)은, 내륜(210)의 둘레에 일정간격 이격된 중공의 판형으로 내부 측방에 물이 유입되게 하는 유로홀(241)이 마련되어 제작되며, 하단으로 상기 관로 하우징(100)의 배출구(102)와 동일 직경의 단턱유입부(240)가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단턱유입부(240)가 배출구(102)의 안쪽 상방에 끼워짐으로 흡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물이 단턱 유입부(240)의 내부를 통해 배출구(102)로 배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단턱유입부(240)가 배출구(102)와 동일 직경으로 끼워져 지지됨으로 배출구(102) 측으로 배출되는 물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된다.
상기 단턱유입부(240)가 배출구(102) 측으로 끼워져 지지되는 면에는 베어링 기능을 위한 구조물이 설치됨으로 이에 따라 회전자(200)에 어떠한 원인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여도 베어링 기능에 따라 회전자(200)에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회전자(200)의 유로홀(241)을 통해 물이 유입되면서 상기 단턱유입부(240)를 통해 배출됨으로 회전자(200) 내부로 구비된 복수의 날개(230)에 수압을 작용시켜 회전될 수 있게 하고, 상기 복수의 날개(230)를 통과한 물은 단턱 유입부(240)를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배출구(102)로 흐르게 된다.
상기 복수의 날개(230)는, 복수의 판이 상기 내륜(210) 및 외륜(2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내륜(210) 및 외륜(220)에 위치한 날개(230)의 측면에 각각 용접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주형을 이용해 회전자(200) 전체를 단일체의 주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날개(230)가 내륜(210)과 외륜(220) 사이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음에 따라 날개(230)에 불균형의 힘이 작용하여도 외륜(220)에 마련된 단턱 유입부(240)의 지지작용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며, 외륜(220)이 날개(230)와 함께 회전함으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은 전부 발전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230)는, 내륜(210)에 인접한 측은 두껍고, 외륜(220)에 인접한 측은 얇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날개(230)로 물이 최초 유입되는 부분은 두껍고, 물이 빠져나가는 부분은 얇게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고, 이에 따라 날개(230)에 물의 압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면서 유체 흐름이 원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 수단(300)은;
상기 관로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자(200)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310), 상기 구동축(310)의 회전을 안내하는 베어링유닛(320) 및, 상기 회전자(200)의 회전동력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작용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330)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발전기 수단(300)은 외부에 설치됨으로 빗물과 같은 수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재질로 제작하거나, 표면에 부식 방지 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발전기(330)에서 열이 발생함으로 내열성의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발전기 수단(300)은; 구동축(310), 베어링유닛(320), 발전기(330)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발전기 수단(300)은; 상기 회전자(200)와 발전기(330)를 축 연결하여 회전자(200)의 회전동력을 발전기(330)에 전달하는 구동축(3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310)은 환봉으로 제작되며, 상기 연결케이싱(110)의 내부에 수직으로 관통삽입됨에 따라 상기 구동축(310)의 상측 부분은 상기 연결케이싱(110)의 상부로 관통되면서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내부에 위치되고, 그 구동축(310)의 하측 부분은 연결케이싱(110)의 하부로 관통되면서 상기 관로 하우징(100)의 수용 공간(103)에 삽입된 회전자(200)에 축 결합되어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310)의 상부는 상기 상부프레임(120)에 구비된 커플링(350)을 이용해 발전기(330)와 연결됨으로 회전자(200)의 회전작동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발전기(33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310)은 후술하는 공랭식냉각수단(340)의 설치 타입에 대응하여 구동축(310)의 상부를 발전기(330)를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기수단(300)은; 구동축(310)의 회전을 안내하는 베어링유닛(3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유닛(320)은 내측에 복수의 베어링이 베어링몸체(321) 내부에 마련된 구조이며, 상기 베어링몸체(321)는 구동축(310)에 관통된 상태에서 내부에 마련된 베어링이 구동축(310)을 지지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베어링유닛(320)은 상기 연결케이싱(110)의 상단에 관통된 상태에서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유닛(320)의 중앙에 구동축(310)이 관통되고, 상기 구동축(310)이 베어링유닛(320)에 관통된 부분에는 기밀을 위한 메카니칼씰, 오링, 패킹 등의 구조물이 마련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발전기수단(300)은; 회전자(200)의 회전동력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작용으로 구동하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발전기(330)는 영구자석동기발전기로 기존의 발전장치에서 널리 사용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발전기(330)는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상단에 볼트체결로 고정설치되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내부로 일부 노출된 구동축(310)에 커플링(350)을 이용해 연결됨으로 회전자(200)의 회전동력이 직접적으로 구동축(310)을 통해 발전기(330)에 전달되어, 그 회전동력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작용을 수행하여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전기(330)는, 생산된 전력을 직류, 교류로 변환시키면서 한전에서 사용하는 양질의 전류로 공급되게 하는 인버터(331)를 연결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331)는 반도체 소자, 평활용 커패시터, 퓨즈, 방열판, 필터용 리액터 등으로 구성되며, 발전기(330)로부터 3상 교류 전력을 입력받아 내부 정류기를 통해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게 하고, 정류된 직류 전력을 공급받아 교류전력으로 변환시켜 계통과 연계하여 안정된 양질의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인버터(331)는 제어부에 연결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제어부는 소수력발전장치(1)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으로 계통 연계형 인버터(331) 방식으로 제어하며, 인버터(331) 전자접촉기(MC)의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각각의 입출력 MCCB, 온도센서, 퓨즈 등의 접점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발전기(330)는, 외부 찬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켜 순환하면서 찬 공기의 열교환에 의한 냉각작용으로 발전기(3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랭식냉각수단(3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공랭식냉각수단(340)은, 발전기(330)의 측방을 덮어서 내부로 공간을 갖되, 발전기(330) 측으로 덮어진 내측에 관통된 배기홀(341a)을 이용해 송풍 공기를 발전기(330) 측으로 순환되게 하는 유로하우징(34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로하우징(341)은 발전기(330)의 측방을 덮어서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유로하우징(341)의 상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341b)이 하나 이상으로 관통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하우징(341)의 하부로 개방된 부분, 즉 발전기(330) 측으로 덮어진 내측에는 다수의 배기홀(341a)이 마련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유로하우징(341)은 발전기(330)의 측방에 덮어지면 용접 또는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랭식냉각수단(340)은; 송풍팬(342)이 발전기(330)의 축에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축(310)의 동력이 전달됨으로 송풍팬(342)이 회전작동하면서 송풍기능을 하는 제1 송풍 타입,
또는, 송풍팬(342)이 별도 송풍모터(345)에 연결된 상태에서 송풍모터(345)의 동력이 전달됨으로 송풍팬(342)이 회전작동하면서 송풍기능을 하는 제2 송풍 타입,
또는, 발전기 수단(300)에 통로(344)를 이용해 연결되며 외부 송풍기(343)로 외부 공기를 강제흡입하면서 상기 통로(344)에 공급시켜 송풍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제3 송풍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송풍 타입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로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것이며, 상기 제1 송풍 타입의 송풍팬(342)은 상기 유로하우징(341)의 내부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발전기(330)를 관통한 구동축(310)에 송풍팬(342)이 직접 연결되어 회전작동가능하며, 상기 발전기(330)가 구동축(310)의 동력을 통해 회전하면 상기 송풍팬(342)에 회전동력이 전달되면서 회전작동함에 따라 송풍 공기를 유로하우징(341)의 배기홀(341a)을 통해 발전기(330) 측으로 송풍시키면서 열교환에 의한 냉각작용이 수행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송풍 타입은, 도 4의 (a)에 도시한 것이며, 상기 제2 송풍 타입의 송풍팬(342)은 상기 유로하우징(341)의 내부로 수용되는데, 상기 유로하우징(341)의 내부로 별도로 고정결합된 송풍모터(345)에 상기 송풍팬(342)이 연결되어 송풍모터(345)의 동력을 통해 송풍팬(342)이 회전작동함에 따라 송풍 공기를 유로하우징(341)의 배기홀(341a)을 통해 발전기(330) 측으로 송풍시키면서 열교환에 의한 냉각작용이 수행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3 송풍 타입은, 도 4의 (b)에 도시한 것이며, 상기 제3 송풍 타입의 유로하우징(341)은 상방에 통로(344)가 내부 공간과 통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통로(344)가 소수력발전장치(1)의 외부로 별도 설치된 송풍기(343)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343)를 통해 강제 흡입한 외부 공기를 상기 통로(344)를 통해 유로하우징(341) 측으로 공급하면서 공급된 송풍 공기가 유로하우징(341)의 배기홀(341a)을 통해 발전기(330) 측으로 송풍시키면서 열교환에 의한 냉각작용이 수행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3 송풍 타입은, 관로 하우징(100)에 통로(344)를 이용해 추가로 선택적 연결되며, 외부 송풍기(343)를 통해 강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통로(344)를 통해 베어링유닛(320) 측으로 공급시켜 상기 베어링유닛(320)의 주변으로 송풍되면서 열교환에 의한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어링유닛(320)에 대한 냉각작용을 선택적 수행하는 경우 상기 통로(344)를 추가로 증설하면서 상기 관로 하우징(100)의 연결케이싱(110) 또는 상부프레임(120)의 측방에 통로(344)를 연결하여 외부에 설치된 송풍기(343)가 강제 흡입한 공기를 상기 관로 하우징(100) 내부로 구비된 베어링유닛(320)의 주변에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3 송풍 타입은, 유로하우징(341)의 상부 내측으로 발전기(330)의 상단에 삼각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통로(344)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배기홀(341a)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341c)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341c)는 원형 판재가 삼각뿔 형태로 성형된 것이며 상기 발전기(330)의 상단에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결합됨으로 상기 통로(344)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가이드(341c)의 하향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배기홀(341a) 측에 보다 효율적으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송풍 타입, 제2 송풍 타입 및 제3 송풍 타입의 경우 유로하우징(341)의 내측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유로하우징(341)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데,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해 감지한 신호를 활용하여 상기 송풍팬(342) 또는 송풍기(343)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냉각 온도를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랭식냉각수단(340)의 구조가 더 부가됨에 따라 발전기(330)로 외부 찬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되게 송풍시키면서 송풍 공기의 열교환에 의한 한 냉각을 수행할 수 있어 발전기(330)가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발전기(330)의 내부 영구자석의 자성이 감소하거나 자성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유닛(320)은, 냉각유로(362)를 이용해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순환하면서 냉각수의 열교환에 의한 냉각작용으로 상기 베어링유닛(320)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랭식냉각수단(36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랭식냉각수단(360)은, 베어링유닛(320)의 양쪽 끝에 중공의 원판으로 각각 결합되되, 그 안쪽에 링 형상의 공급홀(363a) 및 다수의 분기홀(363b)이 마련되며, 냉각수를 상기 공급홀(363a)을 이용해 공급한 후 다수의 분기홀(363b)을 이용해 분기시키는 한 쌍의 분기 플레이트(361) 및, 상기 한 쌍의 분기 플레이트(361) 사이에서 양단이 상기 분기홀(363b)에 각각 연결되어 분기된 냉각수가 개별적 공급되되, 상기 베어링유닛(320)의 외부 둘레에서 냉각작용을 하는 냉각유로(36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분기 플레이트(361)는, 적용되는 베어링유닛(320)의 측단 크기에 대응되는 플레이트로 중앙에 관통 구멍을 갖도록 제작되되, 그 분기 플레이트(361)는 2중으로 접하는 내판(363) 및 외판(36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판(363)으로 링 형상의 공급홀(363a)이 마련되고, 그 공급홀(363a)의 내측에는 냉각유로(362) 각각이 연결되는 다수의 분기홀(363b)이 마련된 구조이다.
상기 외판(364)에는 상기 공급홀(363a)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 또는 배출되게 하는 냉각수홀(36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각유로(362)는, 베어링몸체(321)에 직접적으로 관통 구멍으로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유로(362)에 냉각수가 공급되면 냉각수에 의한 열교환 작용으로 베어링유닛(320)의 열을 낮추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냉각유로(362)는, 냉각수가 최초 공급되는 쪽은 내경이 크고, 냉각수가 배출되는 측은 내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냉각유로(362)가 냉각수가 최초 공급되는 앞쪽은 내경이 크고, 그 뒤쪽으로 냉각수가 배출되는 측은 내경이 작게 형성됨으로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냉각유로(362) 내부로 냉각수가 만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수랭식냉각수단(360)은, 냉각유로(362)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측에 전동 밸브를 설치하고, 베어링유닛(320)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가 베어링유닛(320)의 온도를 감지하여 송출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동 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냉각수의 공급량을 조정하고, 냉각수의 공급량에 따라 베어링유닛(320)의 온도가 조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랭식냉각수단(360)이 더 부가됨에 따라 베어링유닛(320)의 외부 표면으로 냉각수가 냉각유로(362)를 이용해 지속적으로 순환하면서 냉각수의 열교환에 의한 냉각을 수행할 수 있어 베어링유닛(320)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어 베어링유닛(320)의 윤활기능이 떨어지거나 마찰력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랭식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소수력발전장치(1)는 정수 및 하수처리장과 같은 수처리 시설 또는 소하천 등에서 물이 유동하는 관로(10)의 중간에 관로 하우징(100)의 흡입구(101) 및 배출구(102)를 각각 관 이음으로 연결설치하여 물이 상기 관로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소수력발전장치(1)가 설치되면 물은 최초 흡입구(101)로 유입되며, 유입된 물은 흡입구(101)에 의해 안내되면서 수용공간(103)에 위치한 회전자(200)를 통과한 후 상기 배출구(102)를 통해 다시 관로(10)에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로 하우징(100)의 내부로 흐르는 물에 의한 수압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103)에 위치한 회전자(200)는 흐르는 물의 수압에 의해 복수의 날개(230)가 영향을 받아 회전작동하며, 그 회전자(200)의 회전작동에 의한 운동에너지는 구동축(310), 커플링(350)을 통해 발전기(330)에 전달된 후 발전기(330)에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작용을 수행함으로 전력이 생산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발전기(330)에 의해 생산된 전력은 인버터(331)를 통해 교류에서 직류, 다시 직류에서 교류로 변화시키고,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전력은 반도체 기술을 이용하여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므로 기존에 한전에서 사용하는 전압, 전류, 헤르쯔, 위상차등을 맞출 수 있어 양질의 전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발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랭식냉각수단(340)을 이용해 발전기(330)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고, 상기 수랭식냉각수단(360)을 이용해 베어링유닛(320)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소수력발전장치 100; 관로 하우징
110; 연결케이싱 120; 상부프레임
130; 감지센서 200; 회전자
210; 내륜 220; 외륜
230; 날개 240; 단턱유입부
241; 유로홀 300; 발전기 수단
310; 구동축 320; 베어링유닛
330; 발전기 340; 공랭식냉각수단
350; 커플링 360; 수랭식냉각수단

Claims (7)

  1. 수력을 이용해 발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로서,
    물이 흐르는 관로(10) 사이에 연결설치되되, 양측에 물의 흡입구(101) 및 배출구(102)가 각각 마련되어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흐르면서 수압이 형성되는 관로 하우징(100)과;
    상기 관로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수압을 이용해 회전작동하는 회전자(200)와;
    상기 관로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자(200)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310), 상기 구동축(310)의 회전을 안내하는 베어링유닛(320) 및, 상기 회전자(200)의 회전동력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작용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330)로 구성된 발전기 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전기(330)는, 외부 찬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켜 순환하면서 찬 공기의 열교환에 의한 냉각작용으로 발전기(3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랭식냉각수단(340)이 마련되고,
    상기 베어링유닛(320)은, 냉각유로(362)를 이용해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순환하면서 냉각수의 열교환에 의한 냉각작용으로 상기 베어링유닛(320)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랭식냉각수단(360)이 마련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수랭식냉각수단(360)은, 베어링유닛(320)의 양쪽 끝에 중공의 원판으로 각각 결합되되, 그 안쪽에 링 형상의 공급홀(363a) 및 다수의 분기홀(363b)이 마련되며, 냉각수를 상기 공급홀(363a)을 이용해 공급한 후 다수의 분기홀(363b)을 이용해 분기시키는 한 쌍의 분기 플레이트(361)와;
    상기 한 쌍의 분기 플레이트(361) 사이에서 양단이 상기 분기홀(363b)에 각각 연결되어 분기된 냉각수가 개별적 공급되되, 상기 베어링유닛(320)의 외부 둘레에서 냉각작용을 하는 냉각유로(362)를 더 포함하는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200)는, 구동축(310)에 축 결합되는 내륜(210)과, 상기 내륜(210)의 둘레에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102)와 동일 직경의 단턱유입부(240)가 배출구(102)에 끼워지면서 상기 단턱유입부(240)를 통해 물이 배출되게 하는 외륜(220) 및, 상기 내륜(210)과 외륜(220) 사이에 방사형으로 고정결합된 복수의 날개(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랭식냉각수단(340)은, 발전기(330)의 측방을 덮어서 내부로 공간을 갖되, 발전기(330) 측으로 덮어진 내측에 관통된 배기홀(341a)을 이용해 송풍 공기를 발전기(330) 측으로 순환되게 하는 유로하우징(341)을 더 포함하는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랭식냉각수단(340)은, 송풍팬(342)이 발전기(330)의 축에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축(310)의 동력이 전달됨으로 송풍팬(342)이 회전작동하면서 송풍기능을 하는 제1 송풍 타입;
    또는, 송풍팬(342)이 별도 송풍모터(345)에 연결된 상태에서 송풍모터(345)의 동력이 전달됨으로 송풍팬(342)이 회전작동하면서 송풍기능을 하는 제2 송풍 타입;
    또는, 발전기 수단(300)에 통로(344)를 이용해 연결되며 외부 송풍기(343)로 외부 공기를 강제흡입하면서 상기 통로(344)에 공급시켜 송풍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제3 송풍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사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하우징(100)은, 상기 회전자(200)가 삽입된 부분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며, 내부에 구동축(310)이 삽입되면서 상기 회전자(200)와 구동축(310)을 상호 연결되게 하는 연결케이싱(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케이싱(110)과 관로 하우징(100) 사이로 구비되되, 누수를 감지하면 누수 감지된 전기 신호를 송출하는 감지센서(130)를 더 포함하는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362)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쪽은 내경이 크고, 냉각수가 배출되는 측은 내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KR1020160132549A 2016-05-11 2016-10-13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KR101717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549A KR101717024B1 (ko) 2016-10-13 2016-10-13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PCT/KR2017/003748 WO2017195987A1 (ko) 2016-05-11 2017-04-05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549A KR101717024B1 (ko) 2016-10-13 2016-10-13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024B1 true KR101717024B1 (ko) 2017-03-15

Family

ID=5840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549A KR101717024B1 (ko) 2016-05-11 2016-10-13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0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780B1 (ko) * 2019-04-02 2019-09-30 정연태 배수관에 설치되는 소수력 발전장치
KR102140490B1 (ko) * 2020-06-04 2020-08-03 한국해양소수력 주식회사 수중발전기의 내부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소수력 발전장치
KR20210064656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맥시스 베어링 냉각 효율이 우수한 전기자동차 구동 모터
CN114285208A (zh) * 2021-11-09 2022-04-05 铜陵市金利电子有限公司 一种防结垢无刷电机
CN114901048A (zh) * 2022-05-25 2022-08-12 扬州市职业大学(扬州开放大学) 一种基于绿色建筑的建筑节能改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522B1 (ko) 2012-03-09 2014-03-07 주식회사 한라 고효율 소수력발전장치
WO2014115208A1 (ja) * 2013-01-25 2014-07-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流体装置
US20140306559A1 (en) * 2011-09-14 2014-10-16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Rotating Electrical Machine
KR101457051B1 (ko) * 2014-05-16 2014-11-04 (주)오비스 수중펌프의 침수방지 장치
KR101503727B1 (ko) 2014-12-17 2015-03-19 유한회사 태림산업개발 소수력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06559A1 (en) * 2011-09-14 2014-10-16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Rotating Electrical Machine
KR101369522B1 (ko) 2012-03-09 2014-03-07 주식회사 한라 고효율 소수력발전장치
WO2014115208A1 (ja) * 2013-01-25 2014-07-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流体装置
KR101457051B1 (ko) * 2014-05-16 2014-11-04 (주)오비스 수중펌프의 침수방지 장치
KR101503727B1 (ko) 2014-12-17 2015-03-19 유한회사 태림산업개발 소수력발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780B1 (ko) * 2019-04-02 2019-09-30 정연태 배수관에 설치되는 소수력 발전장치
KR20210064656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맥시스 베어링 냉각 효율이 우수한 전기자동차 구동 모터
KR102270324B1 (ko) * 2019-11-26 2021-06-29 주식회사 맥시스 베어링 냉각 효율이 우수한 전기자동차 구동 모터
KR102140490B1 (ko) * 2020-06-04 2020-08-03 한국해양소수력 주식회사 수중발전기의 내부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소수력 발전장치
CN114285208A (zh) * 2021-11-09 2022-04-05 铜陵市金利电子有限公司 一种防结垢无刷电机
CN114285208B (zh) * 2021-11-09 2024-03-01 铜陵市金利电子有限公司 一种防结垢无刷电机
CN114901048A (zh) * 2022-05-25 2022-08-12 扬州市职业大学(扬州开放大学) 一种基于绿色建筑的建筑节能改造方法
CN114901048B (zh) * 2022-05-25 2023-10-20 扬州市职业大学(扬州开放大学) 一种基于绿色建筑的建筑节能改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024B1 (ko)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KR101668980B1 (ko)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KR101642676B1 (ko) 내장형 인라인스크류 소수력발전장치
KR101642677B1 (ko) 외장형 인라인스크류 소수력발전장치
US20230123425A1 (en) Improved Pump and Reversible Pump-Turbine
CA2926053C (en) In-pipe turbine and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446578B1 (ko) 물 흐름으로부터 전력을 획득하기 위한 발전소
US7235894B2 (en) Integrated fluid power conversion system
KR20040041680A (ko) 수력발전소의 제너레이터
KR101850367B1 (ko) 고효율 층류 레벨 제어가 가능한 소수력발전 시스템
JP2014518349A (ja) ポンプタービン設備
KR101691515B1 (ko) 공랭식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JP2013167230A (ja) 原子炉一次冷却材ポンプ
KR101908867B1 (ko) 상수도에 설치하는 소수력발전장치
KR102241433B1 (ko) 인라인 스크류 수차
KR102241434B1 (ko) 나선형 유로를 갖는 인라인 스크류 수차
KR102396186B1 (ko) 수중매입형 소수력 발전장치
CN110214407B (zh) 用于冷却发电机的转子的方法
KR102187991B1 (ko) 전기 에너지 생산을 위한 터빈 발전기 장치 및 관련 작동 및 설치 방법
CN115694071A (zh) 电机的有源元件的冷却
KR102220554B1 (ko) 와류방지 가이드 베인을 구비하는 관류형 방수식 영구자석 동기 발전시스템
KR102025224B1 (ko) 볼 밸브
KR101314465B1 (ko) 공업용수 라인을 활용한 소수력 발전설비
CN107313889B (zh) 立式整装管道式水轮发电机组
JP2002138525A (ja) 水道施設の残圧回収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