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433B1 - 인라인 스크류 수차 - Google Patents

인라인 스크류 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433B1
KR102241433B1 KR1020200064820A KR20200064820A KR102241433B1 KR 102241433 B1 KR102241433 B1 KR 102241433B1 KR 1020200064820 A KR1020200064820 A KR 1020200064820A KR 20200064820 A KR20200064820 A KR 20200064820A KR 102241433 B1 KR102241433 B1 KR 102241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unner
casing
generato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옥규
Original Assignee
(주)큰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큰나무 filed Critical (주)큰나무
Priority to KR1020200064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02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with radial flow at high-pressure side and axial flow at low-pressure side of rotors, e.g. Franci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6Bear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F03B3/125Rotors for radial flow at high-pressure side and axial flow at low-pressure side, e.g. for Francis-type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6Stators
    • F03B3/18Stator blades; Guide conduits or vanes, e.g. adjustable
    • F03B3/186Spiral or volute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4Rotors for turbines
    • F05B2240/242Rotors for turbines of reac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0Bea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 및 하수처리장과 같은 수처리 시설 또는 소하천 등의 관로에 연결 설치되어 관로에 흐르는 물의 수력을 이용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작용에 의해 전력을 생산 공급하도록 하며, 수차 날개로 물을 유도하는 케이싱을 나선형의 편심 모양으로 수차 날개로 물이 이동하는 유로의 단면적을 점차 축소되도록 형성하여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과 유량이 수차 날개에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인라인 스크류 수차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 관로(10)에 유입구(111) 및 유출구(112)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이 유출구(112)로 흘러나가며, 상기 유출구(112) 측으로 수차날개(200)의 회전공간을 제공하는 런너케이싱(120)이 마련된 본체(100)와; 상기 런너케이싱(120)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유입구(111)에서 유출구(112)로 흐르는 물의 수압을 통해 회전하고, 상기 회전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차날개(2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수차날개(200)와 연결되고, 상기 수차날개(200)와 연결된 타단부는 본체(100)의 외부에 노출되어 발전기(400)와 연결되는데, 상기 수차날개(200)의 회전력을 발전기(400)에 전달하는 주축(300)과; 상기 주축(300)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인라인 스크류 수차 {Inline screw Aberration}
본 발명은 정수 및 하수처리장과 같은 수처리 시설 또는 소하천 등의 관로에 연결 설치되어 관로에 흐르는 물의 수력을 이용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작용에 의해 전력을 생산 공급하도록 하며, 수차 날개로 물을 유도하는 케이싱을 나선형의 편심 모양으로 수차 날개로 물이 이동하는 유로의 단면적을 점차 축소되도록 형성하여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과 유량이 수차 날개에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인라인 스크류 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력발전은 물의 흐름을 이용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것이며, 하천의 물을 막거나 댐을 건설하여 유수를 이용한 낙차 현상으로 발전하는 대용량 수력발전설비 또는, 소하천과 농수로 및 각종 수처리 시설에 적용되어 설비 용량이 15,000kw 미만의 소수력발전설비를 구분되고 있다.
이러한 수력발전설비 중에서 소수력발전은 대용량 수력발전설비와 원리 면에서 차이가 없으나 대용량 수력발전설비의 부정적 요인(대규모 설비에 의한 환경파괴, 설비 가능 지역의 제한점 등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소수력발전은 다른 발전설비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단위 용량당 에너지 생산량이 많아 광범위하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들 들면, 종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42676호를 살펴보면, 수력을 이용해 발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내장형 인라인스크류 소수력발전장치이며, 양측에 물의 입구 및 출구가 각각 형성됨으로 내부로 물이 흐르면서 수압이 형성되는 수 관로와; 상기 수 관로의 수압을 이용해 회전작동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동력이 구동축을 이용해 전달되며, 그 회전동력으로 작동하는 발전기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발전기가 수 관로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의 흐름으로 회전하는 수차 날개 역시 수 관로 내부에서 회전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차 날개의 회전을 위한 축 연결부위의 밀폐 패킹의 손상, 노후 등으로 물이 발전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물에 의해 발전기가 파손되거나, 축 부위의 베어링 윤활유에 의해 수 관로의 물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수 관로 내부에 발전기와 수차 날개가 모두 구비되면서 수 관로의 유체 저항을 줄이면서 발전기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수차 날개와 발전기 사이의 축간거리가 필연적으로 길어지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차 날개와 발전기 사이의 축에 집중하중이 작용하면서 회전력의 손실이 발생하고 발전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42676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차 날개로 물을 유도하는 케이싱을 나선형의 편심 모양으로 수차 날개로 물이 이동하는 유로의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도록 형성하여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과 유량이 수차 날개에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기를 수 관로의 외부로 배치하면서 물의 흐름으로 회전하는 수차 날개를 케이싱을 이용해 수 관로 내부로 독립적 배치되게 구성함에 따라 물이 발전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발전기가 물에 의해 파손되지 않게 하고, 수차 날개와 연결된 축 부위 베어링 역시 수 관로 외부로 위치되면서 베어링 윤활유에 의한 수 관로의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차 날개가 케이싱을 통해 수 관로 내부로 독립적 배치되면서 본체 외부의 베어링케이싱에 의해 수차 날개의 축이 지지되어 축간 거리가 단축됨에 따라 수차 날개와 발전기 사이의 축에 집중되는 하중을 줄여 회전력의 손실을 방지하면서 발전효율을 향상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 관로에 유입구 및 유출구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유출구로 흘러나가며, 상기 유출구 측으로 수차날개의 회전공간을 제공하는 런너케이싱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런너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유입구에서 유출구로 흐르는 물의 수압을 통해 회전하고, 상기 회전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차날개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수차날개와 연결되고, 상기 수차날개와 연결된 타단부는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어 발전기와 연결되는데, 상기 수차날개의 회전력을 발전기에 전달하는 주축과;
상기 주축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크류 수차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이 나선형의 편심 모양으로 수차 날개로 이동하는 물의 유로의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게 형성되어 수차 날개에 유입되는 물의 압력과 유량이 균일하게 작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이 발전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발전기가 물에 의해 파손되지 않고, 수차 날개와 연결된 축 부위 베어링 역시 수 관로 외부로 위치되어 베어링 윤활유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수 관로의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차 날개가 케이싱을 통해 수 관로 내부로 독립적 배치되고, 케이싱을 통해 수차 날개의 축이 지지되어 축간 거리가 단축됨으로 수차 날개와 발전기 사이의 축에 집중되는 하중이 줄어 회전력의 손실을 방지하며 발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재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라인 스크류 수차의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크류 수차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고안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고안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라인 스크류 수차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인라인 스크류 수차의 측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2는 인라인 스크류 수차의 정면도이다.
이에 따른 인라인 스크류 수차(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물이 흘러가면서 수차날개(200)를 회전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100); 흐르는 물의 수압을 통해 회전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차날개(200); 수차날개(200)의 회전력을 발전기(400)에 전달하는 주축(300); 회전력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인라인 스크류 수차(1)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수 관로(10)에 유입구(111) 및 유출구(112)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이 유출구(112)로 흘러나가며, 상기 유출구(112) 측으로 수차날개(200)의 회전공간을 제공하는 런너케이싱(120)이 마련되어 수력을 이용한 회전력을 얻기 위한 수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100)는; 수 관로(10)에 유입구(111)에서 유출구(112)로 물이 이동하는 유로가 나선형의 편심 모양으로 물이 이동하는 유로의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수 관로(10)의 연결 수로 기능을 하고, 발전기(400)의 외부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메인케이싱(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케이싱(110)은 내부에 물이 이동하는 공간을 갖는 함체로 제작되는데, 상기 메인케이싱(110)의 상부 일측에는 수 관로(10)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1)의 하부 측방에는 상기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어 수차날개(200)를 통과한 물이 수 관로(10)로 흘러 이동하도록 유출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11)와 유출구(112) 사이의 유로가 나선형의 편심 모양으로 수차날개(200)로 이동하는 물의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111)는 수 관로(10)에 연결되기 위해 관 이음 구조를 갖을 수 있고, 상기 유입구(111)의 대향 방향으로 주축(300)이 관통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케이싱(110)은 인라인 스크류 수차(1)가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이 고정되어 지지 기능을 한다.
예컨대 상기 메인케이싱(110)이 나선형 편심 모양으로 수차날개(200)로 물이 이동하는 유로의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게 형성됨에 따라 메인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과 유량이 수차날개(200)에 균일하게 작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메인케이싱(110)의 유출구(112) 측으로 관로 형태로 구비되면서 수차날개(200)의 회전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런너케이싱(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런너케이싱(120)은 메인케이싱(110)의 유출구(112)를 형성시키는 관로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런너케이싱(120)은 메인케이싱(110)의 측방으로 일부 돌출되고, 그 타측은 메인케이싱(110)의 안쪽으로 삽입되면서 수차날개(200)가 회전하는 공간을 갖도록 하며, 상기 메인케이싱(110)의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런너케이싱(120)의 삽입측 유로인 수차날개(200)의 회전공간을 통과한 후 유출구(112)로 빠져나와 수 관로(10)로 이동하는 흐름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런너케이싱(120)에 형성된 유출구(112) 역시 수 관로(10)에 연결되기 위한 관 이음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주축(300)이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베어링을 체결시키면서 상기 주축(300)을 지지하여 발전기(400)와 외부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케이싱(13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케이싱(130)은, 메인케이싱(110)에 삽입된 주축(300)의 위치로 결합되는데 상기 주축(300)의 노출 부분을 감싸 베어링을 주축(300)에 결합되게 하는 베어링하우징(131); 상기 베어링하우징(131)의 전후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132);로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131)은, 주축(300)을 감싸는 하우징 형태로 제작되는데, 상기 주축(300)을 감싼 사이에는 주축(300)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삽입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131)이 주축(300)을 지지한 상태에서 메인케이싱(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베어링하우징(131)을 통해 주축(300)이 발전기(4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132)는, 베어링하우징(131)의 양단을 막아서 결합되는 판으로 제작되며, 상기 커버(132)가 베어링하우징(131)에 결합됨으로 상기 커버(132)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베어링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주축(300)이 노출된 메인케이싱(110)과 베어링케이싱(130) 사이로 수용공간을 갖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수용공간을 이용해 주축(300)이 메인케이싱(110)에 삽입된 틈으로 누수되는 물이 고이는 수용하우징(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용하우징(140)은 메인케이싱(110)과 베어링케이싱(130)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시켜 마련된 부분으로, 상기 수용하우징(140)은 상기 메인케이싱(110)의 일측방으로 돌출형성되거나, 별도의 수용하우징(140)을 메인케이싱(110)에 용접 등으로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수용하우징(140)의 수용공간은 메인케이싱(110)에 삽입된 주축(300)을 감싸면서 형성되어 상기 주축(300)이 메인케이싱(110)에 삽입된 틈에서 외부로 누수되는 물이 고이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용하우징(140)은 베어링케이싱(130)이 결합되기 위한 볼트 체결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하우징(140)에 결합된 베어링케이싱(130)이 밀착되면서 수용공간을 구획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하우징(140)은 물이 고이는 부분의 하단부로 2개의 접점으르 설치하여 누수에 의해 물이 고이면 고이는 물에 의해 접점이 연결되면서 경보를 울릴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경보를 통해 관리자가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수용하우징(140)의 하측방에는 수용된 물의 퇴수를 위해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퇴수홀(141)을 더 포함한다.
상기 퇴수홀(141)은 수용하우징(140)의 하측방으로 수용공간 측으로 관통되는 구멍으로 마련되며, 상기 퇴수홀(141)은 수용하우징(140)에 유입된 물이 차오르면서 베어링케이싱(13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하우징(140)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퇴수하기 위한 구멍이다.
예컨대, 상기 수용하우징(140)을 더 부가함에 따라 물이 이동하는 메인케이싱(110)에서 주축(300)의 결합에 따라 유일하게 누수 위험이 있는 위치에 누수되는 물을 기계, 전기 장치와 구획할 수 있는 예비 공간을 제공하여 누수되는 물에 의한 기계적 손상을 방지하고, 베어링 등의 윤활유가 메인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되어 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수차날개(200)는;
상기 런너케이싱(120)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유입구(111)에서 유출구(112)로 흐르는 물의 수압을 통해 회전하고, 상기 회전하는 회전력을 발전기(400)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수차날개(200)는; 흐르는 물의 균등한 수압과 유량의 물을 고르게 유입되게 하는 가이드베인(210); 및 상기 가이드베인(210)을 통과한 물의 수압을 통해 회전하는 런너(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베인(210)은, 본체(100)의 메인케이싱(110) 내부로 삽입된 런너케이싱(120)의 내측 끝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주축(300)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베인(210)은 메인케이싱(110)의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런너케이싱(120) 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균등한 수압과 유량의 물을 런너(220)에 공급시키면서 일정한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형성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베인(210)은, 주축(300)에 결합되는 가이드내륜(211); 상기 가이드내륜(211)의 둘레로 런너케이싱(120)의 내벽에 대응한 크기를 갖으면서 상기 런너케이싱(120)의 내벽에 고정되는 가이드외륜(212); 상기 가이드내륜(211)과 가이드외륜(212) 사이에 방사형으로 고정결합되어 유입되는 물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날개(2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내륜(211)은, 주축(300)에 결합되는 내심 부분이고,
상기 가이드외륜(212)은 상기 가이드내륜(211) 둘레로 이격된 단형 원통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가이드내륜(211)과 가이드외륜(212)은 물이 통과하는 유로가 되고, 상기 가이드외륜(212)의 외주면은 런너케이싱(120)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날개(213)는, 가이드내륜(211)과 가이드외륜(212) 사이로 유선형의 판 형태로 다수의 가이드날개(213)가 방사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날개(213)는 가이드내륜(211)에 인접한 측은 두껍고, 가이드외륜(212)에 인접한 측은 얇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날개(213)는 물이 유입되는 측은 두껍고, 반대로 물이 빠져나가는 측은 얇게 형성된 형태를 갖으면서 유체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런너(220)는, 가이드베인(210)의 인접한 측으로 가이드베인(210)을 통과한 물이 유입되는 측에 주축(300)에 결합되고, 상기 런너(220)는 가이드베인(210)을 통과한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발생한 회전력을 이용해 물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런너(220)는, 주축(300)에 결합되는 런너내륜(221); 상기 런너내륜(221)의 둘레로 런너케이싱(120)의 내벽에 대응한 크기를 갖는 런너외륜(222); 상기 런너내륜(221)과 런너외륜(222) 사이에 방사형으로 고정결합되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밀리면서 런너내륜(221) 및 런너외륜(222)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런너날개(2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런너내륜(221)은 주축(300)에 결합되는 내심 부분이고,
상기 런너외륜(222)은 상기 런너내륜(221) 둘레로 이격된 단형 원통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런너내륜(221)과 런너외륜(222)은 물이 통과하는 유로가 되고, 상기 런너외륜(222)의 외주면은 런너케이싱(120)의 내주면 크기에 대응하여 간섭없이 회전되게 한다.
상기 런너날개(223)는, 런너내륜(221)과 런너외륜(222) 사이로 유선형의 판 형태로 다수의 런너날개(223)가 방사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런너날개(223)는 런너내륜(221)에 인접한 측은 두껍고, 런너외륜(222)에 인접한 측은 얇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런너날개(223)는 물이 유입되는 측은 두껍고, 반대로 물이 빠져나가는 측은 얇게 형성된 형태를 갖으면서 유체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주축(30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수차날개(200)와 연결되고, 상기 수차날개(200)와 연결된 타단부는 본체(100)의 외부에 노출되어 발전기(400)와 연결되는데, 상기 수차날개(200)의 회전력을 발전기(40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주축(300)은, 본체(100)의 내부 구조 및 발전기(400)의 연결 위치에 맞게 다수의 단턱을 갖는 다단 축으로 제작되며, 상기 주축(300)의 일단은 본체(100)의 메인케이싱(110)에 일부가 삽입되면서 수차날개(200)에 결합되어 캡(310)에 의해 고정되고, 그 타측은 메인케이싱(11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발전기(400)에 결합으로 연결되어 수차날개(200)의 회전력을 발전기(400)에 전달되게 한다.
이때, 상기 캡(310)은 수차날개(200)에 고정되면서 유체에 의한 항력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축(300)은; 본체(100)의 메인케이싱(110) 내부로 삽입된 주축(300)을 감싸면서 수차날개(200)의 가이드베인(210)에 결합되어 주축(300)을 본체(100) 내부의 물이 흐르는 공간으로부터 밀폐시키는데, 상기 가이드베인(210)과 주축(300) 사이로 메카니컬씰(321)을 삽입시켜 주축(300)의 삽입 부분에 대한 기밀을 유지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씰커버(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씰커버(320)는 메인케이싱(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원통체로 제작되는데, 상기 씰커버(320)는 본체(100)에 삽입된 주축(300)에 끼워져 주축(300)을 감싸고, 상기 씰커버(320)의 일단은 메인케이싱(110)의 내벽에 밀착되고, 그 타단은 수차날개(200)의 가이드베인(210)에 밀착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메인케이싱(110)에 삽입된 주축(300) 부분을 물이 흐르는 공간으로부터 밀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씰커버(320)의 내부로 주축(300)과 가이드베인(210) 사이에는 메카니컬씰(321)이 삽입되어 주축(300)의 삽입 부분에 대한 기밀을 유지하게 하고, 상기 메카니컬씰(321)이 결합된 측에는 밀폐 기능의 패킹(321a)이 하나 이상 구비되어 메카니컬씰(321)과 씰커버(3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한다.
예컨대, 상기 씰커버(320)를 더 부가함에 따라 본체(100)의 메인케이싱(110) 내부로 삽입된 주축(300) 부분을 물이 이동하는 공간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어 주축(300)의 결합 구조 특성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씰커버(320) 및 수용하우징(140)에 의한 1차, 2차의 누수 방지구조를 통해 누수방지효율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400)는;
상기 주축(300)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발전기(400)는; 본체(100)에 인접한 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주축(300)에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고, 상기 회전력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여 공급하며, 상기 발전기(400)는 영구자석동기발전기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전기(400)는 생산된 전력을 직류,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를 연결할 수 있고, 반도체 소자, 평활용 커패시터, 퓨즈, 방열판, 필터용 리액터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전기(400)로부터 3상 교류 전력을 입력받아 내부 정류기를 통해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거나, 직류 전력을 공급받아 교류전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전기(400)의 인버터는 제어부가 마련되고, 인버터의 제어부는 인라인 스크류 수차(1)를 제어하는 것으로 계통 연계형 인버터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인버터전자접촉기의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각각의 입출력 MCCB, 온도센서, 퓨즈 등의 접점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인라인 스크류 수차 100; 본체
110; 메인케이싱 120; 런너케이싱
130; 베어링케이싱 140; 수용하우징
200; 수차날개 210; 가이드베인
220; 런너 300; 주축
310; 캡 320; 씰커버
400; 발전기

Claims (6)

  1. 수 관로(10)에 유입구(111) 및 유출구(112)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이 유출구(112)로 흘러나가며, 상기 유출구(112) 측으로 수차날개(200)의 회전공간을 제공하는 런너케이싱(120)이 마련된 본체(100)와;
    상기 런너케이싱(120)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유입구(111)에서 유출구(112)로 흐르는 물의 수압을 통해 회전하고, 상기 회전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차날개(2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수차날개(200)와 연결되고, 상기 수차날개(200)와 연결된 타단부는 본체(100)의 외부에 노출되어 발전기(400)와 연결되는데, 상기 수차날개(200)의 회전력을 발전기(400)에 전달하는 주축(300)과;
    상기 주축(300)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차날개(200)는 흐르는 물의 균등한 수압과 유량의 물을 고르게 유입되게 안내하는 가이드베인(210); 및 상기 가이드베인(210)을 통과한 물의 수압을 통해 회전하는 런너(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베인(210)은 주축(300)에 결합되는 가이드내륜(211); 상기 가이드내륜(211)의 둘레로 런너케이싱(120)의 내벽에 대응한 크기를 갖으면서 상기 런너케이싱(120)의 내벽에 고정되는 가이드외륜(212); 상기 가이드내륜(211)과 가이드외륜(212) 사이에 방사형으로 고정결합되어 유입되는 물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날개(213);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크류 수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수 관로(10)에 유입구(111)에서 유출구(112)로 물이 이동하는 유로가 나선형의 편심 모양으로 물이 이동하는 유로의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수 관로(10)의 연결 수로 기능을 하고, 발전기(400)의 외부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메인케이싱(110)을 더 포함한 인라인 스크류 수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주축(300)이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베어링을 체결시키면서 상기 주축(300)을 지지하여 발전기(400)와 외부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케이싱(130)을 더 포함한 인라인 스크류 수차.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220)는 주축(300)에 결합되는 런너내륜(221); 상기 런너내륜(221)의 둘레로 런너케이싱(120)의 내벽에 대응한 크기를 갖는 런너외륜(222); 상기 런너내륜(221)과 런너외륜(222) 사이에 방사형으로 고정결합되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밀리면서 런너내륜(221) 및 런너외륜(222)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런너날개(223);를 더 포함한 인라인 스크류 수차.
KR1020200064820A 2020-05-29 2020-05-29 인라인 스크류 수차 KR102241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820A KR102241433B1 (ko) 2020-05-29 2020-05-29 인라인 스크류 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820A KR102241433B1 (ko) 2020-05-29 2020-05-29 인라인 스크류 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433B1 true KR102241433B1 (ko) 2021-04-16

Family

ID=7574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820A KR102241433B1 (ko) 2020-05-29 2020-05-29 인라인 스크류 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808B1 (ko) 2021-12-20 2022-06-22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소수력 수차의 실링부 누수 배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73A (en) * 1979-06-22 1981-01-12 Hiroshi Ichikawa Divided flow water turbine
KR101642676B1 (ko) 2016-05-11 2016-07-29 (주)큰나무 내장형 인라인스크류 소수력발전장치
KR101668980B1 (ko) * 2016-05-11 2016-10-24 (주)큰나무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KR20190052479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고압 관로의 감압형 수력 에너지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73A (en) * 1979-06-22 1981-01-12 Hiroshi Ichikawa Divided flow water turbine
KR101642676B1 (ko) 2016-05-11 2016-07-29 (주)큰나무 내장형 인라인스크류 소수력발전장치
KR101668980B1 (ko) * 2016-05-11 2016-10-24 (주)큰나무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KR20190052479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고압 관로의 감압형 수력 에너지 회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808B1 (ko) 2021-12-20 2022-06-22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소수력 수차의 실링부 누수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676B1 (ko) 내장형 인라인스크류 소수력발전장치
AU2018293589B2 (en) Improved reversible pump-turbine installation
CA2862347C (en) Power conversion and energy storage device
KR101668980B1 (ko)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CN102684391B (zh) 一种涡管电机
KR101642677B1 (ko) 외장형 인라인스크류 소수력발전장치
KR101202678B1 (ko) 하수방류관용 수력발전장치
KR101717024B1 (ko) 공,수랭식 겸용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CN202550800U (zh) 一种涡管电机
CN104595094B (zh) 水力涡轮发电机
CN106437857B (zh) 螺旋通道式汽轮机及应用螺旋通道式汽轮机的设备
KR102241433B1 (ko) 인라인 스크류 수차
KR101769080B1 (ko) 수도시설의 배관 내에 설치되는 감압장치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KR102241434B1 (ko) 나선형 유로를 갖는 인라인 스크류 수차
WO2019145989A1 (en) A pipe-flow driven electric power generator device
CN109196222B (zh) 用于产生电能的涡轮发电机装置及相关的操作和安装方法
CN202818007U (zh) 高温转子水循环冷却装置
KR101314465B1 (ko) 공업용수 라인을 활용한 소수력 발전설비
KR101691515B1 (ko) 공랭식 수직형 인라인 소수력발전장치
JP2002138525A (ja) 水道施設の残圧回収発電装置
Dariusz et al. Electrical energy recovery from network water pressure
EP3645794A1 (en) Improved reversible pump-turbine installation
CN214698156U (zh) 一种水轮发电机组用过速保护装置
CN105673295A (zh) 一种旋壳式能量回收集成发电装置
CN115638073A (zh) 一种水泵水轮机的密封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