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889B1 - 우드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우드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889B1
KR101716889B1 KR1020160038670A KR20160038670A KR101716889B1 KR 101716889 B1 KR101716889 B1 KR 101716889B1 KR 1020160038670 A KR1020160038670 A KR 1020160038670A KR 20160038670 A KR20160038670 A KR 20160038670A KR 101716889 B1 KR101716889 B1 KR 101716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slats
ladder
layer portion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0166A (ko
Inventor
권영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이트게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이트게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이트게버
Priority to KR102016003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8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40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2Details of ladder-tapes or ladder chains, e.g. buckles for local shortening of t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4Details of 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tapes and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2Parallel screens moving independent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06B2009/785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by belts, straps, bands, tapes, cords, ta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드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수직블라인드, 수평블라인드, 롤블라인드, 로만쉐이드, 커튼 및 최근에 개발 된 각종 기능성쉐이드에서도 구현할 수 없는 상층부와 하층부의 동일개폐 및 이중개폐를 겸한 기능과 동시이중개폐단일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상층부는 슬래트가 열리게 하면서 동시에 하층부는 슬래트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사무실, 사업장, 가정 등의 실내에서 하층부의 외부시선과 광량의 차단 및 상층부의 조망과 광량의 확보를 통하여 사무, 작업, 학습의 능률향상과 사생활보호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우드 블라인드{wood blind}
본 발명은 우드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우드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망과 광량의 조절 및 장식재로서의 창장식가리개는 사무실, 연구실, 공장, 호텔, 레스토랑, 가정 및 기타 건물의 창 등에서 태양광 조절, 방서, 방한, 방음 및 사생활 보호 등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종래의 커튼(Curtain), 세로형의 수직블라인드(Vertical Blind), 가로형의 수평블라인드(Horizontal Blind 또는 Venetian Blind) 및 일반폭의 원단을 원단권취봉으로 감아 올리거나 내리는 롤블라인드(Roll Blind), 원단을 접어 올리거나 내리는 종래의 로만쉐이드(Roman Shade) 및 투명한 커튼지인 망사(Sheer)와 종래의 수직블라인드, 수평블라인드, 로만쉐이드를 직물형태로 결합하여 포근함을 확보하면서 블라인드의 기능성을 갖춘 여러 형태의 각종 기능성쉐이드가 사용되고 있으나 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커튼의 경우 직물이 보유한 포근한 분위기의 장점을 가지고는 있으나 기능성, 경제성, 현대인테리어와의 조화성 등에서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의 수직블라인드는 직선형태 뿐만 아니라 타종의 블라인드나 쉐이드가 구현하기 어려운 라운드형(Rounded Type)이나 아취형(Arched Type)의 형태로도 작동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각 수직루버(Vertical Louvers)의 회전에 의한 각도변화로 수직상태로 좌우간의 개폐기능은 있으나 수평상태로의 상하간의 개폐기능이 없고, 통상의 수평블라인드는 각 수평슬래트(Horizontal Slats)의 회전에 의한 각도변화로 수평상태로 상하간의 개폐기능은 있으나 모든 슬래트가 동시에 동일하게 개폐되어, 상층부는 열리고 동시에 하층부는 닫히게 하는 등의 상하층간의 이중개폐기능이 없고, 종래의 로만쉐이드는 장식성은 있으나 기능성이 부족하며, 최근 개발된 여러 형태의 기능성쉐이드도 포근함이나 일반적 기능성을 겸비하고는 있으나 조망 및 광량조절 등의 기능에서 역시 그 루버(Louver) 또는 슬래트(Slat) 전체가 동시에 작동되어 역시 상하층간의 이중개폐기능이 결여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기능을 갖춘 수평블라인드용 다기능사다리테이프(Multifunctional Ladder Tape) 및 다기능사다리끈(Multifunctional Ladder String)을 개발하여 추가적인 복잡한 수평블라인드 구동장치의 개발 없이 기존의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생산시 작업성을 높이고 사용시 간편하고 다양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우드 블라인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우드 블라인드에 있어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역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회전하며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Ⅰ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닫혀진 상태로 되면서 하층부(L)의 각 슬래트는 수평을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정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가 수평상태로 변하면서 동시에 하층부(L)의 각 슬래트의 하단이 하측으로 향하도록 회전하며 닫혀진 상태로 변하고, 이 상태에서 계속 정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단이 하측을 향하도록 회전하여 상하층부가 동일하게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역회전시키면 하층부(L)의 각 슬래트는 변하지 않으면서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단이 상측으로 향하면서 회전하여 수평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계속 역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단이 상측으로 향하며 서서히 닫히게 되며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면 하층부(L)의 각 슬래트의 하단 또한 상층으로 향하며 회전하여 수평상태로 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으며, 이 상태에서 계속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역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단이 상측을 향하며 닫힌 상태로 하층부의 각 슬래트는 수평을 유지하며 슬래트 및 하단중량봉이 하부로부터 상층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Ⅰ는, 전면테이프(10)와 후면테이프(20) 및 전후면테이프 사이에 사다리받침대 형상으로 형성된 슬래트받침(34)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4)과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의 차상부슬래트받침끈(33)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3) 사이에 형성된 후면테이프의 배면 중간(c)에서 배면이 서로 면하도록 접은 후, 상기 차상부슬래트받침끈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3)에서 접은 후면테이프를 상측으로 꺾어 상기 차상부슬래트받침끈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3)의 상측 후면테이프의 전면과 면하면서 일치시킨 후, 접착, 봉제, 접착 후 봉제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블라인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드 블라인드에 따르면, 수직블라인드, 수평블라인드, 롤블라인드, 로만쉐이드, 커튼 및 최근에 개발 된 각종 기능성쉐이드에서도 구현할 수 없는 상층부와 하층부의 동일개폐 및 이중개폐를 겸한 기능과 동시이중개폐단일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상층부는 슬래트가 열리게 하면서 동시에 하층부는 슬래트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사무실, 사업장, 가정 등의 실내에서 하층부의 외부시선과 광량의 차단 및 상층부의 조망과 광량의 확보를 통하여 사무, 작업, 학습의 능률향상과 사생활보호 등에 유용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우드 블라인드의 사다리테이프 제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의해 제조된 상하층부 동일 및 이중개폐탈부착형사다리테이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드 블라인드의 사다리테이프 제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의해 제조된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Ⅰ및 Ⅱ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드 블라인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끈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의해 제조된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끈Ⅰ 및 Ⅱ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하층부 동일 및 이중개폐탈부착형사다리테이프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우드 블라인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Ⅰ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우드 블라인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Ⅱ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우드 블라인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끈Ⅰ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우드 블라인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끈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우드 블라인드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우드 블라인드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드 블라인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수평블라인드의 조망 및 광량의 조절 역할을 하는 슬래트의 수평을 유지시키면서 또한 슬래트의 경사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는 통상의 직물제의 사다리테이프(Ladder Tape)(가)는 도 1에 도해되어 있듯이, 그 구성요소인 전면테이프(10)와 후면테이프(20) 및 전후면테이프 사이에 사다리받침대 형상으로 형성된 슬래트받침끈(30)이 그 일단은 전면테이프의 배면과 연결되어 있고 그 타단은 후면테이프의 배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슬래트받침끈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하로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상의 사다리테이프를 기초사다리테이프로 하여 도 1에 도해되어 있듯이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34)을 전면테이프의 배면과의 연결부분(14)과 후면테이프의 배면과의 연결부분(24)의 경계선에서 절단하여 제거하고 상기 절단된 슬래트받침끈의 일단과의 연결지점(14)에서 하측으로 10mm에서 30mm 사이의 지점에서 전면테이프를 절단하고 또한 상기 절단된 슬래트받침끈(34)의 차하부슬래트받침끈(35)의 일단과의 연결지점(15)에서 상측으로 3mm에서 6mm 사이의 지점에서 전면테이프를 절단한 후, 상기 10mm에서 30mm사이의 전면테이프의 배면에 벨크로암수쌍 중 벨크로수나 고리(Ring)를 접착, 봉제, 접착 후 봉제 및 기타의 방법으로 부착(a)하고, 상기 차하부슬래트받침끈(35)의 일단과의 연결지점(15)으로부터 하부로 전면테이프의 전면에 상기 벨크로수와 동일한 크기의 벨크로암이나 고리걸이를 접착, 봉제, 접착 후 봉제 및 기타의 방법으로 부착(b)하고 절단된 면을 마무리한 뒤, 상기 절단된 슬래트받침끈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4)과 이 절단된 슬래트받침끈의 차상부슬래트받침끈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3) 사이에 형성된 후면테이프의 배면 중간(c)에서 배면이 서로 면하도록 접은 후, 벨크로 암수쌍이나 고리걸이장치로 장착된 전면테이프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절단된 슬래트받침끈의 차상부슬래트받침끈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3)에서 접은 후면테이프를 상측으로 꺾어 상기 차상부슬래트받침끈의 타단과의 연결지점의 상측 후면테이프의 전면과 면하면서 일치시킨 후, 접착, 봉제, 접착 후 봉제 및 기타의 방법으로 부착하여 도 2에 도해되어 있는 상하층부 동일 및 이중개폐탈부착형사다리테이프(100)를 완성한다.
수평블라인드의 조망 및 광량의 조절역할을 하는 슬래트의 수평을 유지시키면서 또한 슬래트의 경사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는 통상의 직물제의 사다리테이프(Ladder Tape)(가)는, 도 3에 도해되어 있듯이 그 구성요소인 전면테이프(10)와 후면테이프(20) 및 전후면테이프 사이에 사다리받침대 형상으로 형성된 슬래트받침끈(30)이 그 일단은 전면테이프의 배면과 연결되어 있고 그 타단은 후면테이프의 배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슬래트받침끈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하로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상의 사다리테이프를 기초사다리테이프로 하여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34)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4)과 상기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의 차상부슬래트받침끈(33)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3) 사이에 형성된 후면테이프의 배면 중간(c)에서 배면이 서로 면하도록 접은 후, 상기 차상부슬래트받침끈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3)에서 접은 후면테이프를 상측으로 꺾어 상기 차상부슬래트받침끈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3)의 상측 후면테이프의 전면과 면하면서 일치시킨 후, 접착, 봉제, 접착 후 봉제 및 기타의 방법으로 부착하여 도 4에 도해되어 있는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Ⅰ(200)을 완성한다. 또한, 상층부 최하단슬래트와 하층부 최상단슬래트의 겹치는 부분을 조금 더 많이 하고 하층부 슬래트의 닫힘 상태를 더 좋게 하기 위하여 상기 사다리테이프의 종류와 규격에 따라 도 3에 도해되어 있듯이 상기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의 후면띠와의 연결지점(24)이 상기 상부슬래트받침끈의 타단의 후면띠와의 연결지점(23)보다 1mm ~ 7mm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4)과 상기 차상부슬래트받침끈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3)과의 사이에 형성된 후면테이프의 배면 중간보다 하측의 계산된 일정지점(d)에서 배면이 서로 면하도록 접은 후 상기 차상부슬래받침끈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3)에서 상측으로 꺾어 상기 차상부 슬래트받침끈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3)의 상측 후면테이프의 전면과 면하면서 일치시킨 후, 접착, 봉제, 접착 후 봉제 및 기타의 방법으로 부착하여 도 4에 도해되어 있는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Ⅱ(300)을 완성한다.
수평블라인드의 조망 및 광량의 조절역할을 하는 슬래트의 수평을 유지시키면서 또한 슬래트의 경사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는 통상의 직물제의 사다리끈(Ladder String)(나)은 도 5에 도해되어 있듯이 그 구성요소인 전면끈(40)과 후면끈(50) 및 전후면끈 사이에 사다리받침대 형상으로 형성된 슬래트받침끈(60)이 그 일단은 전면끈의 배면과 연결되어 있고 그 타단은 후면끈의 배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슬래트받침끈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하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상의 직물사다리끈을 기초사다리끈으로 하여,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64)의 타단과 이 슬래트받침끈의 상부슬래트받침끈(63)의 타단 사이의 후면끈을 상기 사다리끈의 종류와 규격에 따라 상기 상부슬래트받침끈(63)의 타단과의 연결지점(53)으로부터 하측으로 2mm에서 5mm 지점에서 절단하여 그 절단면을 열로 융착시키고, 상기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64)의 타단과의 연결지점(54)으로부터 상측으로 3mm에서 20mm 지점에서 절단하여 그 절단면을 열로 융착시킨 후, 상기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64)의 타단의 후면띠와의 연결지점(54)이 상기 상부슬래트받침끈(63)의 타단과 후면띠와의 연결지점(53)과 일치하도록 상기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64)의 타단과 연결된 후면띠의 좌측면과 상기 상부슬래트받침끈(63)의 타단과 연결된 후면띠의 우측면을 면하여 바느질봉제, 융착, 바느질봉제 후 융착 및 기타의 방법으로 부착하여 도 6에 도해되어 있는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끈Ⅰ(400)을 완성한다. 또한, 상층부(U)의 최하단슬래트와 하층부(L)의 최상단슬래트의 겹치는 부분을 조금 더 많이 하고 하층부 슬래트의 닫힘상태를 더 좋게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해되어 있듯이 상기 사다리끈의 종류와 규격에 따라 상기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64)의 타단의 후면띠와의 연결지점(54)이 상기 상부슬래트받침끈(63)의 타단의 후면띠와의 연결지점(53)보다 1mm ~ 7mm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64)의 타단과 연결된 후면띠의 좌측면과 상기 상부슬래트받침끈(63)의 타단과 연결된 후면띠의 우측면을 면하여 바느질봉제, 융착, 바느질봉제 후 융착 및 기타의 방법으로 부착하여 도 6에 도해되어 있는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끈Ⅱ(500)를 완성한다.
통상의 수평블라인드 조립방법은 사다리테이프 및 사다리끈을 수평블라인드의 규격에 따라 정해진 수와 길이로 절단하고 그 상부에 형성된 슬래트받침끈을 해당 수만큼 절단하여 제거한 후, 기어콘트롤유니트에 장착된 승하강경사조정줄(Lift & Tilt Control Cod)에 의해 슬래트의 각도(Tilt)와 하단중량봉과 슬래트의 승하강을 조절시키는 모노콘트롤시스템(Mono-Control System)을 채택할 경우, 하부가 천공된 수평블라인드 헤드레일 내에 장착된 드럼써포트(Drum Support)의 하부천공부분과, 드럼써포트 위에 안착되어 정역회전하며 수평블라인드의 하단중량봉(Bottom Weight Bar)과 슬래트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줄(Lift Cord)을 권취하고 사다리테이프 및 사다리끈의 전후면테이프나 전후면끈을 정역회전시키는 드럼(Drum)의 전후로 통과시킨 후, 드럼의 머리부분(Head Part)에서 바느질봉제 또는 철침(Staple)등으로 직접 연결하거나 드럼의 연결장치에 연결하여 헤드레일을 검수대의 헤드레일걸이 위에 얹혀 놓고 수직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정해진 수의 사다리테이프 또는 사다리끈의 슬래트받침끈 위에 슬래트를 수평으로 삽입한 후, 각각의 드럼의 몸체부분(Body Part)의 외면 또는 외면에 형성된 나선형골을 따라 권취되어 있는 각각의 승하강줄을 헤드레일 하부 천공부분에 장착된 드럼써포트의 하부관통부분을 통해 풀어낸 후, 해당 슬래트의 천공구멍(Hole)과 하단중량봉의 천공구멍을 관통하여 가(假) 매듭한 후, 이미 샤프트에 의해 드럼과 연결되어 헤드레일의 하우징과 함께 조립된 기어콘트럴유니트와 상기 기어콘트롤유니트에 장착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정역회전시켜 슬래트의 각도변화 및 승하강상태를 점검하며 하단중량봉의 수평을 조절한 후 각각의 승하강줄을 최종매듭하고 하단중량봉의 하부에 마개(Bottom Bar Button)를 끼워 모노콘트롤시스템 수평블라인드를 완성하고,
한 줄의 굵은 승하강조정줄(Lit & Lower Control Cord)로 하단중량봉과 슬래트의 승하강을 조절시키고 슬래트 각도조절봉 또는 슬래트각도조절줄로 슬래트의 각도를 조절시키는 투콘트롤시스템(Two-Control System)을 채택할 경우, 사다리테이프 또는 사다리끈의 전후면테이프나 전후면끈을 드럼의 전후로 통과시킨 후, 드럼의 연결장치에 연결하여 헤드레일을 검수대의 헤드레일걸이 위에 얹혀 놓고 수직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정해진 수의 사다리테이프 또는 사다리끈의 슬래트받침끈 위에 슬래트를 수평으로 삽입한 후, 한 줄의 굵은 승하강조정줄과 연결된 각각의 승하강줄을 드럼써포트에 장착된 롤러(Roller)의 외면을 따라 헤드레일 하부 천공부분에 장착된 드럼써포트의 하부관통부분을 통해 끌어낸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관통하여 가(假)매듭한 후 한 줄의 굵은 승하강조정줄과 각도조절봉 또는 각도조절줄로 승하강상태 및 슬래트의 각도변화를 점검하며 하단중량봉의 수평을 조절한 후 각각의 승하강줄을 최종매듭하고 하단중량봉의 하부에 마개를 끼워 투콘트롤시스템 수평블라인드를 완성한다.
본 발명인 3종류의 사다리테이프와 2종류의 사다리끈을 사용하여 수평블라인드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인 도 2의 상하층부 동일 및 이중개폐탈부착형사다리테이프(100)를 사용하여 상기 통상의 모노콘트롤시스템의 조립방법으로 조립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층부 동일 및 이중개폐탈부착형사다리테이프수평블라인드(1100)가 완성되며, 투콘트롤시스템의 경우도 상기 통상의 투콘트롤시스템의 조립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하여 완성한다.
본 발명인 도 4에 도해된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Ⅰ(200)을 사용하여 상기 통상의 모노콘트롤시스템의 조립방법으로 모든 사다리받침끈 위에 슬래트를 안치하여 조립하면 도 8에 도시된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수평블라인드Ⅰ(1200)가 완성되며, 투콘트롤시스템의 경우도 상기의 투콘트롤시스템 조립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든 사다리받침끈 위에 슬래트를 안치하고 조립하여 완성한다.
본 발명인 도 4에 도해된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Ⅱ(300)를 사용하여 하층부(L) 최상단사다리받침끈(34)을 제외하고 모든 사다리받침끈 위에 슬래트를 안치하여 상기 통상의 모노콘트롤시스템의 조립방법대로 조립하면 도 9에 도시된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수평블라인드Ⅱ(1300)가 완성되며, 투콘트롤시스템의 경우도 도 4에 도해된 하층부(L) 최상단사다리받침끈(34)을 제외하고 모든 사다리받침끈 위에 슬래트를 안치하여 상기의 투콘트롤시스템 조립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하여 완성한다.
본 발명인 도 6에 도해된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끈Ⅰ(400)을 사용하여 상기 통상의 모노콘트롤시스템의 조립방법대로 모든 사다리받침끈 위에 슬래트를 안치하여 조립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끈수평블라인드Ⅰ(1400)가 완성되며 투콘트롤시스템의 경우도 상기의 투콘트롤시스템 조립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든 사다리받침끈 위에 슬래트를 안치하고 조립하여 완성한다.
본 발명인 도 6에 도해된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끈Ⅱ(500)을 사용하여 도면부호 46의 하층부(L) 최상단사다리받침끈(34)을 제외하고 모든 사다리받침끈 위에 슬래트를 안치하여 상기 통상의 모노콘트롤시스템의 조립방법대로 조립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끈수평블라인드Ⅱ(1500)가 완성되며, 투콘트롤시스템의 경우도 도 6에 도해된 하층부(L) 최상단사다리받침끈(64)을 제외하고 모든 사다리받침끈 위에 슬래트를 안치하여 상기의 투콘트롤시스템 조립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하여 완성한다.
본 발명인 3종류의 사다리테이프와 2종류의 사다리끈을 사용하여 조립된 수평블라인드를 작동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상하층부 동일 및 이중개폐탈부착형사다리테이프수평블라인드(1100)의 작동은 도 7에 도해되어 있듯이 벨크로암수쌍이나 고리걸이쌍으로 상하층부 동일 및 이중개폐탈부착형사다리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일반수평블라인드와 동일하게 전체 슬래트의 각도가 동일하게 변하나, 벨크로암수쌍이나 고리걸이쌍의 탈부착장치를 탈착시키면 하층부(L)에 속하는 각 슬래트의 하단이 하측으로 향하며 경사가 가파르게 닫혀진 상태로 변하며, 이 상태에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정회전시키면 상층부(U)에 속하는 각 슬래트의 하부가 하측으로 향하며 경사가 가파르게 닫혀진 상태로 변해 탈부착장치를 서로 부착시키면 상하층부 동일 및 이중개폐탈부착형사다리테이프가 일체형으로 변하며, 이 상태에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역회전시키면 슬래트의 하단이 하측으로 향하던 상태에서 상측으로 향하도록 회전하며 서서히 열리면서 수평상태로 변한 뒤, 이후에는 각 슬래트의 하단이 상부로 향하여 서서히 닫히게 되며 더 이상 회전되지 않으면 각 슬래트의 하단이 상부로 향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래트와 하단중량봉이 상측으로 승강하게 된다.
본 발명인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수평블라인드Ⅰ(1200)의 작동은 도 8에 도해되어 있듯이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역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회전하며 닫혀진 상태로 되면서 하층부(L)의 각 슬래트는 수평을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정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가 수평상태로 변하면서 동시에 하층부(L)의 각 슬래트의 하단이 하측으로 향하도록 회전하며 닫혀진 상태로 변하고, 이 상태에서 계속 정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회전하여 상하층부가 동일하게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역회전시키면 하층부(L)의 각 슬래트는 변하지 않으면서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상측으로 향하면서 회전하여 수평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계속 역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상측으로 향하며 서서히 닫히게 되며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면 하층부(L)의 각 슬래트의 하단 또한 상층으로 향하며 회전하여 수평상태로 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으며, 이 상태에서 계속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역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상측을 향하며 닫힌 상태로 하층부의 각 슬래트는 수평을 유지하며 슬래트 및 하단중량봉이 하부로부터 상층으로 승강하게 된다.
본 발명인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수평블라인드Ⅱ(1300)는 상기의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수평블라인드Ⅰ(1200)과 동일하게 작동하나, 도 9에 도해되어 있듯이 하층부(L)의 최상단 사다리받침끈(34) 위에 슬래트가 안치되어 있지 않아 전체적으로 수평블라인드의 슬래트배열이 균일하게 보인다.
본 발명인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끈수평블라인드Ⅰ(1400)의 작동은 도 10에 도해되어 있듯이 상기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수평블라인드Ⅰ(1200)과 동일하게 작동한다.
본 발명인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끈수평블라인드Ⅱ(1500)는 상기의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끈수평블라인드Ⅰ(1400)와 동일하게 작동하나 도 11에 도해되어 있듯이 하층부(L)의 최상단 사다리받침끈(34) 위에 슬래트가 안치되어 있지 않아 전체적으로 수평블라인드의 슬래트배열이 균일하게 보인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2)

  1. 우드 블라인드에 있어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역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회전하며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Ⅰ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닫혀진 상태로 되면서 하층부(L)의 각 슬래트는 수평을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정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가 수평상태로 변하면서 동시에 하층부(L)의 각 슬래트의 하단이 하측으로 향하도록 회전하며 닫혀진 상태로 변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경사조정줄을 계속 정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회전하여 상하층부가 동일하게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역회전시키면 하층부(L)의 각 슬래트는 변하지 않으면서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상측으로 향하면서 회전하여 수평상태로 되며, 이 상태에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계속 역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상측으로 향하며 서서히 닫히게 되며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면 하층부(L)의 각 슬래트의 하단 또한 상층으로 향하며 회전하여 수평상태로 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며, 이 상태에서 계속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역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상측을 향하며 닫힌 상태로 하층부의 각 슬래트는 수평을 유지하며 슬래트 및 하단중량봉이 하부로부터 상층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테이프Ⅰ는,
    전면테이프(10)와 후면테이프(20) 및 전후면테이프 사이에 사다리받침대 형상으로 형성된 슬래트받침(34)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4)과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의 차상부슬래트받침끈(33)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3) 사이에 형성된 후면테이프의 배면 중간(c)에서 배면이 서로 면하도록 접은 후, 상기 차상부슬래트받침끈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3)에서 접은 후면테이프를 상측으로 꺾어 상기 차상부슬래트받침끈의 타단과의 연결지점(23)의 상측 후면테이프의 전면과 면하면서 일치시킨 후, 접착, 봉제, 접착 후 봉제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블라인드.
  2. 우드 블라인드에 있어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역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회전하며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끈Ⅰ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닫혀진 상태로 되면서 하층부(L)의 각 슬래트는 수평을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정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가 수평상태로 변하면서 동시에 하층부(L)의 각 슬래트의 하단이 하측으로 향하도록 회전하며 닫혀진 상태로 변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경사조정줄을 계속 정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회전하여 상하층부가 동일하게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역회전시키면 하층부(L)의 각 슬래트는 변하지 않으면서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상측으로 향하면서 회전하여 수평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승하강경사조정줄을 계속 역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상측으로 향하며 서서히 닫히게 되며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면 하층부(L)의 각 슬래트의 하단 또한 상층으로 향하며 회전하여 수평상태로 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으며, 이 상태에서 계속 승하강경사조정줄을 역회전시키면 상층부(U)의 각 슬래트의 하부가 상측을 향하며 닫힌 상태로 하층부의 각 슬래트는 수평을 유지하며 슬래트 및 하단중량봉이 하부로부터 상층으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상하층부 동시이중개폐일체형사다리끈Ⅰ은,
    전면끈(40)과 후면끈(50) 및 전후면끈 사이에 사다리받침대 형상으로 형성된 슬래트받침끈의 타단과 이 슬래트받침끈의 상부슬래트받침끈(63)의 타단 사이의 후면끈을 상기 사다리끈의 종류와 규격에 따라 상기 상부슬래트받침끈(63)의 타단과의 연결지점(53)으로부터 하측에서 절단하여 그 절단면을 열로 융착시키고, 상기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64)의 타단과의 연결지점(54)으로부터 상측에서 절단하여 그 절단면을 열로 융착시킨 후, 상기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64)의 타단의 후면띠와의 연결지점(54)이 상기 상부슬래트받침끈(63)의 타단과 후면띠와의 연결지점(53)과 일치하도록 상기 원하는 위치의 슬래트받침끈(64)의 타단과 연결된 후면띠의 좌측면과 상기 상부슬래트받침끈(63)의 타단과 연결된 후면띠의 우측면을 면하여 바느질봉제, 융착, 바느질봉제 후 융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블라인드.
KR1020160038670A 2016-03-30 2016-03-30 우드 블라인드 KR101716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670A KR101716889B1 (ko) 2016-03-30 2016-03-30 우드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670A KR101716889B1 (ko) 2016-03-30 2016-03-30 우드 블라인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716A Division KR101620607B1 (ko) 2009-07-22 2009-07-22 우드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166A KR20160040166A (ko) 2016-04-12
KR101716889B1 true KR101716889B1 (ko) 2017-03-15

Family

ID=5580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670A KR101716889B1 (ko) 2016-03-30 2016-03-30 우드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8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9372A (ja) * 2007-09-25 2009-04-16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6194U (ko) * 1979-02-07 1980-08-16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9372A (ja) * 2007-09-25 2009-04-16 Nichibei Co Ltd ブライ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166A (ko) 201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495B2 (en) Blind with head rail and control guides
US8267144B2 (en) Roman shade window curtain having a special head rail for using a roller shade as its release/retraction control
US6854502B2 (en) Multi-functional shading device
US6662845B1 (en) Roman shade with separated backing sheet
JP4585993B2 (ja) 巻上げブラインドセグメントを有する窓覆い
JP4142540B2 (ja) ローマ式シェード
US7806159B2 (en) Flexible window covering
US20060048904A1 (en) Dual drop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20110192550A1 (en) Roman shade lift system
US20050155720A1 (en) Roman shade capable of adjusting light transmittance
US20060151126A1 (en) Systems and mechanisms for use with double blinds and double shades
KR101620607B1 (ko) 우드 블라인드
KR20060106776A (ko) 접이식 차양 부재를 가지는 윈도우 가리개
KR101716889B1 (ko) 우드 블라인드
TWM382083U (en) Window covering
US20050051281A1 (en) Multi-functional shading device
KR102555945B1 (ko) 조망부를 갖춘 로만쉐이드 커튼
KR20160020719A (ko) 베니션 차양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장치
KR101863242B1 (ko) 수평블라인드용 다목적 슬래트 방향전환 및 기울기 조절장치
MXPA03007120A (es) Combinacion de cubierta para ventana.
US1847077A (en) Window shade
KR101034982B1 (ko) 부분걷힘기능 장식커튼지
US20120233817A1 (en) Window Shade with Enhanced Safety Features
US11441352B2 (en) Dual cordless retractable shade system with transitional shade materials for architectural openings
KR101620608B1 (ko)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