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608B1 -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608B1
KR101620608B1 KR1020090066715A KR20090066715A KR101620608B1 KR 101620608 B1 KR101620608 B1 KR 101620608B1 KR 1020090066715 A KR1020090066715 A KR 1020090066715A KR 20090066715 A KR20090066715 A KR 20090066715A KR 101620608 B1 KR101620608 B1 KR 101620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ouver
horizontal
horizontal louve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354A (ko
Inventor
권영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이트게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이트게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이트게버
Priority to KR1020090066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60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60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Blind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하층부 구분 없이 동시에 동일하게 개폐되게 하거나, 상층부수평루버군과 하층부수평루버군이 다르게 개폐되게 하는 것으로 조망과 광량조절의 방법과 위치를 다양하게 운용하면서 볼륨감 등 장식미가 뛰어난 다기능로만쉐이드를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세탁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사용자가 승하강구동줄을 정역회전시키면 원단권취봉이 정역회전구동되어, 하단중량봉(Bottom Weight Bar) (1400)의 홈(Groove)에 그 하단부가 삽입고정되고, 원단권취봉의 홈(1321)에 셀로판띠(Cellophane Band)(1360)를 최상부투명부상단(111)의 전면에 부착한 직물제 롤블라인드 및 기능로만쉐이드 원단의 최상부투명부상단(111)을 뒤집어 꺾고, 그 꺾인 원단의 최상부투명부상단배면에 원단의 가로폭에 따라 정해진 개수만큼 정해진 간격으로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최상단(1700T)의 전면을 부착하여 삽입하고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원단권취봉의 홈에서 원단과 반대방향으로 꺾어 원단과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가 원단권취봉의 양외면으로 밀착되어 수직으로 내려오게 한 후, 원단의 수직하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원단의 최하부 투명부하단(219)을 하단중량봉에 삽입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Roman Shade Blind}
본 발명은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생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모든 루버가 동시에 개폐되거나 또는 상층부는 열리고 하층부는 닫히게 하는 등의 이중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망과 광량의 조절 및 장식재로서의 창장식가리개는 사무실, 연구실, 공장, 호텔, 레스토랑, 가정 및 기타 건물의 창 등에서 태양광 조절, 방서, 방한, 방음 및 사생활 보호 등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종래의 커튼(Curtain), 세로형의 수직블라인드(Vertical Blind), 가로형의 수평블라인드(Horizontal Blind 또는 Venetian Blind) 및 일반폭의 원단을 롤로 감아 올리거나 내리는 롤블라인드(Roll Blind), 원단을 접어 올리거나 내리는 종래의 로만쉐이드(Roman Shade) 및 투명한 커튼지인 망사(Sheer)와 종래의 수직블라인드, 수평블라인드, 로만쉐이드를 직물형태로 결합하여 포근함을 확보하면서 블라인드의 기능성을 갖춘 여러 형태의 각종 기능성쉐이드가 사용되고 있으나 각기 장단점을 가지 고 있다. 즉, 커튼의 경우 직물이 보유한 포근한 분위기의 장점을 가지고는 있으나 기능성, 경제성, 현대인테리어와의 조화성 등에서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의 수직블라인드는 직선형태 뿐만 아니라 타종의 블라인드나 쉐이드가 구현하기 어려운 라운드형(Rounded Type)이나 아취형(Arched Type)의 형태로도 작동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각 수직루버(Vertical Louvers)의 회전에 의한 각도변화로 수직상태로 좌우간의 개폐기능은 있으나 수평상태로의 상하간의 개폐기능이 없고, 통상의 수평블라인드는 각 수평슬래트(Horizontal Slats)의 회전에 의한 각도변화로 수평상태로 상하간의 개폐기능은 있으나 모든 슬래트가 동시에 동일하게 개폐되어, 상층부는 열리고 동시에 하층부는 닫히게 하는 등의 상하층간의 이중개폐기능이 없고, 종래의 로만쉐이드는 장식성은 있으나 기능성이 부족하며, 최근 개발된 여러 형태의 기능성쉐이드도 포근함이나 일반적 기능성을 겸비하고는 있으나 조망 및 광량조절 등의 기능에서 역시 베인(Vane) 또는 루버(Louver) 전체가 동시에만 작동되어 역시 상하층간의 이중개폐기능이 결여되어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3,384,519호가 있으나 버티칼블라인드의 기능으로 작동되어 좌우 조망 및 광량조절기능은 있으나 상하층부의 이중조망 및 광량조절 능력 즉, 예를 들어 상층부는 열리고 하층부는 닫히는 부분개폐기능이 없으므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의 서류작성, 독서, 컴퓨터 작업시의 눈부심 방지 기능이나 사생활보호기능이 부족함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53041의 경우 망사부분을 형성하는 커튼지와 블라인드막을 형성하는 원단을 양면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하여 온도와 습기에 약해 안정성이 떨어지고 세탁이 불가하며, 망사부분원단과 블라인드막을 형성하는 원단을 각각 다르게 절단하여 부착하게 되므로 공정이 너무 복잡하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이 또한 모든 루버가 동시에 개폐되어 상층부는 열리고 하층부는 닫히게 하는 등의 이중개폐기능이 없음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롤블라인드 및 기능로만쉐이드 원단을 상층부와 하층부의 경계를 원하는 위치에 정한 후 상층부수평루버군과 하층부수평루버군에 속한 모든 수평루버들이 상하층부 구분 없이 동시에 동일하게 개폐되게 하거나, 상층부수평루버군과 하층부수평루버군이 다르게 개폐되게 하는 것으로 조망과 광량조절의 방법과 위치를 다양하게 운용하면서 볼륨감 등 장식미가 뛰어난 다기능로만쉐이드를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세탁가능하도록 한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를 제공함함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에 있어서, 헤드레일(Headrail)(1300)의 원단권취용 원단권취봉(Roll Shaft)(1320)과 원단권취봉을 정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달장치인 기어콘트롤유니트(Gear Control Unit)(1340)와 기어콘트롤유니트에 장착된 승하강구동줄(Control Cord)(1350)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승하강구동줄을 정역회전시키면 원단권취봉이 정역회전구동되어, 하단중량봉(Bottom Weight Bar) (1400)의 홈(Groove)에 그 하단부가 삽입고정되고, 원단권취봉의 홈(1321)에 셀로판띠(Cellophane Band)(1360)를 최상부망사부상단(111)의 전면에 부착한 직물제 롤블라인드 및 기능로만쉐이드 원단의 최상부망사부상단(111)을 뒤집어 꺾고, 그 꺾인 원단의 최상부투명부 상단 배면에 원단의 가로폭에 따라 정해진 개수만큼 정해진 간격으로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최상단(1700T)의 전면을 부착하여 삽입하고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원단권취봉의 홈에서 원단과 반대방향으로 꺾어 원단과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가 원단권취봉의 양외면으로 밀착되어 수직으로 내려오게 한 후, 원단의 수직하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원단의 최하부 투명부하단(219)을 하단중량봉에 삽입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에 따르면, 종래의 수직블라인드, 수평블라인드, 롤블라인드, 로만쉐이드, 커튼 및 최근에 개발된 각종 기능성쉐이드에서도 구현할 수 없는 상층부와 하층부의 이중작동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상층부는 루버가 열리게 하고 하층부는 닫히게 하여 사무실, 사업장, 가정 등의 실내에서 하층부 외부시선과 광량의 차단 및 상층부 조망이나 광량의 확보를 통하여 사무, 작업, 학습의 능률향상과 사생활보호 등에 유용한 기능을 갖췄으며, 동일한 원단을 바느질봉제, 융착 또는 융착 후 바느질봉제 처리하여 가공된 롤블라인드 및 기능로만쉐이드 원단을 사용함으로써 생산성과 안정성이 제고되었고 세탁이 가능하며, 원단이 권취되어 원단과 하단중량봉이 승강할 때 모든 루버의 형태가 볼륨감 있게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배면은 평평한 망사로 되어 있어 인테리어(Interior) 효과 뿐만 아니라 익스테리어(Exterior)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원단이 부분별로 3중 또는 5중 겹으로 되어 있어 단열 및 차음 효과가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부루버의 후부에 위치한 로만쉐이드에 형성된 투명부(망사부)의 최하단(219)이 하단중량봉에 삽입고정된 롤블라인드 및 기능로만쉐이드 원단의 최상부투명부(망사부)의 최상단(111)의 전면을 원단권취봉의 홈(1321)에 삽입가능한 폭으로 가공한 셀로판띠(Cellophane Band)(1360)를 부착하고, 다시 셀로판띠를 부착한 부분의 원단을 뒤집어 원단가로폭에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안치되는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전면상단부(1700T)를 부착한 후 원단상부를 헤드레일내 원단권취봉의 홈에 삽입하고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원단권취봉의 홈에서 원단과 반대방향으로 꺾어 원단과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가 권취봉의 양외면으로 밀착되어 수직으로 마주보며 내려오게 한다. 이후, 헤드레일의 커버역할을 하는 하우징(Housing)(1310)과 하우징과 원단권취봉의양단과 결합되는 앤드캡(End Cap)(1330)과 승하강구동줄이 안치된 기어콘트롤유니트를 결합하여 검수대에 거취한 후, 원단권취봉의 홈에서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와 밀착된 원단권취봉의 외면에 홈으로부터 180되는 지점(1370)까지 접착제를 사용하여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부착하고, 모든 수평루버의 하단부에 로만쉐이드직선봉을 삽입한 후, 최상단수평루버로부터 수직으로 내려진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배면고리와 수평루버하단부가 마주보는 위치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과 실을 사용하여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한 로만 쉐이드의 제조는 위사의 밀도를 조절하여 투명부(망사부)(110)와 불투명부(120)를 일정한 길이비율로 반복제직하는 단계와, 원단 코팅(Coating) 또는 열처리하는 단계와, 불투명부 상단과 하단이 서로 일치되게 겹친 후 봉제, 융착 또는 융착 후 봉제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봉제, 융착 또는 융착 후 봉제까지의 과정은 상기와 같이 투명부(망사부)(110)와 불투명부(120)가 일정 길이비율로 반복 제직되어 코팅 또는 열처리된 기초원단의 불투명부의 중간지점을 접어 불투명부의 상단과 하단이 일치되게 겹친 후, 즉, 도 1의 Aa와 A'a', Bb와 B'b', Cc와 C'c'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A'aa', BB'bb', CC'cc'와 같이 동일하게 겹친 후, 봉제, 융착 또는 융착 후 봉제하게 되며 이 과정을 반복적으로 하여 정면의 볼륨감 있는 수평루버(Horizontal Louver)와 후면의 망사가 상하로 형성된 롤블라인드 및 기능로만쉐이드 원단(200)을 완성한다.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는, 도 5에 도해되어 있듯이 배면에 실(Thread)(1800)이나 로만쉐이드직선봉(1600)이 좌우로 통과되도록 위사로 형성된 배면고리(1721A)가 투명부(망사부)의 길이 y와 동일한 간격으로 상하로 유격하여 반복적으로 제직된 좌우통과배면고리형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1700A)의 형태가 배면도인 도 3에 도해되어 있듯이 상하로 반복적으로 형성된 기초원단의 경사를 폴리에스터사로 하고 위사를 LM사 또는 금속사와 LM사를 함께 제직하여 코팅 또는 열처리한 후 절단하여 도 5에 도해되어 있는 좌우통과배면고리형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1700A)를 만든다.
도 5에 도해되어 있듯이 배면에 실(Thread)(1800)이 상하로 통과되도록 경사로 형성된 배면고리(1721B)가 투명부(망사부)의 길이 y와 동일한 간격으로 상하로 유격하여 반복적으로 제직된 상하통과배면고리형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1700B) 배면도인 도 4에 도해되어 있듯이 좌우로 형성된 기초원단을 경사를 폴리에스터사로 하고 위사를 LM사 또는 금속사와 LM사를 함께 제직하여 코팅 또는 열처리한 후 절단하여 도 5에 도해되어 있는 상하통과배면고리형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1700B)를 만든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의 조립은 최하부루버의 후부에 위치한 투명부(망사부)의 최하단(219)이 하단중량봉에 삽입고정된 롤블라인드 및 기능로만쉐이드 원단의 최상부투명부(망사부)의 최상단(111)의 전면을 원단권취봉의 홈(1321)에 삽입가능한 폭으로 가공한 셀로판띠(Cellophane Band)(1360)를 부착하고, 다시 셀로판띠를 부착한 부분의 원단을 뒤집어 원단가로폭에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안치되는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전면상단부(1700T)를 부착한 후 원단상부를 헤드레일내 원단권취봉의 홈에 삽입하고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원단권취봉의 홈에서 원단과 반대방향으로 꺾어 원단과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가 권취봉의 양외면으로 밀착되어 수직으로 마주보며 내려오게 한다. 이후, 헤드레일의 커버역할을 하는 하우징(Housing)(1310)과 하우징과 원단권취봉의양단과 결합되는 앤드캡(End Cap)(1330)과 승하강구동줄이 안치된 기어콘트롤유니트를 결합하여 검수대에 거취한 후, 원단권취봉의 홈에서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와 밀착된 원단권취봉의 외면에 홈으로부터 180되는 지점(1370)까지 접착제를 사용하여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부착하고, 모든 수평루버의 하단부에 로만쉐이드직선봉을 삽입한 후, 최상단수평루버로부터 수직으로 내려진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배면고리와 수평루버하단부가 마주보는 위치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과 실을 사용하여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의 또다른 조립으로서는 롤블라인드 및 기능로만쉐이드 원단의 각 수평루버하단부를 원단의 가로폭에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미리 절개공(220-C)을 만든 후에 상기 롤블라인드 및 기능로만쉐이드 원단을 상기 방법과 같이 하단중량봉에 삽입하고 셀로판띠와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부착하고 권취봉 홈에 삽입고정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수평루버로부터 하층수평루버의 순으로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배면에 위치한 해당 고리에 해당 수평루버하단부의 절개공에서 로만쉐이드직선봉을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 때, 상층부의 수평루버군(200-1)과 하층부의 수평루버군(200-2)을 다르게 작동하도록 조립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2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해되어 있듯이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상층부수평루버군용과 하층부수평루버군용으로 분리하여 하층부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1700B)의 상부전면과 겹치는 상층부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1700A)의 배면에 벨크로 수(1512)나 고리(1522)를, 상층부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배면과 겹치는 하층부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상부 전면에 벨크로 암(1511)이나 고리걸이(1521) 등의 탈부착장치를 장착한 후 상층부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는 상기와 같은 방법과 순서로, 하층부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는 상층부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와 겹쳐지는 상부부터 동일한 방법과 순서로 조립하여 완성한다.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상층부수평루버군용과 하층부수평루버군용으로 분리하지 않고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길이를 총수평루버 개수에 1개 추가한 해당 길이를 절단하고, 상층부로부터 상기와 동일 방법과 순서로 결합하되, 상층부수평루버군의 최하부수평루버의 하단과 하층부수평루버군의 최상부수평루버의 하단과의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 배면고리와의 연결시 상층부수평루버군의 최하부수평루버하단과의 결합 후 차하부배면고리를 건너 띄우고 차차하부배면고리를 결합한 후 나머지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과 순서로 조립하여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완성품은 종류별로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로만쉐이드가 헤드레일내 원단권취봉에 최대한 권취된 상태에서 승하강구동줄을 역회전시키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권취봉이 역회전되어 다기능로만쉐이드의 수평루버들이 닫혀진 상태로 하강하게 되며, 수평루버들이 닫혀진 상태로 최대한 하강할 때까지 조망 및 광량유입범위가 상부로부터 하부로 점점 줄어들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계속 역회전시키면 역회전의 정도에 따라 해당 수평루버의 하단부가 동일한 수준으로 승강하게 되고, 이 때 해당 수평루버의 후부에 위치한 투명부인 망사가 같은 수준으로 보이면서 조망 및 광량이 확대되고, 이 상태에서 반대로 정회전시키면 그 정도에 따라 수평루버들이 닫혀지며 조망 및 광량이 축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와 수평루버하단부를 연결하면 그 연결방법에 따라 다음 3가지로 작동되어 상세히 설명하면 첫째,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부수평루버군승하강테이프(1700A)와 하층부수평루버군승하강테이프(1700B)가 탈부착장치(1500)에 의해 부착되고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배면에 위치한 모든 해당 고리와 모든 수평루버의 해당 하단부가 순서대로 연결된 경우, 도 8b에 도해된 바와 같이 승하강구동줄을 역회전시켜 모든 수평루버들이 닫혀진 상태로 최대한 내려온 이후 계속하여 역회전시키면 역회전의 정도에 따라 모든 수평루버의 하단부가 동일한 수준으로 승강하게 되며 이 때 모든 수평루버의 후부에 위치한 투명부인 망사가 같은 수준으로 보이면서 조망 및 광량이 확대되며, 반대로 정회전시키면 그 정도에 따라 조망 및 광량이 축소하게 된다. 정회전시 수평루버하단부가 최대한 하강한 이후에도 계속 정회전시키면 모든 수평루버들이 닫힌 상태로 원단권취봉에 다기능로만쉐이드Ⅰ의 원단이 권취되어 다기능로만쉐이드Ⅰ의 원단과 하단중량봉이 승강하면서 조망 및 광량유입 범위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점점 늘어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1700)의 연결 및 조립방법이 상기와 동일 한 경우, 상층부수평루버군승하강테이프와 하층부수평루버군승하강테이프가 탈부착장치로 부착된 상태로 승하강구동줄을 역회전시켜 모든 수평루버들이 닫혀진 상태로 최대한 내려온 이후 계속하여 승하강구동줄을 역회전시키면 역회전의 정도에 따라 모든 수평루버의 하단부가 동일한 수준으로 승강하게 되며, 이 때 모든 수평루버의 후부에 위치한 투명부인 망사가 같은 수준으로 보이면서 조망 및 광량이 확대되는 상태까지는 상기 방법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도 8a 및 도 8b에 도해되었듯이 상층부수평루버군용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하단부 배면과 하층부수평루버군용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상부 정면에 암수 쌍으로 안치된 벨크로 또는 고리장치 등을 서로 떼어내면 하층부수평루버군의 모든 수평루버의 하단부가 하강하며 닫히게 된다. 이후 계속하여 정회전시키면 우측정면사시도 8-A와 우측면도인 8-a에 도해되었듯이 상층부수평루버군의 모든 수평루버하단부가 하강하여 닫히게 되며 최대한 닫힌 이후 계속하여 정회전시키면 모든 수평루버들이 닫힌 상태로 원단권취봉에 권취되면서 다기능로만쉐이드Ⅰ의 원단과 하단중량봉이 승강하면서 조망 및 광량유입 범위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점점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분할하지 않고 상층부수평루버군의 최하부수평루버의 하단과 하층부수평루버군의 최상부수평루버의 하단과의 결합시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배면고리를 1개 건너 띄우고 조립한 경우, 승하강구동줄을 역회전시키면 도 9a 및 도 9b의 좌측에 도해되었듯이 권취된 다기능로만쉐이드Ⅱ의 원단의 모든 수평루버들이 닫혀진 상태로 하강하게 되며, 최대한 하강한 이후에도 계속하여 승하강구동줄을 역회전시키면 도 9a 및 도 9b의 우측에 도해되었듯이 하층부수평루버군의 모든 수평루버들은 계속 닫혀진 상태로 상층부수평루버군의 모든 수평루버하단부가 동일한 수준으로 승강하게 되며, 이 때 상층부수평루버군의 모든 수평루버의 후부에 위치한 투명부인 망사가 같은 수준으로 보이면서 조망 및 광량이 확대되며, 반대로 승하강구동줄을 정회전시키면 그 정도에 따라 조망, 광량이 축소하게 된다. 승하강구동줄의 정회전시 수평루버하단부가 최대한 하강한 이후에도 계속 정회전시키면 모든 수평루버들이 닫힌 상태로 원단권취봉에 권취되면서 다기능로만쉐이드Ⅱ의 원단과 하단중량봉이 승강하면서 조망 및 광량유입범위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점점 늘어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의 원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의 원단에 의해 제작된 다기능 로만쉐이드를 도시한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에서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좌우통과배면고리형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와 상하통과배면고리형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의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의 수평루버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의 헤드레일 부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의 헤드레일내 원단권취봉의 회전상태에 따른 수평루버의 형태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5)

  1.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에 있어서,
    헤드레일(Headrail)(1300)의 원단권취용 원단권취봉(Roll Shaft)(1320)과 원단권취봉을 정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달장치인 기어콘트롤유니트(Gear Control Unit)(1340)와 기어콘트롤유니트에 장착된 승하강구동줄(Control Cord)(1350)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승하강구동줄을 정역회전시키면 원단권취봉이 정역회전구동되어, 하단중량봉(Bottom Weight Bar)(1400)의 홈(Groove)에 그 하단부가 삽입고정되고, 원단권취봉의 홈(1321)에 셀로판띠(Cellophane Band)(1360)를 최상부망사부상단(111)의 전면에 부착한 직물제 롤블라인드 및 기능로만쉐이드 원단의 최상부망사부상단(111)을 뒤집어 꺾고, 그 꺾인 원단의 최상부망사부 상단 배면에 원단의 가로폭에 따라 정해진 개수만큼 정해진 간격으로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최상단(1700T)의 전면을 부착하여 삽입하고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원단권취봉의 홈에서 원단과 반대방향으로 꺾어 원단과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가 원단권취봉의 양외면으로 밀착되어 수직으로 내려오게 한 후, 원단의 수직하강을 수행하기 위해 원단의 최하부 망사부하단(219)을 하단중량봉에 삽입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는 최하부루버의 후부에 위치한 망사부의 최하단(219)이 하단중량봉에 삽입고정된 롤블라인드 및 기능로만쉐이드 원단의 최상부망사부의 최상단(111)의 전면을 원단권취봉의 홈(1321)에 삽입가능한 폭으로 가공한 셀로판띠(Cellophane Band)(1360)를 부착하고, 다시 셀로판띠를 부착한 부분의 원단을 뒤집어 원단가로폭에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안치되는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전면상단부(1700T)를 부착한 후 원단상부를 헤드레일내 원단권취봉의 홈에 삽입하고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원단권취봉의 홈에서 원단과 반대방향으로 꺾어 원단과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가 권취봉의 양외면으로 밀착되어 수직으로 마주보며 내려오게 한 후, 헤드레일의 커버역할을 하는 하우징(Housing)(1310)과 하우징과 원단권취봉의양단과 결합되는 앤드캡(End Cap)(1330)과 승하강구동줄이 안치된 기어콘트롤유니트를 결합하여 검수대에 거취하고, 원단권취봉의 홈에서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와 밀착된 원단권취봉의 외면에 홈으로부터 180되는 지점(1370)까지 접착제를 사용하여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부착하며, 모든 수평루버의 하단부에 로만쉐이드직선봉을 삽입한 후, 최상단수평루버로부터 수직으로 내려진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배면고리와 수평루버하단부가 마주보는 위치에서 바늘과 실을 사용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
  2.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에 있어서,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선택하여 기능로만쉐이드 원단과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헤드레일내 원단권취봉 및 하단중량봉과 조립한 후, 수평루버는 상층부수평루버군과 하층부수평루버군으로 구별하되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는 상층부수평루버군승하강테이프와 하층부수평루버군승하강테이프로 분리하여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동일한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를 사용하여 로만쉐이드직선봉을 삽입하는 수평루버의 하단을 상으로부터 하로의 순서대로 연결하되 상층부수평루버군의 최하부수평루버의 하단과 연결되는 배면고리(1720a)의 차하부배면고리(1720b)를 건너 띄우고 차차하부배면고리(1720c)를 하층부수평루버군의 최상부수평루버의 하단과 연결하고, 나머지 수평루버의 하단과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연결은 각기 해당되는 순서와 짝으로 연결하여 조립을 완성하며 승하강구동줄을 정회전시켜 롤블라인드 및 기능로만쉐이드 원단을 완전히 권취한 후, 승하강구동줄을 역회전시켜 원단권취봉을 역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다기능로만쉐이드II와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가 동일한 거리와 방향으로 하강하게 하고, 동시에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완전하강시까지 상층부수평루버군과 하층부수평루버군의 구분없이 모든 수평루버들이 동일하게 계속 차폐되며, 이 상태에서 더 역회전시키면 하층부수평루버군은 계속 차폐된 상태에서 상층부수평루버군에 연결된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가 승강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정회전시키면 역시 하층부수평루버군은 계속 차폐된 상태에서 상층부수평루버군에 연결된 수평루버테이프가 하강하게 되어 이 정역회전의 정도에 따라 상층부수평루버군의 개폐정도가 조절되며, 상층부수평루버군에 연결된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가 최대한 하강한 상태에서 계속 정회전시키면 상층부수평루버군과 하층부수평루버군의 구분 없이 동일하게 계속 닫혀진 상태로 원단권취봉에 권취되면서 다기능로만쉐이드II의 원단과 하단중량봉이 승강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는, 배면에 실(Thread)(1800)이나 로만쉐이드직선봉(1600)이 좌우로 통과되도록 위사로 형성된 배면고리(1721A)가 망사부의 길이 y와 동일한 간격으로 상하로 유격하여 반복적으로 제직된 좌우통과배면고리형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1700A)와, 배면에 실(Thread)(1800)이 상하로 통과되도록 경사로 형성된 배면고리(1721B)가 망사부의 길이 y와 동일한 간격으로 상하로 유격하여 반복적으로 제직된 상하통과배면고리형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170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의 좌우통과배면고리형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1700A) 배면 일단에 벨크로 수(1512)나 고리(1522)를 형성하고, 상하통과배면고리형 수평루버승하강테이프(1700B)의 전면 일단에는 상기 벨크로 수(1512)나 고리(1522)에 탈부착가능한 벨크로 암(1511)이나 고리걸이(1521)가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
KR1020090066715A 2009-07-22 2009-07-22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 KR101620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715A KR101620608B1 (ko) 2009-07-22 2009-07-22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715A KR101620608B1 (ko) 2009-07-22 2009-07-22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54A KR20110009354A (ko) 2011-01-28
KR101620608B1 true KR101620608B1 (ko) 2016-05-12

Family

ID=4361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715A KR101620608B1 (ko) 2009-07-22 2009-07-22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6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0462A (ja) * 1998-10-09 2000-04-18 Seiki Juko Kk スクリーン装置
JP3135357B2 (ja) * 1992-05-08 2001-02-13 富士通株式会社 遅延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100853041B1 (ko) * 2006-10-19 2008-08-19 박재우 블라인드 커튼 기능을 가지는 롤 커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357B2 (ja) * 1992-05-08 2001-02-13 富士通株式会社 遅延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2000110462A (ja) * 1998-10-09 2000-04-18 Seiki Juko Kk スクリーン装置
KR100853041B1 (ko) * 2006-10-19 2008-08-19 박재우 블라인드 커튼 기능을 가지는 롤 커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54A (ko) 201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2845B2 (en) Roman shade type blind fabric and blind using the same
US6354353B1 (en) Door and window coverings employing longitudinally rigid vanes
KR100876183B1 (ko) 커튼지원단 및 그의 창문차단장치
KR20090118008A (ko) 제직물로 만들어진 블라인드지 및 그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블라인드지를 적용한 블라인드
KR100913057B1 (ko) 차광부와 투과부가 반복된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및 베니션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JP2010509523A (ja) 製織で結合された織物ブラインド
US20110120661A1 (en) Integrated weaving type three-dimensional curtain sheet fabric having band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S2949856T3 (es) Tela de bloqueo de la luz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la misma
US20120103538A1 (en) Window Treatment Assemblies
MX2011005237A (es) Cortina de enrollar con listones.
US8684063B2 (en) Window covering having cord shrouds
EP0549216A1 (en) Covering assembly for architectural openings
JP2006283554A (ja) 折り畳み遮光要素を有するウィンドウカバー
JPH06173549A (ja) 二重ロールスクリーン
KR101204167B1 (ko) 제직과 봉제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US20230151685A1 (en) Roman shade curtain having viewing part
KR101620607B1 (ko) 우드 블라인드
KR101620608B1 (ko) 로만 쉐이드 블라인드
KR20120104131A (ko) 개폐종방실 작동이 가능한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CA2470330C (en) Fabric blind slat for window blind
KR20110126529A (ko) 후방 바탕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및 그의 롤블라인드
KR100988592B1 (ko) 전후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388086B1 (ko) 기능성 차양부 양면지를 갖는 입체 커튼지
KR101221573B1 (ko) 망사 블라인드
KR101716889B1 (ko) 우드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