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576B1 -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 - Google Patents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576B1
KR101716576B1 KR1020150110043A KR20150110043A KR101716576B1 KR 101716576 B1 KR101716576 B1 KR 101716576B1 KR 1020150110043 A KR1020150110043 A KR 1020150110043A KR 20150110043 A KR20150110043 A KR 20150110043A KR 101716576 B1 KR101716576 B1 KR 101716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fatty acid
acid
nanocomposite
alph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664A (ko
Inventor
임승택
서태랑
이이선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0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576B1/ko
Publication of KR20170016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K47/4823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8Docosahex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Eicosapent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2Linoleic 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에 잘 녹지 않는 비수용성 지방산을 전분을 이용하여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물에 분산되는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물 또는 유기용매 이외에 별도의 물질이나 특수한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조작방법이 간편하고, 또한 초음파 처리를 통해 입자 크기를 감소시켜 용액의 분산 안정성과 저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나 유화제의 첨가 없이 제조가 가능한바, 체내에 독성을 일으키지 않으며 지방산의 체내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는 극성용매 또는 수용액에 안정적으로 분산되므로 의약, 화장료 뜨는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Method for manufacturing fatty acid-starch nano complex and fatty acid-starch nanocomplex prepa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에 잘 녹지 않는 비수용성 지방산을 전분을 이용하여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물에 분산되는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지방산은 체내 합성 또는 다양한 식물성 및 동물성 식용유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생체 내 세포막의 구성성분으로, 항산화 효과, 세포 재생, 콜레스테롤 감소, 암세포 억제 등을 비롯한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는바, 식품, 의약품, 기능성 음료, 화장품 조성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지방산들을 살펴보면, 먼저 알파리포산(alpha lipoic acid)은 체내에서 낮은 농도의 천연 생성물로 생산되는 지방산 중 하나로, 인체의 면역 기능을 높여주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경구 투여시 혈당 조절능력이 우수하고 항산화 작용이 매우 강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또한, 오메가 3 지방산, 예를 들면 알파 리놀레산, 도코사헥사엔산(DHA), 에이코사펜타에노산(EPA) 등은 세포생성, 재생에 필수적이며, 혈압, 혈액응고, 콜레스테롤 저하 등 심혈관계 건강에 관계되며, 관절, 류마티스, 뇌, 신경기능 발달 및 조절, 피부, 머리카락의 건강, 시력, 눈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메가 6 지방산, 예를 들면 리놀산, 아라키돈산, 감마-리놀레산(GLA) 등은 동맥경화, 심장병, 생리전증후군, 고콜레스테롤, 고혈압을 방지하고 통증과 염증을 완화시키며, 에스트로겐과 테스토스테론 등 성호르몬의 분비를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은 지방산인 리놀레산의 화학구조가 변경되어 형성된 지방산의 일종으로 항암활성, 항산화작용, 항동맥경화 활성, 항균 작용 등이 알려져 있고, 여러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CLA는 체내의 지방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체지방세포가 지방을 흡수하지 못하도록 하며, 지방세포의 분해와 대사율을 높여 인체 내 지방세포의 세포사멸을 증가시켜 지방세포를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지방산들은 신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빛, 열, 산소 등에 매우 불안정한 동시에 물이나 일반적인 용매에 잘 녹지 않아 그 사용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나 유화제를 이용하여 용액 상에서 에멀젼이나 캡슐화하는 방법으로 안정화시켜 사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특허문헌 1, 2), 이러한 방법들은 마이셀이 응집되거나 용액에서 기능성 물질의 확산에 의해 자체 분해되는 현상으로 인해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충분히 안정화시키지 못해 실제 산업에 적용함에는 한계가 있을뿐 아니라,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의 사용으로 인해 식품 또는 기능성 음료의 원료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비수용성 물질인 지방산에 계면활성제나 유화제의 첨가 없이 저렴한 가격에 얻을 수 있고, 체내에 독성을 일으키지 않으며 체내 흡수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67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014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비수용성이면서 불안정한 물질인 지방산의 체내 흡수율 및 저장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전분을 사용하고, 지방산과 전분의 반응을 유도하여 수용액상에서 안정하게 분산되는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 전분을 염기에 녹인 후 물로 희석하고 산을 첨가하여 전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지방산을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후 상기 전분 용액과 혼합하여 지방산과 전분의 혼합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얻은 지방산과 전분의 혼합물을 가열 및 교반하여 반응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지방산-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얻은 지방산-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지방산-전분나노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물 또는 유기용매 이외에 별도의 물질이나 특수한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조작방법이 간편하고, 또한 초음파 처리를 통해 입자 크기를 감소시켜 용액의 분산 안정성과 저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나 유화제의 첨가 없이 제조가 가능한바, 체내에 독성을 일으키지 않으며 지방산의 체내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는 극성용매 또는 수용액에 안정적으로 분산되므로 의약, 화장료 뜨는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pH와 반응온도의 변화에 따른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 내 알파리포산의 수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반응온도 50 ℃에서 반응 시간의 변화에 따른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 내 알파리포산의 분포와 수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반응온도 70 ℃에서 반응 시간의 변화에 따른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 내 알파리포산의 분포와 수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반응온도 90 ℃에서 반응 시간의 변화에 따른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 내 알파리포산의 분포와 수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알파리포산-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초음파 처리한 후의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알파리포산-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초음파 처리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평균 입자 크기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알파리포산-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초음파 처리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알파리포산-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초음파 처리하기 전과 후의 알파리포산 수율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의 반응온도에 따른 X-선 회절 패턴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의 반응온도에 따른 시차주사열량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옥테닐호박산 치환 전분 또는 덱스트린을 사용하여 제조한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의 X-선 회절 패턴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옥테닐호박산 치환 전분 또는 덱스트린을 사용하여 제조한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시차주사열량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액리놀레산(CLA)의 함량에 따른 CLA-전분 나노복합체 내 CLA와 전분의 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분의 함량에 따른 CLA-전분 나노복합체 내 CLA와 전분의 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반응온도의 변화에 따른 CLA-전분 나노복합체 내 CLA와 전분의 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pH의 변화에 따른 CLA-전분 나노복합체 내 CLA와 전분의 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반응시간의 변화에 따른 CLA-전분 나노복합체 내 CLA와 전분의 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CLA-전분 나노복합체의 사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CLA-전분 복합체 분산액의 초음파 처리시간에 따른 평균입자 크기 및 제타포텐셜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CLA-전분 복합체 분산액의 초음파 처리시간에 따른 CLA 수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CLA-전분 나노복합체의 반응온도에 따른 X-선 회절 패턴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CLA-전분 나노복합체의 반응시간에 따른 X-선 회절 패턴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CLA-전분 나노복합체의 반응 pH에 따른 X-선 회절 패턴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CLA-전분 나노복합체의 반응온도에 따른 시차주사열량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CLA-전분 나노복합체의 반응시간에 따른 시차주사열량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CLA-전분 나노복합체의 반응 pH에 따른 시차주사열량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반응온도의 변화에 따른 감마리놀레산(GLA)-전분 나노복합체 내 GLA와 전분의 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pH의 변화에 따른 GLA-전분 나노복합체 내 GLA와 전분의 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반응시간의 변화에 따른 GLA-전분 나노복합체 내 GLA와 전분의 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GLA-전분 나노복합체의 반응온도에 따른 X-선 회절 패턴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GLA-전분 나노복합체의 반응온도에 따른 시차주사열량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DHA-전분 나노복합체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전분을 염기에 녹인 후 물로 희석하고 산을 첨가하여 전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지방산을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후 상기 전분 용액과 혼합하여 지방산과 전분의 혼합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얻은 지방산과 전분의 혼합물을 가열 및 교반하여 반응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지방산-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얻은 지방산-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이하, 상기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용매에 전분을 용해시켜 전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용해 방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전분을 염기에 녹인 후 물로 희석하고, 산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산의 첨가를 통해 전분 용액의 pH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하기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 내 지방산 또는 전분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pH는 3 내지 8의 범위에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는 예를 들어 NaOH 또는 KOH일 수 있으며, 상기 산은 HC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분과 물의 비율은 0.005-0.05:1의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전분과 물의 비율이 0.005:1 미만인 경우 지방산과 전분의 반응성이 떨어져 반응 종료 후, 지방산이 기벽에 붙거나 표면에 뜨는 뭉침 현상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전분과 물의 비율이 0.05:1을 초과하는 경우 전분 분자들의 침전이나 부분적으로 결정성을 나타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산은 생체 내에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알파리포산, 공액리놀레산, 감마리놀레산, 도코사헥사엔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a)에서 사용가능한 전분은 일반 옥수수 전분, 찰옥수수 전분, 고아밀로오스 옥수수 전분, 쌀 전분, 찹쌀 전분, 고아밀로오스 쌀 전분,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타피오카 전분, 수수 전분, 밀 전분, 사고(sago) 전분, 밤 전분, 콩 전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천연전분; 상기 천연전분의 유도체; 상기 천연전분에서 추출된 아밀로오스; 덱스트린; 및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인산 전분, 산화 전분, 호화 전분, 옥테닐호박산 치환 전분 및 초산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변성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덱스트린은 산, 열, 효소 등으로 가수분해시킬 때, 전분에서 말토오스에 이르는 중간단계에서 생기는 여러가지 가수분해 산물로, 글루코오스 단위체의 중합체의 혼합물을 말한다. 상기 덱스트린은 전분을 가수분해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는 산, 열 또는 효소에 의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에 사용되는 산은 염산, 황산, 질산 또는 초산일 수 있으며, 상기 효소는 전분 가수분해 능력이 있는 효소면 어떤 효소이든 가능하며, 예를 들어 알파아밀라아제, 베타아밀라아제, 글루코아밀라아제, 아밀로글루코시다아제, 이소아밀라아제, 플루라나아제 및 알파클루코시다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효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덱스트린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의 아밀로오스 함량을 가진 고아밀로오스 전분을 알코올에 분산시켜 염산으로 가수분해한 것 일수 있다.
본 발명의 덱스트린은 다양한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평균 중합도(DPn, number-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가 20 내지 1000인 덱스트린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균 중합도가 40 내지 300인 덱스트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성전분은 다양한 치환도(DS, degree of substitution)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변성전분은 치환도가 0.005 내지 0.05인 옥테닐호박산 치환 전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b)는 지방산을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후 상기 전분 용액과 혼합하여 지방산과 전분의 혼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유기용매는 지방산을 용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다이클로로메탄, 프로판올 및 아이소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산과 전분의 혼합 비율은 0.05-0.5:1의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산과 전분의 중량비가 0.05:1 미만인 경우 지방산의 함량이 작아 체내에서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데 어려운 문제점 및 저장기간에 따라 침전하는 전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0.5:1을 초과하는 경우 지방산의 포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c)는 상기 단계 (b)에서 얻은 지방산과 전분의 혼합물을 가열 및 교반하여 반응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지방산-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단계 (c)는 지방산의 산화 및 중합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질소가 충진된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c)의 지방산과 전분 혼합물의 반응온도는 30-100 ℃, 반응시간은 0.5-48 시간, 냉각시간은 1-12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술한 전분 용액의 pH와 더불어, 지방산과 전분 혼합물의 반응온도, 반응시간은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서, 상기 혼합물의 반응이 30 ℃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 지방산이 전분 용액에 떠 있는 형태가 되거나, 설사 이를 강하게 교반하더라도 전분 용액 안에 지방산이 잘게 나누어져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안정한 형태가 되기 어려우며, 상기 혼합물의 반응이 100 ℃를 초과하는 경우 지방산의 변형이 야기될 수 있고, 색이 변하고 이취가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응시간이 0.5 시간 미만인 경우 지방산과 전분의 분산액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여 분산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하기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지방산의 수율이 감소될 수 있는바, 반응시간은 0.5-48 시간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수행 후 1-12 시간 동안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과정은 가열하여 반응시킨 지방산과 전분 용액이 충분히 상온까지 냉각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이에 따라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형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d)는 상기 단계 (c)에서 얻은 지방산-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이다.
하기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 처리를 통해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초음파 처리 강도 10-90% 진폭이고, 처리시간은 0.5-10분의 범위 내에서 초음파 에너지 및 시간을 함께 조절함으로써 입자 크기가 작은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처리 강도 및 초음파 처리 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뭉치거나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분산 안정성 및 저장 안정성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지방산-전분 복합체 내 지방산의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방산-전분 나노 복합체의 입자 직경은 100-1000 nm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 등을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알파리포산 -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
실시예 1-1.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사용
(1) 고아밀로오스 전분 용액의 제조
고아밀로오스 전분 600 mg을 3 mL의 1.0M NaOH 용액을 이용하여 녹이고, 54 mL 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희석한 후, 1.0M의 HCl 용액을 첨가하여 pH 7.0으로 중화된 고아밀로오스 전분 용액을 제조하였다.
(2) 알파리포산과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혼합물 제조
알파리포산의 산화 및 중합화를 방지하기 위해 질소 충진을 하고 121 ℃에서 20분간 상압 가열 후, 0.3 mL의 무수 에탄올에 미리 용해시켜 둔 알파리포산 60 mg을 첨가하여 알파리포산과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3)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
상기 (2)에서 제조한 알파리포산과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혼합물을 70 ℃에서 3시간 동안 강하게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뒤, 1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천천히 냉각시켜 알파리포산-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얻었다. 이후, 80%의 진폭으로 3분 동안 초음파 기기(750 W/cm2, VCX 750, Sonics & Materials Inc., Newtown, CT)를 사용하여 초음파 처리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25,000g의 중력 가속도 조건에서 30분간 4 ℃에서 원심분리 한 후, 침전물로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를 회수하였다.
실시예 1-2. 덱스트린 사용
고아밀로오스 옥수수전분 25 g을 100% 에탄올 100 mL에 분산한 후 36% HCl 1mL을 가하여 잘 교반하였다. 혼합된 현탁액을 20 ℃에서 72시간 반응시킨 후 모든 산과 가수분해 된 당이 제거될 때까지 70%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그 후 아세톤으로 1회 세척하고, 40 ℃에서 12시간 건조 후 분쇄하여 덱스트린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옥테닐호박산 (OSA) 치환 전분 사용
고아밀로오스 옥수수전분 25 g을 증류수 71.5 mL에 분산한 후 잘 교반하였다. 혼합된 현탁액은 3%의 NaOH 용액을 첨가하여 pH 8.0으로 맞추었다. 정량된 옥테닐호박산을 건조 전분 대비 1.5, 3.0, 6.0, 또는 10.0% 첨가하여 2시간동안 반응을 유도하였다. 반응은 총 3시간 동안 35 ℃에서 수행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현탁액의 pH는 6.5로 조절하였고, 남아있는 NaCl과 옥테닐호박산을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와 에탄올로 각각 2회씩 세척한 후 40 ℃에서 24시간 건조 후 분쇄하여 옥테닐호박산 치환 전분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반응 pH와 온도가 알파리포산 -전분 복합체 내 알파리포산 수율에 미치는 영향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 제조에 있어서, 반응 pH와 온도가 수용액상에서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알파리포산의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의 (1)에서 전분 용액을 pH 7로 중화시키는 대신에 pH 3, pH 5 또는 pH 9로 조절하고, (3)에서 알파리포산과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혼합물을 70 ℃에서 반응시키는 대신에 50 ℃, 60 ℃, 80 ℃ 또는 90 ℃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알파리포산-전분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 내의 리포산의 정량은 GC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 30m×0.32mm×0.25㎛)을 사용하였으며, Detector는 FID를 사용하여 280 ℃에서 분석하였고, Inlet의 온도는 280 ℃, 컬럼 온도는 140 ℃에서 250 ℃까지 분당 5.0 ℃ 상승시키는 조건 하에서 3회 반복하여 측정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응 pH가 3에서 9로 증가함에 따라 수율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pH 5.0에서 반응온도 50 ℃일 때 최대 수율 (약 45%)을 얻을 수 있었으며, 반응온도가 70 ℃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중성을 지나 염기성 pH가 될수록 다소 수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응온도의 경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알파리포산의 수율이 점차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반응시간이 알파리포산 -전분 나노복합체 내 알파리포산 수율에 미치는 영향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알파리포산-전분 복합체 제조에 있어서, 반응 시간이 수용액상에서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알파리포산의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의 (3)에서 알파리포산과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혼합물을 50, 70, 90 ℃에서 각각 반응시켰으며, 이때 반응시간을 3, 6, 12 시간으로 하여 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를 얻었다. 이때,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과 침전물에 각각 얼마만큼의 알파리포산이 존재하는지 알아보았으며, 알파리포산의 정량은 GC를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3회 반복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응 온도에 관계없이 반응시간이 3 시간에서 12 시간으로 증가할수록 알파리포산의 총 회수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원심분리 후 상등액 보다는 침전물에 알파리포산이 다수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알파리포산과 전분의 혼합물의 반응은 짧은 시간 내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5-6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옥테닐호박산 치환 전분과 덱스트린의 평균 중합도에 따른 알파리포산 -전분 나노복합체 내 알파리포산의 수율 측정
본 발명에 따른 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 제조에 있어서, OSA 치환 전분 및 덱스트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덱스트린의 평균 중합도는 각각 297±13.1(실시예 1-2-1), 98±5.7(실시예1-2-2), 49±4.8(실시예 1-2-3)이었으며, OSA 치환 전분의 치환도는 각각 0.0098(실시예 1-3-1), 0.0163(실시예 1-3-2), 0.0315(실시예 1-3-3)이었다. 상술한 각각의 덱스트린 및 OSA 치환 전분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2 및 1-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알파리포산 수율을 G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고, 3회 반복 측정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알파리포산 수율(%)
실시예 1-2-1 54.69±4.40
실시예 1-2-2 47.03±0.02
실시예 1-2-3 41.66±2.17
실시예 1-3-1 67.09±2.51
실시예 1-3-2 78.74±1.21
실시에 1-3-3 63.47±6.69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덱스트린의 평균 중합도 및 OSA 전분의 치환도에 관계 없이 알파리포산은 매우 높은 수율로 회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덱스트린의 평균 중합도가 297±13.1(실시예 1-2-1)인 경우에는 수율은 54.69%, OSA 전분의 치환도가 0.0163인 경우에는 수율이 78.74%까지 매우 높게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바, 본 발명에 따른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는 알파리포산의 수율이 매우 우수하여 기능성 음료 및 화장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초음파 처리가 알파리포산 -전분 나노복합체의 입자 크기 및 알파리포산의 수율에 미치는 영향 측정
초음파 처리에 따라 알파리포산-전분 복합체의 입자 크기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입자 크기 분석에 앞서 제조된 복합체 분산액의 성상을 하기 도 5에서 살펴보면, 유백색의 불투명한 용액이 잘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 제조됨을 확인하였다. 입자 분석기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2 및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복합체의 평균 직경을 측정하였다.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알파리포산-전분 복합체 분산액은 초음파 처리를 통해 250 내지 350 nm 크기의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4 ℃ 의 암실에서 질소 충진 이후에 보관할 경우 2주 후에 약 300 내지 450 nm 크기로 입자 크기가 다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사진을 통해 저장 기간동안 분산액의 성상 변화를 도 7에서 살펴보면 2주간 보관하였을 경우에도 OSA 치환 전분 3종류 및 덱스트린 3종류 모두 침전물 생성이나 층 분리 현상 없이 안정한 분산액으로 존재하였다.
다음으로, 초음파 처리에 따라 알파리포산-전분 복합체 분산액 내의 알파리포산 수율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GC를 통한 정량분석을 수행하여 초음파 처리 전과 후의 알파리포산 수율 변화를 도 8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80%의 진폭으로 3분간 진행한 초음파 처리한 경우에도 5% 내외의 수율 감소가 확인되었는바, 초음파 처리가 수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반응온도에 따른 알파리포산 -전분 나노복합체의 X-선 회절패턴 및 시차주사열량계 분석
x-선 회절 분석기 (XPERT MPD, Philips Analytical, Almelo, Netherlands)를 이용하여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된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의 반응 조건에 따른 결정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원심분리 하여 회수된 복합체 시료를 동결건조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조건은 40kV, 30mA에서 1.0° /min의 속도로 4°에서 30°까지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반응 온도를 50 ℃, 70 ℃ 또는 90 ℃로 수행하였을 경우, 모두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형적인 V6Ⅰ 구조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차주사열량계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6100, Seiko Instruments, Chiba, Japan)를 이용하여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된 알파리포산-전분 복합체의 용융 특성을 분석하였다. 원심분리 하여 회수된 복합체 시료를 동결건조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시료를 물과 1: 2의 비율로 혼합한 후 40 ℃에서 140 ℃까지 5 ℃/min의 속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응 온도에 관계 없이 120 ℃ 이상에서 용융이 일어나는 보다 안정한 형태의 타입 Ⅱ 결정 용융 패턴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알파리포산과 전분 사이에 형성된 복합체는 열에 안정한 결정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2 및 1-3에서 제조된 알파리포산-전분 복합체를 대상으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X-선 회절패턴 및 시차주사열량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X-선 회절패턴 분석결과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OSA 치환 전분 및 덱스트린 6종 모두 전형적인 V6Ⅰ 타입의 결정구조를 이루었으며, 이는 나선형의 전분 구조 내부에 리포산이 잘 포접되어있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시차주사열량계 분석결과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OSA 치환 전분 및 덱스트린 6종 모두 120 ℃ 부근에서 용융이 일어나는 단일 결정들이 잘 정렬된 형태의 타입 Ⅱ 결정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알파리포산과 전분 사이에 형성된 복합체는 열에 안정한 결정성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공액리놀레산 ( CLA )-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
(1) 탈지된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제조
CLA와 전분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 고아밀로오 전분을 탈지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아밀로오스 전분 10 g을 90% 다이메틸설폭사이드 (DMSO) 1.0 L에 녹여 1시간 중탕하고, 24시간 동안 천천히 냉각한 후 전분 용액을 과량의 에탄올 용액에 부어 전분을 침전시켜 회수하였다. 회수된 전분은 여러 차례 에탄올과 아세톤 용액으로 세척 후, 건조 및 분쇄하여 복합체 제조에 사용하였다.
(2) 고아밀로오스 전분 용액의 제조
상기 탈지된 고아밀로오스 전분 600 mg을 3 mL의 1.0M NaOH 용액을 이용하여 녹이고, 54 mL 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희석한 후, 1.0M의 HCl 용액을 첨가하여 pH 7.0으로 중화된 고아밀로오스 전분 용액을 제조하였다.
(3) 공액리놀레산(CLA)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혼합물 제조
CLA의 산화 및 중합화를 방지하기 위해 질소 충진을 하고 121 ℃에서 20분간 상압 가열 후, 1.2 mL의 무수 에탄올에 미리 용해시켜 둔 CLA 30 mg을 첨가하여 CLA와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4) CLA-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
상기 (3)에서 제조한 CLA와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혼합물을 90 ℃에서 24시간 동안 강하게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뒤, 1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천천히 냉각시켜 CLA-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얻었다. 이후, 80%의 진폭으로 10분 동안 초음파 기기(750 W/cm2, VCX 750, Sonics & Materials Inc., Newtown, CT)를 사용하여 초음파 처리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25,000g의 중력 가속도 조건에서 30분간 4 ℃에서 원심분리 한 후, 침전물로 CLA-전분 나노복합체를 회수하였다(도 18).
시험예 6. CLA 와 전분의 함량이 CLA -전분 나노복합체의 수율에 미치는 영향측정
본 발명에 따른 CLA-전분 복합체 제조에 있어서, CLA와 전분의 함량이 복합체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복합체 제조시 사용된 CLA 함량을 15, 30, 45, 60 mg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CLA-전분 복합체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CLA의 함량에 따른 수율의 변화를 하기 도 13에 나타내었다.
상기 복합체 제조시 사용된 전분의 함량을 300, 600, 900 mg으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CLA-전분 복합체를 제조하였으며, 이때 전분의 함량에 따른 수율의 변화를 하기 도 14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첨가하는 CLA 함량이 많아질수록 복합체로 회수되는 CLA의 수율이 낮아졌고, 첨가하는 전분의 양이 많아질수록 CLA의 수율 또한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회수되는 복합체 내의 전분과 CLA의 비율을 고려하여 1%의 전분 수용액에 전분과 CLA의 비율을 20:1로 하여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시험예 7. 반응 온도, pH, 반응시간이 CLA -전분 나노복합체 내 CLA 수율에 미치는 영향 측정
본 발명에 따른 CLA-전분 복합체 제조에 있어서, 반응 조건의 변화가 복합체로 회수된 CLA의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반응온도를 50 ℃, 70 ℃, 90 ℃로 각각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CLA-전분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여 CLA의 수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15에 나타내었다. 또한, 반응 pH를 5, 6, 7, 8로 각각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CLA-전분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여 CLA의 수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16에 나타내었다. 또한, 반응시간을 3, 6, 12, 24, 48시간으로 각각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CLA-전분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여 CLA의 수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17에 나타내었다.
도 15 내지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응온도를 높일수록 복합체 내의 CLA 수율이 높아졌고, 반응 pH는 7에서 가장 높은 CLA 수율을 보였으며, 반응시간은 6~24시간 정도 사이에서 높은 CLA 수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8. 초음파 처리가 CLA -전분 나노복합체의 입자 크기 및 CLA의 수율에 미치는 영향 측정
초음파 처리에 따라 CLA-전분 복합체의 입자 크기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입자 크기 분석에 앞서 제조된 복합체 분산액의 성상을 도 18에서 살펴보면, 유백색의 불투명한 용액이 잘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 제조됨을 확인하였다. 입자 분석기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1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수득한 복합체의 평균 직경과 제타포텐셜을 측정하였다.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CLA-전분 복합체 분산액은 초음파 처리를 통해 800 nm 이상의 크기에서 최소 200 nm 크기의 입자들로 작아짐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용액의 분산안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제타 포텐셜의 절대값 또한 커짐을 확인하였다.
초음파 처리에 따라 CLA-전분 복합체 분산액 내의 CLA 수율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GC를 통한 정량분석을 수행하여 초음파 처리 시간에 따른 CLA 수율 변화를 도 20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최대 10분간의 초음파 처리에서 약 15% 정도의 수율 감소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9. 반응온도, pH, 반응시간에 따른 CLA -전분 나노복합체의 X-선 회절패턴 및 시차주사열량계 분석
CLA-전분 복합체를 상기 시험예 7과 동일한 반응온도, pH, 반응시간에 따라 제조한 후, 상기 시험예 5에서 설명한 x-선 회절 분석 조건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CLA-전분 나노복합체의 X-선 회절패턴을 분석하여 하기 도 21 내지 23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21 내지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LA-전분 나노복합체는 상술한 반응 조건하에서 전형적인 V6Ⅰ 구조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나선형의 전분 구조 내부에 CLA가 잘 포접되어있는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시험예 5에서 설명한 시차주사열량계 분석 조건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CLA-전분 나노복합체를 분석하여 하기 도 24 내지 26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24 내지 2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LA-전분 나노복합체는 100 ℃ 이상에서 용융이 일어나는 보다 안정한 형태의 타입 Ⅱ 결정 용융 패턴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CLA와 전분 사이에 형성된 복합체는 열에 안정한 결정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감마리놀레산 ( GLA )-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
(1) 고아밀로오스 전분 용액의 제조
고아밀로오스 전분 600 mg을 3 mL의 1.0M NaOH 용액을 이용하여 녹이고, 54 mL 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희석한 후, 1.0M의 HCl 용액을 첨가하여 pH 6.0의 고아밀로오스 전분 용액을 제조하였다.
(2) 감마리놀레산과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혼합물 제조
GLA의 산화 및 중합화를 방지하기 위해 질소 충진을 하고 121 ℃에서 20분간 상압 가열 후, 1.2 mL의 무수 에탄올에 미리 용해시켜 둔 GLA 30 mg을 첨가하여 GLA와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3) GLA-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
상기 (2)에서 제조한 GLA와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혼합물을 70 ℃에서 24시간 동안 강하게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뒤, 1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천천히 냉각시켜 GLA-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얻었다. 이후, 80%의 진폭으로 3분 동안 초음파 기기(750 W/cm2, VCX 750, Sonics & Materials Inc., Newtown, CT)를 사용하여 초음파 처리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25,000g의 중력 가속도 조건에서 30분간 4 ℃에서 원심분리 한 후, 침전물로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를 회수하였다.
시험예 10. 반응 온도, pH, 반응시간이 GLA -전분 나노복합체 내 GLA 수율에 미치는 영향 측정
본 발명에 따른 GLA-전분 복합체 제조에 있어서, 반응 조건의 변화가 복합체로 회수된 GLA의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반응온도를 50 ℃, 70 ℃, 90 ℃로 각각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GLA-전분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여 GLA의 수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27에 나타내었다. 또한, 반응 pH를 5, 6, 7, 8로 각각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GLA-전분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여 GLA의 수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28에 나타내었다. 또한, 반응시간을 3, 6, 12, 24, 48시간으로 각각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GLA-전분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여 GLA의 수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29에 나타내었다.
도 27 내지 2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응온도가 50에서 70 ℃로 올라갈수록 복합체 내 수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70 ℃ 부근에서 가장 높은 수율이 측정되었다. 반응 pH는 6에서 가장 높은 GLA 수율을 보였으며, 반응시간은 24시간 부근에서 가장 높은 CLA 수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1. 반응온도에 따른 GLA -전분 나노복합체의 X-선 회절패턴 및 시차주사열량계 분석
GLA-전분 복합체를 상기 시험예 10과 동일한 반응온도에 따라 제조한 후, 상기 시험예 5에서 설명한 x-선 회절 분석 조건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GLA-전분 나노복합체의 X-선 회절패턴을 분석하여 하기 도 30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3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GLA-전분 나노복합체는 전형적인 V7 구조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결정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나선형의 전분 구조 내부 및 전분 결정들 사이에 GLA가 잘 포접되어있는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시험예 5에서 설명한 시차주사열량계 분석 조건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GLA-전분 나노복합체를 분석하여 하기 도 31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3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GLA-전분 나노복합체는 100 ℃ 이상에서 용융이 일어나는 보다 안정한 형태의 타입 Ⅱ 결정 용융 패턴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GLA와 전분 사이에 형성된 복합체는 열에 안정한 결정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도코사렉사엔산 ( DHA )-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
(1) 고아밀로오스 전분 용액의 제조
고아밀로오스 전분 600 mg을 3 mL의 1.0M NaOH 용액을 이용하여 녹이고, 54 mL 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희석한 후, 1.0M의 HCl 용액을 첨가하여 pH 7.0으로 중화된 고아밀로오스 전분 용액을 제조하였다.
(2) 도코사렉사엔산과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혼합물 제조
DHA의 산화 및 중합화를 방지하기 위해 질소 충진을 하고 121 ℃에서 20분간 상압 가열 후, 1.2 mL의 무수 에탄올에 미리 용해시켜 둔 어유(DHA를 70%이상 함유) 30 mg을 첨가하여 DHA와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3) DHA-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
상기 (2)에서 제조한 DHA와 고아밀로오스 전분의 혼합물을 70 ℃에서 12 시간 동안 강하게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뒤, 6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천천히 냉각시켜 알파리포산-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얻었다. 이후, 80%의 진폭으로 3분 동안 초음파 기기(750 W/cm2, VCX 750, Sonics & Materials Inc., Newtown, CT)를 사용하여 초음파 처리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25,000g의 중력 가속도 조건에서 30분간 4 ℃에서 원심분리 한 후, 침전물로 알파리포산-전분 나노복합체를 회수하였다(도 32).

Claims (13)

  1. (a) 고아밀로오스 전분, 덱스트린 및 옥테닐호박산 치환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전분을 NaOH 용액에 녹인 후 물로 희석하고 HCl 용액을 첨가하여 전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알파리포산, 공액리놀레산, 감마리놀레산 및 도코사헥사엔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지방산을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다이클로로메탄, 프로판올 및 아이소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후 상기 전분 용액과 혼합하여 지방산과 전분의 혼합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얻은 지방산과 전분의 혼합물을 가열 및 교반하여 반응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지방산-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얻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얻은 지방산-전분 복합체 분산액을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전분 용액의 pH는 5 내지 7이고,
    상기 단계 (b)에서 지방산과 전분의 혼합 비율은 0.05-0.5:1 중량비이며,
    상기 단계 (c)의 반응온도는 50-90 ℃이고, 반응시간은 0.5-24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산-전분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은 평균 중합도가 20 내지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테닐호박산 치환 전분의 치환도는 0.005 내지 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질소가 충진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초음파 처리 강도는 10-90% 진폭이고, 처리시간은 0.5-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2. 제1항, 제4항 내지 제5항, 제10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전분 나노 복합체의 입자 직경은 100-10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
KR1020150110043A 2015-08-04 2015-08-04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 KR101716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043A KR101716576B1 (ko) 2015-08-04 2015-08-04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043A KR101716576B1 (ko) 2015-08-04 2015-08-04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664A KR20170016664A (ko) 2017-02-14
KR101716576B1 true KR101716576B1 (ko) 2017-03-14

Family

ID=5812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043A KR101716576B1 (ko) 2015-08-04 2015-08-04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5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9662B2 (ja) * 2020-02-26 2022-07-29 江南大学 遅消化性デンプンの製造方法
CN111264840B (zh) * 2020-02-26 2022-09-27 江南大学 一种慢消化淀粉的制备方法
CN111264867B (zh) * 2020-02-26 2022-09-27 江南大学 一种抗消化淀粉的制备方法
CN113575828A (zh) * 2021-08-13 2021-11-02 河南工业大学 一种添加饱和脂肪酸抗板栗淀粉老化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720B1 (ko) 2005-12-26 2007-06-11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난용성 활성물질을 하이드록시알킬화 사이클로덱스트린과리포좀으로 이중 안정화 시킨 나노캡슐 리포좀 조성물
KR100760148B1 (ko) 2006-07-19 2007-09-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알파-리포산을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
KR101291813B1 (ko) * 2011-04-27 2013-08-02 임승택 친수성이 증가된 덱스트린-세라마이드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0544B1 (ko) * 2012-11-28 2014-11-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코페롤-전분 나노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664A (ko)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iu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leogel stabilized by gelatin-polyphenol-polysaccharides nanocomplexes
KR101716576B1 (ko)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지방산-전분 나노복합체
Liu et al. Morphology and characteristics of starch nanoparticles self-assembled via a rapid ultrasonication method for peppermint oil encapsulation
CN107950684B (zh) 一种富含不饱和脂肪酸的油凝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Doost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quercetin loaded almond gum-shellac nanoparticles prepared by antisolvent precipitation
JP5016111B2 (ja) 植物精油を含有するナノエマルジョンおよびナノ粒子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3053086A (ja) 油脂含有マイクロカプ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31352A (ja) 親水性物質を内容物とするシームレスカプセルおよびその製法
MX2011005076A (es) Composiciones de organogel y procesos para su produccion.
Wu et al. Liquid antisolvent precipitation: An effective method for ocular targeting of lutein esters
CN104366508A (zh) 一种叶黄素酯或叶黄素乳液及制备方法
JPWO2012173217A1 (ja) ピロロキノリンキノンジナトリウム塩の結晶およびその製造方法
Zou et al. Soy oil and SPI based-oleogels structuring with glycerol monolaurate by emulsion-templated approach: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potential application
CN105166094A (zh) 一种月见草油和玫瑰果油复合微胶囊的制备方法
Montoya-Yepes et al. Starches in the encapsulation of plant active ingredients: state of the art and research trends
Zhan et al. Effect of chain length on the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ctive compound/linear dextrin composites
CN108779501A (zh) 含有α,α-海藻糖二水合物晶体的粉末、其制造方法及用途
KR101848563B1 (ko) 다중 분해를 이용한 덱스트린 입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덱스트린 입자
Park et al. Effects of dextrinization and octenylsuccinylation of high amylose starch on complex formation with ω-3 fatty acids (EPA/DHA)
CN104172184A (zh) 槲皮素纳米结构脂质载体及其制备方法
JP2016515652A (ja) 乳幼児食配合物に適したルテイン組成物
Kim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queous dispersions of dextrin and policosanol composites
CN104402705B (zh) 球形柠檬酸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041554B (zh) 富含沙丁鱼油的β-胡萝卜素微胶囊及其制备方法与应用
Liu et al. Cellulose: A promising and versatile Pickering emulsifier for healthy f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