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183B1 -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183B1
KR101716183B1 KR1020120086389A KR20120086389A KR101716183B1 KR 101716183 B1 KR101716183 B1 KR 101716183B1 KR 1020120086389 A KR1020120086389 A KR 1020120086389A KR 20120086389 A KR20120086389 A KR 20120086389A KR 101716183 B1 KR101716183 B1 KR 101716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network camera
external
storage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039A (ko
Inventor
천희진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1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2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6/00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6/00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 G08B26/005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with substations connected in series, e.g. casca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감시 영역을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부에서 촬영된 제1 영상 및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제2 영상을 저장하며, 제1 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외부 기기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저장부, 외부 기기에 구비된 저장 수단 및 외부 저장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영상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러한 네트워크 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여 촬영된 영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Network camera and surveillance system includint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방범, 보안, 매장 관리 등 다양한 목적으로 건물 내부나 외부, 길거리 등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카메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개인용 컴퓨터 등을 통하여 카메라에 접속하여 원격으로 건물이나 매장 등의 원격지를 관리할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5-129999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촬영된 영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감시 영역을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부에서 촬영된 제1 영상 및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제2 영상을 저장하며, 제1 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외부 기기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저장부, 외부 기기에 구비된 저장 수단 및 외부 저장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영상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카메라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어부는 저장부, 외부 저장 장치, 외부 기기에 구비된 저장 수단 순으로 우선 순위를 가지고 제1 영상을 저장할 장치를 결정하고, 저장부에 제1 영상을 저장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저장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로 제1 영상의 저장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에서 요청에 대하여 승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하여 요청을 전송한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저장 장치로 제1 영상을 전송하며, 통신부에서 요청에 대하여 거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는 제1 영상을 저장할 기기를 다시 결정한다.
본 실시 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태 정보는 적어도 네트워크 카메라의 아이디, 저장부의 사용 대역폭 및 저장 가능 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들을 포함하며,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는 각각, 감시 영역을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부에서 촬영된 제1 영상 및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제2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네트워크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들은 특정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네트워크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들은 특정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가 전송된 정보를 사용하여 필요한 영상을 검색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들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 카메라에 의하여 관리되는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감시 시스템은 네트워크 카메라(100), 외부 저장 장치(200), 클라이언트(300), 네트워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원격지의 감지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네트워크 카메라(100) 내부에 구비된 저장 수단이나, 외부 저장 장치(200)에 저장한다. 또는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촬영한 영상을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100)의 저장 수단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클라이언트(300)의 제어에 의하여 촬영 방향이나 촬영 조건 등이 조절될 수도 있으며, 클라이언트(3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촬영된 영상이나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주기적으로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감시 시스템 내의 구성들은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특정 멀티캐스트 주소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며, 네트워크(400) 상에서 동일한 멀티캐스트 주소를 갖는 장치들은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0)가 전송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100)나 클라이언트(300) 등으로부터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된 상태 정보나 각종 명령 등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멀티캐스트 주소로 전송된 경우,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방식의 경우, 하나 이상의 송신자가 해당 멀티캐스트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이다. 오직 하나의 수신자에게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유니캐스트나 물리적으로 같은 서브 네트워크상에 있는 모든 노드에 데이터가 전달되는 브로드캐스트에 비해 자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외부 저장 장치(200)는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이 구현된 파일 서버 장치이다.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은 네트워크상에 있는 원격 호스트의 파일을 로컬 파일처럼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파일 시스템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으로는 NFS(Network File System),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 등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저장 장치로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저장 장치(2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외부 기기들이 접속하여 접속한 외부 기기의 로컬 영역과 같은 저장 공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클라이언트(300)는 네트워크 카메라(100)나 외부 저장 장치(200)에 접속하여 원격지의 촬영 영상을 검색 및 감상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클라이언트(300) 만을 도시하였으나 클라이언트(300)는 복수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클라이언트(300)가 동시에 하나의 네트워크 카메라(100)나 외부 저장 장치(200)에 접속할 수도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400)는 촬영 영상이나 각종 데이터, 제어신호 등이 송수신되는 매체이다. 네트워크(4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400)는 케이블을 통하여 유선으로 혹은 무선 랜 등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네트워크 카메라(100), 외부 저장 장치(200), 클라이언트(3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에서 네트워크 카메라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1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카메라(101)는 촬영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촬영부(110)는 감시 영역의 영상을 촬영한다. 촬영부(110)는 렌즈, 조리개, 촬상소자, 영상신호 처리부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10)는 팬/틸트/줌 동작 등을 수행하여 감시 영역을 이동하거나 촬영 대상을 확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120)는 네트워크 카메라(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40)를 통하여 네트워크 카메라(101)의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외부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에는 네트워크 카메라(101)의 아이디, 저장부(130) 등의 저장 장치의 현재 사용중인 대역폭, 저장 가능 용량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는 저장부(130) 등의 모든 저장 장치의 종류/최대 입출력 대역폭/전체용량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는 현재 촬영된 영상을 저장중인 장치에 관한 정보, 네트워크 사용 대역폭/손실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러한 상태 정보를 지정된 멀티캐스트 주소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지정된 멀티캐스트 주소를 갖는 외부 기기들은 제어부(120)를 통하여 전송된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다른 기기, 즉 본 네트워크 카메라(101)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악된 다른 기기의 상태는 후술할 영상을 저장할 저장 매체의 결정에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촬영된 영상을 어느 저장 매체에 저장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101)는 촬영된 영상을 반드시 자신이 구비하고 있는 저장부(130)에 저장할 필요는 없다. 자신이 구비하고 있는 저장부(130), 외부 저장 장치(200), 외부 기기, 즉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에 구비된 저장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자신이 구비하고 있는 저장부(130), 외부 저장 장치(200),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에 구비된 저장부의 순서로 우선순위를 가지고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매체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자신이 구비하고 있는 저장부(130)의 사용 가능한 저장 용량이 부족하거나, 저장부(130)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이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등, 영상을 저장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영상을 저장할 외부 기기를 결정한다.
모든 네트워크 카메라(101)의 제어부(120)들은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전송하므로, 제어부(120)는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상태 정보를 취합하여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나 외부저장 장치(200)의 상황을 수시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기초하여 영상을 저장할 외부 기기를 결정한 후 결정된 외부 기기로 영상의 저장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남은 저장 용량과 사용하지 않는 입출력 대역폭이 많고, 네트워크 상태가 좋을수록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또한 우선 순위가 높은 외부 기기들 중에서 남은 입출력 대역폭이 저장할 영상의 대역폭보다 큰 장치를 영상을 저장할 외부 기기로 결정한다. 이때, 외부 저장 장치(200)의 경우, 자체적으로 관리 장치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외부 저장 장치(200)를 관리하고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로 영상의 저장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영상의 저장 요청에 대하여 승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저장 요청을 전송한 기기로 영상을 전송한다. 또한 영상의 전송과 함께 영상과 관련된 정보, 예컨데 영상이 촬영된 시간, 영상에 발생한 이벤트 등을 함께 전송한다. 이때, 영상을 저장할 기기가 외부 저장 장치(200)로서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는 경우, 예컨데 NAS인 경우, 제어부(120)는 외부 저장 장치(200)를 자신의 로컬 장치로 마운트한 후 저장부(130)인 경우와 동일하게 영상을 저장한다. 다만, 이러한 경우라도 외부 저장 장치(200)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카메라로 영상의 정보를 전송하여 외부 저장 장치(200)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제어부(120)가 통신부(130)를 통하여 영상의 저장 요청에 대하여 거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다시 영상을 저장할 기기를 결정한 후, 영상의 저장 요청을 전송한다.
제어부(120)는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영상의 저장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는, 자신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승인 신호 또는 거부 신호를 상기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로 전송한다. 자신의 현재 상태란 영상을 저장할 저장 용량이 충분한지 여부, 저장부(130)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이 충분한지 여부, 통신부(130)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이 충분한지 여부 등이다.
저장부(130)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30)는 제어부(120)의 승인에 의하여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영상들의 리스트와, 해당 영상들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영상이 촬영된 네트워크 카메라의 아이디, 촬영된 시간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13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의 리스트와, 해당 영상들이 저장되어 있는 기기들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130)는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 카메라(101)에서 촬영된 영상이 어느 기기에 저장되어 보관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 있을 수 있다.
통신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지정된 멀티캐스트 주소로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통신부(140)는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지정된 멀티캐스트 주소로 전송된 외부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부(140)는 그밖에 각종 신호나 데이터, 예를 들어 저장부(130)에 저장하기 위한 영상 및 영상에 관련된 데이터, 영상의 저장 요청 신호, 영상 저장 요청에 대한 승인 신호 및 거부 신호 등을 수신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4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300)로부터 영상의 검색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120)는 클라이언트(300)의 요청에 따라서 영상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300)로부터 특정 네트워크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의 검색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요청된 영상을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검색 결과를 통신부(14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한다.
또는 제어부(120)는 클라이언트(300)로부터 영상 검색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에 대한 정보, 즉 데이터베이스를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300)가 직접 원하는 영상을 검색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10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102)는 도 2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101)와 구성이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카메라(102)는 저장 매체로서 NAS(131)를 구비할 수 있다. NAS(1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이 적용되어 외부 기기, 즉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에 마운트되어 상기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의 로컬 장치로 인식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네트워크 카메라(101)가 저장부(130) 만을 구비하고, 도 3에서는 네트워크 카메라(102)가 NAS(131) 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네트워크 카메라가 여러 가지 종류의 저장 매체를 동시에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의 네트워크 카메라(101)를 참고로 하여 본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101)들은 통신부(140)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송수신한다(S401). 이때, 통신부(140)는 특정 멀티캐스트 주소를 지정하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40)에 수신된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101)로부터의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외부 기기들, 즉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101)와 외부 저장 장치(200)의 상태를 파악한다(S402). 예를 들어, 외부 기기들의 저장 매체의 사용 대역폭이나 저장 가능 용량 등을 파악한다.
촬영부(11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의 저장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S403), 영상의 저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S401 단계로 돌아가 S401 단계 및 S402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한편, S403 단계에서 영상의 저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130)에 저장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404). 상기 판단 동작은 S402 단계에서 설명한 상태 파악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저장부(130)에 영상을 저장하기로 결정한 경우, 즉, 저장 매체로서 저장부(130)를 선택한 경우, 영상을 저장부(130)에 전송하여 저장한다(S405).
반면에 제어부(120)가 영상을 저장부(130)가 아닌 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하기로 결정한 경우, 외부 기기, 즉 외부 저장 장치(200)인 NAS 및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101) 중 영상을 저장할 기기를 결정한다(S406). 영상을 저장할 기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영상을 저장할 기기가 결정되면, 제어부(120)는 해당 기기로 영상의 저장을 요청한다(S407). 그후 제어부(120)는 해당 기기, 즉,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101) 또는 NAS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카메라(101)로부터 승인 신호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한다(S408).
통신부(140)를 통하여 거부 신호를 수신한 경우, 다시 S406 단계로 돌아가 제어부(120)는 영상을 저장할 기기를 다시 검색 및 결정한다. 반면에 통신부(140)를 통하여 승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승인 신호를 전송한 기기로 영상 및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한다(S409).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도 도 2의 네트워크 카메라(101)를 참고로 하여 본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는 네트워크 카메라(101)가 외부로부터 영상의 저장 요청을 받은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카메라(101)는 통신부(140)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송수신한다(S501). 그리고 제어부(120)는 통신부(140)에 수신된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101)로부터의 상태 정보를 사용하여 외부 기기들, 즉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101)와 외부 저장 장치(200)의 상태를 파악한다(S502).
통신부(140)를 통하여 촬영 영상의 저장 요청이 수신되며(S503), 제어부(120)는 상기 영상 저장 요청의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S504).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의 저장 가능 용량, 사용 가능한 대역폭, 네트워크 상태 등을 전반적으로 파악하여 영상 저장의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
S505 단계에서 영상 저장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 상기 요청을 전송한 네트워크 카메라(101)로 승인 신호를 전송하고(S506), 그 후 전송되는 영상 및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507).
반대로 S505 단계에서 영상 저장 요청을 거부하는 경우, 상기 요청을 전송한 네트워크 카메라(101)로 거부 신호를 전송한다(S508).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101)들이 서로의 상황을 파악하고, 영상을 저장할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도 도 2의 네트워크 카메라(101)를 참고로 하여 본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클라이언트(300)에 의하여 영상 검색 요청이 네트워크 카메라((101)로 전송된다(S601). 영상 검색은 특정 아이디의 네트워크 카메라(101)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검색하는 것일 수 있다. 영상 검색 요청은 멀티캐스트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정된 멀티캐스트 주소를 갖는 네트워크 카메라(101)들이 상기 영상 검색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S602).
각 네트워크 카메라(101)는 수신한 영상 검색 요청에 기초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S603). 저장부(130)에는 저장부(130)가 저장하고 있는 영상들의 리스트 및 영상들에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영상이 촬영된 시간, 영상에 발생한 이벤트 등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120)는 검색 결과를 다시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하고(S604), 클라이언트(300)는 전송된 검색 결과를 수신한다(S605).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서, 클라이언트(300)는 검색 결과를 수신한 후 영상 전송의 요청 여부를 결정한다(S606).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 영상 요청 신호가 상기 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101)로 전송된다. 이때, 영상의 전송을 요청하는 네트워크 카메라(101)는 특정될 수 있으므로, 멀티캐스트 방식이 아닌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영상 전송 요청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101)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영상 전송 요청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 카메라(101)는 클라이언트(300)로부터 영상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607), 수신되는 경우에는 해당 영상을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한다(S608).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함에 있어서 사용중인 대역폭이나 네트워크 상태 등을 갱신하도록 한다(S609).
클라이언트(300)는 네트워크 카메라(101)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S610), 이로 인하여 원하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도 도 2의 네트워크 카메라(101)를 참고로 하여 본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클라이언트(300)에 의하여 네트워크 카메라((101)로 데이터베이스 전송 요청이 전송된다(S701).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 카메라가 저장하고 있는 영상들의 리스트 및 그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네트워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들의 리스트 및 해당 영상들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전송 요청은 멀티캐스트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정된 멀티캐스트 주소를 갖는 네트워크 카메라(101)들이 상기 데이터베이스 전송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S702).
특정 네트워크 카메라(101) 또는 모든 네트워크 카메라(101)들은 데이터베이스를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하고(S703), 클라이언트(300)는 전송된 데이터베이스를 수신한다(S704). 그리고 클라이언트(300)는 직접 데이터베이스들로부터 원하는 영상을 검색하고(S705), 검색 결과에 따라서 영상의 전송 요청 여부를 결정한다.
영상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 영상 요청 신호가 상기 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101)로 전송된다. 이때, 영상의 전송을 요청하는 네트워크 카메라(101)는 특정될 수 있으므로, 멀티캐스트 방식이 아닌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영상 전송 요청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101)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영상 전송 요청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 카메라(101)는 클라이언트(300)로부터 영상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707), 수신되는 경우에는 해당 영상을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한다(S708). 그리고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함에 있어서 사용중인 대역폭이나 네트워크 상태 등을 갱신하도록 한다(S709).
클라이언트(300)는 네트워크 카메라(101)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S710), 이로 인하여 원하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장치로서 NVR(Network Video Recorder)이 사용되었다. NVR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네트워크 카메라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며, 네트워크 카메라의 영상을 전송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검색 및 재생하였다. 그러나 NVR을 포함하여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시스템 복잡도 및 구축 비용이 증가하였다. 또한 NVR이 항시 동작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방식으로는, 네트워크 카메라 자체에 저장매체, 예컨데 SD 카드, 플래시 메모리, NAS 등을 연결해 영상을 저장하도록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사용자가 각 네트워크 카메라에 접속해서 저장된 영상을 검색 및 재생해야만 했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저하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저장 매체로 사용하는 SD 카드 등의 한계로 인한 저장 및 재생 성능이 저하되었다. 또한 네트워크 카메라별 저장 영상의 대역폭과 연결된 저장 매체의 크기 및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저장 자원 분배의 효율이 떨어졌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는 네트워크 카메라들 간을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로 연결하고, 마스터 카메라의 저장 장치에 영상을 저장하는 시스템도 제안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마스터 카메라에 많은 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있으며, 동일한 성능의 네트워크 카메라들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그 운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촬영된 영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면서도 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별도의 관리 서버와 함께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기타 P2P 프로토콜 등을 통해 네트워크 카메라와 저장 장치 목록을 관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별도의 관리 서버가 네트워크 카메라와 영상을 저장 장치의 연결을 할당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2 네트워크 카메라
110 촬영부
120 제어부
130 저장부
131 NAS
140 통신부
200 외부 저장 장치
300 클라이언트
400 네트워크

Claims (8)

  1. 감시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제1 영상들 및 상기 제1 영상들의 촬영 시간과 상기 제1 영상들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제1 영상 관련 정보와,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어느 한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제2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제1 영상들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부, 상기 외부 기기에 구비된 저장 수단 및 외부 저장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영상들 및 상기 제1 영상 관련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남은 저장용량과 사용하지 않는 입출력 대역폭이 더 많고, 네트워크 상태가 더 좋은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중 하나 이상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순위를 부여받은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중 남은 입출력 대역폭이 저장할 영상의 대역폭 보다 큰 어느 한 외부 기기를 상기 제1 영상들 및 상기 제1 영상 관련 정보를 저장할 외부 기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 상기 외부 저장 장치, 상기 외부 기기에 구비된 저장 수단 순으로 우선 순위를 가지고 상기 제1 영상들 및 상기 제1 영상 관련 정보를 저장할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저장부에 상기 제1 영상들 및 상기 제1 영상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 또는 상기 외부 저장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로 상기 제1 영상들 및 상기 제1 영상 관련 정보의 저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요청에 대하여 승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요청을 전송한 상기 외부 기기 또는 상기 외부 저장 장치로 상기 제1 영상들 및 상기 제1 영상 관련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요청에 대하여 거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들 및 상기 제1 영상 관련 정보를 저장할 기기를 다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086389A 2012-08-07 2012-08-07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KR101716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389A KR101716183B1 (ko) 2012-08-07 2012-08-07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389A KR101716183B1 (ko) 2012-08-07 2012-08-07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039A KR20140020039A (ko) 2014-02-18
KR101716183B1 true KR101716183B1 (ko) 2017-03-14

Family

ID=50267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389A KR101716183B1 (ko) 2012-08-07 2012-08-07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644A (ko) * 2017-12-19 2019-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688B1 (ko) * 2014-11-26 2020-10-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네트워크 카메라 및 게이트웨이
KR20180045320A (ko) * 2016-10-25 2018-05-0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00837B1 (ko) * 2018-04-16 2023-02-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6634100B (zh) * 2023-05-25 2023-11-14 广东申立信息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ipc的信息交互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8367A (ja) 2007-11-09 2009-05-28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システム
JP2010093665A (ja) 2008-10-10 2010-04-22 Hitachi Ltd ネットワーク監視カメラ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576A (ko) * 2001-06-12 2002-12-18 (주)혁성정보시스템 간략 정보 인덱스를 이용한 dvr 검색 방법
JP2005129999A (ja) 2003-10-21 2005-05-19 Yokogawa Electric Corp 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8367A (ja) 2007-11-09 2009-05-28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システム
JP2010093665A (ja) 2008-10-10 2010-04-22 Hitachi Ltd ネットワーク監視カメラ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644A (ko) * 2017-12-19 2019-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91072B1 (ko) * 2017-12-19 2022-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039A (ko) 201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183B1 (ko)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US771491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communication function,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586699B1 (ko) 네트워크 카메라 및 네트워크 카메라 운용 시스템 및 방법
CN108700889B (zh) 控制方法、远程监控设备、遥控器、服务器和流媒体服务器
JP2011504619A (ja) 無線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の管理のための方法及びメモリカード
US20140267748A1 (en) Multi-channel network camera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CN102843442A (zh) 用于配置联网的照相机的方法
KR101444006B1 (ko) Ip 카메라의 클라우드 영상 저장 시스템
JP2007166181A (ja) データ取得装置及びデータ記録システム並びにデータ記録方法
KR102121327B1 (ko) 이미지 획득 방법, 피제어 기기 및 서버
JP2018093401A (ja) 映像監視装置、映像監視方法および映像監視システム
KR20020061288A (ko) 네트워크 디지털 화상 제어 서버 시스템
CN110072081A (zh) 工程现场外业监测系统
JP6385254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サーバ及び監視システムの制御方法
WO2019084742A1 (zh) 数据的传输方法、服务器、存储系统、终端设备及系统
EP2865146A1 (en) Method, system,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mmunication management
US8947540B2 (en) Network camera and method of operating storage device thereof
KR100747080B1 (ko) 웹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장치의 데이터 전송시스템
US201300890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casting video in real-time
JP6216137B2 (ja) 画像管理システム及びセンタ装置
JP2020091787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318032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6216138B2 (ja) 画像管理システム及びセンタ装置
JP633291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019797B (zh) 国家教育考试录像云存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